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몸 그리고 욕망 - 조지 허버트 웰즈의 『투명 인간』

        이혜진(Lee, Hye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9 외국문학연구 Vol.- No.73

        『투명 인간』에서의 핵심 모티브는 과학이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인간 육체의 변형을 시도하는 것이다.『투명 인간』의 주인공 그리핀은 과학을 힘을 이용해 당연히 ‘보이고, 보여야 하는’ 인간의 육체를 ‘보이지 않게’ 변형하려고 한다. 인간의 힘으로 육체를 변형하려는 시도는 신의 영역의 힘을 보유하려는 것이며, 대타자의 시선의 장에서 주체를 숨기려는 것이다. 대타자의 시선에서의 사라짐으로서 그리핀은 거세된 주체의 욕망을 부인하고 더 나아가 숨어서 비밀스럽게 초월적인 힘을 드러내려고 한다. 한편으로 그리핀의 욕망은 투명 인간이 된 이후 추적을 피해 달아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사회변혁에 대한 갈망이다. 직접적으로 텍스트에서 언급되는 공포정치는 그가 나아가려는 목표로의 노정일 수도 있다.『투명 인간』이 보여주는 과학은 시선과 육체의 어떤 관계를, 인간의 한정된 능력치의 눈이 볼 수 있는 범위를, 우리가 본다고 믿는 것과 실제로 보지 못하는 것을 환기 시킨다. 투명 인간은 사회를 변혁시키려다 극명하게 소외된 주체의 전형을 보여 준다. 그가 얻는 것은 자유 또는 욕망의 실현 대신 존재의 소멸뿐이다. 부랑자가 숨긴 그리핀의 비밀 노트는 이후의 사회변혁의 가능성을 잠재태로 남기는 은유일지도 모른다. The core motif in The Invisible Man is an attempt to transform the human body by using the tools of science. Griffin, the protagonist of The Invisible Man is employing the power of science when he tries to transform the human body that can be and should be seen into ‘invisible’ body. Leaving the Other’s gaze, Griffin denies the desire of the castrated subject, and further seeks to reveal transcendent power secretly. Reign of Terror, which is mentioned directly in the text, may be the course of his goal. The science in the text evokes the relationship of the body and gaze, the limited ability of the human eyes, we believe, what we can see but actually don’t look at. The Invisible Man indicates the specimens of subjects that are clearly alienated after the very trial for transforming society. He is forced to disappear without freedom or desire. Griffin’s secret notes hidden by the bum might be a metaphor of a potential for the future social reformation.

      • 투명인간 모티프에 나타난 후기자본사회의 폭력성과 개인의 증상

        홍단비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16 한어문교육 Vol.36 No.-

        In this study consider the invisibleman motif seen in contemporary novel focusing on the fantasy and features of modern society. The “high-voltage lines” of Kim Young-ha shows that you to be invisible If you desire the things like ‘Love’. This novel shows the appearance of individual in the late capitalist society, all to be replaced by production value. The “invisible man” of Song Gyeong-a is summoned fantastic character who looks into the inner. This novel shows the violence of contemporary society to impose transparency, thereby showing interesting symptom of a desire for communication break. Finally, the “Invisibleman” of Son Hong-gyu shows the appearance of family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at father figure is gradually going to disappear, through the deconstruction of reality and unreality. In addition this novel is symbolizing solidarity of anxiety leading to the father and the son by seizing precisely the psychological change of his son. Thus, In the fantasy novels of the 1990s it is drawn invisibleman show the appearance of ‘punishment’ and ‘symptoms’ rather than representation of ‘desire’ and ‘ability’. Besides the invisibleman motif is implied the fact that ‘can not escape’ from the actual world.

