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른 미술표현의 차이

        김철성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4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sty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first grade and their cognitive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a picture, expression of a shape and a theme in terms of field-independent versus field-dependent cognitive style, which was coined by Witkin et al.(1977) who had been developing it from the concept of field articulation among several cognitive style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in the drawings of the students revealed the meaningful results in artistic expressions between two cognitive styles. Firstly, concerning the composition of a picture, it was revealed that the students of field-independent style formed three-dimensional and well-organized composition, while those of field-dependent style constituted two-dimensional, that is flat, and discursive composition. Secondly, in the expression of a shape, it was shown that the students of field-independent style were interested in depicting the shape clearly and focused on the detailed expression, whereas those of fieldindependent style expressed the shape in a plain and simply way. In particular, field-independent students expressed a character in diverse perspectives as well as the folded arms and legs of the character.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field-dependent students mainly described the front of the character and less expressed the folded arms and legs of the character. Finally, as for the expression of a theme, field-independent students showed the theme effectively by densely expressing it with the materials considered important at the center. On the contrary, field-dependent students arranged the materials in a flat and discursive way,which in turn the theme of the picture was hardly revealed. 본 연구는 여러 인지양식 양식 중 장분별(field articulation)의 개념에 입각하여발전시킨 윗킨(Witkin, 1977)등에 의해 명명된 장독립, 장의존 인지양식에 의한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양식과 우리집 그리기 표현에서의 화면구성, 형태표현, 주제표현의 인지양식별 차이를 조사하였다. 인지양식별 그림 표현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두 인지양식 집단별 미술표현의 특징에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첫째, 화면구성에서는 장독립 인지양식학습자는 3차원적이며 짜임새 있는 화면구성을 하였고, 장의존 인지양식학습자는 2차원(평면)적이며 산만한 화면구성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형태표현에 있어 장독립 인지양식학습자는 형태를 명확히 그리며, 세부적묘사에 관심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장의존 인지양식학습자는 평면적이며 단순하게 형태를 표현하였다. 특히 인물의 형태표현에 있어 장독립 인지양식학습자는 여러 측면의 인물표현을 하고, 팔이나 다리의 꺾임 등 관절이 꺾여 있는 모습을 표현하는 반면, 장의존 인지양식학습자는 대부분 정면을 향하는 인물표현과 팔 다리의꺾임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제표현에 있어서 장독립 인지양식학습자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물을 중심으로 밀도 있게 표현함으로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다. 반면에 장의존 인지양식 학습자는 사물을 평면적이며 산만하게 나열하여 표현함으로 그림의 주제가 잘 드러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명확성, 정서강도 및 정서주의의 군집 비교

        이경희,김봉환 한국상담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2 No.2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ambivalenc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bove and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 regulation style (ERS) across the three cluster groups. Three hundreds and thirty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Cluster analysis utilizing emotional clarity (EC), affect intensity (AI), and ERS produced the three groups. ‘Conflicting group’ (low EC, high AI and emotional attention (EA) showed the highest AEQ-K and employed more often avoidant/distractive and support-seeking than activity way. ‘Clear group’ (high EC, AI, and EA) exhibited the lowest AEQ-K and used more often activity and support-seeking than other strategies of ERS. ‘Calm group’ (moderate EC, low AI and EA) showed AEQ-K lower than overall average values and utilized more often activity and support-seeking than others of ERS. AEQ-K significantly related with RCS for both conflicting and clear group.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정서표현과정모델에 의거하여 집단에 따라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양식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30명의 자료를 사용한 군집분석에서 3개(혼란집단, 솔직집단, 침착집단)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그 결과, 혼란집단(정서의 명확성 낮음, 정서에 대한 주의와 정서강도 높음)은 정서표현양가성이 가장 높고, 자신의 강렬한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능동적양식보다는 회피/분산적 양식과 지지추구적 양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솔직집단(정서의 명확성 높음, 정서에 대한 주의와 정서강도 높음)은 정서표현양가성이 가장 낮았으며, 능동적양식과 지지추구적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침착집단(정서의 명확성 평균, 정서에 대한 주의와 정서강도 낮음)은 정서표현양가성이 평균보다 낮으며, 능동적양식과 지지추구적양식을 사용하였다.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혼란집단의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솔직집단도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신의 정서를 명확히 이해하고 정서강도와 정서에 주의가 낮은 침착집단은 정서표현양가성이 대인관계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정서표현양가성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양식을 매개변인으로

