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와 시장의 체제전환이 애니메이션 프로파간다 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김진영(Kim, Jin-Yo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5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40

        프로파간다의 의미는 주로 1, 2차 세계대전 기간과 이후 냉전시대의 사회주의체제 국가, 또는 독일을 통치했던 히틀러가 사용했던 정치선전, 흑색선전으로 인식되곤 한다. 따라서 이미지와 영상에 대한 프로파간다의 연구는 주로 정치선전이 활발했던 시기의 사회주의 포스터나 영화를 사례로 연구되었다. 현대사회에서 과거의 정치선전의 성격을 가진 프로파간다는 더 이상 찾아보기 힘들다. 현대의 프로파간다는 정치선전 보다는‘설득’을 기본으로 하는 은유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로 변하게 되었다. 따라서 과거의 직접적인 정치선전의 의미에서 탈피해, 프로파간다의 의미를 고찰해 보고, 현대적인 프로파간다를 재정의 해보는 과정이 필요해졌다. 또한 현대적인 프로파간다의 의미를 영상사회라고 할 수 있는 현대 영상에서 분석하는 과정도 필요해졌다. 이에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애니메이션을 대상으로 프로파간다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애니메이션은 영상산업의 대표적인 상품으로 사회와 시장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또한 애니메이션은 남녀노소 모두 시청이 가능하고 모든 연령대를 아우를 수 있는 영상으로서 현대의 은유적이고 간접적인, 다양한 형식의 프로파간다를 분석하는데 적절하다. 이에 애니메이션에 대한 프로파간다 분석 연구의 초보 단계로 애니메이션 프로파간다가 전형적으로 나타났고, 체제변화에 따라 표현방법에 변화가 일어난 중국애니메이션을 사례로 애니메이션 프로파간다의 표현방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사회체제는 그대로 유지하고 경제체제만 변화한 중국의 사례는 애니메이션 프로파간다에 사회체제와 경제체제의 영향을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절한 연구대상이 된다. 중국 애니메이션을 시기별로 작품의 프로파간다의 표현방법을 분석해 체제변화와 프로파간다의 표현방법에 대한 변화를 분석해 낼 수 있고, 분석 결과를 통해 사회와 시장이 애니메이션 프로파간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정해 볼 수 있다. 중국 애니메이션의 프로파간다의 표현방법은 중국 건국이전과 이후 그리고 문화혁명 전후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 건국 이전 서양의 영향을 많이 받은 작품에서 중국 건국이후 자국의 문화를 이용하여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민족 특색적인 애니메이션으로의 변화가 있었고, 문화혁명을 전후하여 정치선전, 선동의 프로파간다가 전형적으로 나타나다가 다시 민족적 특성과 교육적인 프로파간다로 변화하는 과정을 겪는다. 최근에는 해외로의 수출과 해외와의 합작이 늘어가면서 선전과 선동의 의미의 프로파간다는 점점 약해지고 있다. Propaganda is often accepted as the political promotion that had used mostly by the socialist states during the First and the Second World Wars and the Cold War and by Hitler who governed Germany. Therefore, cases of the study on the image and picture propaganda were mostly posters or films of the socialism period when the propaganda was active. However, today it is not easy any more to find propaganda of the clear promotion characteristic as the past. In these modern times, it has changed into metaphorical propaganda based on ‘persuasion’, rather than publicity like past. Therefore, it has been changing from the direct promotion of the past into the indirect persuasion; and from the raw, direct and powerful publicity and claim into the soft and metaphorical persuasion and appeal. Thus, investigating again the contemporary propaganda will be an important element in analyzing contemporary images. The animation, selected as a target of the analysis of propaganda, exists in various ways in various images of the modern times, which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oday’s society is the television society. Besides, the animation is the image that can cover all ages as men and women of all ages can watch, so it is proper for analysis of the contemporary propaganda of metaphorical, indirect and various forms.

