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승객탈출분석 개정 동향 및 인명대피실험 기반 적용 시 고려사항

        류은경,양찬수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추계

        여객선의 안전은 인명의 안전과 직결되므로 이에 발맞추어 국제해사기구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는 빈번히 발생하는 선박의 전복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승객탈출분석 (Passenger Evacuation Analysis) 적용 지침을 꾸준히 개정 및 보완하고 있다. 승객탈출분석의 목적은 설계 단계에서의 탈출 설비의 배치 적합성 판단 및 배치된 탈출 설비를 이용하여 지침 상 규정하는 최대허용탈출시간 (Maximum allowable evacuation duration) 내에 탈출이 가능한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승객탈출분석에 관한 지침의 개정 동향 및 최근 개정된 승객탈출분석 지침 (MSC.1/Circ.1533)의 개정 방향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탈출 해석 관점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개발 중인 인명대피안내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6년 10월 수행 된 인명대피실험과 지침 상 규정하는 고도화 알고리즘 (Advanced algorithm) 기반 승객탈출 시뮬레이션 (Maritime EXODUS)의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지침 적용 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임금 근로빈곤층의 빈곤 탈출에 미치는 요인분석: 직업숙련 유형을 중심으로

        강금봉 한국노동연구원 2016 노동정책연구 Vol.16 No.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factors of the wage working poor to escape poverty according to the types of job skills. When working poor are engaged in jobs that utilize the skills of any type and to present the implications to escape poverty through skill to analyze whether you can escape poverty. The analysis data is the time-series data of KLIPS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from the year 2003 to 2012. The research methodological Framework is Recurrent event analysis's AG and PWP-GT methods. Recurrent event analysis uses when a subject experiences same type of event repeatedly and is found in various areas such as the social sciences, Economics, medicine and public health. The analysis were studied to define the criterion of poverty-exit; earning more than 80% of median income for more than two years. Sensory skills reduce the number of poor escape as thus shown to increase over time and Sensory skills were analyzed by shortening the time as the only escape poverty over time. 본 연구는 임금 근로빈곤층의 빈곤 탈출에 미치는 요인을 직업숙련 유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근로빈곤층이 어떤 유형의 직업숙련을 활용하는 직업에 종사하면 빈곤으로부터의 탈출이 상대적으로 용이한지를 분석하여 숙련을 통한 빈곤 탈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동일한 유형의 사건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형태를 분석할 수 있는 재발사건분석(Recurrent Events Analysis)의 AG 모델로 빈곤 탈출의 발생 횟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고, PWP-GT 모델로 빈곤 탈출 이후에 다음 빈곤 탈출까지의 소요시간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빈곤 탈출 기준을 중위소득 80% 이상을 2년간 유지하는 것으로 분석하였을 때 감각적 숙련은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빈곤 탈출 횟수를 증가시키고, 빈곤 탈출 소요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국제개발협력의 효과와 원조탈출

