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의 발굴과 교육 방안

        나승일,김기용,장현진,이은경,석영미,조성웅,백아롱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cavate the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in Korea agriculture and to suggest their uses for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of all, the researchers proposed a theoretical model for excavating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in agriculture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Second, the researchers collected raw data through conducting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with expert, and field survey sources and selected agricultural indigenous things based on indigenous indicator(locality, non-formality, transferability, utility), and then finally classified them into agricultural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or culture.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production agricultural areas such as crop, horticulture, forestry, livestock, and insect and agricultural culture due to limited time, finance, and labor for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posed model for excavating the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in agriculture was valid and suitable: it consisted of the stages of deciding the field of agriculture, collecting raw data of indigenous agriculture, judging the indigenous agriculture, and classifying the indigenous agriculture into the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or culture. Second, based on the above proposed model, the fields of production agriculture in Korea were explored and uc4 varieties of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were excavated. Of the fields of production agriculture, there are more crop, horticulture and livestock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thndiothers. The number of the indigenous knowledge in agriculture was more thndithnt of the indigenous technology and culture. Third, the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stock indiagriculture should be taught in a way to build the base for inheriting ndd making eco-friendly use of them. Especially, education of agricultural indigenous knowledge, technology and culture should be linked from primary to middle to high school to university and it should be provided differently by either liberal education or professional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를 발굴하고,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의 발굴 모형을 탐색하고, 문헌, 전문가 인터뷰, 그리고 현지조사 자료를 통하여 발굴 원자료를 수집하고, 토착 지표(지역성, 무형식성, 전승성, 유용성)를 활용하여 농업 토착물을 선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이것들을 지식, 기술, 문화 및 농업 분야에 따라 분류하였다. 다만, 이 연구의 발굴 범위는 시간, 재원, 인력의 한계로 작물, 원예, 산림, 축산, 및 곤충으로 구성된 생산농업과 농업 문화로 한정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의 발굴 모형은 발굴 절차 및 방법에 따라 농업 분야 탐색, 발굴 원자료 수집, 농업 토착 판단, 그리고 농업 토착 지식·기술·문화 분류의 과정으로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였으며, 실제로 이러한 모형에 따라 발굴한 결과 이 모형은 농업 토착물의 발굴에 용이하였다. 둘째, 발굴 모형에 기초하여 한국 농업의 토착 지식, 기술, 문화를 발굴한 결과 총 114건이 발굴되었고, 농업 분야 중 작물, 원예, 축산 내용이 많았으며, 토착 지식이 기술이나 문화보다 많았다. 셋째, 한국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의 교육은 이를 계승하고 친환경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초·중·고등학교 및 대학의 농업 토착 지식, 기술, 문화에 관한 교육이 연계되도록 이루어져야 하며, 그 수준에 따라 교양교육과 전문교육으로 구별하여 차별화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 [토착화 부문] 토착화와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30년- 그 성찰과 전망

        황경훈(Kyung Hoon, Hwang)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21 한국그리스도사상 Vol.- No.28

