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백의풍습 인식과 기자조선의 상관성 연구

        최지희,홍나영 한복문화학회 2019 韓服文化 Vol.22 No.2

        White clothes are a representative elemen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are considered a longstanding custom. However, in tracing the historical cause of this custom, many researchers focused on opinions of individuals of the more recent 20th century, after the white clothing culture had weakened. In this research, we focus on the perspective of people of the 17th-19th centuries(late Joseon dynasty), which is considered the peak of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in Korea. Through the research process, we confirmed that the country of Gija Joseon(箕子朝鮮), an unfamiliar country in modern Korea, had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the positive recognition of white clothing. In this research, we focused on the cause and influe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and Gija Joseon. The literature consists of Confucian texts which had cultural significance in the Joseon era. In the religious texts, the color white is mentioned as the color of the ancient Chinese Shang(商) dynasty, and Joseon connected this notion to Gija(箕子), which they considered the descendant of Shang, worshipping it as their cultural root. It was believed that the customs of Shang, which took white as its national color, were passed down to Gija Joseon, and were preserved through the years to the present Joseon. In the Joseon era, Han Chinese culture was considered advanced, and Gija brought this advanced culture to Joseon, establishing Joseon’s position as its successor in history. The logic that white clothing, typically associated with funerals, was a custom from Gija Joseon allowed its everyday use. In observ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hite clothes phenomenon and Gija Joseon, it should be noted that costume is an important medium reflecting the culture of an era. Having received a positive interpretation from the leading culture, these clothing customs gained support, and as the leading culture changed following the Japanese rule, a different interpretation was applied to the same clothing customs. Even longstanding customs that have been continued by the same ethnic group of people can be subject to different perspectives, and the white clothing phenomenon is a representative example in Korean costume history. 백의(白衣)는 한국인에게 한민족을 상징하는 전통문화이며, 한민족이 매우 오랫동안 지속한 풍습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역사적 원인에 대해서는 긴 역사에서 비교적 최근이고 백의풍습이 약화되는 시기인 20세기 이후 인물의 의견을 중심으로 살펴본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백의풍습 성행 시기로 지목되는 조선후기(17~19세기)에 당시 사람들이 백의를 어떻게 생각했는지 주목하였다. 연구과정에서 현재 한국에서는 매우 낯선 국가인 기자조선이 백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는 기록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자조선과 백의풍습의 연관성 생성의 원인과 영향에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았다. 문헌 기록은 조선시대에 중시한 유교경전에 있다. 경전에는 백색은 중국 고대 국가인 상나라의 국가 상징색이라는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 사람들은 이 내용을 당시에 문화 시조로 숭상하였던 상나라 후손 기자와 연결하였다. 백색을 국색으로 한 상나라의 풍습이 기자가 건국한 나라인 기자조선에 전래되고, 매우 오랜 시간이 지난 현재의 조선에도 지속된다고 생각하였다. 조선시대에 중국 한족의 고대문화는 선진문명으로 인식되었다. 기자는 선진문명의 전달자였고, 조선을 선진문화의 계승자로 증명해주는 역사적 근거였다. 기자조선의 풍습이라는 논리는 상복색이 분명한 백색이 평상복색으로 허용되는 큰 기반이 되었다. 조선후기 백의풍습 인식과 기자조선의 상관성 고찰에서 주목할 사항은 복식이 당시 문화를 반영하는 주요 매체라는 특징이다. 주도 문화에서 긍정적인 해석을 부여받았기에 해당 복식풍습이 지지를 받았으며, 일제강점기 이후에 주도 문화가 변화하면서 같은 풍습에도 다른 해석이 적용되었다. 동일한 민족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한 동일한 풍습이라도 다른 인식이 가능하며, 한국복식문화에서는 백의풍습이 대표 사례로 의미가 크다.

