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토양의 민속분류 양상과 특징

        김재호 국립민속박물관 2017 민속학연구 Vol.0 No.40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addy soil classification through the examples of mountain villages, riverside villages, and island villages, while analyzing the scientific meanings of folk classification by comparing the contents of folk classification with pedological analysis. Comprehensively considered, ethnopedology basically employs the ethnoscientific approach as ethnozoology or ethnobotany does, being significantly related with pedology whose approach is centered on scientific analysis.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addy soil investigated from the cases of three local areas is respectively classified into ‘nuunjil’(lying soil) vs. ‘seonjil’(standing soil), ‘jilddang’(muddy soil) vs. ‘sabalddang’(sandy soil), and ‘bonddang’(good soil) vs. ‘ggaetmukddang’(sesame-dregs soil). Such classification can be explained as the rough comparison between clay loam and sandy loam, though there are some discrepancies from the pedological perspective. The ‘ggaetmukddang’ in Cheongsan Island notably has been used for rice paddy on its historical and sociological conditions, being not proper for rice paddy. Paddy soil has been mainly classified according to its draining degree regardless of its location, which leads to general classification of either clay loam or sandy loam. The draining degree of soil is a fundamental factor of classification discussion owing to its close correlation with irrigation, weeding, and rice quality. Soil fertility or its chemical characteristics are not regarded as the major criterion in folk classification of paddy soil. That indicates the characteristics of paddy soil folk classification as well as the empirical knowledge and perception of farmers who treat their rice paddy as arable land for a single crop, rice. Paddy soil classification in Korea is not based on specific facts or a tangible single criterion but formed through accumulated empirical knowledge and perception on the soil, which is the main requisite of the empirical science. In conclusion, paddy soil folk classification in Korea is the classification method and approach which differs from the scientific taxonomy method of pedology which mainly adopts the soil analysis. 이 글은 산촌, 강촌, 그리고 도서지역의 사례를 통해 논토양에 관한 민속분류의 특징을 살핌과 동시에 민속분류의 내용과 토양학적 분석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민속분류가 갖는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종합적으로 볼 때, 민속토양학(ethnopedology)은 민속동물학(ethnozoology)이나 민속식물학(ethnobotany)과 마찬가지로 민속과학(ethnoscience)으로서의 성격이 강할 뿐만 아니라 과학적 분석을 주요 학문 방법으로 하는 토양학(pedology)과도 깊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논의의 주요한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3곳의 지역사례에서 조사된 논토양의 민속분류 양상은 ‘누운질’과 ‘선질’, ‘질땅’과 ‘사발땅’, ‘본땅’과 ‘깻묵 땅'으로 각각 확인되었으며, 이는 토양학적으로 볼 때 다소 차이가 있긴 하지만 크게 보아 양토(壤土)와 사양토(砂壤土)의 대비로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청산도의 ‘깻묵 땅'은 토양학적으로 논토양으로는 적절하지 못한데도 지역의 역사적 사회적 조건 속에서 논으로 이용되었다. 논토양에 관한 민속분류 방식은 산촌, 강촌, 그리고 도서해안지역 모두 토양이 갖는 배수성(排水性)이 주요한 기준이 되었으며, 그 결과 찰흙과 모래흙의 2종류로 대별하여 분류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토양의 배수성은 수리(水利)뿐만 아니라 제초작업이나 최종 수확물인 벼의 미질(米質)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분류 논리의 기저가 되고 있다. 토양이 갖고 있는 비옥도(肥沃度)나 화학적 성질 등이 주요한 분류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을 터인데 적어도 논토양의 민속분류에서는 그렇지 않은 것이다. 이는 논토양의 민속분류가 갖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벼 중심의 단일 작물을 연작하는 경작지로서 논을 대하는 농민들의 오래된 경험적 지식이자 인식이기도 하다. 이렇게 볼 때 민속토양분류는 특정 사실이나 단일의 기준 혹은 근거에 의거한 분류가 아니며, 토양에 관한 많은 축적된 경험적 지식과 내용들이 아우러져서 형성된 경험과학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은 토양분석을 주 방법론으로 취하는 토양학의 과학적 분류방식과 구별되는 민속분류의 방식이자 논리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주요 토양유형의 공간적 분포와 토양형성요인을 이용한 예측가능성 평가

        박수진(Soo Jin Park),손연규(Yeon-Kyu Sonn),홍석영(Suk-Young Hong),박찬원(Chan-Won Park),장용선(Yong-Seon Zhang) 대한지리학회 2010 대한지리학회지 Vol.45 No.1

