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과 실험 안전에 대한 인식 분석

        박형민,임채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3 초등과학교육 Vol.42 No.1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science learning and lab safety in the affective, behavioral, and cognitive domains. With respect to science learning, students indicated liking science classes more than average, being good at scientific inquiry more than average, and having more scientific knowledge than average. Compared with before the COVID-19 pandemic, student confidence in retaining scientific knowledge had decreased markedly. Of the eight student types in the students’ awareness levels about affective⋅ behavioral⋅cognitive domain, the HHH type—the most ideal—was also the most distributed. Students’ preferred science class methods were experimental (72.7%) and nature inquiry classes (23.2%); science knowledge classes were ranked a distant third (4.1%). Preferred class locations were the science lab (58.1%) and different places from time to time (34.4%); the classroom was ranked last (7.5%). With respect to lab safety, mo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d not have experimental classes, but more than half reported understanding how to use experimental equipment. Most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to wear safety equipment in the lab. They were not only well aware of the associated physical protection functions, but also of the affective and psychological effects. Most students also recognized that first aid education is necessary, but only 31.5% reported understanding first aid methods. Based on tho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science learning and lab safety in school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과 실험 안전 인식을 분석하였다.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행동적, 인지적 영역 인식과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과학 수업을 보통 이상 좋아하고, 과학 탐구 기능을 보통 이상 잘한다고 인식하며, 과학 지식을 보통 이상 가지고 있다고 인식한다. 코로나 19 상황 이전과 비교해 보았을 때, 초등학생들은 과학지식 보유에 대한 자신감이 많이 낮아졌다. 둘째, 전체 여덟 개의 유형 중에서 가장 이상적인 학생 유형인 상상상 유형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과학 수업 방법에 대해 실험 수업(72.7%), 자연 탐구 수업(23.2%), 과학 지식 이해 수업(4.1%) 순으로 선호하였다. 또한, 초등학생들은 수업 장소에 대해 초등학생들은 과학실(58.1%), 때에 따라 다른 장소(34.4%), 교실(7.5%) 순으로 선호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실험 안전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초등학생들은 실험 수업에 대해 안전사고 발생의 부담을 느끼지 않는다. 둘째,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은 실험 기구 사용법을 이해하고있다고 인식한다. 셋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안전 장비 착용이 필요하다고 인식한다. 넷째, 대부분의 학생들이 응급 처치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응급 처치 방법을 이해하고 있는 학생들의 비율은 31.5%에 불과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학습과 실험 안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한다.

      • KCI등재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수준 비교 연구 : 변이성 모델링과 표집분포 이해 능력 중심으로

        고은성 韓國英才學會 2012 영재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모델링과 표집분포 이해 능력을 중심으로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수준을 비교한다. 연구결과 통계적 모델링에 대한 사고 수준에서 초등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그리고 중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표집분포의 이해에 대한 사고 수준에서 초등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중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수준별 빈도를 조사한 결과 수학영재학생들의 사고 수준이 상위 수준에 집약되어 분포하기보다는 일반학생들의 사고 수준이 상당부분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학영재학생들에게 통계를 지도하는 데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compared levels of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statistical thinking with those of non-talented students in statistical modeling and sampling distribution understanding. t tests were conducted to test fo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n case of statistical modeling, for both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raders, the t test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able of frequencies of each level, however, shows that level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hinking were not distributed at the high levels but were overlapped with those of non-gifted students. a similar tendency is also present in sampling distribution understanding. These results are thought-provoking results in statistics instruction for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 KCI등재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통계적 변이성 인식 수준 비교 연구

        고은성 韓國英才學會 2013 영재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변이성 인식 능력을 중심으로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통계적 사고 수준을 비교한다. 연구결과 측정상황에서 중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초등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우연상황에서도 중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초등학교 수학영재학생들과 일반 학생들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수준별 빈도를 조사한 결과 수학영재학생들의 사고 수준이 상위 수준에 집약되어 분포하기보다는 일반학생들의 사고 수준이 상당부분 중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수학영재학생들에게 통계를 지도하는 데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compared levels of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statistical thinking with those of non-talented students in the noticing of statistical variability. t tests were conducted to test fo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Results for the t-test show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E students’ and NE students’ noticing of variability in the measurement settings. Meanwhile, the t-test results also show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M students’ and NM students’ noticing of variability in the both measurement and chance settings. Table of frequencies of each level, however, shows that level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hinking were not distributed at the high levels but were overlapped with those of non-gifted students. These results are thought-provoking results in statistics instruction for mathematically talented students.

