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효과적인 학사지도 전달체계: 숭실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2

        There has been wide recognition that the academic advising continues to be of central issue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reviewed American academic advising organization and the academic advising system in Soongsil University in order to provide insights on the future direction of academic advising delivery system. The results suggest that academic advising system in Korea should be organized in post-conventional view. Also, higher education professionals should consider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ir university and students to design effective academic advising system. Finally, korean universities should review and monitor the process of academic advising and continue to expand academic advising system for students to develop both academically and socially. 대학교육이 대학생의 인지적 발달에 관심을 두던 것을 넘어서 정서적 발달을 포함하는 전인적 발달을 중시하게 되면서 이러한 대학생 발달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학사지도가 주목받게 되었다. 본 연구는 미국의 학사지도제도를 살펴보고, 숭실대학교의 학사지도제도를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 대학의 학사지도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학사지도조직은 후인습적 관점에서의 조직으로 정비되어 조직의 변화가 융통적이고 다른 부처와의 협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학사지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대학의 특성과 학생의 요구를 고려한 학사지도제도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이미 학사지도제도를 시행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여 학사지도제도를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학사지도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체계화하는 것은 대학생의 인지적, 비인지적 측면의 균형있는 학습과 발달을 이루도록 하며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이루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전문대학에서의 학사학위 수여제도에 관한연구 -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하경표 한국일본교육학회 2007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12 No.1

        본 논문은 전문대학에서의 학사학위 수여 제도에 관하여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2008학년도 도입을 눈앞에 두고 있는 우리나라의 전문대학에서의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제도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문대학에서의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을 운영하는 목적은 전문대학 졸업자의 계속교육 활성화를 통한 직무능력제고, 실무와 현장 중심으로 구성되 는 직업중심의 학위취득, 산업체의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대학 교육의 역량강화, 직업교육기관으 로서 전문대학의 위상제고 등의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전문대학에서의 학사학위 수여 에는 교육의 질의 보장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1992년부터 단기고등교육기관에서의 학사학위 수여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일본은 우리나라와는 다른 형태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전문대학의 수와 학생 수가 격감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일본의 전문대학 학사학위수여제도는 별도의 수여 기구를 통한 교육의 질을 보장하고 개별화된 학사학위과정을 운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이 제도가 활성화 된다면 평생교육체제의 지원과 고등교육의 기회 균등이라는 관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운영의 저해요인 분석

        채재은,이인서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3 고등교육 Vol.6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obstacles to curriculum sharing activities among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a strategy for overcoming the university financial crisis and educational innovation. To this end, eight consortia participating in the 'Digital New Technolo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novation Sharing University Project' ('COSS Project'), which focuses on curriculum sharing activities, were set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First, the business plans for the first and second years of the eight consortia were used to analyze their joint curriculum operation plans and academic system improvement performance,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heads of the academic affairs teams of the eight consortia to understand the results in more depth. The analysis of the eight consortiums' plans showed that, first, the homogeneity of the participating universities, not jus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niversit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rriculum sharing among universities. Second, among the types of joint curriculum operation, joint operation of microdegree courses, credit transfer and credit accreditation, credit exchange systems, and intensive programs were found to have higher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the lesser the need to change the existing academic system, the easier it is to gather opinions on campus and the more likely it is to encourage students to take courses at other universities. These findings were reinforced by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ith the heads of academic affairs teams, which revealed that in addition to factors at the level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higher education system, and policy, there are many factors at the level of individual universities that make it difficult to improve the academic syste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a number of new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at the university and government levels to promote shared activities among univers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재정 위기 극복 및 교육혁신 전략으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활동’의 저해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공유활동을 중점 지원하는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COSS 사업’)’에 참여하는 8개 사업단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8개 사업단들의 1, 2차년도 사업계획서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개선 계획과 실적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 8개 사업단의 학사행정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8개 사업단의 계획서 분석 결과, 첫째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개선에는 ‘개별대학 특성’만이 아니라 ‘참여대학들의 동질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사제도개선 유형’ 중에는 마이크로디그리정 운영 관련 개선 실적이, ‘학점교류 및 학점인정’ 유형 중에는 학점교류제 시행 관련 개선 실적이, ‘학기 운영’ 유형 중에는 집중이수제 실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학사제도를 변경할 필요성이 적을수록 학내 의견 수렴이 쉽고, 학생들의 타교 교차수강도 활성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학사팀장 면담 결과 분석을 통해서 보다 확연히 드러났다. 분석 결과, 고등교육체제, 고등교육 제도와 정책 차원의 요인들 외에도 학사제도 개선을 저해하는 는 개별 대학 차원의 요인들이 다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간 공유활동 촉진을 위해서 각 대학, 그리고 정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추진해야 할 새로운 과제들이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사업 참여대학의 학사제도 유연화 사례 연구 :참여 주체 간의 이해 차이를 중심으로

