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動作樣態と「∼고·어 있다(∼ている)」形の意味考察

        尹錫任 한국일어일문학회 2002 日語日文學硏究 Vol.43 No.1

        본 연구는 마슬로프(1962:40)의 동작양태<Aktionsart>의 정의, 즉 「동사자체가 나타나내는 일정한 어휘적성질에 기초하여 동사를 분류하는 것」이라는 정의를 인정하고, Comrie(1976)의 「한계성/비한계성」과 「계속성/순간성」이라는 어휘적성질이 「∼고·어 있다(∼てぃる)」형의 의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고찰했다.「한계성/비한계성」이란 동작·행위의 성립이 내적으로 시간적인 한계를 갖는가 갖지않는가라는 관점에서 본 어휘적성질이다.「계속성/순간성」은 「지금∼고·어 있다(今∼てぃる)」형과 공기하고, 의미적으로 계속적인 성질을 가진 동사와 함께 사용될 때는 「진행상태」, 순간적인 성질을 가진 동사와 함께 사용될 때는 「결과상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한계성/비한계성」중에서도 특히 한계성을 갖는 동사·행위의 종결점을 중요시하고 있으므로, 「이미∼고·어 있다(もぅ∼ている)」형과 공기하여 「완료」의 의미를 나타내었다. 순간적인 성질을 갖은 동사는 언제나 종결절(완성점)을 시야에 넣고 있으므로, 한계적인 성질을 갖는다. 계속적인 성질을 갖는 동사는 내적으로 종결점을 갖는 한계적인 계속동사와 내적으로 종결점을 갖지않은 비한계적인 계속동사로 나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어 있다(∼てぃる)」형의 의미는 「∼」부분에 오는 동사의 의 어휘적 성질과 크게 관련하고 있으므로, 「∼고·어 있다(∼てぃる)」형의 의미를 파악 할 때는 「계속성/순간성」뿐만아니라, 「한계성/비한계성」의 어휘적 성질도 시야에 넣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 KCI등재

        합성동사 구성의 한계성 실현 양상

        홍윤기 형태론 2006 형태론 Vol.8 No.1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aspectual meaning suggested by a complex verb construction can differ from the meanings of its individual constituent verb constructions, this study compared the situation types of complex verb constructions and singular verb constructions. In addition, it tried to examine the boundedness of the construction situations profiled. Through this examination, we found that when the preceding verb and following verb take the same theme argument as object, the theme argument obtains the boundedness of theme by matching with an aspectual role and the boundedness decides the boundedness of the complex verb construction. But when each preceding verb and following verb takes its theme argument as an object and takes its goal argument as an obligatory adverb phrase, the theme argument cannot match with a particular aspect role and the boundedness disappears. The goal argument matches with terminus and obtains boundedness along with an undetermined path. The boundedness of space decides the boundedness of the complex verb construction. We need to inspect closely the meaningful characteristics ka- “go” used as a following and preceding verb in complex verbs.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a preceding and a following ka- “go” in meaning, we can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the aspectual meaning of complex verb constructions including ka- “go”. By examining which aspectual roles match with the arguments in complex verb constructions, we can understand not only the ways in which boundedness is realized, but also the differences in realization of boundedness between individual verbs and complex verb constructions. 합성동사 구성의 상황이 드러내는 상적 의미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각 구성의 상황유형과 그 구성에 실현된 논항들의 상 역할 등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각 구성의 상황이 드러내는 한계성이 활성화되는 양상을 논의할 수 있다. 선․후행동사가 동일한 대상 논항을 목적어로 취하는 경우 그 대상 논항은 상 역할 [잣대]에 대응함으로써 대상의 한계성을 얻게 되고 그 한계성이 합성동사 구성의 한계성을 결정한다. 한편, 선․후행동사가 각각 대상 논항을 목적어로, 도달점 논항을 필수적 부사어로 취할 경우, 대상 논항은 특정한 상 역할에 대응하지 못하고 그 한계성이 소멸되는 반면에 도달점 논항은 [완결점]에 대응하고 암시적 경로와 더불어 한계성을 가진다. 공간의 한계성은 합성동사의 한계성을 결정한다. 합성동사 구성의 논항들이 어떤 상 역할에 대응하는지를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한계성 실현의 방식을 파악할 수 있고 개별동사 구성과 합성동사 구성간의 한계성 실현의 차이를 알 수 있다.