      • KCI등재

        역사학 : 터키 동부 흑해 트라브존 지역의 신랑 매달기 풍습에 관한 연구

        양민지 ( Min Ji Ya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0 No.48

        사람이 태어나서 죽기까지 반드시 거치는 인간의 성장 과정 중에서 그 사회의 지역적 특징, 자연환경, 민족성, 종교, 문화, 사상 등의 영향을 받아 생겨난 의식이나 의례를 통과의례라고 한다. 이러한 통과의례를 통하여 구성원들은 일정한 지위를 획득하게 되고 그에 따른 책임을 지니게 된다. 한 사회에 속한 어떠한 구성원이 특별한 시기에 들어서게 되면, 그 사회의 통과의례에서 정착 된 각종의 의식과 의례 등을 일반적으로 지키려고 하며, 다른 구성원들 또한 그 구성원이 풍습과 통과의례를 준수하기를 기대한다. 그러나 크게는 시대 환경의 변화 이를 테면 그 사회의 경제, 정치, 문화 등의 변화나 작게는 지역, 마을, 가족 내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사회가 일반적으로 정한 통과의례준칙이나 풍습 등은 사회 구성원이 행하는 실제의 관례와는 차이를 보이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변화들이 모여 또 다른 통과의례의 모습이 정착되는 것이다. 결혼의례는 이러한 변화요소들이 매우 높은 의례 중 하나이다. 결혼의례 외에 출생의례, 성년례(관례), 상장례 등은 대체적으로 그 사회의 기성세대에 의해 진행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일례로 아이가 태어나면 아이의 부모가 아이의 건강과 성장을 위해 혹은 아이의 탄생 축하를 위해 여러 민속행위와 의례를 행한다. 상장례 또한, 부모님께서 돌아가시면 자식들이 고인에 대해 공경과 예를 표하고 애도의 목적으로 전통에 의거하여 경건하게 치르는 것이 보통이다. 출생의례는 그 대상이 아이가 중심이지만 실제 행위자는 아이의 부모이다. 또한, 상장례의 행위자는 자식들이지만 고인을 중심으로 예를 표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돌아가신 부모님(혹은 어른)께 그 무게가 실린다. 그러나 결혼의례는 과거 집안끼리의 결합이라는 의식에서 출발하여 부모님의 의견과 가풍, 지역 문화적인 특징이 가장 크게 작용하였지만 근래에 들어서는 혼인 당사자들 간의 약속과 합의가 결혼의례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결혼의례는 전통의 변용과 새 문화의 흡수가 (일반적으로) 가장 쉽고 빠르다고 여겨지는 젊은이가 의례의 행위자임과 동시에 의례의 목적 또한 두 남녀에게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의례의 주도권이 부모님을 비롯한 기성세대에서 신랑 신부 즉 젊은 세대로 옮겨지고 있으며, 의례의 행위자임과 동시에 행위 목적의 대상자가 동일하다는 측면에서 결혼의 례는 많은 변화를 거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터키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가운데, 전통의례와 이와 관련된 풍습에 대한 연구는 문화적 가치뿐만 아니라 민속학적 가치를 보존할 수 있을 것이라생각된다. 본고는 튀르크 민속학 연구의 일원으로 튀르크 민족의 혼례풍습 중 동상례에 관한 연구임과 동시에, 동상례의 기원과 파생에 대한 연구의 기본적 틀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해 터키 문화의 다양성, 혼례절차와 의미 및 흑해 지역의 독특한 혼례 풍습에 대해 알아보고 터키 동부 흑해 지역 트라브존주의 동상례 풍습의 의미와 절차에 대해 분석했다. 특히, 조선시대의 동상례 풍습이 터키 동부 흑해 지역 트라브존 주와 몇 몇의 지역에서도 나타난다는 점은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며,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두 지역에서 매우 흡사한 풍습이 보고된 원인을 규명하고 이 풍습의 기원과 파생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는 다양한 인접학문과의 연계를 통해 앞으로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Rite of Passage" refers to the ceremony or the rite developed by the influence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natural environment, national traits, religion, and thoughts in the course of life that people undergo from birth to death. Members of a society acquire a certain status through the rite of passage and also take responsibilities accordingly. When a member of a society reaches a special period in life, she or he generally intends to observe various rites and rituals established in that society as the rite of passage, and other members also expect her or him to follow the custom and the right of passage. However, the rules for the right of passage or custom that the society generally established show differences from the actual custom that the members of the society actually practice due to the change of time and environment such as the changes in the economy, politics, and culture or even small changes taking place within the region, village, or family. Moreover, these changes collectively form another aspect of the rite of passage. The wedding rite is one of the rites that have many elements of change. Other than the weeding rite, the childbirth rite, coming of age rite (custom), and funeral rite are mostly led by the old generation of the society. For example, when a child is born, the parents of the child undergo various folklore actions and rites to pray for the health and growth of the child or to congratulate the birth of the child. Also, when parents pass away, their children usually hold the funeral rite devoutly based on the tradition in order to express their respect and also their sorrow. In other words, the actual doers of the childbirth rite are the parents while the rite centers on the child, and the funeral rite centers on the deceased parents (or elderly person) while the doers of the funeral rite are the children since its purpose is the show respect to the deceased. However, for the wedding rite, the opinions of the parents, family tradition, and reg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had strong influence over the rite due to the idea that the marriage is the integration of two families while the promise and agreement between the couple are considered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wedding rite today. In other words, the young people who are considered to transform the tradition and absorb new cultures most quickly and easily (generally) are the doers of the rite while the purpose of the rite also focus on the couple. The wedding rite is undergoing many changes in the aspect that the authority over the rite was being transferred from the older generation including parents to the young generation such as the bride and groom, and the doer of rite are also the purpose of the rite. Such changes are also found in Turkey. Under such social changes, studies on the custom related with traditional rites would be able to preserve cultural values as well folklore values. This study is a part of Turkish folklore studies investi - gating into the wedding reception at the bride``s home among the wedding custom of Turkish people and also a part of the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basic framework for the study on the origin and derivation of the custom of wedding reception at the bride``s home.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diversity of Turkish culture, wedding procedure and meaning, and unique wedding custom of the Black Sea region and analyzed the meaning and procedure of the custom of wedding reception at the bride``s home in Trabzon in the eastern part of Turkey. Especially, it is quite interesting to find the custom similar to the Joseon Dynasty custom of wedding reception at the bride``s home in the Trabzon region in the eastern part of Turkey by the Black Sea andfew other regions, and the folklore studies on this custom shall be implemented through the association with a variety of related studies.