      • KCI등재

        해외 극우극단주의 현황 및 사이버 공간이용 극단화 프로파간다 연구

        윤민우,김은영 한국경찰연구학회 2022 한국경찰연구 Vol.21 No.3

        This study explores how right wing extremists and terrorist us a tool for modern information warfare in cyberspace. Literatures have reported that terrorist organizations have been systematically utilized social network platforms for disseminating ideology, recruiting terrorists, and operating terrorist attacks to fulfil their propaganda at least since 2010. Concurrently, many followers and sympathizers of the terrorists causes have taken part in many social network service platforms to circulate terrorist propaganda among themselves and promote it to potential recruiters. As a consequence, terrorist propaganda in cyberspace had an enormous impacts on various aspects of terrorists activities. It is especially true for Jihadists terrorism. However, little study have conducted to understand right-wing extremists and terrorists groups’ propaganda in cyberspace. Yet, this article argues that right-wing extremists and terrorists propaganda activities in cyberspace are significant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as does jihaidst terrorists groups. In this study results, the authors found that right wing extremists have a long history utilizing the internet as a tool for propaganda and been a significant threats to the national security of the Western countries.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propaganda in the cyberspace of right-wing groups and extremists have been linked to the actual terrorists attacks in the off-line as a cycle of violence. In results and discussion, this study suggested to revise the counterterrorism systems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develop issues specific counterterrorism polices. 테러단체의 사이버공간에서의 프로파간다활동이 국가안보에 매우 심각한 위협이 된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 같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극단주의자들의 프로파간다 활동은 정보전 또는 심리작전으로서 인식되기도 한다. 사이버상의 프로파간다 활동은 보편적으로 매우 심각하고 위협적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0여 년 동안 미국과 서구유럽에서는 ISIS로 대표되는 이슬람 지하디스트 테러세력의 사이버 프로파간다 활동에 대한 연구들만 주로 수행되었다. 반면 또 다른 주요한 테러위협인 극우극단주의 테러세력의 사이버 공간에서의 프로파간다활동은 많이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극우극단주의자들의 사이버 공간에서의 프로파간다는 실상 매우 위협적이다. 특히 최근 수년간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미국과 서구유럽 등지에서의 외국인에 대한 혐오범죄가 심각하게 증가되고 있는데 이러한 외국인의 혐오범죄는 서구유럽과 미국사회에 내제된 뿌리 깊은 극우극단주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극우극단주의 이념 기반의 테러공격이나 증오범죄의 위협은 앞으로 더욱 심각해 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극우극단주의자들과 테러단체들의 사이버공간에서의 프로파간다 활동, 최신동향, 그리고 이들의 온라인 프로파간다의 주요전략에 대해 연구ㆍ분석하고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문헌분석과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 결과 미국과 서구유럽 사회에서 발견되는 극우극단주의자들과 테러단체는 자신들의 프로파간다 전략에 근거해 사이버 상의 프로파간다를 적극 활용하여 자신들의 극우극단주의적 이념을 확산시키는 것부터 급진화된 테러리스트들을 활용하여 실제 테러공격으로까지 이어지도록 하는 사이클을 만들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에서 연구자들은 이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 공간에서의 극우극단주의자들의 프로파간다에 대한 정부의 정책대응방안 등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전쟁기 남북한 만화삐라의 프로파간다 성격비교

        이재웅,윤기헌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0 애니메이션연구 Vol.16 No.2

        The 20th century was an era of propaganda. Fascist, communist, and even the liberalist camp used propaganda to glamorize the ruling power or ideologies. Rulers recruited artists to make exaggerated slogans as realistic as possible using propaganda techniques but exaggerated unrealistic portrayals with heroic characters led to unpersuasive images that ultimately failed. During the Korean War, propaganda was still the vanguard of the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Talented artists were force fed Cold War mentality and turned into new propagandists who became hostile towards each other. Propaganda during the Korean War unfolded around comic propaganda bills. Comic propaganda bills were produced under the strict instructions and controls of the superior authorities both in North and South Korea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expression as well as in the attitudes in using the medium of comic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While South’s comic propaganda bills accepted the artistic expressiveness such as wit, humor, metaphors, etc. of the artist as much as possible and used these elements actively, comic propaganda bills from the North were only focused on depicting the party’s orders accurately and did not expect other factors as comics. Because of such perceptive differences, in the South, comic propaganda bills not only had propaganda effects but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comics industry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In this sense, comic propaganda bill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became an extremely useful propaganda medium for the South, whereas comic propaganda bills in the North were quite ineffective as propaganda. After the Korean War, the collective propaganda sector became more developed and the role of comics was reduced for mainly children in the North. In the South however, the tradition of entertainment comics grew, advancing to a new platform called webtoons. This study will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comic propaganda bills during the Korean War which brought ab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rmation of comics culture in North and South Koreas, and take a detailed look at how propaganda mediums were used during the Korean War by the two countries. The valuable experience gained from the above research has clearly shown that a more superior social system is not an oppressive society that forces artists to produce propaganda, but a society that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creativity can be exercised more freely. 이십 세기는 프로파간다의 시대였다. 파시즘이든 공산주의든, 심지어 자유주의 진영에서조차도 지배 권력이나 이념을 미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로파간다를 이용했다. 과장된 구호를 프로파간다 기법으로 현실감 있게 극대화시키기 위해 지배자들은 예술가들을 동원하였지만 영웅적인 캐릭터로 과장된 비현실적인 묘사는오히려 설득력이 부족한 그림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한국전쟁기에도 여전히 프로파간다는 남북한 이념대결의선봉장이었다. 뛰어난 예술가들은 냉전적 사고방식을 주입받고 서로를 적대시하는 새로운 프로파간다 선전원들로 변해 갔다. 한국전쟁기의 프로파간다는 만화삐라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만화삐라는 남북한 모두 상부의 엄격한 지시와 통제를 받으며 제작되었지만, 그 속에서도 표현방법의 차이가 있었고 만화매체를 활용하는 남북한의 태도에도 많은 차이가 있었다. 남한의 만화삐라는 만화가의 재치나 유머, 은유 등의 예술적 표현력을 최대한수용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나간 반면, 북한은 당의 지시를 정확히 그려내는 것 이외에 다른 만화의 역할은 기대하지 않았다. 그런 인식 차이 때문에 남한에서는 만화삐라를 통해 선전효과를 거두었을 뿐 아니라 한국전쟁기가 전후(戰後)의 만화산업이 발전하는 기반으로 작용되었다. 그런 점에서 한국전쟁기의 만화삐라는 남한에게는 아주 유용한 프로파간다 매체가 되었고, 북한에게는 프로파간다로서의 역할이 다소 부족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북한에서는 집체 선전화 분야가 더 발달하며 만화는 어린이용 정도로 역할이 축소된 반면, 남한에서는오락만화의 전통이 성장하며 웹툰이라는 새로운 플랫폼을 발전시키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남북한의 만화문화 형성에 큰 차이를 가져온 한국전쟁기 만화삐라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남북한이 한국전쟁기에서프로파간다 매체를 어떻게 활용하였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혀 보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소중한 경험은 더 우월한 사회체제라는 것이 예술가들에게 프로파간다 제작을 강요하는 억압적인 사회가 아니라 더 자유롭게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사회라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하게 된 것이다.

