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 건축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의 정책 분석 및 개선 방안 : 창원시의 건축정책을 중심으로

        조형규,박선욱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2

        본 연구는 친환경 건축 활성화를 위하여 제도적 측면에서 현행 친환경 건축 관련 국가 정책과 지자체 정책을 분석하고, 지방 도시에서 친환경 건축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친환경 건축의 확대 보급을 위한 정부의 정책을 살펴본 결과, 친환경건축물 설계기준 수립 및 인증제도 적용이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었다. 지자체의 정책을 살펴본 결과, 독립된 친환경 건축기준을 제정한 지자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 조례와 같은 신규조례를 제정한 지자체, 기존의 건축 조례에 관련 내용을 반영한 지자체로 분류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받을 것을 의무 및 권장하고 있으며, 인센티브로는 세제 감면 및 인증비 지원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친환경 건축 정책 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제도적 측면에서 친환경 건축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창원시에서는 친환경 건축 관련 정책들을 다양하게 수립 시행하고 있지만 각종 정책의 분산화, 세부 규칙의 부재 등의 이유로 실질적인 친환경 건축물의 확산으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창원시의 친환경 건축 활성화를 위해, 친환경 도시 건축을 위한 통합 기준을 마련해야 하고, 공공건축물의 친환경건축물 의무화 및 공공선도 모범사례를 제시해야 하며, 민간 참여 유도 위한 인센티브 정책을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친환경 녹색건축물의 감정평가 실태 및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유윤상,오동훈,이재순 한국부동산경영학회 2021 부동산경영 Vol.23 No.-

        2013년 제정된 「녹색건축물조성지원법」에 따른 녹색건축인증제도 시행과 그린리모델 링, 제로에너지건축물로 대표되는 ‘2050 탄소중립을 위한 녹색건축 활성화 방안’ 발표 등으 로 친환경가치에 대한 사회적 수요와 이를 반영한 감정평가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가치(Value of Green)의 객관적 평가와 감정평가 반영의 필요성 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녹색건축물의 적정가치 평가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과 주요국의 녹색건축물 감정평가제도 등을 검토하고, 감정평가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친환경가치 인식 수준과 감정평가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감정평가 기법은 3방식 중심 녹색건축물의 감정평가 대안을 제시하고, 제도적으로는 친환 경가치 감정평가 실무기준제정, 친환경건축물 신축표준단가표 및 관련 매뉴얼 작성․배포, 친환경건축물평가 감정평가정보 구축 의무화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The social demand and need for the appraisal for the Value of Green have been increased by enforcement of Certification of Green Buildings in accordance with the 「Green Buildings Construction Support Act」 in 2013. These social attention also has been generated by 'Net Zero Emissions by 2050' according to Green-Remodeling and Zero-Energy Building. Therefore, the authors studied the objective evaluation and needs for reflection on the appraisal of 'Value of Green'. We also sought to find the appraisal method of the reasonable and fair market value of green building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appraisal system for Green Buildings in Republic of Korea and other major countries.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the alternative appraisal of Green Buildings and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appraisal practice for 'Value of Gree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unit price tables for new construction and manual, and the DB construction of green buildings appraisal cases.

      • KCI등재

        패시브 디자인을 위한 설계기법들의 개념적 특성에 관한 고찰

        민상충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6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인증제라는 제도권에 반하는 친환경건축에 있어서 공기대류현상에 의한 자연순환방식에 국한한 5가지 설계기법의 유형을 소개하고 그들이 지니고 있는 개념적 특성과 대표적인 사례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기술하고자 했다. 결론과 관련하여 친환경건축설계는 일반적인 건축설계와 비교하여 계획의 출발점이 차별화되어야 함을 주장하며 이와 관련하여 현행의 제도적 틀 내에서의 항목별 적용에 의한 요소설계를 넘어서 진정한 친환경설계의 메커니즘 측면에서 본다면 공학적 측면의 정확한 과학적 상세계획을 요구하는 바 이와 관련한 설계기법의 지속적 개발은 친환경건축의 궁극적 목표를 실현하는 중요한 원동력이 될 것이다. 따라서 현행 인증제 중심의 친환경정책과 평가항목 중심의 설계방식으로는 친환경건축물이 지녀야 하는 본질적 가치로서의 ‘자연순환체계에 의한 살아있고 숨쉬는 건강한(Vibrant & Breathing Healthy Architecture) 친환경건축을 실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으로 공기에 의한 대류순환체계의 구축을 토대로 꾸준히 발전하고 있는 패시브 디자인(Passive Design)과 관련한 친환경건축설계기법의 지속적인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environmental-friendly architecture(EFA), focusing on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design techniques by investigating the key design tools out of cases of the foreign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The design technique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mainly divide into passive design and active design. Passive design only will be considered to extract the expected result from the case study. It shows how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develop with the design techniques related to emerging tools and details. With five building examples, this study mainly investigates key design technique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arly design process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First of all, it is explained how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is related to design techniques and tried to describe how the conceptual techniques is applied to the system design based on the natural convective circulation of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specially related to the passive design. The design techniques, which are selected for the case analysis, also will be significant methodological tools in order to lead and develop the environmental-friendly buildings in the future.