        최아라,안귀여루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2021 사회심리발달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양식이 이상섭식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정서표현양가성이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설문조사에 응답한 328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정서표현양가성 척도, 정서조절양식 체크리스트, 섭식태도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서표형양가성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 변수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정서표현양가성과 이상섭식행동 사이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서표현양가성과 이상섭식행동 사이에서 정서조절양식의 역할을 살펴본 결과, 정서조절의 하위요인 중 회피분산적 양식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표현양가성과 이상섭식행동과의 관계에서는 정서조절양식의 하위 요인들 중 회피분산적 양식만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람들의 정서표현의 양가감정이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회피분산적 양식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상섭식행동의 예방을 위하여 다양한 정서표현, 정서조절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1) wheth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is affects abnormal eating behaviors, (2) whether emotion control styles affect abnormal eating behaviors and (3) whether emotion control styles mediate the link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abnormal eating behavi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had an effect on abnormal eating behavior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was positive. Second, among sub factors of emotion control styles, only avoidant/distractive control style was associated with abnormal eating behaviors. This means that other subfactors such as active emotion control and support-seeking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abnormal eating behaviors. Third, avoidant/distractive control style mediated the process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abnormal eating behaviors. These findings confirm the relationship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with abnormal eating behaviors and the important mediating role of avoidant/distractive control style in their link. This study therefore signifies need for development of programs and counselling support for emotional expression and regulation strategies as part of the effort to prevent abnormal eating behaviors.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solu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Une remarque psychomécanique sur la forme honorifique du français

        정효림 한국프랑스학회 2014 한국프랑스학논집 Vol.86 No.-

        프랑스어 경어표현양식은 전통적으로 학습되어지고 있는 ‘존칭’의 « vous »와 같은 대명사 외에도 다양한 양태로 나타난다. 본고는 모든 언어적 현상이 전․후 관계를 나타내는 이원적 차원의 작용 시간의 연속이라는 사고의 기본 틀 내에서 해석될 수 있다고 보는 정신역학 이론을 바탕으로 이러한 프랑스어의 경어표현이 가지는 특성과 경어체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다양한 양태로 나타날 수 있는 경어양식을 표상과 표현이라는 두 차원에서 언어현상을 심층분석하는 정신역학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프랑스어 학습자가 경어표현양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경어체계의 메커니즘을 제시할 수 있다. 프랑스어 경어양식은 담화차원에서 드러나는 표현양식을 선택한 화자의 의도를 랑그차원에서 파악해야만 구체적으로 드러나는데, 우선 발화문의 대명사표현에서 화자(Moi)가 상대(Hors-Moi)에게 갖추는 예의나 친밀감 또는 경멸이 인칭과 수의 전용을 통하여 ― 일정하게 정해진 양식이나 직접적인 방식 보다는 ― 간접적이고 다양한 양식으로 잘 표현되고 있다. 그리고 동사표현에서는 조건법현재와 반과거를 경어양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경어로 쓰인 조건법현재는 미래, 경어로 쓰인 반과거는 과거라는 표층시제만으로 그 체계를 분석하지 않고 심층에서 시제와 서법의 전용을 통하여 화자 또는 상대의 의향을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실사 ― 인칭에 있어서 세 번째 서열에 해당하며 비대화인칭이다 ―와 같은 어휘적인 차원에서도 경어표현양식을 찾아볼 수 있다. 결국, 다른 인칭․공간․시간차원으로의 이러한 전이는 ‘나․여기․지금’이라는 언어상황을 벗어나 프랑스어 화자가 취하는 경어표현방식이라 말할 수 있으며, 프랑스어 경어체계는 이러한 정신역학적 메커니즘을 통해 잘 설명될 수 있다.

      • KCI등재

        Bruner의 표현양식(EIS 이론)에 대한 오해와 이해

        이지은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2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10 No.3

        그동안 국내의 학자들은 Bruner의 여러 교육이론을 연구해왔다. 그중, Bruner가 내용 제시 방법으로서 제시한 표현양식(modes of representation)은 음악과 수학 등의 교과 연구에서 주요하게 적용된 바 있다. 표현양식은 작동적(enactive) 표현, 영상적(iconic) 표현, 상징적(symbolic) 표현으로 나뉘며, 각 교과 연구들은 해당 개념을 활용하여 어떻 게 수업을 설계할 것인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 중 일부 는 잘못된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오류의 양상을 분석하여 바로잡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연구자들은 표현양식을 발달단계나 지식의 구조를 고려하지 않은 하나의 활동으로 이해하는 오류를 범하였으며, 위계나 원 의도를 고려하 지 않은 오류를 범하였다. 이러한 오류를 시정하기 위해 향후에는 아동의 발달단계와 지 식의 구조를 반영하여 수업내용이나 활동을 구성해야 하며, 필요한 표현양식만 선별하여 수업지도안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Bruner가 이후 제시한 내러티브 표현양식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 이상의 사항을 반영할 때 Bruner의 표현양식 이 현장에서 올바르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현실주의 스타일의 광고표현 양식

