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성격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성격

        이재승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1 No.-

        최근 언어 교육 장면에서 언어 기능들을 통합적으로 지도해야 한다는 것은 하나의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통합적인 언어 교육이 무엇인지, 그것이 어떠한 성격의 것인지에 대해서는 사람들마다 서로 다른 생각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글은 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그것이 어떠한 것인지에 대해 좀더 면밀하게 살펴본 것이다. 우선 통합적 국어교육의 개념과 층위 문제로, 교과 간 구별이 없는 통합, 교과 간 통합, 교과 내 통합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 것인지를 다루었다. 이들 논의에서 결국 통합적 국어교육이라 함은 주로 언어 기능들의 통합적 지도를 대상으로 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다른 영역(문학, 국어 지식) 간의 통합은 좀 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그런 다음 통합적 국어교육의 성격에서는 통합적 국어교육에서 흔히 언급되는 문제로 연계 지도와 통합 지도가 어떻게 다른 것인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전체적 교육과 통합 교육, 총체적 교육과 통합교육, 주제 중심 접근과 통합 교육이란 말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살펴보면서 통합 국어교육이 갖는 성격을 좀 더 분명히 했다. 끝으로 통합 지도가 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교육과정, 교과서, 지도 차원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를 간단히 언급했다. This article focussed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integrating language arts. Movement of integrating language arts are formed paradigms in language art instruction. But this concepts are confused among the teachers and research. So this researcher defined integral korean language instruction as integrating language arts. And this research distinguish integrating language arts from connection instruction, holistic education, whole language, theme based instruction. These concepts has common traites in various ways, but not same.

      • KCI등재

        체육교과에서 지식과 인성교육의 통합적 개념 탐색

        전세명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7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에서는 지식교육과 인성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통합적 전통을 문헌 분석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지식교육과 인성교육을 통합하는 교과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체육교과를 통한 지식과 인성교육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지식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는 Aristoteles의 실천적 지혜(phronēsis), Polayni의 인격적 앎(personal knowledge), MacIntyre의 실천전통(a practice)의 개념을 통해 체육교과에서는 운동 기능과 지식뿐만 아니라 신체활동 속에 담긴 전통으로서의 역사, 과학적 원리, 심미성 등을 통합하여 실천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격교육의 측면에서는 도덕적 추론을 강조한 인지적 접근과 도덕적 행위의 실천에 초점을 맞춘 덕윤리학적 접근의 통합이 요구되며, 배려 덕목이 강조되는 인격교육의 공동체적 접근이 실천되어야 한다. 따라서 체육교과는 신체활동에 참여하면서 지식과 인성교육에서 강조되는 실천성과 공동체성을 모두 실현할 수 있는 통합적 교과임을 인식하고 전인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통합적 교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search for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Recently,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has gained much attention as an objective for education. Consequently, awareness is sought on integr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and clarifying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for knowledge an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a theoretical research. The study findings shows that physical education is an integrated subject which through practice can teach sport skills and knowledge and further develop the affective domain.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Aristotle’s practical wisdom, phronesis, Polanyi’s personal knowledge and MacIntyre’s a practice. The core of character education must be on virtue ethics and community building approach as a practice. Therefore physical education is seen to provide whole education by providing knowledge through practice of physical activity.

