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플립러닝 적용방안 탐색

        김지수(Kim, Ji Su),박승희(Park, Se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를 위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개념과 플립러닝 수업의 특색을 제시하고, 발달장애(지적장애, 자폐성장애) 학생을 위한 플립러닝 적용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플립러닝 관련 국내외 총 46편의 문헌(국내 29편, 국외 17편) 분석 및 일반교육 및 특수교육 전문가 5명과의 협의회를 실시하였고,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플립러닝 적용방안에 대하여 2명 전문가의 검토를 받았다. 결과 첫째, 일반 수업과 플립러닝 수업을 비교하며 플립러닝의 개념을 6가지로 판별하였고,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을 위한 플립러닝 적용 수업의 특색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발달장애 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분리수업’에서 플립러닝의 적용 절차, 기능적 기술 교수를 위한 플립러닝 적용 수업계획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셋째, 일반학급에서 플립러닝 적용 ‘통합수업’에 발달장애 학생의 참여를 지원하기 위한 일반교사, 특수교사, 특수교육보조인력 및 학부모의 역할 목록을 판별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발달장애 학생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해 특수교사를 위한 플립러닝의 개념과 특색, 분리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적용방안 및 플립러닝 적용 통합수업에 발달장애 학생의 참여 지원방안을 처음으로 탐색해 제시한 예비연구 성격을 지닌다. 끝으로 특수교육 현장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을 지적하였다.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hreefold: First, to provide the concept of flipped learning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lipped classroom strategies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o suggest methods for adapting flipped learning in special and separate class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D) and third, to provide support methods for students with DD participating in flipped learning in inclusive classrooms. Methods A total of 46 articles regarding flipped learning were analyzed and the consultation from five education experts in the field were sought. The application procedures and examplary lesson plans of flipp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DD was completed through a review process by two special education experts. Results First, the concept of flipped class for students with DD in comparison with general class was identified. Furthermore, distinct features of flipped learning for both those students with and without DD were presented. Second, a plan where a special education teacher applied flipped learning directly in a separate class designed to teach functional skills to students with DD, was introduced. Third, for students with DD participating in inclusive flipped classroom, the role inventory of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aprofessionals, and parents was identified and confirmed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D in inclusive classes where flipped learning was applied. Conclusions This preliminary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and strategies for adopting flipp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DD to advance the quality of teaching practices in separate and inclusive classes. It presents a forum for discussion on further topics related to applying flipped learning to teaching practices for students with DD.