        본 논문은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가 지난 30년 동안 『한국그리스도사상』에 발표하고 축적한 신학과 종교학 관련 연구, 특히 그 가운데서도 ‘토착화’ 주제 논문 15편을 다룬다. 이를 평가한다고 함은 그간 연구소가 천착해온 토착화 연구의 내용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앞으로 연구소가 나아가야 할 전망을 가늠해보자는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논문 15편을 평가하는 데에서 지적된 것처럼 토착화 신학연구가 종교문화 중심으로 쏠려 있는 현실에서 토착화 미래 전망과 관련해 ‘사회적 토착화’라는 개념을 주요 대안으로 제시했다. 지금까지의 토착화 논의가 주로 종교문화적 토착화에 집중해왔고 또 일정한 성과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을 포함하지 않은 약점이 지적되었고, 이것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사회적 토착화’라는 용어가 상징적으로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토착화의 전망을 사회 경제적 개념의 토착화로 확장해 내면서도, 다른 한편 기존의 종교문화의 토착화도 ‘과거의 종교전통종교이나 문화’로의 뿌리내림이 아니라 현대인과 호흡하는, 현대의 다양한 문화 가운데 하나로서 자리잡아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먼저 ‘토착화’라는 용어가 갖는 주객이원론적 측면을 발전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문화적 상호성’(inter-culturality)을 바탕으로 두 문화가 주객의 구분없이 공평하고 동등하게 만나는 ‘상호적 종교문화간 신학’(interreligiousand-intercultural theology)이 제안될 수 있다. 이는 서구 신학의 산물이자 식민지 시대의 유물이라고 할 수 있는 이원론의 극복이면서, 동시에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타자성과 다양성을 적극 포용할 수 있는 후기근대에 적합한 신학의 방향이라고 보인다. 나아가 세상을 향한 교회의 공적 역할을 뒷받침할 할 수 있는 신학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현재의 토착화 신학이 바뀌어야 한다. 공적 신학은 하느님 나라라는 더 큰 지평에서 전 인류의 공통 관심사를 숙고하고 실천하는 문제와 씨름함으로써 다원주의 사회에서는 더욱 포용적인 공동체를 건설하는 데에 도움이 되어야 하며 이것이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보인다. This paper deals with 15 papers on theology and religious studies published and accumulated by the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 in the past 30 years, especially ‘Inculturation.’ Evaluating this means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contents of studies of Inculturation that the institute has been exploring so far, and envisioning the future prospects of the institute. As pointed out in evaluating 15 papers, this study suggested the concept of social Inculturation”as a major alternative in relation to the future prospects of Inculturation in the reality that inculturation theology has been much stuck to religious culture. Although discussions on inculturation have focused on religious and cultural inculturation, and even if there have been certain achievements, weaknesses that do not includ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s have been pointed out, and the term Social Inculturation symbolically shows in which direction this should go. While expanding the prospect of inculturation to that of socioeconomic concepts, it also suggests that the inculturation of existing religious cultures should not be rooted in traditional religions or cultures of the past” but one of various modern cultures. As a methodology to do this, ‘interreligious-andintercultural theology’, in which the two cultures meet fairly and equally based on inter-culturality, can first be proposed to change the theoretical aspect of the term inculturation. This is a product of Western theology and a relic of the colonial era, overcoming dualism, and at the same time, it seems to be a suitable direction for post-modern theology that can actively embrace ‘otherness’ and ‘diversity’ in a pluralistic modern society. Furthermore, the current theology of inculturation should be changed to emphasize the public nature of theology that can support the churchs public role in the world. Public theology should help build a more inclusive community in a pluralistic society by wrestling with the problem of deliberating and practicing the common interests of all humanity in the greater horizon of the Kingdom of God, which seems to be the direction for the Korean Christian Thought Institute.