        연지연 한국성인교육학회 2020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3 No.3

        As the social demands for the role of universities have changed, the need for universities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undergraduate system and promote the flexibility of the undergraduate system has been raised. In particular, despite the importance of reorganizing the adult-friendly academic system at participating universities in the LIFE project that operates degree programs exclusively for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universities are having difficulty in promoting the system reform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in the process of promotion by studying the cases of the flexibilization of the undergraduate system of LIFE policy participating universities, and to analyze thi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policy. Result of the study showed each university was generally in agreement with the necessity of flexibilization of the undergraduate system, however both active and passive attitudes towards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process was seen. It has been found that perceptions of flexibilization of the academic system from different learners attributed to this result. Among the common difficulties found while promoting the process, balanced acceptance of learners’ needs, consultation with stakeholders, improvement of online classe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tailored to adult learners were suggested. In addition, per analysis of the results,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were seen from several parties; between the university and learners, University departments dedicated to internal businesses, and other departments, and the university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se results, several policy improvement proposals were suggested. 대학 역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변화되면서 대학이 그간의 전통적 학사제도를 탈피하고 학사제도의 유연화를 추진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성인학습자를 전담하여 학위과정을 운영하는 LIFE 사업 참여 대학의 성인친화형 학사제도 개편은 사업의 활성화와 성과 창출 뿐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사회적 수요에 발맞춘 고등교육의 체제 개편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해결과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참여 대학들은 단기간에 학칙의 제․개정과 체계 수립 등 전반적인 체제 개편을 추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LIFE 사업 참여대학들의 학사제도 유연화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운영 현황 및 추진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사업 참여 주체 간의 이해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각 대학들은 학사 제도 유연화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면서도 실제 추진 과정에서 적극적 혹은 소극적인 태도로 양분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각 대학들이 학사제도 유연화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서로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데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추진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통적 어려움으로는 학습자 요구의 균형적 수용, 이해당사자들의 협의, 온라인 수업 질제고 및 성인학습자 맞춤형 교수법 개발 등이 제시되었다. 또한 대학과 학습자, 대학 내부의 사업전담부서와 타 부서, 대학과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간의 이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이해 차이에 따라 학사제도 유연화를 추진하는 방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개선안이 제언되었다.