        박경돈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7 行政論叢 Vol.55 No.4

        The effects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have notified the economic growth and welfare improvement in recipient countries. Research methods as well as development have been deliberately evolving in recipient countries. However, the research pays little attention to exit from recipient country status since previous research mainly focuses on economic growth and welfare improvement. This study mainly tries to deal with the possibility of exit from recipient status, while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for the ODA of donor countries. The results from Survival Analysis of the 47 year period reveal tha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ecipient period and geological position have much stronger effects on exit than economic and societal factors. Half of recipient countries change their status from recipient countries to non-recipient ones in 20 years from an ODA starting point, while all recipient countries no longer hold their status in 40 years. It is found that ODA is a failure as exit from recipient country is one of the most critical successes for ODA. Thus, different ways of delivering and implementing ODA need to be considered. 국제개발협력의 원조 효과는 다양한 영역에서 경제성장과 복지개선으로 관찰된다. 수원국에 대한 원조효과만큼이나 이를 분석하는 연구방법론도 정교하게 진화해왔다. 하지만, 원조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가 수원국의 경제성장과 사회개발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 집중했기에 수원국의 원조탈출 가능성을 원조효과로 인식하고 분석한 선행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경제 및 사회 개발의 효과분석에서 편중현상을 극복하고 공여국에 대한 원조전략에의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수원국 탈출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생존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지난 47년의 원조기간 동안 원조탈출 효과를 분석한 결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력이 경제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보다 더 강하였다. 수원국 탈출에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원조시기, 수원국의 지리적 위치 등과 같은 수원국의 환경적 특성으로 밝혀졌다. 수원국은 원조를 받은 후 약 20년이 지나면 50%의 탈출가능성이 있으며, 42년이 지나면 모두 원조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원조탈출을 원조의 궁극적 효과로 본다면 탈출기간이 너무 길어 실패이다. 공여국은 수원국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면서 국제개발협력의 효과로 원조 탈출을 가속하는 원조방법 및 효과적인 원조경로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미국 노인들의 빈곤이행에 대한 삶의 사건들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애 ( Young Ae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빈곤노인들에 대한 노년기 삶의 다양한 경험들의 영향과 빈곤이행 경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는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고, 노인빈곤은 개인들의 삶을 통틀어 복잡한 인관관계에 의해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노인빈곤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고령화시대를 맞이하는 기본적인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미국의 “Health and Retirement Study”(HRS)로 2년에 한번씩 수집되는 전국적인 패널조사이다. 본 연구는 노인빈곤의 특성과 빈곤이행에 대한 동태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HRS가 처음으로 수집되었던 1992년부터 가장 최근의 자료인 2006년까지 총 8차년도의 자료를 대상으로 50세 이상(HRS 원자료의 표본이 50세이상부터 표집되었음)의 30,405명의 노인들을 조사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5년간의 미국의 동태적인 노인빈곤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빈곤탈출, 빈곤재진입 위험율을 추정함에 있어 Kaplan-Meier product-limt 추정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노인의 빈곤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노년기 삶의 경험들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이산시간위험모델(discrete-time hazard model)을 적용하여 빈곤진입과 빈곤탈출 모형을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다변량분석기법은 노인빈곤에 대해 관찰되지 않는 이질성을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도움을 주게 되며, 나아가 노인빈곤의 원인을 보다 실질적으로 규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의 대략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Kaplan-Meier product-limt 추정법을 이용하여 전체 응답자들의 지난 15년간의 빈곤탈출율과 재진입율을 분석한 결과, 빈곤지속기간이 증가할수록 빈곤탈출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빈곤기간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빈곤재진입율은 약 10%정도로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빈곤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이산시간위험모델로 분석한 결과, 노인빈곤진입에 영향을 주는 사건들로는 은퇴와 나빠진 건강상태로 나타났으며, 빈곤탈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는 은퇴, 증가된 총자산, 정부 복지프로그램의 수급자 선정 등의 사건들로 나타났다. 생애변수 선정된 총 노동시장 참여 년수와 결혼지속년수는 노인의 빈곤진입과 탈출에 모두 주요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빈곤지속기간이 증가할수록 빈곤탈출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한번 빈곤에 진입한 노인들의 경우는 그들의 노년기를 빈곤하게 보낼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노인들의 빈곤 재진입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결과를 통해 노년층의 소득수준이 빈곤선 이하로 떨어질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은퇴의 경우 빈곤진입과 탈출에 모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은퇴기 이후를 대비하기 위한 노년기 소득보장대책이 강화되어야 함을 제언할 수 있다. 노년기는 생애과정을 통해 축적된 적정한 수준의 경제적 안정이 보장되어 있지 않거나, 만성질환의 발생으로 인한 건강악화로 인해 최소한의 경제적 안정없이 생을 마감해야 할지도 모르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경제적으로 취약한 노인집단인 빈곤노인들과 장애노인들의 건강불균형을 정책적으로 해소하고 그들을 위한 각종 보장혜택을 강구하는 방안이 고민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kelihood of poverty transition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events on poor elderly. This study is important because the aging population has grown rapidly, and elderly poverty involves many complex relationships across an individual`s life span.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elderly poverty and to provide considerable policy implications for elderly demographic changes in the future. The data for this study are from the years 1992-2006 of the Health and Retirement Study(HRS) and the sample consists of 30,405 elderly individuals from eight waves. To examine the incidence and dynamics of elderly poverty, the poverty exit(re-entry) hazard rate based on Kaplan-Meier product-limit estimates are used. Entry into and exit from elderly poverty models are separately used to estimate the con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transition and multiple trigger events as well as various covariates using the discrete-time hazard model. These multivariate techniques show a more realistic picture of elderly poverty transition in terms of providing a preliminary explanation of the unobserved heterogeneity of the elderly poverty. The major findings are: (1) in terms of poverty entry and exit rates, the exit rate was decreased during the 1990s, but the rate was increased during the 2000s while the entry rate fell somewhat during the 1990s and rose somewhat during the 2000s; (2) as the length of the poverty spell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poverty exit decreased; (3) as the non-poverty duration increases, the poverty reentry rates are constant at around 10 percent; (4) retirement and a negative change in health condition both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lderly poverty entry, while retirement, increase in total wealth, and becoming insured from any government health program all have significant effects on elderly poverty exit; and (5) life history variables, such as total years of work and length of marriag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both elderly poverty entry and exit. Results from the hazard rates(exit and re-entry rate) imply that a person who falls into poverty during his or her elderly years is highly likely to remain poor because the exit probabilities fall as the length of the poverty spell increas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constant re-entry rates infer that the elderly population is exposed to the risk of falling to an income that puts them below the poverty line. Results from multivariate analysis suggest that retirement has an important role in elderly poverty transition and a negative change in health condition also has positive impact on elderly poverty entry. Thus, effective income support programs and social policies for the elderly help to prevent elderly individuals from becoming poor.

