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개념 및 범주, 이론적 기반, 그리고 교육의 방향

        박휴용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0 리터러시 연구 Vol.11 No.1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transitions of the forms and natures of literacy, in the context of sheer ICT (Information-Computer-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This study ventures to discuss the following four research questions, to support the rationale and the validity of the new term, posthuman literacy: First, what are the trajectories of the concepts of literacy an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posthuman literacy?; Second, what areas of study and practice fall into the category of posthuman literacy?; Third, what is the theoretical basis of posthuman literacy?; Fourth, what are the major fields of interest in posthuman literacy research and the directions of posthuman literacy education? The main points of argument can be epitomized as follows: first, posthuman literacy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flat ontology and equal relationship among all creatures in the universe; second, posthuman literacy accepts and enjoys multimodal, critical, virtual/hybrid styles of literacy; third, posthuman literacy firmly stands on the four theoretical positions of new materialism, actor-network theory, non-representative theory, and post-phenomenology; and fourth, posthuman literacy aims to investigate the issues of affection, materiality, and virtuality of literacy practices. 본고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나타난 리터러시의 성격과 형 태의 변화를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란 용어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본고 의 논의는 네 가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리터러시의 발달 과정과 포스트휴먼 리터러시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범주는 어디까지인가? 셋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이론적 기반은 무엇인가?, 그리 고 넷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대안적 연구 주제와 교육의 방향은 무엇인가? 본고 에서 논의한 주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일원 론적 철학과 탈인본주의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세상 속 모든 존재들 간의 평등한 관계 성을 기반으로 한 소통과 상호작용에 목표를 두고 있다. 둘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는 양식성(디지털 리터러시), 핵심적 관점(탈인본주의 리터러시), 방향성(비판적 리터러시), 그리고 성격(혼성적 리터러시)에 따라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논의되고 있다. 셋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의 핵심원리들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네 가지 주요 이론인 신물질 주의, 행위자-망이론, 비대표성이론, 그리고 포스트현상학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넷 째,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기존의 리터러시 이론에서 등한시되었던 정서의 재발견, 담론의 물질성, 그것을 가상적 정체성의 문제에 더 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아울 러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교육이 학교 교육의 범주와 포스트휴먼적 존재성을 확장하 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포스트휴먼 리터러시는 급 속히 발달하는 정보통신기술 환경 속에서 리터러시 연구와 실천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주게 될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의 등장과 학습 패러다임의 변화

        박휴용(Park, Hyu-Yo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1 Global Creative Leader Vol.11 No.1

        본고는 최근 4차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기술중심 사회의 등장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학습자에 대한 인식(존재론)과 학습이론(인식론)의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포스트휴머니즘의 네 가지 하위 이론인 신물질주의, 행위자-망이론, 객체지향존재론, 그리고 포스트현상학을 중심으로 기술중심 지식생태계에서 학습자와 학습이론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두 가지 연구문제―i) 포스트휴먼 학습자란 어떤 존재인가?, ii) 포스트휴먼 학습이론이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첫 번째, 포스트휴먼 학습자가 수행하는 포스트휴먼 학습의 성격을 사이보그적 학습, 인공두뇌에 의한 학습, 그리고 네트워크적 학습의 세 가지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였고, 이러한 포스트휴먼 시대의 지식 생태계의 변화에 따라 학습자의 성격이 자연적 존재, 사이보그적 존재, 바이오로이드적 존재, 그리고 인공지능 컴퓨터로 패러다임이 확장되어 감을 지적하였다. 두 번째, 인본주의 학습이론과 포스트휴먼 학습이론의 차이를 인식론적 기반과 학습이론의 유형, 그리고 지식 및 학습자의 성격 측면에서 비교한 후, 포스트휴먼 학습이론의 대표적인 사례로 포스트휴먼-행동주의, 연결주의, 그리고 관계주의 학습이론 세 가지에 대해 그 개념과 성격을 논의하였다. 최근 기술중심사회의 확대로 인해 학습의 성격과 행태가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논문이 제안한 학습자와 학습이론에 대한 새로운 관점은 교수학습의 이론 및 실천에 대한 학계에 논의를 촉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d how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have changed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and the recognition of learning theories based on the lens of newly emerging post-humanism. To address this issue, this paper summoned the four substantial theories of post-humanism ―i.e., new materialism, actor-network theory, object-oriented ontology, and post-phenomenology― and focused 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i)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post-human learners? and ii) what are the alternative post-human learning theories? Regarding the first question, this paper emphasized that post-human learning will include such aspects as cyborg learning, the learning by artificial brain, and networked learning, and consequentl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ill change from natural or cyborg learners to BIOLOID or AI learners. Considering the second question, this paper compared the humanistic and post-human learning theories in terms of the foundations, types, and traits of learners, and suggested such alternative learning theories as post-human-behaviorism, connectionism, and relationalism. This paper s discussion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s of learning theories under the trends of technological social shift.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 학습자의 존재론적 이해와 학습이론 패러다임의 변화