        이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분류법에 근거한 대토양군과 신분류법에 근거한 대군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고, 토양형성과 관련된 각종 환경요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의사결정나무기법을 이용하여 토양분포의 예측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대토양군의 경우에는 분포를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환경요인을 이용한 예측가능성면에서는 대군에 뒤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토양분포를 결정하는 요인들로는 산지와 평탄지가 뚜렷하게 구분되는 한국의 지형특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부차적으로 기후특성, 그리고 사면을 따라 나타나는 토양연속성이 제시되었다. 의사결정나무기법을 이용한 토양의 예측가능성 평가에서는 예측변수의 수와 종류에 따라 35%에서 75%의 분류정확도를 보여주었다. 신분류법의 경우에는 지형요인이 가장 중요한 예측변수로 평가된 반면, 구분류법의 경우에는 기후변수가 중요한 예측변수로 평가되어 대조를 보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soil types in Korea, and to assess the ability to predict soil distribution using environmental variables. A classification tree method was used to assess soil predictability. While the great soil groups can give more intuitive understandings on their spatial distributions, its predictability using environmental factors i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great group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soil types is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 of Korea that shows distinctive morphological difference between mountains and plains. Spatial distribution of climatic variables and catenary soil sequence along slopes play additional roles in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soil types. The classification tree models resulted in 35-75% of prediction accuracy, depends on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environmental variables brought in the models. While geomorphological variables are the best predictors for the great groups, climatic variables perform better for the great soil groups.

      • KCI등재

        토양특성을 이용한 우리나라 토양에 적합한 토양발달지수 개발

        이단비,이은진,이태구,정하일,김명숙,손연구,김계훈 대한지질학회 2025 지질학회지 Vol.61 No.1

        토양은 모재, 기후, 생물, 시간, 지형 등의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아 끊임없이 변화하는 동적인 자연체이다. 인간 활동에 의해 기후 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토양 발달 패턴도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토양 관리 및 활용을위해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 토양 발달은 정성적으로 평가되고 있으므로 토양 특성을 이용한 토양 발달 정량화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을 통해 토양 발달 요인을 파악하고, 토양 발달 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문헌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토양에적합한 토양 발달 요인으로서 토색(적색도), 점토 함량, 양이온 교환 용량, 교환성 양이온, 유효 토심, 토양 구조(등급), pH를 선정하였다. 토양 발달 지수를 개발하기 위해 토양 층위별 데이터를 수집하여 용탈층과 집적층을 비교하여 하나의 토양 단면 값을 계산하였다. 토양의 생성을 일반화 할 수 없는 인위토양, 화산회토, 유기질 토양 등을 제외한 총 301개의 토양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토양 발달 지수는 정규화된 인자 값의 합을 인자의 개수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우리나라 토양의 발달 지수 값은 최소 0.009에서 최대 0.673의 범위를 나타냈다. 지수를 검증하기 위해 토양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분산 분석과 판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Alfisols와Ultisols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Inceptisols와 Entisols와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토양발달지수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판별 분석 결과 Alfisols/Ultisols는 83.3%, Inceptisols는 78.9%, Entisols는 72.1%의 정확도를 나타냈으며, 감식 차표층은 Argillic horizon이 93.0%, Cambic horizon이 72.6%, 전체적으로 80.4%의 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토양 발달 지수는 소수의 특성만으로 토양 발달을 용이하게 평가할 수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지수는 토양 특성 예측 및 토양분류에 활용이 기대된다. Soil is a dynamic natural body that changes continuously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parent material, climate, biological factors, time, and topography. As climate change accelerates due to human activities, soil development patterns are also shifting, making it essential to understand these changes for effective soil management and utilization. However, since soil development is not a quantifiable property, it must be quantified through characteristic analysis to facilitate prediction and management. This study aimed to (1) identify soil development factors through literature, (2) develop a soil development index, and (3) use this index to evaluate soil development in Korea. Through data surveys, soil color (redness), clay content, cation exchange capacity, exchangeable cations, effective soil depth, soil structure (grade), and pH were selected as suitable soil development factors for Korean soils. To develop the soil development index, data from each soil layer related to each factor were compiled, and values were calculated by comparing eluvial and illuvial horizons. The properties of the B horizon were predominant, and layers with properties of both A and B horizons, such as the BA layer, were classified as B horizon for calculation. A total of 301 soil containers were analyzed, excluding volcanic ash soils, organic soils, anthropogenic soils, and others that could not be compared due to differing properties or analysis methods. In developing the index, each factor’s effect was normalized to the same scale using scaling techniques to account for variations across factors. The soil development index was calculated by summing all normalized factor values for each soil container and dividing by the number of factors. The resulting values for Korean soil development ranged from a minimum of 0.009 to a maximum of 0.673.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index, distribution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soil taxonomy, revealing greater variance between soil order groups than within them. Post hoc analysis indic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fisols and Ultisols, but other group comparis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showed accuracy rates of 83.3% for Alfisols/Ultisols, 78.9% for Inceptisols, and 72.1% for Entisols. Analysis by diagnostic horizon yielded 93.0% accuracy for Argillic horizons, 72.6% for Cambic horizons, and an overall accuracy rate of 80.4%. The soil development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allowing easy assessment of soil development using only a few properties. Furthermore, this index is expected to be valuable in predicting soil properti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 농경지 내 표토 입경 분류를 위한 영상 기반 딥러닝 모델 개발

