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영ㆍ호남 유학의 학맥과 학풍

        조성산(Cho Sung-San) 한국국학진흥원 2006 국학연구 Vol.9 No.-

        18세기 영남과 호남은 학술문화가 발전하기에 결코 좋은 환경이 아니었다. 기축옥사ㆍ무신란, 그리고 18세기 이후 심화되는 경향분기 과정으로 인해 두 지역은 여러모로 불리한 입장에 놓일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정치ㆍ경제ㆍ사회의 제환경은 이 두 지역 학풍의 전개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18세기 영남은 학봉-갈암-대산 학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이 외에 이들 학맥과 직ㆍ간접적인 관계를 가졌던 서애학맥, 최흥원, 남용만, 박손경 등이 각각 개성 있는 학풍을 전개시켜 가고 있었다. 18세기 영남 학풍을 정리하면 첫째로 이기심성론 연구를 들 수 있다. 이는 주로 이황의 ‘이기불상잡’을 강조하면서 율곡학파 성리설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둘째는 서애학맥 일부에서 진행된 상수학과 천문학 연구였다. 이 연구는 유성룡-유원지의 영향 속에서 진행되었으며 비록 전통적인 주자학의 한계를 벗어나지는 못했으나, 영남학풍의 다양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18세기 호남에 사상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끼쳤던 학풍은 서경덕 계열의 학문경향이었다. 당색을 떠나 이 시기 호남의 지식인들은 대부분 상수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표적인 이들은 신경준ㆍ황윤석ㆍ위백규 등이었고, 그 밖에도 많은 인물들이 영향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명물도수지학과 경세학, 실용학에 대한 다양한 저작들이 나올 수 있었고, 이는 훗날 호남의 실학으로 명명되기도 하였다. 서경덕 학풍의 영향이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것이라면 18세기 당대의 것으로는 호락논쟁의 영향을 지적할 수 있다. 황윤석, 이기경, 양응수는 낙론에, 위백규는 호론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18세기 영남지역이 자체의 지역적 전통 속에서 학풍을 전개시켜 가고자 하는 경향이 강했다면 호남지역은 서경덕 학풍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호락논쟁과 같은 중앙학계의 동향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두 지역이 처한 정치ㆍ사회적 환경의 차이에서 찾을 수 있다. 영남지역이 노론의 정치 공세를 막아내고 남인으로서의 사상적ㆍ정치적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나름의 지역적 학술전통을 지켜야 했지만, 호남지역은 상대적으로 그러한 점에서 자유로웠기에 중앙학계와의 연결도 자연스러울 수 있었다. No such favorable atmosphere was made in order to develop acad emic culture in Yeungnam and Honam in the 18th century. As a result of Gi-chook-ok-saha(己丑獄事), coup d'Etat in 1728(戊申亂), and the following process of division between Seoul and the country in the 18th century, those two regions were placed on disadvantageous positions in developing Neo-Confucianism. These general surrounding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at that time couldn't help bu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Nee-Confucianism of both regions. In the 18th century, Yeungnam region put more importance on development of academic tradition within its own unique tradition of the region, while Honam region had inherited academic tradition of Suh Gyeong-deok(徐敬德) at the same time reacting to the tendency of central academic world including Horak Debate. These differences can be resulted from various gaps in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 in those two regions. Yeungnam region had to keep up with local academic tradition of its own to prevent its region from the Old Doctrine faction(老論)'s political aggression and maintain ideological political identity of the South erners(南人). On the other hand, Honam region was relatively free from such a thing so that it could easily share academic achievements, accordingly, naturally connect its academic tradition to central academic tradition. Taking these differences into consideration, the differences of academic tradition between Yeungnam and Honam Confucianism in the 18th century can be revealed.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진주(晉州) 강문(姜門) 유학자들의 학문과 사상