        박휴용 한국교육방법학회 2019 교육방법연구 Vol.31 No.1

        This paper explored new paradigmatic changes of learning theories based on the emergence of posthuman learners in the era of technology based society. To achieve his purpose, this paper focused on two main research questions: First, under the ontological perspectives of posthuman learners, how do the styles and genres of posthuman learning change and how are the learning styles characterized? Second, how do the emergence of posthuman learners divert the paradigm of learning theories, and what a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directions of learning in the future? The key arguments of this paper's discussion are epitomized as follow: First, the object-oriented ontology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osthuman learners who will experience 4 representative posthuman learning styles: networked communication, new interface, ubiquitous environment, and innovative feedback. These examples of new learning styles are rapidly settled in cyber-space learnings, bioroid learnings, and networked learnings. Second, the posthuman learning requires neo-materialism, post-phenomenology, and actor-network theory for securing its epistemological standpoints, and provides new perspectives on figuring out the posthuman learners through networked environments, new media, and post-anthropocentrism. This paper's discussion may expedite new forums on the learning and teaching theories in the era of techno-centric society. 본고는 급속한 기술중심사회로의 변화가 인식론적 측면에서나 존재론적 측면에서 모두 포스트휴먼적 인간을 양산하고 있는 현실을 바탕으로 포스트휴먼적 인간의 학습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적 패러다임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이를 첫째, 포스트휴먼적 학습자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포스트휴먼적 학습의 구체적인 형태가 어떻게 변할 것이며, 그 형태들은 어떤 성격을 띨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이러한 포스트휴먼적 존재들의 등장이 학습이론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바꿀 것이며, 이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과 그에 따른 학습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고의 핵심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먼적 학습자의 존재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객체지향존재론적 관점이 필요하고, 그에 따라 포스트휴먼적 학습은 네트워크적 소통, 인터페이스 변화, 유비쿼터스 환경경, 피드백방식의 혁신, 그리고 사물의 능동성을 활용한 학습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학습이 실천되는 장으로써 사이버공간, 바이오로이드, 그리고 네트워크적 학습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포스트휴먼적 학습은 사회물질적 학습의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한 신물질주의, 포스트현상학, 그리고 행위자-망 이론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 세 가지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포스트휴먼적 학습자들이 갖는 네트워크적 존재성과 뉴미디어성, 그리고 탈인류중심성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본고의 논의는 기술중심사회의 현실 속에서 기존의 지식(인식론), 학습자(존재론), 학습의 의미(가치론)와는 전혀 다른 학습의 패러다임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촉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인본주의적 교육과정 인식론에 대한 열린 고찰 : 포스트휴머니즘적 비판을 중심으로

