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기준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남수경(Nam, Soo-Kyong),김갑성(Kim, Kaps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이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중 교사평가에 적용 가능한 비교과영역의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및 외국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교사평가 내 비교과영역의 의미를 밝히고,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의 교사평가에서 활용되는 비교과영역의 평가지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비교과영역의 교사평가지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비교과영역의 개념은 생활지도, 학급경영, 전문성 개발, 상급자나 동료,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이나 협력, 기타 행정 능력 등으로 구성되며,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란 이와 관련된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주요국 사례 분석 결과, 미국과 영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본의 비교과영역 교사평가의 비중이 높았으며, 3국의 비교과영역 관련교사평가 영역은 학생과의 관계와 수업 외 지도활동, 전문성 개발, 학습 환경 조성,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기타 업무능력 등으로 나타났다. 비교과영역 개념 정의와 주요국의 교사평가 중 비교과영역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비교과영역의 교사 평가영역으로 학생관리, 전문성 개발, 학습 환경의 조성,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기타 업무 능력으로 선정하였고 각 영역의 평가기준(안)을 제시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ndices” that can be applied to teacher evaluation, which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carry out this task, literature survey and foreign case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present the meaning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section in teacher evaluation. Then,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ndices used in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were analyzed to propose a Korean version of the indice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s defined as evaluation of teachers’ability to perform in the areas of life guidance, class management, specialty development, communication or cooperation with higher ranking teachers,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and other types of administration. Analysis of teacher evaluation in non-teaching areas showed that the share of non-teaching area was relatively higher in Japan in comparison with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n the three countries consisted in relationship with students, supervision of extra-scholarly activities, specialty development, cre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s, and other capabilities. Based on literature survey, definition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and non-teaching area assessment in teacher evaluation in major countries, the following realms were proposed as indices (draft)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that can be applied to Korea: student management, specialty development, cre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and other capabilities.

      • KCI등재

        과학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틀 개발

        최원호,이인호,김진국,정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cience assessment framework for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In order to develop it,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science assessment framework of NAEA and reviewed the science assessment frameworks of national assessment in other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and Australia, and those of international study such as PISA and TIMSS. Some problems of science assessment framework of NAEA are as follows. First,there are some overlapping achievement standards. Second, it is difficult to keep the consistency of content domain depending on the revision of curriculum. Third, behavior domain has to be modified to monito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ore accurately. Forth, it is difficult to present the description of achievement level coherently. Some implications of science assessment frameworks of NAEP, NAP-SL, TIMSS 2007 and PISA 2009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present sub-areas in the content domain. Second, it is needed to include ‘memory’ in the behavior domain. The features of science assessment framework that are develop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b-areas are presented to keep the consistency of content area. Second, some achievement standards that are related to ‘attitude’ and ‘application’ are excluded. Third,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is decreased. Forth, ‘memory’ is added in the behavior domain. Fifth, the test items can be analyzed in the respect of sub-area to provide the meaningful result. 이 연구에서는 기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과 평가 틀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내용 영역, 행동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외국의 학업성취도 평가 및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의 평가 틀에 대한 고찰을 통해 얻은 시사점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과학과 학업성취도 평가 틀을 내용 영역, 행동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우리나라의 기존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과 평가 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중복되는 성취기준이 있다. 둘째,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라 내용 영역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셋째,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 성취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행동 영역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결과 분석 시 유사한 문항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할 수 없어서 성취수준 진술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외국의 학업성취도 평가 및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의 평가 틀에 대한 고찰을 통해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영역을 대영역 수준 뿐만 아니라 중영역 수준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행동 영역의 구성에서 ‘기억’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과 평가 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이 개정되더라도 내용영역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대영역별 중영역을 설정하였다. 둘째, ‘태도’나 ‘적용’과 관련한 성취기준은 제외하였다. 셋째, 중영역별로 내용적으로 유사한 성취기준을 통합하여 성취기준의 수를 줄였다. 넷째, 행동 영역의 ‘지식’에 ‘기억’을 추가하였다. 다섯째, 중영역 중심으로 문항을 통합적으로분석함으로써 의미있는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보건의료정책 평가 모형 연구(I) - 현황 분석과 우선순위 설정