        황의동 ( Eui Dong Hw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조선조 유학은 당파, 학파, 가학이 복잡하게 얽혀 발전해 왔다. 이런 점에서 가학 내지 문중학문의 연구도 그 의미가 크다. 진주강씨는 姜以式, 姜民瞻, 姜邯贊 장군을 시조로 삼는데, 그 이후 역사상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본 연구는 진주강문 유학자들의 학문과 사상경향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진주강문 유학자들의 학풍은 다음과 요약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의리적 학풍이다. 姜渾, 姜형, 姜諶, 姜집, 姜欣은 김종직의 문인으로 사화시대에 의리를 지키다 희생을 당한 도학자들이다. 姜沆은 정유재란 때 영광에서 의병을 일으켜 적과 싸우다 포로가 되어 일본에 잡혀갔는데, 그 곳에서 조선성리학을 가르쳐 일본 성리학의 원조가 되었다. 姜鶴年은 병자호란 때 斥和義理의 상소를 올렸고, 인조반정 초기에는 `以暴易暴`의 고사를 인용해 집권층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밖에도 姜德龍, 姜士龍, 姜紀龍, 姜克孝, 姜燦 등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싸웠고, 姜樂遠, 姜蘭秀, 姜士文 등은 한말에 의병을 일으켜 싸웠다. 둘째, 개방적인 학풍이다. 姜주는 문학에 능했는데 제자백가에 능통하였고, 『莊子』를 매우 좋아하였다. 姜鶴年은 『老子』를 인용해 `太極`을 설명하였고, 姜栢年은 『閑溪漫錄』에서 유학은 물론 도가, 불가, 제자백가를 두로 섭렵해 저술을 하여 그의 개방적 학풍을 잘 보여주고 있다. 셋째, 西學에 대한 관심이다. 姜履元, 姜履中, 姜履寅 종형제들은 茶山 丁若鏞과 매우 절친해 서학에 관여한 바 있고, 姜彛天, 姜彛文 형제는 서학에 앞장서다 희생을 당하기도 하였다. 특히 姜完淑은 여성으로서 천주교 신앙운동에 앞장선 선구자였다. 이러한 진주강문 유학자들의 의리적 학풍, 개방적 학픙, 서학에 대한 관심은 당시 집권세력이었던 노론계의 학풍과는 구별되는 것이며, 이는 소론이나 남인이 그랬던 것처럼 정통성리학의 사변적 탐구에서 벗어나 일면 내면적인 자기수양과 의리적 실천에 전념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개방적 학풍을 견지했던 것과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Chosun Dynasty`s Confucianism has a complex development with the intricate mixture of factions, schools, and familial learning. In this regar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d by a single family is meaningful. The Jinjoo Kang family was headed by Kang Lee-Shik, Kang Min-Chum, and general Kang Kam-Chan. It was a family that produced numerous historical figures. The academic schools and philosophy of this famil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is the school of righteousness. Kang Hon, Kang Hyung, Kang Shim, Kang Jeup, and Kang Heun were disciples of Kim Jong-jik and were all martyred during the massacre of scholars for their righteousness. Kang Hang led an army to stand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during Jung Yu We Ran before eventually being captured by the Japanese forces. He continued resisting by teaching Chosun Sung Confucianism in Japan. Kang Hak-Nyun appealed to the King during Byun Ja Ho Ran and strongly opposed the political powers during In Jo Ban Jung. There were also Kang Duk-Ryong, Kang Sa-Ryong, Kang Ki-Ryong, Kang Keuk-Hyo, Kang Chan and many others from this family that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during Lim Jin We Ran. There was also Kang Rak-Won, Kang Nan-Soo, and Kang Sa-Mun who als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Second is the school of openness. Kang Joo had fluent knowledge of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He especially recognized Chaung-tzu. Kang Hak-Nyun quoted Lao-tzu in describing yin and yang. Finally, Kang Baek-Nyun wrote his Han Kye Man Rok by applying not only Confucianism but also his fluent knowledge of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Third is the deep interest in western learning. Kang Lee Won, Kang Lee Oh, Kang Lee Jung, and Kang Lee In were brothers that were all very close to Chung Yak-Yong and deeply involved in western learning. Also, Kang Lee Chun and Kan Lee Mun even sacrificed themselves to promote western learning. The righteous, open school of thought as well as the interest for western learning that the Jinjoo Kang family sought was distinguished from the No-Ron clan that possessed the most political power during the time.

