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습양식으로서의 다중지능이론

        황윤한,조영임 한국다중지능교육학회 2005 다중지능교육연구 Vol.2 No.-

        학습양식은 학습자들이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학습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최근의 교수 · 학습 과정은 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학습자들의 학습양식에 맞추어 개별화되는 경향이다. 기존에 많이 알려진 대표적인 학습양식 이론으로는 Rita Dunn과 Ken Dunn의 학습양식 (청각적(auditory learners)· 시각적(visual learners) · 촉각적(tactile learners)· 운동감각적(kinesthetic learners)), Anthony Gregorc의 사고양식(thinking style) 모형(구체적 무작위적 사고,구체적 연속적 사고,추상적 무작위적 사고,추상적 연속적 사고), David A. Kolb의 경험적 학습양식 모형(수렴적 학습자(convergers), 확산적 학습자(divergers), 순응적 학습자(assimilators), 조정적 학습자(accommodators)), Bernice McCarthy의 4Mat 학습양식 모형(혁신적 학습자,분석적 학습자,상식적 학습자,역동적 학습자), Katharine Briggs와 Isabel Myers의 학습양식 모형(MBTI)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하여 학습양식을 탐구하였다.학습자들의 가장 발달한 지능을 활용한 학습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한다면,바로 이 지능이 그 학습자의 학습양식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맞추어 학습 활동과 학습 과제를 제시했을 때 보다 효율 적인 수업이 될 수 있다. A learning style is a student's consistent way of responding to and using stimuli in the context of learning. Simply, learning styles are different approaches or ways of learning. Understanding students' learning style helps teachers understand students better and assisted them in reenforcing skills they needs to succeed in school. This study examined traditional models of learning style such as Dunn & Dunn model. Gregorc's thinking style, Kolb's experiential learning style, McCarthy's 4Mat. and Briggs-Myers' MBTI model. These models are oriented toward learner's information processing function and personality traits rather than ways of learning. This study explored the multiple intelligences(MI) learning style as an alternative model for effective instruction. The MI learning style is focused on learner's way of learning in class. There are many ways of learning, but the best way is to use one's strongest intellectual ability. The efficiency of educational productivity can be raised by utilizing learner's multiple intelligences.

      • KCI등재

        자기조절전략, 성취목표지향과 대학생의 학습양식간의 관계

        서미옥 한국교육학회 2012 敎育學硏究 Vol.50 No.1

        교수자들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학습양식의 차이를 이해하고, 수업계획을 세운다면 학습 효율성을 높이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습양식과 자기조절전략, 성취목표지향의 관계를 검증하고, 또한 성적이 우수한 대학생과 일반대학생들 간에 학습양식, 자기조절전략, 성취목표지향에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학습양식의 측정은 Oxford(1993)의 11가지 학습양식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로 22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Pearson의 적률상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다변량분석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1가지의 학습양식과 자기조절전략, 성취목표지향은 중간 혹은 낮은 상관을 보였다. 자기조절전략과 성취목표지향의 하위변인들 중에서 일부만이 학습양식과 관련이 있었다. 개인의 학습양식이 이들 변인이외에 다른 변인들에 영향을 받는지를 추후에 더 탐색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둘째, 학업성적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학습양식은 신체운동형 학습양식과 직관형 학습양식뿐이었는데 오히려 일반학생들의 평균이 성적이 우수한 집단보다 더 높았다. 성적이 우수한 대학생들이 자기조절전략에서 일반 대학생들보다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두 집단은 성취목표지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요약을 하면, 성적이 우수한 대학생들은 일반대학생보다 자기조절전략 점수는 높았지만, 특별히 구분되는 학습양식이나 성취목표지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oremost we hav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students various learning styles, and then we need to establish teaching plan to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mong self-regulation strategies, achievement of goal-oriented, and learning styles in undergraduates and also to investigate difference of self-regulation strategies, achievement of goal-oriented and learning style between students with excellent grades and college students with average grade. To reach research purpose students of 224 were select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of 224 w, stepwiss ofgress4 w, and mul24-variate analysis. The resul2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eleven different learning styles, self-regulation strategies, and goal-oriented achievement showed a medium or low corof 224 w, therefore the other variables need to be eose sed to infeuence on individual learning styles. Second, there there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kinesthetic and intuitive learning style, the average groups showed higher mean value than excellent group. In addition, the students with excellent grade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average grade students in self-regulation strategies. The two groups were not found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goal-oriented achievement. To summarize, excellent grades students had much self-regulation strategies than average students, but not to have a distinctive learning style and achievement goal.