        김남순,오윤섭,박실비아,박은자,정연,김대은,최지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 배경 및 목적 □ 이 연구는 보건정책 평가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국내외 보건정책현황을 분석하며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것임. 2. 연구 내용 및 결과 □ 정책 평가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고, 국내외 보건정책 평가 현황을 파악하였음. 이후 보건정책 유형(typology)을 분류하고 이에 근거해 평가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함. 또한 전문가 인식조사를 통해 정책 평가의 우선순위와 목적, 평가 주체, 기존 평가의 문제점 및 향후 방향성 등에 대해 조사함.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음. □ 정책 평가 개념과 활용 ○ 정책 평가는 정책 및 기타 중재가 어떻게 도입되고 누구에게, 어떻게 그리고 왜 영향을 미쳤는지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과정이며, `사전에 결정된 목표의 달성에 있어 성공의 가치 또는 양을 결정하는 과정`임. ○ 여러 평가 유형 중 정책영향 평가는 정책이 안정기에 도달한 후에 그것이 예상했던 목적들을 성취했는지를 평가하는 것으로, 효과성 및 효율성에 대한 체계적 분석이 요구됨. ○ 정책영향 평가에서 핵심적인 것은 정책의 목적과 의도한 결과를 정의하고 정책 평가의 이론과 분석모형을 개발하는 것임. ○ 정책 평가 활용에서 도구적 이용은 평가 결과를 구체적으로 정책결정이나 문제 해결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임. 관념적 이용 (conceptual use)은 사고방식이나 개념에 변화를 일으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임. □ 캐나다와 미국의 보건정책 평가 현황 ○ 두 나라 모두 정부중심 평가는 성과관리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자체 평가와 외부 평가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음. ○ 정책 평가 업무는 법에 근거한 평가주제 선정 방법, 평가지침 등을 보유하고 있음. 미국의 경우 보건부 장관이 일정 규모의 예산을 프로그램 평가에 사용할 수 있으며, 최대 2.5%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음. ○ 두 나라의 감사원, 보건부 등에서 수행한 평가보고서를 살펴보면 상당히 수준 높은 연구결과를 담고 있음. CDC에서도 논리모형을 개발하고 유사실험연구(quasi experimental study), 비용효과 분석 방법 등을 활용하고 있음. ○ 미국과 캐나다의 우선순위 선정 기준과 고위험시리즈 등은 국내정책영향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음. □ 국내 정부기관의 보건정책 평가 현황 ○ 첫째, 정부의 정책 평가는 성과관리제도로 전환되었으며, 기관법인 또는 단체가 수행하는 정책·사업·업무에 대해 계획 수립과 집행과정 및 결과 등을 평정하고 있음. ○ 둘째, 국정감사 및 감사원의 성과감사 등 일부 외부 평가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대부분 중앙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소관 정책을 직접 평가하는 자체 평가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요정책부문 자체 평가, 자체감사, 지방자치단체 종합평가 등이 이에 해당됨. ○ 셋째, 정부에서 수행하는 자체 평가가 정책 개선에 도움을 주지못하고 있음. 자체 평가의 한계로서 성과를 내기 쉬운 분야에 평가가 집중되는 경향, 획일적 평가, 경쟁 과열로 인한 평가정보 왜곡, 단기간 평가 진행으로 인한 내용의 불충분성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음. □ 보건정책의 영역 분류 ○ 보건정책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관련 정부 문서를 고찰하였고, 보건복지 전략목표에 포함된 성과목표를 기준으로 정책 영역을 구분함. ○ 보건정책을 5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의료정책, 공중보건정책, 건강보장정책, 건강증진정책, 보건사업과 연구개발 정책이 포함됨. 의료정책 영역에서는 의료전달체계, 의료의 질관리, 의료자원관리 및 정책 인프라 등의 중간 분야를 구분하였으며, 분야별로 세부 정책과제를 배치하였음. 다른 4개 정책 영역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분하였음. □ 보건정책 평가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보건영역 데이터베이스에서 정책 평가에 대한 검색어를 사용하여 2011년부터 5년간 발표된 문헌을 파악하였으며, 포함 및 배제기준을 적용하여 총 476개 문헌을 선택하였음. ○ 선택 문헌을 정책영역별로 분류한 ?嘯? 의료정책이 22.9%로 가장 많았고 건강증진정책 20.4%, 공중보건정책 17.2%, 보건산업·연구개발 정책 13.9%, 기타 11.8% 순으로 나타남. ○ 정책 평가 연구 수준을 살펴보면 문제점 진단 및 현황 분석을 한 경우가 50.8%로 가장 많았으며 효율성·효과성 분석연구는 43.7%, 평가도구 개발 등이 5.5%로 나타남. ○ 정책 효과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외국 사례와 같이 포괄적 접근을 시도하거나 이론적 모형을 제시한 경우는 적었음. ○ 정책 영역별로 살펴보면 의료정책 영역에서는 효율성·효과성을 분석한 연구는 31.2%였고, 보건산업과 연구개발 정책은 19.7%로 나타나서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음. ○ 다양한 수준의 평가가 각 정책 영역에서 고르게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보건의료정책 전반에 걸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정책 평가 가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음. □ 보건정책 평가 발전 방향에 대한 전문가 인식 ○ 보건 관련 3개 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웹기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일정 수준 이상 경력을 가진 153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응답자 중에서는 여성이 다소 많았으며, 40-49세 해당 연령군이 다수를 차지하였음. 또한 박사 졸업자와 대학 근무자가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었음. ○ 정책 영역에 대한 평가 우선순위 점수를 매긴 결과, 1위는 감염병 예방 및 관리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건강보험급여 관리, 건강보험재원 관리, 의료의 질 관리 및 의료전달체계 순으로 나타났음. ○ 정책 자체의 중요성이 아닌 평가의 중요성과 긴급성 항목을 기준으로 우선순위를 매긴 경우에도 유사한 양상을 보였음. 다만 평가의 실행 가능성만을 고려하는 경우에는 우선순위가 달라져서 건강보험급여관리, 건강보험재원관리, 건강검진, 노인장기요양보험 정책 등이 고순위를 차지하였음. ○ 상당수의 전문가들은 국내 보건정책 평가가 체계적이고 포괄적이지 못하며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제시함. 