      • KCI등재

        점진성 동사의 한계성

        목종균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0 No.-

        이 글의 목적은 ‘점진성 동사(동사 예: 温まる(따뜻해지다), 増やす(늘리다))’의 한계성에 대한 고찰에 있다. 지금까지 점진성 동사는 변화동사이면서 한계동사로서 다루어져 왔다(工藤 (1995)). 그러나 본고 검토 결과, 점진성 동사는 비한계동사와 동일하게 비한계적인 사건을 표상할 수 있는 어휘적 의미를 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In this paper, we aim to clarify the telicity of ‘gradual verbs’ in Japanese. (An instance of a gradual verb is atatamaru“warm”or huyasu“increase”.) Until now ‘gradual verbs’ have been considered as change verbs and telic verbs (Kudo 1995). However,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t became clear that the ‘gradual verbs’ have a lexical meaning evident of a single gradual changing event such as atelic verbs.

      • 흥선대원군의 개혁정치와 그 한계성

        李玟洙 한국동학학회 2002 동학연구 Vol.11 No.-

        본 논문은 한말 개혁정치가인 홍선대원군의 개혁정치가 가지는 한계성에 대하여 論究하였다. 홍선대원군은 외척 세도가들에 의해 억눌려있던 왕권을 회복하기 위하여 과감한 개혁정치를 단행하였다. 그 예가 경복궁의 중건, 법전 정리, 각종 세금의 감면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그의 개혁정치는 다음과 같은 한계성 때문에 실패하였다. 첫째, 대원군이 집권하도록 도와준 세력들이 대원군의 개혁정치에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았다. 둘째, 고종과 여홍민씨 역시 대원군의 개혁정치와 의견을 달리하였다. 셋째, 개혁정치는 급진적이 아닌 온건적이며 과거회귀적인 성향을 보여주고 있었다. 넷째, 개혁정치가 당면한 국제정세에 부응하지 못하였다. 다섯째, 서원철폐 과정에서 지지기반이 이탈되었다. 이 같이 홍선대원군의 개혁정치는 뚜렷한 한계성을 지닌 것이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Heungesundaewongun's Political Reformation and its Limitation during the Late Chosen Dynasty. He bravely reformed, at that time,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Systems to Rebuild and Restore the King's Power. His Reform, however, could not succeed because he was too much Moderate, Radical as well as because he could not keep his Supporters and Understand International Situation.

      • KCI등재

        "다문화 담론"의 한계성과 유효성에 관한 고찰 -한국 다문화사회 수렴(收斂)과정을 중심으로-

        조현상 ( Hyeon Sang Joe ) 한국동서철학회 2012 동서철학연구 Vol.63 No.-

        최근 들어 한국사회는 다문화사회로의 변동을 마치 당연한 듯이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는 이상과 현실의 격차가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한국사회에서의 다문화 논의의 한계성과 그 유효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한계성으로는 첫째, 다문화사회로 규정할 수 있는 외국인 비중이 다문화사회라 불리는 서구 국가들과 비교해 볼 때 그렇게 많지 않다는 것이다. 둘째, 다문화에 대한 서구사회의 이론적 연구에 근거한 정책의 부재에 따라 다문화 논의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결혼이주여성 중심의 다문화 논의가 전체 외국인들의 실체를 반영하는 듯 하는 착시를 유도한다는 점이다. 유효성으로는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산업현장에서의 안정적인 노동력공급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외국인력의 유입이 이루어 질 것이라는 점이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증가에 따른 다인종적 공존, 이에 더해 연(年)평균 외국인 관광객 천만명 시대를 맞아 다문화적 가치와 정책의 논의는 불가피 하다는 점이다. 오히려 이러한 측면에서 다문화성에 관한 담론의 확장은 계속되어야 할 당위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limit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cultral discussion on the basis of the convergent process of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In recent years the Korean society has rapidly become so called Multicultural society to have as many as 1.4 million foreigners residing in the nation. among this mumber of foreigners migrant workers and internationally married immigrant women are the main figures. Needless to say the moods of majority korean society admitted that the multicultural society has come already but theoretically it is still argueable matter. and must be redefined through the new discoursive configuration. even though Korean government initiated few multiculture related policies this is not the sign of advent of multicultural societ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whole foreigners who are residing in Korea is far cry from the criteria of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the main topics of multicultural discussion is focusing mainly internationally married immigrant women third, due to the lack of theory of multiculturalism the policies for the foreigners are not justifiable as a multicultural policy. On the other hand The effectiveness of the discussion is that in order to maintain economic growth korea needs to continually inpour manpowers from oversea countries and the rate of international marriges will be higher than now thus whether want or not Korean society will have more foreigners to be associate with, this gives the good reason why the multicultural discussion will be continued.

