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지희,홍나영 한복문화학회 2019 韓服文化 Vol.22 No.2
White clothes are a representative elemen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are considered a longstanding custom. However, in tracing the historical cause of this custom, many researchers focused on opinions of individuals of the more recent 20th century, after the white clothing culture had weakened. In this research, we focus on the perspective of people of the 17th-19th centuries(late Joseon dynasty), which is considered the peak of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in Korea.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we confirmed that the country of Gija Joseon(箕子朝鮮), an unfamiliar country in modern Korea, had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the positive recognition of white clothing. In this research, we focused on the cause and influe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and Gija Joseon. The literature consists of Confucian texts which had cultural significance in the Joseon era. In the religious texts, the color white is mentioned as the color of the ancient Chinese Shang(商) dynasty, and Joseon connected this notion to Gija(箕子), which they considered the descendant of Shang, worshipping it as their cultural root. It was believed that the customs of Shang, which took white as its national color, were passed down to Gija Joseon, and were preserved through the years to the present Joseon. In the Joseon era, Han Chinese culture was considered advanced, and Gija brought this advanced culture to Joseon, establishing Joseon’s position as its successor in history. The logic that white clothing, typically associated with funerals, was a custom from Gija Joseon allowed its everyday use. In observ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and Gija Joseon, it should be noted that costume is an important medium reflecting the culture of an era. Having received a positive interpretation from the leading culture, these clothing customs gained support, and as the leading culture changed following the Japanese rule, a different interpretation was applied to the same clothing customs. Even longstanding customs that have been continued by the same ethnic group of people can be subject to different perspectives, and the white clothing phenomen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in Korean costume history. 백의(白衣)는 한국인에게 한민족을 상징하는 전통문화이며, 한민족이 매우 오랫동안 지속한 풍습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역사적 원인에 대해서는 긴 역사에서 비교적 최근이고 백의풍습이 약화되는 시기인 20세기 이후 인물의 의견을 중심으로 살펴본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백의풍습 성행 시기로 지목되는 조선후기(17~19세기)에 당시 사람들이 백의를 어떻게 생각했는지 주목하였다. 연구과정에서 현재 한국에서는 매우 낯선 국가인 기자조선이 백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는 기록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자조선과 백의풍습의 연관성 생성의 원인과 영향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았다. 문헌 기록은 조선시대에 중시한 유교경전에 있다. 경전에는 백색은 중국 고대 국가인 상나라의 국가 상징색이라는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 사람들은 이 내용을 당시에 문화 시조로 숭상하였던 상나라 후손 기자와 연결하였다. 백색을 국색으로 한 상나라의 풍습이 기자가 건국한 나라인 기자조선에 전래되고, 매우 오랜 시간이 지난 현재의 조선에도 지속된다고 생각하였다. 조선시대에 중국 한족의 고대문화는 선진문명으로 인식되었다. 기자는 선진문명의 전달자였고, 조선을 선진문화의 계승자로 증명해주는 역사적 근거였다. 기자조선의 풍습이라는 논리는 상복색이 분명한 백색이 평상복색으로 허용되는 큰 기반이 되었다. 조선후기 백의풍습 인식과 기자조선의 상관성 고찰에서 주목할 사항은 복식이 당시 문화를 반영하는 주요 매체라는 특징이다. 주도 문화에서 긍정적인 해석을 부여받았기에 해당 복식풍습이 지지를 받았으며, 일제강점기 이후에 주도 문화가 변화하면서 같은 풍습에도 다른 해석이 적용되었다. 동일한 민족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한 동일한 풍습이라도 다른 인식이 가능하며, 한국복식문화에서는 백의풍습이 대표 사례로 의미가 크다.