또한 독립성을 확보한 주체(학계 등)가 보건정책 평가에 적합하다는 의견이 우세하였음. ○ 보건의료정책 평가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평가 목적은 효과성 및 효율성 파악, 형평성, 정책의 조정 및 개선, 정책수행의 책임성 부여, 국민에 대한 정보 제공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의 정책 영역에서 일관되게 나타남. ○ 보건정책 평가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실적 혹은 과정 중심의 평가 (49.0%), 성과관리 중심의 평가(46.4%), 이론(모형)이 없는 경험적 평가(44.4%)를 문제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동일정책에 대한 중복평가는 29.4%가 응답하였음. ○ 정부산하 연구기관이 수행해야 할 정책 평가의 방향성에 대한 의견으로는 정책환경 및 문제점 진단에 대한 요구가 많았고 다음은 기존 정책 평가의 적합성 검토, 정책 평가 이론 및 모형개발, 독립적 정책 평가 수행 순으로 나타남. 3. 결론 및 정책제언 □ 보건정책 평가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다음과 같음. ○ 첫째, 정부에서 수행하는 정책 평가는 자체 평가로서 많은 한계를 갖고 있음. 실적 중심의 평가로서 획일적이고 성과를 내기 쉬운 분야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서 정책과정 개선에 기여하는 정도가 약하며, 중요한 정책 영역이지만 평가되지 않는 사각지대를 발생시키고 있음. ○ 둘째, 미국, 캐나다의 평가시스템과 비교할 때 국내 보건정책 평가의 전문성은 보다 제고될 필요가 있음. 특히 국내에는 정부평가 외에 보건정책 평가를 지원하고 전문성을 강화하고자 하는 정책적 노력이 미흡한 것으로 보임. ○ 셋째, 대부분의 연구에서 정책의 목표에 부합하는 적절한 평가 모형과 이론적 틀의 기반 없이 평가가 수행되었으며, 사용된 평가기준과 평가지표의 정확성과 객관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음. 더욱이 특정 정책 영역에만 평가연구가 치우쳐 있어 평가의 포괄성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해 보임. ○ 넷째, 전문가 조사 결과는 정부가 아닌 독립성을 확보한 주체가 보건정책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필요성을 제기함. □ 빠른 속도로 변화해 가는 보건의료 및 정치적 환경을 고려할 때 합리적 정책 수행이 갖는 의미는 더욱 커지고 있음. 장기적, 종합적 관점에서 국민건강에 중요한 정책 선정과 그 영향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는 요구도 증대함. □ 향후 보건정책 평가 발전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와 사업이 지속되어야 하며, 이와 같은 작업은 미래지향적 보건정책 평가에 대한 정책과 제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추진해야 할 것임. □ 이에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구체적인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음. ○ 첫째, 보건정책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평가해야 하며, 정책의 목적과 범위를 분명히 정의하는 이론과 분석모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 둘째, 정부는 보건정책에 대한 자체 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고 정책과정에 평가 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음. 또한 정부는 평가의 사각지대를 줄이면서 보건정책 평가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함. ○ 셋째, 정부는 보건정책 평가를 강화하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관심을 가져야 하며, 정책 평가를 추진하기 위한 평가정책과 실행전략을 수립해야 함. ○ 넷째, 국민의 입장에서 정책영향 평가를 수행하는 주체는 전문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며, 평가의 독립성과 객관성이 확보되어야 함. 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적,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방안도 필요함. ○ 다섯째, 보건정책 평가에 대한 연구를 확대해야 함. 평가에 관한 이론과 방법론, 정책영향 평가 모범사례 제공, 인프라 구축 및 평가정책(evaluation policy)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The policy evaluation is an important tool that enhances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policies. It also contributes to the accountability of policy makers. However, systematic policy evaluation on health policy has been limited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for health policy. Firstly, we investigated the evaluation theory for health policy and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policy evaluation in Korea,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we presented the typology of health policy, which consists of five policy areas: health care, public health, health insurance, health promotion, and health industry. Based on this typology of health polic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in which areas and at which level the evaluation of health policy was mainly conducted in Korea. Lastly, a survey of expert opinion on priority of health policy evaluation was conducted.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valuation on health policy needs to be more systematic, inclusive, and objective, which requires the solid evaluation model and infrastructure based on elaborated theory and methodology for health policy.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 회계원리 국가수준 성취기준과 평가문항의 적합도에 관한 연구

