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상담자 발달 단계별 수퍼비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허난설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6

        Supervision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school counselor training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Differentiated supervision models for school counselors can help better understanding of comprehensive school counseling programs of the school counselor trainees, and consolidate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In addition, supervision opportunities for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an facilitate the networking process among the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and prevent their burnouts. In spite of the necessities and benefits mentioned abov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reported about the supervision models for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supervision models which can apply into the Korean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 education system.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uthor divided the Korean school counselor development into the three phases - school counselor trainee level, novice school counselor level, and skilled school counselor level. Then, the purpose of the supervisio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supervision modalities and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for each developmental phase were provided. Lastly, suggestions for the policy and system changes which can increase the supervision opportunities for school counselors, and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학교상담자 훈련 및 전문성 발달 과정에서 수퍼비전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학교상담자들을 위해 차별화된 수퍼비전은 학교상담자를 희망하는 수련생들이 종합적인 학교상담자의 업무를 이해하고, 학교상담자로서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활동 중인 학교상담자들에게도 수퍼비전은 동료 간 네트워킹 및 소진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혜택에도 불구하고, 학교상담자 수퍼비전에 대한 학계의 논의는 매우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학교상담자 수퍼비전 문헌들을 분석하여, 한국 학교상담자 교육에 적용 가능한 수퍼비전 모델 및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교상담자 발달 단계를 학교상담 수련생 단계, 입문기 학교상담자 단계, 숙련기 학교상담자 단계로 나누고, 각 발달 단계별로 수퍼비전의 목적과 발달단계의 특성, 수퍼비전의 형태, 적용 가능한 이론적․방법론적 접근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상담자를 위한 수퍼비전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 제도적으로 정비되어야 할 사항에 대한 제언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에 대한 개념도 연구: 중학생 내담자와 전문상담교사의 인식비교

        이현아,이기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7 No.2

        This study explored the helpful aspect and dissatisfied aspect in school counseling perceived by the middle school student client' and compared these with the school counselor's conjectures using the concept-mapping method. A total of 21 middle school student clients and 10 school counselors were interviewed on the helpful and dissatisfied aspects of ongoing school counseling service (5-15 session). The key sentences from the interviews were extracted, sorted and rated by themselve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method were used in order to identify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ir experience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 clients' and school counselors' perceptions were explored, an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explores the helpful aspect and dissatisfied aspect of school counseling through the middle school student client’s point of view. The helpful aspect will enhance the impact of school counseling by strengthening the level of services to be provided, and the dissatisfied aspect analysis will highlight the area of reforms and improvements in order to establish a strong base on school counseling. In addition, the suggestions on methods to practice the result of school counseling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전문상담교사의 도움을 받아 학교상담(개인상담, 집단상담, 심리검사, 자문, 의뢰 등)을 경험한 학생 내담자를 대상으로 개념도 방법론을 사용하여 학생 내담자의 입장에서 지각하고 있는 학교상담의 도움요소와 불만족요소를 탐색적으로 연구하였다. 더 나아가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학생 내담자가 학교상담의 어떤 부분을 도움요소나 불만족요소로 인식하는지 그들의 추측을 탐색하여 상담자와 내담자의 경험을 입체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 소재 네 개의 중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에게 자발적으로 5회 이상 학교상담 서비스를 제공받은 중학생 내담자(남자: 9명, 여자: 12명)를 대상으로 학교상담 서비스의 도움요소, 불만족요소 질문지를 활용 하여 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또한 서울·경기 소재에 있는 중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로 재직한 경력이 2년 이상인 학교상담가(남자: 1명, 여자: 9명)를 대상으로 개인면접 및 전화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의 축어록에서 핵심문장을 추출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각 핵심문장별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생 내담자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도움요소는 ‘전문적 지원’, ‘정서적 지지(미시적)’, ‘상담실 활성화로 인한 정서적 안정’, ‘학교상담프로그램(집단상담, 또래상담)의 수혜’의 군집으로 나눠졌으며, 불만족 요소는 ‘상담실 이용 시 문제’, ‘학교상담의 편견’, ‘비밀보장의 한계와 비자발성’, ‘상담실의 물리적 문제 및 비활성화’의 군집으로 나눠졌다. 다음으로 전문상담교사가 학생내담자의 입장에서 추측한 학교상담의 도움요소는 ‘정서적 지지(거시적)’, ‘학교상담실의 활성화’, ‘정보 제공 및 문제해결 개입’, ‘다양한 외부적 자원 활용’의 군집으로 이루어졌고, 불만족요소는 ‘학교상담 성과의 한계’, ‘학교상담실 위치 및 환경 문제’, ‘비밀보장의 한계’, ‘학교상담 운영 시 문제’, ‘학교상담의 편견’으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상담 서비스의 연구와 실제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