        박휴용(Park, Hyu-Y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5

        본고는 최근 4차산업혁명이라는 급격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지식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학교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인식론(epistemology)에 어떤 변화가 요구되는지를 논의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교육적 인식론의 변화를 포스트휴머니즘을 통해 설명하고자, 그 세 가지 이론적 기반인 신물질주의(new materialism), 객체지향존재론(object-oriented ontology), 그리고 포스트현상학(post-phenomenology)의 차원에서 학교지식의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 연구문제는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신물질주의, 객체지향존재론, 그리고 포스트현상학 각각은 어떤 이론적 관점을 통해 포스트휴먼적 학교 지식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는가? 둘째, 기존의 학교 지식(지식의 범주화 및 인본주의적 학습이론들)은 한계점은 무엇이며, 포스트휴머니즘은 어떤 인식론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가? 본고의 핵심적인 주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인류의 환경적, 생태적 위기의 한 원인이 되는 인류중심주의적 지식생태계에서 벗어나서, 미래 사회에서의 인간, 자연, 그리고 기술의 관계성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한 대안적 인식론이 필요하다. 둘째, 그 대안으로서의 포스트휴머니즘은 모든 존재들(즉, 동식물, 사물, 도구, 물질 등)에게 능동성과 주체성을 부여함으로써, 인간의 경험(학습)이 세상의 모든 존재들과의 상호의존적 관계맺음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포스트휴먼 시대의 학교 지식의 성격과 학습 방식은 기술적 변화가 가져온 가상현실, 피드포워드, 뉴미디어 등의 성격을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의 논의는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에 요구될 학교 지식의 변화에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how curriculum epistemology could be transformed under the unprecedented changes of the ecology of knowledge, prompted by the sheer development of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The paper argues that posthumanism, consist of new materialism, object-oriented ontology, and post-phenomenology as the kernel theories of it, would be an alternative epistemological standpoint for school knowledge. Two main research questions are discussed to address the argument. First, what sort of theoretical understandings do new materialism, object-oriented ontology, and post-phenomenology provide that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posthuman school knowledge? Second, what are the epistemologica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chool knowledge and what can the posthuman theories suggest as alternative solutions to overcome such drawbacks? This main findings of this paper’s arguments are: 1) humancentric ecology of knowledge is the primary source of the current ecological crisis, which requires an alternative epistemology for school knowledge, 2) as posthumanism endorses the equal agency and subjectivity for all entities in the world, human learning and experience should be aligned with the intra-active assemblage with them, 3) posthuman pedagogy should consider how to adopt the technological changes enticed by the phenomenon, such as virtual reality, feed-forward, and other new media. This paper’s argument may facilitate open discussion for the issues around curriculum and school knowledge.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과 현상학: 브라이도티의 ‘관계적 주체성’ 개념과 후설의 ‘모나드공동체’ 개념 비교를 중심으로

        박인철 철학연구회 2024 哲學硏究 Vol.- No.145

        포스트휴머니즘은 인간의 위상과 의미에 대해 새롭게 고찰하면서 전통적 휴머니즘에서의 인간관과는 전적으로 구별되는 현대의 기술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포스트휴먼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기존의 휴머니즘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취하면서 포스트휴먼의 존재의미를 인간과 비인간과의 혼합적 관계 속에서 찾고자하는 브라이도티의 포스트휴머니즘 이론은 인간과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인간의 의미를 새롭게 정립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현상학적 관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현상학은 주체와 세계와의 긴밀한 관계성에 기반해 이 세계의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는 점에서 브라이도티의 이론과 그 구조와 형식면에서 공통성을 보이며, 브라이도티 이론과의 긴밀한 연관성을 드러낸다. 특히 후설의 모나드공동체 이론은 모나드 개념을 통해 모든 존재 간의 긴밀한 연관성과 공동체성을 다양한 각도에서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브라이도티 이론과의 근접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그녀의 이론을 방법론적으로 보완하면서 이를 보다 구체화하고 심화, 확장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발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후설과 브라이도티는 방법론적 관점과 태도의 면에서 공감대를 지니며 향후 생산적인 논의를 위한 공통의 토대를 공유할 수 있다. Posthumanism seeks to establish a concept of the posthuman that is entirely different from the view of humanity in traditional humanism by newly examining the status and meaning of humans appropriate for this era in the modern technological era. Braidotti’s posthumanism theory takes a critical attitude toward traditional humanism and tries to find the meaning of posthuman in the mixed and relational subjectivity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From the perspective of phenomenology, it would be meaningful that Braidotti initially sought to find the meaning of huma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world. Phenomenology is similar to Braidotti’s theory in that it reveals the meaning of the world based o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world. So, there is a clear connection between Husserl and Braidotti in terms of structure and form. In particular, Husserl’s theory of community of monad(Monadengemeinschaft) shows a deep closeness to Braidotti’s theory since it reveals the close connection and communality between all beings from various angles through the concept of monad similar to her theory, and at the same time, it can methodologically complement and further specify her theory. Therefore, Husserl’s concept of community of monad can be considered a good base to deepen and broaden Bradidotti’s theory of relational subjectivity. In this respect, Husserl and Braidotti have common ground regarding methodological perspectives and attitudes and can share a common foundation for productive discuss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포스트휴먼(매체 생태론) 관점에서의 스포츠 몸 : 아날로그 신체는 어떻게 변용되고 있는가

