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와의 관계에 있어서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조한익,이현아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achievement goal,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in high school students. Al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verify whether achievement goal mediated the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92 high school students(Male:257, Female:135).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hievement goal,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Second, when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 were simultaneously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predict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both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burnout but only achievement goal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academic engagement. Third, it was found that performance-avoidance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On the other hand, master and performance-approach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academic eng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완벽주의, 성취목표,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와의 관계에서 성취목표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392명(남:257, 여:135)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는 성취목표,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와 모두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완벽주의일수록 성취목표 지향을 많이 하며, 완벽주의일수록 학업소진과 학업열의가 많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완벽주의와 성취목표가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학업소진의 경우, 완벽주의와 각각의 성취목표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반면, 학업열의의 경우는 성취목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학업소진에 대해서는 완벽주의와 성취목표 모두가 잘 설명하고 있지만 학업열의에 대해서는 완벽주의보다 성취목표가 더 잘 설명하였다. 셋째, 완벽주의와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서는 수행회피목표가 완전 매개한 반면, 완벽주의와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는 숙달목표와 수행접근목표가 완전 매개하였다. 이것은 완벽주의 성향이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와 관련성이 있지만, 완벽주의 성향 그 자체로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이르기보다는 어떠한 성취목표를 지향하느냐에 따라 학업소진에 이를 수도 있고 학업열의가 커질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 KCI등재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

        박진선,김정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19 청소년시설환경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autonomy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burnout, and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this students’ academic burn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burnou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arents' autonomy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has a moderating effe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Third, the achievement goal of performance-approach goal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Fourt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voidance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effect of parents' autonomy support on students’ academic burnout may vary depending on students'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this respect, the study has discussed limitations and the needs to find more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that can increase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performance-approach goal that can control the academic burnout of students. - 연구배경 및 목적많은 고등학생들에게 학업은 미래와 진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등학생들에게 학업은 주요 활동으로 심리적으로 하나의 업무로 규정된다(Schaufeli & Taris, 2005). 이로 인해, 고등학생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와 좌절감 회의감을 느낄 수 있으며 지속되면 소진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하였다(이영복, 2009; Gan, Shang & Zhang, 2007; McCarthy, Pretty & Catano, 1990; 문화진, 2017). 더욱이 우리나라는 소진을 경험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학업소진이 중요한 타인과 조성된 특정 환경에 의해 학생들로 하여금 학업소진을 더 느끼게 한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고(이은영, 2014; 백미숙, 2011; 윤희정, 2016; 차영남, 2006; 권예지, 2016), 부모가 자녀들의 자율성을 지지하면 자녀들의 다양한 학업동기변인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이상우, 2010; Soenens & Vansteenkiste, 2005; Grolnick & Ryan, 1989; 김아영, 2008).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자율성지지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가 갖는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확인을 통해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가 학업소진에 도움이 되는 학습 방안을 위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연구방법 및 범위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5개 고등학교 재학 중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총 487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84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484부의 질문 중 무작위 응답을 했거나 하나 이상의 척도에 응답하지 않은 47부를 제외한 총 437부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자료로 SPSS Win 21.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성별과 학업성적의 집단별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의 자율성지지, 학업소진, 자기조절학습동기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정으로 Schè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둘째,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의 자율성지지, 자기조절학습동기, 학업소진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단순회귀선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조절변인의 수준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단순회귀선의 기울기 검증(Aiken & West, 1991)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첫째, 각 변인들이 성별과 학업성적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살펴본 결과 학업소진은 남자보다 여자에게 좀 더 많이 느끼며 학업성적이 하위권이라 생각하는 학생들에게 많이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성취목표지향성도 마찬가지로 하위권이라고 보고한 학생들이 많이 느끼고 있었다. 반대로 자기조절학습동기는 학업성적이 상위권인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자기조절학습동기로 인해 상위권학생들이 학업소진이 다른 학업성적 집단에 비해 적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고등...

      • KCI등재

        학업성취 압력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남상필 ( Sang Pil Nam ),이지연 ( Jee Yon Lee ),장진이 ( Jin Yi J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3

        본 연구는 학업성취 압력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통제감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학교에 재학중인 총 362명의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분석결과, 학업성취 압력이 높을수록 학업소진 수준이 높았으며, 자기통제감이 높을수록 학업소진 수준이 낮아졌다. 특히 한국 학생의 학업소진 특성으로 간주되는 불안 요인과 학업성취 압력 간에 유의미한 관련성이 나타난 만큼 학업소진의 하위요인을 탐색하는 추후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학업성취 압력과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감의 상호작용 효과와 조절 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이는 학업성취 압력이 학생 개인의 자기통제감 수준에 따라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소진에 대한 예방과 상담적 개입을 위해서 자기통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자기통제감 외에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은 조절 및 매개 변인들을 탐색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eivement pressure and academic burnou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400 middle·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and data from 362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the significant relevance of low level between academic acheivement pressure and academic burnout and there`s the significant negative relevance between self-contol and academic burnout. In additon to that, finding in heirarche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elf·control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 academic acheivement pressure and academic burnout. The implication for future studies and practi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 KCI등재

