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무적 제언 : 통합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이진용(Lee, Jinyong)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6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통합적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분석하여 논의를 수행하고 실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통합적 관점은 기업이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면서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의 이익과 연결되어야 한다는 수단적 관점과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방적인 자선 활동과도 대비되는 접근방식이다. 이론적인 논의를 1) 통합적 관점과 수단적 관점의 비교, 2) 사회적 가치의 측정, 3)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관계, 4)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효율적 경계선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통합적 관점은 경제적 가치를 포기하지 않지만 사회적 가치와 긴장 관계를 신중하게 고려하여 분리와 통합 과정을 통하여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에 의미가 있기 때문에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것이 통합적 관점에서 더욱 중요한 과업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것은 결코 용이한 과업이 아니다. 사회적 가치를 추구할 때에 기업의 이익과 연결되어 경제적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을까에 대하여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통합적 관점에서는 특히 최근 들어 경제적, 사회적 가치의 긴장 관계를 중시하고 있다. 양자의 갈등이 자연스레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힘든 해결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적절한 해결과정을 거쳐서 몇 개의 대안적 프로그램이 남아 있을 때에는 효율적 경계선을 이용하여 경제적, 사회적 가치에 대하여 각각 일부를 양보해야 하는 적절한 선택을 수행해야 한다. 실무적 제언으로 1) 통합적 관점을 취하면서, 2) 의미가 있고 효과성 높으면서, 3) 기업의 전문성과 일치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를 선별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4) 지속적으로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고 목표를 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5) 체계적이면서 신중한 기업평판 관리를 통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관계를 호의적으로 유지하고 강화해야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takes an integrative perspective and analyz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ctivities theoretically. We also suggest some practical guidelines for CSR activities. The integrative perspective proposes that CSR programs need to seek social and economic values simultaneously. This approach distinguish itself from an instrumental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that social contributions ne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value (e.g., firm’s financial performance) and from philanthropic donations without clear objectives. We analyze theoretically 1) comparisons between integrative and instrumental perspectives, 2) measurement of social value, 3)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4) efficient frontiers on social and economic values. The measurement of social value is a prerequisites to the integrative perspective since this approach emphasizes ‘tensions’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and resolutions through separation and synthesis of values, although it is very difficult to measure social value. Many different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Recently, scholars in the integrative perspective believe there exist tensions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After resolution processes, there may remain some programs in trade-off relations of social and economic values. Relying on efficient frontiers, we may have to make a decision between social and economic values by giving up some values in each dimension. As practical suggestions, 1) taking the integrative perspectives, 2) effectively selecting CSR program areas, 3) choosing areas well matched with firm’s expertise, 4) continuous measurements and objective set-ups of social value, and 5) systematic management of corporate reputation as a final output of CSR activities are recommended.

      • KCI등재

        도덕적 정체성 연구의 통합적 접근법 모색

        정영우 ( Young Woo Ju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1

        도덕성을 통합적으로 연구하려는 시도는 인지발달 중심의 단계 이론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되었다. 그런 시도로서 도덕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1980년대 초반 블라시(A. Blasi)의 연구들에 의해 탄력을 받았다. 그러나 블라시가 도덕적 정체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장을 열었지만, 그것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은 느리게 진행되었다. 그리고 도덕적 정체성에 대한 이론적 및 경험적 연구들이 서로간의 통일성을 상당히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덕적 정체성을 보다 통합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도덕적 정체성 연구의 주요 흐름들을 두 가지 관점, 즉 인격적 관점과 사회·인지적 관점으로 나누어 각각의 기본 관점과 이론적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인격적 관점은 의지력, 통합성, 도덕적 욕구 이 세 가지 덕을 도덕적 정체성을 가진 사람의 본질로 상정한다. 반면, 사회·인지적 관점은 도덕적 작용에서 도덕적 정체성의 역할을 설명 할 때 사회 인지, 기억, 정체성, 정보처리로부터 이론적 메커니즘을 채택한다. 하지만 두 관점은 개인의 도덕적 행동에서 자기 규제력을 결정하는 것으로 도덕적 자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와 같은 공통점들을 활용하여 본 연구는 두 가지 관점의 통합 가능성을 탐색하고 도덕적 정체성을 포괄적이고 통합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볼 것이다. 본 연구의 전체 과정은 인간의 도덕성 및 도덕적 정체성의 핵심 구인들, 그리고 도덕적 정체성 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변인들뿐만 아니라 그것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도울 것이다. Attempts for integrative researches of individuals` morality and moral development have began with reflection on cognitive developmental models related to moral reasoning stages. The research of moral identity might have been launched by Blasi`s works in the domains of moral identity and character in the early 1980s as one of these attempts. Although Blasi opened a window to discuss the theory of moral identity, empirical researches related to moral identity have moved slowly. Also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es for moral identity almost have little consistency between them. Consequently, this study will seek for the integrative research methode of moral identity. To achieve this aim, I will divide these researches related to it into two perspectives: character perspective and social-cognitive perspective. Then, I look into the fundamental ideas and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erspective. The character perspective suggests that the essences of a person having moral identity are three virtues: willpower, integration, moral desire. On the other hand, the social-cognitive perspective adopts it`s theoretical mechanisms from social cognition, memory, identity, and information-processing when it explains the roles of moral identity in the moral functioning. But all of two perspectives emphasize the self-importance of moral identity which may decide self-regulation within an individual`s moral behavior. By making full use of these features, this article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for association of character and social-cognitive perspectives, which will suggest the direction of comprehensive and integrative study about moral identity. Moreover, the whole course of this study will help us to understand the key constructs of a person`s morality and moral identity,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oral identity, as well as interactions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 KCI등재후보