      • KCI등재

        晉州 姜門 유학자들의 학문과 사상

        황의동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50 No.-

        Chosun Dynasty’s Confucianism has a complex development with the intricate mixture of factions, schools, and familial learning. In this regar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d by a single family is meaningful. The Jinjoo Kang family was headed by Kang Lee-Shik, Kang Min-Chum, and general Kang Kam-Chan. It was a family that produced numerous historical figures. The academic schools and philosophy of this famil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is the school of righteousness. Kang Hon, Kang Hyung, Kang Shim, Kang Jeup, and Kang Heun were disciples of Kim Jong-jik and were all martyred during the massacre of scholars for their righteousness. Kang Hang led an army to stand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during Jung Yu We Ran before eventually being captured by the Japanese forces. He continued resisting by teaching Chosun Sung Confucianism in Japan. Kang Hak-Nyun appealed to the King during Byun Ja Ho Ran and strongly opposed the political powers during In Jo Ban Jung. There were also Kang Duk-Ryong, Kang Sa-Ryong, Kang Ki-Ryong, Kang Keuk-Hyo, Kang Chan and many others from this family that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during Lim Jin We Ran. There was also Kang Rak-Won, Kang Nan-Soo, and Kang Sa-Mun who als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nvasion. Second is the school of openness. Kang Joo had fluent knowledge of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He especially recognized Chaung-tzu. Kang Hak-Nyun quoted Lao-tzu in describing yin and yang. Finally, Kang Baek-Nyun wrote his Han Kye Man Rok by applying not only Confucianism but also his fluent knowledge of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Third is the deep interest in western learning. Kang Lee Won, Kang Lee Oh, Kang Lee Jung, and Kang Lee In were brothers that were all very close to Chung Yak-Yong and deeply involved in western learning. Also, Kang Lee Chun and Kan Lee Mun even sacrificed themselves to promote western learning. The righteous, open school of thought as well as the interest for western learning that the Jinjoo Kang family sought was distinguished from the No-Ron clan that possessed the most political power during the time. 조선조 유학은 당파, 학파, 가학이 복잡하게 얽혀 발전해 왔다. 이런 점에서 가학 내지 문중학문의 연구도 그 의미가 크다. 진주강씨는 姜以式, 姜民瞻, 姜邯贊 장군을 시조로 삼는데, 그 이후 역사상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본 연구는 진주강문 유학자들의 학문과 사상경향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진주강문 유학자들의 학풍은 다음과 요약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의리적 학풍이다. 姜渾, 姜詗, 姜諶, 姜諿, 姜訢은 김종직의 문인으로 사화시대에 의리를 지키다 희생을 당한 도학자들이다. 姜沆은 정유재란 때 영광에서 의병을 일으켜 적과 싸우다 포로가 되어 일본에 잡혀갔는데, 그 곳에서 조선성리학을 가르쳐 일본 성리학의 원조가 되었다. 姜鶴年은 병자호란 때 斥和義理의 상소를 올렸고, 인조반정 초기에는 ‘以暴易暴’의 고사를 인용해 집권층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밖에도 姜德龍, 姜士龍, 姜紀龍, 姜克孝, 姜燦 등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싸웠고, 姜樂遠, 姜蘭秀, 姜士文 등은 한말에 의병을 일으켜 싸웠다. 둘째, 개방적인 학풍이다. 姜籒는 문학에 능했는데 제자백가에 능통하였고, 『莊子』를 매우 좋아하였다. 姜鶴年은 『老子』를 인용해 ‘太極’을 설명하였고, 姜栢年은 『閑溪漫錄』에서 유학은 물론 도가, 불가, 제자백가를 두로 섭렵해 저술을 하여 그의 개방적 학풍을 잘 보여주고 있다. 셋째, 西學에 대한 관심이다. 姜履元, 姜履中, 姜履寅 종형제들은 茶山 丁若鏞과 매우 절친해 서학에 관여한 바 있고, 姜彛天, 姜彛文 형제는 서학에 앞장서다 희생을 당하기도 하였다. 특히 姜完淑은 여성으로서 천주교 신앙운동에 앞장선 선구자였다. 이러한 진주강문 유학자들의 의리적 학풍, 개방적 학픙, 서학에 대한 관심은 당시 집권세력이었던 노론계의 학풍과는 구별되는 것이며, 이는 소론이나 남인이 그랬던 것처럼 정통성리학의 사변적 탐구에서 벗어나 일면 내면적인 자기수양과 의리적 실천에 전념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개방적 학풍을 견지했던 것과 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청송(聽松) 성수침(成守琛)의 도학정신(道學精神)과 무실학풍(務實學風)