        안인선,명광주 한국기초조형학회 2002 기초조형학연구 Vol.3 No.2

        현대사회 속의 광고는 없어서는 안될 매우 중요한 요서로 자리잡고 있다. 사람과 사람, 사회와 사회, 회사와 회사들간의 커뮤니케이션하는 틀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 사회는 지난 20세기말부터 21세기 오늘에 이르기까지 중대한 변화들이 있었다. 이러한 사회의 다양한 요소들의 변화는 광고의 변화에도 영향을 주어 광고양의 팽창, 광고자극의 일반화라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광고는 이전의 장식적이고 기능만을 추구하는 광고보다는 어떻게 해야 소비자들을 어필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광고의 표현들에 여러 가지 유형이 있었지만, 초현실주의 기법의 광고 표현들이 크게 증가하여 나타난 것도 두드러진 변화의 양상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이와 같은 광고표현에 있어서의 초현실주의 양식 광고들이 환경변화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고 소비자에게 얼마만큼 수용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이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접근과 실제의 초현실주의 양식 광고들의 사례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조사를 실시하여 효과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시대 주요 광고표현양식의 하나인 초현실주의 광고양식에 대한 연구를 심화함으로써 우리나라 광고표현에 기여 할 것을 기대한다. Our modern society is getting more complicated than ever before because of information by internet and other media. The quantity of advertisements reflect on society has been expanded due to media's development, so consumer is getting used to them. Therefore, the differentiated advertisement from the others is the most considerable idea to satisfy the consumer. It will be desirable for us to apply advertisements to Surrealism mode as a creative strategy to realize the differentiate.

      • KCI등재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정서표현과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송현,이영순 한국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4 No.4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emotional clarity,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399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they answer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ir trait meta mood, emotional expressiveness,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osttraumatic growth. Their responses analyzed by correlational analyse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motional clarity on posttraumatic growth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2) Emotional clarity on emotional expression and active style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Emotional expression on active style and support-seeking style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And active style, support-seeking style on posttraumatic growth showed significant direct effects. 3) Emotional expression, active style and support-seeking styl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posttraumatic growth.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표현과 정서조절양식인 능동적 양식, 지지추구적 양식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399명을 대상으로 정서인식명확성 척도, 정서표현성 척도, 정서조절양식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2개의 경쟁모형을 설정하였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를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과 AMO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검증 결과 경쟁모형 1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서인식명확성은 정서표현과 능동적 양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정서표현은 능동적 양식에 부적인 영향을, 지지추구적 양식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능동적 양식과 지지추구적 양식은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정서인식명확성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정서표현과 능동적 양식, 지지추구적 양식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른 관찰표현의 차이

        김철성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5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sty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ird grade on the basis of wholist-analytic cognitive styles developed among various kinds of cognitive styles by Riding and Cheema(1991) through individual information-process mode and the students' cognitive differences in the way of immersion, the way of watching,and the way of communication in the course of observation- expression.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observation-expression according to two cognitive styles revealed the meaningful results in the differences of observationexpression between the two cognitive styles. Firstly, as for the way of immersion, wholist-type students showed strong immersion to the given objects and tried to do their best to express the objects realistically, whereas analytic-type students displayed their own thoughts on the objects rather than expressed the objects by being totally immersed. Secondly, regarding the way of watching, wholist-type students stayed focused on whole picture based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s, analytic-type students paid attention to the parts, that is, individual parts of the objects. In particular, wholist-type students, compared to the analytic-type ones, exhibited more accuracy on the location of the objects. Lastly, concerning the way of communication, wholist-type students tried to express the objects as they were, while the analytic-type students tended to express the objects subjectively.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종류의 인지양식 중 개인의 정보처리 방식에 입각하여 발전시킨 라이딩과 시마(Riding & Cheema, 1991)의 전체적-분석적 인지양식에 의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인지양식과 관찰표현에서 몰입의 방식, 보는 방식, 소통의 방식에 대한 인지양식별 차이를 조사하였다. 인지양식별 관찰표현을 분석한 결과 두 인지양식 집단별 관찰표현의 차이에 유의미한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첫째, 몰입의 방식에서는 전체적 인지양식학습자는 주어진 대상에 대한 몰입의 정도가 강하고, 분석적인지양식 학습자는 대상에 대해 몰입의 정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는 방식에 있어 전체적 인지양식 학습자는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고려하여 그림의 전체적인조화에 관심을 갖는 시각을 보여주었고, 분석적 인지양식 학습자는 부분 즉 개개의 사물에 관심을 갖는 시각을 보여주었다. 특히 전체적 인지양식 학습자는 제시된 소재들의 위치가 분석적 인지양식 학습자들에 비해 정확성을 보였다. 셋째, 소통의 방식에있어 전체적 인지양식 학습자들은 대상을 있는 그대로 사실적으로 표현하려 하려고 했으나, 분석적 인지양식 학습자들은 대상을 주관적으로 표현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패션잡지에 나타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표현 특성에 대한 연구 - 2002∼2013년 남성/여성 패션잡지 비교 -

