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등성, 미국과의 무역 분쟁, 그리고 중국의 딜레마

        김재철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9 중소연구 Vol.43 No.2

        When President Trump threatened China to impose tariffs to extract trade concessions from the latter, Beijing pushed back by declaring that “China doesn’t want to fight, is not afraid of fighting, but will fight if it has no choice”. Since then, China has been engaged in a long trade dispute with the U.S. by applying retaliatory duties and refusing to accept Trump’s demand for structural changes to China’s state-run economy, triggering people to wonder whether Beijing has mistakenly made situations worse. By introducing China’s growing quest for equality in its relations with the U.S., this article argues that Beijing has chosen to hit back in order to urge Washington to treat Beijing equally. This, however, does not suggest that Beijing has been successful in making Washington treat Beijing equally. Contrary to Beijing’s expectation,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responded by further increasing pressure on Beijing and, as a result, Sino-US relations has gotten worse than ever before. 이 글은 2018년에 시작되어 1년여 째 계속되고 있는 미국과의 무역 분쟁에 대한 중국의 대응을 평등성 추구라는 시각에서 설명한다. 대미관계의 평등성은 시진핑(习近平) 체제의 중국이 강조해온 목표인데, 이러한 평등성에 대한 추구가 미국과의 무역 분쟁에 대한 중국의 대응을 규정했다. 평등성에 대한 관심은 중국이 왜 동등한 규모의 대응과 보복이라는 정면대응을 선택했는지를 잘 설명해준다.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부과를 통해 압박을 가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미국에 대해 평등한 지위에서 협상을 통해 이견을 해소할 것을 촉구하기 위해 타협을 거부하고 대등한 보복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미국과의 평등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했다. 정면대응을 통해 미국의 존중을 이끌어 내려는 중국에 대해 트럼프 행정부가 압박을 더욱 강화함에 따라 미중관계는 급격하게 악화되었다. 1년여의 시간이 지난 지금 중국은 평등성을 계속해서 추구함으로써 미국과의 관계가 추가적으로 악화되는 것을 감수하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막대한 국내 정치적 대가를 촉발시킬 타협으로 입장을 선회하기도 어려운 딜레마에 직면했다.

      • KCI등재

        기혼 여성의 부부 평등성이 추가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이단비,남진영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2

        This study analyzed 10,352 married women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marital equality felt by married women and additional childbirth intentions.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vestigator, and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interaction analysis to analyze the relevance between each variable and additional childbirth. As a result, the 4-point group based on the 0-point group that lowest marital equality had 2.01 times higher willingness to additional birth. And, the 3-point group and the 2-point group were 1.46 times and 1.41 times higher than 0-point group with marital equality and additional childbirth intentions. In addition, intention of additional childbirth was increased when the higher the number of children, if they own a house, and if wives are non-regular or unemploye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women's intention to give birth additionally, focusing on marital equality. It is suggested that specific and reasonable policies at the macro level are required to improve the fertility rate.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이 인지하는 부부 평등성과 출산 행위에 있어 중요한 결정 요인인 추가출산 의향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기혼 여성 10,35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을 위해 빈도 분석과 카이 제곱 검정 분석을 시행하였고 각 변수와 추가출산 간 관련성 분석을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 및 층화 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부부 평등성이 가장 낮은 0점 그룹 기준 4점 그룹은 2.01배 추가출산 의향이 높았다. 또한 3점 그룹과 2점 그룹은 각각 1.46배, 1.41배 높아 부부 평등성과 추가출산 의향이 정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 외에 자녀 수가 많을수록, 집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아내가 비정규직이거나 무직일 경우 기혼 여성의 추가출산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부부 평등성에 초점을 맞춰 추가출산 의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출산율 제고를 위해 거시적 차원의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이 요구됨을 제언한다.