      • KCI등재

        プロパガンダの道具としての李香蘭

        谷川建司 한중인문학회 2007 한중인문학연구 Vol.22 No.-

        이향란(李香蘭)이라는 야마구치 요시코(山口淑子)는 만주영화협회의 전속여배우로써 일본의 토호영화사(東宝)와 제휴하여 “대륙3부작(大陸三部作)” 즉, <백란의 노래(白蘭の歌)>,<차이나의 밤(支那の夜)>,<열사의 맹세(熱砂の誓ひ)>에 출연하는데 처음에는 일본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으나 차제에 일본남아의 진지한 사고에 생각을 바꾸어 마침내는 일본인을 사모하고 순종하게 되는 시누이역할을 하여 일본의 대륙진출은 중국국민을 행복으로 인도한다고 하는 레토릭을 구현화시키는 시각적 심볼이 되었다. 야마구치 자신도 그러한 작품에 연했던 것에 깊은 후회를 하고 전후에는 일본이나 헐리웃에서 여배우로써 활약한 후, 마침내 저널리스트를 거쳐 정치가가 되어 당대의 유명인으로 활약했다. 하지만 야마구치 요시코에게 있어서의 이향란(李香蘭)과 연구자나 관객에게 있어서의 이향란은 미묘하게 다르다. 그것은 전자가 어디까지나 피가 흐르는 인간으로써 예전의 야마구치 신인 반면 후자에게 있어서의 이향란(李香蘭)은 60년 이상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거리감을 가지게 되었다고 하는 것을 의식하면서 렇게 해낸 역할을 상대화시켜 “기호”로써 받아들이기 때문일 것이다. 야마구치는 전자가 가진 프로파간다성을 부정하지만 후자가 분명하게 프로파간다의 도구로써 기능하고 있었던 사실에 대해서는 의식하고 있다. 또한, 학생74명에게 <차이나의 밤>을 감상하게 하여 자유기술식 앙케이드조사를 행한 결과, 이 작품의 히어로=李香蘭의 “프로파간다성”은 어떤 의미에서 오늘날 아직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기호로써의 李香蘭을 ‘李(리)香蘭(코란)’으로 하고, 야마쿠치에게 있어서의 李香蘭을 李(리이)香蘭(샹란)과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후에 있어서 ‘李香蘭’신화화의 과정의 시작은 1952년 영화<상해의 여인(上海の女)>에서 그녀자신을 떠올리게 하는 히어로가 비명의 횡사를 맞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것은 치 일본의 대륙침략을 정당화하는 것으로써 “프로파간다 도구”였던 ‘李(리)香蘭(코란)’을 의사적(擬似的)인 형태로 묻어버림으로써 야마구치 요시코의 분신인 李(리이)香蘭(샹란)을 그러한 “프로파간다성”에서 떼어내는 의식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신화를 완결시키 이향란(李香蘭)이라는 야마구치 요시코(山口淑子)는 만주영화협회의 전속여배우로써 일본의 토호영화사(東宝)와 제휴하여 “대륙3부작(大陸三部作)” 즉, <백란의 노래(白蘭の歌)>,<차이나의 밤(支那の夜)>,<열사의 맹세(熱砂の誓ひ)>에 출연하는데 처음에는 일본 에 반감을 가지고 있었으나 차제에 일본남아의 진지한 사고에 생각을 바꾸어 마침내는 일본인을 사모하고 순종하게 되는 시누이역할을 하여 일본의 대륙진출은 중국국민을 행복으로 인도한다고 하는 레토릭을 구현화시키는 시각적 심볼이 되었다. 야마구치 자신도 그러한 작품에 연했던 것에 깊은 후회를 하고 전후에는 일본이나 헐리웃에서 여배우로써 활약한 후, 마침내 저널리스트를 거쳐 정치가가 되어 당대의 유명인으로 활약했다. 하지만 야마구치 요시코에게 있어서의 이향란(李香蘭)과 연구자나 관객에게 있어서의 이향란은 미묘하게 다르다. 그것은 전자가 어디까지나 피가 흐르는 인간으로써 예전의 야마구치 신인 반면 후자에게 있어서의 이향란(李香蘭)은 60년 이상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객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거리감을 가지게 되었다고 하는 것을 의식하면서 그렇게 해낸 역할을 상대화시켜 “기호”로써 받아들이기 때문일 것이다. 야마구치는 전자가 가진 프로파간다성을 부정하지만 후자가 분명하게 프로파간다의 도구로써 기능하고 있었던 사실에 대해서는 의식하고 있다. 또한, 학생74명에게 <차이나의 밤>을 감상하게 하여 자유기술식 앙케이드조사를 행한 결과, 이 작품의 히어로=李香蘭의 “프로파간다성”은 어떤 의미에서 늘날 아직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기호로써의 李香蘭을 ‘李(리)香蘭(코란)’으로 하고, 야마쿠치에게 있어서의 李香蘭을 李(리이)香蘭(샹란)과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후에 있어서 ‘李香蘭’신화화의 과정의 시작은 1952년 영화<상해의 여인(上海の女)>에서 그녀자신을 떠올리게 하는 히어로가 비명의 횡사를 맞이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그것은 치 일본의 대륙침략을 정당화하는 것으로써 “프로파간다 도구”였던 ‘李(리)香蘭(코란)’을 의사적(擬似的)인 형태로 묻어버림으로써 야마구치 요시코의 분신인 李(리이)香蘭(샹란)을 러한 “프로파간다성”에서 떼어내는 의식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신화를 완결시키 기 위해서는 일단 죽은 ‘李香蘭’을 다시한번 부활시키는 것이 필요했다. ‘李香蘭’의 죽음과 재생의 신화, 그것은 이듬해 1953년의 홍콩영화 <天上人間>에 출연으로 실현되었다. 야마구치 시코는 이 작품을 계기로 4작의 홍콩영화에 출연하여 그들 작품에서 다시금 李香蘭’이라는 이름으로 데뷔한다. 다만 여기서는 ‘李香蘭’의 홍콩발음 ‘리홍란’으로 불러졌다. 