        황의동 ( Eui Dong Hw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聽松 成守琛(1493~1564)은 16세기의 대표적인 유학자의 한 사람이다. 그는 ‘東國 18賢’의 하나인 牛溪 成渾의 부친이며 靜庵 趙光祖의 문인이다. 기묘사화로 조광조를 비롯한 己卯名賢이 희생되자, 그는 出仕를 포기하고 재야에서 山林處士로 생애를 보냈다. 퇴계, 율곡이 성리의 이론에 밝고 경세에 적극적이었다면, 聽松과 南冥 曹植은 실천을 중시하고 은둔하여 처사로서 살았다. 이처럼 16세기 초엽 조선 성리학의 방향을 ‘隱居自守 聖賢自期’의 道學 君子風으로 전환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한 이가 바로 성수침이다. 그가 이렇게 隱遯과 自守의 길을 선택한 것은 한편 昌寧 成氏 家學의 영향이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靜庵 道學의 爲己之學과 실천유학을 계승한 측면도 있다. 성수침은 이론보다 실천, 경세보다 내면적 자기 수양을 중시한 까닭에 그의 문집에 학술적인 자료가 거의 없다. 몇 편의 시를 제외하면 그의 사상을 알 수 있는 자료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연유로 인해 그에 관한 연구도 문학적인 연구가 약간 있을 뿐이고 철학적인 연구는 거의 없다. 본고는 이러한 배경에서 성수침의 내면세계를 중심으로 그의 도학정신과 務實학풍을 조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성수침이 비록 은둔의 처세를 선택해 산림처사로 일생을 살았지만, 나라와 백성에 대한 憂患의식은 변함없었다. 성리학의 탐구에 沈潛하였고, 利欲에 초연한 선비의 길을 걸었다. 이는 그가 죽었을 때 ‘山林이 텅 비었구나’라고 했다든가, 그를 가리켜 ‘一國의 善士요 當代의 逸民’이라고 평한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그의 학풍은 靜庵을 계승하여 小學風과 爲己之學을 견지하였고, 특히 言語之學을 지양하고 務實學을 추구하였다. 誠을 근본으로 한 그의 務實학풍은 이후 아들인 牛溪 成渾을 통해 전수되었고, 牛溪學派를 통해 면면히 계승되었다. 비록 성수침 자신은 아들인 우계나 율곡에 비해 유학사적인 위상이 낮다 하더라도 成渾에게 미친 영향은 甚大하였다. 또 위로는 鄭夢周-吉再-金叔滋-金宗直-金宏弼. 鄭汝昌-趙光祖로 이어지는 여말 의리학파 내지 도학의 道統에 닿아있고, 아래로는 아들인 成渾을 중심으로-尹煌-尹宣擧-尹拯으로 이어진 牛溪學派를 낳았다는 점에서 그의 위상을 가볍게 볼 수는 없을 것이다. Seong, Soo-chim (1493~1564, pen name: Cheongsong) is one of the most popular Confucian scholars from the 16th century. He is the father of Seong, Hon (pen name: Ugye) and a student of Cho, Gwang-jo (pen name: Jeong-am). Never taking up a government post, he spent his entire life away from the political circle. He played a pivotal role in re-orienting the practice of Neo-Confucianism in the early-16th-century Joseon Dynasty towards the state of reclusiveness. It was the influence of his family``s scholarly tradition and at the same time of his teacher, Cho, Gwang-jo that led Seong to choose a solitary life and self-discipline. Since he prioritized action over theory, and introspection over politics, his works are far from academic. For this reason,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his works are in the literary context, with few studies done from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Confucian scholar``s DoHak (道學) spirit and the academic tradition of Musil (務實), focusing on his inner world. Following his teacher, Seong``s works exhibit the features of Sohak (小學), and put particular emphasis on action as opposed to theory. This Musil kind of academic tradition was succeeded to his son Ugye and the Ugye School.