      • KCI등재

        국제법상 토착민에 대한 고찰

        오시진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法學硏究 Vol.32 No.1

        본 연구는 토착민이 국제법 체계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국제법학적으로 토착민을 학문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토착민은 오랜 기간 유럽중심주의적이고 국가중심주의적인 국제법에 비판적이었고, 이들은 탈식민주의적 주장을 전개하여 왔다. 그러나 이들은 국제법 체계를 부정하지 않고 이를 오히려 활용한 측면이 있다. 이들은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국제법을 받아들이고 그들의 의사를 국제법을 통하여 관철시키고자 노력한 부분이 있다. 이에 2007년 ‘UN 토착민의 권리에 관한 선언’ 등 여러 규범에서 토착민과 관련하여 국제법 규범 체계에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토착민으로 인해 어떠한 국제법규칙이 변화하였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먼저, 토착민에게도 자율성이라는 일정 형태의 자결권을 인정하게 되었다. 자율성의 개념이 무엇인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자율성은 토착민 고유의 정치적, 법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제도를 유지하고 강화할 권리라 해석될 수 있고, 토착민에게 영향을 줄 사안에 대해서 자유롭게 참여할 권리라 이해될 수 있다. 토착민의 문화적 권리와 문화다양성이 더 인정되는 방향으로 국제법 체계가 변화하고 있다. 토착민은 주류 사회에 동화될 대상이 아니고 그들의 문화는 존중되어야 하고 오히려 증진되어야 한다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나아가 사회권규약 제15조 제1항(a)에서 규정하는 문화생활 참여권의 내용 또한 토착민을 고려하여 확장되었다. 한편, 토착민의 권리로 그들의 땅 또는 영토와 관련하여 기존 국제법상 영토 개념에 변화를 준 부분도 있다. 국제노동기구(ILO) 협약 제169호와 UN 토착민의 권리에 관한 선언 등에서는 토착민이 땅 또는 영토에 영적 관계에 있다는 점을 인정하여 기존 영토에 대한 법리에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후자 선언은 천연자원과 관련해서도 토착민에게 영적인 관계가 성립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가 어떠한 파급효과가 있을지는 아직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에콰도르 헌법과 볼리비아 헌법에서 ‘다원적 국가’(Plurinational State)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은 상당히 함의하는 바가 크다. 토착민 사안은 국제법의 발전 측면에서 계속 더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indigenous peoples influence the international legal system, emphasizing the need for academic study in international law. Despite historical criticism of Eurocentric and state-centric approaches, indigenous peoples haven't rejected the international legal system; instead, they pragmatically utilize it to implement their will. Notable changes in international legal norms, as seen in the UN Declaration on the Rights of Indigenous Peoples (2007), highlight their impact. Indigenous peoples are now acknowledged for their self-determination, in terms of autonomy, encompassing the right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ir institutions and participate in relevant matters. The international legal framework increasingly recognizes their cultural rights, rejecting assimilation in favor of respect and promotion of indigenous cultures. General Comment to Article 15(1)(a)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further include indigenous perspectives. Regarding land rights,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ILO) Convention 169 and the UN Declaration recognize spiritual connections, challenging existing territorial norms. The concept extends to natural resources, indicating a shift in international legal perspectives. While the full impact is evolving, the acknowledgment of a "plurinational state" in Ecuadorian and Bolivian constitutions signifies a significant development. The issue of indigenous peoples will remain crucial in the ongoing evolution of international law.

      • KCI등재

        春秋戰國시기 燕文化의 중국동북지역 확산 및 토착집단과의 관계

        裵炫俊(Bae Hyunjoon) 한국고대사학회 2017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7

        중국동북지역에서 확인되는 연문화 관련 유적은 춘추후기부터 전국시대를 거쳐 진한교체기까지 확인된다. 이 지역의 연문화는 어느 시점에 한 번에 확산된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 동안 중국동북지역의 토착집단과 모종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들 상호 간의 관계는 크게 교류관계, 평화 및 동화관계, 모순 및 회피관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춘추후기부터 전국전기까지는 양자 간에 교류관계가 주를 이루었고, 전국중기에는 교류관계와 동화관계가 공존한다. 특히 전국중기의 교류관계는 요서지역이 연산이남의 연문화보다 훨씬 풍부한 청동예기를 갖추고 있어, 이 지역의 토착집단이 주동적으로 이끌었으며 교류의 대상도 연나라로만 국한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동화관계는 이 지역의 토착집단이 연문화의 토제예기를 주동적으로 모방하여 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동일 공간 안에서의 평화적인 공존은 양집단이 대등한 관계 속에서 평화롭게 공존하였으며 점차 서로 동화되어가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요동지역은 상대적으로 보수적이었다. 이후 전국후기가 되면 요서지역은 모순 및 회피관계가 두드러지는데, 토착문화는 거의 사라지고 순수한 연문화의 생활유적과 무덤유적이 전체적으로 확인되어 마치 연문화가 요서지역을 장악한 듯한 인상을 준다. 이와 동시에 동북계 청동무기류가 요서지역에서는 기본적으로 사라지는 동시에 요동지역에 계승된다. 한편 요동지역은 요서지역과 달리 연문화 일색으로 대체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 오히려 토착집단과 연문화 집단이 공존하며 동화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이는 전국 전 · 중기와 마찬가지로 요동지역의 토착집단이 어느 정도의 보수성을 고수했고, 연나라가 요동으로 진출할 당시의 세력이 상대적으로 약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The Yan-Culture relics in the Northeast China have been from the lat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ose are not spreaded at one time, but have been formed for a long time in a relationship with indigenous group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can be divided into exchange relations, peace and assimilation relations, contradiction and avoidance relations. The exchange relations mainly exist between the two from the lat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exchange relationship and the assimilation relationship coexist in the middle Warring States period. In particular, Liaoxi area has a much richer bronze ritual vessels than the Yan-Culture area of south Yanshan mountain at the exchange relationship. It may mean that Liaoxi groups have led that relationship, and the object of exchange may be not limited to the Yan State. The assimilation relations have been produced by indigenous groups actively imitating the artifacts of the Yan-Culture. Also, peaceful coexistence in the same space shows that both groups peacefully coexist in equal level and gradually become mutually assimilated. These relationships were led by indigenous groups in the Liaoxi area, and the Liaodong area were relatively conservative. In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the contradiction and avoidance relations stand out like Yan-Culture occupying Liaoxi area. At the same time, bronze weapons of Northeast are basically disappearing in the Liaoxi and appear in the Liaodong area.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situation replaced by Yan-culture like Liaoxi area. Rather, indigenous groups and Yan-culture have coexist and assimilate relationship. This is because that the indigenous groups in the Liaodong area main tained a certain level of conservativeness and the forces of the Yan State were relatively weak at that time.