      • KCI등재

        플립드러닝이 의대생의 학습접근방식에 미치는 영향

        시지현(Jihyun Si) 한국교육방법학회 2017 교육방법연구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학습자중심 교수학습방법인 플립드러닝이 의대생의 학습접근방식(approaches to learning)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 중심 학습형태로서의 플립드러닝의 특성이 잘 드러나도록 Kim et al.(2014)이 제안한 학습자중심 플립 드러닝 설계원리에 따라 플립드러닝을 설계하여, 플립드러닝 전후로 R-LPQ-2F(수정된 2요인 학습과 정설문지)를 활용하여, 의대생들이 플립드러닝에서 어떤 학습접근방식을 취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처음 플립드러닝 활동에 참여한 의대생의 플립드러닝에 대한 인식조사를 위해 설문조사와 플립 드러닝 전후로 강의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는 한 의과대학에서 인체와 미생물의 상호작용을 수강한 의예과 1학년 학생 34명이었고, 플립드러닝은 4차시 동안 진행되었다. 플립드 러닝이 학습자의 심층적 학습접근방식 채택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되었지만, 연구결과에 의하면 학습 자의 심층적 학습접근방식 채택이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심층적 학습접근방식의 하위요인인 심층적 동기요인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플립드러닝이 학습자의 내재적 동기와 몰두를 유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플립드러닝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학습자들이 플립드러 닝의 상호작용적 학습활동을, 플립드러닝이 학습향상에 미친 영향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의평가에서도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는 플립드러닝을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플립드러닝을 또 다시 수강하고 싶으냐는 질문에는 강의식 수업에 대한 선호도를 드러냈다. 플립들 러닝 실시 후 심층적 학습접근방식이 증가하지 않은 이유는 상대적으로 짧은 플립드러닝 학습경험, 교수중심의 교수방법에 대한 선호도 등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 같으며, 이와 관련한 후속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플립드러닝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이해를 촉진하며 플립드러닝이 효과적인 대학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flipped learning approaches had drawn much attention from the research and practices communities. Despite this attention, how students learn in the flipped learning has been minimally explored. Focusing on this gap,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approach to learning in flipped learning. Students’ perception for this learning method was also scrutinized. For this purpose, the student-centered flipped learning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nine design principles suggested by Kim et al. (2014). 34 premedical students enrolled in the interaction of human body and microorganism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flipped learning was executed once a week for four weeks. To collect data, surveys for students’ perception on the flipped learning were conducted after the flipped learning and R-LPQ-2F to investigate approaches to learning and a course evaluation were also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flipped learning. Because students in student-centered flipped learning are required to learn by actively constructing new knowledge, it was expected that the medical students adopted deep approaches to learning.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flipped learning in terms of students’ approaches to learning. The deep motivation, a sub-factor of the deep approach to learning, however,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so it is thought that the flipped learning aroused intrinsic motivation and commitment to work. In addition, students recognized more highly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of the flipped learning than learning improvement in the flipped learning. They were also, in general, more satisfied with the flipped learning than the traditional teacher-oriented learning according to the course evaluation, but they showed significant higher preference toward the teacher-oriented learning than the flipped learning. The explanations for reasons why deep approaches to learning did not increase during the flipped learn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수업에서 플립러닝에 대한 교수자의 경험이 플립러닝 사용의도, 활용태도,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박혜진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에서 교수자의 플립러닝에 대한 경험이 플립러닝 사용의도, 활용태도,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강원지역 A대학의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수자의 플립러닝 수업 운영 경험에 따라 플립러닝에 대한 사용의도, 활용에 대한 태도,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플립러닝 관련 교수법 참여 경험에 따라 교수자의 플립러닝에 대한 사용의도, 활용태도,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플립러닝 관련 교수법에 참여했던 경험과 그렇지 않은 경험은 교수자가 플립러닝 사용의도나 활용태도,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 측면에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플립러닝을 활용하고자하는 교과목 유형에서 플립러닝에 대한 사용의도, 활용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수자는 교양 교과목보다 전공 교과목에 플립러닝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았다. 결론: 교수자가 플립러닝에 대한 절차와 단계를 이해하고 능숙하게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실질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성공적인 플립러닝 수업을 위해 교수자의 개별적 교수설계 지원과 성공적인 수업 사례 등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of using flipped learning, the attitude of use, and perception and ease of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professor s flipped learning experience in college education. Method: The multivariate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eachers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 experience of teaching method, experience requirement, and type of subject.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professor s experiences of flipped learning, there were differences in intention to use, attitude to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second, Flipped Learning related teaching metho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rticip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professor s Flipped Learning usage degree, usage attitud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the instructor to strengthen the practical ability to understand the procedures and steps of flip learning and to be able to progress the lesson proficient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share the instructional design support of the instructor and the successful case example for the successful flip learning lesson.

      • 대학에서의 플립드러닝에 관한 인식 분석을 통한 발전 방향 탐색

        김선영,민혜리 한국교육컨설팅학회 2016 교육컨설팅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최근 혁신적 교육방법으로 부각되고 있는 ‘플립드 러닝’ 방식을 교수자들이 효과적으로 적용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플립드 러닝에 관한 대학 교수자의 인식을 묻고 이들의 인식이 학문분야 와 플립드 러닝 적용 경험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첫째, 플립드 러닝에 관심이 있거나 적용의사가 있는 교수자는 플립드 러닝을 새로운 방법으로 인식하기보다는 기존 교수학습방법의 변형으로 인식하였고, 이 때문에 플립드 러닝 방식을 수업에 적용하는데 반감이나 어려 움을 적게 느끼고 있었다. 둘째, 플립드 러닝의 활용 효과에 대해 높은 기대감을 나타내었다. 셋째, 플 립드 러닝의 상호작용 증진 효과에 대해서는 학문분야별로 다르게 인식하였는데, 인문사회계열 교수자 가 통계적으로 높은 기대감을 보였다. 넷째, 플립드 러닝 적용을 위해 필요한 지원 사항으로 교육적 지 원 요소보다 기자재, 시스템, 네트워크 같은 제도적 지원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 결과들은 이 후 각 대학의 교수학습센터에서 플립드 러닝을 확산하고 교수자를 위한 지원을 확대할 경우에 특히 고 려해야 할 부분이다.