죽음과 재생을 거친 ‘李香蘭’은 얼마든지 재생 가능한 신화가 되었으며 본인에 의한 자서전 발매를 계기로 뮤지컬이나 TV드라마화 되었고 나아가서는 만화라는 또 다른 미디어에서도 캐릭터로써의 진화를 계속하고 있다. As an actress under the contract with Manchuria Motion Picture Corporation (Manei), Li Xianglan appeared on so-called “Continental Trilogy”-Song of White Orchid (Byakuran no Uta, 1939), China Night (Shina no Yoru, 1940), Vow in the Desert (Nessa no Chikai 1940), co-produced by Manei and Toho Studio. Amongst these films, Li Xianglan, who was originally born as Japanese Yoshiko Yamaguchi, played Chinese Girl who used to have Antipathy against Japan, but changed her mind by knowing sincerity of a Japanese man, then fell in love with and started to follow him obediently. These roles became symbol to visualize concept that Japanese extension to China will lead Chinese People happiness. Tough Yamaguchi herself kept regretful feeling toward the fact that she had acted in these films, she kept running as top Japanese actress and Hollywood Actress, as a Journalist, as a politician throughout postwar period. Interesting fact is that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of meaning of “Li Xianglan” between Yamaguchi and scholar, or audience. For Yamaguchi, it is just one of her former identity as human being with fresh and blood. For scholar and audience, “Li Xianglan” is a code which became capable to understand its function and its historical situation relatively, after the passage of time of more than 60 years. Yamaguchi denies former one’s propagandistic nature, but aware of the latter’s function as a propaganda tool. Li Xianglan’s propagandistic nature is proved still effective after administering a questionnaire from 74 college students who doesn’t know about Li Xianglan at all after the screening of China Night. What I found important is that we should divide “Li Xianglan” and “Ri Koran”, a Japanese pronunciation of Li Xianglan. In another word, “Li Xianglan” is Yamaguchi’s former identity and “Ri Koran” is the code for the scholar and audience. The beginning of mythologizing process of Li Xianglan started on the last sequence of Toho production Woman of Shanghai (Shanhai no Onna 1952). The heroine of the film whose career is as like as two peas to Yamaguchi herself, dies an unnatural death. This is just like the ritual to bury “Ri Koran” as a propaganda tool in a fake way, for the purpose of dividing “Li Xianglan” as Yamaguchi’s other self from its propagandisticnature. Naturally, it required the next process of rebirth of “Li Xianglan” to complete this mythology. The rebirth of “Li Xianglan” was realized by Yamaguchi’s appearance on Hong Kong film Tenjo Ningen(1953), which was followed by 3 other Hong Kong films. Yamaguchi named her old stage name again, but it was read as Lee Hsinag Lan as the Hong Kong way. After its death and rebirth, “Li Xianglan” became mythology which is capable of playback over and over again. And after Yamaguchi’s autobiography was published, it became musical play, dramatized on TV, and inspired many other media like Manga and continuing to be evolutive character.