      • KCI등재

        명말청초 ‘전례논쟁’의 선교사적 이해

        김병태(Kim Byeong-Tae)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8 No.-

        철저하게 변방문화로 시작된 중국의 기독교는 애초에 입고 들어온 문화를 주장할 수 없었고 주저 없이 중국문화의 옷으로 갈아입고 등장하였다. 唐代와 元代의 기독교는 도불(道佛)의 용어를 대폭 수용하여 중국화를 꾀하였다. 반면에 명말청초 시기의 천주교는 이전 시기와 달리 나름대로 자기전통을 의식하면서 중국문화를 도입한 것이 특징이었다. 그리하여 예수신앙과 유학간의 의식적인 접촉 곧 ‘대화’(耶儒對話)가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복음과 유교사상과의 접촉면 즉 유사성이 추구되었고, 나아가서 ‘보유’(補儒), ‘초유’(超儒) 등의 개념에서 보이듯 ‘남경교안' 시기 강남지역의 사회개혁사상으로 발전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조선에 처음 천주교 서적이 소개된 당시의 정황 역시 그 연장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리치가 속했던 예수회 내부의 보수 인사, 또는 도미니칸, 파리외방전도회 등 후발주자들의 ‘배타적인 문화관’이 초기 예수회 선교사들의 선교정책에 도전하면서 ‘전례논쟁’이 발생하였다. 그와 같은 배경은, 유럽에서 예수회가 시작될 때 이미 배태된 것이었다. 스페인 살라만카대학의 제2토미즘은 남미에서의 선교경험을 바탕으로 선교지 현지의 토착문화와 사상을 중시한 것인데, 바네즈 등 도미니칸의 소위 칼빈주의에 의해 크게 도전을 받았던 것이다. ‘전례논쟁’은 그러한 논쟁의 연속선상에 있었다. 그밖에 유럽 열강 간에 그리고 선교회 간의 경쟁, 중서간의 갈등이 그러한 갈등을 가속화시켰다. 문화적응 선교와 문화비판적 선교 사이의 논쟁은 선교적 시야를 풍성하게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공격적 분위기는 ‘전례논쟁’을 거치면서 청조의 관용적 종교정책을 중단시키고 말았다. 기독교 선교역사에서 복음이 문화와 만나는 관계는 크게 적응과 변형의 두 형태로 제시된다. 이것은 문화에 대해 복음이 갖는 이중적 과제를 의미한다. 복음은 한 문화권에서 문화순응적인 문화화의 과정을 거치지만 동시에 그 문화로부터 거리를 보유하여야만 문화 변혁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오늘날의 선교해석학은 서구문명화를 기독교 선교의 목표로 오해하여 나타난 서구문화 우월주의, 또 반서구화 토착화 과정에서 복음을 상대화시키고 만 급진적 토착화론을 모두 문화적 낙관주의로 비판하고 있다. 그 모두는 문화의 역기능을 간과한 것들이다. 그러나 또 한편 문화를 떠나서 복음을 경험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문화로부터의 거리(Distanz)를 존중해야 하지만, 복음의 편향적 이해를 극복하고 풍성한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복음과 문화와의 상호해석을 도모하게 된다. 명말청초 ‘전례논쟁'의 전개과정은 기독교의 복음과 문화 이해가 본격적으로 개입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당대나 원대, 그리고 19세기 제국주의 시기와는 달리 명말청초의 예수회에 의한 선교는 의식적인 대화가 진행되었고, 상당한 진전을 이룬 것도 사실이다. 이 시기의 천주교는 그 정체성을 드러냄으로 말미암아, 기독교와 중국문화 사이에 일정 정도의 장력(張力)이 조성되었고, 그 기초 위에서 조화와 대립의 다양한 국면을 보여주었다. 명말청초의 ‘전례논쟁’은 복음과 문화의 유사성, 그리고 토착화의 내용을 명료하게 할 복음의 초월적 성격을 한꺼번에 보여준다. 오늘날 본토화에 주력하고 있는 중국 종교학자들에게, 상호해석학적 가능성을 열어주는 역사적 사례인 것이다.