영국 왕정복고 시대의 풍습희극에 나타난 `위트`에 대한 연구 -윌리엄 콩그리브의 「세상 돌아가는 이치」를 중심으로-
김동욱 ( Kim Dongwoo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5
영국의 왕정복고 시대는 여러 면에서 독특한 특성들을 발견할 수 있는 시대이다. 직전 18년 동안 지속되었던 공화정(1642∼1660)의 엄숙한 청교도 정치가 종말을 고하고, 프랑스로 망명 갔었던 찰스 2세가 영국 왕위에 복귀하면서 시작된 이 시대에 특히 연극계의 변화는 가히 괄목할 만한 것이었다. 새로 건축된 유럽 대륙식 프로시니엄 무대를 갖춘 극장들이 런던 도심에 자리 잡기 시작했고, 이를 찾는 일반 관객들은 이 전시대와 비교하여 매우 상이한 양상을 보인다. 신흥 중산층을 중심으로 확대된 이 시대의 관객들에게 셰익스피어의 진지한 작품들은 더 이상 이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지 않았고, 그 보다는 새로 유행하기 시작한 유럽식 신고전주의를 바탕으로 하여 형식미를 강조한 `영웅 비극`이나 불륜, 위선, 신성모독, 부도덕한 행동 등, 동시대에 풍미했던 사회상을 여과 없이 무대에 올려 풍자한 `풍습희극`, `모반희극` 등과 같이 훨씬 자극적인 작품들이 극장가의 공연 작품으로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이 시대의 `풍습희극`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극단적으로 나누어지는 평가가 뒤따랐는데, 이를 혹평하는 측은 제레미 콜리어 목사를 필두로 한 성직자들 및 도덕성을 중시하는 사람들이었고, 그 대척점에서 이를 옹호하던 측은 주로 동시대의 `풍습희극` 작가를 중심으로 동시대에 만연했던 자유분방했던 성 풍속, 신성모독적인 태도, 그리고 종교 및 사회적 기준에서의 도덕적 윤리관과 실상의 괴리를 감추려는 위선적인 행동 등을 있는 그대로 무대 위에 재현하여 풍자함으로써 관객들에게 `반면교사`의 교훈을 준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었다. 사실 불륜, 가식, 위선, 허풍, 사치, 허영 등의 내용으로 가득한 인물들이 등장하는 `풍습희극`이 관객들 및 독자들에게 주는 즐거움 및 교훈은 작품의 내용 그 자체라기보다는 작가가 작품을 대하는 태도에 기초한 것들인 바, 항상 이성적이고 인간 본성에 충실한 `진정한 위트`의 소유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재치가 번득이는 세련된 대사와 도시풍의 세련된 행동으로 동시대의 어지러운 사회를 헤쳐 나가는 모습에서 감동 및 재미가 유발되는 것이다. 따라서 영국 왕정복고 시대에 큰 인기를 끌었던 `풍습희극`을 올바로 감상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동시대의 타락한 사회상을 여과 없이 무대에 재현하여 치부만 극대화했다고 눈살을 찌푸리는 청교도적인 시각과 거리를 두고, 서서히 부상하는 신흥 중산층의 눈높이에 맞춘 새로운 도덕관과 세계관의 기초가 될 `진정한 위트`의 본질을 심도 있게 파악함으로써 `풍습희극` 작품들의 진정한 가치를 재검토하는 것이 매우 유의미한 작업이 된다고 할 수 있다. The Restoration Age was the most interesting period in English dramatic art. When Charles II restored the throne in 1660, he ordered to re-open the London theatres which had been closed for 18 years by the puritans, issuing letters patent to Thomas Killigrew and Sir William D`Avenant for the incorporation of two companies of players. New theatre buildings in continental style were introduced in London, and more sophisticated audiences were gathered for enjoying European neo-classic dramas. For them, John Dryden`s heroic tragedies or comedies of manners were more popular than Shakespeare`s tragedies or pastoral comedies. About the comedy of manners, however, there were two different reviews and judgements; some criticised them bitterly according to the religious standard, and the others advocated them. Among them `The Collier Controversy`(1698) was most famous. While Rev. Jeremy Collier attacked on the indecency and profaneness of the stage, the major playwrights including William Congreve defended them explaining specific passages by placing them in the context from which Collier had sometimes wrenched them. Congreve argues that even though indecent themes and profaneness, as well as the false wit characters and hypocrisy were frequently introduced during the play, as the vicious people are made ashamed of their follies or faults by seeing them exposed in a ridiculous manner, so are good people at once both warned and diverted at their expense. In order to comprehend and judge rightly on the comedy of manners during the Restoration 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eep distance with the puritan`s views and to understand the new fashions and tastes of the newly rising middle class audiences.