      • KCI등재

        영국 왕정복고 시대의 풍습희극에 나타난 `위트`에 대한 연구 -윌리엄 콩그리브의 「세상 돌아가는 이치」를 중심으로-

        김동욱 ( Kim Dongwoo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5

        영국의 왕정복고 시대는 여러 면에서 독특한 특성들을 발견할 수 있는 시대이다. 직전 18년 동안 지속되었던 공화정(1642∼1660)의 엄숙한 청교도 정치가 종말을 고하고, 프랑스로 망명 갔었던 찰스 2세가 영국 왕위에 복귀하면서 시작된 이 시대에 특히 연극계의 변화는 가히 괄목할 만한 것이었다. 새로 건축된 유럽 대륙식 프로시니엄 무대를 갖춘 극장들이 런던 도심에 자리 잡기 시작했고, 이를 찾는 일반 관객들은 이 전시대와 비교하여 매우 상이한 양상을 보인다. 신흥 중산층을 중심으로 확대된 이 시대의 관객들에게 셰익스피어의 진지한 작품들은 더 이상 이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지 않았고, 그 보다는 새로 유행하기 시작한 유럽식 신고전주의를 바탕으로 하여 형식미를 강조한 `영웅 비극`이나 불륜, 위선, 신성모독, 부도덕한 행동 등, 동시대에 풍미했던 사회상을 여과 없이 무대에 올려 풍자한 `풍습희극`, `모반희극` 등과 같이 훨씬 자극적인 작품들이 극장가의 공연 작품으로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이 시대의 `풍습희극`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극단적으로 나누어지는 평가가 뒤따랐는데, 이를 혹평하는 측은 제레미 콜리어 목사를 필두로 한 성직자들 및 도덕성을 중시하는 사람들이었고, 그 대척점에서 이를 옹호하던 측은 주로 동시대의 `풍습희극` 작가를 중심으로 동시대에 만연했던 자유분방했던 성 풍속, 신성모독적인 태도, 그리고 종교 및 사회적 기준에서의 도덕적 윤리관과 실상의 괴리를 감추려는 위선적인 행동 등을 있는 그대로 무대 위에 재현하여 풍자함으로써 관객들에게 `반면교사`의 교훈을 준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었다. 사실 불륜, 가식, 위선, 허풍, 사치, 허영 등의 내용으로 가득한 인물들이 등장하는 `풍습희극`이 관객들 및 독자들에게 주는 즐거움 및 교훈은 작품의 내용 그 자체라기보다는 작가가 작품을 대하는 태도에 기초한 것들인 바, 항상 이성적이고 인간 본성에 충실한 `진정한 위트`의 소유자가 주인공으로 등장하여 재치가 번득이는 세련된 대사와 도시풍의 세련된 행동으로 동시대의 어지러운 사회를 헤쳐 나가는 모습에서 감동 및 재미가 유발되는 것이다. 따라서 영국 왕정복고 시대에 큰 인기를 끌었던 `풍습희극`을 올바로 감상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동시대의 타락한 사회상을 여과 없이 무대에 재현하여 치부만 극대화했다고 눈살을 찌푸리는 청교도적인 시각과 거리를 두고, 서서히 부상하는 신흥 중산층의 눈높이에 맞춘 새로운 도덕관과 세계관의 기초가 될 `진정한 위트`의 본질을 심도 있게 파악함으로써 `풍습희극` 작품들의 진정한 가치를 재검토하는 것이 매우 유의미한 작업이 된다고 할 수 있다. The Restoration Age was the most interesting period in English dramatic art. When Charles II restored the throne in 1660, he ordered to re-open the London theatres which had been closed for 18 years by the puritans, issuing letters patent to Thomas Killigrew and Sir William D`Avenant for the incorporation of two companies of players. New theatre buildings in continental style were introduced in London, and more sophisticated audiences were gathered for enjoying European neo-classic dramas. For them, John Dryden`s heroic tragedies or comedies of manners were more popular than Shakespeare`s tragedies or pastoral comedies. About the comedy of manners, however, there were two different reviews and judgements; some criticised them bitterly according to the religious standard, and the others advocated them. Among them `The Collier Controversy`(1698) was most famous. While Rev. Jeremy Collier attacked on the indecency and profaneness of the stage, the major playwrights including William Congreve defended them explaining specific passages by placing them in the context from which Collier had sometimes wrenched them. Congreve argues that even though indecent themes and profaneness, as well as the false wit characters and hypocrisy were frequently introduced during the play, as the vicious people are made ashamed of their follies or faults by seeing them exposed in a ridiculous manner, so are good people at once both warned and diverted at their expense. In order to comprehend and judge rightly on the comedy of manners during the Restoration 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keep distance with the puritan`s views and to understand the new fashions and tastes of the newly rising middle class audiences.