        김동석 ( Dongseok Kim ),송지수 ( Jaesung Park ),황현정 ( Jisu Song ),배성규 ( Sunggyu Bae ),장성준 ( Seongjune Jang ),김주형 ( Juhyeong Kim ),박재성 ( Hyunjung Hwang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토성은 입도 분포에 따른 토양 구조, 밀도, 공극 등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기초적인 특성이다. 토양의 입경 크기에 따라 체 분류법과 비중계법을 통한 토성 분류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두 가지 방식 모두 상당량 이상의 현장 토양 시료가 필요하며, 정확한 토성 분류에 필요한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 몇 차례 반복적인 실험이 필요하기도 하다. 완전 건조된 토양 시료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건조시간 및 분류 실험을 통해 소모되는 시간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농경지의 6개 지점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들을 이용해 토양 입자 크기별로 분류하여 실내 환경에서 소형 RGB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획득하였다. 완전 건조 상태의 이미지와 일정 간격의 함수비 조건별로 촬영한 이미지를 수집하여 Gray Scaling 및 HSV 색상값 등의 DIP기법과 딥러닝 기법을 통하여 토성의 입자 크기별 분류 모델을 설계하였다. 또한 이 결과는 해당 농경지의 시료 채취 지점의 GPS 데이터와 결합하여 GIS 상에 맵핑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토성 분류과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다수의 농경지를 대상으로 하는 토성 분류 과정을 보다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GPS 정보와 결합한 GIS 프로그램을 통해 다수의 농경지의 토성 정보를 일괄적으로 파악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해당 농경지의 토양의 함수비 및 EC, pH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추가적인 특성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반영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표토 이미지를 통한 토양 입경 분류를 위한 딥러닝 모델 개발

        김동석 ( Dongseok Kim ),송지수 ( Jisu Song ),정은지 ( Eunji Jeong ),황현정 ( Hyunjung Hwang ),박재성 ( Jaesung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토성은 토양 내 입도 분포 정도에 따른 토양의 구조, 용적밀도, 공극률 등의 물리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해 필수적인 정보다. 토양의 입경 크기에 따라 체 분류법과 비중계법을 통한 토성의 분류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두 가지 방식 모두 필요로 하는 시료의 양 및 완전 건조를 위한 시간, 반복적인 실험과정 등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크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표토의 영상 및 이미지에서 입경 별로 분류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선정된 농경지의 6개 지점에서 채취한 토양 시료들을 이용해 체 분류법을 통해 입경 크기별로 분리하여 실내 환경에서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영상 및 이미지을 획득하였다. 완전 건조 상태의 입경 별로 촬영한 이미지를 수집하여 Gray Scaling 및 edge detection 등의 DIP기법과 생성된 데이터셋에 대한 딥러닝 방법을 통하여 토양의 입경 별분류 모델을 설계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토성 분류과정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고 다수의 농경지를 대상으로 하는 토성 분류 과정을 보다 효율적이고 간단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후 토성에 대한 정보 이외에 함수비, 용적밀도 등의 정보들을 수집하여 모델 성능을 개선한다면 영상 기반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일괄적인 판단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습지 생태계에서 사면유형에 따른 토양특성의 공간적 이질성 : 고창 운곡 습지를 사례로

