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틱 장애의 진단분류에 따른 임상특징과 질환 심각도와 연관된 변인들

        정선주,정희연,황정민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1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일과성 틱 장애(Transient tic disorder : TTD), 만성 틱 장애(chronic tic disoder : CTD), 뚜렛 장애(Tourette's disorder TD) 아동의 임상 양상을 비교하고, 틱 장애의 질환 심각도와 연관된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DSM-IV 진단분류에 따라 틱 장애로 진단된 69명의 아동과 대조군 43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변인 및 틱과 관련된 임상적 변인을 조사하였다. 틱 증상의 심각도를 알아보기 위해 예일 틱 증상 평가 척도(Yale Global Tic Serverity Scale)을 시행하였으며 연구 대상 모두에게 동반된 정서/행동 문제를 평가하기 인해 아동 행동조사표(Child Behavior Checklist)를 시행하였다. 결과 : TTD군은 CTD및 TD군과 비교할 때 틱 증상의 지속 기간이 짧을 뿐 아니라 틱 증상의 심각도와 장해 정도도 미약하였다. TTD군의 동반된 정서/행동 문제 역시 CTD, TD군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으며 공격성 소척도 점수를 제외하고는 정상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CTD군과 TD군간에는 틱 증상의 종류, 개수와 CBCL의 사회성 문제 소척도 점수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이 없었다. 틱 증상으로 인한 장해 정도를 가장 잘 예측해 주는 변인은 운동틱의 강도와 방해도, 틱 증상의 지속기간이었으며, CBCL 총 문제행동 점수와 가장 높은 연관성이 있는 변인은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ADHD) 의 존재여부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곁과는 틱 증상의 심각도 외에 증상의 지속 기간이 틱 장애 아동들의 틱으로 인한 장해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동반된 ADHD의 존재가 이득의 임상상을 결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위와 같은 임상 변인들이 틱 장애의 진단적 분류보다도 틱 장애 아동의 질환 심각도를 판단하고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있어 더욱 중요함을 시사한다. 중심 단어 : 틱 장애 · 하위 진단 · 질환 심각도 · 장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features of children with three sub-diagnoses of tic disorder (transient tic disorder (TTD) , chronic tic disorder (CTD) and Tourette's disorder (TD)) and to exam the factors related with illness severity of them. Method : Subjects were 69 children who met DSM-Ⅳ criteria for tic disorder and 43 control chil-dren. All subjects were investigated demographic and clinical factors related to tic. The severity of tic was assessed with the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 (YGTSS) in tic disorder children.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CBCL) was accomplished by parents of all subjects. Results : Children with TTD had not only shorter duration of tic symtoms but also milder tic severity and impairment than those with CTD and TD. They also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on most CBCL subscales than children with CTD and TD, while they were similar with controls in all the CBCL subcale scores except aggressive behavior. Children with CTD and those with TD were similar to each other in clinical variables except number of tic symptom and scores on CBCL social problem subscale. The interference and intensity of motor tic symptoms and duration of tic symptom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global impairment score on YGTSS, while the presence of comorbid ADHD was a pre-ictor of the total behavior problem score of CBCL. Conclusion :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uration of tic symptoms and the presence of comorbid ADHD as well as the severity of tic symptom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illness severity of children with tic disorder.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those clinical factors may be more important for assessing the severity of illness and determining the treatment strategy than the sub-diagnosis itself in children with tic disorder. KEY WORDS : Tic disorder ㆍ Sub-diagnosis ㆍ Illness severity ㆍ Impairment.