      • KCI등재

        대학에서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자 인식 사례 연구

        차승봉(Seung-bong Cha),박혜진(Hye-jin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3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플립러닝에 대한 내용과 플립러닝 수업으로 인한 경험적 효과를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 K대학의 188명의 학생들이 작성한 플립러닝에 대한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과 경험적 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플립러닝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플립러닝의 구조인 사전 학습과 본 학습, 사후 학습에 대한 체계화된 교수 설계와 각 단계별 학습내용에 대한 연계성, 다양한 교수자료를 활용한 학습내용의 구조화가 계획적으로 제공되는 수업구성측면이 플립러닝의 가장 큰 특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에서 플립러닝 수업을 경험한 학습자들은 자신들이 주체가 되어 학습 활동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에 있어서 학습내용과 교수자의 행동보다는 학습자의 책임과 활동이 강조되기 때문에 학습자의 능동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학습자들은 플립러닝을 통해 상호작용에 대한 효과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플립러닝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자유로운 질의 및 응답을 통해 사전 학습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본 수업에서 일어나는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동료학습을 통해 발생되는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플립러닝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수업전략이 요구되는데, 수업이 이루어지는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수업설계가 달라져야 되기 때문이다. 즉, 본 연구에서의 수업환경에 대한 맥락으로 학습자 중심 수업이 특징인 플립러닝은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사전 학습에 대한 환경설계와 학습자 활동이 이루어지는 본 수업에 대한 점검은 교수자가 플립러닝을 진행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되는 요소라고 볼 수 있다. This case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mpirical effects of learners’ perceptions of flipped learning. It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reflections of 188 students of K University in Chungcheongbuk-do.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flipped learning is that its instructional design, the connection to each stage of learning contents, the utiliz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the structuring of learning contents are provided. Second, flipped learning was positively perceived as a process of learner-centered learning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learner’s responsibility and activity are emphasized in the learning, which can positively affect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activity. Third, in the flipped learning lesson, the student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 improve their pre-learning comprehension through interactivity and to promote peer learning. Fourth, the learner recognize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online and offline classroom environment provided by flipped learning. Designing and reviewing the specific instructional environment can be considered a necessary factor for the instructor to proceed with flipped learning.

      • KCI등재

        대학 교수자를 위한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 개발

        조영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design guide that includes the guidelines of flipped learning and reflects the professor's require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we reviewed the guidelines of flipped learning included in the previous research about the design principle of flipped learning or flipped design strategy. Of the reviewed guidelines, we finally selected the guidelines judged by the researcher to be closely related to good component of flipped learning. In order to deduce professor's requirement of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design guide, we interviewed 6 university professors with instructional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 We developed the first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design guide to include the deduced instruction of flipped learning and to include professor's requirement. For verifying the validity of developed guide and correcting the guide, we made 2 reviews of expert and 2 evaluation of usability.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ing. The flipped learning instruction design guide is a print material of 45 pages. The guide covers both the analysis phase and design phase of instructional design for a flipped learning. The analysis phase includes the learner analysis, the environmental analysis, and the content analysis. The design phase includes the selection of content for flipped learning, the detailed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the instructional type. There are three instructional types: the general flipped learning, the debate flipped learning, and the problem-based learning flipped learning. 이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 러닝의 지침을 포함하고 대학 교수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플립드 러닝 설계 원리 또는 플립드 러닝 설계 전략에 관한 선행 연구에 포함된 지침들을 검토하였다. 검토된 지침 중 효과적인 플립드 러닝의 구성요소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고 연구자가 판단한 지침들을 최종 선정하였다.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에 대한 교수자의 요구사항을 도출하기 위하여 플립드 러닝 수업 경험이 있는 대학 교수자 6명을 면담하였다. 도출된 플립드 러닝의 지침과 교수자의 요구사항을 포함하는 1차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가이드의 타당성 검증과 가이드 수정을 위해 전문가 검토 2회와 사용성 평가 2회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플립드 러닝 수업설계 가이드는 45쪽 분량의 인쇄물 형태이며, 분석과 설계단계에 따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분석에서는 학습자 분석, 환경 분석, 내용 분석에 대한 활동이 포함된다. 설계에서는 플립드 러닝 적용 내용 및 수업 유형 선정, 수업 유형별(일반형 플립드 러닝, 토론형 플립드 러닝, 문제중심학습형 플립드 러닝) 설계 활동이 포함된다.

