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통제소재와 환경행동의 관계

        허미란,이상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4

        본 연구는 바람직한 환경행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통제소재를 제시한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5, 6학년을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통제소재를 측정, 분석하여 두 요인과 환경행동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환경행동을 강화하는데 있어 통제소재와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환경행동 증진을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검사도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수정, 보완된 자아존중감, 통제소재, 환경행동에 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이며, 측정된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측정된 자아존중감 및 통제소재와 환경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통제소재에 있어 성별,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환경행동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여학생의 환경행동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육체적 행동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통제소재 상집단과 하집단의 자아존중감 차이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통제소재가 높은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통제소재가 낮은 학생의 자아존중감보다 긍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환경행동 및 통제소재와 환경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요인과 환경행동의 상관관계 및 각 요인의 하위 영역과 환경행동의 상관관계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통제소재가 환경행동과 유의한 상관을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환경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환경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자아존중감과 통제소재를 강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며, 후속연구로서 환경행동을 강화를 위한 초등학생용 자아존중감 및 통제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and correlation of self-esteem, locus of control and environmental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ected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used questionnaire for students were made on the basis of pre-studies and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by mean frequency,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and correlation. i-STATistics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between 5th and 6th graders in terms of the gender and grade. However, the girls were higher than the boys in subscale of environmental behavior and its all subcategories. In particular,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physical activity area. Second, after the investigation of the locus of control,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er and the lower group. Therefore, the students with high locus of control have more positive self-esteem than the students with low locus of control. Third, on the investigation of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environmental behavior,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environmental behavior, it is foun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not only between each factor and environmental behavior but also between each factor's subcategories and environmental behavior.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elf-esteem and the internal-locus of control in order to improve environmental behavior.

      • KCI우수등재

        통제소재, 미래시간조망, 그릿(grit)과 지연의 관계 분석

        권대훈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4

        Procrastination is the tendency to delay initiation or completion of important tasks(Lay, 1986), and acts as a negative factor in the achievement and growth. Procrastination is an almost universal human tendency, but is poor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among locus of control, future time perspective, grit, and procrastination. Two hundred and four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Locus of control scale, 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Grit scale, and Procrastination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ocus of control, future time perspective, and gri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crastination respectively. Second, future time perspective fully mediated the relation from locus of control to procrastination, and grit fully mediated the relation from locus of control to procrastination. Third, path analysis showed that 1) locus of contro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grit respectively, 2) future time perspectiv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grit and procrastination respectively, 3) gri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rocrastination, 4) future time perspective and grit doubly mediated the relation from locus of control to procrastination. 지연은 중요한 일의 시작이나 완성을 의도적으로 미루는 경향성으로, 개인의 성취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지연은 대부분의 인간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경향성이지만, 아직까지 명쾌하게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 연구는 통제소재, 미래시간조망, 그릿(grit)이 지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통제소재, 미래시간조망, 그릿과 지연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둘째, 미래시간조망은 통제소재가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지, 그리고 그릿은 통제소재가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하는지 검증하고, 셋째, 미래시간조망 및 그릿은 통제소재가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5년 10월 둘째 주에 경상북도 북부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2개 고등학교에서 표집한 고등학교 1학년 204명에게 통제소재 척도, 미래시간조망 척도, 그릿 척도, 지연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소재, 미래시간조망, 그릿은 각각 지연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미래시간조망은 통제소재가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했고, 그릿은 통제소재가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매개했다. 셋째, 경로분석 결과 미래시간조망 및 그릿은 통제소재가 지연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고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통제소재와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반추의 매개효과

        김민정,장혜인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6

        본 연구에서는 외상후스트레스(Post-traumatic stress: PTS)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기제를 확인하고자 통제소재가 PTS 증상을 예측하는 경로에서 반추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통제소재(내적통제소재, 외적통제소재)와 반추(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하위요인을 각각 분석에 고려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95명(여성 58%, 남성 42%)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통제소재, 반추, PTS 증상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외적통제소재와 PTS 증상의 관계, 내적통제소재와 PTS 증상의 관계 모두에서 침습적 반추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의도적 반추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통제소재가 반추를 거쳐 PTS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PTS 증상에 대한 개입 표적으로 통제소재와 반추를 고려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병원간호사의 통제소재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