      • 체코 출생 의례에 나타난 민속 신앙 및 종교적 요소 연구

        김규진(Kim, Kyu-Chi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

        기독교의 전래와 더불어 체코인들의 생활에는 기독교적인 요소와 토속적인 요소가 공존하기 시작했다 전통적인 체코의 출생에 관한 의례 중에서도 오늘날까지 잘 지켜지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체코의 전통적인 이름과 세례명을 짓는 것이다. 출생 의례와 관련하여 가장 중요한 풍속 가운데 하나가 바로 작명 풍습이라고 할 수 있다. 세례를 통해서 0)이는 이름을 부여받을 뿐만 아니라 마을 또는 사회 공동제의 일원이 된다. 이러한 출생에 관한 풍습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연대기, 전설 그리고 선교사들의 여행기에서 찾을 수 있다. 전통적으로 체코는 출생 의식을 임신, 분만, 산욕의 세 가지 기본적인 단계로 나눈다. 이는 임신에서 산욕이 끝날 때까지 산모의 행동을 결정짓는 각종 미신과 의식, 관습, 터부, 교훈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풍습은 주술과 종교에 기반을 두고, 신생아를 가족, 사회 및 교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이는 상정적인 의식을 행하게 된다. 체코는 전통적으로 아이의 출생에 대해 다양한 의식과 미신에 가까운 여러 가지 의례 행위를 가지고 있었다. 19세기 산업사회 이후 이러한 전통은 별로 지켜지지 않고 있지만, 유독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만은 전통적인 방법에 많이 의존한다. 체코에서 이름과 성씨의 변화 과정은 민속 신앙보다는 9세기 종교 전파 이래 기독교 문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체코 사람들은 이름을 지을 때 기독교의 전례력과 고유한 민속 달력을 사용하여 왔다. 대개 달력 날짜에 표기된 이름을 따서 아기의 이름을 짓기도 한다, 현대에는 유명한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 주인공들의 이름에서 자녀의 이름을 짓기도 한다, 체코에는 기독교의 전래와 더불어 세례명으로 이름을 짓는 풍습이 시작되었고, 그 이후 히브리어나 라틴어,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이름을 사용하기도 했다 체코 달력에서 우리는 쉽게 고대 체코 이름들과 고대 슬라브 이름들을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조어 이름들도 찾을 수 있다. 체코인들은 아직도 전통적으로 달력에 근거하여 옛 성인이나 순교자들의 이름에서 따오는 기독교 세례명을 널리 선호하고 있다. 이처럼 작명 풍습은 체코 출생 의례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하겠다. Set of original as well as adopted customs and rites related to the beginning of life was also mixed with quick spread of Christian faith. The spread of Christian faith and preserving of paganish customs thus coexisted. Among Czech habits and customs related to the birth of a child, naming is the most important phenomena. Official rituals of the Catholic Church were dominantly promoted, which, through liturgical means and gestures of belief - the christening - welcomed the child into its community. The oldest written notes about customs related to the birth can be found in chronicles, legends and travelogues of missionaries. Traditionally we can chronologically divide rituals of birth to three basic phases: pregnancy, delivery and puerperium. All the period can be observed as made of two levels: one is formed by operations motivated by health safety of mother and newborn, and his happy life. Here belong superstitions, rites, customs, taboos and instructions determining a mother's behavior from pregnancy to the end of puerperium. Many of these had roots in magic-religious foundation. Symbolically receive and recognize newborn as legitimate member of family, community and church In Bohemia traditionally there are so many rituals and superstitions about the birth of children, but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19th century, those traditional rites have no been used until today. But naming children depends on traditional way. Development of personal names in the Czech Lands was related with religious culture rather than folk culture. Czechs use, beside a regionally modified Christian calendar, another calendar of its own. The Christian calendar remains for the Czechs of today sort of unchanging constant. In our time, some parents call their children after their favourite film or TV soap opera heroes. The calendar came into the Czech lands together with Christianity, and it brought foreign, Hebrew, Latin and Greek names too. People nowadays prefer, on one hand, Czech and Slavic names, on the other neologisms appear, which roll back historical names.

