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C 전반기, 표준어에 대한 인식 검토

        서민정(Seo, Min-Jeong)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79

        이 연구는 20C 전반기 근대라는 시공간에서 표준어를 도입하고 제정하는 과정 속에서 표준어의 의의나 필요성, 문제점 등에 대한 당시 지식인들의 표준어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당시에도 제기되었던 표준어의 한계나 문제점들이 지금도 계속 이어지고 있음을 최근 표준어의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 연구 성과들과 비교를 통해 살피고자 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먼저 20C 전반기에 발간된 잡지, 신문, 학술지, 저서 등에 실린 표준어에 관련된 논의들을 검토하고, 이극로, 김윤경, 정인섭, 최현배 등과 같이 표준어 제정에 적극적이었던 지식인들의 논의 속에서 그들이 인식하고 있었던 표준어의 개념이나 필요성 등을 살폈다. 그리고 표준어 제정에 적극적이기는 했지만, 그들의 논의 속에는 표준어의 한계나 표준어를 제정함으로서 경계해야 할 점도 제기되고 있는데, 그러한 표준어에 대한 문제 인식이 지금 표준어가 봉착한 문제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표준어 제정 당시의 논의들의 검토는 필요하다 하겠다. 또한 이러한 표준어에 대한 문제의식은 홍기문 등과 같이 표준어 제정에 반대 했던 지식인들이 비판했던 표준어의 문제점과도 관련되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어의 한계에 대한 당시 지식인들의 인식과 최근의 표준어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고 있는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해, 1936년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 발표 이후 약 80년이 지난 지금, 표준어 제정 당시 인식했던 표준어의 문제점들이 지금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으며, 오히려 표준어에 대한 지나친 권위 부여와 그에 따른 방언의 주변화와 같은 언어문화적인 측면의 문제들이 더 심화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In the early 20th century, standard language which was established as a kind of ‘regulation’ needs to be examined in terms of how standard language was introduced, and what discussion influenced the idea of establishing it, so that we can accurately diagnose and understand the problems which have been pointed out from existed research, regarding standard language. Around 1936, when standard language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tellectuals who were enthusiastic about the idea of standard language such as Lee, Geug-lo, Kim, Yoon-gyung, Choi, Hyun-bae, as well as Hong, Gi-moon who objected to the idea realized that in spite of its necessity, standard language had problems and limitations its establishing could have caused. With regard to this, we can see their arguments in the magazine, newspaper, academic journal, book etc. published at that time. In this article, I try to analyze process of establishing standard language and intellectual’s search surrounding it in which there wer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 concerning standard language. On top of that, about 80 years later since standard language implemented, with reference to standard language-related problems that elites of the day were watchful of, I would examine how it has been presented now, on the basis of recent research of standard language. By this examination, I expect to find solution or, if any, revealing thoughts to the problems standard language might suffer, which present Korean language might also faces.