        이기형 한국상업교육학회 2008 상업교육연구 Vol.21 No.-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직업탐구영역이 신설 되어 처음 실시된 이래 올해로 5회째 실시를 맞이하게 된다. 탐구영역에 도입된 직업탐구영역은 동일계 특별전형 입시제도와 더불어 진국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4년제 대학진학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직업탐구영역의 역사에 비해 평가문항의 완성도는 급속하게 향상되어 여타 탐구영역의 평가문항과 완성도를 비교하여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질적으로 좋은 문항들이 출제되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은 이원분류표상 행동영역 측면에서 피험자들의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평가 ․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을 이룰 수 있는데 적절한 평가문항들이 출제되고 있다. 반면에 내용영역 측면에서 직업탐구영역의 평가문항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적합하고 학교 현장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 국가수준 성취기준에 얼마나 부합되는가를 검토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회계원리의 국가수준 성취기준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회계원리 평가문항의 내용영역을 비교하여 양자 간의 부합정도를 분석할 수 있는 적합도를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직업탐구영역 회계원리 평가문항에 대한 출제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회계원리의 국가수준 성취기준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평가문항 내용영역 적합도는 91.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남으로써 국가수준 성취기준을 잘 반영하여 출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품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평가 측정하는 평가문항은 20문항 이상인데 비하여, 결산과정을 포함한 총 12개의 성취기준은 한 개의 평가문항도 출제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회계원리 과목의 평가문항이 국가수준 성취기준을 좀 더 고려하여 출제가 이루어지도록 평가문항 출제지침이 수정․보완되어야 하며, 출제위원들에게 이러한 점을 주지하도록 사전교육을 실시하여 보다 질 높은 양질의 평가문항이 출제되도록 힘써야 한다.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가장 적합한 방법은 국가수준 성취기준과 평가문항 출제 내용영역간의 적합도를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나가는 것이다. 끝으로 적합도 분석의 시사점을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It is the 5th examination this year since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has been newly created at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in 2005.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introduced in the research field is greatly helpful for the national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 go on to 4-year universities. Also, the completion of evaluation questions has been rapidly improved in comparison to the history of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so it stands comparison with other evaluation questions of other research fields.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of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is to evaluate․measure the general thinking power of examinees in the aspect of behavior field on the dual classification table so proper evaluation questions are presented to accomplish this object.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 evaluation questions in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to the achievement standard at the national level to be proper on the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and to contribute to the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This study compares th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of accounting principle with the content field of accounting principle question in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of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and analyses the suitability to assay their coincidence for this object. Through this study course, I propose the plan to improve evaluation questions of accounting principle in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As a research result, the suitability of th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of the accounting principle and the question content field of the occupational research field in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is relatively high to be 91.7%, which showed that the questions are properly presented by reflecting th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However, while the number of questions to evaluate the achievement standard related to products is 20 questions, no question on 12 achievement standards including accounts procedures. Therefore, the guide to give questions should be modified․complemented to consider mor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in the evaluation questions of accounting principle subject, and prior training should be carried out for examiners to understand it so they can make evaluation questions of higher quality. As a remedy, it is necessary to exert efforts to consistently improve the coincidence of the national-level achievement standard and the question content field. Terminology: The national scholastic achievement examination, occupational research field, accounting principle, achievement standard, evaluation questions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기조발표(基調發表) ; 한문과어휘영역(漢文科語彙領域)의 평가방향(評價方向)과 실제(實際)