      • KCI등재

        唐·玄宗과 宰相元制度에 대한 一考

        金明姬(Myoung-hee Kim)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0 No.-

        본고에서는 재상제도가 가진 기능의 변화의 요인을 唐代의 군주들이 가지고 있었던 개인적인 역량에서 찾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唐·玄宗의 治世를 살펴보았다. 唐初의 재상제도가 변화를 보이는 시기는 대게 玄宗 開元년간으로 가장 뚜렷한 변모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이미 武則天 시대로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고, ‘문벌귀족사회(門閥貴族社會)’에서 ‘관료귀족사회(官僚貴族社會)’로 그리고 ‘서족관료사회(庶族官僚社會)’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필연적인 역사적 변화로 파악하기도 한다. 그러나 필자는 唐·玄宗의 성공적인 治世를 보좌한 것으로 알려진 재상 방현령(房玄齡:579-678)과 두여회(杜如晦L585-630), 그리고 玄宗의 정치적 성공에 크게 기여한 요숭(姚崇:650-721)과 송경(宋璟:663-737) 등이 명재상으로서의 명성을 얻게되는 이유는 물론 일차적으로 자신들이 지녔던 개인적인 재능에서 구해야 할 것이지만, 한편으로는 인재 발탁을 위한 혜안이나 그들을 적재 적소에 배치할 수 있는 황제 개인의 정치적 역량이 한 개인으로서 자신들의 재능을 십분 발휘할 수 있었는가 아닌가를 크게 좌우하였을 것이라는 데 비중을 두어 보았다. 이는 玄宗의 치세를 보면 더욱 명확해 진다고 할 수 있다. 武測天 시기의 황실의 변화를 지켜보면서 자랐던 현종의 입장에서 즉위 초에 가장 급선무로 생각했던 것은 정치적인 안정이었다. 그리하여 여러 가지 제도적 개혁을 단해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서도 행정부의 핵심이었던 재상제도를 정비함으로서, 체계가 바로선 정치를 실천에 옮기고자 하였다. 이러한 현종의 노력은 어느 정도 성과를 보아, 唐·太宗의 貞觀의 治와 비견될 만큼의 명성을 얻기에 이른다. 그러나 玄宗의 말년인 唐 중엽 이후가 되면 宰相이 주요한 권한을 장악하고 정치를 어지럽히는 역할을 하게된다. 특히 玄宗 이후의 황제들 역시 자신의 세력을 확고히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翰林學士들을 대거 기용하여 편애하였으며, 그들 가운데서 宰相이 배출되었다. 또한 환관 高力士가 정권을 잡은 이후 宦宮들이 궁정의 모든 권한을 독점하게 되면서 內朝와 外朝의 관료를 任免하는 권한을 장악하였고, 심지어는 皇帝의 옹립과 皇太子의 책봉 등에도 절대적인 힘을 발휘하여 실세를 가진 재상(宰相)으로서 대우를 받기에 이른다. 이 뿐만 아니라 宰相의 職이 분산되어 使의 벼슬을 가지고 있으면서, 중앙에 파견되어 宰相의 직무를 행하는 사상(使相)이 출현하였다. 唐末로 접어들면서 財政과 稅收를 주관해왔던 節度使, 염철전운사(鹽鐵轉運使) 등을 영입하여 宰相으로 삼았던 ‘計相’ 제도가 출현하였는데 이 역시 중앙에서의 황제권의 약화와 직접적으로 연관지어 나타난 현상이었다. 唐·中葉 이후의 재상제도의 변화는 단순히 재상권의 강화라던가 약화라던가 하는 차원이 아니라 황제의 중앙과 지방을 통제하는 정치적 능력에 따라 일정 기능을 가진 관료가 비대해지거나 약화되었으며, 연 이어 재상제도와 재상권의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던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이상백과 한국사회학의 성립

        정수복(Soo Bok Cheong) 한국사회학회 2016 韓國社會學 Vol.50 No.2

        지금까지 한국 대학의 사회학과에서 가르치는 사회학사는 오로지 서구 사회학의 역사를 의미했다. 이 글에서 저자는 한국사회학의 전통을 만들기 위해서 한국사회학의 역사를 연구할 것을 주장한다. 이 논문은 국내 최초로 대학 내에 사회학과를 만들어 사회학을 하나의 분과 학문으로 제도화한 이상백에 대한 연구이다. 이 글에서 저자는 이상백의 개인사와 학문적 · 사회적 활동, 학문적 성취와 그 내용을 요약하고 그가 사회학과를 창설하는 과정을 역사적 문맥 속에 넣어 두껍게 서술하고 분석한다. 그 결과 1946년 해방 정국에서 미국과 유럽에서 공부한 사회학자들이 여러명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상백이 사회학을 제도화하여 한국 사회학의 아버지가 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으로 그의 극좌파에 대한 비판적 입장, 지속적인 진단학회 활동, 학문에 대한 헌신, 학문적 지도자로서의 자질과 능력 등 네 가지 요소가 작용했음을 밝혔다. 이 글의 결론에서 저자는 이상백이 사회사 분야에서 강조한 실증과 사회학에 대한 실증주의적 입장이 이후 한국사회학의 전개 과정에서 이론적 성찰의 부족과 적합성의 결핍이라는 예기치 않은 문제의 씨앗이 되었다고 해석했다. Korean sociology celebrates this year, it"s 70th anniversary. Concentrating it"s focus on the role of Lee Sang-Beck, this article sheds lights on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sociology in Korea. Lee studied sociology and history in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fter liberation, in spite of the presence of several rival sociologists who had been trained in the U. S., Germany, France and Japan, Lee became the main actor i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sociology. This article describes this process and explains his success as the founding father of Korean sociology by four main factors: his non-leftist political position, his active participation at Jindan Hakhoe(Jindan academic circle) which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reconstruc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is sincere academic attitude and his charismatic leadership. Both his achievement in social history and his conception of sociology as an empirical science had been inherited by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sociologist. Nevertheless Lee"s intellectual legacy produced two side effects: insufficient theoretical reflection and lack of relevance.