      • 성석제의 『투명인간』과 余華의 『兄弟』에 나타난 형제관계 고찰

        유은하,김수진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 Vol.2021 No.08

        1960년생인 성석제(成碩濟)와 위화(余華)는 한국과 중국의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당대를 대 표하는 이야기꾼들로, 이십대 초중반의 나이에 데뷔 후 현재까지 다수의 장편·중단편소설과 에 세이집 등을 발표해오고 있다. 그 중, 성석제의 『투명인간』과 위화의 『형제』에는 각기 한 국과 중국의 196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를 배경으로 한 가족의 수난사가 생생하게 재현된 가 운데, 작가들의 직·간접적인 경험들이 다량 투영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이 두 편의 가족수난사 장편소설이 개성이 상이한 형제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성격이 상반되는 형과 동생 간의 희생과 갈등, 그리고 이별이라는 공통된 모티프를 지 닌 데 반해, 두 작가가 사용한 서술방식과 결말의 주제의식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작품의 의도와 독자에게 전달되는 효과는 무엇일지 등을 고찰해보도록 한다. 성석제와 위화는 동갑의 남성작가로서 각국에서의 높은 대중적 인기 및 작가로서의 위상, 서민의 삶에 대한 애착과 해학적 필치 등 많은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비교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이에 필자는 금번 학술대회를 통해 두 작가에 대한 비교연구의 첫걸음으로 서 소설내용과 시점, 주제 등에 대한 개괄적인 검토를 시도하고자 하며, 향후 더 세밀한 연구를 통해 두 작가 작품 세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해나가고자 한다. This paper, written for the presentation at the International Seminar of The Society of Korean & Chinese Humanities, briefly compares the Song Sok-ze's 『Invisible Man』and Yu Hua's 『Brothers』focusing on the brothers and brotherhood revealed in the two novels. Song Sok-ze and Yu Hua, both born in 1960, are the best-selling writers representing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and they reflect their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with the family suffering set from the 1960s to 2000s in these works. In particular,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both novels elaborate the sacrifice, conflict, and separation between the two brothers with opposite character. Also, this paper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in the aspect of the narrative strategy, the tragic ending and the theme of the novels. Song Sok-ze and Yu Hu, both male authors of the same age, have yet to be noted for their comparison, despite their popularity, status, and the common ground for affection of the ordinary people‘s lives. In this regard, I would like to attempt to make an initial step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authors through this seminar, and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two author's world of literary work by conducting more detailed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투명인간 모티프에 나타난 젠더 정치성 연구

        홍단비(Hong, Dan-bi)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4 No.-

        This paper studies the gender politics of the invisible man motif shown in Kim Young-ha’s "High-tension Wires," Son Hong-gyu’s "Invisible Man," and Song Sok-ze’s "Invisible Man." The concept, closely related to flexible gender and social structure, shows the gender politics of an unconscious level in the text.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the gender politics of our society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e gender and specific period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cluding the 1997 economic crisis and the 2008 candlelight vigil. Kim Young-ha’s "High-tension Wires" depicted a man who admitted only customary masculinity, as the economic leaders of the male gender met their downfall into the invisible man during the 1997 economic crisis. As a result, he tries to recover his “crashed” masculinity through sexual deviation, such as pornography, with a female classmate--but such attempts are frustrated due to the reversal of gender structure. Son Hong-gyu’s "Invisible Man" has showed the father wandering as he was unable to secure a new gender role as required in the era of de-authoritarianism and the “candlelight vigil.” The novel portrays the solidarity of anxiety leading up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by focusing on the son’s psychological changes as he watches his father’s authority collapse. In these texts, we can see the flexible gender roles; whereas a loss of masculinity occurs among men, women occupy a dominant position by acquiring masculinity. Further, Song Sok-ze’s "Invisible Man" presents the possibility of another male gender. The men appearing in Kim’s and Son’s novels have to be invisible by adhering only to the customary male gender (masculine). Kim Man-soo, the hero of Song Sok-ze’s novel, was able to "care for his family by simultaneously performing “feminine” duties such as “care, embracing, and sacrifice,” as well as the masculine duty of “economic stimulus.” The role Kim Man-soo inhabits is different from the authoritarian masculinity and submissive femininity of the dichotomous gender structure. By subsumed masculinity and femininity, he has the appearance of a “man who sacrificed voluntarily” (masculinity and femininity of men). Through this, we are able to rediscover the meaning of flexible gender, and find the possibility of a new male gender required for contemporary times.