        김정은,신현군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2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6 No.11

        ‘생태철학(eco-philosophy)’안에서 스포츠 매체기술과 아날로그 신체(analog body) 간의 주체성 이론을 포스트휴먼(posthuman) 관점에서 탐색해 보았다. 여기서의 ‘아날로그 신체’는 근대적 유물론인 휴머니즘이 강조된 신체관으로서 “아날로그 신체는 어떻게 변용되고 있는가?”의 연구 부제를 통해 신체 물질성의 존재론적 의미와 기계와의 유기적 공생이 논의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Bryant의 포스트휴먼 매체생태론을 차용하였으며 트랜스휴 먼, 에일리언 현상학(alien phenomenology)등 탈인간학적 개념들이 휴머니즘적 가정들을 탐색하는 키워드가 되었 다. 이 연구에서 제기된 문제들은 스포츠 몸이 혼종적인 진화사로 진입하는데 대한 생태론적 특성과 ‘스포츠 몸’이 라는 주체가 여전히 미래 스포츠 교육에서 필연적인가라는 본질적 질문에 대한 탐색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study explored, within ‘eco-philosophy’, the theory of subjectivity between sports media technology and the analog body. Here, the ‘analog body’, as a view of the body highlighting humanism—a modern materialism—discusses the ontological meaning of physical materiality and organic coexistence with machines through the subtitle of the study, “How is the analog body being transformation?” The study adopted Bryant’s posthuman media ecology as its research method, and posthuman concepts, such as transhuman and alien phenomenology, served as keywords for exploring humanist assumptions. The issues raised by the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explore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ether subjects, such as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ports body’, are still necessary for future sports education in terms of the sports body entering a hybrid evolutionary history.

      • KCI등재

        시각매체에 대한 포스트휴먼의 지각 변화에 관한 연구

        정근 ( Zheng Gen ),박상현 ( Park Sang-hy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4 No.-