      • KCI등재

        친환경건축의 평가를 위한 LEED 3.0 인증제도와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평가항목 비교 연구 - 에너지와 대기부문을 중심으로

        김준영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1

        이 연구는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를 LEED 인증제도와 비교함으로 그 발전적 개선방향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전체적인 LEED 인증시스템의 구조와 평가항목과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 시스템의 구조와 평가항목을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평가시스템 중 에너지와 대기부문의 항목을 비교하여 그 점수의 비중과 세부항목에 대한 평가방법과 기준을 비교하였다. LEED 인증은 7개의 대항목과 여기에 따르는 57개의 세부항목이 있다. 57개 세부항목은 8개의 필수 항목과 49개의 점수를 부여하는 항목으로 구성되며 이 항목들로 평가한 총점을 4레벨의 차등을 두어 인증을 부여하는데 비해 국내친환경인증은 9개의 대부문과 20개의 범주 33개의 세부항목으로 평가하며 이중 점수를 부여하는 항목 중 필수 항목이 포함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 구성이 약간 다르지만 대부분의 세부항목이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이 LEED 인증을 비롯하여 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의 제도를 비교 연구함으로 많은 보완과 발전을 가져왔음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비해 각각의 세부항목에 대한 비중은 조금씩 차이가 있다. 또한 이런 비중의 차이와 세부항목에 대한 평가기준이 미국과 국내의 지역적 여건의 차이를 반영하며 친환경건축을 유도하는 주안점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에너지와 대기부문이 차지하는 점수비중은 LEED 인증과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 모두에서 가장 큼을 볼 수 있다. 에너지 대기부문에서 에너지효율항목은 LEED 인증과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 모두에서 가장 큰 배점을 가지는 항목이다. 하지만 에너지효율을 평가하는데 LEED 인증과 국내친환경건축물 인증은 조금 다른 방법으로 평가함을 알 수 있다. LEED 인증에서 eQUEST라는 에너지 시뮬레이션 툴을 사용하며 에너지효율을 총량적으로 평가하는데 반해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에서는 에너지 성능지표 검토서를 사용할 경우 개별평가방식을 따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에너지 효율등급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경우 ECO-2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LEED 인증과 같이 에너지사용총량에 대해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 경기도 공공건축물 친환경기술 도입 활성화 방안