      • KCI우수등재

        인공지능 관련 규범 수립의 국내외 현황과 과제

        李叔姸 ( Lee Sook Yeon )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1

        인공지능은 단순반복작업에서 인간을 해방시켜 가고 있으며, 바둑과 같은 고차원적 영역에서도 인간을 능가하는 실력을 보여주었다. 2022년말 공개된 챗GPT는 인공지능의 신기원을 열며 기술 개발 경쟁을 촉발시켰다. 한편, 인공지능은 현실에 존재하는 차별이나 편향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고, 인공지능을 탑재한 전쟁무기나 안면인식을 이용한 감시사회의 디스토피아적 미래도 그려진다. 국제기구 및 주요 국가와 기업들은 인공지능 관련 규범 마련을 위해 노력 중이며 유럽연합은 2021년 4월 ‘인공지능 법안’을 발의하기도 하였다. 우리 정부의 인공지능 준비지수는 세계 6위로 평가되었는데, 정부 부문과 데이터 및 인프라스트럭처 부문과 달리 기술부문에서는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촉진하면서도, 다가올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인공지능 기술 개발로 인한 편익을 사회가 골고루 누릴 수 있도록 지침이자 안전장치가 되는 규범의 설계가 요구된다. 인공지능에 관한 규범의 수립은 세 가지 방향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 첫째, 사회 전체가 추구하여야 할 가치와 원칙을 정하여 공유할 필요가 있다. 2020년말 수립된 AI 윤리기준의 3대 원칙은 헌법이 추구하는 가치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실천원칙으로 정련되어야 한다. 둘째, 공공영역에서 인공지능이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사전규제가 필요하다. 인간에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시스템 및 실시간 감시시스템의 개발, 사용은 제한되어야 한다. 인공지능은 급부행정이나 범죄예방 등에 유용하나,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감시, 통제는 지양되어야 하고, 인간에 의한 감독, 거부권의 부여, 고지의무 및 설명의무 등을 입법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민간분야에서는 기계학습을 위한 저작물 공정이용 조항이 시급하고, 공개된 개인정보는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없이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비식별 기술의 도입을 통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정비도 시급하다. 판결문 등 공공 데이터는 활용가능한 형태로 민간에 개방되어야 하고, 기업들이 비식별화된 데이터를 공유, 거래, 교환 가능한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법제를 마련하되, 재식별화 등 불법행위 방지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Artificial intelligence not only liberated humans from simple repetitive tasks, but also surpassed humans in high-level areas such as Go. The Chat GPT, which was released at the end of 2022, opened a new on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riggered the competition for technology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s revealed the problem of reflecting discrimination or bias that exists in reality due to the nature of machine learning. It also depicts the future of war weapon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or surveillance society using facial recogni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major countries and companies are striving to prepare norm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The European Union's discussion has been the most comprehensive and consistent,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ct' prepared in April 2021 is expected to have a ripple effect comparable to GDPR. The Korean government is ranked 6th in the world in AI readiness index, but unlike the government sector and data and infrastructure sectors, it is evaluated low in the technology sector. While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t is required to design norms that serve as guidelines and safety devices so that future risks can be prevented and society can enjoy the benefi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development evenly. The establishment of norm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needs to develop in three direc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set and share the values and principles that the nation and society as a whole should pursue. The three principles of AI ethical standards established at the end of 2020 need to be refined into specific practical principles according to the 10 key requirements, and it is desirable to base them on the principles and fundamental rights of the Constitution. Second, preliminary regulations are needed to prevent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infringing human rights and dignity in public areas. Systems that may cause harm to the body or mind and real-time monitoring systems through facial recognition should be prohibited. Artificial intelligence is useful for benefit administration or crime prevention, but excessive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monitoring, and control should be avoided. For automated decision-making systems, the data and algorithms should be checked by humans and notification and explanation to users and the right to opt-out should be legislated. Lastly, the use of copyrighted works for machine learning in the private sector must be legislated as fair use, and the use of disclosed personal information must be allowed without prior consent. Through the introduction of non-identification technology, a legal system that allows data to be utilized without conflicting with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ust be established. Public data, such as court judgments, should be open to the private sector in a usable form. Legislation should be prepared to establish a data ecosystem that allows companies to share, trade, and exchange de-identified data, but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prevent illegal activities such as re-identification.