      • KCI등재

        일반논문 : 표준어의 성립과 변화 -“표준말 모음(1936)”에서 “표준국어대사전(1999)”까지

        정희창 ( Hui Chang Jeo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39

        표준어의 형태, 의미와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표준어의 개념 및 성립 과정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확대할 수 있다. 1936년 “표준말 모음”에서 현재에 이르는 과정이 면밀하게 탐색함으로써 표준어의 개념을 학문적으로 이해하고 표준어가 지닌 역사적 가치와 현재적 가치를 평가하여 미래의 정책 방향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2) 표준어의 형태론적, 의미론적인 탐구를 통해 학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표준어는 독립된 개별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형태론적, 의미론적으로 다른 어휘와 일정한 관계를 형성하므로 표준어를 연구하는 것은 형태론과 의미론에 기여하는 의미 있는 논의라고 할 수 있다. 3) 어문 규범의 위치 정립 및 위상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표준어’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다른 어문 규범으로 확장되어 어문 규범 전체의 위상을 강화하고 위치를 공고하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4) 표준어 정책의 논거를 분명히 함으로써 합리적인 국어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현재의 표준어 정책을 검토하고 보완하기 위해서 필요한 표준어의 역사적인 발전 과정과 의미에 대한 해석을 제시함으로써 향후의 정책에 대한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By research of standard language form and sense,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1)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standard language concepts and established process. 1936 "Pyojunmal moeum", navigate the process leading to the presen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tandard language. This is to evaluate the value of the standard language is utiliz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future policy. 2) By searching standard language in terms of semantics and form, it can be academically contribution. Standard language is present to form a certain relationship with another vocabulary in terms of meaning and form rather than exist separately. Therefore, it can contribute to the semantics and forms studying the standard language. 3)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spread value to establish the position of Standard norms. Understanding exactly Standard language can contribute to strengthen the status of the entire Standard norms and strengthen its position. 4) By establishing a basis for the standard language may serve to establish a reasonable language policy. It present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standard language,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are able to contribute to setting the direction for the future of the language policy.

      • KCI등재

        백석 시의 시어에 나타난 모음 첨가현상과 시적 효과

        고형진 ( Hyung Jin K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4

        이 글은 백석 시의 시어에 나타난 특이한 음운현상을 밝히고, 이를 통해 일부 시어의 어석과 조어형태를 규명하며, 그러한 음운현상이 백석의 시에 어떠한 시적 의미와 효과를 미치는 지를 분석한 것이다. 백석시의 시어 전체를 구체적인 용례와 함께 일별해 보면 모음첨가의 현상이 뚜렷이 나타난다. 백석 시의 시어에는 한글 자모의 여러 모음들이 음운현상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첨가되고 있는데, 그 중에 두드러진 모음들을 열거하면 ``이``, ``어``, ``우``, ``으`` 등을 들 수 있다. 동사나 형용사 등의 용언에 ``이``나 ``우``음이 첨가되면 사동이나 피동의 의미로 전환되지만, 백석시의 시어에선 그러한 의미전환 없이 이러한 접사들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런가 하면 우리말에서 사용되지 않는 피동접사 ``우``가 사용된 특이한 시어들도 발견된다. 백석시의 시어에 나타난 이러한 독특한 음운현상과 조어형태의 파악을 통해 일부 시어의 뜻이 명확히 규명될 수 있었다. 또 합성동사의 형성과정에 ``어`` 음이 추가로 첨가되기도 하며, 용언의 활용에 ``으`` 음이 첨가되기도 한다. 백석시의 시어 전반에 걸쳐 모음첨가의 시어들이 구사됨으로써 그의 시적 구문들은 길게 늘어지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시적 문장들이 백석시의 중요한 개성을 이룬다. 모음첨가의 시어들은 표준어와 비교할 때 모음운의 첨가로 음성자질이 바뀌고, 음절수의 증가로 어형이 바뀐다. 이러한 시어의 음성적, 형태적 변화는 시어의 의미를 미세하게 변화시킨다. 모음첨가로 새로운 의미를 유발하는 시어들은 백석시의 시 구절에 적절히 배치되어 다른 시어들과 일정한 호응관계를 이루면서 백석시의 표현들을 미학적으로 승화시키며, 시의 의미를 절실하고 생기 있게 환기시킨다. 백석 시에서 모음첨가의 시어들은 운율의 형성에 기여한다. 백석의 시는 사람살이의 모습을 서술해 나가는 경향이 크기 때문에 대체로 산문적인 형태를 띤다. 시의 구문들도 대체로 길고, 문장의 형태도 중문과 복문이 많다. 긴 산문적인 시 형태를 띠고 있으나, 그 안에 음절수의 조절로 운율 감을 부여한다. 이때에 모음 첨가의 시어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산문적인 구문의 운율 조성에 모음첨가의 시어들이 효과적인 운율 장치로 작용하여 산문적인 백석의 시에 운율 감을 고조시키고 낭송의 쾌감을 발생시킨다. This paper is about characteristics of poetic words in Baek- seok`s poetry and by this research I believe Baek- Seok`s poetry would be more accurately understood. In Baek-seok`s poetic words, vowel ``i``, ``eo``, ``u``, ``eu`` and etc are added. In general when affix ``i`` is added to verb or adjective, the word changes into causative verb or passive verb. However in Baek-seok`s poetry these addition is done many times without changing the original meaning. Also, ``eo`` is added to synthesis verb and vowel ``u``, which is passive and causative affix, is added in many words. ``u`` has vanished in standard language but it appears a lot in Baek-seok`s poetry. Poetic words like ``mallioonun``, ``jichioon``, ``chioou`` in Baek-seok`s poetry are not used in standard language. Also, in inflexion of predivate, vowel ``eu`` is added, which breaks the grammar of standard language. In Baek-seok`s poetry, these phenomenon is shown not just in nown and adjectives but also in nown words. This may be due to confusion of orthography before standard language being settled. In fact, dialect is mixed in with standard language in Baek-seok`s poetry. However, vowel addition appears significantly even if the poetry is written before the settlement of standard language. Likewise, in Baek-seok`s poetry there are many vowel additions which result in long syntax of overall poems. Vowel-added words is changed in it`s form and sound compared to standardized words. This change leads to different meaning of the word. These altered words are well arranged in poetic lines. Appropriate mixation of vowel-added words and other poetic words is what makes Baek-seok`s poetry beautiful and lively. Vowel-added words also have impact on rhythm. Baek-seok`s poetry resembles prose in form as it narrates the life of people. The syntax is mostly lengthy and the form of sentences are a compound sentence and a complex sentence in many times. The rhythm is made by adjusting syllable number in the poem. Vowel-added words contributes largely into this rhythmic device.