      • KCI등재

        연기법과 역사유물론 - 외부성의 사유에서 평등성의 사유로 -

        박태호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89 No.-

        This paper studies the interface and intersection between Buddhism and Marxism. To this end, first, I compare Buddhism’s dependent causality (pratītyasamutpāda) and Marxism’s historicalmateri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inking methods. I note that both ideas have a common thinking method which could be named ‘thinking based on outsideness,’ which is deeply related to each idea’s criticismof substantialism and metaphysics. ‘Reasoning based on outsideness’ implies a unique concept of causality different from that of analytical causality. Second, both ideas are similar in that equality is dealt with. However, Marxism deals with class equality on the level of possibility by negating existing inequality, while Buddhism deals with ontological equality of all living beings and even that of all beings on the level of virtuality by means of Buddha-nature theory. Communism as a possible world contrasts with reality in that communism does not exist in the real world. On the other hand, Buddha-nature as the virtual contrasts with actual world, because Buddha-nature exists in reality, even though it is not actualized. Buddhist Sangha community, which is based on no-ownership and donation, can be understood as a practical model and a plan of avant-garde aiming to actualize the existential equality. This provide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for attempts trying to transform movements deferring the present life for the future into movements changing present life directly. 이 논문은 불교과 맑스주의라는, 어쩌면 아주 다른 사상이 만나고 갈라지는 지점을 비교하여 하나가 다른 하나와 교차되는 지점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첫째, 불교의 연기법과 맑스의 역사유물론을 사유의 방법론이란 관점에서 비교한다. 여기서 양자 모두 ‘외부성의 사유’라는 공통된 방법론을 갖고 있음을 주목할 것인데, 이는 실체론과 형이상학에 대한 양자의 비판과 깊이 결부된 것임을 볼 것이다. 이는 통상적인 인과성과 다른 인과성 개념을 함축한다. 둘째, 양자 모두 평등성을 사유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하지만 맑스주의는 현존하는 불평등의 부정을 통해 가능성의 차원에서 계급적 평등성을 사유하는 반면, 불교는 불성론을 통해 모든 중생, 나아가 모든 존재자의 존재론적 평등성을 잠재성의 차원에서 사유한다. 가능성의 세계로서의 공산주의가 현실에 부재하는 것이란 점에서 현실성과 대립된다면, 잠재성으로서의 불성은 현행화되지 않았지만 현실속에 존재하는 것이란 점에서 현행성과 대립된다. 무소유와 보시를 요체로 하는불교의 승가공동체는 이 존재론적 평등성을 현재의 시간 속에서 현행화하려는 실천적 모델이자 아방가르드적 촉발의 기획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오지 않는 미래를 위해 현재의 삶을 유예하는 운동을, 현재시제의 삶을 직접 바꾸어가는 실천운동으로 바꾸려는 시도에 중요한 참조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이성선 시의 심층생태주의적 양상 연구