        안동규 ( Dong Gyu A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7 No.-

        이 글은 개정 교육과정 語彙 領域의 학습목표에 따른 문항 개발 방향에 목적이 있다. 개정 교육과정 語彙 領域 評價의 양상을 보면 내용 체제면에서 漢字語는 대영역이었고, 語彙는 중영역으로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그 범위가 축소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편제 및 시간배당 기준에 따른 漢文科의 위상과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한 것으로 기존 漢字語 領域의 내용 요소를 한문지식의 어휘로 일부 흡수, 통합한 것이다. 내용면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漢字語를 통한 言語生活의 실용성을 강조하였고,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그 보다 문법적인 측면을 더 강조하였다. 전국단위 評價問項을 보면 語彙 領域의 평가 비중이 약 30%정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교 현장의 評價에서도 ``단어의 짜임``, ``허사의 쓰임``, ``성어의 의미``와 관련한 평가 문항은 출제 비중이 매우 높다. 따라서 교육과정이 개정되었다고 해서 語彙 領域의 평가 비중이 줄어 들 것이라고 보이지 않는다. 국가수준의 시험에서도 그러할 것이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대영역인 漢字語 領域이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중영역의 語彙 領域으로 바뀌어 1:1의 관계로 볼 수는 없지만 상당한 부분에서 공통 요소를 가지고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漢字語가 가지는 위상이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법 중심으로 일부 축소, 심화된 부분이 없지 않지만 여전히 漢文敎育에 있어 語彙 領域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유효하다. 語彙 領域의 평가는 기초적인 지식의 성취와 그 활용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여야 한다. 語彙 領域이 한문과의 다른 평가요소 보다는 문법적인 기능에 대한 평가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단편적, 일회적 지식이나 기초적 문법기능 측정에 편중되는 것을 지양하도록 주의해야 하며 학습자의 고등 정신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한문`` 영역과 ``한문지식`` 영역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평가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문법적인 측면의 문항 몇 개를 예시로 들었다. 그러나 그것은 개정 교육과정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 향후 語彙 領域의 문항이 전반적으로 그러해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대신 ``漢字 語彙의 유형``이나``成語의 의미``를 묻는 문항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based on the learning objective of the area of vocabulary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the aspect of the evaluation of the vocabulary of the revised curriculum, it can be seen as the following; in terms of contents, the Sino-Korean word was the major area and the vocabulary was the mid area, and their range was reduced in terms of format. Some of the existing content factors of the Sino-Korean word were absorbed and integrated to the vocabulary of the Sino-Korean knowledge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and the condition of the Sino-Korean education given the nationwide form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time assigned to the subject. In the aspect of contents,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emphasized the practicality of the language use through the Sino-Korean word, whereas the revised curriculum put more stress on the grammatical area. The questions of the area of vocabulary take up about 30% in the nationwide evaluation questions. The evaluation questions related with ``the composition of the words``, ``the usages of the expletive``, and ``the meanings of the idiomatic phrases`` are also largely tested in the field school evalua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of the vocabulary wouldn`t seem to be reduced despite the revis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nationwide tests wouldn`t as well. Although it can`t be considered as 1:1 relationship, because the area of the Sino-Korean word which used to be the major area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altered into the mid area, they share common factors largely.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of teaching the area of vocabulary in the Sino-Korean education is still valid though the status of the Sino-Korean word was reduced while the grammar was intensifi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area of vocabulary, the evaluation should be practiced based on the achievement and on the usage of the basic knowledge. Although the area of vocabulary takes large part, a thoughtful caution should be paid in order to avoid giving too much importance on the fragmentary, momentary knowledge or on the measurement of the basic grammar functions, and the categories of the ``Sino-Korean`` and ``Sino-Korean knowledge`` should be integrated and tested organically in order to evaluate the leaners` high mental abilities. In this thesis, some of the questions of the grammatical aspects are suggested as an example. However, that doesn`t mean that the future questions of the area of vocabulary should be generally like this, otherwise, it is just to present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curriculum. Instead, the questions asking ``the types of the Sino-Korean vocabulary`` or ``the meanings of the idiomatic phrases`` should be actively developed.