      • KCI등재

        The Effects of Visual Tracking on the Learn Units to Criterion and the Visual Tracking of Moving Objects of Students with Autism

        Kang, Ji-won,Lee, Ji-kyung 국립특수교육원 2009 특수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자폐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중재 방법 중의 하나로 알려진 응용행동분석 (ABA: Applied Behavior Analysis)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일대상연구 방법이 사용되었다. 자폐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가 학생들에게 제시한 학습안수에 따른 학생들의 시각적 습득(Learn Units to Criterion)능력과 움직이는 사물에 대한 시각인지(Visual Tracking of Moving Objects)능력이 시각 흔적을 따라가는 (Visual Tracking Procedure)방법을 사용했을 때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살펴 보았다. 다시말해서, 교사가 제시한 학습안들을 시각흔적을 따라 가는 방법(Visual Tracking Procedure)을 통해 학생들이 얼마나 빨리 학습안을 습득하는지를 보았고, 또한 학생들이 움직이는 사물에 대해 시각적으로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참가자들은 자폐아로 판정받은 미국 뉴욕주카바스학교(CABAS: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of Schooling)에 재학 중인 네 살짜리 두 명의 어린이들이며, 연구 당시 그들의 언어능력은 기초적인 말하기와 듣기를 습득해가는 수준이었다. 이 연구에서 시각흔적을 따라 가는 방법(Visual Tracking Procedure)을 하나의 독립변인으로 보았고, 두 개의 변인 즉, 1) 제시된 학습안 수에 따른 학생들의 시각적습득(Learn Units to Criterion)능력과 2) 움직이는 사물에 대한 시각인지 (Visual Tracking of Moving Objects)능력을 종속변인으로 보았다. 학생들의 반응을 기록하기 위하여 단일대상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지연된 중다간헐기초선 설계(Delayed Multiple Baseline Design)가 사용되었고, 학생들의 반응을 기록하는 수단으로 코헨과 그리어가 고안해 낸 시각적 표시도구(visual tracking protocol by Keohane and Greer, 2005)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네 명의 교사들이 매 시간을 순회하며 기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 흔적을 따라가는 방법(visual tracking procedure)을 사용하였을 때, 자폐학생들이 제시된 학습안들을 시각적으로 습득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이 시각 흔적을 따라가는 방법(visual tracking procedure)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현저히 줄어들었다. 다시 말해서, 시각 흔적을 따라가는 방법(visual tracking procedure)을 통해서 자폐학생들이 더 빨리 제시된 학습안들을 배우게 되었다. 또한, 이 방법을 통해 자폐아 학생들이 움직이는 사물을 좀 더 잘 인식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The study was a single subject design using the Applied Behavior Analysis (ABA) which is known as one of th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autism and or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the visual tracking procedure on the participants’ learn units to criterion, and the participants’ visual tracking of moving objects during one-on-one setting. In other words, the study examined how fast students with autism could acquire academic criterion and how much they could increase visual tracking skills during one-on-one. The participants were two 4-year old male students diagnosed with autism. They attended a classroom under the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of Schooling (CABAS) educational model in New York State and functioned at a pre-speaker and pre-listener level of verbal behavior. The independent variable wa s a visual tracking procedure implemented,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numbers of learn units required to meet objectives across all programs as well as the visual tracking of moving objects. During the data collection procedure, the Visual Tracking Protocol designed by Keohane and Greer (2005) was used as a method and learn units were used while collecting data in the study. A delayed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demonstrate the data collected during the study. Four independent teachers rotated on every hour, and recorded data.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both participants’ learn units to criterion, and as light in crease in the participants’ visual tracking of moving objects.