      • KCI등재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유정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8 No.2

        이 연구는 학습자들의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A대학교 학생들 900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고, 이 중 불성실하 게 응답하거나 누락된 데이터를 제거한 786개의 자료만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 된 연구도구는 Felder와 Solomon이 개발한 학습양식 검사지(ILS: Index of Learning Style)이 고, 이를 한글로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A대학 학생들은 상당히 시각적(597명, 76.0%)이고, 감각적(550명, 70.0%)이며, 다 소간 숙고적(457명, 58.1%)이고 총체적(432명, 55.0%)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결과는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일부 전공의 몇 개 영역에서는 전체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 내었다.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을 분석한 결과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 차이 가 있는 것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수유형은 강의식이 60% 이상을 차지하였고, 토론식은 30%, 팀 프로젝트 식과 실험실습은 20%, 인터넷 혼합식은 2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강의식을 선호하는 유형은 숙고, 감각형이고, 이와는 반 대로 적극, 직관, 총체형이 팀 프로젝트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토론식을 선호 하는 유형은 감각형이고, 실험실습을 선호하는 유형은 감각과 시각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에 비해 인터넷 혼합수업 선호도는 학습양식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결과, 학습자들의 학습양식은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학습양식에 따라 선호하는 교수유형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전공적 특성과 학생들의 학습양식은 대학교육에서 적절한 교수방법을 결정하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추후에는 전공 과 학습양식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방법이 무엇인지를 보다 정교하게 탐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학습유형과 학습양식의 체계적 분류를 통한 개념적 모형 정립

        김은정 한국교육학회 2002 敎育學硏究 Vol.4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심리운동적 학습유형과 학습양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개념적 모형을 정립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다루었다. 첫째, 학습양식을 이루는 구성요소 추출, 둘째, 구성요소에 따라 형성되는 인지적, 정의적, 심리운동적 학습유형과 학습양식의 분류체계 제시, 셋째, 학습양식의 개념적 모형 도출과 학습양식의 단순화가 그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양식의 인지적 구성요소는 정보인식, 정보처리, 정보저장과 인출이며, 정의적 구성요소는 교수학습 참여 정도, 교수학습 참여 형태, 교수학습에 참여하는 사람에 대한 태도, 정보수용 태도이다. 둘째, 학습양식의 인지적 구성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학습유형은 감각형/직관형, 전체형/분석형, 심층형/표면형이다. 학습양식의 정의적 구성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학습유형은 참여형/회피형, 관찰형/실험형, 의존형/독립형, 폐쇄형/개방형이다. 인지적 학습양식과 정의적 학습양식은 각각의 구성요소에 의해 결정된 학습유형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심리운동적 구성요소 중 지각방식만이 학습유형을 결정하며 이는 전체 학습양식을 구성하는 부수적 요소로 간주된다. 셋째, 인지적, 정의적, 심리운동적 구성요소와 학습유형들간의 관계 및 관계에 따른 학습양식의 형성은 개념적 모형으로 제시되었다. 체계적으로 복합적인 학습양식은 기본 학습양식 진단과 전문 학습양식 진단의 2단계를 통해 단순화할 수 있다. 기본학습양식은 심층형/표면형, 참여형/회피형, 독립형/의존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전문학습양식은 감각형/직관형, 전체형/분석형, 관찰형/실험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 KCI등재

        중학생의 수학학습양식 및 유형 분석

        강나루,임대근,류현아 한국학교수학회 2013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6 No.2

        수학학습양식의 4가지 구성요인은 인지적 학습양식에서 정보인식 유형과 정보처리 유형이고 정의적 학습양식에서 수학학습에 대한 태도와 수학학습 환경에 대한 태도이다. 각 요인은 대립하는 두 개의 양식으로 구분되며 정보인식 유형은 시각적 양식과 언어적 양식으로, 정보처리 유형은 전체적 양식과 분석적 양식으로, 수학학습에 대한 태도는 권위목표형과 실용오락형으로, 수학학습 환경에 대한 태도는 내부지향형과 외부지향형으로 나눌 수 있다. 총 8가지의 수학학습양식의 조합에 의하여 16가지 수학학습유형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학습양식과 수학학습유형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개인차를 인식하고 효과적인 수업전략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학습양식 유형과 교과 흥미와의 차이 : 학교 급별 분석