        오늘날 많은 상호작용적인 예술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몸과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현상과 경험을 중요시하는 철학적 관점에서는 인간이 어떻게 예술을 경험하고 지각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과거 긴 시간동안 인간의 몸은 영혼이나 정신에 비해 저급적인 것으로 분류되어 예술에서 몸의 체현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반면에 체현된 몸과 감각을 중요시하는 메를로-퐁티는 몸에 대한 근대의 이분법적인 정의를 반대하고 몸을 대상적인 몸이 아닌 경험하는 주체로서 받아들인다. 과거에 육체적인 몸이 저급한 것으로 분류된 것은 어떤 면에서 인간의 ‘육체적 한계―감각의 불확실함’ 때문이다. 하지만 예술에서는 착각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예술형식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감각과 함께 경험의 주체인 몸이 예술에 개입하는데, 신체에 대한 이론과 미술 실행들은 현상학, 정신분석, 인지과학 등 새로운 관점을 기반으로 한다. 예술은 감각과 몸을 통하여 데카르트적인 주체적 신체와 객체적 예술작품의 관계가 더 이상 아닌 상호주체성의 수용이라는 특징으로 창작되는 변화를 거치고 있다. 예술은 더 이상 시각이나 청각에 제한적이지 않다. 후각이나 촉각 등 다양한 오감을 동시에 자극 한다. 예술은 감각으로부터 오는 스펙터클과 몰입의 대상으로 변하게 되면서, 철학적인 해석보다 수용자의 체험과 지각방식이 중요하게 된다. 관객의 체험은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는 사용자로서 매체와, 매개된 지각 속에서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된다. 본 연구자는 과거에 저급한 것으로 취급되던 인간의 몸이 인터랙션을 통해 ‘진화’된 모습으로 예술에 참여함으로써, 신체적으로 향상되고 ‘진화’ 된 인간을 적극적 포스트휴먼이라 정의한다. 수용의 측면에서 볼 때 과거에 관객은 수동적으로 예술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느끼고 분석하고 이해하였다면, 몸과 관련된 상호작용적인 예술에서 관객은 참여자나 사용자로 신분이 바뀌어 능동적으로 작품에 참여하고 작품을 본인의 의지대로 끌고 간다. 결과적으로 포스트휴먼은 예술작품을 현상적으로 지각하면서 다양한 감성적인 수용이 가능해진다. 포스트휴먼의 현상적인 경험으로 매체 경험과 실제 경험의 경계도 모호해지면서 그 영향은 현실뿐 아니라 가상공간에까지 확장한다. 인간이 다양한 감각을 동원하여 느끼는 프레즌스를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면 몸과 사물 사이에서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면서 인간이 다른 공간에 머무르는 것처럼 지각하는 것이다. 가상공간은 더 이상 이원론적으로 인간의 영혼이나 정신이 떠돌아다니는 그런 곳이 아니라, 인간의 몸과 현상을 만들어 내면서 지각되는 ‘실체’가 있는 ‘현실’이다. 전통적인 시각미디어의 프레임이 소실되고 다양한 감각으로 가상공간을 경험하면서 가상공간은 현상을 만들면서 ‘감각’할 수 있는 ‘현실’로 지각하는 포스트휴먼시대가 열렸다. Because many works of modern interactive art are ultimately connected with the human body, the phil osophical perspective based in reality and experience is largely focused on the question of how humans experience and perceive art. However, because the human body has long been classified as inferior to the mind and soul, the concept of the physical embodiment of art has received little attention within the field. Conversely, philosopher Maurice Merleau-Ponty prioriti zed the personification of the body and its senses, thus rejecting the modern era’s dualistic definition of the human body; rather, Merleau Ponty characterized the body as an active experiencer of art, rather than a passive observer. The classification of the physical body as inferior to its non-physical counterparts is the result of ‘uncertainties about physical limitations and perceptions’. However, the realm of art presents a contrasting perspective that highlights to uncertainties in human sense s, i.e. the art form that actively utilizes delusion. As such, the body enters a work of art as one of the two primary subjects of experience, the other being senses. Therefore, executions of art and theories about the human body are now grounded in novel perspectives including phenomenology, psychoanalysis, and cognitive science. Thus, the characterization of art is now transforming from a Cartesian relationship between an autonomous body and an objective work of art, to an intersubjective experience. Art is no longer confined to the bounds of sight and sound; rather, it simultaneously stimulates all five senses, including smell and touch. Consequently, art is not limited to an understanding or experience based on interpretation and contemplation. Rather, it is now the subject of a sense-induced spectacle and immersion in which the user’s experience and perceptive methods hold more significance than his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As technology users, the audience is exposed to a novel experience in the middle of media and mediated perception. Through interaction, the body has evolved away from its previous classification as an inferior form, thus becoming an active participant in art; accordingly, this study defines the physically formed and transformed ‘human’ as resolutely Posthuman. In terms of artistic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if audiences of the past embraced the artist’s intentions when analyzing a work of art, audiences of intersubjective art now have renewed identities as participants and users that actively interact with and direct the art according to their own perspectives and understanding. As a result, the Posthuman approach allows for diverse sensory embraces of art through phenomenal perception. The effects of the blurred line between media experiences and actual experiences reach beyond the physical and into the virtual realm. When examining the presence felt by humans when mobilizing and experiencing diverse feelings through a Merleau-Pontian lens, a certain phenomenon exists between the body and an object in which the human perceives that he or she is in another place. This virtual space is now no longer a realm in which human souls and minds dualistically float around, but rather an existing reality that can be perceived as it forms human bodies and phenomena. The decline of the framework of traditional visual media has prompted the rise of a Posthuman era m arked by a multisensory experience of the virtual do main and the perception of the virtual world as a tan gible and formative reality.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 시대 유아를 위한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리더십 교육 방향 모색