      • KCI등재후보

        문화다양성 측면에서 다문화교육과 가정과교육의 통합적 접근

        이은희(Eun-Hee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3

        2009개정 교육과정 실과(기술·가정) 교과 가정생활영역에서 ‘다문화사회에서 다문화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교육적  의도가 내재되어 제시되고 있는 시점에, 문화다양성 측면에서 다문화교육과 가정과교육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해  보는 것은, 교육현장에 보다 구체적이고 적용 가능한 다문화교육과정 기초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따 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 문화다양성은 교육적으로 어떻게 논의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에서 가정과교 육 관련 연구를 분석한 뒤, 문화다양성 측면에서 다문화교육과 가정과교육을 어떻게 통합적으로 접근해서 교육하여야  하는지에 대해 모색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국내·외 관련 문헌연구와 교육과정 등 내용분석을 통하여 진행하였으며,  결과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현장교사 3인을 포함한 가정과교육 전문가 5인의 검토 및 자문과정을 수행 하였고, 타당성 조사 결과 5점 만점에 평균 4.11로 그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사회에서 다양한 문화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 하여, 문화적 차이를 동화의 대상이 아닌 그 자체를 가치 있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교육하는 적극적 다문화교육의 관점  즉, 문화다양성 측면으로의 교육적 통합이 요구되고 있다. 둘째,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다른 교과와는 달리 다문화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는 가정과교육은 다문화사회에서 개인, 가족, 사회생활을 통한 다문화와 관련된 다양하고 구체적인  사회적 현상과 문제들을 주요 학습내용으로 다루도록 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였다. 가정과교육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교육내용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사회·문화적 구조인 가족이 구성원인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에서 실 천이 가능한 보다 직접적인 학습내용 등을 제시되어져야 하고 이는 통합적으로 접근하여야 한다. 셋째, 이와 같은 교육 적 요구와 필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교육현장 적용 가능한 교육과정 자료로 Drake와 Burns (2004)의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에서 제시한 다학문(multidisciplinary),  간학문(interdisciplinary), 범학문(transdisciplinary) 접근 방식을 활용하여 문화다양성 측면에서 다문화교육과 가정과교 육의 통합적 접근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색된 통합적 접근 방식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에 의해 실현될 수 있 도록 앞으로 교수·학습 과정안, 활용 가능한 교수매체 등이 다양하게 개발하여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필요도가 높은 가정과교사가 교육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다문화교육을 통합적으로 실시하기 위 해서는 전국적으로 체계적인 교사양성교육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재교육적 측면에서의 교사연수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Recently, emphasizes the cultural value through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curriculum revision in 2009.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multicultural curriculum materials, integrated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iterature concerning cultural diversit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e framework was used was used to analyze the Drake & Burns (2004) ‘Meeting Standards through Integrated Curriculum’ for an integrated approach. And the review and consultation process conducted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professionals of five people, including three teachers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is to understand and respect culture in a multicultural society. Also, cultural diversity emphasizes an integrated curriculum in educational terms. Analysis of the 2009 curriculum result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was presented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the cultural values​​ education. The integrated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ome education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by utilizing a multidisciplinary, a interdisciplinary, and a transdisciplinary approa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ystematic teacher training and teacher training courses in order to achieve an integrated approach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 KCI등재

        2007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통합적 관점 분석

        김재식 ( Jae Sik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1 윤리교육연구 Vol.0 No.26

        본 연구 목적은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 통합적 관점의 의미와 통합적 관점에서 우리나라 도덕과 교육의 변천 과정을 살핀 다음, 2007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통합적 관점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도덕과 교육에서 통합적 관점이란 도덕성의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의 통합적 접근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도덕과 교육과정은 제4차 이전의 행동 중심의 접근, 제4차-6차까지의 인지 중심의 접근, 제7차 이후의 통합적 접근으로 대별할 수 있다. 제7차 이후의 도덕과 교육은 도덕성의 인지, 정의, 행동적 측면을 모두 반영하는 통합적 접근이다. 그러나 도덕성의 인지, 정의 행동의 통합적 접근을 구체적으로 담아내는 방식은 제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보다 도덕성의 인지적 측면을 강화함으로써 정의와 행동적 측면의 도덕성을 함양하는 데에는 미진한 부분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적 접근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integrative viewpoint realizes in the 2007 revis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In other to clarify this study, I reviewed meaning of integrative viewpoint and change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by integrative viewpoint. In moral education, Integrative viewpoint means integration of morality of cognitive, affective, active components. In this respect, overall national moral education curriculum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moral education curriculum centered on action before the 4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moral education curriculum centered on cognition during the 4th-6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tegrative moral education after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After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objective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reflected integrative viewpoint of morality, But in the method materializing it, The 2007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s very different from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Morality of cognitive component was reinforced in the 2007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But morality of affective and active components was weaken, So the 2007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needs supplement them.