        김영희,김경은,최정현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ob stress and job burnout as a function of locus of control of nurses in a hospital. Method: Participants were 280 nurses of general hospital in Pusan. M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job stress and job burnout according to locus of control of nurses, Result: Locus of control of nurses was 3.29 point and was close to internal locus of control a little bit. Main job stresses of nurses with external locus of control were caused by relationship with senior and conflict with patient and caregiver. In case of job burnout, nurses with external locus of control scored more high than nurses with internal locus of control. This results suggested that the importance of locus of control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nurse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통제소재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에서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간호사의 긍정적인 통제소재 발달을 위한 교육 및 지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부산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280명의 일반간호사를 대상자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병원간호사의 통제소재 점수는 3.29점으로 미약하게 내적통제소재에 가까웠다. 병원간호사의 통제소재에 따른 직무스트레스를 살펴보면 외적통제소재 간호사와 내적통제소재 간호사를 구별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상사와의 관계, 환자 및 보호자와의 갈등과 같은 관계에서 비롯된 직무스트레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통제소재에 따른 직무소진정도에서는 내적통제소재 간호사에 비해 외적통제소재 간호사가 직무소진정도가 높았다.

      • KCI등재

        웹 기반 토론에서 리더유무와 통제소재가 메시지 유형에 미치는 영향

        엄우용,박인영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웹기반 토론환경에서 집단의 리더유무와 통제소재가 메시지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85명의 여중생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Henri(1992)의 메시지 분석틀에 근거하여 토론내용이 참여적, 사회적, 상호작용적, 인지적, 그리고 메타인지적 차원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참여적 차원은 리더의 유무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내적 통제집단이 외적 통제집단보다 높았다. 사회적 차원은 외적 통제집단에서만 리더가 있는 집단이 높았으며, 상호작용적 차원은 내적 통제집단과 리더가 없는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인지적 차원은 외적 통제집단이 높게 나타났으며, 메타인지적 차원은 내적 통제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즉, 리더가 있는 집단에서는 사회적 차원의 메시지 유형이, 리더가 없는 집단에서는 상호작용적 차원의 메시지 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외적통제집단은 리더가 있을 때, 내적 통제집단은 리더가 없을 때 토론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내적 통제집단이 외적 통제집단보다 참여적, 상호작용적, 메타인지적 차원의 메시지 유형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웹기반 토론환경에서 리더의 유무는 사회적, 상호작용적 차원의 메시지에 영향을 미치며, 통제소재는 참여적, 상호작용적, 메타인지적 차원의 메시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on the types of message in Web-Based discussion. Eighty-five nin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llocated into a group of two groups(leader driven group and no leader group). And then they had been allocated into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Each group had been consisted of five participants. There's no difference in academic abilities and computer abilities. Participants had been participated in a Web-Based discussion for three weeks, but messages from the last week's discussion have been analyzed by the unit of meaning, based on the five dimensions which were proposed by Henri(1992). Independent variables were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and dependent variable was message types. Two-way ANOVA had been used to test the difference in the types of message between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message(Social Dimension/ Interactive Dimension) by leader's existence in Web-Based discuss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message(Participative Dimension/ Interactive Dimension/ Metacognitive Dimension) by locus of control in Web-Based discussion.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 the types of message(Social Dimension/ Interactive Dimension/ Cognitive Dimension) between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in Web-Based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leader's existence and locus of control significantly affects on the types of message in a Web-Based discussion. Having leadership in external locus of control showed stronger interactive relationship, to the contrary in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not having leadership showed better interactive relationship. Thus, to better interactive relationship and discussion in students, analyzing each student's character should be preceded before the proper leadership is given to the student.