체코 출생 의례에 나타난 민속 신앙 및 종교적 요소 연구
김규진(Kim, Kyu-Chi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
기독교의 전래와 더불어 체코인들의 생활에는 기독교적인 요소와 토속적인 요소가 공존하기 시작했다 전통적인 체코의 출생에 관한 의례 중에서도 오늘날까지 잘 지켜지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체코의 전통적인 이름과 세례명을 짓는 것이다. 출생 의례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풍속 가운데 하나가 바로 작명 풍습이라고 할 수 있다. 세례를 통해서 0)이는 이름을 부여받을 뿐만 아니라 마을 또는 사회 공동제의 일원이 된다. 이러한 출생에 관한 풍습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연대기, 전설 그리고 선교사들의 여행기에서 찾을 수 있다. 전통적으로 체코는 출생 의식을 임신, 분만, 산욕의 세 가지 기본적인 단계로 나눈다. 이는 임신에서 산욕이 끝날 때까지 산모의 행동을 결정짓는 각종 미신과 의식, 관습, 터부, 교훈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풍습은 주술과 종교에 기반을 두고, 신생아를 가족, 사회 및 교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이는 상정적인 의식을 행하게 된다. 체코는 전통적으로 아이의 출생에 대해 다양한 의식과 미신에 가까운 여러 가지 의례 행위를 가지고 있었다. 19세기 산업사회 이후 이러한 전통은 별로 지켜지지 않고 있지만, 유독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만은 전통적인 방법에 많이 의존한다. 체코에서 이름과 성씨의 변화 과정은 민속 신앙보다는 9세기 종교 전파 이래 기독교 문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체코 사람들은 이름을 지을 때 기독교의 전례력과 고유한 민속 달력을 사용하여 왔다. 대개 달력 날짜에 표기된 이름을 따서 아기의 이름을 짓기도 한다, 현대에는 유명한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 주인공들의 이름에서 자녀의 이름을 짓기도 한다, 체코에는 기독교의 전래와 더불어 세례명으로 이름을 짓는 풍습이 시작되었고, 그 이후 히브리어나 라틴어,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체코 달력에서 우리는 쉽게 고대 체코 이름들과 고대 슬라브 이름들을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조어 이름들도 찾을 수 있다. 체코인들은 아직도 전통적으로 달력에 근거하여 옛 성인이나 순교자들의 이름에서 따오는 기독교 세례명을 널리 선호하고 있다. 이처럼 작명 풍습은 체코 출생 의례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하겠다. Set of original as well as adopted customs and rites related to the beginning of life was also mixed with quick spread of Christian faith. The spread of Christian faith and preserving of paganish customs thus coexisted. Among Czech habits and customs related to the birth of a child, naming is the most important phenomena. Official rituals of the Catholic Church were dominantly promoted, which, through liturgical means and gestures of belief - the christening - welcomed the child into its community. The oldest written notes about customs related to the birth can be found in chronicles, legends and travelogues of missionaries. Traditionally we can chronologically divide rituals of birth to three basic phases: pregnancy, delivery and puerperium. All the period can be observed as made of two levels: one is formed by operations motivated by health safety of mother and newborn, and his happy life. Here belong superstitions, rites, customs, taboos and instructions determining a mother's behavior from pregnancy to the end of puerperium. Many of these had roots in magic-religious foundation. Symbolically receive and recognize newborn as legitimate member of family, community and church In Bohemia traditionally there are so many rituals and superstitions about the birth of children, but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19th century, those traditional rites have no been used until today. But naming children depends on traditional way. Development of personal names in the Czech Lands was related with religious culture rather than folk culture. Czechs use, beside a regionally modified Christian calendar, another calendar of its own. The Christian calendar remains for the Czechs of today sort of unchanging constant. In our time, some parents call their children after their favourite film or TV soap opera heroes. The calendar came into the Czech lands together with Christianity, and it brought foreign, Hebrew, Latin and Greek names too. People nowadays prefer, on one hand, Czech and Slavic names, on the other neologisms appear, which roll back historical names.
홍인국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3 유라시아문화 Vol.8 No.-
이 글은 기존에 주목하지 않았던 한반도 파경 풍습에 대해 그 기원과 전개를 살피고자, 그동안 출토된 자료를 검토하여 깨어진 동경의 매납행위를 비교하는 기초 작업으로 정리해 보았다. 또한 한반도로 수용되고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 아직까지 시도해 보지 못한 파경의 유형과 시기성, 선후관계 등 계통적인 구조를 알아보았다. 파경은 무덤 속에 원형의 동경을 인위적으로 깨뜨려 매장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북방 유목민족의 특징적인 풍습으로 여겨졌으나 자료적 한계가 있다. 오히려 중국의 낙양 소구한묘에서 파경 풍습이 확인된 이래, 서안에서도 재차 발견됨으로서 그 기원을 중국 서북지역에서 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에는 전국시대 진의 도읍이었던 옹성 인근에서도 파경이 발견되었는데, 다른 부장품 중 동경만 파괴된 상태로 출토되어 기원전 3세기 중엽 부터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에서는 기원전 3세기부터 파경 풍습이 시작되는데, 현재까지 남한지역에 걸쳐 32개 유적에서 49점이 기원후 3세기까지 다뉴경과 한경, 방제경을 통해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확인된다. 이제까지 파경은 여타 청동기, 석기, 옥기 등의 일반적인 파쇄행위와 동일한 계통으로 이해됐으나, 동시기 중국에서 편찬된 문헌자료를 통해 동경이 가지는 부부 또는 가족의 재회를 상징하는 시대성이 매장풍습에 반영되어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의례적 맥락으로 한반도에도 전해졌는데 중국은 분절품을 통한 재회를, 한반도에서는 사후세계 기물로 소멸을 뜻하는 파쇄품으로 기원후 3세기까지 지속되었다.