      • KCI등재

        Presque의 극성, 근사치 및 추론

        최윤희(Yoonhee CHOI) 프랑스학회 2024 프랑스학연구 Vol.- No.104

        1. 들어가는 글 2. presque가 수식하는 구(syntagme)의 의미 특성 3. presque의 극성, 근사치 및 추론 4. 결론 참고문헌 이 연구는 프랑스어 부사 presque가 수식하는 구(syntagme) 의 의미 특성에 관해 동사구, 형용사구, 명사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presque가 표현하는 ‘극성’, ‘근사치’ 및 ‘추론’과 관련지어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esque가 수식하는 구는 의미적으로 ‘한계성(boundeness)’을 표현한다. 그러나 범주적 차이로 인해 동사구에서는 상(aspect), 형용사구와 명사구에서는 척도(échelle)로 나타나며 각각 ‘과정’과 ‘하위 척도’를 전제한다. 이와 관련하여 presque p의 ‘극성’인 non-p는 의미적으로 ‘p보다 크거나 작다’를 의미할 수 있지만, 한계점을 초과할 수 없으므로 p보다 작을 때에 만 참이 된다. 한편 presque의 ‘근사치’는 ‘과정이나 ‘척도’의 선상에서 ‘한계’에 근접한 지점이 존재한다는 점을 전제하나, 한계점을 초과할 수 없으므로 하위지점(seuil)인 경우에만 참이된다. 마지막으로 presque p의 ‘근사치’는 우등비교 의미를 가지며 ‘긍정 지향성’을 표현하므로 부정 요소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 담화 추론 상 어색함을 발생시킨다. 이 연구는 presque가 수삭하는 구의 의미 특성을 ‘한계성’이라는 개념으로 통합적으로 설명했을 뿐 아니라, presque의 극성, 근사치 및 추론과 관련된 기존 연구를 재고하고 한계성과 연결시켜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동영상 UCC의 교육적 유용성과 한계성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변화

        허영주 ( Young Ju Hur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교육문화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동영상 UCC의 제작 및 활용 경험이 예비교사들의 동영상 UCC의 유용성과 한계성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사교육에의 시사점을 추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동영상 UCC 활용의 순기능과 역기능을 분석하였으며, 사전과 사후 조사를 통해 동영상 UCC 제작 및 활용 경험 이전과 이후의 예비교사들의 동영상 UCC에 대한 인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동영상 UCC의 제작 및 활용 경험은 예비교사들의 동영상 UCC의 유용성과 한계성 인식에 부분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영상 UCC의 교육용 콘텐츠로서의 활용 가치에 대한 인식과 자신의 전공교과목에서의 동영상 UCC의 적합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초하여 교육용 동영상 UCC 제작 및 활용 교육이 교사교육에 도입되어야 할 필요성과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making and using experience of moving`s UCC(User Created Contents) changed pre-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usefulness and limitation of educational Moving Image`s UCC. For this purpose, first researcher explore the right and reverse function of moving image`s UCC. Second, pre-teachers were asked to create and use educational Moving Image`s UCC. And tested how changed pre-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usefulness and limitation of educational Moving Image`s UCC. Third, tested how changed pre-teachers` perception that educational Moving Image`s UCC fitness on one`s major and useful purpose of Moving Image`s UCC. Test practiced through pre test and post t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pre-teachers` perception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usefulness and limitation of Moving Image`s UCC after their experience of making and using educational Moving Image`s UCC. Also, it buildup that pre-teachers` perception that educational Moving Image`s UCC fitness on one`s major and useful purpose of Moving Image`s UCC. So, researcher suggested that include making and using educational Moving Image`s UCC into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한계성 탐구로서의 외상이론과 실재의 윤리