        조희정(Cho Hee J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현상학이 지니고 있는 사상적 특성을 살펴보고 교육과 유아 리더십 교육의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포스트모더니즘과 현상학의 사상적 특성은 이성중심에서 탈피하고, 역동적 상호작용의 중시, 절대주의와 보편주의에서 다양성과 다원성의 지향, 고정되고 획일화된 틀의 지양과 새로운 대안적 방법을 추구한다는 점이며, 이것을 두 관점의 공통점으로 보았다. 우리의 미래 인재들인 유아들이 미래의 다원화 세계 속에서 잘 적응할 뿐 아니라 유능한 사회인으로서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리더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변화가 필요하다. 유아들은 교과활동 속에서 만나는 다양한 맥락 내에서 미래의 리더십 기술을 위한 기초형성을 유아기에 할 수 있으며, 리더로서의 잠재성을 확인할 뿐 아니라 그들의 재능 또한 발달시킬 기회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a ideal feature which can be emanated from the postmodernism and phenomenology and described the direction of education and leadership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 ideal feature of the postmodernism and phenomenology noted as an emancipation of reason-oriented thinking, an emphasis on dynamic interaction, a preference of variation and pluralism from the absolutism and universalism, an emancipation of a fixed and uniformed frame, and the pursuit of new alternatives. The chief features notes as a common feature of two viewpoint. Change of education need so that young children might adapts themselves to the pluralism and technetronic world as well as lead to transformation. Young children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future leadership skills in diverse context within the subjects activity, and nor only should these potential leaders be identified, but also their talents need the opportunity to develop.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퍼포먼스 -배우로서 로봇에 대하여

        주현식 ( Ju Hyun-shik ) 한국드라마학회 2017 드라마연구 Vol.0 No.51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포스트휴머니즘의 퍼포먼스 무대에서 이전 연극 무대와 달리 기술은 연출 미학을 보조하는 수단이 아닌 그 자체가 퍼포먼스의 목적으로 변화한다. 무대 형상화를 위해 기술을 활용하던 전통적 연극과는 다르게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기술로 변이됨에 따라 인간 배우와 상호행위 하는 배우 형상, 주체에 상응하는 위상을 무대 위 기술은 획득하고 있다. 특히 최근 시도되고 있는 로봇 퍼포먼스에서 몸과 기술, 인간과 기계 사이의 통합과 만남을 이해하려는 다양한 퍼포먼스 방식이 출현하고 있다는 점은 이채롭다. 이러한 로봇 퍼포먼스는 재현과 현존의 개념, 배우와 캐릭터의 존재론, 무대 위 시공간적 자질, 그리고 관객의 수용 양상 등과 관련된 근대적 연극의 개념을 급격하게 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에 주목을 요한다. 이 논문은 포스트휴먼이라 할 수 있는 로봇이 배우로서 퍼포먼스에 출현할 때 전통적인 퍼포먼스 미학과 다른 퍼포먼스의 미학이 어떻게 달성되는지를 검토할 것이다. 전통적 퍼포먼스 미학의 개념인 몸의 `현존(Presence)`이 로봇 배우의 현존에서 어떠한 변화를 보이며 또한 몸의 현존으로부터 비롯된 공간적 `분위기(Atmosphere)`는 로봇 배우가 현존하는 퍼포먼스 공간으로부터 어떤 변형의 양상을 거치는지 고찰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러한 논의를 거쳐 의식의 지향성, 살, 그리고 가역성 등 기존 현상학과 관련된 개념들이 변화되는 양상, 다시 말해 기술과학과 현상학과의 상호연계를 통해 `사이보그 공연현상학(Phenomenology of Cyborg Performance)`에 관한 시론을 로봇 퍼포먼스의 미학으로 본론 마지막 부분에서는 제시해보려 한다. 차이화에 대한 살아 있는 경험으로 의식적 현상을 관객이 체험하는 순간은 변형의 순간, 문턱을 건너는 순간인 바, 포스트휴먼에 의한 퍼포먼스 미학이 짐작될 수 있는 지점이라고 생각된다. 하여 포스트휴머니즘 시대 로봇 퍼포먼스에 관한 논의를 촉발하는 시론으로서 본 논의가 기능한다면 본고 또한 일정정도 의의를 가질 것이다. Posthumanism originated as a reaction to humanism. Humanism is the world view that emphasizes `humanity` or `human dignity`, starting with the humanism of the Renaissance period in the 14th and 16th centuries, and mental attitudes that were associated with the rational spirit of modern scienc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Posthumanism raises doubt about humanism as the mythical concept naturalizing anthropomorphism, so that deconstructs the universal human nature advocated in humanism. Given that the concept of human species is a historical concept and its ideological effects are seen as oppressive, `difference`, `specificity`, `multiplicity`, and `plurality` are foregrounded as having particular importance in posthumanism. Along with critical attitudes toward modern humanism, recent advances in technology are also helping to model posthumanism as an alternative view of humanism. Today`s rapidly bio-, nano-, info-, cogno-, digital-, virtualtechnology, such as cloning technology, stem cell technology, AI, organ transplantation, mobile media, brain science, cyberculture, online, network, have made it indispensible the role of technology in the discussion of the change of human nature after humanism. Unlike previous theatrical performances, technology on the stage of posthumanism changes itself not as means of assisting stage aesthetics, but as the fundamental purpose of performance. Contrasting with traditional theatre which used technology for stage figuring, technology transformed from analog to digital is acquiring agent that interacts with human actors. It is particularly interesting that various performances are emerging to understand integration and encounter between body and technology or human and machine in the robot performances. These robot performances need subtle attentions because they dramatically alter the concepts of modern drama related to representation, presence, the temporal-spatial quality of stage, and the aspects of acceptance of audience. This paper will examine how the new aesthetics of posthumanistic performances is achieved when robots appear as actors in performanc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how the `presence` of the body and the spatial `atmosphere` stemming from the presence are transformed, considering the performances of robots.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paper will think of how the concepts in relation to the concepts of classical phenomenology, such as consciousness, experience and phenomenon, are changed. In other words, through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science and phenomenology, phenomenology of cyborg performance will be presented as the aesthetics of robot performance. The moment when the audience experiences the conscious phenomenon with the diffraction is thought as the moment of transformation crossing the threshold for the audience. Consequently, the moment is the point where the aesthetics of performance by posthuman might be guessed. This article will therefore have some significance functioning to trigger other discussions on the performance of robot in the posthumanistic era.