      • KCI등재

        명말청초 ‘전례논쟁'의 선교사적 이해

        김병태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08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8 No.-

        철저하게 변방문화로 시작된 중국의 기독교는 애초에 입고 들어온 문화를 주장할 수 없었고 주저 없이 중국문화의 옷으로 갈아입고 등장하였다. 唐代와 元代의 기독교는 도불(道佛)의 용어를 대폭 수용하여 중국화를 꾀하였다. 반면에 명말청초 시기의 천주교는 이전 시기와 달리 나름대로 자기전통을 의식하면서 중국문화를 도입한 것이 특징이었다. 그리하여 예수신앙과 유학간의 의식적인 접촉 곧 ‘대화’(耶儒對話)가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복음과 유교사상과의 접촉면 즉 유사성이 추구되었고, 나아가서 ‘보유’(補儒), ‘초유’(超儒) 등의 개념에서 보이듯 ‘남경교안' 시기 강남지역의 사회개혁사상으로 발전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조선에 처음 천주교 서적이 소개된 당시의 정황 역시 그 연장선상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리치가 속했던 예수회 내부의 보수 인사, 또는 도미니칸, 파리외방전도회 등 후발주자들의 ‘배타적인 문화관’이 초기 예수회 선교사들의 선교정책에 도전하면서 ‘전례논쟁’이 발생하였다. 그와 같은 배경은, 유럽에서 예수회가 시작될 때 이미 배태된 것이었다. 스페인 살라만카대학의 제2토미즘은 남미에서의 선교경험을 바탕으로 선교지 현지의 토착문화와 사상을 중시한 것인데, 바네즈 등 도미니칸의 소위 칼빈주의에 의해 크게 도전을 받았던 것이다. ‘전례논쟁’은 그러한 논쟁의 연속선상에 있었다. 그밖에 유럽 열강 간에 그리고 선교회 간의 경쟁, 중서간의 갈등이 그러한 갈등을 가속화시켰다. 문화적응 선교와 문화비판적 선교 사이의 논쟁은 선교적 시야를 풍성하게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공격적 분위기는 ‘전례논쟁’을 거치면서 청조의 관용적 종교정책을 중단시키고 말았다. 기독교 선교역사에서 복음이 문화와 만나는 관계는 크게 적응과 변형의 두 형태로 제시된다. 이것은 문화에 대해 복음이 갖는 이중적 과제를 의미한다. 복음은 한 문화권에서 문화순응적인 문화화의 과정을 거치지만 동시에 그 문화로부터 거리를 보유하여야만 문화 변혁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오늘날의 선교해석학은 서구문명화를 기독교 선교의 목표로 오해하여 나타난 서구문화 우월주의, 또 반서구화 토착화 과정에서 복음을 상대화시키고 만 급진적 토착화론을 모두 문화적 낙관주의로 비판하고 있다. 그 모두는 문화의 역기능을 간과한 것들이다. 그러나 또 한편 문화를 떠나서 복음을 경험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문화로부터의 거리(Distanz)를 존중해야 하지만, 복음의 편향적 이해를 극복하고 풍성한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복음과 문화와의 상호해석을 도모하게 된다. 명말청초 ‘전례논쟁'의 전개과정은 기독교의 복음과 문화 이해가 본격적으로 개입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당대나 원대, 그리고 19세기 제국주의 시기와는 달리 명말청초의 예수회에 의한 선교는 의식적인 대화가 진행되었고, 상당한 진전을 이룬 것도 사실이다. 이 시기의 천주교는 그 정체성을 드러냄으로 말미암아, 기독교와 중국문화 사이에 일정 정도의 장력(張力)이 조성되었고, 그 기초 위에서 조화와 대립의 다양한 국면을 보여주었다. 명말청초의 ‘전례논쟁’은 복음과 문화의 유사성, 그리고 토착화의 내용을 명료하게 할 복음의 초월적 성격을 한꺼번에 보여준다. 오늘날 본토화에 주력하고 있는 중국 종교학자들에게, 상호해석학적 가능성을 열어주는 역사적 사례...