      • 만성 틱장애에서 공존증상에 따른 틱증상의 심각도와 혈장 Homovanillic Acid 와 5-Hydroxyindoleacetic Acid 농도의 차이

        육기환,민성길,장순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1

        연구목적: 틱장애에서는 다른 정신장애가 공존하는 경우가 매우 많은데, 고통을 주는 증상으로 특히 주의력결핍과잉운동증상과 강박증상이 관심을 받아 왔다. 틱장애의 병태생리에 대한 연구에서 도파민계, 세로토닌계, 아드레날린계 등의 중추 모노아민계의 이상이라고 하며 강박증상과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증상도 도파민계, 세로토닌계, 아드레날린계의 이상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는 틱장애 아동군에서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나 강박장애의 공존유무에 따라 틱증상의 심각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틱증사의 심각도와 공존증상에 따라 혈장 homovanillic acid(HVA)와 5-hydroxyindoleacetic acid(5-HIAA) 농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50명의 만성 틱장애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강박장애와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를 진단하였고 틱증상과 강박증상과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증상을 각각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YGTSS).Leyton obsessional inventory-child version(LOI-CV), Conners parent rating scale로 평가하였으며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혈장 HVA와 5-HIAA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틱장애 전체 대상군에서 강박장애나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가 공존된 경우 58%였으며 두 장애가공존되어 있어도 틱증상의 정도와 혈장 HVA와 혈장 5-HIAA 농도에 차이는 없었다. 틱 증상의 정도가심할수록 혈장 HVA 농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혈장 5-HIAA 농도와는 상관성이 없었다. 강박증상의 저항과 방해척도는 혈장 5-HIAA 농도와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틱장애에 강박장애나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가 공존되어 있어도 틱증상의 심각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틱증상의 심각도는 혈장 HVA 농도와 상관관계가 있고 혈장 5-HIAA 농도와는 상관성이 없어 틱증상은 도파민계의 이상과 관련있음이 시사된다. Objectives : Contemporary empirical studies have suggested high rates of comorbi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o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OCD) in children with tic disorders. Not infrequently, ADHD or OCD is as source of greater impairment than are the tic symptoms. The studies in the pathophysiology of tic disorder have implicated abnormalities of dopamine, serotonin and norepinephrine. The studies in pathophysiology of ADHD or OCD also have implicated abnormalities of dopamine, serotonin and norepinephrine. This study was purpo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ic severities and in the levels of plasma homovanillic acid(HVA) and 5-hydroxyindoleacetic acid(5-HIAA)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omorbid ADHD or OCD in patients with chronic tic disorders. Methods : In fifty chronic tic patients, OCD or ADHD was also diagnosed. And then tic symptoms,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and attention-deficit hyperactive symptoms were assessed using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YGTSS), Leyton obsessional inventory-child version (LOI-CV), and Conners parent ration scale. The plasma HVA and 5-HIAA levels were measur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method. Results : Fifty-eight percent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tic disorders had comobid ADHD or OCD. But severities of tic did not differ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comorbid ADHD or OC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ic severities and plasma HVA levels but none between tic severities and plasma 5-HIAA levels. There was a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between resistance and interferencd scores and plasma 5-HIAA levels. Plasma HVA level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lasma 5-HIAA levels.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at tic severities didn't vary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comorbidities, and that tic severities were correlated with plasma HVA levels, not with plasma 5-HIAA leve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athophysiology of chronic tic disorder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abnormalities of dopaminergic system.