        학교 상담자의 동료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김명화,송현심,하정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eck school counselors’ importance of peer supervision and examine what experiences are done in peer supervision and which support system are required based on the experiences. Methods For this, a research was conducted by selecting total ten school counselors with school counseling experiences for three years or more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developed by Hill.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task and organization systems felt by school counselors, awareness of school counselors, awareness of peer supervision, and factors for growing as school counseling expe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chool counselors’ peer supervision experiences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were discussed. That is, the school counselo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an increase in various tasks, roles, and cases of crises and difficulties due to differences of the recognition of peer supervision according to school managers. On the other hand, they have found to participate in peer supervision and agonize about practical help, emotional comfort, efforts for improving expertise, and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 support. Conclusion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chool counselors were living their lives as a counselor in the working environment which was neither diverse nor systematic. They were also solving difficulties they experienced as a school counselor by finding their own method through peer supervision. Even though the school counselors were receiving realistic help and emotional comfort that could complement deficiencies through peer supervision, they were experiencing limitations and feeling psychological discomfort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complement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necessities to systematically carry out the official and professional education, and also to provide the supervisor education as an expert in some areas. 목적 본 연구는 학교 상담자들의 동료 수퍼비전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고, 동료 수퍼비전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또한 그 경험을 토대로 어떠한 지지체계를 필요로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3년 이상의 학교 상담경력이 있는 10명의 학교 상담자를 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참여자 선정은 눈덩이 표집법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Hill에 의해 개발된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사용하였다. 반구조화된 면접과 개방형 질문을 통해 참여자들의 반응을 유도하고, 연구팀과 감수자를 두어 자료 분석과 해석 과정에서 여러 사람들의 시각과 관점을 반영하여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결과 학교 상담자가 느끼는 업무 및 조직체계, 학교 상담자에 대한 학교의 인식, 동료 수퍼비전의 경험, 그리고 학교 상담 전문가로성장하기 위한 요인들로 정리되었다. 즉, 학교 상담자는 다양한 업무와 역할, 위기 사례의 증가로 인한 어려움, 학교 관리자에 따른동료 수퍼비전 인식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반면, 동료 수퍼비전에 참여하며 현실적 도움과 정서적 위안,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 심층적으로논의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 상담자들은 다양하고 체계적이지 않은 업무환경에서 상담자의 삶을 살아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학교상담자로써 경험하는 어려움들을 동료 수퍼비전을 통하여 나름의 방법을 찾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상담자들은 동료 수퍼비전을 통하여 부족한 영역을 채울 수 있는 현실적 도움과 정서적 위안을 얻고 있으나, 동시에 한계를 경험하며 심리적 불편감을 느끼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체계적으로 실시되어야 하며, 일정 부분은 전문가인 수퍼바이저의 교육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 또래상담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질적 분석