      • KCI등재

        일반논문 : 복수 표준어의 개념과 의미

        정희창 ( Hui Chang Jeong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복수 표준어’는 “표준말 모음(1936)”에서 출발해서 “표준어 규정(1988)”에서 개념이 정리되어 제시되었다. 그리고 ‘2011년 복수 표준어’와‘2014년 복수 표준어’를 통해 본격적으로 언어생활에 적용되었다. 두 차례의 복수 표준어 추가에는 언어생활의 중심이 성문화된 규범에서 국어사전으로 변화했다는 것이 전제가 되었다. 그동안 복수 표준어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않았다. 따라서 복수 표준어 선정과 원리를 설명하고 제시하는 방식에서 보완해야 할 부분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사전에 복수 표준어를 추가할 때 규범적으로 변별하기 어려운 미세한 직관의 차이까지 복수 표준어에 반영하는 것은 규범의 현실성을 떨어뜨릴뿐더러 적용이 어려운 비현실적인 내용을 규범으로 제시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어문 규범에 대한 언어 공동체의 직관을 수용하고 언어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방향으로 복수 표준어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Multiple standard language” starting with “Pyojunmal moeum(1936)”, the concept of the “Pyojuneo gyujeong(1988)” was presented are organized. And, it is applied to a full-fledged language life using the “2011 of multiple standard language” and “2014 multiple standard language”. Multiple standard language additional two degrees, that was changed to language dictionary in the norms that have been codified in the center of the language life has been assumed. Discussion of multiple standard language so far, it was not active. Therefore, describes several standard language selection and principles, it can be evaluated that there is a part that must be supplemented by the method presented. In particular, prior to add more standard language, to discriminate in normative be reflected in the more standard language until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ifficult fine intuition is not only drop the reality of norms, apply difficult unrealistic there is a risk of presenting such content as normative. Such a point is supplement to the houses the intuition of the language community of Standard norms, in a direction to the convenient language life there is a need to promote a more standard language policy. In the future, it should be promoted policies that makes language life easy and reflect the intuition of the language community.