      • KCI등재

        만성 틱 장애 뚜렛씨 장애의 임상 특성

        신성웅,임명호,현태영,성양숙,조수철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1

        뚜렛씨 장애는 근육틱과 음성틱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질환이다. 만성 틱장애는 근육틱 혹은 음성틱 중 하나만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1998년 4월 1일부터 1999년 4월 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신과 병동에 입원한 만성 틱 장애 아동과 뚜렛씨 장애 아동의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고 두 질환 사이의 관계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들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조군으로 학습장애 환자를 선정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 틱장애(n=13)와 뚜렛씨 장애 환자(n=29)의 평균 발병연령은 각각7.3±2.5, 7.2±2.2.세, 입원시 연령은 평균 11.7±2.7, 11.5±2.6세, 입원기간은 5.7±5.4, 11.0±8.7주였고두 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학습장애의 경우 발병연령(4.2±1.9세)이 두 장애보다 빠르고 의료기관을 찾는 시기(9.8±3.2세)도 빨랐다. 출생 계절은 틱장애 환자들에서 6월에서 9월 사이가 가장 적었지만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남녀의 성비율은 각각 10 : 3, 26 : 3, 11 : 5였고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환자가 출생할 때의 아버지와 어머니 연령은 세 군 모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정신과적 가족력이 있는 경우도 세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각각 24.1%, 46.2%, 56.3%였다. 발병전 유발 요인이 확인된 경우는 만성틱장애와 뚜렛씨 장애에서 11.1%와 35.7%로서 의리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학습장애(56.3%)에 비해서는 적었다. 셋째,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 그리고 학습장애 환자의 지능지수는 각각 언어성 지능 92.3±10.7, 94.7±14.9, 94.3±13.8이었고, 동작성 지능은 93.0±20.5, 97.5±13.0, 95.0±16.9이었으며, 전체 지능은 91.9±20.1, 95.8±14.5, 93.9±15.1로서 세 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기질적 뇌장애 소견은 CT/MRI등에서 0%, 27.3%, 6.3%, 뇌파 이상은 8.3%, 17.2%, 12.5%에서 나타났고 차이는 발견하지 못하였다. 넷째, 항도파민 약물에 대한 반응은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 환자에서 각각 84.6%, 77.0%가 부분관해를 보였고 완전 관해된 경우는 한 명도 없었으며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공동 유병현황을 조사한 결과 주의력결핍 · 과잉운동장애가 학습장애에서 의리 있게 많은 것을 제외하고는 세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조사 결과 입원한 환자의 경우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임상적으로 학습장애를 가진 환자와 많은 부분에서 파이를 보였으나 만성 틱장애와 뚜렛씨 장애를 구분해야 하는 근거를 찾지 못하였다. 중심 단어 : 뚜렛씨 장애 · 틱장애 · 진단 분류 ㆍ 임상적 특성. Tourette's disorder is a disease which manifests one or more motor tics and vocal tics for more than a year. Chronic motor tic or vocal tic disorders are characterized by only one kind of tics for more than a year. We intend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motor tic disorders or Tourette's disorders who had admitted from May 1, 1998 to May 1, 1999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ward. In addition, we compar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in order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isorders. The pati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selected as control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nsets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motor tic disorders(n=13, 7.3±2.5 years) , and Tourette's disorder(n=39, 7.2±2.2 years), but with learning disability (4.2±1.9 years). Also, the patients with chronic motor tic disorder and Tourette's disorder showed similar age at admission (11.7±2.7 versus 11.5±2.6 years), duration of admission (5.7±5.4 versus 11.0±8.7 weeks), mothers' ages at child birth(27.3±2.9 versus 28.3 ±6.7 years old), and fathers' age at child birth (32.2±3.2 versus 33.3±5.2 years old). We observed that those who had learning disabilities were alike in those aspects, except for age at visit to clinic (9.8±3.2 years old). Family history of psychiatric illnesses (24.1% versus 46.2%), recognized precipitating factors (11.1% versus 35.7%) and response to pharmacological treatments (77.8% versus 76.9%)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motor tic disorders and Tourette's disorders were observed and no differences were found. Comorbid patterns of diseases were noted. Intrafamilial conflicts were more common in the pati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an those with chronic tic disorders or Tourette's disorders. Precipitating factors were observed more frequent in chronic tic disorder and Tourette's disorder than learning disability. Neurocognitive profiles were investigated, and verbal IQs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motor tic disorder, Tourette's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y were 92.3±10.7, 94.7±14.9, 94.3±13.8, performance IQs 93.0±20.5, 97.5±13.0, 95.0±16.9 and full-scale IQs 91.9±20.1, 95.8±14.5, 93.9±15.1, respectively, which were found to b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No difference was found in structural neurological abnormalities and EEG profiles. The pati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howed more common Bender-Gestalt test abnormalities. In conclusion, we have not found any affirmative clues for the division of chronic motor tic disorder and Tourette's disorder in clinical perspective. KEY WORDS : Tourette's disorder ㆍ Tic disorder ㆍ Classification ㆍ Clinical study.