      • KCI등재후보

        편입학 제도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모색

        한유경(You-Kyung Han),윤수경(Soo-Kyung Yoon),권민경(Min Kyoung Kwo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3

        최근 학령인구의 감소, 취업난 등으로 청년층의 수도권 선호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대학의 교육여건과 관계없이 지역대학 기피현상이 특히 편입학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편입학으로 인한 대학간 학생 이동은 대학서열의 공고화, 대학의 학사 운영의 부실화 등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는 편입학 제도개선안을 발표하였으나 이 개선안이 가져오는 효과 및 문제점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편입학 실태 분석을 통해 교과부가 발표한 편입학 제도 개선안의 보완사항 등을 포함하는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전체대학과 우수대학, 대학 소재지와 대학 설립 주체, 전공계열을 구분하여 실제로 학생들이 어떠한 대학과 전공을 선호하고 있는지에 대해 일반 편입학과 학사 편입학의 지원 경쟁률과 충원율을 중심으로 하여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우수대학을 중심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편입학 전형 방식, 새로 적용되는 편입학 입학정원 산정 방식에 따른 대학편입 규모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편입학 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도별 전체대학 및 우수대학의 편입학 실태 분석 결과, 일반 편입학과 학사 편입학의 경쟁률과 충원율 모두 수도권 사립대학과 수도권 국‧공립대학이 높게 나타나, 수도권 대학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대학 유형에 따른 전공계열별 실태 분석 결과, 수도권 국‧공립대학과 수도권 사립대학의 경우 모든 전공계열에서 높은 경쟁률과 충원율을 보였다. 이에 비해 지역 국‧공립대학과 지역 사립대학은 교육계열과 의약계열을 제외한 전공계열의 경쟁률과 충원율이 낮게 나타났다. 수도권 우수대학의 일반 편입학과 학사 편입학의 경쟁률과 충원율이 지역 우수대학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편입학 전형은 영어를 중심으로 한 정량적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2013년 수도권 사립대학의 편입학 규모는 상당부분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편입학 제도의 개선을 위해서 일반편입학 여석 산정기준 방식의 수정‧보완, 학사 편입학 여석 산정 방식의 개선, 편입학 전형 방식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view college students’ transfer and countermeasures and suggest the revision plan by analyzing problems. For this aim, this study examines the policy process and overall situation of the college students’ transfer. This study then analyzes the data, which are based on the college transfer data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data focus on problems and issues of college students’ transfer among colleges and universities by popularity, region, and found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several issues have been found and some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First, regarding transfer with bachelor degree, students transfer to different majors, especially medical and pharmaceutical college or college of education. Nevertheless, they also prefer metropolitan area colleges as transferred students without bachelor degree. The reputation of colleges is also a major factor. Second, the analysis of mobility between regions, colleges, or majors through transfer reveals the strong hierarchy among colleges. Especially, transfer without bachelor degree is more hierarchical: preference for metropolitan area colleges rather than local colleges and higher ratio of transfer students from public local colleges rather than transfer students from private local colleges. This issue is need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universities and the regulation of college transfer and to improve the college student transfer system in order to prevent inefficiency and inequity of college student transfer.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choice of freedom, adjustment of the number of universities involved in college transfer system is necessary.