        사회통합전형 과학고등학교 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가치 수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홍세정,김명섭,류지영 한국영재학회 2023 영재교육연구 Vol.33 No.4

        이 연구에서는 과학고등학교에 사회통합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비교경향성과 학업적 자기가치 수반성, 학업 소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학업적 자아개념을 통제했을 때, 사회비교 경향성이 높을수록 학업소진이 높아지는지와, 이 관계가 학업적 자기가치 수반성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사회통합전형으로 과학고등학교에 입학한 86명의 학생(남학생 68명, 여학생 1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자기보고식으로 수학·과학 학업적 자아개념, 사회비교경향성, 학업적 자기가치 수반성, 학업 소진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학업적 자아개념을 통제했을 때, 사회비교경향성이 학업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적 자기가치 수반성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기울기 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가치 수반성이 평균보다 1표준편차 높은 경우 사회비교 경향성이 높아질수록 학업 소진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가치 수반성이 평균이거나 평균보다 1표준편차 낮은 경우 사회비교 경향성과 학업 소진 간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사회비교로 인한 학업 소진의 위험성은 학업적 자기가치 수반성이 높은 경우 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통합전형 과학고 학생의 학업소진을 줄이고, 학업 적응을 돕기 위해 자기 가치에 대한 고려 및 교육적 개입방안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academic burnout, and to identify possibl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ally contingent self-worth. Eighty-six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ho entered by affirmative ac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answered self-report measures about math, science academic self-concept,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cademically contingent self-worth and academic burnout. Results show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ally contingent self-worth in relation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academic burnout was significant when academic self-concept was controlled. For students who reported higher level of academically contingent self-wort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positively predicted academic burnout. However, for students who reported average level or low level of academically contingent self-worth,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academic burnout was non-significant. This study confirms the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ally contingent self-worth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academic burnout. Based on this study, we conclude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enhance self-worth should focus on preventing academic burnout for gifted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 학업소진 관련 국내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 고찰

        박민지(Park, Minji),김수임(Kim, Soo-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대학생의 학업소진과 관련된 변인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변인들을 분류하고 변인 간 관계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1차로 ‘대학생’, ‘소진’을 검색어로 118편의 논문을 검색하고 논문의 제목과 초록을 각각 검토하여 대학생 학업소진과 관련 없는 연구나 중복 논문을 삭제한 후 최종 17편의 분석 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분석항목으로 연구대상 및 연구목적, 학업소진 측정도구, 학업소진 관련 변인 및 주요 연구결과 등을 확인하였다. 결과 대학생들의 학년별 분포는 개별 연구로는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고른 편이었으며, 측정도구는 MBI-SS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학업소진을 매개변인이나 독립변인으로 설정한 연구 각 1편, 3편 외에 대부분의 연구는 학업소진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학업소진에 미치는 관련 변인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의 합의과정을 통해 관련 변인들을 개인특성 차원, 진로⋅학습 차원, 관계 차원으로 분류하고 이들 관계의 구조를 도출하였다. 결론 학업소진 측정도구인 MBI-SS를 국내 대학생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대학생의 학업소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업, 개인특성, 진로, 관계 등 관련 변인의 구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variables an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by analyzing the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through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method. Methods For this purpose, 118 papers were searched for as keywords ‘college student’ and ‘burnout’. After reviewing the title and abstract of the thesis and deleting any research not related to academic burnout or duplicate thesis, a total of 17 target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nalysis items, research subjects, research objectives, academic burnout measurement tools, academic burnout-related variables, major research results, and factors affecting academic burnout were identified. Results Although the distribution of college students by grade was differed, they were generally similar, and MBI-SS was the most used measurement tool. In addition to one and three studies in which academic burnout was set as a mediator or independent variable, most of the studies used academic burnout as a dependent variable to determine the effect of related variables on academic burnout. Through the consensus process of the researchers, the related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dimension, the career/learning dimension, and the relationship dimension, and the structure of these relationships was derived. Conclusions In measuring academic burnout, it is necessary to validate MBI-SS for domestic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ademic burnout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not only academic levels but also personal characteristics, careers, and relationships.

      • KCI등재

        학급풍토와 학업소진 간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최현주(Choi, Hyunju)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4