        이종철 조선대학교 학생지도연구소 2006 生活指導硏究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Riding과 Cheema의 학습양식 유형 중에서 전체언어화자(WA), 분석언어화자(AV), 전체심상화자(WI), 분석심상화자(AI)의 네 가지 유형을 중심으로 학교 급별에 따른 학습양식 유형, 교과 흥미 및 시험불안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양식 유형은 학교 급별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 급별에 따른 학습양식 유형과 성별에 따라 교과흥미는 차이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학습양식 유형은 학교 급별과 성별에 따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Χ2 (Chi-square) 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교 급별에 따른 학습양식 유형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Χ²=13.18, p<.05). 학습양식 유형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 학습양식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학교 급별에 따른 학습양식 유형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요약하면, 학교 급별에 따른 학습양식 유형의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만 학교 급별에 따른 학습양식 유형과 성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학교 급별에 따라 학습양식 유형과 성별에 따른 교과흥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Χ²(Chi-square) 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Χ²=112.64, p<.001).학생들의 학습양식 유형과 성별에 따른 교과흥미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Χ²=119.87, p<.001).학생들의 학교 급별에 따른 학습 양식 유형과 성별에 따른 교과흥미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Χ²=160.00, p<.001).

      • KCI등재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양식과 학습 활동 선호도 및 학습 전략 사용과의 관계 분석

        권성연 ( Soung Youn Kw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e-Learning 학습환경에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양식을 분석하고 이러한 학습양식이 학습활동 선호 및 학습전략 사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따라서 Gregorc 및 Grasha-Reichmann의 학습양식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양식유형을 분석하고 이들 학습양식과 학습전략, 학습활동 간의 상관관계 및 각 학습양식이 학습전략과 학습활동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e-Learning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양식, 학습전략, 학습활동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성인학습자들은 CS, AR형이 많았고 독립형, 참여형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학습전략으로는 정교화 전략 사용이 많았고 도움구하기 전략 사용이 적었으며 학습활동으로는 강의듣기를 가장 선호하고 조별과제를 선호하지 않았다. 학습양식과 학습전략, 학습활동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Grasha-Reichmann의 양식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Gregorc학습양식은 그 유형에 따라 대부분의 학습활동 선호의 차이가 없는 반면 Grasha-Reichmann의 학습양식은 그 유형에 따라 학습전략과 학습활동 선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Grasha-Reichmann 학습양식에서는 참여형과 협동형이 학습활동 선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는데 참여형은 교재읽기, 성찰하기, 강의듣기와 같은 개별적 학습활동에 협동형은 토론하기, 조별과제하기와 같은 집단적 학습활동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학습전략에 있어서도 참여형과 협동형의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독립형도 인지적 전략 사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습양식의 특성에 따라 학습전략사용이나 학습활동 선호와의 관련성과 영향력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아울러, 학습전략 사용과 학습활동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학습양식에 대한 고려를 통해 보다 다양하고 적응적인 학습환경 설계가 요구된다. This research was aimed to analyze the adult learner`s learning styl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preferences for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strategies in e-Learning environments. so, adult learners` learning styles according to the Gregorc`s and Grasha-Reichmann`s,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preferences, learning strategies were analyzed.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Many of adult learners were CS or AR types in Gregorc style and the mean score of independent and participant types were little bit higher than collaborative and dependent types in Grasha-Reichmann`s style. Adult learners used elaboration strategy the most and help-seeking the least. Also, the most preferred learning activity was listening to lectur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styles and preferences of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strategies, the stronger relations appeared in Grasha-Reichmann`s than Gregorc`s learning style. that is,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preferences of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 Gregorc`s learning types but participant and collaborative types in Grasha-Reichmann`s style were meaningful factors to preferences of learning activities, especially, participant type had meaningful effects for individual learning activities such as reading textbook, reflection and listening lecture, collaborative type was influential types for preference of group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 and group task. Participant and collaborative types also had a powerful impacts on learning strategies, and independent type influenced on cognitive strategy.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styles could make the differences in influences on use of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and we should design the various and adaptive learning environments allowing for the learners` learning styles.