      • KCI우수등재

        인공지능 관련 규범 수립의 국내외 현황과 과제

        이숙연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1

        인공지능은 단순반복작업에서 인간을 해방시켜 가고 있으며, 바둑과 같은 고차원적 영역에서도 인간을 능가하는 실력을 보여주었다. 2022년말 공개된 챗GPT는 인공지능의 신기원을 열며 기술 개발 경쟁을 촉발시켰다. 한편, 인공지능은 현실에 존재하는 차별이나 편향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고, 인공지능을 탑재한 전쟁무기나 안면인식을 이용한 감시사회의 디스토피아적 미래도 그려진다. 국제기구 및 주요 국가와 기업들은 인공지능 관련 규범 마련을 위해 노력 중이며 유럽연합은 2021년 4월 ‘인공지능 법안’을 발의하기도 하였다. 우리 정부의 인공지능 준비지수는 세계 6위로 평가되었는데, 정부 부문과 데이터 및 인프라스트럭처 부문과 달리 기술부문에서는 낮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인공지능 기술 개발을 촉진하면서도, 다가올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고 인공지능 기술 개발로 인한 편익을 사회가 골고루 누릴 수 있도록 지침이자 안전장치가 되는 규범의 설계가 요구된다. 인공지능에 관한 규범의 수립은 세 가지 방향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 첫째, 사회 전체가 추구하여야 할 가치와 원칙을 정하여 공유할 필요가 있다. 2020년말 수립된 AI 윤리기준의 3대 원칙은 헌법이 추구하는 가치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실천원칙으로 정련되어야 한다. 둘째, 공공영역에서 인공지능이 인간의 존엄성과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사전규제가 필요하다. 인간에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시스템 및 실시간 감시시스템의 개발, 사용은 제한되어야 한다. 인공지능은 급부행정이나 범죄예방 등에 유용하나,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감시, 통제는 지양되어야 하고, 인간에 의한 감독, 거부권의 부여, 고지의무 및 설명의무 등을 입법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민간분야에서는 기계학습을 위한 저작물 공정이용 조항이 시급하고, 공개된 개인정보는 정보주체의 사전 동의없이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비식별 기술의 도입을 통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정보보호법제의 정비도 시급하다. 판결문 등 공공 데이터는 활용가능한 형태로 민간에 개방되어야 하고, 기업들이 비식별화된 데이터를 공유, 거래, 교환 가능한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법제를 마련하되, 재식별화 등 불법행위 방지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과학과 문학, 문학 속의 과학: 빅토리아 시대 소설 속의 과학의 "괴물들"

        추재욱 ( Jae Uk Choo ),이규정 ( Kyu Jeoung Lee ) 한국비교문학회 2015 比較文學 Vol.0 No.67

        이 논문의 목적은 과학과 과학자들이 빅토리아 시대의 소설 속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가를 살피는 것이다. 빅토리아 시대의 작가들이 과학에 대해많이 배울 수 있었기에 우리가 오늘날 과학소설이라는 이야기들을 창작해낼수 있었다. 그러한 이야기들은 “괴물” 혹은 “악마”라고 칭하는 비이성적인 존재들을 창조하는 실험을 통해 이성의 한계에 도전하는 과학자들을 다룬다. 하지만 그 실험의 결과란 단지 괴물이라고 불리는 존재들만이 유일하다 할수 있을까? 과학적인 마음을 가졌다는 것은 창조적인 마음을 지니고 새로운것에 도전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기꺼이 어떠한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도전하는 태도를 지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그러한 마음의 과학자들은 실험을 통해 사회를 발전시키고자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론 자신들의 무분별한호기심과 이기적인 욕구들을 충족시키고자 한다. 왜 빅토 프랑켄슈타인은 생명체를 만들고 나서 곧 바로 그것을 포기하였을까? 지킬 박사는 하이드로 자신의 삶을 마치게 되고, 결국 죽은 후에서나 본래 자신의 모습으로 돌아올수 있게 되었을까? 『프랑켄슈타인』, 『투명 인간』, 『지킬 박사와 하이드』, 이세 작품은 유사한 하나의 특징을 지닌다. 곧 각각의 과학자들이 비이성적 존재를 만들어내고, 결국 비극적 결말을 맺는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소설 속의 과학자들은 자신들의 연구가 귀중하며 그 실험 결과가 역사 속에 위대한 업적의하나로 기억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하지만 그 결과는 실상 그렇지 못하다. 사회는 과학의 결과물들에 대해 두려움을 지닌다. 그런데 아마도 사회가 더두려워하는 것은 그 실험의 결과물들 그 자체가 아니라 바로 그것들을 만들어내고있는 그 과학자들일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how science and scientists are reflected in Victorian fiction. In the Victorian era, many writers could learn about science, and therefore produce stories which we now refer to as ‘science fiction,’ and which depict scientists challenging the limits of rationality, through experiments that produce irrational beings, referred to here as “monsters” or “devils.” However, are the products of the experiments the only ones that can be called ‘monsters’? Having a scientific mind means being creative, being unafraid to try new things, and willing to attempt to overcome any difficulties. Moreover, it implies that scientists are trying to find ways to improve the world via science. While science may indeed be viewed as a way to develop society, it can also be used as a means of simply satisfying the scientists’ curiosity and selfish needs. What has driven Victor Frankenstein to create a creature, and then abandon it? Why is Griffin unable to get help from other people? What has made Henry Jekyll end his life as Edward Hyde, only to return to his original self after death? The three writers of the famous Frankenstein, The Invisible Man, and Dr. Jekyll and Mr. Hyde finished their books with one similar feature: their central figure, a scientist who brings irrational results into being, is met with a tragic death. These fictional scientists seem to believe that what they are doing is invaluable, and that their experiments will be remembered as some of the most wonderful achievements throughout history. Yet, the results are not of that kind. It turns out that society ends up fearing the results of science. Perhaps it is the scientists that the society fears, not their accomplishments.

