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고대사 연구와 공동체 이론

        이현혜(Yi, Hyun-Hae)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1

        이 글은 한국고대사 연구에 활용된 공동체 이론의 연구사를 간단히 살펴 보고 한국 고대사 연구방법론으로서의 공동체 이론의 효용성을 검토한 것이다. 공동체라는 용어는 19세기 사회학자나 경제사학자들이 사용한 Gemeinschaft(공동사회) 또는 Gemeinde (공동체)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 개념이 다양하고 적용 범위도 크게 확대되어 공동체(Community)의 범주 안에 가족, 친족, 농촌 마을을 넘어 거대 도시의 지역사회, 민족 혹은 국가와 같이 다양한 대상을 포괄한다. 현재 대부분의 사회학자들이 공동체의 핵심 요소로 꼽는 것은 지리적 공간, 공동의 유대, 사회적 상호 작용 등이다. 1950년대 이후 한국사 연구에 활용된 공동체 개념은 두 갈래이다. 하나는 칼 막스 계열의 경제사학이고 다른 하나는 서구 사회학의 공동체 개념이다. 이들 연구의 중요 논쟁점은 원시공동체 해체 시기와 그 이후의 사회의 편제단위로 등장하는 공동체의 성격에 대한 것으로 세대공동체, 친족공동체, 농촌공동체, 지역공동체, 정신공동체 등 연구자에 따라 용어와 기준이 다양하다. 토지소유관계의 변화라는 기준만으로는 한국고대사의 각 시기별 정치사회적 발전단계와 공동체의 변화를 검토하는 데는 한계가 많다. 혈연이나 물리적 힘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이념적 요소 내지는 동일한 정치체의 구성원이라는 유대 의식 등 정신적인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사회학자들은 농촌공동체의 중요 요소로 사회적 상호 작용, 지리적 영역, 자족성, 공동의 삶, 동류 의식, 목표, 규범, 수단의 공동 소유 등 다양한 측면을 주목한다. 이러한 다양한 접근 방법론에도 관심을 가진다면 지역별, 시기별로 다양한 성격의 공동체의 존재가 부각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공동체라고 하는 개념 틀은 한국고대사 연구를 위한 방법론으로서 유용하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ty theory of ancient Korean history as a research methodology by surveying the history of community theories of ancient Korean history. The term “community” originated from “Gemeinschaft” and “Gemeinde”, which were terminology used by 19th century sociologists and economic historians. However, the concept of community has expanded greatly in terms of its usage, and now it not only incorporates families, relatives, and agrarian communities, but also covers areas such as communities within mega cities and even entire nations as a whole. In present times, most sociologists consider geographical area, communal bonding, social interactions as the core in defining communities. Since the 1950s, the concept of community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was divided into two different branches. One of the two branches was drawn from the study of Karl Marx’s economic history, the other was drawn from the concept of community from Western sociological studies. The main discussion points in these studies are the historical timeline of when primitive communities broke up, and how these communities shaped into the formation of units of society. Thus, the term and standards of community characteristics varies by scholars. These standards include concepts such as generation communities, kinship communities, local communities, spiritual communities, and so on. There is great variation depending on who conducted the study. The standard we use, the change in land ownership, has numerous limitations in studying the changes in communities and socio-political development by specific time periods. Therefore, we also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ideological factors and sense of community as a common polity, rather than focusing simply on physical factors and kinship. Sociologists pay much attention and focus on diverse aspects such as social interactions, geographical boundaries, self-sufficiency, communal life, sense of community, and cooperative ownership of goals, regulations, and instruments as a crucial aspect of agrarian communities. If we were to put more emphasis on taking various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in studying communities, we will be able to uncover a more diverse range of communiti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periods of time. It is then that we will be able to utilize the concept of community as a useful conceptual framework in studying ancient Korean history.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자본에 관한 연구