      • KCI등재

        Kolb의 학습양식에 기반 한 팀 조직 지원 시스템 개발

        박수홍,정주영,홍진용,김성옥,류영호,강은경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Kolb의 학습양식 기반의 팀 조직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시스템의 가치를 구현하기 위한 핵심아이디어와 핵심 활동, 활동을 지원하는 도구, 그리고 가이드라인 등에 대한 개발 전략을 도출하고, 둘째, 교수설계 구조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시스템을 설계한 후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요소는 학습양식 검사를 통하여 효과적인 팀을 조직하는 것이다. 우선, 학습양 검사를 통해 학습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학습 환경이나 특징을 파악한 후, 다양한 학습양식을 가진 사람들이 팀을 구성하도록 한다. 팀 조직하기는 각 팀 구성원의 학습양식을 공개한 후, 이를 기준으로 하여 팀 구성원의 특성에 맞는 역할을 분담한다. 개발된 시스템의 가치와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들로 구성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시스템의 개선점을 도출한 후, 이를 반영한 최종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학습양식 검사를 수행하여 즉시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고, 또한 학습양식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성향을 가진 이질적인 구성원으로 팀이 자동 구성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불특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웹기반 프로젝트학습에서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공간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prototype of the support system in order for team building associated with web-based project learning having applied Kolb’s learning styl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were performed. First, core idea in order to embody the system’s value, key activities, tools that will support pertinent activities and the strategy so as to develop guidelines, etc. were devised and prepared. Second, a system was designed on the basis of structural model of teaching design, then after, interface was developed. The core factors in this system are inspection of learning style, organizing a team and team building. Above all, it is required to make learners know about learning environments, of which they are in favor, and also its distinctive features through inspection of learning style, and then focusing on learning style, a team should be organized insomuch as to accommodate a variety of learning styles as much as possible. For the purpose of team building, after learning style of each constituent member of the team has been made known, then the roles will be divided among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team so as to suit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ferring to each of their learning styles that have been exposed. To verify the value of this system developed and efficiency thereof,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he focus group consisted of professionals, all from related fields. After the interview, the points required to make further improvements were elicited and taken care of by follow-up actions as needed. And having reflected such improvements made, the final system was developed. With this newly developed system, learners can get the results of inspection of learning style so quickly by performing inspection any time any where, and based on the results from such inspection, a team comprising dissimilar constituents who exhibit a variety of different propensities will be automatically organized. Thus, this system may be used not only for web-based project learning having unspecified persons elected as constituents, but in the offline space also.

      • KCI등재

        e-Learning 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전략 사용 및 학습활동 선호도 분석

        권성연 한국성인교육학회 200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2 No.2

        본 연구는 e-Learning 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사회적 학습양식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학습양식의 차이가 학습전략의 활용과 학습활동선호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 분석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e-Learning으로 대학원 과정을 수강하는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양식, 학습전략, 학습활동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양식으로는 사회적 학습양식을 측정할 수 있는 Grasha-Reichmann의 학습양식을 사용하여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 점수를 산출하고 각 학습양식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상, 하 조합에 따른 집단별 학습전략, 학습활동 선호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독립적 학습양식과 협동적 학습양식의 점수는 유사하였고 두 학습양식의 조합에 따른 빈도를 봤을 때,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이 모두 낮은 학습자가 가장 많았고 모두 높은 학습자 수가 그 다음을 나타냈다(중앙값 기준). 둘째,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과 학습전략, 학습활동 선호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 점수에 따른 학습전략 및 학습활동선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높은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 점수를 나타낸 집단에서 가장 높은 학습전략과 학습활동선호 점수를 보였고 반대로 독립적, 협동적 학습양식 점수가 낮은 집단의 경우 가장 낮은 학습전략 사용과 학습활동 선호를 나타냈다. 한편, 독립적이거나 협동적인 학습양식 한쪽만 높은 집단 가운데 독립적 학습양식이 높은 집단은 협동적 학습양식이 높은 집단에 비해 인지적, 개인적 차원의 학습전략 점수와 강의듣기, 성찰하기와 같은 개인적 학습활동 선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토론하기나 조별과제 같은 사회적 학습활동은 협동적 학습양식이 높은 집단의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aimed to analyze adult learners' social learning style, and the differences of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in e-Learning environments by their learning style. For this research, A survey which measured the independent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was conducted to the graduate students who attended e-Learning cours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 mean scores of independent and collaborative learning style were almost same. The second, correlations between two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trategies,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were positive. The third,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s in use of learning strategy and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among groups of learning style. The scores on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were the highest in high-independent, high-collaborative learning style group. On the contrary, the scores on learning strategies and preference of learning activities were the lowest in low-independent, low-collaborative learning style group. The scores of personal and cognitive strategies was higher in high-independent and low-collaborative group than low-independent and high-collaborative group. The scores of preference in personal activities, that is lecture, writing a reflection paper etc. were higher in high-independent and low-collaborative group, but the scores of social activities, that is, discussion, group task were higher in low-independent and high-collaborative group.