      • KCI등재
      • KCI등재

        전공기반의 효과적인 학사지도-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 사례를 중심으로

        강성배,최경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5

        최근 대학에서 신입생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신입생 교육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대학생활전반에 1학년 시기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대학에서 신입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학사지도제도는 대학생의 학문적 목표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에 대한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회를 탐색하고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학생과 교수가 의사소통을 통해 잠재력을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 대학에서 운영 중인 학사지도제는 학부제에서의 학사지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우리나라 많은 대학에서는 학부제보다는 전공기반 대학교육이 이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부제가 아닌 전공기반의 효과적인 학사지도교육의 성과 및 과제를 살펴보고자 동국대학교 파라미타칼리지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전공기반의 학사지도제도의 특성과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대학 구조적 측면, 학사지도 전문화 측면 그리고 체계적인 학사지도 관리 측면에서 전공기반의 효과적 학사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cently, education for freshmen in university has been emphasized because of its importance, so researches related with education for freshmen have been conducted actively. Especially, because first year in university could significantly impact on overall university life, many universities operate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freshmen. Academic Advising Program means that professors help students explore opportunities and develop abilities to achieve students’ goal in university life as well as their academic goal, Furthermore, it also means that professors help students develop their potential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students. The most of universities in other country run Academic Advising Programs based on division system, but in Korea, the most of universities educate students based on major instead of division syst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dvising Program based on major and to suggest direction for development by considering the case of the Dongguk university PARAMITA college. Finally, this research proposes implication for effective academic advising based on major in an aspect of university’s structure, specialization of academic advising and systematic management for academic advising.

      • KCI등재후보

        ‌특수목적언어, 교양과목 및 전공과목의 융복합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에 관한 연구 ― 국내 중국인유학생을 중심으로

        서정목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methodology of providing customized convergence-based programs to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setting them as education consumers in Korea. Universities in Korea should create subjects, or programs which fulfill various demands of times and society through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s because the existing faculties or departments of traditional concepts in universities in Korea can not satisfy various demands in economic and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dditionally, it is impossible to operate independent faculties or departments only for the students from abroad. Accordingly, convergence-based programs consisting of 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 general education and major subjects, and convergence-based subjects should be combined and operated. If both the academic advisory system and the career coaching system are integrated, complementing each other, convergence-based programs in linkage with 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 general education and major subjects, and convergence-based subjects will be operated more effectively. When all the academic affairs will be guided by the academic advisory system, and the consulting on the students' career and aptitude will be provided through the career coaching system, appropriate package programs customized for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will be combined, and convergence-based programs will be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ir purposes. 본 논문의 목적은 국내대학에서 중국인유학생들을 교육수요자로 설정하여 이들에게 맞춤형의 융복합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존의 전통적인 학과제도만으로는 다양한 경제적, 사회문화적인 수요를 충족할 수 없기 때문에 국내대학들은 학제 간의 융복합을 통하여 시대와 사회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교과목, 또는 프로그램을 창출하여야 한다. 또한 국내대학에서 특정국가의 유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학부, 또는 학과를 독립적으로 개설, 운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국내 중국인유학생을 위한 특수목적언어, 교양과목 및 전공과목의 융복합 프로그램이 구성되고 운영되어야 하는 것이다. 학사지도교수제도와 커리어코칭제도가 상호보완되어 통합된다면, 특수목적언어, 교양과목, 전공과목 및 융복합 교과목의 연계를 통한 융복합 프로그램이 보다 더 효과적으로 운영될 것이다. 학사지도교수제도를 통하여 학사전반의 지도가 이루어지고, 커리어코칭에 따라 진로 및 적성에 대한 컨설팅이 제공될 때에 국내 중국인유학생들에게 적합한 맞춤형 패키지 프로그램이 구성되고, 융복합 프로그램이 목적에 맞게 구성되고 운영될 것으로 본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국인유학생을 위한 융복합 프로그램으로 한국학전공, 빅데이터전공, 그리고 중국회계 및 세무전공과 중국공인회계사 취득과정을, 지원제도 방안으로는 중국내 역유학제도를 제시하였다. 국내외에서 중국인유학생을 위한 융복합 프로그램 하에 특수목적언어, 교양과목을 비롯하여 부전공, 연계전공, 자기설계전공 등 다양한 형태의 전공이 효과적으로 운영된다면, 국내 중국인유학생들을 위한 중국과 한국에서의 사회적 수요의 충족과 취업 등 제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