      • KCI등재

        이탈리아 파시즘 시각예술에 나타난 프로파간다 표현 양상 연구

        한광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This thesis aims to analyze aspects of expressions found in propagandistic visual art in the age of Italian fascism. First of all, applied the concept of propaganda to the visual art for the research. Propaganda is a communication that is primarily used to influence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and social control for which a wide variety of communication tools appropriate to each period are used. Visual art can be seen as a mean for propaganda with a long-standing tradition. If regarding propagandistic visual art as art to serve power and maintain the system, artworks produced during ancient Rome, the Renaissance, and the Napoleonic era are thought of as part of propagandistic art. One example of 20th century propagandistic art is works produced in the age of Italian fascism. The National Fascist Party created a diversity of propagandistic visual art. They appropriated a wide array of traditional art styles and used architecture, relief, mosaic, and sculpture as the mediums to disclose Italian people’s ethnic superiority and strengthen nationalism. They put effort into large buildings such as government office buildings, courts, railway stations, and exposition halls as well as works of visual art to decorate their interiors and exteriors. These artworks carried out a propagandistic role as they retain some utopia fascists pursued. As a result of study, aspects of expressions found in such artworks are ‘appropriation of history and myths’ borrowing myths in bygone years or historical heroes; ‘placeness’ employing the context of a place an artwork inhabits; ‘intuitive explanation’ to have the public feel the purpose of power intuitively; and ‘pursuit of styles in vogue’ to generate or follow the new trend of art at the time. These four aspects of expressions are seen narrowly as expression aspects of Italian fascist visual art and broadly as common aspects of all propagandistic art. 본 논문은 이탈리아 파시즘 시대의 프로파간다 시각예술에서 발견되는 표현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먼저 프로파간다의 개념을 찾아 이를 시각예술에 적용했다. 프로파간다란사회 통제나 여론 형성에 영향을 미칠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으로 각 시대에 적합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동원된다. 시각예술은 오랜 전통을 가진 프로파간다 수단이라고 볼 수 있다. 프로파간다 시각예술을 권력에 봉사하고 그 권력이 만든 체제 유지를 위한 예술이라고 생각해보면 고대 로마나 르네상스 시대, 나폴레옹 시대 등의 예술작품들도 프로파간다 예술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20세기의 대표적인 프로파간다 시각예술로 1920년대 초부터 1940년대까지 이탈리아 파시즘 시대의 작품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이탈리아 파시스트당은 다양한 프로파간다 시각예술을 창조해냈다. 이들은 이탈리아인의 민족적 우월성을 드러내고 민족주의를 강화시키기 위해 이탈리아 반도에서 창출된다양한 전통 예술 양식을 차용했고 건축, 부조와 모자이크, 입체조각 등을 매체로 이용했다. 특히나 관공서, 법원, 기차역, 박람회장 등 대형 건축물과 그 내·외부를 채우는 시각예술 작품에 많은 공을 들였으며 작품 속에는 파시스트들이 추구하는 이상향이 담겨 있어 프로파간다를 전파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을 분석한 결과 과거 신화나 역사적 영웅 등을 차용한 ‘역사 및 신화차용’, 작품이설치된 장소적 맥락을 이용한 ‘장소성’, 권력의 목적을 직관적으로 체감하도록 하는 ‘직관적 설명성’, 당대의 새로운 예술 유행을 창출하거나 따르는 ‘유행양식 추구’라는 표현 양상이 발견된다. 이 4가지표현 양상은 좁게는 이탈리아 파시즘 시각예술의 표현 양상이라고 할 수 있지만 넓게는 프로파간다예술의 공통적인 표현 양상으로도 볼 수 있다.

      • KCI등재

        유튜브를 활용한 북한의 프로파간다 이미지 변화 연구 -Echo of Truth를 중심으로-

        서정호 ( Suh Jung-ho ),전수진 ( Jun Soo-ji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4 No.-

        이 연구는 유튜브 채널 ‘Echo of Truth’로 살펴본 북한의 프로파간다 이미지 변화 연구이다. 최근 여러 보도들에 따르면 북한의 프로파간다 이미지 전략이 ‘뉴미디어(유튜브)’ 활용과 ‘자연스러움(일상과 여성)’으로 변화했다고 보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북한의 프로파간다 이미지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프로파간다의 어원과 프로파간다 이미지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북한의 전통적인 선전선동 이미지 전략의 기틀이 되는 마오 쩌둥(Mao Zedong)의 ‘중국문예운동’과 김일성의 ‘조선화’ 및 그 표현방식을 살펴본 다음, 북한 ‘조선화’와 ‘우상화’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기반으로 지난 2017년부터 운영 중인 북한의 유튜브 채널 ‘Echo of Truth’를 다각도로 조망해 ‘조선화’로 위시되었던 북한의 전통적인 프로파간다 이미지 전략과 그 차이점을 토픽랭크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북한의 전통적인 프로파간다 이미지 전략은 ‘조선화’를 기반으로 한 김일성 및 그 일가의 ‘우상성(idolization)’ 이미지로 집적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뉴미디어를 통한 새로운 프로파간다 이미지 전략은 북한의 풍경, 여성으로 요약되는 ‘일상성(everyday life)’ 이미지로 집적되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북한의 새로운 선동선전 이미지 전략이 뉴미디어를 활용한 자연스러운 전달로 변화했음을 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propaganda image of North Korea, as viewed through the YouTube channel “Echo of Truth”. According to recent reports, it is reported that North Korea's propaganda image strategy has changed to use “new media” (YouTube) and “natural” (daily life and women). Therefore, in order to study changes in the propaganda image of North Korea, the researchers theoretically reviewed the etymology of propaganda and the image of propaganda, and Mao Zedong's'Chinese literary movement' and Kim Il-sung, the basis of the traditional propaganda image strategy in North Korea. After examining the'Chosunhwa' of'Chosunhwa' and its expression method, I tri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Chosunhwa' and'Idolhwa' in North Korea. Based on this, I looked at the North Korean YouTube channel “Echo of Truth”, which has been operating since 2017, from various angles, and compared the difference with the traditional propaganda image strategy of North Korea, which was regarded as “Chosunhwa,” through topic rank algorithm analysis. As a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traditional propaganda image strategy of North Korea is concentrated in the image of Kim Il-sung and his family's 'idolization' based on 'Chosunhwa', and the new propaganda image strategy through new media is the North Korean landscape, It was possible to derive the fact that it was accumulated as an image of 'everyday life' that is summarized as a woman.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quantitatively confirm that the new strategy of propaganda in North Korea has changed to natural communication using new media.