      • KCI등재
      • KCI등재

        연희전문의 역사와 학풍을 통해 본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정승우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과 학문 Vol.38 No.-

        이 글의 목적은 한국의 근현대사 속에서 기독교 대학들의 시대적 사명을 연세대 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의 역사와 학풍을 중심으로 살펴 보는데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다양한 위기에 봉착한 한국의 기독교 대학들이 지녀야 할 기독교 교육의 의미와 내용을 거시적으로 성찰한다.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 1859-1916)와 에비슨(Oliver R. Avison, 1860-1956)은 구한말 애국계몽기에 대학교육을 통해 무너져가는 봉건적 질서를 대체할 수 있는 근대적인 고등교육을 기독교적 정신에 입각해 실현하고자 했다. 이들은 에큐메니칼 정신에 기초하여 초교파적 기독교 대학을 설립했고, 봉건적 신분질서에 사로잡혀있던 조선 땅에 평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했고자 했다. 한편 일제강점기에는 연희전문은 기독교 적 학풍을 민족주의와 연결시킬 수 있었다. 이 시기 연희전문에 기독교 교양수업과 채플을 정착시킨 인물은 미국 프린스톤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한 로즈(Harry A. Rhodes, 1875-1933) 선교사였다. 그는 당시 총독부의 사학법 하에서 정규교과로 서의 운영이 불가능한 성경교육과 채플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후 기독교 정신을 토대로 한 연전의 민족주의적 학풍은 정인보, 최현배, 백낙준, 백남운 등을 중심으 로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이러한 항일 민족주의적 학풍은 1938년에 연전에 입 학한 윤동주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윤동주는 연희전문의 기독교 정신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조선 크리스천 대학으로 시작된 연희전문 의 역사와 학풍은 기독교적 정체성을 고민하는 이 땅의 기독교 대학들에게 기독교 고등교육이 민족의 역사와 어떻게 합류할 수 있는지에 관한 소중한 선례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mission of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focusing on the history and academic traditions of Yeonhee College, the predecessor of Yonsei University. In addition,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macroscopically reflect on the meaning and content of Christian education that Korean Christian universities facing various crises should have. Horace Grant Underwood (1859-1916) and Oliver R. Avison (1860-1956), during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established modern higher education that could replace the crumbling feudal order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spirit. They established an interdenominational Christian university based on the ecumenical spirit, and wanted to provid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Chosun, which was captivated by the feudal status order. During this period, the person who established Christian liberal arts classes and chapels in Yeonhee College was missionary Har ry A. Rhodes (1875-1933), who studied theol ogy at Princeton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He made Bible education and chapels possible, which were impossible to operate as regular subjects under the Private School Law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ince then, Yeonhee's nationalistic academic style based on the Christian spirit was naturally formed around Jeong In-bo, Choi Hyeon-bae, Baek Nak-jun, and Baek Nam-un. This anti-Japanese nationalistic academic tradition had a profound influence on Yoon Dong-ju, who entered Yeonhee college in 1938. Yoon Dong-ju can be said to be a representative figure that symbolizes the Christian spirit of Yeonhee College. The history and academic tradition of Yeonhee College, which began as a Chosun Christian University, can provide a valuable precedent for how Christian higher education can merge with the history of the nation to Christian universities in Korea.

      • KCI등재

        江岸學의 학문 정체성과 몇 가지 문제점 검토

        장윤수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3

        이 글은 가칭 ‘강안학’의 학문 정체성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몇 가지 문제점을 검토한 것이다. 필자는 강안학의 학문 정체성으로 네 가지 점을 주목하였는데, 첫째, 융합과 개방성 경향, 둘째, 우주론적 사유 경향, 셋째, 明體適用의 학문 경향, 넷째, 自得的 학풍 경향이다. 우선 강안학의 학문 정체성으로서 크게 무리 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개념은 ‘회통성’보다는 ‘개방성’이라는 점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 우주론적 학풍이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현상은 곧 우주의 일관된 원리를 찾고 이를 통해 세계 존재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려 했던 의도에서 기인한 것임을 해명하였다. ‘明體適用의 학문 경향’에 대해서는 맥락상 ‘명체’보다는 ‘적용’에 강조점을 두어 실천 지향의 의미와 실용적 博學風의 학문 경향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自得’의 공부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학풍은 제3지대 영남학파의 비주류적 특징이라기보다는 성리학 본래의 이념에 충실하고자 했던 선산지역 초기 사림파의 학문 분위기와 남명 조식의 학문 경향이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강안학의 이러한 학풍이 朱熹의 理學보다는 張載의 氣學의 학풍에 가깝고, 퇴계학보다는 남명학의 학풍에 가깝다는 점을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 KCI등재