        피영명,우주형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5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5 No.2

        현대 패션산업의 발달과 문화적인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해온 오늘날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은 그 표현기법 뿐 아니라 대중과의 접점에 대한, 다시 말하면 어떻게 대중 매체에서 활용되는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대표적인 남/여 패션전문잡지의 내용을 광고와 기사 및 칼럼으로 나누어 남/여 잡지에서 나타나는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을 양적분석과 표현방법들을 분석하여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실질적 활용현황을 파악하고, 남성패션잡지와 여성패션잡지 간의 특성에서 오는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방법의 차이, 아울러 최근 12년간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양식의 전체적인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의 여성패션전문잡지 보그(VOGUE)와 남성 패션전문잡지 에스콰이어(ESQUIRE)에서 추출한 총 1229개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광고에 있어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기사 및 칼럼에 실린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 있어서는 남/여 패션전문잡지의 양적 차이가 5배에 가까울 정도로 매우 크게 나타났다. 또한 표현방법을 살펴본 결과. 표현대상에 있어서는 광고와 기사 모두 남/여 잡지 모두 인체를 그 주요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포토몽타주양식이 표현기법으로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또한 표현양식에 있어서도 남/여 잡지 모두 구상적, 반구상적 표현양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초현실적 표현양식은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다. 본 연구는 작품집이나 갤러리의 작품이 아닌 실제 판매되고 있는 패션잡지에 발표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을 분석함으로써 그 실증적인 활용현황과 표현방법을 알 수 있고 또한 그 특성에 따라 이후 남/여 패션 잡지의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방향성을 제안할 수 있는 것에 의의를 둔다. Fashion illustration, as it has evolved with the development of fashion industry and cultural changes, requires research on the way of expression in addition to the way it is used in mass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grasp the use of fashion illustration in domestic fashion magazines; Second, to distinguish difference in fashion illustration of men's and women's magazines; Third, to examine a general trend of fashion illustration in past 12 years. The study was done through collecting quantitative data on use of fashion illustration and analyzing expression of fashion illustration in advertisements, articles, and columns of fashion magazines. Study subject includes 1229 pieces of fashion illustration of VOUGE and ESQUIRE representing women's and men's magazine respectively in Korea from 2002 to 2013. Use of fashion illustration in advertisements and columns-contrast to advertisement in which women's and men's magazine shows similar amount of fashion illustration- differed greatly with women's magazine using almost five-fold more than men's magazine. In terms of expression, human body is the most frequently used subject and photo montage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of fashion illustration in both men's and women's magazine. Also, figurative or half-figurative form of expression is mainly used in fashion illustration, while abstract form of expression is rarely used.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ses fashion illustration in magazines actually on sale thus,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found, suggests the direction of fashion illustration of both male and female magazines.