      • KCI등재

        서평: 『메를로-퐁티의 신체현상학』 - 철학함 혹은 철학이란 무엇인가

        심귀연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1 No.-

        이 글은 류의근의 저서 『메를로-퐁티의 신체현상학』에 대한 서평이다. 서평을 통해서 찾고자 하는 바는 철학함과 철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에 대한 답찾기이다. 더불어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이 21세기 포스트휴먼 혹은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타자의 등장과 함께 어떤 의미로 재해석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이글은 저서의 구성방법에 따라, 몸과 살, 코기토, 신, 윤리, 정치의 문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이 글에서 비판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저자의 메를로-퐁티 현상학이 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신 문제이다. 메를로-퐁티 철학의 기조는 근대철학의 이분법적 구조 속에 나타난 폭력의 문제에 대한 반성이다. 철학이 진리를 드러내는 일, 특히 존재의 드러남이라고 할 때, 철학이 밝혀보여주고자하는 존재는 무엇인가. 메를로-퐁티는 살존재론에서 철학의 가능성을 찾고 있다. 그것은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사이의 끊임없는 교차와 얽힘 가운데 열어밝혀지는 존재열개이다. 따라서 살의 철학은 철학의 종말이 아니라 철학의 재탄생이다. This is a review of Ryu, Eui-Geun’s book “Merleau-Ponty’s Body Phenomenology”.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find answers to questions about philosophy and what philosophy is. In addition, what can be confirmed is how Merleau- Ponty’s phenomenology can be reinterpreted with the emergence of a new Other, the 21st century posthuman or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book, this article was divided into body, flesh, kogito, god, ethics, and politics. In particular, what is critical of this article is the author’s Merlot-Ponty phenomenology and its positio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keynote of Merleau-Ponty's philosophy is a reflection on the problem of violence in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modern philosophy. When philosophy reveals truth, especially the manifestation of beings, the beings which philosophy seeks to reveal should not be certain. Merleau- Ponty is looking for the possibility of philosophy in Flesh Ontology. Flesh’s philosophy is not the end of philosophy, but the rebirth of philoso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