        김영경(Yeong Kyeong Kim),이정향(Jung Hyang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필리핀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자본 특성을 근린지구 수준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 대상은 한국의 대도시와 중소도시, 촌락 등에 거주하는 필리핀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이며 그들이 주로 참여하는 근린공동 체- 학교, 성당공동체-에서 생산되는 사회자본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여 개인적 특성과 공동체의 특성(결속력, 동질성 등)에 따른 사회자본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공동체와 성당공동체에서 이주자의 개인적 특성 가운데 이주사회에서의 거주기간과 사회자본 간 관련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성당공동체는 거주기간과 사회자본 ‘관계’요소 간 정(+)적인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어 이주 후 기간이 증가할수록 성당공동체에서의 관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공동체에서는 거주기간과 사회자본 ‘신뢰’요소가 부(-)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어 거주기간이 길수록 신뢰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질 성과 결속력, 사회자본의 양에서도 성당공동체가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특히 사회자본 ‘관계’는 공동체의 동질성과 더 밀접하며 ‘규범’은 공동체의 결속력과 밀접하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두 공동체에서 모두 의사결정과 가치추구 공유 및 규칙 준수 등의 ‘규범’ 요소가 구성원 간의 ‘관계’요소와 유사하며, 만족도와 정서적 도움 및 제도에 대한 구성원들 의 ‘신뢰’가 개인문제를 토론하고 참여하는 ‘정치’와 근접한다는 공통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연구과정에서 주목되는 것은, 초국가적 행태가 발생하는 회로로서의 성당공동체의 상징성으로, 성당공동체는 필리핀 결혼이주여성들의 고유한 집단적 문화와 개인적 욕구가 사회자본의 생산과 맞물리는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필리 핀 결혼이주여성들의 공동체와 사회자본의 특성에서 이주자로서의 개인적 특성과 함께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이 집단적으로 보유하는 family reunion 등의 사회·문화적 특질이 주는 영향 또한 간과할 수 없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부분은 민족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성과 사회자본이 우리 사회와의 상호문화성을 공유하고 실천할 수 있는주요 통로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으며 나아가 ‘민족 단위의 공동체와 그 사회자본 연구’는 향후 더 다양한 공동체를 대상으로 다층의 공간 스케일로 확장,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plain social capital characteristics of Filipino immigrant women at the level of neighborhood. This research targeted Filipino immigrant women in the metropolis, small town and rural area in Korea to find out the relevance of individual proper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of neighboring communities- school community, cathedral community, etc- through measurement of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This study reveals that differences exi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residence and social capital in the school community and the catholic church community.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residence and political factors in the catholic church community, thereby having a better relationship with longerperiod of stay, while length of residence and confidence show a negative trend in the school community, leading to less confidence. The catholic church community holds a dominant position in homogeneity, cohesion, and the amount of social capital. According to the findings, social capital ‘relation’ is more closely related to homogeneityof the community, ‘norms’ to cohesion. ‘Relation and norms’ and ‘confidence and politics’ factors are recognized similarly in both communities, thus resulting in the recognition that decision making within the community, the share of value, and observance of social norms approximate a friendly relationship among members, and satisfaction level, emotional support, and confidence among members approach politics that members can talk about their personal matters. It is noted in the research process that the symbolism of the cathedral community as a transnational circuit behavior occurs where collective culture and personal desires of Filipino immigrant women were combined with production of social capital. Filipino immigrant women``s awareness of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appearing in the cathedral community show that not only residence, along with the cultural identity of Filipino immigrant women, but also collectiv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family reunion’ can not be overlooked. In particular, at this time when discussion and debate on the interculturalism over multiculturalism is heating up, communal spirit and social capital based on the ethnic identity are important in that they can be a crucial path to the cross-cultural interaction with our society, therefore, a study on the social capital of the ethnic community needs to be encouraged and extended to more diverse communities, to the space of the multilayered scale.