      • KCI등재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 동반된 틱장애의 신경생물학과 약물치료

        우준범,김지훈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2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the most prevalent disord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about 70% of ADHD have other comorbid dirorders. The most common comorbid disorder of ADHD is tic disorder, and 60∼70% of ADHD have tic disorder simultaneously. Pharmacological treatment is very important in treatment of ADHD . and many researches reported that pharmacological treatment was effective to treat core symptoms of ADHD. The major drugs for treating ADHD are Methyphenidate as psychostimulant, Atomoxetine as non-stimulant, tricyclic antidepressants, and alpha agonists. However psychostimulant can make worse tic symptoms in 10% of those with case with ADHD and tic disorder simultaneously. Therefore, we discuss the neurobiology that is a basic knowledgy in the phamacological treatment of ADHD and also discuss the effective pharmacological treatment in ADHD and comorbid tic disorder.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는 소아청소년기 정신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이며 약 70%에서 다른 정신과 질환을 동반한다. 동반질환 중 가장 흔한 질환은 틱장애로 전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가 있는 소아청소년의 약 60∼70%에서 틱장애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러한 높은 동반률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틱장애가 신경생물학적으로 유사한 양상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의의 치료에 있어 약물치료는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여러 연구에서 핵심증상의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약물은 정신자극제인 메틸페니데이트 제재와 비정신자극제인 아토목세틴, 삼환계항우울제들, 그리고 알파 효현제들이다. 그러나 틱장애가 동반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서 정신자극제의 사용시 약 10%에서는 틱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약물치료 시 주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약물치료의 근간이 되는 신경생물학에 대해 알아보고 틱장애와 동반 시 효과적인 약물치료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KCI등재

        틱 장애를 가진 아동의 치료놀이 적용에 대한 임상적 사례연구

        박영숙(Park young-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치료놀이를 적용하여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증진 효과, 아동의 틱 증상 감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치료놀이를 통해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의 변화 요인과 양상을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한 단일사례 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고, 현상학적 관점의 임상적 사례연구 이다. 본 연구의 치료놀이 프로그램은 총 20회기로 구성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의 치료놀이 과정은 어떠한가에서 치료놀이 실시 후 회기별로 살펴본 결과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는 애착이 증진되고 상호작용 행동이 점차 증가하여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이 입증되었다. 또한 치료놀이 참여 전⋅후 MIM을 통한 분석 결과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으로 증진됨이 나타났으며 치료놀이 효과가 입증되었다. 둘째,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의 변화에 대한 치료적 요소는 아동의 안정감을 확고히 하고 저각성을 조절한 것, 양육자와 아동이 애착을 향상한 것, 그리고 양육자인 어머니가 치료사와 상담 하면서 자신을 성찰 할 수 있었고 아동과의 상호작용 변화 필요성을 인식하게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치료놀이 적용 후 아동의 틱 증상이 현저히 줄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치료놀이가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의 긍정적 상호작용 증진과 아동의 틱 증상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Theraplay program to the child with tic disorder to trigger the interactions between these child and their parents, with a view to verify the effect of such play programs on treating tic disorder in chil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ase study with a view to obtainc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auses for the changes in tic disorder through Theraplay and it is a clinical case study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The Theraplay of this study was provided over 20 sessions. Result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execution of Theraplay, the child and their mother appeared to form a bond after each session, with a gradual increase in interactions, which prove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Second, the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Theraplay games, the child with tic disorder and their mothers saw a positive improvement in their interaction with each other, and the persistence of the effect was also supported. Third, the mothers used the interactions to form affection based on a sense of stability with their child, and these mothers reflected upon themselves to recognize the need for a change in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 Fourth,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heraplay program regarding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 with tic disorder and their mothers, it was shown that the tic symptoms of the child de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Theraplay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promotion of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 with tic disorder and their mothers, as well as the reduction of the tic symptoms of the said child

      • KCI등재

        만성 틱장애 아동에 대한 틱 조절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신철숙(Chull Suk Shin),김경희(Kyung Hee Kim),손정우(Jung Woo So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2