        노성덕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7 청소년상담연구 Vol.15 No.2

        Peer counseling has developed since 1990s and it specially has showed great growth in middle / high school system in Korea. Many professional counselors and school counselors introduce peer counseling as an effective counseling method in school. However, in spite of the practical usefulness, there has been little studies on analysing how it has been utilized and established in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establishment process by means of interviewing teacher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 is ; What are the factors to influence on establishing peer counseling at high schools? As a results : the major factors which influenced peer counseling establishment in high school were 1) teachers, 2) peer counselors, 3) school environment, 4) visible outcome, 5) interest and support from outside. The teacher factor and peer counselor factor were the most fundamental factors and visible outcome was resulted from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factors. The school environment factor and the support from the outside were the external factors which influence peer counseling establishment. This study suggested recommendations in regard of institutional support and considerations for peer counseling establishment in schools and youth counseling cent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또래상담은 1990년대 이후로 우리나라에 학교상담의 한 가지 방법으로 적용되어 정착되기 시작했다. 특히 한국 청소년상담원에서 국가정책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면서 매우 활성화되었는데, 이에 따라 매우 많은 연구들이 진 행되었다. 하지만 또래상담이 학교에 정착되는데는 상당한 어려움들이 있다. 특히나 대학 입시를 강조하는 고등 학교의 경우 교과와 다른 여타의 활동이 원활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래상담은 고등학교에 다양한 방법으로 정착되어가고 있다. 외국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또래상담을 학교에서 효율적으로 운 영하고 정착시키고자 하는 방안을 제시한 연구들이 시도되어왔다. 그렇지만 또래상담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들에 대한 탐색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또래상담을 정착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질적분석 방법으로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또래상담 정착 기준에 부합하는 6개 고등학교 교사를 면담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등학교에서 또래상담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① 지도교사, ② 또 래상담자, ③ 학교환경, ④ 가시적인 성과, ⑤ 외부의 관심과 지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 가운데 지도교사 와 또래상담자는 또래상담 정착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요인이며, 가시적인 성과요인은 이 두 요인의 상호작용 을 통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학교환경과 외부의 관심 및 지지는 또래상담 정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외 부요인이라 할 수 있다.

      • 초등학교 상담의 활성화를 위한 일 연구 :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한숙경 圓光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2003 敎育硏究 Vol.- No.22

        학교상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 나라에는 현재까지 학교상담, 특히 초등학교 상담 및 전문상담교사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들이 매우 부족하며, 특히 도입 4년이 지난 전문상담 교사 양성과정상의 문제점과 배출 후 그들의 위상 및 역할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상담의 전문성 확립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의 초등학교에서 학교상담 활동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합학교상담프로그램 중, 가장 최근의 이론인 학교상담 프로그램을 위한 국가모델에 기초하여 학교상담의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그리고 초등 전문 상담교사 자격을 갖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우리 나라 초등학교 상담의 실태와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및 역할 수행에 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응답 내용을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을 중심으로 초등학교 상담의 전문성 확립 및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여, 전문상담교사 자격 취득의 동기 전환, 상담교사 양성과정의 교육과정 개선, 상담활동의 공식화, 전문상담교사의 적극적 활용, 체제지원, 상담 인력 및 상담 지원인력의 확보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와 일반상담교사 배치 학교 학생들의 학교상담에 대한 인식

        배인수,이윤주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6

        This study tri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actual counseling conditions, the expected roles of counselors, the satisfaction with their service, and the measures to improve school counseling between the schools that plac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the schools that place general counseling teachers who teach regular curriculum with proper counseling certificate. This study carried out and analyzed a national survey with 1,650 students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1,662 students in those with certified general counseling. The survey found that the students in the schools with specialized counseling teachers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 overall factors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higher rates in the role expectation for and satisfaction with counseling teachers. Both groups turned out to have been highly aware of the need for the presence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school as a leading role and for a way to improve student counseling. However, it turned out negatively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school counseling, the lack in the understanding of and distrust with school counseling and the roles and qualification of counseling teacher. Therefore, this study has its objectivities in suggesting the measures and plans to improve the problems in school counseling regarding the perceptual change of students on professional and general counseling teachers for school counseling, the advancement in the conditions of school counseling, the qualification and expertise of counseling teachers and the expansion of the presence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schoo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tress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counseling conditions in school and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of qualification and expertise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high quality of counseling. This study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findings propose the opportunity of more active and live counseling performance, the presence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in school and better counseling services.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와 일반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 학생들의 학교상담 실태, 역할 기대, 상담 만족도, 학교상담 발전 방안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여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과 학교상담 활성화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전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 학생 1,605명, 일반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 학생 1,66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상담교사 배치 학교 학생들이 학교상담 실태 전반적 요인에서 긍정적 인식을 하였으며, 상담교사에 대한 역할 기대 수준과 상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학교상담의 주체 요인과 발전 방안으로 상담만을 전담하는 전문상담교사 배치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교상담 여건과 환경, 상담에 대한 이해 부족과 불신, 상담교사 역할과 자질 등에 대해서 부정적 인식의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와 일반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 학생들의 인식에 따른 학교상담에 대한 이해와 인식변화, 상담활동 여건과 환경 개선, 상담교사의 역할 자질과 전문성 신장, 전문상담교사 배치 확대 시행 등 학교상담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책과 활성화 및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학생들에게 질 높은 상담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담 여건과 환경을 개선하고, 전문상담교사로서의 역할 자질과 전문성 신장의 중요함을 일깨워 준다. 아울러 적극적이고 활발한 상담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각 급 학교에 전문상담교사를 배치하여 만족한 상담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후보