        정관용,임정철,심우진 한국지역지리학회 2022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patio-temporal changes of the topographical landscape, and to understand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soil properties according to topography in Ungok Wetland, Gochanggun, Jeollabuk-do. Five types of hillslope position were classified such as summit, shoulder, backslope, footslope, and toeslope, according to the position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he topographical and hydrological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oi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illslope, the sand content decreased and then increased as it went down the hillslope, but the silt content showed the opposite trend to that of sand. The pH tends to be higher toward the lower hillslope, but the highest value was shown at the backslope, and the highest value of available phosphate was shown at the toeslope. I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soil organic matter content of paddies and forests in Jeollabuk-do and the toeslope in Ungok Wetland, the toeslope showed 4.3 times and 1.6 times higher values, respectively. If it is considered that the current Ungok Wetland is in the process of ecological recovery after disturbance, more organic matter will accumulate in the low wetland in the future, and the soil organic matter content may be higher than that of the present. Therefore, the carbon sequestration function of Ungok Wetland may be further strengthened. It is expected that ecological restoration effects could be increased if ecological restoration is attempted for similar topograph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Ungok Wetland. 본 연구는 전라북도 고창군 운곡습지를 대상으로 지형경관의 시공간적 변화를 살펴보고, 습지 생태계에서 지형에 따른토양의 공간적 이질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형・수문학적 조건을 결정하는 위치적・형태적 특징에 따라 summit, shoulder, backslope, footslope, toeslope 등 5가지 사면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더불어 운곡습지의 전반적인 토양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면유형별 토양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면유형에 따라 각 토양특성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면 모래 함량은 사면하부로 갈수록 낮아지다 높아지는 U자형 패턴이 나타나고 미사 함량의 분포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유기물 함량의 경우 상부 사면에서 하부 사면으로 갈수록 낮아졌다. pH는 하부 사면으로 갈수록 대체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backslope에서가장 큰 값을 보였고, 유효인산은 toeslope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주변 전라북도 논토양과 산림토양 그리고 운곡습지의 저습지에 해당하는 toeslope의 유기물 함량을 비교한 결과, 저습지가 각각 4.3배, 1.6배 더 큰 값을 보였다. 현재 운곡습지는 교란 후 생태회복이 진행되는 과정에 있다고 본다면 향후 저습지에 더 많은 유기물이 축적되면서 현재보다 높은 토양 유기물 함량을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운곡습지의 탄소 격리 기능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운곡습지와 같은비슷한 지형 및 환경 조건을 갖춘 묵논이나 논을 대상으로 생태복원을 시도한다면 효과가 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농민의 환경 인식과 토착적 농사지식: 논 토양 민속분류법의 단순성 문제에 대한 하나의 설명

        안승택 한국문화인류학회 2021 한국문화인류학 Vol.54 No.3

        This article proposes the simplicity problem of the paddy soil folk classification which is found during the fieldwork on local agricultural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recognition, and clarifies that the simplicity of classification system does not mean the knowledge system is simple. Also, I argue that peasants’ empirical knowledge system has an open and horizontal character which is acquired through the interchanges and comparisons with distant villages, rather than through the closed and vertical character inherited within each independent village. Through this argument, we challenge the existing assumptions that restrict the proper social units for cultural inheritance to small communities. For this purpose, the body of this article is comprised of three parts. The first is the research object, the second is its geographical context and research procedure, and the third is the analysis of the field work interview data appropriate for this research purpose and systemic comparisons. In the fourth section, I examine the soil science databases to crosscheck the limits and significance of gathered interview data. At last, we can reach to some general theoretical remarks on the issues related to fork taxonomy and bricolage, and I will propose the new starting point to approach the “simplicity problem of folk classification.” 이 글은 농민의 지역적 재래농법과 환경 인식에 대한 현장연구 중에 발견한 ‘논 토양 민속분류법의 단순성’ 문제를 제시하고, 그 배후에 존재하는 농민적 환경 인식의 특징을 찾아서, 분류법의 단순성이 지식체계의 단순성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농민이 경험적으로 얻는 환경에 대한 지식체계가 각 마을 안으로 닫힌 채 전승되는 폐쇄적⋅수직적 성격보다는, 이웃한 마을이나 지역, 때로 멀리 떨어진 곳과의 교류나 비교를 통해 얻어지는 개방적⋅수평적 성격을 지닌 것이라는 점도 드러내고자 한다. 이는 기술체계나 지식체계를 포함해 문화유산의 전승 단위를 하나의 작은 공동체 규모 단위로 제한하여 이해하는 경향이 있는 기존의 인식에 대해 일정한 문제의 제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글의 제2절에서는 우선 이 연구의 대상과 내용, 연구 과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제3절은 현장연구 면담기록 중 이 글의 맥락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 일관된 비교의 틀을 구성하기 용이하게 조사된 것을 뽑아 정리ㆍ분석한 것이다. 제4절에서는 3 절에서 다룬 현장면담 자료의 한계나 의의를 확인하기 위해 그 내용을 자연과학, 특히 토양학의 성과와 대조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맺음말에서는 이 연구의 결과를 두고 민속분류법 및 브리콜라주 개념을 중심으로 이론적 검토를 진행하고, 분류법의 단순성 문제에 대해 새로운 인식의 출발 지점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