      • KCI등재후보

        ‘부유하는 공동체’에 대한 단상 - 대륙 동남아 산악민 카렌족과 카친족을 중심으로 -

        한유석(Han, Yu-seok)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22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Vol.3 No.-

        도래하는 공동체의 이상형은 개체들이 획일성, 동일성, 전체성으로 환원되지 않으면서 공동성을 추구할 수 있는 가능태이다. 이 글은 대안적 공동체를 모색함에 있어서 국가의 틀 내에서 모색하는 것이 능사가 아니라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필자는 국가의 시각이 아닌 ‘국가 없음’ 혹은 ‘지배 없음’의 시각에서 바라봤을 때 어떠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는지, 대륙 동남아시아의 산악지대 산악민들, 특히 카친족과 카렌족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더불어 근대 국민국가 형성 과정에서 카친족, 카렌족과 같은 산악민들이 어떻게 국가의 비식별역에 위치지어 지는지, 한편 그 안에서 유연성을 발휘해 전략적으로 자신들의 정체성을 구성하는지 살펴본다. 이 글의 주요 개념인 ‘부유하는 공동체’는 고전 시기 국가부터 근대 국민국가에 이르기까지 국가를 형성하지 못했거나 국가에 포섭되지 못한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한다. 부유하는 공동체로서 산악민들이 권력과 주류 종족, 더 나아가 국가의 탄압과 핍박을 피해 어떤 생태 환경 속에서 어떤 특성을 발달시키며 현재에 이르렀는지 그 과정을 고찰한다. 이들은 좋든 싫든·자의든 타의든 옮겨 다니는 사람들, 이동하는 사람들, 유동적 존재, 떠다니는 사람들로서 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부유하는 사람들’로 규정할 수 있다. 그리고 부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규모의 크고 작음에 상관없이 일종의 공동체로 본다면 부유하는 공동체라 칭할 수 있을 것이다. 필자가 주장하는 부유하는 공동체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동성과 유동성이다. 둘째, 평등주의에의 선호 및 위계에의 거부이다. 마지막으로 전략적 경계인 되기와 상호부조이다. An ideal type of a future community is that individuals can pursue a collectivity without being to uniformity, identity, and totality. The paper originates from the thought that when we seek an alternative community, we should not be confined to the framework of a nation-state. The research examines what we possibly learn from the perspective of "statelessness" or "absence of control," not from the nation-state’s perspective, focusing on the highland hill people of Southeast Asia. In this regard, I draw the communities of the Kachin and Karen people as the case study. On the one hand, I examine how the hill people such as the Kachin and Karen are located in the de-identification area of the state in the process of forming a modern nation-state. On the other hand, I investigate how these people strategically construct their identity by using flexibility. The research proposes the concept of a "floating community" to understand these people. The term refers to people who have failed to form a state or have not been included in the state, from states during the ancient to modern era. As a floating community, the research explores the process of what hill people have developed their features in a specified ecological environment and how they have developed to avoid the oppression and persecution of power, main ethnic groups, and the state. I define them as the people who moved around whether they like them or not and arbitrarily or unintentionally. Moreover, I suggest that the term embraces people who are floating around. The term includes people who have been moving, migrating, and relocating voluntarily or by force. Furthermore, we can call it a floating community if you regard the group of floating people as a kind of community regardless of the size. The research claims the features of the floating community are as follows-first, mobility and flexibility. Second, preference for egalitarianism and a rejection of hierarchy. Finally, becoming a strategic boundary and reciprocal help.