      • KCI등재

        모성 이미지의 조형성 연구

        이미숙(Lee, Mi-sook),김정필(Kim, Jung-pil)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3 조형디자인연구 Vol.16 No.2

        대지가 모든 생명의 근원이듯이 어머니는 인류 생명의 근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성을 소재로 하여 독창적인 작품을 전개하기 위해 외형적으로 보여 지는 모성의 이미지뿐만이 아닌 근원적인 모성의 이미지에 대한 탐구와 해석을 하였다. 모성의 근원적인 이미지에 대한 탐구와 표현을 위해 큐비즘(Cubism) 표현양식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큐비즘 작가들의 작품분석을 통해 큐비즘 표현양식을 도출하고 활용하여 모성의 본질을 단순화시켜 조형언어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모성에 관한 시대적 고찰과 작품의 형태적 근거로 큐비즘에 나타난 모성작품을 분석하였다. 큐비즘은 원시주의(Primitivism)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큐비즘의 작가들은 대상의 본질을 단순화시켜 기하학적인 형태와 이중적인 공간을 제시하고 복수시점으로 대상을 표현하고 있다. 큐비즘의 영향을 받은 작품들 속에서 보여지는 이러한 특징들 중에서 본 연구자는 후안 그리의 구를 이용한 조합과 아르키펭코의 빛을 이용한 이중적인 공간을 제시하였다. 또한 대상의 본질을 단순화시키고 조각으로 분해해서 공간과 양감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본 연구자의 작품에 투사하여 제작하였다. 표현양식에 있어서 입방체의 표현, 분해된 조각들의 면 구성, 그리고 구멍을 조형적 요소로 표현하였다. 이처럼 큐비즘 표현양식의 특징을 살려서 작품을 제작해 보니 기존의 작품과는 전혀 다른 느낌을 가지게 되었다. 이전 작품에서 표현된 모성이 가지는 부드러운 이미지가 큐비즘 표현양식을 통해 도회적이고 활기차고 다이나믹한 분위기로 표현되었다. 모성의 이미지를 본 큐비즘의 표현양식을 통해 조형언어로 표현함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큐비즘 작가의 작품들 중에서도 본 연구와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작가와 작품으로 연구범위를 제한하였고 점토와 목재를 이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에 있어서 큐비즘 표현양식을 도입한 모성의 이미지 표현연구는 본 연구자에게 외형적으로 보여 지는 모성을 넘어서 보다 근원적인 모성의 이미지 탐구와 모성의 근원적인 이미지에 대한 통찰과 표현방식에 관해 창의적인 접근을 할 수 있게 해 주었다. Mother is the root of the life for the human like root of life Mother Earth. I interpreted it as the search for the image of not only the motherhood image to be seen externally to develop an creative work with motherhood as material in the study of the book but also the original motherhood. I studied the characteristic of the Cubism style for a search and the expression for the motherhood original image. I derived Cubism style through the work analysis of Cubism painters and I let I utilized the work and simplify motherly essence and expressed it in formative language. I did historical consideration about the motherhood for such a study, and analyze did the motherhood work which appeared in Cubism by the form of the work. Cubism puts a root in Primitivism. And painters of Cubism let you simplify target essence and show geometric form and duality of the space and express an object in Multiple viewpoint. In such characteristics to see in a work affected by Cubism, the researcher who watched it showed duality of the space which used light of Archipenko and combination which used sphere of Juan Gris. In addition, I let you simplify essence of the object and I did projection in the work of the researcher who I did decomposition in piece, and watched space and Mother is the root of the life for the human like root of life Mother Earth. I interpreted it as the search for the image of not only the motherhood image to be seen externally to develop an creative work with motherhood as material in the study of the book but also the original motherhood. I studied the characteristic of the Cubism style for a search and the expression for the motherhood original image. I derived Cubism style through the work analysis of Cubism painters and I let I utilized the work and simplify motherly essence and expressed it in formative language. I did historical consideration about the motherhood for such a study, and analyze did the motherhood work which appeared in Cubism by the form of the work. Cubism puts a root in Primitivism. And painters of Cubism let you simplify target essence and show geometric form and duality of the space and express an object in Multiple viewpoint. In such characteristics to see in a work affected by Cubism, the researcher who watched it showed duality of the space which used light of Archipenko and combination which used sphere of Juan Gris. In addition, I let you simplify essence of the object and I did projection in the work of the researcher who I did decomposition in piece, and watched space and sense of volume by a method to express and produced it. I expressed expression of cube, aspect constitution of piece broken down and hole in an element of molding it in modes of representation. When I made use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Cubism style in this way and produced a work, I came to entirely have different feelings with the work of existing. The soft image that motherhood expressed with a work before had was expressed in active and dynamic atmosphere in urbanity by Cubism style. It limited a study range with a work with the painter who seemed to be the study that I watched in Cubism painter work in suitability. I worked with clay and wood. An imaginative approach was able to do such trial with an insight. The insight is able to express the motherhood original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