      • KCI등재

        장애인의 실업탈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남정휘,최영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3 재활복지 Vol.17 No.4

        본 연구는 실업의 장기화, 장애차별현상 등 장애인노동시장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장애차별변수를 활용하여 장애인의 실업탈출과 이와 관련된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의 3차~5차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료를 구성하고 실업탈출(취업)과 관련하여 사건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기간에 따른 실업탈출가능성의 변화를 생명표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최장 실업기간(25개월)까지 실업상태로 남아 있는 비율은 90.5%이고, 노동시장에 진입한 비율은 9.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실업유지율은 매우 높게 나타났고, 실업탈출 가능성은 12개월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업탈출에 영향을 요인을 파악하고자 콕스비례해저드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남성일수록, 비수급가구일수록, 경증일수록, 직장차별경험이 없을수록 실업탈출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장애인의 실업탈출(취업)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우선 고용상에 발생하는 장애차별을 해소할 수 있는 장애인차별금지제도를 보다 강화해야 하며, 기초수급 장애인들의 근로를 유인할 수 있도록 현행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를 보완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업탈출에 어려움이 있는 여성장애인, 중증장애인 등과 같이 정책대상을 보다 세분화하여 개별욕구와 특성에 부합하는 고용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hazard of unemployment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rate. Data came from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2010-2012, which is a longitudinal survey for 5,092 disabled people in Korea. Fo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he life-table method was used for describing the patterns of unemployment duration by disabled, and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used to identify significant factors on the unemployment du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life table analysis, the unemployment rate to remain until the longest period of unemployment(25month) is 90.5%, and the rate of entry into the labor market was only 9.5%. Overall, the unemployment maintenance rate was high, the unemployment escape rate decreased after 12month. Second, looking at the results from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the unemployment escape possibility were increased for those who are male, are non-public benefit recipient with disability, have mild disability, and have less discrimination experiences. With these results,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which can reduce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site should be strengthened. Also, the scheme of Nation Basic Protection Program should be modified to attract the employment of recipients with disability. Finally, policy targets having employment escape difficulty, such as women with disability,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should be departmentalized. And employment service is provided in accord with the individual needs and characteristics.

      • 가구 생계부양형태에 따른 빈곤지속기간과 빈곤탈출확률 결정요인

        조막래,이순아 한국지역발전학회 2012 지역발전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가 개별 가구의 빈곤이행특성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한국노동패널 종단 데이터(2차년도~10차년도)를 사용하여, 생명표분석(life table analysis)과 이산시간분석(discrete time analysis)을 통해 생계부양형태별 빈곤지속기간과 빈곤탈출확률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이인생계부양형태 가구가 일인생계부양형태에 비해 빈곤 지속기간이 더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인생계부양형태 가구의 빈곤탈출 이후 1년 이내 재진입율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산시간분석을 통하여 빈곤탈출확률을 분석한 결과 빈곤지속기간이 길어질 수록 빈곤탈출확률이 크게 감소하는 부적기간효과(negative duration effect)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증가로 이인생계부양가구로 전환과정에 놓여있는 한국사회에서 이인생계부양가구의 빈곤이행 특성이 더욱 열악한 실정임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서구 복지국가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이인생계부양가구의 확대가 후기산업사회의 제반 구조적인 사회문제-빈곤, 불평등, 저출산 및 고령화 등-해결의 대안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근본적인 구조개선과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지원을 위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이들이 빈곤 상태에서 장기화되지 않도록 탈빈곤을 위한 단기적 접근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코로나19 전후 시점에서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빈곤탈출에 미치는 영향