      • KCI등재

        백석 시에 나타난 음식과 그 의미

        오성호 배달말학회 2020 배달말 Vol.66 No.-

        이 논문은 백석 시에 나타난 음식의 문제를 ‘영혼의 허기’를 끄기 위한 갈망이란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백석의 시에서 음식을 먹는 것은 단순히 배를 채우거나 미각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다. 백석의 음식은 대부분 유년 시절의 행복한 기억과 관련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백석은 음식을 통해 다시는 돌아갈 수도 돌이킬 수도 없는 행복한 ‘그때 거기’를 호명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그가 그린 음식은 그를 행복한 유년 시절로 인도하는 매개체이자 그의 내면에 간직된 영혼의 상처와 허기를 달래주는 음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유년기의 체험을 통해서 발달된 감각은 세계를 지각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백석의 시에서 사물과 세계에 대한 지각이 흔히 음식과 관련된 다양한 감각을 통해서 표현된 것은 그 증거이다. 동시에 백석은 음식과 관련된 경험을 통해 개별적인 것이 그 독자성을 유지하면서 이루어내는 조화의 문제에 대한 인식을 획득했다. 개별적인 것이 그 각각의 독자성을 유지하면서 이루어내는 조화는 「여우난곬족」의 친족공동체를 통해서 아름답게 형상화된다. 여러 가지 균열과 갈등의 소지를 포함하고 있는 이 가족 공동체의 조화와 유대는 바로 음식을 나누어 먹는 행위를 통해서 회복, 또는 유지된다. 그리고 이런 조화의 감각은 풍토와 음식과 인간 사이의 조화 문제로 이어진다. 그에게 음식을 먹는 것은 자연과 소통하고 동화되는 과정이기도 했다. 자연, 그리고 자연에서 획득한 음식, 그리고 그것을 먹는 인간은 근본적으로 동질적일 수 있다. 이 때문에 그는 음식을 먹는 행위를 그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자신을 정화하는 행위로 백석은 음식을 먹는 이 행위를 통해 고립과 단절에서 벗어나 좀 더 큰 공동체에 접속되고자 했다. 그것은 음식을 먹는 행위가 개인의 육체만이 아니라 그가 속한 공동체의 자기재생산을 의미하는 것이며 단순한 먹이를 음식으로 전환시켜 오는 전체 과정은 곧 공동체의 경험과 역사를 이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석에게 음식을 먹는 행위는 ‘지금 여기’서 그 음식을 나누는 공동체와 수평적으로 접속하는 행위인 동시에, 오랜 시간에 걸쳐 그것이 공동체 성원 모두의 음식이 되도록 만들어온 더 큰 역사적 공동체에 접속되는 행위이기도 했다. 그에게 음식을 먹는 행위가 일종의 축제, 혹은 제의적인 성격을 띠고 나타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백석이 모밀국수에 대해 특별한 애착을 보인 것은 그것이 음식을 먹는 행위에 내재된 이같은 축제적, 제의적 측면을 가장 잘 보여주는 음식이기 때문이다. 그에게 모밀국수는 흰 밀가루로 만들어진 국수의 매끄럽고 세련된 모습이 상징하는 근대적인 제 가치와는 상반되는 거칠고 투박한, 그러면서도 서로에 대한 뜨거운 애정과 신뢰가 살아있는 공동체의 정신이 배어 있는 ‘소울 푸드(soul food)’였다. 백석이 모밀국수를 통해 지금 여기의 공동체만이 아니라 아득한 조상의 역사에 통합되는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백석 시에서 지극히 개인적인 성격을 지닌 미각 추구와 민족적인 것의 행복한 조화와 통합의 가능성을 읽어낼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지점에서이다. 궁극적으로 민족적인 것과의 통합으로 수렴되지만 백석 시 어디에서도 이를 위해 개인의 욕망을 유보하거나 억압하려는 태도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백석이 꿈... This article closely analyzes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food and the act of eating in the poetry of Baek-Seok, arguing that food reflects his desire to satisfy his spiritual hunger. For Baek-Seok, food does more than simply fulfill physical needs and palatal pleasures; it is a deeply rooted feature of his happy childhood, which he repeatedly conjures through his memories. The food he depicts becomes a medium to return him to his boyhood and to heal and feed his wounded, undernourished spirit. The sensory eating experiences Baek-Seok recalls have not only developed his sensitivities but also profoundly shaped his world view, as evidenced by his food-related observations of the world. His culinary experience leads him to value the harmony created from individual elements, as seen in “Family of Fox Valley.” The family relationships are charged with potential disagreements, but the act of sharing food recovers and maintains the family’s harmony and sense of solidarity. Harmony through shared sensory experience also represents harmony among the natural environment, food, and humans. For Baek-Seok, eating means becoming one with nature because, at their roots, nature, food obtained from nature, and humans taking in the food are one. Baek-Seok sees eating as spiritual and physical cleansing, connecting to a larger community. The process of transforming raw materials into food is fundamental to the entire community’s shared experience and history; eating connects the individuals laterally and synchronously with the community where they are sharing the food “here and now.” Eating also connects the individual diachronically with the history of the larger community, which has developed the food over time into a shared cultural product. Thus, Baek-Seok celebrates eating as part of a festivity or a ritual. The reason he shows special attachment to buckwheat noodles is because they embody the celebratory and ritualistic aspect inherent in the act of eating. For him, the coarse texture of buckwheat noodles represents unsophisticated and hearty communal spirit, whereas noodles made from white flour represent the sleek sophistication of modernity. The buckwheat noodles therefore allow Baek-Seok to transcend time to connect not only to his community of “here and now” but also to the historical community of his ancestors. These understandings suggest that the individual pursuit of sensory pleasure and the nationalistic agenda complement rather than contradict each other. Baek-Seok’s work describes the ideal of becoming part of the national whole, but nowhere in his work does he suspend or repress individual desires. Rather, Baek-Seok seeks to build a community in which the individual coexists harmoniously within the whole. His persistent references to childhood memories related to food need not be read as regressive acts but as acts of looking forward, toward an ideal future. Yet just as memories live in the irretrievable past, the community he envisions exists in the unreachable future or some otherworldly sphere. His works, and by extension his life, are constant attempts to look past the world and move toward the past or the future. But his longing for the outside world was eventually conquered under hostile circumstances, leading to the sobering reality of isolation he portrays in “Park Si-bong’s Place in Yudong, South Shinuiju.” This explains why the possibility of marrying individual pursuit of palatal pleasure and nationalistic passion in Baek-Seok’s poems remains uncertain. Baek-Seok dreams of horizontal and vertical integration between self and the broader community, without sacrificing individual desires, but its possibility can only be glimpsed in the irretrievable past or the passing moment of festivity or a ritual. He doesn’t seem to give much thought to how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can be harmoniously bridged in the everyday. This is perhaps why he was never able to satiate his spiritua...