      • KCI등재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분노억제에 미치는 영향: 외부 통제소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자연,오경자 한국건강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0 No.1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분노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외부 통제소재가 매개하는지에 대해 확인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IPC 통제소재 척도, 상태-특성 분노표현 양식 척도를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외부 통제소재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분노억제 간의 직접경로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외부 통제소재의 완전매개 모형이 더욱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외부 통제소재의 하위유형에 해당하는 강력한 타인 통제소재와 우연 통제소재를 직접 투입한 모형의 경로계수를 비교한 결과, 강력한 타인 통제소재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모든 경로가 유의하였으나 우연 통제소재는 분노억제와의 경로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외부 통제소재가 매개변인으로 기능하는데 있어 강력한 타인 통제소재의 영향력이 더욱 분명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가 지니고 있는 함의와 연구에서 나타난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in expression and 2) to compare mediating effects of other and chance factor are sub-factors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Three hundred eighty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study. They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about perfectionism, locus of control, and anger express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anger-in expression. (2)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in expression was completely mediated by external locus of control. (3) the results further that the other factor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통제소재 척도 타당화

        정은교(Eunkyo Jung),안도희(Doehee Ah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364명의 설문 자료를 토대로 진로통제소재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진로통제소재 척도 요인 구조의 6개 대안적 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결과, 진로통제소재는 ‘내적 통제성’ 요인(5개 문항), ‘운’ 요인(4개 문항), ‘영향력 있는 타인’ 요인(4개 문항)의 3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종 모형에서 ‘내적 통제성’ 요인은 각각 ‘운’ 요인 및 ‘영향력 있는 타인’ 요인과 부적 상관이 유의하며, ‘운’ 요인과 ‘영향력 있는 타인’ 요인 간에는 정적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척도의 수렴 타당도 검증 결과, ‘내적 통제성’ 요인은 진로미결정과 부적 상관이 유의한 반면, 진로탐색행동 및 일반적 내적 통제소재와는 정적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 요인 및 ‘영향력 있는 타인’ 요인은 진로미결정과 정적 상관이 유의한 반면, 일반적 내적 통제소재와는 부적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타당성이 입증된 진로통제소재 척도가 국내 대학생의 진로 교육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validate Career Locus of Control (CLOC)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Three hundreds and sixty-four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CLOC scale consisted of the three factors (i.e., internality, luck, and powerful others) with 13 items in satisfactory model fit indices. In addition, ‘internality’ facto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uck’ factor and ‘powerful others’ factor, while ‘luck’ fact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werful others’ factor. Convergent validity was supported through correlations among three factors of the CLOC scale, career indecisio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generalized internal locus of control. Overall, these results in this study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CLOC scale.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he CLOC scale could be utilized to measure the career locus of control for university students in career educational context.

      • 내외통제소재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홍정선,최은실 한국발달지원학회 2017 발달지원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내외통제소재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시험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지 알아보고, 내외통제소재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의해 조절 되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중학생 총 421명을 대상으로 검 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외통제소재는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시험불안의 경우 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내외통제소재는 시험불안의 하위요인 중 정서요인에는 유의미한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걱정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내외통제소재는 시험불안 중 정서요인을 예측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내적 통제소 재가 높게 나타날수록 시험불안 중 정서요인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의미하였다. 셋째,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내외통제소재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조절하 였다. 즉,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가진 사람이 내적 통제소재를 높게 나타내며 시험불 안이 감소하였다. 반면, 내외통제소재와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은 내외통제소재와 시험불안 간에 조절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기술하였다.