      • KCI등재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에 의한 브랜드 교수학습모형 사례연구

        이용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6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최근 학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교수학습모델인 플립러닝 사례를 통해 브랜드 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브랜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학습모델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러닝에 의한 브랜드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연구문제에 의거하여 정리하였다. 첫째, 플립러닝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므로, 학생들에게 브랜드를 입체적으로 분석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플립러닝의 선행학습과 소집단 학습은 학생들이 브랜드 이미지 형성 요소를 발견하는데 기여하였다. 셋째, 플립러닝은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증대시켰다. 넷째, 플립러닝은 학생들이 브랜드 핵심을 찾아내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다섯째, 플립러닝은 교수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강화하였다. 여섯째, 플립러닝은 학생들이 브랜드 개념을 확장하는데 기여하였다. 일곱째, 플립러닝의 브랜드 성공사례는 학생들에게 이론과 실제의 융합된 브랜드 교육을 제공하였다. 끝으로, 플립러닝은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을 통해 브랜드 지식을 심화해 가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요약하면, 플립러닝은 학계와 업계에서 향후 효과적인 브랜드 교수학습모형으로 브랜드 교육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analyzed Brand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Flipped Learning drew attention by academic fields. Although the importance of Brand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it is hardly find the appropriate teaching model. Therefore, this research has administered Brand Education by Flipped Learning.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lipped Learning is an effective method for finding brand significances by online as well as offline education system. Secondly, small group discussions are very helpful for finding the components of brand image. Thirdly, Flipped Learning online materials have contributed to improve student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on the class. Fourthly, Flipped Learning offers the opportunity for increasing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on brand strategy by themselves. And also, through Flipped Learning, students’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understanding and analytical ability for brand strategy have been improved. Fifthly, interaction with professor has been rapidly grow up. Sixth, Flipped Learning provides students with brand experiences and view by small group discussion. Seventh, online Flipped Learning data offers many significant visual materials to students. The data has contributed to students’ various perspectives for brand strategy theoretically as well as practically. Lastly, Flipped Learning gives many opportunities to develop students’ brand knowledge, especially by way of self directed learning. And also, man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based on the Flipped Learning, students are able to extend their brand experiences. In conclusion, Brand Education based on the Flipped Learning can be a productive Teaching Learning Model for vitalizing of brand in business as well as in academic fields.

      • KCI등재

        이공계형 플립러닝 모델이 학습자 인식, 자율성, 수업 흥미도 향상에 미치는 연구

        정성희(Cheong, Sung Hui),곽민정(Kwak, Mi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본 연구는 공학 콘텐츠 기반 전공 수업에서 활용한 플립러닝 수업이(이하 공학형 플립러닝 수업) 학습자 플립러닝 인식, 플립러닝 선호도, 수업참여에 대한 인식, 수업참여 및 자율적 활동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고안된 연구이다. 서울소재 한 남녀공학 종합대학에서 공학설계입문 교과를 수강하는 2개 분반 106명의 대학생에게 2016년 9월-12월 사이 15주간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4개 영역관련 인식 및 선호도 변화를 측정하는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여 Minitab을 사용한 학습자 플립러닝 인식과 흥미도 변화 관련 t-검정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들은 공학형 플립러닝 수업 이후 인식, 선호도, 수업참여도 및 흥미도, 자율적 참여의지도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50-60명 정도의 많은 학생 수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플립러닝의 핵심인 학생 자율 발표 기회 제한 등에서의 한계점을 가진다. 하지만 현대학 수업의 현실에 맞춰 개발한 현실적 모델을 사용하였고 온라인 사전 교육 자료를 제공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플립러닝 모델을 구조화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해 교과목 특성 및 학습자 요구를 반영한 플립러닝이 이공계열 수업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 본 연구의 교육적 함의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플립러닝을 이공계열로 확산하도록 향후 연구를 제언할 것이다. This study purports to report engineering and science major learners (1) perceptions about flipped-learning(FL), (2) preferences for FL, (3) perceptions about class-activity-participation, and (4)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class activities. A total of 106 participants who were enrolled at two separate FL classes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completed a pre-post perception & preference- analysis - questionnaire (hereafter PP AQ ). This instrument contained 4 domains(e.g., perceptions about FL and class-activity participations, preferences for FL and learner- willingness). The PP AQ results portrayed that their FL experience helped them to improve their (1) understanding about FL and (2) preferences for FL (3) interests in doing class-activities and participating in FL activities, and (4)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FL classes. Even though this study revealed the limitations of completing a teaching goal of FL with a huge class size of 50-60 students, it resulted in the success of reflecting a real-class size. Moreover, this study also portrayed that traditional FL class models, which provide the learners on-line materials as a pre-class, should not necessarily be the ideal model of FL. On the other hand, reflecting learners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classes can be the keys for the success in teaching FL classes in engineering and science fields.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research w hat factors w ould encourage other engineering major learners to be attracted to FL classes and to expand this teaching method into this field.