        학업소진은 학업중단, 우울, 자살사고 등을 유발하는 심리적 고갈상태로, 한국 고등학생들은 과중한 학업요구로 인해 높은 수준의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을 심화시키는 조직수준 변인으로 부정적 학급풍토를, 이를 완화시키는 개인수준 변인으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선정하고, 각각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39개 학급으로부터 총 463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고, 다층모형(multilevel modeling)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통제적 학급풍토와 무기력한 학급풍토는 학업소진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냉소는 통제적 학급풍토와 무기력한 학급풍토 모두에 영향을 받았고, 무능감은 통제적 학급풍토에만 영향을 받았다. 둘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해결중심사고(refocusing on planning)는 학업소진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해결중심사고를 많이 할수록 학업소진의 총점 및 각 하위요인이 모두 감소했다. 마지막으로 학급풍토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준 간 상호작용 효과(cross-level interaction)가 검증되었다. 소진 총점에 대해서는 균형 있게 바라보기(putting into perspective)와 해결중심사고(refocusing on planning)가, 하위요인 중 탈진에 대해서는 긍정적 재평가(positive reappraisal)와 해결중심사고(refocusing on planning)가 높으면 부정적 학급풍토에서도 소진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용(acceptance)의 경우 수용을 많이 할수록 학생은 통제적 풍토가 높아짐에 따라 학업소진도 높아지지만, 수용을 적게 할수록 통제적 풍토가 높아져도 학업소진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시사점과 실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room climate and academic burnout.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463 high school students from 39 classrooms. Using multilevel analysis, the main effects of classroom climate (controlling the classroom atmosphere, lethargic climat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ositive refocusing, positive reappraisal, putting things into perspective, refocusing on planning, acceptance) on academic burnout were examined, respectively. Moreover, 10 pairs of interaction effects (classroom climate ×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tested. Our results showed that both controlling and lethargic classroom atmospheres tended to exacerbate academic burnout, whereas refocusing on planning alleviated academic burnout. In addition, the cross-level interaction between the classroom atmosphere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was verified. More specifically, individuals with high levels of being able/willing to put things into perspective, refocusing planning, or positive reappraisal showed low level of academic burnout even when faced with a negative classroom atmosphe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work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과의 관계: 통제감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민애,이상민,신효정,박양민,이자영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7 No.1

        The aim of present study is to examine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demand and academic burnout but also the function of control on two variables based on the job demand-control model(DC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90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nd path analysis were as follow: control was confirmed not moderator but suppression variable in between academic demand and academic burnout. The results support that academic control was decre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demand and academic burnou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mproving academic control may be effective on preventing and intervening academic burnout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학업소진 모형 중 요구-통제 모형을 검증하고, 학업요구와 학업소진의 관계 그리고 두 변인 사이에서 통제감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 중학생 490명을 대상으로 학업과다, 학업소진, 통제감을 측정한 후 학업과다와 학업소진 사이에서 통제감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제감은 학업과다와 학업소진 사이에서 중재변인이 아닌 억제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제감은 학업과다와 학업소진간의 관계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소진을 예방 및 개입 하는데 있어서 통제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학업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손윤실(Yun-sil Son),김정섭(Jung-sub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산․경남에 소재한 3개 인문계 고등학교 고등학생 527명을 대상으로 학업소진, 학업적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학업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SS PASW 22.0을 통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적 학업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학업소진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적응적 학업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적응적 학업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업소진이 더 가파르게 상승했다. 셋째, 부적응적 학업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부적응적 학업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은 학생의 경우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의 감소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perfectionism and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burnout of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27 high school students (male=277, female=250) in Busa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questionnaire containing academic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self-efficacy. The data were analyzed by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tendency of academic burnout increased whether the levels of mal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is high or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is low. Second, through moderating analysis, academic self-efficacy are moderated role on relations between 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Specifically, the effect of 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on academic burnout was found to be smaller than for students with high academic self-efficacy. But academic burnout has risen more steeply. Third, through moderating analysis, academic self-efficacy are moderated role on relations between mal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The effect of maladaptive academic perfectionism on academic burnout was greater for students with lower academic self-efficacy.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should be valuable contexts of prevention or intervention.

      •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소진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박소윤,강현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소진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밝히고,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학업소진의 영향력과 학업소진 수준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부산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81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조사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소진과 주관적 안녕감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학업소진의 탈진과 냉담은 주관적 안녕감의 삶의 만족, 긍정정서와 부적 상관을 학업소진의 효능감은 주관적 안녕감의 삶의 만족, 긍정정서와 정적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소진은 탈진, 냉담, 효능감의 순으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소진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을 살펴보기 위해서 상·하위 27%(Kelly, 1939)를 기준으로 상집단과 하집단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학업소진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과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비유아교사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소진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과제가치, 스트레스,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송윤희(Song Y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이러닝 학업상황에서 학업소진과 학업열의는 동시에 발생하는 변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주로 학업소진이나 학업열의에 대해 따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학업 소진과 학업열의에 동시에 영향을 주는 선행변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 서는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칠 핵심 변인으로 과제가치와 스트레스를 선 정하여 네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100%로 이러닝 강좌를 수강하는 A대 학교 30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 구결과, 과제가치는 스트레스와 학업소진에 부적으로, 학업열의에는 정적으로 영향 을 미쳤다. 또한 스트레스는 학업소진에 정적으로, 학업열의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스트레스는 과제가치와 학업소진, 과제가치와 학업열의 사이에서 매개효과 를 가졌다.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학업소진을 낮추고 학업열의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ask value, stress, academic burnout, and learning engagement in an e-learning course.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students at A univers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ask value had a significant and negative impact on academic burnout. Second, task value influenced learning engagement positively. Third, stress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academic burnout. Fourth, stress influenced learning engagement negatively. Fifth, stress mediated between task value and academic burnout as well as task value and learning engagement. These findings offer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learning cour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