      • KCI등재후보

        중국 중원일대 파경(破鏡) 풍습과 한반도 수용

        홍인국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3 유라시아문화 Vol.8 No.-

        이 글은 기존에 주목하지 않았던 한반도 파경 풍습에 대해 그 기원과 전개를 살피고자, 그동안 출토된 자료를 검토하여 깨어진 동경의 매납행위를 비교하는 기초 작업으로 정리해 보았다. 또한 한반도로 수용되고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 아직까지 시도해 보지 못한 파경의 유형과 시기성, 선후관계 등 계통적인 구조를 알아보았다. 파경은 무덤 속에 원형의 동경을 인위적으로 깨뜨려 매장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북방 유목민족의 특징적인 풍습으로 여겨졌으나 자료적 한계가 있다. 오히려 중국의 낙양 소구한묘에서 파경 풍습이 확인된 이래, 서안에서도 재차 발견됨으로서 그 기원을 중국 서북지역에서 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에는 전국시대 진의 도읍이었던 옹성 인근에서도 파경이 발견되었는데, 다른 부장품 중 동경만 파괴된 상태로 출토되어 기원전 3세기 중엽 부터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에서는 기원전 3세기부터 파경 풍습이 시작되는데, 현재까지 남한지역에 걸쳐 32개 유적에서 49점이 기원후 3세기까지 다뉴경과 한경, 방제경을 통해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확인된다. 이제까지 파경은 여타 청동기, 석기, 옥기 등의 일반적인 파쇄행위와 동일한 계통으로 이해됐으나, 동시기 중국에서 편찬된 문헌자료를 통해 동경이 가지는 부부 또는 가족의 재회를 상징하는 시대성이 매장풍습에 반영되어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의례적 맥락으로 한반도에도 전해졌는데 중국은 분절품을 통한 재회를, 한반도에서는 사후세계 기물로 소멸을 뜻하는 파쇄품으로 기원후 3세기까지 지속되었다.

      • 민간 신앙과 기독교가 체코의 혼례에 미친 영향

        권재일(Kwon, Jae-Il)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

        기독교가 보급되기 이전의 체코의 혼례는 전적으로 민간 신앙과 민간풍습에 의존해오다가 기독교가 보급되면서 기독교의 영향을 받게 되고, 16세기 중반 교회 혼례의 의무화가 선언된 이후에는 그 영향력이 절정에 이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코의 혼례는 민간 풍습과 관습의 전통을 계속 유지해왔고, 근대 시민 사회의 등장과 더불어 그 영향력이 증대되었다. 비록 혼례식은 성당이나 교회에서 거행하지만 나머지 의식은 민간 전통과 민간 의식에 따르고 있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 결국 체코 혼례에 대한 기독교와 민간 신앙의 영향이 시기마다 조금씩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역사의 초기에는 민간 풍습과 민간 신앙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컸다고 한다면,중기에는 기독교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였고, 후대에 와서는 시민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민간 풍습의 영향력이 증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체코의 전통 혼례를 공시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면 혼례식을 기준으로 혼례식 이전 의례의 단계에서는 기독교적인 영향력이 차츰 증대되는 추세를 보이다가 교회에서 거행되는 혼례식에서 절정을 이룬 다음, 혼례식 이후 의례부터는 다시 민간 풍습과 민간 신앙의 영향력이 중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구훈과 약혼에서 결혼 전야제에 이르기까지의 혼례식 이전 의례는 거의 전적으로 민간 풍습과 민간 신앙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에 혼인 예고와 신랑과 신부에 대한 교려 문답과 같은 일부 의례만 교회에서 행해질 뿐이다. 혼례식은 교회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적으로 기독교 의식에 따르지만, 일반 민중들 사이에서는 여기에도 민간 신앙적인 믿음이 침투하고 있다. 그리고 피로연, 신부의 기혼녀 머리 씌우기, 신행, 신부 맞이하기와 다루기 등으로 구성되는 혼례식 이후 의례에서는 다양한 민속과 각종 민간 신앙적이고 주술 신앙적인 비방이나 처방이 가장 많이 등장한다. 그러나 다산을 기원하고 재앙을 예방하기 위한 민속적이고 민간 신앙적인 의식이라 할지라도 그 속에는 대부분 기독교적인 요소와 기독교적인 상징체계가 내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체코의 전통 혼례는 민간 신앙적인 요소와 기독교적인 요소가 혼합되고 복합된 양상임을 알 수 있다. The Czech wedding had been celebrated according to the popular customs and manners before Christianity, while with the introduction of Christianity in the Czech Lands the influence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on the wedding had been on the increase, particularly after the Decree of the Council of Trent in 1563 that the wedding ceremony must be held in the Church only. Nevertheless, common people continued to celebrate their weddings in their manners, even though the ceremony itself was solemnized in the Church. Proposal of marriage, marriage settlement, engagement, preparation of wedding costumes, wedding cakes, wedding tree, and floral wreaths, most of these events before the wedding ceremony were in accordance of folk customs and manners, which included many kinds of popular believes, superstitious believes, and magic practices. In the fπst part of the traditional Czech wedding only the wedding announcement and catechism, i.e. question-and-answer examination of the bride and bridegroom took place in the Church. Parents' blessing to the bride and bridegroom in the morning before leaving for the Church was a mixture of popular rites and Christian ones. Of course, the very ceremony of the traditional wedding was held in the Church or Cathedral, however popular believes penetrated into even the marriage service in the Church. For example, people believed that the one who steps to the altar first he or she will dominate his or her partner in their household. Also they believed that it is a sign of good luck if the sun shines at the moment when the new couple says “ano(Yes)" before the altar. Almost all celebration programs after the wedding service in the Church like stopping of the bridal procession, wedding reception, cepeni, i.e. putting the cepec, symbol of the married woman, on the head of the bride, orientation and test of bride in her new house, wedding dances and plays, all these were under the influences of the popular manners and customs as well as various magic practices, secret measures, popular believes, and superstitions. For example, the rite of making the bed(stlani loze) for the married couple in the first night was originated from a magic practice to protect the couple against the evil powers as well as to ensure the fertility of the couple. Another example is that the rite of scattering the corns over the couple when they arrive at the home of the bridegroom’s parents had the meaning for the people to wish the couple fertility. on the other hand, a series of ceremonial acts like the leading of the bride to the bridegroom in the first night and the bride’s farewell to her home the day after the ceremony were more influenced by Christian traditions. Furthermore most of the ceremonial acts based on the popular manners and customs contained Christian elements and Christian symbolism Therefor we can say that the Czech traditional wedding was influenced not only by popular manners and popular believes but also by Christian ones. It was only a matter of degree.