        Alternative paradigms and structures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박상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9 No.3

        이 연구에서는 현재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교원교육체제를 교원교육에 대한 관점 연구, 우리나라 교원교육의 역사 및 발달과정, 개별 사범대학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검토하였다. 교원교육에 대한 대안적 관점은 교원교육의 발달에 따라 학문적 관점, 실제적 관점, 기술적 관점, 개인발달적 관점, 비판적·사회적 관점 등으로 구분되어 왔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논의되고 있는 교원교육체제로는 학부중심제와 대학원중심제(교원전문대학원),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통합체제와 분리체제, 종합대학내 단과대학 형태와 독립기관 형태 등 다양하다. 그러나 특정한 교사교육의 관점과 교사교육의 제도(체제)가 반드시 일대일로 대응되지는 않으며, 특정한 교원교육체제가 어떤 관점을 ‘지향’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구성원간 합의가 필요하며 대학의 특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등교원양성체제는 대학의 역사, 지역적 기반, 학생의 특성 등 개별 대학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타당도에 대한 통합적 관점

        이원석(Wonsuk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타당도 이론에 있어서 최근 학계의 합의라고 할 수 있는 타당도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대두 배경과 특성, 통합적 관점에서의 타당도 증거들을 고찰한다. 타당도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 타당도는 검사 활용의 가치와 결과를 포함하여 가능한 모든 증거들을 이론적 틀 안에서 종합하여 얻어진 평가적 판단이며, 이를 위해 통합적 관점은 첫째, 모든 타당화의 원리로서의 구인타당도, 둘째, 가치(value)와 검사 활용 결과(consequences)에 대한 명시적 고려, 셋째, 모든 가능한 증거들을 통한 종합적인 평가적 판단, 넷째, 평가(evaluation)로서의 타당화 과정을 그 특성으로 한다. 이러한 통합적 관점에 입각하여 AERA, APA, NCME는 다섯 가지 타당도 증거를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ckgrou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ources of validity evidence of the unified view on validity,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kind of consensus among validity theorists. In this unified view validity is a unitary evaluative judgment through all possible sources of evidence accompanied by theoretical rationale, including the value implication and the consequences of the test use. In order to do this, the unified view has four characteristics, that is, (1) construct validity as the rationale of whole validation, (2) the explicit consideration of values and consequences of test use, (3) unified evaluative judgment through all sources of evidence, and (4) validation process as evaluation. According to the unified view on validity AERA, APA and NCME present five sources of validity evidence.