      • KCI등재

        임화의 언어의식과 『현해탄』의 어문정리 실천에 관한 고찰 -서울방언을 중심으로-

        조해옥 ( Cho Hae-ok )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7 No.-

        서울 출신 시인 임화의 시에는 서울방언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1938년에 발간된 임화 시집 『현해탄』에서만 특이하게도 서울 방언이 나타나지 않는다. 본고는 시집 『현해탄』이 가지는 표기상의 특이점, 즉 표준어법에 따라 표기된 배경에 대해 살펴본 논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현해탄』 이전에 발표되었다가 『현해탄』에 다시 실린 시작품들을 텍스트로 하여 동일 작품의 원문과 『현해탄』 게재 작품의 표기법 수정 사례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한글맞춤법통일안』의 규정을 찾아서 『현해탄』의 표준어화 근거를 제시하였다. 『현해탄』에서의 어문정리 양상을 보면, 임화의 시 원문에 쓰인 서울방언‘ㅓ>ㅡ’가 『현해탄』에 다시 실리면서 ‘ㅡ>ㅓ’로, 움라우트 ‘ㅏ>ㅐ’ 현상이 ‘ㅐ>ㅏ’로, ‘ㅡ’ 보수형이 ‘ㅣ’로 수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같은 모음 변화외의 서울방언과 서울방언 외의 어휘들도 『한글맞춤법통일안』의 규정을 따르고 있음이 『현해탄』에서 확인된다. 구체적인 비교 사례로 「네街里의 順伊」 시원문과 『玄海灘』의 「네거리의 順伊」의 표기를 대조해 보았는데, 전자에는 문장부호가 없는 데 비해 후자에는 문장 부호 ‘。/ , / ! / ?’ 등이 나타난다. 이는 『한글맞춤법통일안』의 ‘附錄 二 文章 부호 ‘ 。/ , / ! / ?’ 등에 관한 규정과 일치한다. 또 전자에는 長音 부호 ‘―’가 사용된 반면에 후자에는 장음 부호가 소멸되어 있다. 이는 『한글맞춤법통일안』의 ‘附錄 二 文章 부호’ 항목에서 “長音 符號를 特別히 表示하지 아니함을 原則으로 하고”를 따른 것이다. 그밖에도 『玄海灘』의 표기는 『한글맞춤법통일안』의 ‘附錄 一 標準語 八’에서 “다음의 말들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甲만 取하고 그 밖의 말들은 다 버린다。”라는 규정을 지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第三項’의 된소리, ‘第五節’의 받침, ‘第四十四項’ 두음에 관한 규정도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글맞춤법통일안』이 제정되었지만, 아직 표준어가 상용화 되지 않은 시점에서 시집 『현해탄』은 ‘통일된 민족어’의 실현을 갈망한 시인 임화의 언어의식이 반영된 시집이라는 의의를 획득하는 한편 조선어학회의 한글보급운동의 실천이 반영된 표준어화 된 시집의 발간이라는 의의를 갖는다. Lim Hwa, a poet from Seoul, constantly used the dialects of Seoul in his poems and but only 『Hyeonhaetan』, a book of poetry published in 1938, did not use any dialects of Seoul. In the original texts of Lim Hwa's poems, the vowels representing the dialects of Seoul, such as ‘ㅗ>ㅜ’, ‘ㅓ>ㅡ’, ‘ㅏ>ㅐ’, ‘ㅏ>ㅓ’, and conservative ‘ㅡ,’ were used frequently. When the same pieces were republished in 『Hyeonhaetan』, those dialects were corrected into standardized languages and other vocabularies were also standardized. Considering the practices of literary arrangement in 『Hyeonhaetan』, it was found that ‘ㅓ>ㅡ’ in the original text of Lim's poetry was replaced with ‘ㅡ>ㅓ’ in 『Hyeonhaetan』, the umlaut ‘ㅏ>ㅐ’ with ‘ㅐ>ㅏ’, and the conservative ‘ㅡ’ with the standardized languages. Other dialects of Seoul besides the use of vowels and other vocabularies were also corrected to follow the standards in the 『Guidelines for Uniform Use of Korean Language』. For specific comparison of original text and rewritten text in 『Hyeonhaetan』, I examined 「Suni at the Intersection」. The former contained no punctuation, while the latter used ‘。/ , / ! / ?.’ This follows the regulations on the use of ‘ 。/ , / ! / ?’ in Appendix II: Punctuation of the 『Guidelines for Uniform Use of Korean Language』. Also, the original text used the long sound symbol ‘―,’ whereas the latter did not use it. This follows the part that states, “The long sound symbol should not be used in principle...” in Appendix II: Punctuation of the 『Guidelines for Uniform Use of Korean Language』. Also, the use of languages in 『Hyeonhaetan』 follows the regulation that “The following words can be used in various ways, but only the first should be used,” in Appendix I: Standard Languages VIII of the 『Guidelines for Uniform Use of Korean Language』. Other regulations on ‘Section III: Fortis', ‘Part 5: Consonants on the Bottom', and ‘Section XLIV: The Initial Sounds.' However, other poems released after 『Hyeonhaetan』 was published used the dialects of Seoul again. Those dialects of Seoul were also found in 『Munjang』, a periodical published between 1940 and 1940 after the ‘Guidelines for Uniform Use of Korean Language’ were presented. As standardized language was not used in everyday life even after the 『Guidelines for Uniform Use of Korean Language』 were released, 『Hyeonhaetan』 reflected the linguistic awareness of Lim Hwa, who longed for the realization of ‘a uniform national language’ as a standardized book of poetry that practiced Joseon Language Society's Hangeul Promotion Movement.