      • KCI등재

        The Influence of the Evaluation Areas of the Times Higher Education Asia University Rankings on the Overall Score

        유완(Yu W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6 比較敎育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2013~2015년도에 발표된 THE의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 활용하고 있는 평가영역들이 평가결과에 주는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평가영역들이 총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 경향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THE의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평가영역은 연구와 인용 영역이었다. 평가영역들의 영향력 순서는 변하고 있었다. 이 순서변화는 평가영역들의 표준편차 크기 변화와 유사하였다. 표준편차가 커지는 영역의 영향력이 상승하였고, 표준편차가 작아지는 영역들의 영향력은 감소하였다. THE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 평가영역들의 영향력은 THE의 세계대학 순위 평가와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세계대학 순위 평가에서는 연구 영역이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었으나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는 인용 영역의 영향력이 상승하여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영역이 되었다. 아시아권 대학들이 THE의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연구역량, 인용지수를 강화하는데 투자할 필요가 있고 영어논문을 출간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evaluation areas in the THEAUR (2013-2015) data. To achieve this purpose, using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ve impact of the evaluation areas on the rankings was examined and changes in the areas’ impact were compar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research and citation were the most influential areas of the THEAUR. The order of areas’ influence was changing. This change was similar to alteration in the standard deviation of areas. An increase in the standard deviation of an area led to a corresponding increase in its influence. The influence of the THEAUR’s areas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THEWUR’s areas. Although research was the most influential area in the THEWUR, citation’s impact strengthened and it became the most significant area in the THEAUR. To accomplish higher rankings, it has been proposed that Asian countries should invest in resources for enhancing the capacity of research and citation and assist researchers in publishing papers in English.