      • KCI등재

        관광전공 대학생의 진로통제소재가 그릿과 진로변경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수정(Han, Sujung),박상희(Park, Sanghee) 대한관광경영학회 2021 觀光硏究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진로통제소재가 그릿과 진로변경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진로변경의사에 관계된 심리적 기제로 진로통제소재와 그릿과의 영향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표본은 4‧2년제 관광전공 대학생 284명이며, 총 284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는 SPSS 24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진로통제소재의 4개 하위요인(운, 영향력 있는 타인, 무기력, 내적통제소재)중 내적통제소재의 요인만이 그릿의 2개 하위 요인(노력의 지속성, 흥미의 일관성)에 유의한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적 통제소재가 높을수록 장기적인 목적을 성취하려는 노력의 지속성과 흥미의 일관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로통제소재 하위요인 중 운은 그릿의 하위요인 중 흥미의 일관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릿의 하위 요인 중 노력의 지속성은 진로변경의사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지만 흥미의 일관성은 진로변경의사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점은 흥미의 일관성과 노력의 지속성을 구분하여 각각의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진로통제소재, 그릿과 진로변경의사의 영향 관계를 밝힌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내적인 진로통제소재와 그릿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개발하는 기초자료가 되어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관광업계로의 진로결정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Locus of Control on GRIT and Career Intension to Change for Tourism Students. For this purpose,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llect 284 final data. A total of 284 copies contributed to the final analysis data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nternal locus of control of career locus of control(luck, powerful others, helplessnes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GRIT(perseverance of effort, consistency of interest). This implys that the higher internal locus of control, the higher GRIT to achieve long-term goals. Ther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uck’ of career locus of control and ‘consistency of interest of GRIT. Second, perseverance of effort of GRIT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intension to change. However, consistency of interest of GRI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career intension to change. This suggests that it is more reasonable to explore each effect by distinguishing consistency of interest from perseverance of eff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 is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internality of career locus of control and GRIT for a positiv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ourism students to minimize career stress that leads to sound career decision.

      • KCI등재

        나에게 발생한 긍정적인 일은 기부를 증가시키는가? - 통제소재의 역할을 중심으로

        박기경 ( Park Kiky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4

        기부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다룬 연구들은 주로 기부상황에서 발생되는 감정의 영향 혹은 설득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기부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더하여 본 연구는 기부자의 통제소재와 기부자가 경험한 사건의 극성이 기부행동에 어떠한 결합효과를 나타내는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가설로써 설명하면, 내적통제소재를 가진 소비자들은 유사한 조건의 타인과 달리 자신만 긍정적 사건을 경험하면, 익명의 대상에 대한 호혜성을 실현하고자하여 적극적인 기부행동을 보이게 될 것인 반면, 외적통제소재를 가진 소비자들은 자신에게 일어난 일의 대부분이 외부 힘에 의해 발생한다는 판단때문에 경험한 사건의 극성에 따른 차별된 기부행동을 보이지 않게 될 것으로 제안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해보면, 내적통제소재를 가진 소비자들은 긍정적 사건을 경험할 때 부정적 사건을 경험할 경우에 비하여 높은 기부선택과 기부의도를 보이는 반면, 외적통제소재의 소비자들은 경험한 사건의 극성에 따른 차별된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각된 호혜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1 기부마케팅 프로모션 참여 상황에서도 동일하게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통제소재이론을 기부상황으로 확장하면서 새로운 결과를 이끌어내었을 뿐 아니라, 기부발생 동기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탐구결과를 제시하였다. Donation-relevant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response by emotion evoked from the situation which donees are confronted with. To add new findings to these previous researches,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the effect of consumers` locus of control and the valence of experienced event on donation behavior. Drawing upon theory of locus of control and the characteristics of donation behavior, the author suggests two hypotheses. Hypothesis 1 posits that individuals in an internal control will be aware of anonymous others and perceive reciprocity, which will increase the likelihood of donation when they experience positive event(vs. negative event). By contrast, individuals in an external control think the consequences around themselves are caused by external targets or agency. Thus, they will show no difference in donation behavior regardless of the valence of what they experience. Following the above reasoning, it is expected that perceived reciprocity will mediate the interaction between locus of control and the valence of experienced event(Hypothesis 2). The author has adopted a scenario-based experiment and conducted two experiments. In Experiment 1, the likelihood of donation and its intention of participants in an internal control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y were in the condition of a positive event than in a negative event. Whereas participants in an external control did not show different responses between conditions. Additionally, the mediation test confirmed that perceived reciprocity was attributable to the change of donation intention among the interaction effect. In Experiment 2, previous results were replicated in the marketing promotion including donation. In conclusion, consumers` donation behavior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locus of control and the valence of experienced event. The research findings present another motive toward donation and apply locus of control to marketing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