      • KCI등재

        표준어 어휘 항목의 수립과 전개 과정 - 국어사전의 일치도를 중심으로 -

        정희창 ( Jeong Hui Chang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69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말 모음”에서 시작한 국어사전의 표준어 어휘항목이 수립되고 변화하는 발전 방향을 이해하기 위한 객관적인 연구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표준말 모음”의 표준어를 포함한 어휘 항목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아, 이후의 국어사전에서 수용되는 과정을 조사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사전 간의 일치도를 측정한 것이 본 연구에서 선택한 방법론이었다. 이러한 논의는 국어사전 간의 일치도라는 기준을 통해 표준어 어휘 항목이 통시적으로 발전하고 확장해 나가는 과정에 대한 객관적 근거를 제공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연구는 통계적인 방법론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통계적인 분석 결과에 부합하는 내용적인 해석을 제시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통계적인 분석 결과에 부합하는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어휘 항목의 내용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objective and systematic research method for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th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the standard language vocabulary items of Korean dictionaries, with the analysis of the vowels of standard language as the starting point. This study has adopted the methodology of: using the lexical items including the standard words of standard vowels as a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investigating the processes of their admittance to the Korean dictionaries; and, finally. statistically processing them. This discussion has a meaning that it provides an objective basis for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expanding the standard vocabulary items through the standard of conformity between Korean language and Korean dictionaries. However, this study confirms the validity of the statistical methodology and presents a content interpretation that meets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t is also necessary to present the contents of specific and meaningful lexical items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 KCI등재