        현옥주,정광열 한국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학 Vol.75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poverty exit for the elderly through comparison of pre-and post-COVID-19 pandemic, focusing on the government’s senior job program.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KoWePS) was used, and the determinants of poverty exit for those aged over 65 were analyzed in two cohorts between 2017-2019 and 2020-2022. To this end,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was conducted at the beginning of each cohort, and the data of each cohort was merged. Also, the Cox's Profess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poverty exit for the elderly pre-and post-COVID-19 pandemi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of all, it was shown that the senior job program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or the elderly’s poverty exit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However, while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t-COVID-19, it was ineffective in helping the elderly exit poverty. Second, the government's decommodification policy, which combines social insurance income and public transfer income post-COVID-19, also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escaping poverty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overnment should endeavor to achieve the original goal of the senior job program, and it is necessary to optimize the decommodification policy in order to protect the vulnerable elderly from COVID-19.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 시점에서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노인의 빈곤탈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노인일자리사업의 보충적 소득보장제도 기능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조사(KoWePS)를 활용하였고, 코로나19 전후 시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7년~2019년과 2020년~2022년 두 개의 코호트에서 노인일자리사업을 중심으로 만 65세 이상의 노인 빈곤탈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 코호트 시작 시점에서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을 실시하였고, 균형패널로 맞추어 생존분석 중 콕스 비례위험회귀모형(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코로나19 발생 이전 시점에서 노인일자리사업은 노인의 빈곤탈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코로나19 발생 시점에서는 빈곤탈출을 도모하지 못하였다. 둘째, 코로나19 발생 이전 시점에서 사회보험소득과 공적이전소득을 합친 정부의 탈상품화 정책은 노인의 빈곤탈출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코로나19 발생 시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의 질적 개선, 급여수준 증진, 그리고 탈상품화 정책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 KCI우수등재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탈출 분석

        심진예(Sim, Jinye)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4

        본 연구는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의 빈곤의 양상과 빈곤탈출 요인을 동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장애인고용패널조사(1∼6차년도)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가구의 근로빈곤율은 전 체 근로빈곤율의 약 3배 정도 높은 수준이며, 장애인 근로빈곤층의 규모는 전체 장애인 빈곤층의 평균 21.4%를 차지해 근로빈곤은 장애인 빈곤의 주요한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인구의 단기간의 빈 곤탈출확률은 60%를 넘어서는데 비해 근로빈곤층 장애인가구는 54.6%에 그쳐 빈곤탈피가 어려운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활동요인은 장애인가구의 근로빈곤의 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나, 취업은 반드시 빈곤의 탈출로 귀결되지 않으며, 근로시간, 종사상 지위 등의 취업의 질이 빈곤탈출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장애인 근로빈곤의 해소를 위해 장애인의 고용지속성 확보 와 더 나은 일자리로의 상향이동 촉진, 장애친화적인 근무환경 조성 그리고 사회안전망 내실화가 필요 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poverty transition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from a dynamic perspective.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data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Year 1-6), included the households with a disabled head of household. The working poor were defined as the household of which income fell below 120% of the absolute poverty line among the households just described. As results, The 6-year mean poverty rate for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included in the analysis was 31.4%, approximately three times of the poverty rate of the total population and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were found to have greater difficulty with poverty exit once having fell into poverty than all households living in poverty. And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activity factor was the key determinant of in-work poverty. In addition, employment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did not lead straight to poverty exit, and the quality, rather than the status of, employment was the key determinant of poverty exit.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it is essential to increase decent jobs, expand the social safety net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and establish poverty reduction measures for each class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to exit from poverty.

      • KCI등재

        A Study on Passenger Safety Improvement Methods through the Analysis of Evacuation Equipment on Passenger ships

        Lee, Jin-Woo(이진우),Kim, E-Wan(김이완)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7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6

        이 연구는 세월호 사고 이후 변화하고 있는 국민의 안전의식에 부합하여 여객선에서의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여객선 안전장비 기준과 여객선에 설치되는 주요 안전장비별 기준을 분석하고, 여객선 탈출 장비 사용에 따른 소요시간을 비교 분석하여 비상 시 승객이 여객선에서 탈출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여객선 탈출 장비는 구명정, 구조정, 데비트형 구명뗏목, 투하식 구명뗏목, 해상탈출설비(MES) 등 다양하지만 국내를 운항하는 여객선의 경우에는 대부분이 투하식 구명뗏목을 설치하고 있다. 비상 시 탈출시간은 연령별, 성별, 장비관련 교육 이수 여부, 부상여부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증가하는 크루즈 여행객과 연안에 거주하는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증가하는 노약자 여객의 비상 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여객선 피난장비를 설치할 때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교통약자를 포함한 모든 여객선 승선인원이 쉽고, 빠르고, 안전하게 선박을 탈출할 수 있도록 해상탈출설비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As a way to improve the safety of passenger ships in accordance with the safety awareness of the people that has increased since the Sewol accident, this study discusses ways to shorten the time to evacuate from the passenger ship through analysis of the standards of passenger ships’ lifesaving appliances and comparison of Embarkation and Launching duration(E+L) in several types of survival crafts. There are various lifesaving appliances including lifeboats, rescue boats, davit launched liferafts, inflatable liferafts and MES that can be installed on passenger ships. However, most of local passenger ships are equipped with inflatable liferafts. Escape times vary according to age, gender, equipment, training and injuries and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using passenger ships is increasing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ruise travelers and an aging population living on the coast in Korea. Thus,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passengers in case of emergency,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mobility disadvantaged persons when installing passenger ship evacuation 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stalling MES additionally to make it easier, quicker and safer to escape the ship and to ensure the safety of everyone on board.