      • KCI등재

        24 ฤดูกาลย่อยของเกาหลี

        최창성 ( Choi Chang Sung ) 한국태국학회 2006 한국태국학회논총 Vol.13 No.-

        인류의 문화와 풍습은 인종과 민족에 따라서 각각 다를 수도 있고, 그 민족이 거주하고 생활하고 있는 지리적 상태와 기후 조건에 따라서도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각 민족 고유의 문화와 풍습은 독자성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농경사회에서는 농사를 짓기 위해 씨를 뿌리고,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그에 따른 달력을 절기(節氣)로 만들어 내었다. 예전에는 달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절기를 만들었기 때문에 해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되는 계절의 변화와 잘 맞지 않았다. 이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서 해의 움직임을 표시해주는 24 절기를 만들어 같이 시용하였다. 하늘에서 해가 1년 동안 움직이는 길, 즉 지구의 공전운동으로 해의 위치가 하루에 1도씩 이동하여 생기는 길을 황도 (the Ecliptic)라 부른다. 이 황도가 0도일 때는 해가 춘분점(春分點 : 해가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해 적도를 통과하는 점)에 있을 때인데 이때를 ‘춘분’, 15도 움직인 때를 ‘청명’,계속해서 15도 이동하면 ‘곡우’가 된다 다만 이 24 절기가 계절의 특성을 말해 주는 것은 사실이 지만 원래 중국 주(周)나라(1027-771 B.C.)의 화북지방의 기후에 맞춰진 것이어서 우리나라와는 잘 맞지 않는 경우도 있다. 더구나 옛날과 비교해 기후와 생태계가 많이 달라진 상태여서 현재는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우리 조상들이 이에 맞추어 살아왔기에 그 뜻과 함께 우리의 농경사회 문화와 풍습을 외국어로 번역하여 소개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여 태국어로 옮겨 보았다. 특히 태국은 아열대에 속하는, 고온다습하고 연중 기후의 변화가 그다지 심하지 않은 나라이므로 태국인들이 우리 나라에 와서 24절기를 접하면 매우 흥미롭게 생각하며 한국인은 삶의 지혜가 뛰어난 국민이라고 감탄해 마지 않는다. 이 글의 끝 부분에는 우리나라의 명절과 풍습인 설날,추석, 한식,단오,삼복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 몽골의 효사상 고찰 -몽골 전통풍습 중심으로