        전남 방언 화자들의 격식적 발화에서의 음운론적 변이 양상 -방송 토론 발화를 사례로-

        김영규 ( Kim Yeong-kyu ) 한국방언학회 2020 방언학 Vol.0 No.32

        이 글은 전남 방언 화자들의 격식적 발화에 대한 미시사회언어학적 연구이다. 토론 방송에서 중장년 남성 화자들의 발화를 대상으로 (ㅓ), (ㅢ), (변자음밑 ㅕ), (장애음+ㅎ), (ㅏ-모음조화) 등 5개 음운론적 변항에 대한 혼합효과 분석을 수행했다. (ㅕ)는 모든 조건에서 표준형으로만 실현되어 ‘*변자음+/ㅕ/’의 제약이 소실되었음을 관찰했고, 반면에 (ㅓ)는 일관되게 방언형으로만 실현되어 이 방언의 뚜렷한 지시자(indicator)가 된다고 보았다. 나머지 변항들은 지역, 연령, 발화 상황 등 사회적 조건에 따른 변이를 보였는데, 특히 중소도시의 표준적 실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데에서 과잉교정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모음조화)는 규범형과 중앙어의 변이형이 같지 않다는 점에서 특수한 양상을 보였다. This study performs a mixed-effects analysis on standard-dialect variation of formal speech in southwestern Korean. Specifically we focus on the following phonological variables in televised debates during the late election: (Λ), (ɨj), (jΛ), (obstruent+h), (a-vowel harmony). We observe both the complete standardization of (jΛ) and the consistent local pronunciation of (Λ) in one place. The other three variables realize differently depending on region, age and formality, implying a probable hypercorrection by the second highest cities speakers. The distribution of (a-vowel harmony) is explained by discordance between the overt prestige and the covert prestige.

      • KCI등재

        경남방언 남·여 화자의 영어 고모음 발화에 관한 연구

        명윤미,이동명 한국언어과학회 2014 언어과학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English high vowels produced by South Kyungsang(SK) Korean (Busan dialect) speakers. The 10 SK Korean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re 5 male and 5 female university students. English target vowels for the current experiment, /i/-/ɪ/ and /u/-/ʊ/, were acoustically analyzed based on the formant frequencies of the vowels using Praat speech analysis program. In order to observe the relationship between SK Korean single vowels and standard Korean single vowels, the formant frequencies of 7 Korean single vowels /ㅏ/, /ㅔ/, /ㅣ/, /ㅗ/, /ㅜ/, /ㅡ/, /ㅓ/ were also measured using Praat. The collected data of the present study were also compared to the formant frequencie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K Korean speakers have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English tense and lax pairs regardless of gender.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English high vowels, /i/, /ʊ/, /u/ between SK Korean speakers and standard Korean speakers. Third, in the case of Korean high vowels, the difference of F2 values between SK Korean speakers and standard Korean speakers is more than 100 Hz, especially in the Korean high back vowel /ㅜ/. These results show that each Korean dialect causes variance in terms of the production of English vowels and Korean vowels.

      • KCI등재

        국어 준말의 규범적 분석

        정희창 ( Jeong Hui-chang ),이선영 ( Lee Seon-yeong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6 No.-

        국어의 준말을 규범적인 관점에서 논의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국어의 준말을 다루었던 어문 규정을 중심으로 준말 처리의 기준과 실제 사례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준말 모음”에서 제시된 세부적인 준말의 목록이 현재의 국어사전에서 준말의 범위를 확정하고 제시하는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준말 모음”의 규범적인 기준 또한 현재에도 규범으로 작용하고 있었는데 `준말` 항목에 수록된 100여 항목 가운데 90여 항목의 규범적인 판단이 현재에도 동일하다는 것이 근거라고 할 수 있다. 국어의 준말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 “표준말모음”, “한글 맞춤법”, “표준어 규정” 등에서 규범적으로 준말이 처리되는 구체적인 사례가 무엇인지 조사하였으며 그동안의 규범에서 준말과 관련되어 제시된 제약 조건에는 무엇이 있고 그것을 어떤 관점에서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준말에 나타나는 활용 제약, 복수 표준어 `이에요/이어요`의 활용, 서술격 조사의 축약 및 탈락 현상에 대한 규범적인 해석이 제시되었다. In order to discuss the abbreviation of the Korean language from a normative point of view, we have analyzed the standards and practical cases of the Korean language abbreviation based on the grammar rules that deal with the terminology of the Korean language so far.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list of detailed sentences presented in the “Pyojunmal moeum” serves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and presenting the range of sentences in the current Korean dictionary. In addition, the normative standard of “Pyojunmal moeum” is still functioning as norm, and it can be said that the normative judgment of 90 items out of 100 items in As a method of analyzing the semantics of the Korean language, we investigated the specific cases where the semantics are handled in the normative manner in “Hangeul machumbeop tongilan”, “Hangeul machumbeop”, “Pyojuneo Gyujeong”. We also discussed what constraints are presented in relation to the semantics and from what perspective it should be interpreted. Specifically, there is a prescriptive interpretation of the application constraints appearing at the end of the sentence, the use of the plural standard word “이에요/이어요”, and the abbreviation and dropout of the descriptive research.