      • KCI등재

        플립러닝을 적용한 유학생 대상 글쓰기 수업 모형 개발

        이경애(Lee, Gyeong Ae)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2 No.-

        본 연구에서는 플립러닝을 활용한 수업이 외국인 유학생의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도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A대학에서 〈글쓰기 ‘고급과정 2’〉 강좌를 수강하는 외국인 유학생 46명으로 2개의 반으로 분반되었다.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플립러닝 적용반과 플립러닝 비적용반으로 나누어 서로 다른 학습 환경에서 4주간에 걸쳐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글쓰기 능력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플립러닝 수업 적용 전ㆍ후의 글쓰기 과제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전ㆍ사후 설문지 조사를 통해 플립러닝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습 환경에 따른 학습 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플립러닝 적용반이 플립러닝 비적용반보다 글쓰기 능력이 더 향상되었다. 특히, 플립러닝 적용반의 학생들은 플립러닝 비적용반에 비해 주제에 합당한 논거 제시와 명확하고 논리적인 글을 구성하는 능력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플립러닝 수업에 대한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이로써 외국인 유학생의 능동적 참여를 이끌어 내는 플립러닝 수업은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학부생 대상의〈글쓰기〉교과목에 플립러닝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수업 방식을 찾고자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foreign students" Korean Writing.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 way to apply Flipping Learning effectively to the Korean Writing subject. For this purpose, 46 students from two foreign student classes of ‘A’ university with advanced Korean abilit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One of these Korean Writing classes was conducted with Flipping Learning class methods and the other Korean Writing class was taught with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in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for 4 weeks. To measure the academic achievement, pre- and post- Korean Writing tasks were analyzed. Also, this study surveyed the satisfaction of Flipped Learning through pre- and post–questionnaire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one class applying Flipping Learning was more improved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higher in class satisfaction than the other class without Flipping Learning. Particularly, the Flipping Learning applied class was found to be more precisely in the use of the right argument and the right quotation expression. This implies that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mproves the learning attitude of foreign learners, thereby promoting active participation and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presented a class model that can effectively apply Flipped Learning i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학습자 중심에서 본 이공계형 플립러닝 수업 곤란도 해결방안 연구

        정성희(Cheong, Sung Hui),곽민정(Kwak, Mi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활용한 공학 콘텐츠 기반 전공 수업(이하 공학형 플립러닝수업)에서 학습자 곤란도를 분석, 해결하여 학습자에게 플립러닝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게 하도록 고안된 연구이다. 학습자 곤란도 및 순위 분석을 통해 교수자 처치 이후 만족도를 고찰 하였고, 교수자 태도와 상호작용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서울소재 한 남녀공학 종합대 공과대학 전공과목인 경제성 공학 교과를 수강하는 3개 분반 102명 연구참여자에게 실시한(2017년 9월-12월, 15주)수업을 통해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플립러닝 곤란도, 해결이후 만족도를 측정하는 사전․사후 설문을 Minitab을 사용하여 인식 변화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1) 과제 시기, (2) 과제 난이도와 분량, (3) 팀원 간의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4) 팀원 간의 모임 시간조율, (5) 교수자와의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6) 모임 장소 및 실습비용 영역 순으로 학습자 곤란도 순위를 발견하였고 또한 교수자 처치를 통해 해결하였다. 플립러닝 진행 당시 느꼈던 두려움과 곤란도 요인들이 해결 되어 교수자 처치의 효과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플립러닝의 고유 형태인 온라인 강의-오프라인 상호작용이라는 전통적 플립러닝 외형적 특성 보다 교수자-학습자 혹은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곤란도 해결이 플립러닝 성공의 주요 열쇠라는 결과를 발견한 의의를 갖는 다. 또한 전공 교과 특성 및 학습자 곤란도 해결 요구를 반영하여 이공계열 플립러닝 확산을 제언하고 본 연구 한계점도 고찰할 것이다. This study purports to report engineering and science major learners (1) perspectives about the flipped-learning(FL) difficulties, (2) the solutions for the learners, and (3) their preferences for this type of classes after the solutions were provided. A total of 102 participants who were enrolled at three separate FL classes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completed a pre and post test of their FL difficulty survey questionnaire (hereafter PPDQ).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lutions for the six domains that the learners reported(e.g., (1) due-date of assignments, (2) the quantity and difficulties of tasks, (3)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mong team members, (4) scheduling, (5)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teacher, and (6) the space and cost of meeting) played a positive role in changing the learners’ perspectives about FL difficulties. Even though this study reveale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design constructed by a pre-post non-control group, it resulted that the success of FL depends on teachers’ attitude of providing solutions regarding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of class participants, while reflecting engineering and science field learners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classes.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research what factors woul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atisfaction with FL in other engineering majors in order to expand this teaching method into various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