      • KCI등재

        탈북민의 구술을 통해 본 북한의 프로파간다 문화: 시각적 프로파간다에 대한 기억과 경험을 중심으로

        권혁희 통일연구원 2024 統一 政策 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선전, 선동의 전시장인 북한의 프로파간다 문화를 인민의 관점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해석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저자는 북한의 시각적 프로파간다에 대한 기억과 경험을 탈북민의 구술을 통해 재구성하여 프로파간다가 위로부터가 아닌 아래로부터 어떻게 감각되고 이해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시각적 프로파간다가 인민에게 일상적 내면화되는 방식으로 설명된 바 있으나 실제로는 안정적으로 내면화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보다는 현실과의 모순적 감정이 훨씬 더 강하며, 지속적인 반복과 순환 속에서 지배적 담론으로부터 인민들은 프로파간다를 무의미하게 느끼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북한의 프로파간다는 담론의 의미보다 형식 그 자체의 메카니즘을 재생산하는 일종의 사회주의적 의례로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인민들은 공식적인 담론과 표리부동하는 내면적 반감과 현실 모순에 대한 자각을 드러내지 않고 그것에 동의한다는 표현과 웃음의 감정적 기술도 익혀나가야 한다. 이는 북한의 프로파간다 문화가 사회질서 유지의 시스템으로 작동될 뿐만 아니라 인민의 일상과 감정의 표현에 관여하는 생활양식의 일부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일부 탈북민의 경험에 의존된 연구로 지역과 성별, 계층적 차이,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맥락과 개인 생애사적 맥락의 차이를 반영하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이 북한 프로파간다의 생산메카니즘과 메시지 자체에 대한 분석이 대부분이었던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경험과 실천으로서 북한의 선전, 선동에 대한 연구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how North Korean propaganda culture is received and interpreted from the people's perspective. Previous studies have described visual propaganda as routinely internalized by the people, but in reality, it is not reliably internalized. Rather, the feeling of contradiction with reality is much stronger, and people feel the meaninglessness of propaganda from the dominant discourse in a continuous cycle of repetition and circulation. In that sense, North Korean propaganda can be explained as a kind of socialist ritual that reproduces the mechanism of the form itself rather than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In particular, the people are expected to learn the emotional skills of expressing agreement and laughing without revealing their internal antipathy and awareness of the contradictions in reality that are contradictory to the official discourse. This shows that North Korea's propaganda culture not only operates as a system for maintaining social order, but is also part of a lifestyle that is involved in people's daily lives and the expression of emotions. This study is limited by the fact that it relies on the experiences of a few North Korean defectors, and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differences in regional, gender, and class differences, socioeconomic changes, and individual life history contexts. However,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studies that mostly analyzed the production mechanism of North Korean propaganda and the message itsel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as a part of the research on North Korean propaganda and propaganda as an experience and practice.