        근대 선암사와 그 학풍

        차차석(Cha, Chaseok) 보조사상연구원 2013 보조사상 Vol.40 No.-

        선암사는 전라남도 승주군에 있는 명찰이다. 일천여년의 역사 속에서 다양한 문화와 사상의 산실이 되었으며, 한국 정신문화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선암사의 학풍과 그 전개과정은 태고보우를 시발점으로 삼아 전개되는 법맥 중에서 부용영관에 와서 부휴와 청허의 양대계열로 분파되며, 청허계열은 다시 편양언기와 소요태능의 두 계열을 중심으로 선암사의 법맥과 강맥이 이어진다. 이들 가운데 청허파가 선암사를 주도했다. 특히 18세기 이후 수선사 계열인 침명한성의 제자인 함명태선을 시발점으로 경붕익운, 경운원기와 금봉기림의 4대강맥을 확립한다. 선암사의 학풍은 화엄과 선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이조불교의 전통을 온전하게 지니고 있으며, 이교회통론을 당연시하는 고승들의 학통을 계승하고 있었다. 한편으로는 불교라는 종교가 지향해야할 대중화라는 명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것은 화엄과 선, 염불의 융합이며, 진여심과 중생심의 이해를 둘러싼 심성론에 관한 논쟁이기도 했다. 20세기에 접어들면 선암사의 학풍은 전통과 근대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게 된다. 천주교의 전래, 근대문명의 유입 등은 기존의 불교계에 던져진 문화적 충격이었지만 동시에 적응하지 않으면 안되는 현실적인 문제였다. 따라서 조선불교 전체의 교단조직의 정비, 외세의 침략에 따른 전통의 보호와 적응, 유교적 가치의 퇴조와 그에 따른 포교방법의 변화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 따라서 선암사를 고집하지 않고 송광사와 손잡고 새로운 교육시설이나 포교소, 포교사 양성 등에 나서게 된다. 무집착의 가풍 속에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The Seonamsa is the famous temple at Seung ju kun in Jeonlanamdo. It was that providing the various culture and thought in the history of the being few days old year which are charging the one axis of Korea spirit culture. The academic tradition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eonamsa evolved from the initial setting the Taego-Bou. The lineage of dharma branched in the two systems which are Bu-hyu and Cheong-heo in the Bu-yong-yeong-kwan. The Cheong-heo system has again Pyeo-yang-eon-gi and So-yo-tae-neung which the two systems were connected the lineage of dharma and lecture of the Seonamsa in the central. It led the Cheong-heo sect among the Seonamsa. In specialty 18th century after that Su-seon-sa system established the lineage of recitation of the fourth generation which are the initial setting the Ham-myeong-tae-seon with Gyeong-bung-ik-un, Gyeongun- won-gi and Geum-bong-gi-rim. The academic traditions of the Seonamsa have the tradition of the Joseon dynasty Buddhism perfectly to develop in centering the Avatamska and Zen. The preaching outline have been to succeed the scholastic mantle of high priests built on the fus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On the other hand, the religion of Buddhism was striving to solve the proposition which was popularization with intention. it is fusion of Zen, Buddhist invocation and the Avatamska. The mentality theory to understand around Jin-yeo-sim[眞如心] and Jung-saeg -sim[衆生心] were about dispute. To begin in the 20th century, the academic traditions of the Seonamsa is faced with tradition and the fusion of the modern times. Transmission of Catholicism, such as the influx of modern civilization thrown into the traditional Buddhist culture shock, but at the same time was a real problem that must be adapted. Thu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protection of foreign invasion and adaptation, the joseon Buddhism was full maintenance of the religious order organization, The change of the propagation method with the subsequent decline of Confucian values managed the activity. So, it came out the Seonamsa without being particular about Songgwangsa hand in hand with new training facilities, missionary workand missionary work training. It is showing the appearance to deal with the change to the activity in the family tradition of the nothing attachment.