      • KCI등재후보

        기술ㆍ가정 교과의 '전기ㆍ전자 기술' 단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이명훈,김진수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기술가정 교과의 ‘전기전자 기술’ 단원에 대한 인식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전국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이다. 조사 대상으로는 지역적 안배를 고려하여 총 660명의 중학교 3학년 학생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고, 최종분석에는 회수된 자료 중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616부가 활용되었다.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중학생들은 기술가정 교과의 ‘전기전자 기술’ 단원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자 제품 만들기’와 ‘전자 부품’에 대해서는 필요도가 높지 않았다. 둘째, 중학생들은 이 단원 내용에 대하여 어려워하고 있었다. 셋째, 중학생들의 이 단원에 대한 선호도는 낮았으며, 이 단원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주로 스스로 직접 만들 수 있는 실습을 좋아하기 때문이며, 이 단원을 선호하지 않는 학생들은 주로 내용이 너무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좋아하지 않았다. 넷째, 이 단원 학습 후 전기·전자 분야에 대한 관심이 생긴 학생들은 적었다. 다섯째, 이 단원에 대한 학습 경험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었다. 여섯째, 여학생들의 이 단원에 대한 필요도, 선호도, 학습 후 관심도, 단원의 문제해결력 도움 정도는 남학생들보다 낮았으며, 난이도는 남학생들보다 높았다. 일곱째, 이 단원 관련 실습을 세 가지 경험한 학생들이 한 가지나 두 가지 경험한 학생보다 이 단원에 대한 선호도, 학습 후 관심도, 단원의 문제해결력 도움 정도가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electricity․electronics technology' unit in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population for the survey was the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authors. Six hundred thirty two out of 66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which 616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liminating incomplete responses.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lectricity․electronics technology' unit. Second, they recognized the difficulty about this unit. Third, the preference level for this unit of students was low. Fourth, a few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learning this unit made them have more interest than before learning it. Fifth, contribution level toward the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is unit was low. Sixth, student gender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ffecting the recognition about this unit. Seventh, practice experience of student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ffecting the preference, interest after learning, contribution toward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about this unit.

      • 전남지역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방과 후 학교의 효과와 한계에 관한 연구

        한진상 한국질적탐구학회 2016 질적탐구 Vol.2 No.1

        본 연구는 전남지역 고등학생들이 방과 후 학교에서 어떠한 교육경험을 하는지 살펴보고, 그들의 교육경험에 기반하여 방과 후 학교의 효과와 한계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고등학생들이 방과 후 학교에서 어떠한 교육경험을 하며, 방과 후 학교의 효과와 한계는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모두 7명이고, 연구기간은 2015년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방과 후 학교의 세 가지 효과를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은 방과 후 학교수업을 통해 자신도 수도권 학생들과 동일한 수업과 조언을 듣고 있다는 안도감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방과 후 학교를 통해 자신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평가받고 있었다. 셋째, 학생들은 방과 후 수업을 통해 대학입시를 효율적으로 준비하고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방과 후 학교의 두 가지 한계도 정리하였다. 첫째, 정치적으로 시행되고 홍보된 방과 후 수업의 한계였다. 둘째, 방과 후 수업의 교육적 주객전도 현상이었다. 연구자는 이상의 다섯 가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제언을 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fterschool programs to improvement of learning at highschool in Jeonnam area. The research was designed to assess effectiveness and limits of afterschool programs. To analyze what the effectiveness and limit of the afterschool programs were, qualitative case study was performed. Sev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6-month research from March through August 2015. In the research, with qualitative case study, researcher identified three benefits of after school programs. First, students were gaining confidence. Second, students were able to recognize their academic ability objectively. Third, students were able to get assistance from afterschool teachers for college admission examination. In the research, two limitations of afterschool programs were also identified. First limitation lied in the nature of afterschool programs, initiated and implemented for political interests. Second, in some cases, the priority was misplaced between schoooling and shadow education.

      • KCI등재후보

        안성 내리에 거주하는 고려인 학생들의 인식과 삶: 다문화국제혁신학교 K초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허영훈(Heo, Young Hoo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0 사회과수업연구 Vol.8 No.1