      • KCI등재

        제주해녀의 토착지식 기반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방안

        김민호 ( Kim Min 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4

        문화다양성에 대한 요구가 국내외적으로 증가하는 현실 속에서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은 이주의 차원을 넘어 성, 성적 취향, 세대, 계급, 지역, 종교 등 다방면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게다가 지구 생태계의 위기 속에서 토착지식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여는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간주되고 있고, 마침 제주해녀가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제주해녀의 토착지식을 제주의 초·중·고등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일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물론 6차 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의 지역화를 추진한 이래 제주지역 일부 학교들은 제주해녀의 토착지식을 가르쳐왔지만, 학교 수업시간 중 극히 일부만 할애되었고, 전통문화의 보존이나 호기심 충족에 머물렀다. 지속가능한 미래의 가치와 태도 형성은 간과되었다. 이 연구는 제주해녀의 토착지식을 매개로 초·중·고등학생 대상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방안을 탐색했다. 무엇보다 제주해녀의 공동체적, 생태적 세계관의 학습에 주목했고, 제주해녀의 토착지식을 노동, 가정생활, 사회생활 및 학습으로 구분해 총 12개의 교육주제를 선정해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학생들에게 익숙한 주제부터 다루되, 가족이나 지역 어른 중 해녀를 교실이나 현장학습에 초대하여 직접 가르치게 하거나, 교사를 매개로 제주해녀의 토착지식을 전달하는 방법을 강구했다. 제주해녀의 토착지식 기반 다문화교육은 지속가능한 미래와 지식의 민주화에 기여할 것이다.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not only migration but also sex, sexuality, generation, class, locality, and religion because cultural diversity is the common heritage of humanity, a factor in development, and a kind of human rights. In the global ecological crisis, some scholars expect that indigenous knowledge should contribute to a sustainable future. It is important to educate indigenous knowledge of Jeju Haenyeo who was listed on UNESCO`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2016 to Jeju students. This study explored the localized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indigenous knowledge of Jeju Haenyeo. This study focused on student`s learning of the communitarian and ecological world view of Jeju Haenyeo. Indigenous knowledge of Jeju Haenyeo could be divided into 4 modules of labor, family life, social life and learning activity, 12 themes were extracted from 4 modules, and were proposed to link to school curriculum. Also, the themes familiar with students were organized to teach to students earlier than other unfamiliar themes. Some Jeju Haeyeo among students` family members or local adults are invited to teach in classroom or field trips. The localized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indigenous knowledge of Jeju Haenyeo will contribute to sustainable future and democratization of knowledge in Jeju.