        본 연구는 틱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틱 조절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틱 증상 감소, 정서적 변화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틱장애 진단을 받고 약물치료 중인 초등학생 14명을 참여자로 모집하여 부모와 자녀를 한 쌍으로 하여 7쌍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인지행동치료 매뉴얼을 근거로 한 틱 조절 프로그램은 틱 증상과 악화를 유발하는 상황을 인지하고 습관 뒤집기 및 이완 훈련 등을 통해 증상과 환경을 조절해가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집단에 틱 조절 프로그램 6회기를 실시한 후, 틱 증상, 우울감, 불안감에 변화가 있는지를 검증하였고, 처치를 하지 않은 통제 집단과 척도의 평균값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본 프로그램은 틱장애 아동의 운동 틱과 우울감 개선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틱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행동치료 차원에서 틱 조절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성을 검증하고 체계적인 절차를 보고함으로써 추후 서비스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효율성을 제고하였다는 데 그 함의를 갖는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a group-based tic-control program to reduce symptom frequencies and to alleviate emotional problems of the children diagnosed with chronic tic disorder. This tic-control program was based on the principle of habit-reversal training. It consisted of teaching sessions which assist the children to recognize the undesirable situations which induce or aggravate their tic symptoms and concrete training sessions which help the children to control their symptoms with habit-reversal or relaxation methods. Fourteen children diagnosed with tic-disor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age ranged from 3rd to 5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Each participant was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7 children) or a control group(7 children). Tic-control group sessions were conducted by investigator once a week for 6 weeks (6 sessions in total).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YGTSS, CDI, STAIC were administered to estim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se scales. Only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motor tic frequencies and the degree of their depressive moo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is is the first korean attempt to conduct tic-control programs as a group program and to prove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this program.

      • KCI등재

        Preliminary Findings of Guanfacine in Comorbid ADHD and Habit Disorder-Open Trial

        김영신,Lawrence Scahill,James Leckman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5

        연구목적: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이하 ADHD)와 틱장애는 소아기에 발생하는 흔한 신경정신과 질환이며 또한 두 장애는 자주 같이 동반되어 나타나는 질환이다. ADHD에서늬 중충신경자극제의 효능은 이미 잘 알려져 있지만 약25%의 ADHD 환자는 이 계통의 약물에 효과가 없거나 틱의 악화를 포함한 심각한 부작용으로 중추신경자극제 약물치료를 할 수 없다. 선택적 α2A 효현제인 guanfacine이 최근에ADHD 아동의 치료에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ADHD와 습관장애가 공존하는 아동에서guanfacine의 효능과 안정성을 평가하고, ADHD 아동 중 guanfacine에 반응을 잘하는 아군을 선별해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6∼16세 사이의 25명의 아동이 2개월간 시행되는 guanfacine의 개방형 약물연구에 참여하였다. 치료결과는 DuPaul-부모 및 교사 척도, Conners-부모 및 교사 척도와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을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Paired t-test와 중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증상 호전과 양성반응군 예측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부모, 교사 및 임상가의 평가에서 guanfacine 투여 전에 비아여, 투여 후 1개월과 2개월 추적 평가에서 ADHD와 틱 증상 모두 유의미하게 호전되었다. 중등도의 ADHD 증상을 지닌 아동은 경도나 중증의 증상을 지닌 아동에 비하여 guanfacine에 더 잘 반응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런한 연구 결과는 guanfacine이중추신경자극제를 쓸수 엇는 ADHD 아동에게 대체 약물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능성 있는 약물임을 시사한다. 이런한 결과는 충분한 숫자의 환자를 대상을 한 이중맹법 위약 실험을 통하여 확인 되어야 할 것이다. 중심단어:Guanfacine·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ADHD)·틱장애·공존장애. Objective: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and tic disorders are relatively common childhood onset neuropsychiatric disorders, and these two disorders frequently co-occur in some individual. Although the efficacy of psychostimulants is well established in ADHD, as many as 25% of children fail to respond to psychostimulant treatment due either to a lack of efficacy or to intolerable side effects including exacerbations of tics. Guanfacine, a selective α2A -adrenergic agonist, was recently introduced for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ADHD.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guanfacine in children with ADHD and comorbid habit disorders and to identify subgroups of children who may have a more favorable response to guanfacine. Methods : Twenty five children who were 6 to 16 years old were enrolled in an open trial of guanfacine for two months. Primary outcome measures were DuPaul Parent and Teacher Rating Scales, Conners Parent and Teacher Rating Scales and Yale Global Tic Severity Scale.Paired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evaluate symptom improvement and to examine predictor variables for positive drug response. Results: Severity of ADHD symptoms and tics after guanfacine adminis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each follow-up point in the ratings completed by both parents and teachers and in clinical evaluation, compared to their pre-medication status. Children with moderate ADHD symptoms responded more favorably to guanfacine than children with mild or severe symptom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uanfacine may be a safe and an effective medication for ADHD children who cannot benefit from psychostimulants, but more definitive research strategies are needed for future investigation. KEY WORDS:Guanfacine·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Tic disorders·Comor-bidity.