        이정임,고재경,남지현,이시은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최근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면서 OECD 회원국들은 자원 및 에너지 저감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에너지 소비량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는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저감 및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경기도는 「경기도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 조례」를 제정하여 친환경 기술을 도입토록 하였으나, 공공건축물의 녹색건축 및 주민들의 직관적 인지와 체험을 통해 인식변화를 유도 할 수 있는 공공의 선도적 역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경기도의 공공건축물 녹색건축 인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인증건수는 총 1,506건이며, 이 중 본인증이 584건, 예비인증이 922건으로 전국의 30.0%에 이른다. 또한 전체 녹색건축 인증(2,205건)의 68.3%, 즉 과반수가 공공건축물로 분석되었다. 친환경 공공건축물 조성에 대한 시·군 공무원 설문조사 결과, 공공건축물이 인증 의무대상인 것을 알고 있다는 응답이 전체의 65%로 나타나 녹색건축물에 대한 담당 공무원의 이해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건축물의 녹색건축 도입을 위한 조례 및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77%가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다. 친환경 공공건축물 조성의 장애요인으로는 ‘비용(54.8%)’ 이외에 ‘기술지원 부족’과 ‘건축기준에 대한 인지 부족’이 각각 12.9%로 나타났으며, 가장 도움이 되는 인센티브로 ‘세금감면’과 ‘기술지원 및 녹색건축 관련 컨설팅’이 각각 22.6%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공공건축물에 도입할 수 있는 분야별 친환경기술현황을 분석하고 에너지, 자원순환, 물 순환, 생태환경의 4분야로 특화하여 경기도 공공건축물 친환경조성 가이드라인(안)과 공공건축물의 녹색건축 조례 개정(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시·군의 친환경 공공건축물 조성 촉진을 위한 경기도 건축지원 센터의 설치·운영 및 친환경기술 도입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운용, 친환경기술도입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With recent increases in worldwide damages due to global warming, member nations of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ave made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GHG) mandatory through resource and energy reduction, and energy reduction and GHG reduction efforts regarding structures, which take up approximately 40% of overall energy consumption, have been demanded. Gyeonggi-Do has enacted the Gyeonggi-Do Ordinance on Support for the Creation of Green Structures to promote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ies. However, there has been a need for the government’s leading role in inducing changes in public perceptions through green public structures and local residents’ intuitiv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public structures in Gyeonggi-Do certified as green buildings amount to a total of 1,506 cases (main certification: 584 cases; preliminary certification: 922 cases), thus amounting to 30.0% of national figures. In addition, according to analysis, 68.3% of the total structures certified as green buildings (2,205 cases) are public structur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urvey of civil servants in cities and counties in the province regarding the creation of environment-friendly public structures, 65% of the tota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aware of the fact that certification as green buildings was mandatory for public structures, thus showing a low level understanding of green buildings among the civil servants in charge. As for the need for ordinances and guidelines for the introduction of green buildings into the construction of public structures, 7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As for obstacles to the creation of environment-friendly public structures, in addition to “Cost” (54.8%), both “Insufficient technological support” and “Inadequate awareness of construction standards” amounted to 12.9%. As the most helpful incentive measures, both “Tax reduction” and “Technological support and consulting concerning green buildings” amounted to 22.6%.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has: analyzed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y per field that can be introduced into public structures in Gyeonggi-Do; classified the technologies into the four fields of energy, resource circulation, water circula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and proposed the Gyeonggi-Do Guidelines on the Creation of Environment-Friendly Public Structures (draft) and the Revision of the Ordinance on Green Buildings for Public Structures (draft). In addition, it has suggested an activation plan including: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Gyeonggi-Do Architectural Support Center to promote the creation of environment-friendly public structures throughout cities and counties in the province; the operation of a monitoring system for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ies; and the provision of incentives for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ies.

      • KCI등재

        신축 건축물의 친환경 인증에 관한 연구 : LEED 2009 NC 인증제도의 평가항목 및 기준을 중심으로

        이상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0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2 No.4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건축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에너지 및 자원의 고갈과 환경 보전이라는 사회적인 요구와 관심 속에서 생겨났다. 이러한 친환경 건축이라는 개념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1990년대 초반부터 많은 세계 주요 국가에서는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개발 시행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가장 권위 있는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중의 하나인 미국 그린 건축 협의회 LEED 제도의 최근 개정된 변화를 소개하고, 건축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서 LEED 인증제도에서 신축 건축물의 친환경 인증을 위한 중요한 전략을 제시한다. LEED 제도에서 최고 인증 등급을 받은 23개 건축물의 평가항목별 취득점수 관한 사례 조사를 한 후, 설문 조사를 통해서 얻은 LEED 2009 NC 인증제도에서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위한 두 가지 전략을 제시한다. 첫 번째 전략은 건설 사업 단계에서의 각각의 평가항목에 대한 인증 자료의 제출시기에 관한 것이고, 두 번째 전략은 각각의 평가항목의 점수를 취득하기 위한 건설 사업 관계자들의 의사 결정 과정에서의 참여도에 관한 것이다. 설문 조사의 결과로서 34개 평가항목 중 19개 항목의 인증 자료들은 설계 단계에서 제출되어져야 하고, 건축 설계팀, 시공사, 발주처는 각각 18, 9, 7개의 평가 항목 취득에 대한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LEED 2009 NC 인증제도의 평가항목을 인지하고 이 두 가지의 전략을 취함으로써 신축 건축물의 친환경 인증은 보다 체계적이고 원활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친환경 건축의 외피 표현 요소에 관한 연구 - 리드 인증 건축 사례를 중심으로 -