      • KCI등재

        한국교회 변화를 위한 통합적 관점의 리더십 틀에 대한 연구

        계재광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4

        This article introduces a systematic approach in conceptualizing leadership perspectives. This is an attempt to avoid biases and limitations in traditional leadership that is widely practiced in South Korean churches. These biases include an over-emphasis on dyadic relationships, the dynamics between a leader and a single follower. A systematic approach to organizational change not only focuses on transformational goals, but also o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proper management during transition periods. This approach will in turn help the Korean church to conceptualize and practice effective leadership. This study analyzes said leadership by its essential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mission of leadership during organizational change can be examined in intra-individual, dyadic, and community relationships. 본 연구는 매일 새롭게 변화하는 문화와 그 변화의 흐름을 거스를 수 없는 시대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서 교회가 새로운 옷을 입고 다양한 모습을 가져야 한다는 논의를 글의 기초로 삼아 변화의 단계를 살펴보고, 한국교회 변화를 위해서 가져야할 새로운 리더십틀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한국교회의 변화를 위한 구성원들의 변화 인식과 행동을 이끌어 내야한다. 이를 위해 가장 우선적 조치로써 먼저 달라져야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한국교회가 마주하고 있는 변화의 요청에 합당한 새로운 리더십 시각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새로운 리더십 시각을 “무엇을 목적으로 변화해야 하는가?”, “목적에 따른 변화관리의 프로세스는 어떻게 진행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면서, 한국교회 변화를 위한 통합적 관점의 리더십틀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보통 리더십이라고 말할 때는 개인과 개인 곧 리더와 구성원간의 영향 과정을 강조하는 일대일 관점을 취하고 있다. 소고에서는 통합적 사고에 따라서 통합적 접근법으로 리더십을 개인 내면차원을 살펴볼 뿐만 아니라 일대일 관계차원 그리고 공동체 차원으로 살펴보는 전인적이고 통전적인 리더십 접근법을 소개할 것이다. 통합적 관점의 리더십 틀을 다시 교회의 주인 되시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속성을 통해 신앙인과 교회가 놓치지 말아야 할 본질(핵심 특성으로 정의한다.)과 한국의 다양한 변화 속에 놓여진 한국 교회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는 리더십의 사명(행동 특성으로 정의한다.) 역시 각 차원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핵심 특성(essential characteristics)이란 서로 다른 리더십 차원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를 말하는 것이며, 행동 특성(behavioral characteristics)이란 앞서 언급한 핵심특성을 이루기 위해 각 리더십 차원에서 나타나야 할 리더십 행동들을 의미한다.

      • KCI등재

        타당도 분석을 위한 평가적 접근 모형

        이원석(Wonsuk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타당도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연구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하나의 모형, 즉, ‘타당도 분석을 위한 평가적 접근 모형’을 제시한다 1970년대 이 후, 많은 타당도 이론가 들은 타당도에 대한 전통적 관점의 한계를 인식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통합적 관점으로 대변될 수 있는 타당도에 대한 새로운 이론들이 점차 학계의 인정을 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타당도에 대한 대부분의 현장 연구들은 전통적 관점에 따라 수행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적 관점의 특성들, 다시 말해, (1) 모든 타당화의 원리로서의 구인타당도, (2) 가치(value)와 검사 활용 결과(consequences)에 대한 명시적 고려, (3) 모든 가능한 증거들을 통한 종합적인 평가적 판단, (4) 평가(evaluation)로서의 타당화 과정을 연구 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하나의 모형을 제시한다. 또한, 본 평가적 접근 모형이 실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를 SAT 논술시험의 타당도 분석 계획을 통해 살펴본다 This article presents a framework for applying the unified view on validity to validation practice, i.e. 'the evaluative approach to validation'. Since the 1970s, many validity theorists have realized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view on validity, and reached an agreement on new concepts of validity, which can be called the unified view on validity. However, the majority of validity studies in practice have still been performed according to traditional validity approaches. Therefore, the evaluative approach to validation is proposed as a framework for validation that incorpor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fied view, that is, (1) construct validity as the rationale of whole validation, (2) the explicit consideration of values and consequences of test use, (3) unified evaluative judgment through all sources of evidence, and (4) validation process as evaluation. This evaluative approach is illustrated through an example, that is, a study plan for evaluating the validity of the SAT essay.