      • KCI등재

        생태유아교사 평가를 위한 평가영역 및 준거 탐색

        하은옥(Ha Eun-Ok),허우정(Hur Woo-Jeong),황해익(Hwang Hae-I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의 실적 향상과 전문적인 성장발달을 위해 반드시 제고되어야할 생태유아교사 평가를 위하여 생태유아교사의 참모습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생태유아교사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영역 및 준거 탐색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행 유아교사 평가관련 연구물들을 비교ㆍ분석하여 유아교사의 교사평가영역과 평가준거 등을 고찰 한 후 생태유아교사 평가영역과 준거를 구안하는데 참조하였으며, 또한 생태유아교육에 종사하고 있는 교육 전문가, 현장 전문가인 기관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설문지 및 심층면담을 통하여 생태유아교사의 참모습, 평가영역 및 준거, 평가방법 평가자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생태유아교사를 평가하기위한 평가영역은 교사의 신념 및 철학 등 내면적 의식을 평가하는 영역과 생태유아교육을 현장에서 실천하고 활동해 나가는 실천 및 활동영역을 평가하는 영역 등 두 부분의 평가영역을 제시하였으며, 평가방법은 단면적이고 일회적인 평가방법을 지양하고 다면적이고 과정 중심적으로 평가해야 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탐색 내용을 토대로 향후 생태유아교사 평가도구 개발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the attributes of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evaluation of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to enhance quality and professional growth development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ment tool. The study purposes are : 1. To find the desirable attributes of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2. To present an evaluation area and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3. To presen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ment tool. The study results are : Attributes of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someone who listens to nature or the inner world and seeks pleasure and happiness in nature, someone susceptible to nature and human beings, someone who teaches in accordance with this life disposition, and lives together with nature. The evaluation area and criteria are: The area of belief and philosophy and practice and activity.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an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ment tool is: The purpose of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assessment should serve self-examination and growth and development. The evaluation area and criteria for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be: to evaluate the teachers' inner consciousness, and evaluate daily lives in relation to human beings, such as children, parents, colleagues, neighbors, community and so on, and nature, and to evaluate the practical and active areas. Various evaluation methods such as interviews, triangular surveying, portfolio evaluation rather than the rating criteria which can be simply quantified are regarded as desirable when evaluating the teachers' inner consciousness area and practical and active areas.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 evaluation should consist of not only the eco early childhood teachers themselves but colleagues, professionals, and parents to evaluate various aspects.

      • KCI등재

        입학사정관전형의 비학업성적영역 평가에 관한 연구:선도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원석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敎育問題硏究 Vol.28 No.2

        본 논문은 입학사정관전형의 비학업성적영역의 평가가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선도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심층면접과 문헌 분석의 질적 연구 방법이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로 입학사정관전형의 전형 방법, 평가 요소, 평가 방법을 유형화하였고, 비학업성적영역 평가의 특징으로 종합적 평가, 정성적 평가, 평가요소별 평가자료 목록의 마련, 구체적 평가 방법의 비공개 등 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비학업성적영역 평가와 입학사정관제의 안착을 위해 전형 요소 및 전형 방법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공개, 입학사정관전형의 주요 용어에 대한 통일, 입학사정관의 평가 전문성 제고, 비학업성적영역 평가와 대학의 인재상과의 구체적 연결, 비학업성적영역의 평가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valuation of the non-scholastic achievement areas of applicants in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in Korea.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uses qualitative methods, that is, interviews with college admissions officers and document analysis with various admissions docu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data the study provides the types of admissions screening, evaluation factors, and evaluation methods in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In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d that holistic approach, qualitative evaluation, the establishment of data lists for assessing applicants’ abilities and the nondisclosure of screening process are list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valuation of the non-scholastic achievement areas of applicants. Also, the study suggests that the formation of social consensus over the non-scholastic achievement areas of applicants arefundamentally important for the settlement of college admissions officer system in Korea.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 영역의 평가 문항 적합도에 대한 연구 - '상업 경제' 과목을 중심으로 -