        정은희,윤재은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5

        By the end of the 20th century, there were words like eco-friendly, green, green and well-being in Korean society. This phenomenon has also changed the direction of architecture so that all architectural elements proceed in an integrated manner based on the concept of eco-friendly and economic aspects in modern architecture, and various certification systems and guidelines are being utiliz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elements of eco-friendly cladding designs for the recent LEED-certified buildings overseas. As a method of research, the concept of eco-friendly architecture and LEED certification system, the concept of outer skin of modern architecture and the concept of eco-friendly architectural envelope were reviewed, and the detailed environmental-friendly cladding elements were extracted through prior study of the concept of eco-friendly architectural envelope. Based on the extracted elements, the elements of cladding expression were analyzed and their characteristics identified for buildings certified as lead (LEED) constructed overseas, and their conclusions were summarized. As a result, LEED-certified buildings were focused on natural lighting, natural ventilation, energy management, and savings by making plans for outer skin utilizing various elements considering thermal and light energy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nature. However, the number of cases in which wind energy is applied is relatively insufficient. On average, more than 50 percent of the entire cladding elements are applied to the surface using environmental factors, indicating that eco-friendly shell expression elements in LEED-certified eco-friendly buildings account for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entire build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uture eco-friendly architecture in Korea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the structural and technical aspects of the building, and that eco-friendly approaches and attempts should be planned and carried out in an integrated wa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ought to be used as data in considering detailed expressive elements for future plans for the composition of eco-friendly buildings in Korea. 20세기 말에 들어서면서 한국사회에도 친환경, 그린, 녹색, 웰빙 등의 단어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현대 건축에서도 친환경과 경제적 측면의 개념을 바탕으로 모든 건축적 요소들이 통합적으로 진행되도록 건축의 방향을 변화시켰고, 그에 따른 다양한 인증 제도와 가이드라인이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해외LEED인증 건축물을 대상으로 친환경적 외피 디자인의 표현 요소 특성을 분석하여 그 경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친환경 건축과 LEED 인증 제도의 개념, 현대 건축의 외피 개념과 친환경 건축적 외피 개념을 고찰하고 친환경 건축적 외피 개념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통해 자연 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외피표현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세부적 친환경적 외피 요소를 추출 하였다. 그 추출한 요소를 바탕으로 해외에서 건축된 리드(LEED) 인증을 받은 건축물을 대상으로 외피 표현 요소를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여 결론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LEED 인증 건축물은 자연의 환경적 요인들 중 열에너지와 빛에너지를 고려한 다양한 외피 요소들을 활용한 외피 계획을 세우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자연 채광, 자연 환기, 에너지 관리 및 절감을 중점적으로 실현하고 있었다. 그러나 바람에너지를 적용한 외피 표현 사례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환경적 요인을 활용한 외피 표현의 경향이 평균적으로 외피 요소 전체의 50% 이상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LEED 인증 친환경 건축물에서 친환경적 외피 표현 요소가 건축 전체에서 필수적으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앞으로 국내에서 진행될 친환경 건축이 건축 내부의 구조적, 기술적 측면 외에 건축 외피 분야도 함께 고려되어야 하며 친환경적 접근과 시도가 통합적으로 계획되고 진행 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국내 친환경 건축물의 친환경적 외피 구성계획을 위한 세부 표현 요소를 고려함에 있어 그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건축물에서의 친환경개념에 대한 건축공학전공 대학생의 태도

        안용한(),권혁수()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3

        이 연구는 친환경 개념에 대한 건축공학 대학생의 친숙함과 흥미의 정도, 태도, 그리고 친환경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인들을 조사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 연구는 저자들에 의해 개발된 설문 조사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미국 버지니아주 버지니아 공대의 건축 공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기술/상관 연구이다. SPSS를 이용한 기술통계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 하고 있다. 첫째, 건축공학 전공 학생들은 대체로 친환경 건축에 대한 높은 친밀감과 흥미를 가지고 있다. 둘째, 친환경 개념에 대한 건축공학 전공 학생들의 태도는 친환경 건축 수업, 친환경 관련 수업과 연구를 담당하는 교수진, 친환경적인 학생들의 학습환경 또는 시설들, 그리고 친환경 건설 관련 학교 행사와 실천과 같은 요인들에 기반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개념에 대한 건축공학 학생들의 태도는 특히, 건축공학 프로그램에서 친환경 건축관련 수업을 제공함으로 향상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the construction student s familiarity and interest in sustainability, their attitude toward sustainability, and the factors for bringing student s attitude toward sustainability. To accomplish the main objectives, this study employes a survey instrument created and developed by the authors. This is a descriptive and correlation study using responses from construction students at the Building Construction department at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in Virginia.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version 16 present the following findings. Construction students perceive that they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familiarity with sustainable construction and sustainability. Secondly, student s attitude toward sustainability is changed based on several factors such as sustainable construction courses, a professor who is interested in sustainability, their interes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university initiative, and the level of sustainability for student s learning facilities. Finally, the construction student s attitude toward sustainability can be improved by offering sustainable construction courses in construction programs, having professors who teach and research sustainability, and adopting sustainable initiatives at the university level such as campus recycling and various sustainable programs.