        황보경 ( Bo Kyeong Hwa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6

        본고는 기존 사회와 인식 패러다임의 한계성에 대한 탐구라는 관점에서 외상연구를 접근하여, 사회 역사적 실재에 대한 담론으로서 외상이론이 갖는 사회적 의미와 기능을 고찰함을 목표로 한다. 외상연구를 뒷받침하는 추진력이자 핵은 바로 우리의 삶 도처에 도사리고 있는 보이지 않는 억압과 언표될 수 없는 개인적, 사회적, 역사적 질곡을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 극복하려는 비판적 노력이다. 물신(fetish)의 형태로 고착된 상처가 회피와 부인을 통해 상징적 사회질서의 근본적인 구성적 결핍을 메우고 상처를 영속화시키는 작업을 하는 것에 반하여, 실천적 사회이론으로서의 외상연구와 비평은 그러한 상처의 탈물신화 작업을 수행한다. 인간 주체와 사회의 구성, 수립, 유지를 위해 강제되었던 보이지 않는 상흔의 역사와 서사를 외상적 실재로 전경화함으로써, 외상연구는 ``아버지의 법``으로 대표되는 상징질서의 도착성과 이데올로기 비판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기점을 제공해준다. 외상이론의 정치성과 윤리성의 기반은 억압과 배제라는 사회의 은폐된 구조적 모순과 원리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고 나아가 인간주체의 구성과 실존의 문제에 있어 깊이 관여하는 타자의 존재와 역할 그리고 그 타자에 대한 주체의 책임성을 일깨우는 데 있다. 기존 상징체계의 의미로 수렴될 수 없어 이해되지도 기억되지 못한 채 잊혀져간 존재들과 사건들을 끊임없이 상기시키며 이들에 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기에, 외상 문학과 외상연구는 상상력을 매개로 진정한 타자와의 공감적 연대를 모색하는 문학 및 문화 담론으로 기능한다는 의의를 갖는다. Focusing on trauma as a liminal experience that challenges and questions the existing socio-cultural paradigm,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cial meanings and functions of trauma studies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apping into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e traumatic real. The traumatic real as a symptom revealing the fractured nature of social symbolic shows that the repudiated, silenced remainders or residues from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subject, history, and ideological vision are bound to return to haunt and disturb the seemingly harmonious, hegemonic signifying system. Thus, rather than treating trauma as an individual psychological incident of upheaval and ordeal on a personal level, trauma theory as a critical discourse contextualizes isolated episodes of trauma and examines them in connection with the numbing forces surrounding the symbolic fixation of those suffering from trauma. The ethical dimension of trauma studies stems from its tasks of "defetishizing" of wound and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by empathically imagining their lives ridden with socially imposed silence and suffering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예이츠의 후기시에 나타난 언어의 외연적 한계성과 내포적 무한성

        박수정 한국예이츠학회 2009 한국예이츠 저널 Vol.31 No.-

        Symbolism is central in Yeats’s work. His symbols can be thought of as many sided crystals, which “grow from solutions of traditions, from the dissolved thoughts of many minds”(Henn 146). They are the context of meaning, allowing for multiple interpret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mselves. Yeats believes the perceived difference between the language of poetry and that of ordinary speech to be arbitrary, arguing, “we should write out our thoughts in as nearly as possible the language we thought them in.” After 1900 Yeats’s style changed radically as he worked toward simplicity, reducing the use of adjectives, and aiming for a harmony of metaphor, symbol, and diction more natural, vigorous, and sincere. The most complex facet of Yeats’s poetry is perhaps its linguistic subtlety and nondiscursiveness. He does not tell the reader what to think, but aims to evoke emotion or feelings through particularly resonant imagery. This article aims to argue that symbols in Yeats are not fixed at an unique point, but ubiquitous at any point, and therefore are infinite. The first part of the article examines, in the process of proving infinity in symbol, picturesque images in later poems, which are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Benjamin’s language theory. The second part addresses the argument that Yeats intends to reveal, through picturesque images, not material objects but emotion and feelings, or the mental life via images. The last part argues that symbols in Yeats’s poetry are infinite, as reflects the infinitude of language as his medi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