        요약 : 중앙아시아로 향하던 고려인 강제이주의 열차는 지금도 러시아, 중앙아시아 그리고 한국을 오가며 힘겹게 달리고 있다. 지금 이 순간에도 한국으로 이주해 온 고려인 학생들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환경에 적응하고 온전한 정착을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급증하고 있는 고려인 학생들, 한국어 사용 능력의 부족함, 한국인 학생들과의 소통 부족, 교과 및 생활 지도의 어려움으로 인해 고려인 학생들에게 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이주의 과정과 이주지에서의 정착 경험을 고려인 아동의 시각에서 적극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학교에 재학 중인 고려인 학생들 14명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그들의 인식과 삶을 심층 면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주 전 생활, 이주 과정, 고려인으로서의 정체성, 한국에서의 학교생활 및 가정생활, 진로 등에 초점을 두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담의 모든 내용은 녹음하고 전사해서 반복적으로 검토하여 고려인 학생들의 인식과 삶에 대한 특징적인 점을 ‘본국에서의 경험과 기억, 한국 이주의 목적, 본국에 있는 친척들과의 네트워크,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고려인 역사교육의 필요성, 한국 생활에 대한 만족도, 한국어 습득의 어려움, 일터로 나가는 부모님, 한국에서 계속 살고 싶어요, 방과 후에 그리고 주말에 무엇을 하는가, 고려인 학생들의 꿈’으로 총 11가지를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능동적 행위자이자 삶의 주체로서의 고려인 학생들의 인식과 삶을 드러낼 수 있었다. 이어서 심층 면담의 결과 분석과 해석을 바탕으로 추후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고려인 학생들의 인식과 삶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한국인 학생들과 고려인 학생들 간의 소통과 융화를 이루고 학교 교육과정 및 고려인 역사교육 프로그램을 적실하게 설계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이다. The train of the Korean forced immigrants, which was heading to Central Asia, is still running through Russia, Central Asia and Korea. At this moment, the Korean students who have moved to Korea are struggling to adjust to the environment and to settle down despite the difficult conditions. The rapidly increasing Korean(Goryeo People) students, lack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ack of communication with Korean students, and difficulty in teaching and living led to the need for attention. It was necessary to actively understand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the experience of settlement in the place of mi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children. In this study, we listened to the voices of 14 Korean students in the school where the researcher works, and examined their perceptions and liv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focused on pre-migration life, migration process, identity as Korean, school life and family life in Korea, and career. All the contents of the in-depth interview were recorded, transcribed, and repeatedly reviewed, and a total of 11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life were extracte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Experience and memory in home country, purpose of immigration to Korea, network with relatives in my home country, identity as a Korean, the need for Korean history education, satisfaction with life in Korea, difficulty in acquiring Korean, parents going to work, continued in Korea I want to live, what do you do after school and on the weekends. Through this, students’ perception and life as an active actor and subject of life were revealed. Subsequently, based o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5·18 부정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 역사부정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 -

        김민수(Kim, Min-Su) 효원사학회 2020 역사와 세계 Vol.- No.58

        근래에 대두된 것으로 보이는 5‧18 부정은 신군부에 의해 국가 폭력이 일어난 1980년부터 시작되었다. 민주화가 된 후에도 불완전한 과거청산으로 가해자, 협력자, 방관자들의 5‧18 부정은 계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5‧18부정에 대한 인식을 전국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세 지역 학생들 606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여 역사과 수업에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세 지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5‧18 부정에 노출된 학생 수와 5‧18 부정을 신뢰하는 학생의 수를 비교해보았다. 5‧18 부정에 노출된 학생이 가장 많은 지역이 5‧18 부정에 대해서 비판적인 학생도 가장 많았다. 고등학생들이 5‧18 부정에 노출된다고 이를 수용하는 것은 아니었다. 둘째, 공식적 역사학습이 5‧18 부정을 대하는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세 지역 모두 수업시간에 선생님을 통해 5‧18에 대해 알게 되었다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다. 그러나 교사가 교과서 내용 위주로 강의하는 수업을 많이 하는 지역에는 5‧18 부정을 수긍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수동적인 학습형태를 가진 학생들이 5‧18 부정에 대해서도 수용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셋째, 공공역사가 5‧18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부모님과 5‧18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개방적 분위기가 많은 지역의 학생들이 5‧18의 의미와 현안에 대해서 더 많이 알고 있었다. 이 지역 학생들은 다른 지역 학생들보다 5‧18 부정에 더 많이 노출되었지만 자기 생각을 말할 수 있는 학습 기회와 개방적인 지역 분위기를 통해 5‧18 부정에 대해 비판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의 숫자가 많은 편이었다. 설문 결과를 통해 생각해볼 점은 학생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말할 수 있는 수업과 공공역사에 참여할 기회를 가질 때, 5‧18 부정에 대해 자기 생각을 가지고 비판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또 역사부정 역시 수업의 대상으로 삼아서 학생들이 공적인 공간에서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는 수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역사교과서에 과거청산뿐만 아니라 역사부정과 부인문화까지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examine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ccepting or rejecting 5‧18 denial.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investigation made suggestions for history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I surveyed high school students. 606 students living in three regions responded, and I analyzed the responses and concluded. First, in the region with the largest number of students who are aware of 5‧18 denial, the number of students criticizing 5‧18 denial was the most. Students did not accept 5‧18 denial just because they heard it. Second, it was examined whether the learning pattern had an effect on the acceptance of 5‧18 denial. Students usually got their knowledge about 5‧18 from the teacher. However,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students in areas where teachers read and explain textbooks accepted 5‧18 denial. Students who learn passively were more likely to accept historical denials. Third, the effect of public history on historical perception was researched. Students who talked a lot with their parents or participated in historical events thought variously about the May 18 denial and criticized it. It is important that students have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public history and learning where they can speak freely.