      • KCI등재

        친환경건축물 설계를 위한 Green VE 대상선정모델

        송창엽,문현석,현창택,Song, Chang-Yeob,Moon, Hyun-Seok,Hyun, Chang-Tae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2 No.3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모든 산업분야에서 환경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건축물이 환경에 미치는 양향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건축물의 전생애주기 동안에 에너지 절약과 생태환경보전을 위해 국가별로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국토해양부와 환경부가 모든 시설물에 대한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 신축되는 모든 공공청사에 대해서 건물에너지효율 1등급의 취득을 의무화하고 있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친환경건축물의 설계를 위해서는 설계 초기단계부터 친환경요소를 고려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받기 위한 과정을 살펴보면, 실시설계가 거의 완료된 시점에서 친환경요소들을 고려함으로써 근본적인 친환경요소들을 설계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본 및 실시설계 Value Engineering에서 친환경적인 요소들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친환경요소들을 고려한다면 효율적인 친환경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과 기존의 VE 대상선정 기법을 분석하여 프로젝트에서 집중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친환경적인 요소들을 선정하기 위한 Green VE 대상선정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As environmental issues are rising recently efforts to reduce environmental stress are emerging in all industry segments. Especially environmental impact of buildings occupy a critical portion, so each country is operating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for life cycle of buildings. Accordingly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for every facility is operating in Korea. And acquisition of grade I for building energy efficiency is mandatory for every new public buildings since 2010. To design green building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eco-friendly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and checked from the schematic design phase. But in many cases eco-friendly elements are checked at the end of constructed design phase. So applying eco-friendly elements at the value engineering process, which is performing through schematic and constructed design phase, could make a efficient and systematic green building design. Value engineering process is divided into pre workshop, workshop and post workshop stages. And subject selection in pre workshop stage is the step that finds out the subjects which has the great possibility to be improved to perform efficient value engineering workshop. So this study present the Green VE subject selection model to select the most considerable eco-friendly subjects in projects.

      • KCI등재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평가방법 개선 연구

        오세경(Se Kyung Oh),한민석(Min Suk Han),임병찬(Pyeong Chan Ihm) 한국아시아학회 2011 아시아연구 Vol.14 No.1

        지구의 환경문제와 에너지 부족에 대한 관심은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연구와 적용이 전 세계적으로 계속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건축 및 도시계획분야에서는 친환경건축물 인증과 에너지 인증이 시행되고, 지속적 인 연구와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를 개정하고 있다.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 건물의 친환경 성능을 평가하고 친환경성능을 제시하여 대상건물을 평가하는 도구이며,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 주요국가에서 시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가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중심으로 최근에 업데이트된 인증제도의 특징 및 평가방법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개선 및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첫째, 친환경건축물인증항목에서 환경관리부문 보행자 자전거안전부문 경관부문과 에너지 운용체계 관리 부문은 인증항목에 추가적으로 고려해야겠다. 둘째, 한국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에서 에너지부문에 대한 배점을 높게 하는 방향으로 개선을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셋째, 인증기준의 평가 방법에서는 한국의 경우도 다양한 등급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Recently, energy and environment problems are serious all over the world. Therefore, environmental conferences in international society have held on Rio de Janeiro from UNCED in 1992 upward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for countermeasure of environmental matters. Such developed countries as United States, Japan, Canada and British are to take effect building performance certification criteria what is certification system of environment for promotion in aspects of Green Buildings. Korea is enforcing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GBCC) for multi-unit residential building, mixed-use dwellings, office and school. And now GBCCs for stores and accommodations are under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about standards and assessment of certification systems which are LEED in USGBC since 1993 in United States, BREEAM since 1991 in United Kindom, CASBEE in Japan and GBCC of KGBC in state-run organization since 2002 and ``Environment-friendly Building Guidelines`` of Seoul to be recently driven. This study shows that sevaral fators, such as environtmantal management, pedestrian safety, urban scape and ennergy operation system, are considered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In addition, GBCC is needed to improve scoring system and ranking system by considering developed countries cases Higher score in energy 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