      • KCI등재

        외국인을 위한 고전시가 활용의 한국어/문학/문화의 통합적 교육

        양민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8 외국문학연구 Vol.- No.29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고전시가 활용의 한국어/문학/문화 교육의 통합적 방안에 대한 고찰이다. 한국어교육은 궁극적으로 한국 문화교육에 귀결되는 것인바, 어학/문학/문화교육을 통합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효율적 주요 텍스트는 고전문학이다. 본고에서는 고전시가 중에서도 「動動」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한국어문화교육에서 이러한 통합적 교육 방안 연구가 거의 전무한 학계의 현황에서 본고는 그 방법론을 모색해 본 試論的 성격과 동시에 최초의 연구의의를 지닌다. Ⅱ장에서는 고전시가를 통한 한국문학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Ⅲ장에서는 「동동」을 현대역으로 번역하고 외국인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동동」에 나타난 한국문화적 요소를 고찰하였다. Ⅴ장에서는 본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문학/문화교육의 통합적 방안을 각각의 영역에서 고찰하였다. Ⅵ장에서는 통합적 의의 및 과제에 대해 살펴 보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 of synthesizing th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oetry, especiall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other countries. A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basically linked with Korean culture education, traditional literatures are effective ways to combine all those sides: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This paper especially delves into the work Dong-Dong among old Korean poems. This paper is important and has its meaning in that there has rarely been the studies on the combined way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chapter two,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using traditional poetry is examined. In chapter three, Dong-Dong is translated into the modern Korean language and analyzed considering the language ability of the foreign Korean learners. In chapter four, Korean traditional factors in Dong-Dong are considered. In chapter five, using Dong-Dong, the combined way of educating the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culture is studied. Finally in chapter six, concerning this combined education, its meaning and what's still left to be examined are considered.

      • KCI등재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사고 관련 내용 분석

        최원회 ( Won Hoe Choi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5 No.1

        현행 제7차 교육과정은 기존의 교육과정들과 달리 학습자의 사고력(思考力) 신장을 무엇보다도 강조하고 있으나, 사고(思考) 관련 내용들은 체계적이지 못하며, 이러한 사항은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도 예외가 아닌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본서(本書)와 해설서(解說書)에 나타난 사고 관련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우선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 본서와 해설서의 사고분류(思考分類)와 사고교수-학습방법(思考敎授-學習方法)의 실태를 파악한 다음, 그의 문제점을 추출하고, 각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모색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두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사고분류는 수적으로는 풍부하나, 구성상의 체계성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그의 대안으로 국가사고표준(國家思考標準)이 설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본서의 일부 과목의 내용영역에 내용-사고통합적 방법(內容-思考統合的 方法)에 의거한 주제가 제시되어 있고, 본서와 해설서의 일부 과목에 내용-사고통합적 방법이 부분적으로 적용되어 있으나, 실제 사회과 수업에서는 일반적으로 내용-사고통합적 방법이 적용되지 않고 있고,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내용특수적 방법 또한 부실한 상태여서, 결국 내용수업과 사고수업이 모두 부실한 상태로 추정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서의 과목별 내용영역 기술과 본서와 해설서의 과목별 교수-학습방법에 내용-사고통합적 방법과 내용특수적 방법의 순환적 적용을 위한 구체적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특히, 내용-사고통합적 방법의 실행을 위해 교과내용요소와 사고요소의 연계모형을 정립하고, 수업목표를 내용목표(內容目標)와 사고목표(思考目標)로, 그리고 수업활동을 내용교수-학습활동과 사고교수-학습활동으로 각각 이원화하고, 내용특수적 방법의 실행을 위해서 기존의 일반적 교수-학습모형들을 언어교육이론, 자기주도적 학습이론, 수준별 교수-학습이론 등에 입각하여 재구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regarded that the 7th Curriculum unlike the existing curricula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thinking ability above all, but the contents connected with thinking in the 7th Curriculum are not systematic and this controversial point is not excepting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realities of thinking classification and thinking teaching-learning method in main book and explanatory book of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selected the problems in their realities and tried to find the alternatives to their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thinking classification in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appeared to be abundant by number, but unsystematic in intra-subject and inter-subject, and so the national thinking standards was proposed to be formulated. Secondly, the content-thinking integrated method as the thinking teaching-learning method was appeared to be applied partly centered some subjects in the content domain of main book of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he content-thinking integrated method was appeared to be applied partly centered some subject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domain of main book and explanatory book of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But the content-specific method above the content-thinking integrated method was inferred to be applied usually in the real social studies classroom. Accordingly, the circular application of content-thinking integrated method and content-specific method was proposed to be applied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domain in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Also, the plan linking subject content element and thinking element, the plan dividing instruction goal into content goal and thinking goal, and the plan dividing instruction activity into content activity and thinking activity for the content-thinking integrated instruction were proposed. Lastly, the plan restructuring the given genera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content-specific instruction was proposed. In due time, more studies on the formulation of national thinking standard and the circular application of content-thinking integrated method and content-specific method for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will have to be followed.