      • KCI등재

        湖南地域 前期無文土器文化의 實體와 展開

        천선행 호서고고학회 2016 호서고고학 Vol.0 No.35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early plain coarse pottery of the Honam region agree to the opinion that a complex condition of Garak-dong type and Yeoksam-dong·Heunam-ri type appears in this area. However, there are insufficient reviews on the true nature of the groups of people who formed this complex condition, and also on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ps of both types. This paper examined the influx and the development procedures of the Garak-dong type and Yeoksam-dong·Heunam-ro type, with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hronological records of the early plain coarse pottery from the Honam region as the clues, in order to overcome the aforementioned limitations. As a result, the early plain coarse pottery of the Honam region can be divided into 4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Garak-dong type of the Geum River basin initially flowed into the Mankyung River Basin area; then, in the second stage, the Yeoksam-dong·Heunam-ri type of the Nam River Basin starts flowing into the Southwest Coast area. In the third stage, with these two areas as the central points, it extended up to the Yeongsan River and the Seomjin River, where it was verified that these two cultures underwent progressive assimilation. This complex condition is seen to have been brought by the aspect of the acceptance of indigenous people, and the fact that Jeolla region is situated on a geopolitical location where a small easement is formed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boundaries created by the Noryeong mountain range and the So-baek mountain range, and on a location where it is connected with the memorial areas of the Chung-cheong region and the Yeongnam region, based on the water system. Through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arly plain coarse pottery culture of the Honam region is not an evidence of a culturally underdeveloped region that merely accepted the influences of its surrounding cultures, but rather a proof of an open and complex society that constantly forms connections with its surrounding regions, and develop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of the indigenous people. 지금까지 호남지역 전기무문토기 연구는 해당지역에서 가락동유형 및 역삼동·흔암리유형이 복합되는 양상이 나타난다는 점에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복합적 양상을 만들어낸 주민집단의 실체가 무엇이고, 양 유형 집단 간의 관계가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대한 검토가 미진하다. 본고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호남지역 전기무문토기문화의 분포상과 특징, 편년을 실마리로 하여 가락동유형 및 역삼동·흔암리유형의 유입과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호남지역 전기무문토기문화를 4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1단계에 금강유역의 가락동유형이 만경강유역권에 먼저 유입되고, 2단계부터 남강유역의 역삼동·흔암리유형이 서남해안권으로 유입되며, 두 지역을 주축으로 3단계부터 영산강유역, 섬진강유역으로 파급되어 두 문화가 접변되는 양상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복잡한 양상은 토착민의 수용이라는 측면, 호남지역이 노령산맥과 소백산맥이 만들어낸 지리적 경계에 따라 소지역권이 형성되고, 수계를 바탕으로 충청지역 및 영남의 제지역과 연결되는 지정학적 위치에 있기 때문으로 보았다. 즉 호남지역 전기무문토기문화는 금강유역의 가락동유형, 남강유역의 역삼동·흔암리유형과 돌대문토기문화, 남한강유역의 돌대문토기문화라는 주변지역 무문토기문화와의 개별적 지역관계를 바탕으로 형성 및 전개되었다. 이상으로 호남지역 전기무문토기문화는 주변지역과 끈임 없는 관계를 맺으며 토착 내부의 사정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되는 개방적이고 복잡한 사회였음을 알 수 있고, 이어지는 송국리문화와 세형동검문화가 번성하는 밑거름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어 읽기 이해에 문화 스키마가 미치는 영향 연구

        장미경,이승연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3 No.-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understand how much learners’ cultural schemata influences reading comprehension. The study found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cultural schemata or the cultural familiarity with the understanding of reading materials. In addition, unlike the previous research, which stated that, “the learners achieved higher inferential comprehension of the reading materials, when the given text were related with their culture.” the learners without cultural familiarity with the text also showed high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s, which indicate the needs for further study. The research attempted to modify Korean essays by using the “nativization method”, but the targeted subjects for modification only existed in Korean culture, which made it difficult to replace using other culture’s element. Therefore, additional studies with more detailed structure on using the nativization method need to be conducted. In conclusion, both the teachers and the learners believed the cultural knowledge is an important factor when understanding the reading materials. But unlike the teachers, who believed understanding the linguistic expressions, such as, metaphors, implications, and symbolic expressions, were necessary for reading comprehension; the learners believed understanding Korea’s special cultural characteristics, farming culture and customs, and family relations were mo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learners emphasis on understanding shows that the teachers need to focus more on the learners’ circumstances and demands, when providing information on improving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본 연구는 문화 스키마가 학습자들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문화 스키마, 혹은 문화적 친숙도가 두 집단의 종합적 이해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문화적으로 친숙한 텍스트를 읽을 때 추론적 이해에 있어 더 높은 성취를 보였다’고 주장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으로 친숙하지 않은 집단의 학생들이 추론적 이해에서 더 높은 수행을 보이기도 하여 기존의 주장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수필 텍스트를 이용하여 ‘토착화(nativization)’라는 텍스트 변형을 시도하였으나, 변형 대상으로 선정된 부분들이 대부분 한국 문화에만 특수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타문화 요소로 대체하기 어려워 토착화 작업이 수월하지 않았으며, 텍스트의 토착화 방안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와 교사는 모두 텍스트 이해에 있어 문화 지식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보였으며, 동일한 텍스트를 접하고 그 이해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문화 지식에 대해 대체로 일치된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교사들은 언어적 표현, 즉 비유적, 함축적, 상징적 표현을 학습자가 알아야 한다고 본 데 반해 학습자들은 한국의 특수 문화, 농경문화나 풍습, 가족 관계 등에 주목하고 있어 서로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교사가 학습자들의 읽기 이해를 높이기 위한 문화 스키마를 제공할 때, 학습자의 상황과 요구를 더욱 적극적으로 살펴야 함을 암시한다.