권재일(Kwon, Jae-Il)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
기독교가 보급되기 이전의 체코의 혼례는 전적으로 민간 신앙과 민간풍습에 의존해오다가 기독교가 보급되면서 기독교의 영향을 받게 되고, 16세기 중반 교회 혼례의 의무화가 선언된 이후에는 그 영향력이 절정에 이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코의 혼례는 민간 풍습과 관습의 전통을 계속 유지해왔고, 근대 시민 사회의 등장과 더불어 그 영향력이 증대되었다. 비록 혼례식은 성당이나 교회에서 거행하지만 나머지 의식은 민간 전통과 민간 의식에 따르고 있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 결국 체코 혼례에 대한 기독교와 민간 신앙의 영향이 시기마다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역사의 초기에는 민간 풍습과 민간 신앙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컸다고 한다면,중기에는 기독교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고, 후대에 와서는 시민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민간 풍습의 영향력이 증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체코의 전통 혼례를 공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혼례식을 기준으로 혼례식 이전 의례의 단계에서는 기독교적인 영향력이 차츰 증대되는 추세를 보이다가 교회에서 거행되는 혼례식에서 절정을 이룬 다음, 혼례식 이후 의례부터는 다시 민간 풍습과 민간 신앙의 영향력이 중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구훈과 약혼에서 결혼 전야제에 이르기까지의 혼례식 이전 의례는 거의 전적으로 민간 풍습과 민간 신앙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혼인 예고와 신랑과 신부에 대한 교려 문답과 같은 일부 의례만 교회에서 행해질 뿐이다. 혼례식은 교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적으로 기독교 의식에 따르지만, 일반 민중들 사이에서는 여기에도 민간 신앙적인 믿음이 침투하고 있다. 그리고 피로연, 신부의 기혼녀 머리 씌우기, 신행, 신부 맞이하기와 다루기 등으로 구성되는 혼례식 이후 의례에서는 다양한 민속과 각종 민간 신앙적이고 주술 신앙적인 비방이나 처방이 가장 많이 등장한다. 그러나 다산을 기원하고 재앙을 예방하기 위한 민속적이고 민간 신앙적인 의식이라 할지라도 그 속에는 대부분 기독교적인 요소와 기독교적인 상징체계가 내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체코의 전통 혼례는 민간 신앙적인 요소와 기독교적인 요소가 혼합되고 복합된 양상임을 알 수 있다. The Czech wedding had been celebrated according to the popular customs and manners before Christianity, while with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in the Czech Lands the influence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on the wedding had been on the increase, particularly after the Decree of the Council of Trent in 1563 that the wedding ceremony must be held in the Church only. Nevertheless, common people continued to celebrate their weddings in their manners, even though the ceremony itself was solemnized in the Church. Proposal of marriage, marriage settlement, engagement, preparation of wedding costumes, wedding cakes, wedding tree, and floral wreaths, most of these events before the wedding ceremony were in accordance of folk customs and manners, which included many kinds of popular believes, superstitious believes, and magic practices. In the fπst part of the traditional Czech wedding only the wedding announcement and catechism, i.e. question-and-answer examination of the bride and bridegroom took place in the Church. Parents' blessing to the bride and bridegroom in the morning before leaving for the Church was a mixture of popular rites and Christian ones. Of course, the very ceremony of the traditional wedding was held in the Church or Cathedral, however popular believes penetrated into even the marriage service in the Church. For example, people believed that the one who steps to the altar first he or she will dominate his or her partner in their household. Also they believed that it is a sign of good luck if the sun shines at the moment when the new couple says “ano(Yes)" before the altar. Almost all celebration programs after the wedding service in the Church like stopping of the bridal procession, wedding reception, cepeni, i.e. putting the cepec, symbol of the married woman, on the head of the bride, orientation and test of bride in her new house, wedding dances and plays, all these were under the influences of the popular manners and customs as well as various magic practices, secret measures, popular believes, and superstitions. For example, the rite of making the bed(stlani loze) for the married couple in the first night was originated from a magic practice to protect the couple against the evil powers as well as to ensure the fertility of the couple. Another example is that the rite of scattering the corns over the couple when they arrive at the home of the bridegroom’s parents had the meaning for the people to wish the couple fertility. on the other hand, a series of ceremonial acts like the leading of the bride to the bridegroom in the first night and the bride’s farewell to her home the day after the ceremony were more influenced by Christian traditions. Furthermore most of the ceremonial acts based on the popular manners and customs contained Christian elements and Christian symbolism Therefor we can say that the Czech traditional wedding was influenced not only by popular manners and popular believes but also by Christian ones. It was only a matter of degree.