      • KCI등재

        불가코프의 작품과 H. G. 웰스 작품 사이의 유사성

        정연호(Chung Yeon-H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2 노어노문학 Vol.24 No.2

        불가코프의 『비운의 달걀』은 웰스 작품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그 중에서도『신들의 양식』으로부터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러므로 『비운의 달걀』과 웰스의 여러 작품들 사이에서는 여러 가지 유사한 점을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특히 주인공의 형상, 실험-발명의 오남용에 있어서 『비운의 달걀』과 『신들의 양식』은 거의 유사하며, 대참사의 발생상황과 발생 후의 사건보도 및 신문전달 모습 그리고 전투에 대한 간접적인 전달 수법 등에 있어서도 매우 유사하다. 하지만 두 작품에 공히 나타나는 ‘암탉의 테마’는 『신들의 양식』에서는 사회주의 유토피아의 알레고리를 위한 에피소드로 사용되는데 반해, 『비운의 달걀』에서는 그 자체가 알레고리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차이점도 발견된다. 한편, 주인공의 비극적인 운명과 죽음에 있어서는 『비운의 달걀』과 『모로 박사의 섬』이 거의 유사하게 묘사되고 있으며, 『비운의 달걀』과 『우주전쟁』의 피날레는 인간들의 무기에 의하지 않고 ‘자연’의 힘(‘영하의 날씨’, ‘박테리아’)에 의해서 끝난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비운의 달걀』과 『투명인간』의 피날레에는 실험-발명(‘붉은 광선’, ‘투명성’)에 대한 비밀의 열쇠는 오로지 한 사람(‘페르시코프’, ‘그리핀’)뿐이라는 공통점이 묘사된다.