      • KCI등재

        북한 애니메이션의 변화와 딜레마 : 프로파간다와 시장화 사이에서

        김진영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5

        The term "propaganda," which contained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dissemination, has become a political propaganda after World War I and II. The 'propaganda' used by the government to spread political ideology has since been used in earnest in the socialist country through various methods. In socialist countries, animations using propaganda were continuously produced to cultivate talent suitable for national ideology. With globalization, the socialist country's economic system has also changed little by little. As a result, the profiganda of the socialist country's animation has changed as well. In China's case, the political, educational-oriented profiganda was weakened, or indirectly used for commercial profit, as the economic system changed. This is the result of a desire to increase commercial profits as the economy develops and becomes globalized. Still, by using the indirect profiganda for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the company is showing its efforts to stick to the original purpose of animation. In the case of North Korea, neither the political system nor the economic system changed. However, while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ung Eun connected the leadership system, the economic situation changed. Although the official system has not changed like China, the market, which was the subject of control and oppress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administration, grew more and more as the national economy became more difficult. The black market, which began as a trade between individuals, has become larger and larger. The government tried to control the black market, but the economic situation had to go down and it had to be tacitly acknowledged. The black market, which is the product of the free economic system, becomes the official market, and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the control policy again in a situation where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s occurring. However, the globalization situation can not be isolated any more, and the thinking of the changing people is pushing North Korea to open up.I would like to analyze how the changing economic situation, which is not official, affects the propaganda of animation. If we look at the changes in the propaganda of North Korea's anime, we will be able to predict the degree of North Korea's openness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North Korea's society in the future. 교육과 전파의 의미를 담고 있었던 ‘프로파간다’용어는 세계 1, 2차 대전을 겪으면서 정치선전의 의미로 자리 잡게 되었다. 정부가 정치 이념을 전파하기 위해 사용한 ‘프로파간다’는 이후 사회주의 국가에서 본격적으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활용되었다.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국가이념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프로파간다를 활용한 애니메이션이 지속적으로 제작되었다. 세계화가 되면서 사회주의 국가의 경제체계도 조금씩 변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회주의 국가 애니메이션의 프로파간다도 변화하게 되었다. 중국의 경우 경제체제의 변화에 따라 정치적이고, 교육 중심이었던 프로파간다가 상업적 이윤을 위해 약해지거나, 간접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경제의 발전과 세계화에 따라 상업적 이윤을 높이고자 한 결과이다. 그래도 정치이념 교육을 위해 간접적인 프로파간다를 사용함으로서 애니메이션의 본 목적에 충실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북한의 경우 정치체제와 경제체제 둘 다 변화하지 않았다. 하지만,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지도 체제를 잇는 동안 경제 상황은 변화하였다. 공식적으로 중국처럼 경제체제가 바뀐 것은 아니지만, 집권 초기부터 통제와 억압의 대상이었던 시장은 국가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점점 늘어났다. 개인 간 거래로 시작된 암시장은 그 규모가 더 커지고 많아 졌다. 정부도 암시장을 통제하고자 했으나 경제사정이 계속 나빠지자 암묵적으로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자유경제체제의 산물인 암시장은 공식적인 시장이 되고, 이로 인해 빈부의 격차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다시금 통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세계화 상황에서 더 이상 고립될 수도 없고, 변화하는 인민들의 사고도 북한의 개방을 재촉 하고 있다. 이에 공식적이지 않지만 변화하고 있는 경제 상황이 애니메이션의 프로파간다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북한 애니메이션의 프로파간다의 변화를 살펴보면, 북한의 개방정도와 앞으로의 북한 사회 인식 변화 가능성을 어느 정도 예측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국 핵 프로파간다의 기원 연구 - 트루먼 행정부의 심리전전략위원회를 중심으로-

        심지형 육군군사연구소 2022 군사연구 Vol.- No.153

        이 논문은 1951년부터 1953년까지 트루먼 행정부의 핵무기 공보정책을 분석한다. 6·25전쟁 전반기 핵 강압외교 실패의 경험은 트루먼 행정부에게 핵무기를 국정운영수단으로 활용한다는 것이 대단히 힘든 일임을 깨우쳐주었다. 1951년 4월에 설립된 심리전전략위원회는 핵무기를 심리적으로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을 구상했고, 그중 대표적인 정책이 바로 핵무기 공보정책, 즉 핵 프로파간다였다. 핵 프로파간다는 1980년대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의 핵확산 정책을 둘러싼 학계의찬반 논쟁에서 등장한 개념이다. 하지만 핵무기를 처음 개발한 트루먼 행정부에서부터핵 프로파간다를 현실정치에 적용했다는 점은 학계를 비롯한 세간에 좀처럼 드러나지않았던 사실이다. 그리고 아이젠하워의 “평화를 위한 핵” 선전이 핵 프로파간다의 시초라는 것이 정설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심리전전략위원회는 수소폭탄 시대의 개막서부터 봉쇄전략의 일환으로 핵프로파간다를 구상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NSC 126과 아이비작전 공보정책을 통해 냉전을 관통하는 핵 프로파간다의 패러다임을 규정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사실을 통해로저 딩먼((Roger Dingman)의 미완의 결론을 확장하고, ‘핵외교전략으로서 핵 프로파간다’의 등장 시기를 아이젠하워보다 앞선 트루먼 행정부로 보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리고 심리전전략위원회가 형성한 핵 프로파간다의 기조는 트루먼의 후임 정부에서도 계속해서 이어졌다고 필자는 주장하는 바이다.