        김동명(Kim, Dong-Myeong)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이성선 시인의 후기 작품에 나타나는 자연현상의 생성과 성장, 소멸에 관한 주제는 자연환경이 파괴된 오늘을 살아가는 해석자와 작품 간의 상호관계적 대화를 통해 현실을 반영한 문학적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이성선 시에 나타나는 자연지향은 심층생태주의적 입장에서 자연을 두고 논의할 때 주로 거론되는 관계론적 평등성, 유기론적 다양성, 순환하는 생태계와 동일한 사유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관계론적 평등성으로 유형화된 주제는 지구 생태계 내 개체적 존재들은 서로 하나의 전체를 향해 관련되어 있다는 방향으로 도출된다. 식물과 동물, 무기물을 대상으로 생태계의 관계론적 평등성이 도출되는 이 시들의 공통된 주제는 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인간중심적 사고에서 기인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간과 생태계 내 존재들의 동등한 관계 정립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유기론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시에서는 지구생태계가 지닌 복잡성으로서의 다양성이 도출된다. 지구생태계는 그 자체가 원래 생식과 성장, 생멸, 자기복원력의 의지 등 다양한 생명현상의 능력을 지닌 생명체이며, 지구생태계 내 각 개체적 생명체는 각각의 유기체로서 그들의 다양성이 모여 지구생태계가 완성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순환하는 생태계가 유형화된 작품들의 공통된 주제는 자연생태계의 모든 개체적 존재는 생성하고 소멸하고, 죽고 부활하는 순환을 통하여 지구생태계의 생명현상에 참여한다는 것이다. 이로써 인간을 비롯한 동물계, 식물계 그리고 무기물까지 모두 평등한 존재로서 상호존중할 수밖에 없는 당위성이 성립된다. 이러한 세 가지 주제, 즉 관계론적 평등성, 유기론적 다양성, 순환하는 생태계를 드러내는 작품들은 생태계 파괴에 대한 비판보다는 해결방안의 형상화에 집중되어 있다. 공통적인 지향은 생태계 전체를 유기체적이며 전일적인 관계로 파악하고 그 관계의 대상인 모든 인간과 자연은 각 개별적인 존재로서 동등하며 존중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The topics about the birth, growth, and extinction of natural phenomena consistent in the works of Poet Lee Seong-seon allow for literary discussions to reflect the reality through communication of interactive relations between the interpreters living in today's world where natural environments are destroyed and the works. It is confirmed that the spirituality of nature in his poetry is in the same vein as relational equality, circulating ecosystem, and organic diversity, which are usually mentioned in nature discussions from the perspective of deep ecology. The topic classified as relational equality moves in the direction that all creatures within the earth's ecosystem are connected each other toward the whole one. The common topics of his poems represented by relational equality between plants and animals or between inorganic matters and ecosystems insist that equal relationships should be first established between humans and other creatures in the ecosystem since the cause of ecosystem destruction derived from human-centered thinking. his poems that show the organic diversity presents the diversity as the complexity of the earth's ecosystem. The topic evolving around organic diversity says that all the individual creatures in the earth's ecosystem are their own organic matters and gather together to create a harmonious natural state as a cosmic phenomenon. Finally, Then the common topic of his poems represented by circulating ecosystems tells that human and nature are the universal life community and in equal relationships, circulating, being born and extinct, dying and reviving. Thus the idea comes about that all the animals including humans, plants, and inorganic matters should respect one another as equal beings. His works that reveal those three topics, namely relational equality, and organic diversity, circulating ecosystem, focus on the embodiment of solutions than causes of the destruction of ecosystems. They all pursue one common direction that the entire ecosystem is organic and whole as one and that all humans and nature are equal and deserve respect as individual beings.

      • KCI등재

        김지하의 후기시에 나타난 심층생태주의의 양상 연구

        김동명(Kim, Dong-Myeong)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8 No.-

        이 논문은 김지하 시의 주제가 중기 이후 변화한 양상을 두고 저항의식의 변절이라는 비판이 제기된 데 대해 해명하고자 하였다. 김지하의 후기시를 대상으로 논의한 결과 관계론적 평등성부터 유기론적 다양성, 순환하는 생태계 등 심층생태주의의 양상으로 파악한 것이다. 첫째, 관계론적 평등성의 시로는 관계 파탄의 양상, 평등성, 관계 속의 자기실현으로 논의되었다. 그 결과 지구생태계 내 존재들은 서로 어울려 하나의 전체를 향해 관계되어 있다는 방향으로 주제가 도출된다. 식물계와 동물계, 인간계, 무기물계까지 상호관계 속에 존재해야 각 개체의 자기실현과 함께 전체 생명현상이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유기론적 다양성은 유기체의 일부로서 존재하는 개체적 생명과 그들의 상보성, 자기복원력을 지닌 생태계로 나뉘어 논의되었다. 지구생태계는 유기체인 동시에 자기조절력을 갖춘 생명체이므로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제를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순환하는 생태계는 계절의 순환, 탄생과 죽음의 순환, 순환하는 지구생태계로 분석되었다. 생명은 각 개체인 동시에 전체로서 시간과 공간의 순환을 통하여 생명현상을 발현한다. 인간과 자연은 우주적 생명 공동체로서 상호 순환하면서 생성되고 소멸하고, 죽고 부활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세 가지 주제는 생태계 위기에 대한 대안의 형상화로 파악되었다. 김지하 시는 초기부터 배태된 생태주의가 세월이 갈수록 심화되었으며 후기에는 생명의 근원에 대해 탐구한 결과가 심층생태주의의 양상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riticism on Kim Ji-ha which considers the change of subject matters in his later poems as a betrayal of his earlier protest poems. As a result of discussion on his later poems, these poems were examined in terms of deep ecology including relational equality, organic diversity and cyclic ecosystem. First, poems of relational equality can be classified into poems with aspects of destroyed relationship, equality and self-realization within a relationship. It is concluded that all beings of the ecosystem of earth are harmoniously connected with one another towards a unity. His poems can be said that the worlds of plants, animals and humans should coexist with one another to enable an entire life cycle as well as self-realization of an individual existence. A discussion of organic diversity was conducted with a classification of individual life as a part of organism, their complementation, an ecosystem with a life containing selfenforcement. Ecosystem of earth is an organism as well as a life with self-regulation so that its diversity must be guaranteed to keep homeostasis. Finally, cyclic ecosystem in his poems was analyzed as a cycle of seasons, births and deaths, and a cyclic ecosystem of earth. A life is an individual as well as an entirety which reveals a life cycle through the circulation of time and space. Human and nature also circulate, appear, disappear, die and reappear interactively as a cosmic life community. Kim’s works containing the above three subject matters were understood as a figuration of an alternative to the crisis of ecosystem. A dormant philosophy of ecology in his earlier poems became more apparent in the course of the years. Consequently the result of his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life appeared as an aspect of deep ecology in his later poems.