      • KCI등재

        실험실의 미친 과학자와 제국주의적 향수-1960년대 한국 고딕SF영화 연구

        송효정 대중서사학회 2014 대중서사연구 Vol.20 No.3

        한국영화사에서 ‘한국형 SF’라 특정할만한 범주화된 영화들을 선별해내기란 쉽지 않다. 일단 제작된 SF영화의 수 자체가 상당히 적다. SF영화는 오랜 기간 동안 ‘공상과학영화’로 지칭되며 아동의 전유물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분위기는 드물게 수행되었던 한국 SF영화 연구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이들은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초반에 이르는 SF영화의 특징을 ‘괴담·괴기’, ‘가족·아동용 SF’, ‘해외물 모방’으로 간단히 설명하고 만다. 이에 본 연구는 1960년대 등장한 한국 SF영화의 기원과 출현, 그리고 전개 과정에 관심을 둔다. 연구 대상은 한국전쟁 후 최초의 한국 SF영화로 알려진 <투명인의 최후>(이창근, 1960)를 시작으로 하여 1970년대 중반까지 등장한 ‘과학자 영화’들이며, 이를 변별적 장르로서 ‘고딕SF영화’라 범주화할 것이다. 1950년대 미국과 영국의 B급 공포·SF 영화의 제작, 수입의 영향 하에서 한국에서도 새로운 SF영화가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초기에는 『투명인간』이나 고딕소설인 『프랑켄슈타인』, 『드라큘라』의 설정을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인기연극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1936)나 이광수의 소설 『개척자』(1918)에 등장하는 누이-오빠 서사나 연애삼각구도, 식민지 시대이래 형성된 소년 모험 서사, 식민지 시대의 원한 등의 요소가 혼합되어 한국적 고딕SF만의 특징을 구축해 나가게 되었다. 한편 한국의 고딕SF 영화에는 고딕소설이 빅토리아조에 대해 그러하듯이 과거(제국주의 시대)에 대한 향수와 복고적 회고가 반영되어 있기도 하다. 외딴 곳의 대저택에서 자행되는 미치광이 과학자의 학살의 실험에서 가까스로 빠져나온 젊은 남녀는 악한 아버지(나쁜 과학자)를 처단하고 선한 아버지(착한 과학자)의 승인 하에 새로운 가족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러한 서사적 변화는 광포한 근대화를 경험하는 대중들의 불안이 점차 완화되고 과학적 계몽이 보편화되면서 점차 고딕SF영화의 불온성이 순치되는 과정과 맞물린다. 1967년에는 괴수가 등장하는 실사영화인 <우주괴인 왕마귀>(권혁진), <대괴수 용가리>(김기덕)이 등장한다. 1968년 <황금철인>을 시작으로 1970년대가 되면 <번개아텀>(1971, 용유수), <로보트 태권브이>(1976, 김청기) 등 아동 SF 애니메이션이 본격적으로 창작되기 시작한다. 1970년대 중반 이후로는 심령과학을 다루는 영화들이 등장하는데, 이즈음 고딕SF영화는 호러 내지 오컬트물로 이행해가게 된다. 그렇기에 과학자가 등장하는 한국의 고딕SF영화는 1960년대 후반을 정점으로 한 1960년대적 장르였다.

      • KCI등재

        투명성의 시학

        이광호(Lee Kwang-Ho) 한국시학회 2007 한국시학연구 Vol.- No.20

        Oh Gyu Won is a poet who positively tested the limit in methodology of Korean modern poem. Thinking the issue of language in his poem, especially, the issue of image and idea, he ceaselessly searched new poetic methodology. He continuously quested the poetic methodology from the end of 1960s' to 2000s'. Tracing the initial poetics of Oh Gyu Won to its theoretic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logics,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investigate the expanding course through which he reached the poetics of 'life image' after 1990s'.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e author attempted to uncover how Korean modern poetics theorized the issue of poetic modernity and autonomy of poetic language. Though his initial poetics confirmed on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ideology and abstractness of Korean poem from the 'trifle concreteness' of Kim Soo Young and 'meaningless poem' of Kim Choon Soo, he did not achieve the theoretic evolution to generalize and overcome them. However, the course of theoretic quest of Oh Gyu Won for methodology of 'de-ideology' already showed important commencement here in the Korean modern poem. In the second book of poetics, the quest of Oh Gyu Won for methodological issue acquired broader social context. This social context contacts further fundamental consciousness of issue, the autonomy and transcendence of art. This quests the profound and social meaning of methodology- the de-ideology of poetic language that he raised as issue through the work of Kim Choon Soo. After 1990s', he made his space of poetics which was differentiated from the meaningless poetics of Kim Choon Soo by critically understanding the poetics centering around metaphor system and asserting poetics of metonymy system. Thus, his poetics eventually pursues the maximum of ‘transparency.’ It means the world that describes 'transparent phenomenon' of object instead of idea or thought. Reaching this poetics of ‘l living image’, he enters the stage where the poetics of 'de-ideology' that has been refined for dozens of years is consummated into poetics of ‘existence.’ It meant that he achieved the space that could theoretically or methodologically the meaningless poetics of Kim Choon Soo that he was conscious all the time. The poetics of Oh Gyu Won showed th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dichotomy of realism/modernism that made the long confronting structure of Korean literature theory. Though Oh Gyu Won positively gave meaning to the value of autonomy in the literature as modernism, he was vigilant of understanding the world abstractly as fragmentary image. Further, even though he pursued the aesthetics of existence that reaches the object in realism and reality of matters, he adopted as important aesthetic task to overcome the plane reproduction of ideology and create ‘new reality.’ In other dimension, the poetics of Oh Gyu Won is understood as testing the extremity of aesthetic modernity of Korean poem and testing the possibility of de-modernistic aesthetics that transcends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