      • KCI등재후보

        독서치료 기반 의사소통훈련이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과

        정현민(Jeong, Hyun Min),전상신(Jeon, Sang Shi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논총 Vol.33 No.2

        연구목적: 독서치료 기반 의사소통훈련이 틱 장애 아동과 어머니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틱 장애로 진단된 만 6세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주 2회 총 16회의 독서치료기반 의사소통훈련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와 아동이 가정내 독서활동을 통하여 소통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치료자가 독서활동을 계획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총 5회기의 모-자간 독서활동 대화내용을 녹음하여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적, 거부적, 자율적 영역에서 의사소통훈련 실시 전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틱 장애 아동의 심리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가족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아동의 틱 증상에 대해 어머니가 느끼는 불편감은 의사소통훈련 이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틱 장애아동의 자기표현과 심리적 편안함의 증가는 틱 증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틱 장애 아동에 대한 심리치료시 부모 의사소통훈련을 통해 양육태도와 의사소통방식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의미있는 접근이라 할 수 있으며 이 때 독서치료가 효과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based on bibliotherapy on mother and child with tic disorder. Method: For A total of 16 sessions, twice a week, a mother of 6 - year - old child diagnosed with tic disorder was administered communication training based on bibliotherapy. In addition, the therapist planned the reading activity so that the mother and the child could have time to communicate through the reading activity at home. Based on this, the author recorded the contents of the five sessions of mother - child reading activities and provided feedback on them. Results: First,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improved in affection, rejection, and autonomy than before communication training. Second, there wa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of the child with tic disorder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perception of the family also changed positively. Third, the discomfort felt by the mother about the child"s tic symptoms was reduced than before the communication training.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child with tic disorder had higher levels of self-expression and psychological comfort, and showed that Bibliotherapy can be an effective mediator. Therefore in psychotherapy for children with tic disorders, it is a meaningful approach to bring about changes in rearing attitude and communication style through parent communication training