      • KCI등재

        통합의 두 가지 접근

        박현진(Park Hyeon J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1

        제7차 교육과정과 2007 개정 교육과정은 공히 도덕과 교육이 ‘통합적 인성의 형성’을 목표로 ‘통합적 접근’을 지향하는 교과임을 천명하고 있다. 그러나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도덕과의 궁극적 목표로서의 통합적 인성을 제시할 때에는 도덕성을 하나의 총체로 설명하면서도, 정작 그것을 달성하는 하위 목표나 도덕과 수업 절차 등을 제안할 때에는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이 각각 별개의 요소로 분리되어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처럼 취급하고 있다. 즉, 도덕과 교육과정은 ‘통합’이 도덕과 교육의 성격을 규정하는 핵심 개념임을 강조하면서도, 정작 도덕성 및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성격을 설명할 때에는 양립할 수 없는 두 방식―‘가법적’ 방식과 ‘승법적’ 방식을 동시에 주장하는 오류를 저지르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덕과 수업의 실제에서 드러나는 도덕성 및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성격을 고찰함으로써 도덕과 교육과정의 설명이 지니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도덕과 수업의 실제 사태를 ‘처방’이 아닌 ‘이해’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도덕과 수업은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명시한 것처럼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가 각 단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등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덕성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은 서로의 유기적인 연결고리로 인해 수업 사태에서 교사와 아동이 상호작용하는 매 순간마다 동시에, 총체적인 반응을 나타내게 된다. 이는 도덕과 교육이 그 자체로 승법적 방식의 통합을 이루고 있음을 의미한다. 도덕과 교육의 통합적 성격은 별개로 분리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요소 각각을 길러내어 합치는 것이 아닌, 도덕과의 본질을 이루는 ‘윤리학적 개념’을 내용으로 하여 그것을 내면화하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온전히 구현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nature of the mor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meaning of 'integration'. In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07 year-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tegration' is treated the core concept to define the nature of the moral education. But, in the 7th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07 year-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tegration is not formed a clear definition. On the one hand, integration is defined to make a collection of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reas' of morality; each area is separated in 'bag of morality'(additional approach). On the other hand, integration is defined the state of mind as a whole; mind is the whole and is expressed with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sides'(multiplied approach).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the moral education shows that integration in the moral education has to be defined 'multiplied approach'. Human mind―integrated character― is the 'whole' that is expressed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sides. So,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sides' of human mind as a whole cannot but react at the same time when a teacher and students interact with context of teaching-learning―ethical concepts. Ethical concepts are the results that humankind have quested for meaning of 'integral character' for the long history, and this shows that the moral subject classes that seek the meaning of ethical concepts hold a specific position in building integral character. Ultimately, the moral education is building integral character by 'internalizing' ethical concepts, and this fact alone is enough to show that the moral education has integral nature.

      • KCI등재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과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현영(Jung, Hyun-Young),김호(Kim, Ho)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기본개념과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사회ㆍ경제적 배경이 비슷한 2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5세 유아 30명으로 실험집단은 S초등학교병설유치원 유아 15명(남7명, 여8명)이었고, 비교집단은 M초등학교병설유치원 유아 15명(남7명, 여8명)이었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소비자교육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 교육활동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의 유아들은 소비자교육 주제와 관련하여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진행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교육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경제기본개념이 향상되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교육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의 유아들보다 합리적 소비자 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유아교육 현장에서 소비자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통합적 접근에 의한 소비자교육 활동이 유아의 소비자 교육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nsumer education activities by integrated approach on young children’s basic concepts and consumer behavi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 young children of under age of 5 attending at 2 kindergartens with a similar socioeconomic background located in A city, Gyeonggi-do.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by 6 themes of experiential learning from May 16, 2011 to July 8, 2011. The education activiti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by young children’s learning behavior(awareness, exploration, inquiry, and application) focused on experiential learning themes, and the control group talked about the themes of experiential learn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basic economic concep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ore improv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young children’s consumer behavi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by consumer education activities were more improv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consumer education activities by integrated approach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implement the consumer education of young children at educational settings.