      • KCI등재후보

        한국 초등교육의 이념

        정재걸 한국초등교육학회 2003 초등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오늘날 공교육, 즉 의무, 무상, 보통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교육의 이념이 무엇인지 찾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오늘날 공교육, 즉 의무, 무상 , 보통 교육으로 논의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공공성이란 태어날 때부터 우리 안에 내재된 사랑과 정의이다. 그것을 되찾기 위해서는 우리는 어린아이로 돌아가야 한다. 그리고 전체성이란 깨어있는 몰입이다. 그것 또한 어리아이로 돌아가야 되찾을 수 있다. 그리고 평등성은 이러한 공공성과 전체성이 실현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평등성은 아이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그 공공성과 전체성을 보전하기 위함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out shat must be ideology of elementary education in Korea. I concluded that the ideology of elementary education must be publicity, wholeness and equality. Publicity means the justice and love which was given by birth. I analyze publicity using the concept of "learning for the sake of self". It means self-directed learning that leads the learner to integration with whole existence. Wholeness means awakened immersion which can be found by returning to childhood. I analize it with three aspect, acceptance awakening and individualization Equality can not derived from the tradition of oriental thought. But equality can make publicity and wholeness possible. In the publicity, wholeness and equality we can return to the childhood which is the permanent goal of all education.

      • KCI등재

        여성 공무원의 승진 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평등성과 공정성을 중심으로 -

        권일웅 ( Illoong Kwon ),한승희 ( Seung-hui Han ) 한국거버넌스학회 2015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2 No.2

        여성 공무원의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상위직급 중 여성 공무원 비중은 여전히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승진에 있어서 여성에 대한 차별과 유리천장은 여성의 승진 동기를 저하시키고, 이러한 승진 동기의 저하는 여성이 리더십 역할에 열등하고 소극적이라는 선입관을 증대시켜 여성차별을 강화하는 악순환을 생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남성보다 낮은 여성 공무원의 승진 동기를 높이기 위해 남녀 간 동일한 대우를 강조하는 형식적 평등성과 여성이 가진 지식·기술·능력을 활용하는 공정한 조직운영방식을 구분하고, 어떤 방식이 더 유의미한지 분석하였다. 서울대학교 한국정책지식센터의 중앙공무원 인식조사를 표본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공무원이 가진 지식과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공정한 조직운영방식이 여성의 승진 동기를 높이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대와 30대 여성 공무원에게서 이러한 경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오히려 단순한 성별을 기준으로 한 평등대우는 오히려 남성공무원들의 승진 동기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성별을 기준으로 한 동등한 대우를 넘어서 여성공무원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며 여성의 능력개발과 연계된 공정성을 강조한 인사정책으로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Even though the number of female civil servants has been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female civil servants in high-ranking positions is still low.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promotion (glass ceiling) would reduce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s for promotion, and increase prejudice that females are inferior and passive in leadership positions. Furthermore, the lack of motivations for promotion could cause a vicious circle which may strengthen discrimination against female civil servants. To increase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s for promotion, this study distinguishes formal equality which focuses on equal treatment between men and women, and equity which makes use of knowledge, skill, capacity of female. Also, this paper investigates which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s for promotion. Using a survey data on central government civil servants in Korea, this paper shows that equitable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which makes efficient use of knowledge, skill of female has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ing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s. Interestingly, we can observe more significant effect in female civil servants on the age of 20s and 30s. Also, this paper shows that formal equality decreases motivations of male civil servants for promotion.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paradigm shift of personnel policy from equal treatment between men and women to equitable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which makes use of knowledge, skill, capacity and focuses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female.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정생활 문화" 단원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 내용 분석