      • KCI등재

        문화신학의 해석학적 과제에 대한 고찰 ― 폴 틸리히의 “문화신학”과 김광식의 “토착화신학”의 비교 연구

        신용식 ( Shin Yongshik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2 No.-

        본 연구는 우리 교회의 현재적 과제를 문화신학과 관련하여 상술하기 위해서 필자는 문화적 현실에 대한 서양적 관점과 동양적 관점을 신학적으로 종합하고자 했다. 하나님에 관한 신학적 진술을 위해서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이야기를 문화적 특수성에 가두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님을 각 인간적 현실을 포괄하는 존재로서 진술하는 것이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서양적 사유방식과 동양적 사유방식을 종합적 지평에서 개관할 수 있는 포괄적 관점을 추구하고자 했다. 이러한 지평을 위해서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문화적 차이를 넘어서면서도 그것을 완성으로 이끄는 지점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바로 이 지점을 우리는 신율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신율을 주제화하기 위해서 필자는 두 가지의 문화신학적 작업을 분석하고 비교하였으며 그리고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그것은 폴 틸리히의 문화신학과 김광식의 토착화신학이다. 하지만 이 과제와 관련하여 필자의 관심은 틸리히의 문화신학과 김광식의 토착화신학의 신학사적 의미를 자세하게 분석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 둘을 포괄하는 해석학적 관점에서 오늘날 우리의 정신적 상태에 대한 상호문화적 고찰을 위한 조직신학적 요구들을 간략히 진술하고자 한다. Damit gegenwärtige Aufgabe unserer Kirchen hinsichtlich der Kulturtheologie eingehend erörtert wird, unternehme ich eine grosse theologische Synthese von einer westlichen und einer östlichen Perspektive zu kultureller Wirklichkeit. Für das theologische Reden von Gott geht es in Wahrheit nicht um eine Begrenzung des göttlichen Storys auf den kulturellen Spezifikum, sondern darum, Gott als den jede menschliche Wirklichkeit Umfassenden zu reden. Also handelt es sich um eine übergreifende Perspektive, welche sowohl die westliche als auch die östliche Denkweise in den synthetischen Horizont einführen kann. Für diesen Horizont ist es nötig, den die kulturellen Unterschiede überschreitenden und sie sinnvoll in die Erfüllung führenden Punkt deutlich zu machen. Diesen Punkt kann man als Theonomie verstehen. Um diese Theonomie zu thematisieren, möchte ich zwei kulturtheologische Arbeite analysieren, vergleichen und umfassend in Betracht ziehen: Kulturtheologie Paul Tillichs(1886~1965) und Indigenisierungstheologie Kwang-Shik Kims(1939~). Aber im Anschluss an dieser Aufgabe ist es gar kein mein Interesse, die theologiegeschichtlichen Bedeutungen der Kulturtheologie Tillichs bzw. der Indigenisierungstheologie Kims ausführlich zu analysieren. Sondern ich möchte nur die systematisch-theologische Forderung zu einer interkulturellen Betrachtung unserer geistlichen Lage der Gegenwart durch eine umfassende hermeutische Perspektive entwerf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