        아유씨바트슈흐 ( A. Batsukh ),곽종형 ( Jong Hyung Kwak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5 사회복지경영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몽골의 전통문화에서 지금까지 대대로 내려온 전통 풍습 예절 속에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몽골의 전통문화와 관련 있는 예절, 예법의 분석을 통해 몽골 효 문화의 특징을 접해보았다. 오랫동안 내려온 이러한 몽골의 전통적 효 문화를 몽골인 들이 지금까지도 지키고 있는 이유는 몽골의 모든 예절문화에 효의 중요한 요소들이 새겨져 있고, 효 의식의 측정 요소들이 여전히 몽골의 정신 속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오늘날과 같은 산업화의 사회과정 속에서 자칫 놓칠 수 있는 효의식을 다시금 배우고, 인식하기 위해서 이 연구는 몽골의 전통문화 속 효 의식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비록 몽골의 효 문화를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지는 못했지만, 보편화 가능성의 효사상을 기준으로 몽골 전통문화를 정리하였다는 점과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은 효 의식중심의 몽골문화의 분석이었다는 점에서, 부족하지만 그 학문적의미를 대신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몽골의 설날‘차강 사르’(tsagan sar), 몽골의 가족 문화, 몽골의 결혼 문화, 몽골의 장례문화, 몽골의 가정교육 등 효의미를 표현하는 5가지 풍습을 대상으로 하였다. This study is far from the traditional culture of Mongolian traditional custom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came down from the Etiquette in Study to evaluate. This study is related to manners and traditional culture of Mongoli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ongolia bordering etiquette saw Hyo culture. These effects come down for a long time the traditional culture of Mongolia Mongolia`s why guarding and even now they are an important element of the engraved effect to all manners of Mongolian culture, elements of effective measures are still conscious is because the present in the spirit of Mongolia. Is why in a society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such as the effect ceremony today to learn again that you can not miss liable, in order to recognize this study was to refocus its meaning by analyzing the effects the traditional ritual of the Mongolian culture. Although in this study did not analyze more closely the effects of the Mongolian culture, filial piety of the possibility of widespread summarized the Mongolian traditional culture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is that the effect was that of a Mongolian cultural consciousness research center is not far, but instead to lack the academic sen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is the Mongolian New Year ``chagang Sar`` a Mongolian family culture, marriage culture of Mongolia, Mongolia`s funeral culture, including effective means of family education in Mongolia was intended to represent the five customs.

      • KCI등재

        "Heiliger Sankt Nikolas, in meiner Not mich nicht verlas..." : Die Ursprunge des Nikolausbrauchtums 성 니콜라우스 풍습의 유래에 대하여

        Gross, Nikolaus 한국독일어문학회 2004 독일어문학 Vol.24 No.-

        성 니콜라우스 생애에 대하여 역사적으로 확실한 기록은 없다. 아마 4세기, 오늘날 터어키 Demre라는, Antalya에서 서쪽으로 150Km 떨어진 Myra에 니콜라우스라는 이름을 가진 주교가 있었던 것 같다. 10세기, Simeon Metaphrastes라는 수도승의 착오로 Myra의 니콜라우스 전기와 Pinora의 대수도원장 니콜라우스(?-564.12.10)의 전기가 뒤섞여 엮어지는 바람에 두 인물이 동일인처럼 다루어졌다. "처녀전설"에 의하면 성 니콜라우스는 너무 가난해서 결혼지참금을 마련할 수 없는 세 소녀에게 밤에 창 안으로 금덩어리를 던져 넣어 준 것으로 되어 있다. "학생전설"에 의하면 성 니콜라우스가 어떤 나쁜 식당주인에 의해 소금절이 통에 담겨진 세 학생을 다시 살려낸 것으로 되어 있다. 모든 대중적인 니콜라우스 풍습은 북프랑스 지역의 수도원학교들에서 시작되었다. 이곳에서 12세기에 학생전설이 유래되었으며 14-15세기에는 니콜라우스 성일에 학생들 중에서 소년주교를 선발하는 행사가 있었다. 12월 5일과 6일 사이의 밤에 사과, 호두를 비롯한 건과 및 사탕과자류를 몰래넣어 놓는 풍습은 성 니콜라우스가 가난한 세 소녀에게 금덩어리를 창 안으로 넣어 준 것에서 유래한다. 니콜라우스와 그의 시종(대개 Ruprecht)은 어린이가 있는 모든 집을 돌며 이들의 선행과 악행에 대하여 심문한다. 어린이들에게 선물을 주던 풍습은 원래 니콜라우스 성일인 12월 6일에 행해졌는데, 가톨릭교의 성인숭배를 피하려고 신교도 지역에서는 1570년부터 성탄전야인 12월 24일로 그리고 선물수여를 위해 머리에 하얀 베일과 촛불 꽂힌 관을 쓴 "아기예수"가 등장했는데, 주로 소녀들이 이 역을 맡았다. 오늘날과 같은 모습 및 복장의 산타클로스는 미국의 Clement Moore(1779-1863)의 시와 Thomas Nast(1840-1902)의 풍자화에 기인한다. Heiliger Sankt Nikolas/ in meiner Not mich nicht verlas/ Kombt heint zu mir und legt mir ein/ in mein kleines Schiffelein;/ darbey ich Ewer gedenkhen kann/ das jr seit ein frommer Mann. Kindergebet (Oberbayerische Handschrift, 15.Jh.) Es schellte draußen in der finsteren Hausohre, die Stubentur ging auf - einige Apfel und Nusse rollten herein, und der Santiklaus in hochst eigener Person erschien als Bischof gekleidet, ein Lichtlein auf der Mutze; hinter ihm seine Ministranten - und etwas weiter ruckwarts - noch einer, den die Kinder aber lieber nicht gesehen hatten... Lucian Reich (1852)