      • KCI등재

        실과교육에서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의 도출

        임미가,김진수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적 문제해결의 학습양식을 도출하여 개인차를 고려한 기술적 문제해결의 교수⋅학습을 위한 유의미한 정보를 얻는데 있었다.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의 도출을 위해 기술적 문제,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 이론, 문제해결양식 이론, 창의성 이론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고, 기술적 문제해결의 각 과정의 특성을 반영하는 학습양식 이론, 문제해결양식 이론, 창의성 이론의 구성요인을 추출하였다. 이후, 서로 다른 범주의 구성요인을 분류하고 유사한 범주의 구성요인을 통합하여 기술적 문제해결의 최종 학습양식을 도출하였다.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은 ‘경험형-사고형’, ‘적응형-혁신형’, ‘관찰형-행동형’, ‘독립형-의존형’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학습양식별 학습자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경험형–사고형’은 인지적 특성 관련 양식으로써 주로 문제의 이해, 아이디어 탐색 과정에서 구분된다. 경험형 학습자는 논리보다는 직접 경험이나 외부에서 주어지는 정보에 의존하고 사고형 학습자는 사고를 통하여 내적 체계를 구축하며 논리성과 합리성을 바탕으로 정보를 탐색하고 문제를 해결한다. 둘째, ‘적응형–혁신형’은 창의성에 관계된 인지적 특성 관련 양식으로써 주로 아이디어 탐색, 실행 과정에서 구분된다. 적응형 학습자는 기존의 절차, 규칙, 집단의 관습을 중요시하고 문제해결 방법이 순차적인 특징을 가진다. 혁신형 학습자는 새로운 시각, 아이디어의 생성을 중요시하며 예측 불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셋째, ‘관찰형-행동형’은 심동적 특성 관련 양식으로써 주로 실행 과정에서 구분된다. 관찰형 학습자는 주의 깊게 관찰 후 판단하며 행동보다는 관찰을 선호한다. 행동형 학습자는 문제를 지켜보기보다는 실제로 문제에 접근하며 생각의 실현에 가치를 둔다. 넷째, ‘독립형-의존형’은 정의적 특성 관련 양식으로써 실행, 평가 과정을 주로 하여 전체 과정에서 구분된다. 독립형 학습자는 개인적 활동을 선호하고 높은 성과를 중요시한다. 의존형 학습자는 협동적 활동을 선호하고 성과보다는 구성원과의 조화를 우선시한다. 이 연구의 결과로, 획일적인 방식의 문제해결 학습 환경에서 벗어나 학생의 개인차를 존중하는 기술적 문제해결 교수⋅학습 환경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추후 현장연구를 통하여 이 연구의 결과를 검증할 것과 도출된 기술적 문제해결 학습양식을 활용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학습 방법 개발의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learning style of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and to obtain meaningful inform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skills of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order to derive the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learning style, the literature on technological problem,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skills, learning style theory, problem solving style theory, and creativity theory are examined. Learning style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each process of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and problem solving style and creativity. After that, the components of similar categories were integrated, and finally the learning style of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was derived by classifying the components of different categories. The learning style for solving technological problems was derived as 'experiential - thinking type', 'adaptive - innovation type', 'observation type - behavior type', and 'independent type - dependent type'. First, 'experiential type - thinking type' is cognition- related style, mainly distinguished from understanding the problem and searching for the idea. The experiential learners rely on direct experience rather than logic, or information given from the outside. Thinking learners think about the internal system constructed through thinking and search for information and solve problems based on reason and rationality. Second, 'Adaptive type – Innovation type' is a form related to creative characteristics, mainly distinguishing between idea search and execution. The adaptive learners place importance on the existing procedures, rules, and group customs, and the problem solving methods are sequential and prudent. Innovative learners have a new vision, an emphasis on the generation of ideas and unpredictable features. Third, 'observation type - behavior type' is a form related to practical characteristics and is mainly distinguished in the execution process. Observers prefer to observe carefully and observe rather than behave. Behavioral learners approach real problems rather than observe problems and value realization of thought.s Fourth, 'independent type - dependent type' is a form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characteristics. Independent learners have a similar meaning to introverted, competitive, task-oriented, prefer personal activities, and prioritize higher performance rather than interaction or harmony with their members. Dependent learners have similar meanings as extroverted, collaborative, and interpersonal - centered, prefer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prioritize harmonization with their members rather than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