        백은경 ( Eun Kyong Paek ),김영순 ( Young Soon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1

        현재 한국은 정보화 및 세계화에 따라 다국적 이주민이 증가하여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문화, 계층, 인종, 종교 등 편견과 차이에서 비롯되는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다문화 시대를 살아갈 모든 학생들을 위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으로 집필된 기술ㆍ가정 교과서에 다문화 교육 내용이 어떻게 반영이 되어있는지 분석하고자 문헌 고찰을 통해 정체성ㆍ다양성ㆍ평등성ㆍ협력의 네 가지 분석틀을 구안하였고,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교과서 6종의 ``가정생활 문화`` 단원에서 다문화 교육 내용이 교과서별ㆍ주제별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교육 내용을 교과서별로 분석해 보면 정체성 영역에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낸 것은 B교과서였고, 다양성 영역은 F교과서, 평등성 영역은 B와 E교과서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협력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것은 E교과서였다. 주제별로 분석해보면 평균적으로 6종의 기술ㆍ가정 교과서에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는 영역은 다양성이며, 그 다음이 정체성, 협력의 순서였고, 평등성에 대한 내용은 가장 낮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향후 개발되는 교과서는 특히 다문화가정 자녀 및 외국인 노동자 등 소수자에게 향하는 편견과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평등성을 보완하여 집필될 것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flected in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using four different frames: identity, diversity, equality and collaboration. It analyzes how six different textbooks reflect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ir ``family life culture`` uni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six different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textbook B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llowed by textbook E and A by a narrow margin and textbook C has the lowest frequency. Second, diversity shows the highest frequency in terms of the themes of the contents, followed by identity, collaboration and diversity, with equality showing the lowest frequency. Textbook B shows the highest frequency of identity, textbook F shows the highest frequency of diversity, textbook B and E have the highest frequency of equality and textbook E has the highest frequency of collaborati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deal with ``living culture`` as the embodiment of human life and they also deal with ``living cultures of family, consumption, food, clothing, and housing``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family life. For this reas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are appropriate to educate the majority of people ``who are facing multicultural families`` on equality and collaboration as well as the issue of inequality withi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시각예술에 나타난 공정한 이미지에 관한 연구