      • KCI등재

        통합사회 교과서의 불평등 단원에 대한 내용 분석 및 제언

        강수정 ( Kang Su-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1 윤리교육연구 Vol.- No.61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사회 교과서에서 불평등 문제가 통합적 관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은 5종의 통합사회 교과서이며, 분석 단원은 “사회 정의와 불평등”이다. 해당 단원의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교과서 내용 등을 분석하여 통합성의 정도를 살펴보았으며, 교과서 내용 서술에 있어 몇 가지 문제점을 찾아 밝혔다. 주요 분석 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기준과 교과서 본문의 통합성은 상당히 약하였고, 불평등 문제를 사회적 관점과 공간적 관점에 치중해서 서술하고 있었다. 이에 윤리적 관점과 시간적 관점의 보완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둘째, 불평등하다는 사실적 현상이 왜 불평등을 해소해야만 하는지 당위로 전환되는 데 매개의 원리나 근거가 제시되어 있지 않거나 매우 빈약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불평등 문제를 왜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성을 제시해야 한다. 윤리적 관점의 보완을 통해 사실과 당위로 이어지는 매개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당위성을 주장하는 적절한 예시로 롤스의 차등의 원칙을 제언하였다. 셋째, 우리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불평등 현상의 양상과 이를 해소하기 위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도에 대한 소개 위주로 구성됨으로써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청사진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시간적 관점의 보완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의 역사이지만 미래의 청사진을 보여줄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로 동학의 유무상자(有無相資)를 제시하였다. 동학의 유무상자의 정신과 실천의 역사는 우리 사회의 구성원들이 어떻게 서로 연대하고 협력할 수 있는지에 대해 보여주는 사례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whether the issue of inequality is dealt with from an integrated viewpoint in the textbook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To this end, the unit on “Social Justice and Inequality” in five different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was analyzed. The major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criteria and the textbook content have a very weak integration, and the issue of inequality is described mostly from social and spatial viewpoi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complementing ethical and temporal viewpoints. Second, the principle or ground of mediation for the transition of the factual phenomenon of inequality toward the justification for solving inequality is not provided or insuffici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justification for redressing inequality should be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adding an ethical viewpoint will provide mediating grounds that lead to facts and justifications. This study presents the “difference principle” of John Rawls as a proper example to give such justification. Third, the textbooks only focus on the aspects of inequality in our society and the current systems implemented to solve it, failing to provide a blueprint for the future direction. Such a problem can be addressed by adding a temporal viewpoint. This study suggests Yumusangja (meaning "the rich and poor helping with each other") of Donghak as a concrete historical example serving as a blueprint for the future.

      • KCI등재

        국내 조직문화 연구의 조직에 대한 관점과 공헌 수준 분석: 기업 맥락에서의 조직문화 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 검토

        김태성,장지현,백평구 한국기업교육학회 201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9 No.4

        Faced with unprecedented change, such as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urrent research recognized the call to revisit the research topic of organizational culture. With intent to spur novel and rich discourse, a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and contributions embedded in extant organizational culture research.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examine (1) research methodologies used by, (2) perspectives and contributions embedded in, and (3) main topics researched by reviewed studies. The review of 125 articles from Korea Citation Index found the following. First, nearly 90% of articles used the quantitative approach to study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most articles adopted the modern perspective towards the organization with only three and none that took symbolic and post-modern perspectives respectively, and focused on individual(micro-level) and organizational(macro-level) contributions with only one article involving societal(mega-level) contribution. Third, most articles were interested in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behavior or pursuing management effectiveness, rather than engaging in future-oriented discourse surrounding organizational culture. Building on the findings, in-depth discus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등 변화의 흐름 속에서 그동안의 국내 조직문화 연구에 대한 통합적 검토와 재조명의 필요성에 따라 진행되었다. 특히 이러한 연구들에서 조직을 바라보는 인식론적 관점과 본질적으로 지향하는 공헌 수준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조직문화와 관련한 새로운 담론의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조직문화 연구의 (1) 학문 분과와 연구 방법의 분포, (2) 조직에 대한 관점과 지향하는 공헌 수준의 양상 및 (3) 주요 연구 주제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방법론으로 통합적 문헌검토를 채택하고, Torraco(2005)의 절차를 준용하여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에 수록된 논문 125편을 선정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방법 측면에서 양적 연구의 비중이 9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연구에서 근대적 관점이 조직을 바라보는 지배적 시각이었고, 상징적 관점을 취한 연구는 단 3편(2.4%), 포스트모던 관점에서의 연구는 전무하였다. 또한 125편의 논문 중 단 한 편의 연구만이 사회적 수준(mega)의 공헌에 관심을 기울였을 뿐, 나머지 124개의 연구는 모두 조직성과 또는 이에 연결되는 성과 지향적 조직행동 등 조직(macro)과 개인(micro) 수준에서의 기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주요 연구 주제 분석 결과 대부분의 논문들은 조직의 미래 비전과 변화 지향 등 조직 개발과 혁신을 위한 주제보다, 조직행동에 대한 이해와 조직 운영 메카니즘의 효율성 등 조직 관리 측면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심화된 논의를 시도하였고, 연구의 한계와 함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가정폭력에 대한 젠더 통합적 접근