      • KCI등재

        蛟山의 學風 考察

        양언석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89

        Hur Gun was the hub of ideology and learning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Through the social limitation and contradiction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he tried to spread new ideology based on social community and human-concerned thought. However, the language and behavior in the Confucian society laid him open to public censure and those were underestimated by many Scholars. It is difficult for us to understand the Gyo-San's ideology because his records in history and books were distorted during the Chosun dynasty. Hur Gun was of noble family and learned the Confucianism from the childhood. He had a good ability in writing. And, he was in the government service as a representative member in the Confucius community. Although Hur Gun tried to keep at his position with scrupulous honesty, he was executed by treasonable offence which was framed. Hur Gun, one of the most famous writers, was impressed with delicate words and implicit poem. His poem was also subjective and creative. He tried to have his own thought and feeling even he accepted the family tradition and teaching. He was influenced by his farther, brothers, and Lee Dal. He had a good background. However, he was executed because he was not involved in any faction. He had very stimulating reading habit. He collected many books and lived with them, which was the important part and core of his life. He really hoped to live in his hometown, Gangneung. But, unfortunately he was executed during the chaos period. 교산(1569-1618)은 조선조 후기 사상의 흐름과 學風의 중심에서 새로운 사상을 탐색하였다. 이단시 하던 양명학과 佛家, 그리고 노장사상을 수용하면서 儒家들의 비난을 받았다. 부친 허엽은 서경덕의 문인으로, 화담사상은 북송시대 장재의 기철학과 노장사상을 기반으로 하여 형성되었다. 花潭學風은 象數學이나 도가사상 등을 수용하였고, 이러한 학풍을 계승하여 학문적 전통을 확립하였다. 교산은 서경덕에게 직접 배우지는 않았지만 家風과 다양한 사상을 수용하여 자신의 문장과 세계를 넓혀왔다. 이러한 家風과 스승의 학맥을 이으면서도 자신만의 시세계를 가지려고 노력하였고, 정제된 시어로 독자에게 감동을 주고 있다. 뛰어난 문장력과 사상은 방대한 독서에서 기인하였다. 經史子集은 물론 다양한 서적을 통해 세계관을 확대하였다. 문집에 의하면 仲兄(허봉)이 유배지로부터 돌아온 뒤에야 비로소 古文을 가르쳐 주었다. 그 뒤에 문장은 西厓 정승에게 배웠고, 시는 李達에게서 배웠다. 그 이후 문장의 길이 여기에 있고 저기에 있지 않음을 알게 되었고, 진정한 문장의 도를 알게 되었다. 스승 李達은 조선조 삼당시인의 한사람으로 불우한 삶을 살았다. 이러한 스승의 절대적인 영향을 받았다. 學風의 영향으로 교산은 유가의 도덕사상보다는 인간중심적인 사상을 탐색하며 실천하려고 부단히 노력하였던 조선조 최고의 文人이었다.

      • 花潭과 南冥의 學風 및 문학적 특성

        윤인현 시학과언어학회 2014 시학과 언어학 Vol.0 No.26

        본고는, 花潭 徐敬德(1489~1546)과 南冥 曺植(1501~1572)의 처사적 삶에 나타난 학풍과 처세의 자세를 살핀 후, 그의 한시 작품에 나타난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필자는, 먼저 화담과 남명의 학풍과 처세를 유가의 보편적인 문학관인 ‘玩物喪志’와 ‘末技’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화담과 남명은 일부 연구자에 의해 노장적 학풍이 있다는 평가를 받기 때문이다. 학풍은 유자들의 보편적인 문학관을 두 유자도 지니고 있었으며, 주변인들에 대한 처세에서는 차이점이 드러나기도 하였다. 화담은 혼란한 시대를 밝히기 위해 재능 있는 사람은 출사하여 세상을 바로잡기를 바랐고, 남명은 유자의 지절에 따라 나라에 헌신할 생각 없이 개인적인 욕심으로 출사를 원했다면 은거하는 편이 더 났다고 하였다. 시문학에 나타난 화담과 남명의 특성은 다소 차이점이 있었다. 화담은 소재가 지닌 사물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면서 자기 수양과 성찰을 강조했다면, 남명은 그 소재가 지닌 사물의 특성에 자신의 모습을 투영하여 선비가 지녀야 할 지조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화담과 남명의 이 같은 문학적 차이는 북송 때 소옹과 장재의 영향을 많이 받은 화담과 공자의 출처관과 주자의 영향을 받은 남명의 차이일 것이다. 그러나 두 유자 모두 자연에 은거하면서도 賞自然에만 머물지 않고 성정에 근본을 둔 문학을 하면서도 현실을 잊지 않는 선비정신에서는 동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