최창성 ( Choi Chang Sung ) 한국태국학회 2006 한국태국학회논총 Vol.13 No.-
인류의 문화와 풍습은 인종과 민족에 따라서 각각 다를 수도 있고, 그 민족이 거주하고 생활하고 있는 지리적 상태와 기후 조건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각 민족 고유의 문화와 풍습은 독자성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농사를 짓기 위해 씨를 뿌리고,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그에 따른 달력을 절기(節氣)로 만들어 내었다. 예전에는 달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절기를 만들었기 때문에 해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되는 계절의 변화와 잘 맞지 않았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해의 움직임을 표시해주는 24 절기를 만들어 같이 시용하였다. 하늘에서 해가 1년 동안 움직이는 길, 즉 지구의 공전운동으로 해의 위치가 하루에 1도씩 이동하여 생기는 길을 황도 (the Ecliptic)라 부른다. 이 황도가 0도일 때는 해가 춘분점(春分點 : 해가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해 적도를 통과하는 점)에 있을 때인데 이때를 ‘춘분’, 15도 움직인 때를 ‘청명’,계속해서 15도 이동하면 ‘곡우’가 된다 다만 이 24 절기가 계절의 특성을 말해 주는 것은 사실이 지만 원래 중국 주(周)나라(1027-771 B.C.)의 화북지방의 기후에 맞춰진 것이어서 우리나라와는 잘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더구나 옛날과 비교해 기후와 생태계가 많이 달라진 상태여서 현재는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우리 조상들이 이에 맞추어 살아왔기에 그 뜻과 함께 우리의 농경사회 문화와 풍습을 외국어로 번역하여 소개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여 태국어로 옮겨 보았다. 특히 태국은 아열대에 속하는, 고온다습하고 연중 기후의 변화가 그다지 심하지 않은 나라이므로 태국인들이 우리 나라에 와서 24절기를 접하면 매우 흥미롭게 생각하며 한국인은 삶의 지혜가 뛰어난 국민이라고 감탄해 마지 않는다. 이 글의 끝 부분에는 우리나라의 명절과 풍습인 설날,추석, 한식,단오,삼복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거룩하신 성 니콜라스, 내가 어려울 때 나를 버리지 마시고... - 성 니콜라우스 풍습의 유래에 대하여
니콜라우스그로스 ( Gross Nikolaus ) 한국독일어문학회 2004 독일어문학 Vol.24 No.-
성 니콜라우스 생애에 대하여 역사적으로 확실한 기록은 없다. 아마 4세기, 오늘날 터어키 Demre라는, Antalya에서 서쪽으로 150Km 떨어진 Myra에 니콜라우스라는 이름을 가진 주교가 있었던 것 같다. 10세기, Simeon Metaphrastes라는 수도승의 착오로 Myra의 니콜라우스 전기와 Pinora의 대수도원장 니콜라우스(?-564.12.10)의 전기가 뒤섞여 엮어지는 바람에 두 인물이 동일인처럼 다루어졌다. 처녀전설에 의하면 성 니콜라우스는 너무 가난해서 결혼지참금을 마련할 수 없는 세 소녀에게 밤에 창 안으로 금덩어리를 던져 넣어 준 것으로 되어 있다. 학생전설에 의하면 성 니콜라우스가 어떤 나쁜 식당주인에 의해 소금절이 통에 담겨진 세 학생을 다시 살려낸 것으로 되어 있다. 모든 대중적인 니콜라우스 풍습은 북프랑스 지역의 수도원학교들에서 시작되었다. 이곳에서 12세기에 학생전설이 유래되었으며 14-15세기에는 니콜라우스 성일에 학생들 중에서 소년주교를 선발하는 행사가 있었다. 12월 5일과 6일 사이의 밤에 사과, 호두를 비롯한 건과 및 사탕과자류를 몰래넣어 놓는 풍습은 성 니콜라우스가 가난한 세 소녀에게 금덩어리를 창 안으로 넣어 준 것에서 유래한다. 니콜라우스와 그의 시종(대개 Ruprecht)은 어린이가 있는 모든 집을 돌며 이들의 선행과 악행에 대하여 심문한다.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주던 풍습은 원래 니콜라우스 성일인 12월 6일에 행해졌는데, 가톨릭교의 성인숭배를 피하려고 신교도 지역에서는 1570년부터 성탄전야인 12월 24일로 ?グ保낫? 그리고 선물수여를 위해 머리에 하얀 베일과 촛불 꽂힌 관을 쓴 아기예수가 등장했는데, 주로 소녀들이 이 역을 맡았다. 오늘날과 같은 모습 및 복장의 산타클로스는 미국의 Clement Moore(1779-1863)의 시와 Thomas Nast(1840-1902)의 풍자화에 기인한다.