        김석원(Kim, Seok-Weon) 동서미술문화학회 2016 미술문화연구 Vol.8 No.8

        연구자는 이미지 왜곡이 없고 편견 없는 사회, 이미지의 다양성이 존재하는 시각예술의 문화적 현상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리의 문화적 현상은 주변의 과도한 이미지의 홍수속에서 살고 있다고 해도 무방하다. 우리나라 사회를 포함해서 아프리카 등을 포함한 저개발 국가는 우리에게 왜곡된 이미지를 대중매체가 부추긴다. 이미지의 편향과 왜곡 현상은 대중들에게 고정관념 등 편견을 낳게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공정한 이미지’를 통해 편견 없는 사회는 무엇인지 규정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이미지에 관한 기원을 중심으로 미술, 사진, 문화, 영화에서 ‘공정한 이미지’와 ‘공정하지 않은 이미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신의 입장에서는 이미지를 모방하는 것 자체가 공정성에 어긋났다. 우상은 역사적으로 이미지란 용어가 탄생하기 전에 등장했고 그 이후 이미지를 대신하는 초상 또한 초기에 특권계층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서 ‘이미지의 공정성과 평등성’에 위배된다. 연구자가 시각예술에서 ‘공정한 이미지’를 추적하는 과정 중에 설정한 ‘토테미즘의 공정성’은 토테미즘이 완전하지는 않지만 ‘우상파괴주의(공정하지 않은 이미지를 파괴)’를 실천한 행위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푸생의 그림에서 이미지의 주위에서 환호하는 사람들은 잠재된 ‘인간의 집단적 욕망의 투사’를 드러낸다. ‘토테미즘은 이미지의 가치를 공정’하게 생각했는데 그 이유는 친구와 친척들 사이에서 하는 놀이로 인식하고 설정된 이미지를 통해서 사회적, 대화적, 변증법적인 관계를 맺으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다. ‘가면의 평등성’은 축제에 사용한 가면의 이미지를 통해서 신분과 출신이 사라지고 익명의 세계가 된다는 점, 사회적 위선을 제거하고, 모두가 평등한 상태로 몰입하게 된다는 점에서 가면은 이미지의 공정성으로 인도한다. ‘토테미즘의 공정성’과 ‘가면의 평등성’은 놀이와 축제를 통해서 억눌린 인간의 욕망을 드러내고 이미지의 공정성을 지향한다. 이미지의 공정성을 담보로 한 ‘문화 인류학적 영화’ 중 장루쉬의 <미친 지도자들, 1955>는 저개발 국가 사람들이 이미지의 피해자, 혹은 이미지의 객체가 되는 현상에 대한 대안으로 해석된다. 저 개발 국가 사람들이 아무런 이유 없이 선진국들의 목적에 이용당하는 피사체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 그들이 객체에서 주체로 바뀌어 대등한 관계에서 ‘공정한 이미지’를 실천하는 것은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하나의 대안적 방법으로 작동하는데, 시각예술에서 공정한 이미지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부분이 많다. The study placed a purpose to investigate prejudice-free society with no image distortion and the cultural phenomenon of visual arts where there are diverse images. Nowadays, people are living in a flood of excessive images surrounding us. The mass media leads people to distort images continually in Korea and un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Africa. Deflection and distortion of image lead people to be prejudiced, having stereotypes. To solve this problem, the study tried to define what unprejudiced society is first through ‘fair image’ and looked at cases of ‘fair image’ and ‘unfair image’ in art, photography, culture, and films based on the origin of image. From God"s point of view, it would be unfair to imitate images itself. The word, ‘idol’ has appeared historically before the word, ‘image’; and the word, ‘portrait’ to replace ‘image’ had been initially used only for limited privileged class; so it deviates from ‘fairness and equality of image’. Fairness of totemism was analyzed as a practice of ‘iconoclasm(destroyed unfair image)’, though not perfect during the process of tracking ‘fair image’ in visual arts. People cheering around the image in Poussin"s painting reveals a potential ‘projection of man"s collective desire’. ‘Totemism thought the value of image were fair’, as they had tried to have social, interactive, dialectical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relatives, recognizing it was a play with image. ‘Equality of masks’ leads to fairness of image through the image of masks at festivals, as identity and origin disappears and people all immerse themselves in an equal state at an anonymous festival, removing social hypocrisy. ‘Totemism fairness’ and ‘equality of masks’ are revealing repressed human desires through plays and festivals, aiming at fairness of image. Jean Rouch"s 〈Crazy leaders, 1955〉 as ‘cultural anthropological film’ was analyzed as an alternative for the phenomenon that people in undeveloped countries were depicted as just victims or objects. People in undeveloped countries should not be used as the object to be exploited for the purpose of developed countries without a reason. Therefore, the study suggested that it was a practice of ‘fair image’ as one alternative that an equal relationship changed from the object to the subject shows in documentary fil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