      • KCI등재

        환경 미술교육에서의 통합적 접근법에 대한 실태 조사

        김한나(Han-nah Kim),안혜리(Hyeri Ah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1 美術敎育論叢 Vol.25 No.1

        본 연구는 환경교과와 미술교과 간의 적극적이고 유기적인 통합방법이 요구된다는 관점에서 중학교 환경미술교육에서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날이 갈수록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는 현 상황에서 가능한 다양한 교과목 안에 환경에 관한 주제를 통합함으로써 환경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특히 미술교과는 자연과 생활주변 환경의 시각적 특징을 발견하고 그 조화를 도모하는데 교육의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환경교육을 효과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교과로 간주되어 왔다. 본 연구는 서울시 중학교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현재 실행 중인 환경 미술교육의 구체적인 내용과 방향, 환경 미술교육에서 통합적 접근법 사용의 여부, 통합의 수준과 범위 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에 응답한 대다수 교사가 환경 관련 주제로 미술수업(환경 미술교육)을 해 본 적이 있었다. 둘째, 환경 미술교육에서 대부분의 수업이 표현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교사들은 이런 수업의 목표가 표현기법 측면보다는 환경미술의 개념을 이해하고 미적 감수성을 함양하며 환경 문제에 대한 실천을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보았다. 셋째, 환경을 주제로 한 미술수업에서 절 반 가량의 교사가 통합적 접근을 적용해 본 적이 있었으며, 거의 모든 교사들이 기존의 미술교과에 자연환경 관련 내용만 부분적으로 통합하는 소극적인 통합유형을 사용하였다. 넷째, 통합적 환경 미술교육에서 수업목표는 미술을 통한 환경보호의 실천이었지만 실제 수업은 실천적인 방향보다는 자연환경에 관련된 내용에 국한되어 있었다. 다섯째, 통합적 환경 미술교육에 가장 필요한 것은 자연환경 체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었고, 그런 교육에 가장 큰 장애는 학생들이 체험할 수 있는 자연환경이 부족한 것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환경 미술교육은 실천을 적극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방향에서 환경과 미술교과가 보다 유기적으로 통합될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ecological art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integrated approach in middle schools in Seoul, Korea. Since the environmental problems and issues become serious these days, it is very important to reinforce environmental education by integrating the ecological topic into as many school subjects as possible. Art subject is no exception. Art education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school subjects in whic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effectively connected for the subject emphasizes harmony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artificial one. However, the existing art curriculum usually has not integrated the ecological issues from the activist position in which we advocate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the level and the scope of integrating issues from environment subject into art curriculum by middle school art teachers. The study used the survey method. 200 questionnaires were sent to middle school art teachers and 102 of them were returned, with the return rate of 51%. The study shows the following result: 1) Most of the respondents(85%) reported that they dealt environmental topics; 2) Most of the respondents(about 84%) taught environmental topics for art production; 3) About a half of the respondents used integrated approach to ecological art education although they partly connected the content about natural environment to art curriculum; 4) About a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aimed at encouraging students to do active practice of protection and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when they integrate ecological issues into their art curriculum; 5) About a half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students needed more opportunity to experience natural environment.

      • KCI등재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성미,김현주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는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H지역에 소재한 J유치원 만 4세 유아 46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나누어 연구하였다. 12주 동안 매주 2회씩 총 24회 활동을 진행하였다. 한 회기 마다 동요를 배우고, 부르는 활동을 시작으로 이야기 나누기, 음악활동, 과학활동, 조형활동, 동작활동, 문학활동, 요리활동등의 통합적으로 구성된 인성교육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요를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과 인성교육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들 간 정서지능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둘째,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인성교육 활동에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들과 인성교육활동에 참여하지 않은 비교집단의 유아들 간 공감능력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앞으로 인성 교육활동을 위해 유아들이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부를 수 있는 동요에 대한 창작과 통합적 인성교육활동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지속되어야 할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