      • KCI등재

        계획하기 단계 수업이 학생들의 글 수준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승주 ( Lee Seung-ju ) 배달말학회 2017 배달말 Vol.61 No.-

        글을 쓰면서 계획을 세우지 않는 학생들이 계획을 세우는 학생들보다 많으며, 계획하기의 가치에 문제를 제기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계획하기 단계 수업이 학생들의 글 수준과 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 그 필요성을 검증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먼저 사전 설문 조사로 학생들이 계획하기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계획하기의 필요성에 확신이 없는 고등학교 1학년 12명 학생들 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그다음 이 학생들을 무작위 추첨하여 실험 집단, 비교 집단으로 6명씩 나누었다. 실험 집단 학생들은 교사가 내어 준 활동지 순서에 따라 ‘자신의 입장과 독자 정하기, 브레인스토밍과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내용 생성·선정하기, 주제문 정하기, 소주제 및 소주제의 구성 순서 정하기, 개요 짜기’의 계획을 세운 뒤에 글을 썼다. 비교 집단은 계획을 세우지 않고 바로 글을 썼다. 다 쓴 글은 교사 세 사람이 채점 항목에 따라 점수를 매겼고, 학생들도 두 집단 모두의 글을 돌려 읽고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내어 준 설문지에 학생들이 답을 하고 실험을 마무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개요를 짜고도 점수가 낮은 한 편의 글이 있긴 했으나 실험 집단 6편의 글 중 5편의 글이 비교 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로써 계획하기 단계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글 수준이 더 높다는 결론을 얻었다. 둘째, 실험 전·후 인식 조사에서 학생들은 대부분 계획하기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계획하기를 거친 뒤 글을 쓸 것이라고 답한 학생들이 10명이었으며, 교사가 안내하는 계획하기 단계 수업이 필요하다는 쪽 의견도 9명이었다. 나머지 학생들 중 자신의 글쓰기 성향을 계속 따르고 싶은 학생도 있었는데, 글쓰기 지도에서 교사가 헤아려야 할 부분이었다. 이렇듯 글쓰기를 가르치는 현장에서 계획하기를 다룬 수업은 여전히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겠다. There are more students who do not plan on writing than students who plan, and some researchers raise questions about the value of plann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planning stage lesson affects students' writing level and awareness, and to verify its necessity. First, I looked into the pre-survey on how students thought about planning. In this survey, only 12 students of the first grade in high school who are not well aware of the need for planning activiti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students were then randomly drawn into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ative groups.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rote the text after planning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worksheet given by the teacher. The comparison group immediately wrote the text without planning. The text was scored by three teachers according to the scoring criterion. Students in both groups also read and evaluated the other’s texts. Afterwards, students answered the post-survey and finished the experimen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5 out of 6 tex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higher score than ones in the comparative group though there was one text with a low score. This concluded that planning stage lesson would increase the students’ level of writing. Second, there is change in awareness in the pre-survey and post-survey. Most of the students were found to think that planning stage was helpful for writing. There are 10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ould write after the planning stage, most of whose opinions, which is 9 out of 10 students, are that the teacher should include planning stage lesson in writing class. The rest of the students would continue to follow their writing inclination, however, I think tea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ose students in writing instruction. Thus, 'planning stage lesson' still has important value in the classroom for teaching writing.

      • KCI등재

        일반학급 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한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표본 개념 이해 수준 연구

        고은성,이경화 韓國英才學會 2011 영재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일반학급 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해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표본 개념 이해 수준을 살펴본다. 먼저 조사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토대로 표본 개념 이해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개발하였다.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표본이 모집단의 일부분이라는 것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0수준, 표본을 모집단의 부분집합으로 인식하는 1수준, 표본을 모집단의 준비례적 축소버전으로 인식하는 2수준, 편의없는 표본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3수준, 무작위 추출이 표본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4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개발된 평가 기준을 근거로 각 학생의 이해 수준을 조사한 후,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의 표본에 대한 이해 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두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검정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에서 수학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학급 학생들 두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준별 빈도를 조사한 결과 수학영재학급 학생들의 이해 수준이 상위 수준에 분포되기보다는 일반학급 학생들의 이해 수준과 상당부분 중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evel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samples through comparison with non-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rubric for understanding of sampl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students' responses to tasks: no recognition of a part of population (level 0), consideration of samples as subsets of population (level 1), consideration of samples as a quasi-proportional, small-scale version of population (level 2),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unbiased samples (level 3), and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random sampling (level 4). Based on the rubric, levels of each student's understanding of samples were identified. t tests were conducted to test fo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For both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raders, the t test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Table of frequencies of each level, however, shows that levels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samples were not distributed at the high levels but were overlapped with levels of non-gifted students' understanding of s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