      • KCI등재후보

        우리민족의 이동 흔적-아무르에서 캄차카 반도까지

        손성태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5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9 No.1

        According to ancient Chinese books, the Korean nation was the greatest nation in population number among nations that occupied territory north to China. They inhabited a vast territory including Manchuria, Liáodōng and the Peninsula Han. But the Koreans lost Manchuria after the 10th century, because their population decreased in number in comparison with other nations. Some ancient Chinese documents wrote down the reason: The koreans of Manchuria and Liáodōng left toward the Amur. In 2007, Prof. Son Sung Tae found in ancient Mexican documents that the Korean ancestors had lived in Mexico before the Discovery of the New World by Colombus in 1492. He got to know that So many number of korean ancestors of Manchuria came to America during the period from the 3th to the 7th century. Owing to some ancient mexican document saying that the Mexican native's ancestors came across many islands located in a line, he found that the route of the Koreans exodus was Aleutian Islands. It means that the exodus route is Manchuria-the Amur- seaside of the Sea of Okhotsk- the Peninsula of Kamschatka. In present study I present many evidences that the Korean ancestors passed through the territory from the Amur to the Kamschatka. First I present lingual evidence that many tribes of the route used Korean words for their tribal names and in conversation of daily lives. Second I present evidences that the natives of the route kept customs identical to that of ancient Koreans. Finally I present archaeological evidence that the Koreans ancestors lived some times in many places on the route. The evidences consists of semi-lunar stone knives, arrowheads of stumpy point, pictures of whales and Ondol-the Korean traditional heating system.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그동안 여러 연구와 저서를 통하여 밝힌, 우리민족의 이동루트로서 만주-아무르-오호츠크해 연안-춥지·캄차카 반도에 어떤 우리민족의 흔적이 남아있는지 다루었다. 필자는 그 흔적을 언어, 풍습, 유물이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누어 다루었다. 먼저 언어 분야에서는, 길약족의 종족 명칭으로 알려진 ‘길에께, 길래미, 질래미, 니부히’가 모두 우리말이고, 그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매우 많은 우리말을 사용했다는 증거를 다루었다. 특히 길약족은 다른 민족이 차용해 갈 수 없는 우리말 ‘조사’까지도 사용했다. 오호츠크해 연안에 사는 에벤키족도 다양한 우리말을 사용했다는 증거를 제시했으며, 춥지-코리약족의 언어에도 다양한 우리말들이 발견되고, 캄차카라는 지명도 우리말 ‘깜짝’에 ‘장소’를 의미하는 고대 우리말 ‘간’이 합쳐진 말이라는 것을 밝혔다. 또 춥지족의 명칭은 그들이 자주 말했던 ‘춥지, 차브추어’에서 유래했는데, 이 말은 추운 그곳 자연환경을 반영한 우리말임을 밝혔다. 코리약이라는 종족 명칭도 고대 우리민족을 가리키는 ‘고리’라는 말에 서술어 ‘~야’가 붙어 이루어졌다고 설명했다. 풍습으로는 부여-고구려의 고대 풍습으로 알려진, ‘형사취수, 데릴사위, 음란한 부인을 쉽게 죽이는 풍습, 나물 먹는 식습관, 고수레, 별자리에 대한 깊은 지식’ 등을 다루었다. 유물·유적과 관련하여서도, 고대 우리선조들의 특징적 도구였던 반달형 돌칼, 전쟁용과 구별되는 뭉턱한 사냥용 화살촉이 그 지역에서 사용되었음을 확인했고, 춥지-코리약족의 순록 가죽에 그려진 고래 그림과 울산 반구대의 고래 암각화를 비교하여, 두 그림이 고래의 생태 습관과 부구를 이용한 고래 사냥 방법에서 깊은 일치를 보인다는 사실을 다루었다. 우리민족이 아무르강 하류를 거쳐 캄차카반도를 지나 알류산열도를 건너갔다는 무엇보다 중요한 증거로, 아무르강 하류에 19세기 말까지 있었던 온돌과 알류산 열도에 유적으로 남아있는 온돌의 구조가 정확하게 같다는 사실을 다루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