        허민숙(Heo, Min-Sook) 한국가족학회 2013 가족과 문화 Vol.25 No.2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problem of domestic violence/intimate partner violence has been constructed as a social issue by analyzing the 2010 Domestic Violence Survey of Korea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rough the perspective of gender-integrated theory, this paper criticizes the discourses produced and naturualized by the survey: first, the survey identifies domestic violence/intimate partner violence as a matter of individual's misconduct, second, it conceptualizes domestic violence/intimate parter violence as mutual one despite the fact of the imbalance of initiation, third, the survey individualizes the motives and consequences of domestic violence/intimate partner violence, finally, it decontextualizes discriminated or gender-blind state intervention by problematizing individual law-enforcement officers or agents. In order to address those issues, this paper suggests as follows: first, the survey should clarify its position in the research arena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by pointing out that the claims of gender symmetry and gender asymmetry are consequences of different goals, objects, and perspectives. second, it should contetxtualize the motives, consequences, and experience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finally, the survey should investigate the ways in winch patriarchal attitudes and biases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contribute to producing, supporting, and reinforcing domestic violence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이 글은 가정폭력/친밀한 관계 내 폭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문제의 본질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토대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정부의 재정지원으로 수행된 전국규모의 가정폭력 실태조사를 젠더 통합적 관점에서 비판해 보았다. 젠더 통합적 관점이란 젠더를 성별 차이로 인한 개인의 속성이 아닌, 사회적 위치와 상황, 이를 통해 개인의 사회적지원과 지위를 결정하는 범주로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젠더 통합적 관점에서 볼 때, 실태조사는 젠더 개념을 성별 구분이라는 협소한 수준에서 적용함으로써 첫째, 가정 폭력/친밀한 관계 내 폭력을 개인 속성에 의해 발생하는 개인적이거나 일회적인 사건으로 정의하고, 둘째, 폭력 시발의 불균형성에도 불구하고 가정폭력/친밀한 관계 내 폭력을 상호폭력으로 정의하며, 셋째, 가정폭력/친밀한 관계 내 폭력의 동기 및 그 결과를 비맥락화하고, 넷째, 가정폭력/친밀한 관계 내 폭력에 대한 사회적 대응의 문제점을 개별화하는 등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 글은 첫째, 가정폭력/친밀한 관계 내 폭력 전체 연구의 지형에 실태조사의 위치성을 분명히 합으로써, 연구의 목적, 방법, 대상에 따른 차이가 결과와 해석의 차이로 이어지는 흐름을 독자로 하여금 인지하게 하고, 둘째 가정폭력/친밀한 관계내 폭력의 동기와 원인을 맥락에 의거해 파악해야 하며, 셋째, 가정폭력/친밀한 관계 내 폭력에 대한 사회적 대응에 침윤해 있는 성차별적 혹은 성전형적 젠더 규범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시민청소년관점에서의 북한이탈청소년 지원정책 및 서비스 방향

        김윤나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11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perspective and understanding of youth civic horizons, based on this framework to present the current operating and support the North Korean refugee youth policy and services by analyzing current policies in terms of critical review is attempted. As a result, the perspective of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yielded a citizen of the existing emphasis on youth and youth of management emphasis on accountability at the level of emphasis on the policy response, North Korean defectors to the right of adolescents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in leading positions must be transformed into will. Approach to policy and service support to develop their potential and capabilities, and Participatory approach should be converted due to creation of productive alternatives. The situation with North Korea o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ticipate changes and discover the nature of the process and the North Korean migrants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of adolescents with a longitudinal study should be conducted at Intergovernmental level, and improve their overall living conditions, the integrated going support system for those services, and business organizations and the youth NGO spreads with other governance should be built. These studies on the perspective of young North Korean migrants and their new formulation of the democratic citizen as a member of our community to grow and to settle down payment that could be used as the basis of policy. 본 연구는 시민청소년관점의 개념과 이해지평, 분석틀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 운영되고 있는 북한이탈청소년 지원정책 및 서비스를 분석하여, 현재의 정책관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북한이탈청소년을 바라보는 관점과 교육과학기술부, 통일부, 여성가족부 등에서의 지원정책 및 서비스 방향의 문제점과 한계를 지적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청소년들이 통일을 대비한 한국사회에서 시민청소년으로 성장할 수 있는 지원정책 및 서비스 방안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청소년을 바라보는 관점은 기존의 시민됨으로서 청소년관을 중시하며 청소년의 책임을 중시하는 정책적 대응을 강조하는 입장에서, 북한이탈청소년의 적극적 참여를 주요한 권리로 장려하는 입장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정책 및 서비스 지원 접근방법은 그들의 잠재력과 역량을 개발하는 방식과 참여형, 과정형, 생산적 대안창출 등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북한정세와 국제적 상황에 대한 변화를 예측하고 탈북과정의 특성을 발견하며 북한이탈청소년의 적응과정에 대한 종단적인 연구가 범정부적인 차원에서 실시되어야 하며, 이들의 전반적인 생활조건을 개선하는 통합적인 지원체제로 나아가고 이들을 위한 서비스 및 사업이 확산되어 다른 사회단체나 기관 및 청소년 NGO와 함께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새로운 정립과 이들이 우리사회의 민주시민의 일원으로 성장하고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정책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