文化共同体视域下看朝鲜文人柳得恭对18-19世纪东亚社会的理解
郑泽星 한중인문학회 2024 한중인문학연구 Vol.85 No.-
이 논문은 ‘동아시아’, ‘동아시아 공동체’라는 개념이 어떤 실존하는 집합체를 지시하는 용 어가 아니라 이 집합체가 역사 서술로서 어떻게 가능할 수 있었는지를 인식하기 위해 시도되 었다. 조선 후기 북학파 문인 유득공은 그의 ‘연행록’과 관련 저술에서 동아시아 사회와 문화 에 대한 관찰과 인식을 기록했는데 아직 이에 관한 연구들이 충분하지 못한 게 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문화 공동체’의 시각에서 18-19세기 동아시아 사회의 존속 양상과 형 성 근거에 대한 유득공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유득공은 당시 ‘문(文)’과 ‘예(禮)’를 핵심으로 하는 한문화가 여전히 동아시아의 주류 문화와 정신적 유대로서 작용하고 있고, 동아시아 각 구성원들이 이러한 지적 자원과 취향을 공유하되 문화 실력을 둘러싼 경쟁도 다각적으로 벌이고 있는 모습을 체험했다. 이러한 모습은 동아시아 사회가 공시적(共時的)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으로 유득공은 조선의 사회 풍습도 동아시아 각 사회의 풍습과 역사적으로 얽혀 이어져 왔고, ‘북학’을 목표로 하여 계속 변화해 나간 것이라고 인식했다. 그리고 사회 풍습의 융합과 중국 사회와의 공동 발전이라는 통시적(通時的)인 맥락 속에서 동아시아 사회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던 것으로 인식했다. This paper conducts discussion with the concepts of “East Asia” and “East Asian Community” not as terms of any existing regional entities, but rather as research methodologies for understanding how such an entity could have been possible through historical narratives. Yu Deuk-gong, a scholar of late Joseon dynasty, recorded his observations and perceptions of East Asian society and culture in his Journey to Yenching and other writings. However, research on this topic remains insufficient. This study examines Yu’s understanding on the formation and persistence of East Asian society during 18-19C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ommunity. On one hand, Yu observed that the Han culture, characterized by “literature (文)” and “ritual propriety (禮),” continued to function as the mainstream culture and a spiritual bond in East Asia; members of East Asian society shared these intellectual resources and cultural orientations, while competing in terms of cultural proficiency. This kind of state demonstrates the synchronic connections within East Asian society. On the other hand, Yu viewed Joseon’s social customs as historically intertwined with those of other societies in East Asia, and believed that they would continue to evolve under the goal of “Learning from the North(China).” East Asian society had been sustained through a diachronic context of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societies’ customs and the joint development with Chinese society.