        박영수 한국상업교육학회 2008 상업교육연구 Vol.19 No.-

        전문계고 학생들의 대학 진학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직업탐구 영역 평가 문항의 완성도도 많이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내용 영역 측면에서 직업탐구 영역의 평가 문항이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에 적합하고 학교 현장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상업 경제’의 성취 기준과 대학수학능력 직업탐구 영역의 ‘상업 경제’ 평가 문항의 내용 영역을 비교하여 이의 적합도 여부를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직업탐구 영역 ‘상업 경제’ 평가 문항에 대한 출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보면, ‘상업 경제’의 성취 기준과 평가 문항의 내용 영역 적합도는 88.5%로나타남으로써 성취 기준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출 절차’와 관련된 성 취 기준을 측정하는 평가 문항은 16개 문항인데 비해, ‘경제 순환 과정’을 포함한 총 20개 성취 기준은 한 개의 평가 문항도 출제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상업 경제’ 과목의 평가 문항이 성취 기준을 고려하여 출제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ocational Inquiry Section was introduced to Inquiry Section for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at 2005. Vocational Inquiry Section lends students of specialty high school assistance to enter a school of university and college in company with identity department special screening. But in the point of content section, Vocational Inquiry Section' questions is required study that the assessment problem of Vocational Inquiry Section appropriate for curriculum at the level of nations and contribute to normalization of education on specialty high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fitness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of commercial economy and assessment problem of Vocational Inquiry Section for CSAT. For the purpose, this study is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commercial economy and the content section of assessment problem at commercial economy among Vocational Inquiry Section.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direction setting questions of assessment problem at the subject commercial economy. The basic proposi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mmercial economy is a good reflect achievement standards by come in evidence 88.5% at the degree of fitness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of commercial economy and content section of assessment problem of commercial economy. Though the numbers of assessment problem, which is related to achievement standards of 'Export Import procedure' unit, are sixteen, twenty achievement standards including 'economic circulation procedure' has no assessment problem related achievement standard of commercial economy. Consequently, the subject of commercial economy should be making better assessment problem considering achievement standards.

      • KCI등재

        아시아대학 순위(THEAUR) 평가방법 개선 방안 연구

        유완(Wan Yu),이일용(Il-Yon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Times Higher Education(THE)의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에서 평가영역별로 영향력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2015년도 결과에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가장 영향력이 큰 평가영역과 그 영역에 의해 높은 순위에 오른 대학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특정 영역에 의해 순위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T점수를 적용한 후 순위와 평가영역들의 영향력 변화를 분석하였다. 2015년도 평가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영역은 인용이었고, 인용 영역의 점수만으로 높은 순위에 위치한 대학들이 존재하였다. 평가영역별 원점수를 T점수로 전환하고 THE에서 정한 가중치를 적용한 후 순위를 다시 산출하였다. T점수를 적용하자 총 67개의 대학들에서 순위 상승과 하락이 일어났다. T점수와 THE의 가중치를 적용한 순위에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에서는 평가영역들의 영향력이 배정받은 가중치와 유사해졌다. THE 아시아대학 순위 평가의 평가영역은 영향력이 상이하였다. 특정 평가영역에 의해 대학의 순위가 오르고 있었고, 평가기관이 배정한 가중치에 따라 순위가 산출되지 못하고 있었다. T점수를 적용하자 대학 순위가 변하였고, 평가영역들의 영향력이 평가기관의 가중치와 비슷하게 변하였다. T점수는 평가영역 간 영향력 차이 문제를 해소하였다. THE는 평가결과가 타당하고 합리적으로 나올 수 있도록 평가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valuation areas of the Times Higher Education’s Asia University Rankings (THEAUR)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result(the total score) and to examine the solution to this difference. By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THEAUR 2015 data, the most influential area and the institutions which attained higher ranks due to the area were analyzed. In order to resolve the rank increase because of a specific evaluation area, changes of the ranks and influence of the areas were analyzed after using the T-score. The most powerful area of the THEAUR 2015 was citation. Some institutions could attain favorable ranks as their citation score was much higher than other areas’ scores. Then, the raw scores of the areas were converted into a T-score. The new rankings were calculated. Subsequently, positions of 67 institutions were changed. Using multiple regression in the new ranking showed that the evaluation areas’ influence correlated with the assigned weights. The influence of the THEAUR’s evaluation areas was different. Some institutions obtained higher ranks due to a specific area, and the results of the THEAUR did not correspond with the assigned weights. T-score changed the ranks, and the influence of the areas became analogous to the THE’s intention. T-score can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problem of the evaluation areas’ influence. THE should change the methodology of the THEAUR in order to make the evaluation results more valid and logic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