        학교상담자의 에듀테인먼트 기반 처우 만족도와 소진 분석

        박애경(Ye-Kyung Park),허정경(Jung-Kyoung Huh)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는 전국의 초 · 중 · 고등학교에서 상담업무를 수행하는 학교상담자 214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처우만족과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에듀테인먼트 기반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그 결과, 학교에서 상담업무를 수행하는 본 연구 대상자는 사회복지 관련 학과를 졸업한 뒤, 일주일에 20시간 미만으로 30명 미만의 학생들을 친구문제를 위주로 상담실에서 개인상담을 하고 있었고, 현장에서 주로 상담기법과 프로그램 적용에 관하여 학교로부터 지원받는 정기적인 교육 · 훈련이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므로 필요하다고 했으며, 소속 학교 교직원의 관심과 협조 그리고 상담시설이 정비되기를 원하였다. 그리고, 학교상담자들의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처우만족도는 전문성 인정과 보상체계, 근무환경, 전문성 신장, 행정지원의 영역에서 주 상담시간과 주 상담학생 수를 줄이고 무능감과 조직 부적응이 낮아져야 더 만족하였다. 상담활동의 소진은 무능감과 사생활 악화, 조직부적응의 영역에서 주로 연간 교육 · 훈련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에듀테인먼트 기반을 둔 학교상담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논의가 전개될 수 있고, 전국의 학교 현장에서 상담업무를 수행하는 전문상담 인턴교사와 학교교육 복지사를 대상으로 인적 특성과 실태, 개선방향, 처우 만족도, 상담활동의 소진에 관하여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treatment satisfaction the results of analysis are counseling career, week consultation hours a day, depending on the number of students, there is a difference, the reward system state office hours, working environment career in counseling, state consultation time, week consult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sub-areas for the exhaustion of the counseling activities, privacy deterioration incompetent wound employer, an annual education and training, depending on the time difference and according to the annual educational organization maladjustment is related with counseling, depending on the number of students and training tim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expertise recognized for counseling incompetent sense of organization maladjustment, and increased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s, satisfaction, and reduced consultation time is reduced reward system, and the inability to sense the factors affecting treatment satisfaction and burnout counseling activities growing organization maladjustment lower satisfaction and the work environment, counseling organization maladjustment, and increased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s, satisfaction, professionalism, lowered kidney organization maladjustment and increased consultation time, higher satisfaction lowering administrative support the low satisfaction increased counseling and counseling students.

      • KCI등재

        학교상담 환경에 따른 상담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비교

        최은숙(Choi, Eunsuk),이태연(Lee, Taey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학교상담의 활성화 정도가 상담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교육부의 지원으로 상담연구학교로 지정된 학교와 일반학교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에 소재한 상담연구학교의 학생 171명과 교사 65명, 일반학교의 학생 197명과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 기존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설문지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상담실 존재여부, 상담실 홍보 정도, 상담 받은 횟수, 개인상담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 둘째, 상담연구학교의 학생들은 일반학교의 학생들보다 상담실의 존재를 더 잘 알고 있으며, 상담에 대한 홍보를 더 많이 경험하였고, 상담을 받은 횟수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상담에 대한 인식은 학생상담 활동이나 학생 의견 수렴의 빈도를 통해 드러나는데 상담연구학교 교사는 일반학교 교사보다 학생상담 활동과 학생 의견 수렴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반학교에 비해 상담연구학교의 학생과 교사가 상담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상담을 위한 시설을 개선하고 상담을 장려하여 학교상담을 활성화시킬 때 학생이나 교사 모두 상담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counseling research schools with general schools fo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activation levels of school counseling on perception for counseling of students and teachers. Survey was carried out to 171 students and 65 teachers of counseling research schools and 197 students and 40 teachers of general schools by questionnaires used in other studies and revised for this study.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nd interpreted as follows. Fist, students showed different perception for counseling according to existence of counseling center, levels of public relations, number of counseling, and types of personal counseling. Two, students in counseling research schools knew better of counseling center, encountered public relations of counselling more often, got personal counseling more frequently. Three, perception for counseling of teachers could be assumed by activities such as counseling students' problems and collecting students' opinion, and teachers in counseling research schools counselled students and collected students' opinion more often. In conclusion, students and teachers in counseling research middle schools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 counseling than general middle schools. So, improvements of counseling facilities and encouragement of school counseling were needed for positive perception for counseling of students and teachers