손성태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5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9 No.1
According to ancient Chinese books, the Korean nation was the greatest nation in population number among nations that occupied territory north to China. They inhabited a vast territory including Manchuria, Liáodōng and the Peninsula Han. But the Koreans lost Manchuria after the 10th century, because their population decreased in number in comparison with other nations. Some ancient Chinese documents wrote down the reason: The koreans of Manchuria and Liáodōng left toward the Amur. In 2007, Prof. Son Sung Tae found in ancient Mexican documents that the Korean ancestors had lived in Mexico before the Discovery of the New World by Colombus in 1492. He got to know that So many number of korean ancestors of Manchuria came to America during the period from the 3th to the 7th century. Owing to some ancient mexican document saying that the Mexican native's ancestors came across many islands located in a line, he found that the route of the Koreans exodus was Aleutian Islands. It means that the exodus route is Manchuria-the Amur- seaside of the Sea of Okhotsk- the Peninsula of Kamschatka. In present study I present many evidences that the Korean ancestors passed through the territory from the Amur to the Kamschatka. First I present lingual evidence that many tribes of the route used Korean words for their tribal names and in conversation of daily lives. Second I present evidences that the natives of the route kept customs identical to that of ancient Koreans. Finally I present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the Koreans ancestors lived some times in many places on the route. The evidences consists of semi-lunar stone knives, arrowheads of stumpy point, pictures of whales and Ondol-the Korean traditional heating system.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그동안 여러 연구와 저서를 통하여 밝힌, 우리민족의 이동루트로서 만주-아무르-오호츠크해 연안-춥지·캄차카 반도에 어떤 우리민족의 흔적이 남아있는지 다루었다. 필자는 그 흔적을 언어, 풍습, 유물이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다루었다. 먼저 언어 분야에서는, 길약족의 종족 명칭으로 알려진 ‘길에께, 길래미, 질래미, 니부히’가 모두 우리말이고, 그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매우 많은 우리말을 사용했다는 증거를 다루었다. 특히 길약족은 다른 민족이 차용해 갈 수 없는 우리말 ‘조사’까지도 사용했다. 오호츠크해 연안에 사는 에벤키족도 다양한 우리말을 사용했다는 증거를 제시했으며, 춥지-코리약족의 언어에도 다양한 우리말들이 발견되고, 캄차카라는 지명도 우리말 ‘깜짝’에 ‘장소’를 의미하는 고대 우리말 ‘간’이 합쳐진 말이라는 것을 밝혔다. 또 춥지족의 명칭은 그들이 자주 말했던 ‘춥지, 차브추어’에서 유래했는데, 이 말은 추운 그곳 자연환경을 반영한 우리말임을 밝혔다. 코리약이라는 종족 명칭도 고대 우리민족을 가리키는 ‘고리’라는 말에 서술어 ‘~야’가 붙어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다. 풍습으로는 부여-고구려의 고대 풍습으로 알려진, ‘형사취수, 데릴사위, 음란한 부인을 쉽게 죽이는 풍습, 나물 먹는 식습관, 고수레, 별자리에 대한 깊은 지식’ 등을 다루었다. 유물·유적과 관련하여서도, 고대 우리선조들의 특징적 도구였던 반달형 돌칼, 전쟁용과 구별되는 뭉턱한 사냥용 화살촉이 그 지역에서 사용되었음을 확인했고, 춥지-코리약족의 순록 가죽에 그려진 고래 그림과 울산 반구대의 고래 암각화를 비교하여, 두 그림이 고래의 생태 습관과 부구를 이용한 고래 사냥 방법에서 깊은 일치를 보인다는 사실을 다루었다. 우리민족이 아무르강 하류를 거쳐 캄차카반도를 지나 알류산열도를 건너갔다는 무엇보다 중요한 증거로, 아무르강 하류에 19세기 말까지 있었던 온돌과 알류산 열도에 유적으로 남아있는 온돌의 구조가 정확하게 같다는 사실을 다루었다.