      • KCI등재

        주의산만을 주소로 소아정신과를 내원한 아동의 인지적 특성 : T.O.V.A. 양상을 중심으로

        신의진,이수진,이혜란,고려원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주의산만을 주소로 내원하는 아동을 진단 준거에 따라 분류하고 각 진단 집단을 설명할 수 있는 인지적 특성을 T.O.V.A. 양상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소아정신과를 방문한 65명의 아동을 각각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38명), 틱장애(17명), 그리고 기타 정서장애(10명) 집단으로 분류한 후 주의산만의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집단의 연령 및 지능(전체 지능, 동작성 지능, 언어성 지능)을 먼저 파악한 후 T.O.V.A.의 중다구인(누락오류, 오경보오류, 정반응시간, 반응시간 표준편차, 예기반응, 다중반응)을 통해 주의산만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세 집단 간에 연령에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연령 수준의 차이에서 기인한 효과를 배제한 결과, 언어성 지능에서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T.O.V.A.의 정반응 시간(전반부, 후반부, 전체)에서 세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집단은 틱장애 및 기타 정서장애 집단보다 T.O.V.A.의 정반응 시간이 길어 정보처리의 지연을 시사해 주었다. 한편 주의산만을 주소로 내원하는 아동의 경우 T.O.V.A. 양상과 더불어 연령과 지능의 효과에 대해 신중히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겠다. 중심 단어 : 인지적 특성ㆍ주의산만ㆍT.O.V.A.ㆍ정반응시간ㆍ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ㆍ틱장애ㆍ기타 정서장애.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clinically referred children with symptoms of inattention, cash as having ADHD, tic disorder, and emotional disorder. Methods : 65 boys(38 with ADHD, 17 with Tic disorder, and 10 with Emotional disorder) were individually assessed using the KEDI-WISC(FIQ, VIQ, PIQ) and T.O.V.A.(errors of omission, errors of commission, reaction time, variability, anticipatory response, multiple response), and the results of those tests were analyzed. Results :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diagnostic groups of the VIQ of KEDI-WISC and the reaction time of T.O.V.A. after the correction of the effect of age difference. Conclusion : The finding suggest that the reaction time of T.O.V.A. might be the useful variable to differentiate the ADHD from other psychiatric disorders and the effect of age and IQ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to diagnose in clinical setting. KEY WORDS : Cognitive characteristicㆍInattentionㆍT.O.V.A.ㆍReaction time.

      • KCI등재

        틱 障碍兒들의 同伴 精神病理와 父母養育態度에 關한 硏究

        洪剛義,李禎燮,金自成 대한소아ㆍ청소년정신의학회 1994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5 No.1

        요 약 본 연구에서는 83명의 틱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임상적인 특성(성별빈도 차이, 형제순위별 특성, 동반 행동문제, 스트레스 정도 등)을 살펴보았고, 아동 행동조사표 (CBCL)과 어 머 니 양육태도 검사(MBRI)를 이용하여 동반된 행동문제의 정도와 어 머 니 양 육태도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또한 DSM-III-R별 진단에 따른 차이, 주의집중문제의 동반효과 등에 관하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자가 5.9 : 1로 많았다. 2) 형제순위 별로는 첫째가 막내보다 두배 이상 많았다. (맏이 :막내 :외동=4.7 :1.7 : 1) 3) 형제순위별로 발병시기에서는 맏이가 빠른 경향을 보였다. 4) 틱 장애에서 대조군보다 동반된 행동문제가 유의하게 많았다. 5)틱 장애 아동의 어머니들이 대조군의 어머니들보다 더욱 증오적, 거절적 이었 고, 아동을 부 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6) 뚜렛 장애 아동이 만성 틱 장애 아동에 비해 동반된 행동문제가 더 심하지는 않았다. 7) 주의집중 문제가 동반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다른 행동문제가 더 심 했다. 8) 가족력이 있는 경우일수록 뚜렛장애 진단이 더 많았다 ABSTRACT Clinical Characteristics of 83 tic patients referred to child psychiatric clinics were studied including the patients' sexes, birth orders and onset ages. We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patients and normal control regarding the co-morbidity, and mothering attitude using CBCL(Child Behavioral Check List) and MB RI (Mothering Behavior Rating Instru- ment). And we also evaluated the influence of types of tic disorder and the presence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tic pati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ex ratio was 5.9 : 1, male dominant. 2) The eldest children were being twice as many as the youngest children (eldest: you- ngest : single =4.7 : 1.7 : 1). 3) The eldest children tended to have earlier onset than others. 4) The tic children as a whole had more accompanying behavioral problems than the normal children according to the CBCL scales' scores. 5) The mothers of tic children had more negative view of their children, more rejecting and more hostile attitude toward their children. 6) The types of tic disorder(the Tourette disorder vs chronic moter tic disorder) did not make a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behavior problems. 7) Those who had attentional problems regardless the types of tic had more behavioral problems than those who had not. 8) Those who had familial loadings of tic disorder tended to have more likely Tourette disorders than chronic tic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