      • KCI등재

        전남·경남 접경 지대의 /ㅢ/와 방언 변이

        하영우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4 언어사실과 관점 Vol.61 No.-

        본고는 전남·경남 접경 지대를 대상으로 /ㅢ/의 분포 양상과 세대에 따른 방언 변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섬진강 유역에 위치한 구례, 광양, 하동 지역의 토박이 화자를 대상으로 낭독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발음 양상을 바탕으로 /ㅢ/의 분포와 세대 간 차이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어두 위치 /ㅢ/는 하위 지역이나 세대에 관계 없이 주로 ‘ㅡ’로 실현되었다. 다만 노년층은 전남 지역의 고유 방언형에 영향을 받아 어두 /ㅢ/가 ‘ㅡ’로 분포한 데 비해 청소년층은 표준어 수렴화도 동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구례, 광양과 달리 하동 지역은 경상 방언의 영향으로 인해 어두 /ㅢ/가 ‘ㅣ’로 나타나는 사례가 일부 있었으며, 단모음 체계 차이로 인해 구례, 광양 노년층과 달리 하동 노년층은 이중모음 ‘ㅢ’의 부분적 분포가 존재하지 않았다. 비어두 위치의 /ㅢ/는 음절 구조나 하위 지역, 세대와 관계 없이 일반적으로 ‘ㅣ’로 분포했다. 단, 구례 노년층은 전남 방언의 영향에 의해 ‘ㅣ’ 외에 ‘ㅡ’로 실현되는 비율이 타 지역 노년층에 비해 높았으며, 광양 노년층은 구례와 동일 전남 권역이나 하동 노년층과 분포가 유사하였다. 관형격조사 {의}는 ‘ㅔ’로의 패러다임 평준화가 적용된 것으로 보이며, 구례 노년층만 예외적으로 ‘ㅡ’가 일정 비율 이상 나타났다. 한편 전남·경남 접경지대의 /ㅢ/는 단어의 내적 구조에 관한 인식에 따라 비어두 위치에 ‘ㅡ’(‘ㅢ’)가 실현되기도 했다. 어두 위치 효과는 공통적으로 ‘ㅡ’(‘ㅢ’)로 적용되지만 하동 지역은 경남 방언의 영향으로 인해 ‘ㅡ’(‘ㅢ’) 외에 ‘ㅣ’가 적용되기도 했으며, 광양 지역도 부분적으로 하동 지역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ㅢ/ and dialect variation according to generation in the border between Jeonnam and Gyeongnam. For this purpose, a read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argeting native speakers of Gurye, Gwangyang, and Hadong regions located in the Seomjin River basin, and the distribution of /ㅢ/ and differences by generation were examined based on pronunciation patterns. The word-initial position /ㅢ/ was mainly realized as ‘ㅡ’ regardless of region or generation. While the distribution of ‘ㅡ’ in the word-initial /ㅢ/ in the older generation was mainly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dialect type of the Jeonnam dialect, the distribution of ‘ㅡ’ in the word-initial /ㅢ/ in the younger generation was more influenced by the convergence of the standardization. The non-word-initial position /ㅢ/ generally appeared as ‘ㅣ’ regardless of syllable structure, sub-region, or generation. However,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in Gurye who realized ‘ㅡ’ in addition to ‘ㅣ’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elderly people in other region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Jeonnam dialect. In addition, /ㅢ/ was sometimes realized as ‘ㅡ’ (‘ㅢ’) in the non-word-initial position depending on word structure recognition, and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ower dial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