      • KCI등재후보

        미국 초등학교 상담 연구의 최근 동향

        허승희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2

        초등학교상담의 영역은 1999년도부터 초등학교 전문 상담교사제가 도입됨으로써 최근 연구의 관심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학교상담에 관한 이론적 기반은 취약하며, 특히 초등학교 상담의 영역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상담의 역사가 30여년 이상인 미국의 초등학교상담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차후 우리나리 초등학교상담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대표적인 학교상담 관련 학술지들에 실린 논문들 중, 1990년부터 2001년까지 게재된 초등학교상담 관련연구들을 초등학교상담의 주요영역별 연구주제들과, 전체적으로 중점을 두어 연구되고 있는 주제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영역별로는 초등학교상담의 반응적 봉사활동에 관련된 연구들, 그리고 연구주제별로는 종합적 학교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jor trend of research and important topics in the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area in U.S.A. The 328 articles were analyzed through 3 professional journals about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from 1990 to 2001. They were categorized as four area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Cysbers and Henderson, that is, Individual Planning, Guidance Curriculum, Responsive Service and System Support. And the topics that the frequencies published were above 10 were selec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seemed that the research focus in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is on Responsive Services. And above 50% of the studies in Responsive Services were focused on maladapted children.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current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focused more on remediation compared to preventive intervention. Second, the major research topics on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were comprehensive counseling program, the development of guidance curriculum, school violence, classroom guidance activities, sex education and the consulting activity of the elementary school counselors etc. So, it seemed that the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is moving toward developmental programs.

      • KCI등재

        학교상담 직무환경 평가 도구 개발 및 타당화

        허난설(許蘭雪),김희선(金熙宣),이지향(李智?)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학교상담자들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인적, 문화적 자원의 총체로서 학교상담 직무환경을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상담 직무환경에 대한 기존 문헌 조사 및 전문가 협의, 학교상담자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89개의 예비문항을 작성하였고, 상담전문가 및 학교상담자들이 내용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된 33개의 예비문항에 대하여 1차 데이터 수집은 경기 지역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교사 396명을 대상으로 구인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졌으며, 2차 데이터 수집은 전국에서 근무하는 136명의 전문상담교사와 전문상담사를 대상으로 공인타당도 검증이 이루어졌다. 준거타당도 검증에는 환경 평가 도구와 직무적응도 도구가 사용되었다. 요인분석과 상관계수 분석 결과, 학교상담 직무환경 평가 도구는 행정책임자 요인, 동료교사 요인, 지역교육청 요인의 3요인 구조를 이루었고,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결정된 도구의 내적일관성계수(Cronbach"s α)는 행정책임자 요인(7문항)=.93, 동료교사 요인(4문항)=.85, 지역교육청 요인(4문항)=.86, 전체(15문항)=.9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교상담 직무환경 평가 도구는 교육청이나 단위 학교에서 학교상담자가 근무하기 적합한 직무환경이 갖추어졌는지 평가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태학적 관점에서 학교상담자의 직무 적응 및 만족도, 소진, 학교상담의 효과 등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new questionnaire of evaluating school counseling job-environment, embracing physical, human, and cultural resources. For this purpose,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erts discussion, focus-group interview with school counselors, a pool of 89 items were yield, and then experts of counseling and school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ontent validity; as a result, a total of 33 items were produced for a preliminary version of SCJEQ. Next, construct validity was studied from a total of 396 school counselors working in Gyeong-gi province, then, concurrent validity was yield with the collected data from a total of 136 school counselors national-wide in Korea, based on scales of job-environment in a general setting, the satisfaction of job-environment, and job-adaptatio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the SCJEQ consists of 3 domains and 15 questions. The 3 domains and their coefficient of internal consistency are administrator-related(7 items)=.93; coworker-related(4 items)=.85; local office of education-related(4 items)=.86; and total(15 items)=.91. It is expected that the SCJEQ might be used to evaluate the job-environment of school counselors at the level of a school, as well as a local Ministry of Education. Furthermore,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SCJEQ can be utilized to study the level of job-adaptation and job-satisfaction, burnout of school counselors, and the effectiveness of school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