      • KCI등재

        박태원 방송소설의 아동 표상 연구 -전시체제기 일상성과 프로파간다 간의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신애 ( Shin Ae Ha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5

        본 논문은 박태원의 방송소설 연작 「꼬마 반장」·「어서 크자」를 텍스 트로 삼아 전시체제기 프로파간다 매체에 나타난 일상-규율 간의 연속 과 불연속을 고찰해 보고자 했다. 1941년 12월 태평양전쟁의 발발 이후 제국은 전쟁의 장기태세에 대비하여 통제경제와 군인 양성의 실질적 수 행을 담당할 공간으로서 ``가정``이라는 일상생활 영역의 재조직을 시도하 게 되었으며, 이 때 영화·방송·문학·강연 등의 형태를 띤 프로파간다 란 총동원의 규율을 아동 혹은 가정주부들에게까지 전파할 수 있도록 하 는 효과적인 선전수단이자 매개체가 되었다. 특히 1930년대 설거지 하든 여염집부인들로 하여금 눈을 껌벅껌벅하며 라지오통엽으로 달려오고 야 말게 할 정도의 파급력을 입증한 바 있던 라디오 매체는 전시체제에 접어들어 일상의 혁신-전쟁과 건설이라는 양면을 서로 연계, 회전시키 는 축으로서 잘 정제된 ``기름`` 역할을 하는 것이라는 사명을 부여받고 있 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면모를 지닌다. 이 시기 식민지 조선인들의 일상 생활과 총동원의 규율을 마찰 없이 연속시키는 회전축 혹은 윤활유와 같 은 역할을 하게끔 상정된 라디오에서는 시국을 배경으로 한 프로파간다 적 성향의 방송소설들을 공모·제작함으로써 실제로 청취자들의 일상생활을 전시체제에 걸맞게 포섭/혁신해나가고자 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나날의 일상적 사건들을 흥미롭게 그려내어 청취자 들의 공감 및 매체적 흡인력을 유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를 변화시키 기 위한 규율을 주입해야만 했던 방송소설의 양가적인 속성을 생각할 때, 프로파간다를 통해 일상과 규율이 연속·조화된 지점을 보여주고자 했던 라디오의 목적이란 과연 얼마만큼 달성 가능한 것이었을까? 또한 나날이 영위하는 일상적 삶과 전장의 규율을 매개, 회전시키기 위한 윤활유로서 방송소설은 과연 얼마나 잘 정제(精製)되어 있었던가? 일상적 삶의 기저 에 그 어떤 정책/규율로도 회수/재조직되지 못할 습속화된 보수성이 자 리 잡고 있음을 상기할 때, 전장의 규율로 인한 혁신을 자연스러운 과정으로서 받아들이게끔 했던 방송소설 내부에도 의식적/무의식적으로 그간 영위해 왔던 일상적 삶의 ``관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불순물들이 존재하여 ``일상생활과 전쟁이라는 양면``을 연계시키는 회전축인 프로파간다를 일시 정지시켜 버리는 효과들이 예기치 않게 등장할 가능성이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규명하기 위하여, 국민정신 총동원을 위해 만들어진, 총후봉공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아 동의 목소리를 빌려 시국에 동조하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은 바 있는 박태원의 방송소설 연작 「꼬마 반장」·「어서 크자」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전시체제기 프로파간다 매체에 나타난 일상-규율 간의 연속과 불연속을 고찰해 보았다. 이를 통해 박태원이 무관심·회피 ·유흥·향락 등의 소소한 실천/위반으로 대표되는 일상적 대응에 대한 포착을 바탕으로 이 시기 제국의 규율을 전파하고자 하는 프로파간다적 의도와 불균형·불연속을 일으키는 지점들을 연달아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제국의 의도에 동조하기보다는 오히려 ``불순한`` 것들을 향한 일상적 욕망의 가시화 및 전파에 보다 비중을 둠으로써 일상을 군율(軍律)로서 재조직하고자 했던 ``회전축``으로서의 프로파간다에 일시정지를 가할 수 있 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음을 밝혔다. This article aims at researching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dailiness-discipline on propaganda media in war basis period with Park Tae Won`s radio broadcasting novels, 「The little captain (꼬마 반장)」·「Let`s Grow (어서 크자)」.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in 1941, the Empire of Japan tried to reorganize daily area such as a family home by infiltration of discipline, to give charges about actual performances served on controlled economics or fostering the young soldiers. And propagandas - Films, broadcastings, literatures, speeches- became very effective method or medium at this time to spread disciplines of national mobilization to children or housewives at home. Especially, the radio media had some appreciable aspects, because it was entrusted with an important mission to be an axis of rotation or lubrication to connect innovation of everyday life and war itself. So radio invited public contests and manufactured some radio broadcasting novels, which had a tendency of propaganda to win listeners everyday life to war footing`s side. But on the considering of conflicting attributes of broadcasting novelson the one hand they was expected to describe direct dailiness to gain listeners sympathy, on the other hand they was expected to inject empire`s discipline to change unfeigned dailiness-, the radio`s goal to show a place that dailiness and discipline became very connected and harmonized was really that attainable? And broadcasting novels as a lubricating oil to go between everyday life and disciplines of war was really that refined? on the recalling of daily life`s conventionalized conservatism, wasn`t there some impurities in broadcasting novels to seek ``inertia`` of life consciously/unconsciously and caused to pause the axis of rotation of propaganda unexpectedly? To investigate answers of above questions, this article analyzed Park Tae Won`s radio broadcasting novels, which has been reviewed like this: it sympathized with current war basis situation and showed some actual pictures of public duty. But through the investigation, this article rather found that Park formated some discontinuous points with the intention of propaganda by capturing of daily responses such as trivial violationsindifference, evasion, entertainment, enjoyment, etc-, and suggested possibility of ``pause`` to propaganda`s axis by exposing and spreading some daily desires for impur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