      • KCI등재후보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관혈적 수핵 제거술에 따른 재발률과 생존율

        양보규(Bo Kyu Yang),하정현(Jeong Hyun Ha),한성호(Sung Ho Hahn),이승림(Seung Rim Yi),정선욱(Shun Wook Chung),안영준(Young Joon Ahn),김민석(Min Seo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적: 요추 추간판 탈출중의 관혈적 수핵 제거술에 따른 진성 재발률(true recurrence rate)을 추정하고, 추시 가능한 증례만을 포함하는 기존의 단순 재발률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척추 전방 전위증, 척추 분리증, 척추관 협착증 등의 척추 기타 병변이 동반되지 아니하고, 단일 병소에만 발생한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하여 관혈적 수핵 제거술을 시행 받은 30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과 방사선학적 결과 및 전화 조사를 병행하여 후향적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전례에서 추간판 탈출증의 진단은 MRI를 통하여 확진하였다. 재발의 판정은 증상의 재발 및 MRI의 확진이 동반된 경우로 한정하였으며, 타 병원에서 같은 부위의 재발로 진단받고, 재수술 받은 경우도 포함하였다. 장기추시에 따른 증례 탈락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통계학적 생존분석 (survival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생존분석은 해당 증례의 모든 환자가 동시에 수술 받았다고 가정하고 최종 추시기간이 11년까지 포함하는 생명표(life table) 방법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5.9년(1-11년)의 장기 추시 중 18%의 추시 소실이 있었다.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252명(82%)의 경우, 남녀 비는 11.6:1로 남자가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27.1세(17-75세)였고, 가장 많은 발생 부위는 요추 제 4-5번간(74%)이었다. 추시 가능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단순 재발률은 8.3% (21예)였으며, 이 중 요추 제 4-5번에서(16예; 76%)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추시 중 소실된 증례를 포함하는 생존 분석의 경우, 연간 재발률(annual recurrence rate)이 수술 첫해에 가장 높은 3.4%를 나타났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추시 9년에 누적 생존율(cumulative survival rate)은 88.9%로 나타났으며, 이후 최종 추시 11년까지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이에 따른 장기 추시 재발률은 11.1%로 추정되었다. 결론: 생존 분석을 이용하여, 장기 추시에 따른 증례 소실을 고려한 진성 재발률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수술 후 재발률은 추시 기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연간 재발률은 추시 기간의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인 진성 재발률은 추시 가능한 증례만을 이용한 단순 재발률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true recurrence rate of lumbar disc herniation after open discectomy, and to compare these results with those from other studi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992 to June 2002,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logical findings, including a telephone survey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This study examined 306 cases, who had been operated by an open discectomy on a single level and had no other spinal lesions such as spondy-lolisthesis, spondylolysis, or spinal stenosis. MRI was used to confirm the diagnosis of a lumbar disc herniation in all cases. The recurrence of lumbar disc herniation was diagnosed only in those cases who had the same pattern of symptoms and was confirmed by MRI. The cases who had undergone additional surgery at another hospital at the same spinal level were also included as recurrence. In order to make up for weak points such the losses to a long term follow-up, statistical surviv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a life table method. In the life table method, the assumption is that all patients undergo surgery simultaneously. The longest follow-up duration was 11 years. Results: In 252 of the 306 cases (82%), follow-up study was possible. The average duration of the follow-up was 5.9 years (from 1 to 11 year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27.1 years (17 to 75),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6:1. The most common lesion of lumbar disc herniation was L4-5 (74%) at the initial diagnosis. The simple recurrence rate was 8.3% (21 cases)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the cases lost to follow-up were excluded.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the annual recurrence rate was highest at the first year postoperatively as 3.4%, but decreased with time. At the last follow-up of 11 years,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88.9% and the recurrence rate was estimated to be 11.1 % at final stage. Conclusion: Using survival analysis, the true rate of a recurrence of lumbar disc herniation after an open discectomy calculated. Even though the annual recurrence rate decreased with time, the true recurrence rate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may be higher than the results obtained sugg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