청 황실 사조(祀竈) 의례의 특징과 의미 ‒ 월령승응희(月令承應戱) 절절호음(節節好音) 을 중심으로
임미주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1 동양학 Vol.- No.85
The Qing Dynasty established by the Manchurian regime, established a unique culture of Kitchen god worshipping(祀竈) which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dynasties. The Qing Dynasty palace performed Festival Court Plays, a professionally created play to commemorate the Day of Kitchen god worshipping forming a ritual for the Day of Kitchen god worshipping of the Qing Dynasty. Jie Jie Hao Yin( 節節好音 ) is a script collection produced by Qing Dynasty’s imperial storehouse that includes 8 different types of the Day of Kitchen god worshipping’s Festival Court Plays. The dramas of Kitchen god worshipping(祀竈節戱) reflects the various the Day of Kitchen god worshipping customs naturally associated with the rituals of the Kitchen God(Zaojun竈君). The dramas of Kitchen god worshipping mainly covers centering on the three historical figures including Yin Zifang(陰子方), Lü Mengzheng(呂蒙正), Fan Shihu(范石湖) who performed the rituals related to Kitchen god worshipping. In addition, the dramas of Kitchen god worshipping contains useful information that reflects Kitchen god worshipping rituals and characteristics. In the early period of the Qing Dynasty which succeeded the Ming Dynasty system, the Five sacrifices(五祀) incorporated the Kitchen god worshipping. In the eighth year of Sunzhi(順治), it was institutionalized to pay tribute to the Kitchen god worshipping in the early summer. After Emperor Kangxi(康熙), the Kitchen god worshipping as the sacrificial rites for the nation were abolished and the court officially held a memorial service on December 23rd in the lunar calendar. The dramas of Kitchen god worshipping reflects this aspect of the day of Kitchen god worshipping of the Qing court. This is the result of the Qing court’s acceptance of the private custom which shows the convergence of private and official customs. As a domestic ritual of the Qing court, the Kitchen god worshipping was held in the form of a couple together performing a ceremony in which the emperor and the empress also participated. The characteristic of the ritual of a couple together performing a ceremony of the Qing court, in which the emperor and empress participate, is reflected in the presence of the couple holding sacrificial rites together or serving the Kitchen God(Zaojun竈君) and his wife(Zaojunfuren 竈君夫 人) together in the dramas of Kitchen god worshipping. The works of the dramas of Kitchen god worshipping performed on the of the Kunning Palace show the inclusive characteristics of Kunning Palace’s historical rites by including the fusion of private and official Kitchen god worshipping cultures, Han and Manchuria culture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cultures, court Rites-music including plays. It can be seen the acceptance of various faith religions and the inclusiv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rites of the Qing court. This clearly reflects the Qing ruler’s ideals of convergence and harmony with the court as a family and the various nationalities and cultures that make up a large-scale empire. 만주족 정권이 수립한 청 황실은 역대 왕조와 구별되는 독특한 사조(祀竈) 문화를 구축하였다. 사조일을 기념하기 위해 전문적으로 창작된 연극인 월령승응희를 공연하여 고유의 사조의례를 형성하였다. 월령승응희 공연이 궁정 의례로 정식 제정되고 규범화되어 가장 활발히 공연된 건륭 연간의 월령승응희 작품집인 절절호음(節節好音) 에 수록된 여덟 작품의 ‘사조절희(祀竈節戱)’는 모두 사조 관련 고사가 전하는 음자방(陰子方), 여몽정(呂蒙正), 범석호(范石湖) 세 역사 인물을 중심으로 하여, 자연스럽게 조신 제사 및 다양한 사조절 풍속을반영하고 있다. 나아가 청 황실의 사조의례와 그 특징을 엿볼 수 있는 유용한 정보들이 내포되어 있다. 청 황실은 초기에는 명나라 제도를 계승하여 매년 연말에 태묘의 서쪽 아래채에서 오사(五祀)를 합제하다가, 순치 8년에 맹하에 조신제사를 단독으로 하는 것이 제도화 되었다. 강희제 이후 국가 사전으로서의 사조제사는 폐해지고, 옹정 13년부터 황실의 사적제사로서 매년 음력 12월 23일에 제사를 올렸다. 월령승응희에는청 궁정 사조일의 이러한 변화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 이는 청 궁정이 민간의 사조 풍습을 수용한 결과로서, 민간과 관방의 사조 풍습의 융합을 보여주고 있다. 청 궁정의 사적의례로서 조신제사는 황제가 직접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가정 제사이자 황후도 함께 참여하는 부부합제 형식으로, 여성의 참여가 배제되었던 민간의 사조 풍습과도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황제와 황후가함께 참여하는 청 궁정 부부합제의 사조의례의 특징은 월령승응희 속에 부부가 함께 조신 제사를 지내거나 조군과 조군부인을 함께 모시는 모습으로 반영되어 있다. 이처럼 청 궁정 사조일에 공연된 월령승응희 작품을 통해 민간과 관방의 사조 문화의 융합, 한족과 만주족문화의 융합, 유불도 등 다양한 신앙 종교의 수용, 연극을 궁정 예악으로 수용 확대한 청 궁정의 사적의례의포용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청 통치자가 하나의 가정으로서의 궁정, 대규모로 확대된 제국을 구성하는 다양한 민족 및 문화에 대한 융합과 화합을 도모하고자 한 이상을 뚜렷하게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