      • KCI등재

        19세기 재지사족층의 친족결집 노력과 내적 균열양상 : 호남지역 善山 柳氏家의 친족활동을 중심으로

        최주희(Choi Joo-hee) 고려사학회 2010 한국사학보 Vol.- No.38

        Ryu Hui-Ch'un(柳希春), the well-known author of the Mi-Am's Diary(眉巖日記), was an official of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Choson dynasty in the 16<SUP>th</SUP> century and also a scholar himself. He was one of the king Son-jo(宣祖, 1567~1608)'s trusted men in the capital city, while constantly putting much effort to get involved with the local Yang-ban society of Tamyang(潭陽). Even with Ryu Hui-Ch'un's effort, the Ryu family of Sun-san in Tam-Yang area unfortunately failed to produce either higher officials or outstanding scholars who might have succeeded what Ryu Hui-Ch'un had achieved, and barely saved face of the family by stubbornly devoting the family members to Confucianism. In the 19<SUP>th</SUP> century, when the profoundly institutionalized status system was breaking down, the Ryu family of Sun-san in Tam-Yang needed to re-sustain their social status and fame as 'prosperous family of the Ho-nam province(湖南華族),' or as 'the descendants of the noted wise man.' Facing the social challenge, the Ryu family contacted the family members who had been scattered in Tamyang, Pu'an, Kokshong area. The main project which the newly collected Ryu family put priority on was publishing the literary works of their successful ancestor, Ryu Hui-Ch'un. However, the distant relatives of the Ryu family apparently did not share deep emotional solidarity especially in sharing the high expenses for the campaign of the clan such as taking care of the ancestors' graveyards, publishing the books, which might have redounded to the clan's glory. Thus, the concentration of the Ryus of Sun-san in the 19<SUP>th</SUP> century ironically caused bitter conflicts inside the clan. The famous Collection of Mi-am's Works(眉巖集) is a heritage which was clearly invented by the Ryu family as a symbol of the collective Ryu clan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dissonance of the clan reached the peak.

      • KCI등재

        사회민속 분야의 검토와 전망

        박환영(Park Hwan-Young) 한국민속학회 2008 韓國民俗學 Vol.47 No.-

        본 논문은 민속학에서 다루어지는 ‘사회’의 개념이 무엇이며 범위가 어디까지인지를 가늠하면서 한국민속학 연구사를 중심으로 사회민속을 고찰하는 내용과 이러한 연구사적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민속학에서 사회민속과 관련된 이제까지의 논의가 가질 수 있는 문제점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한 내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한국민속학에서 사회는 어떠한 민속현상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마을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마을을 구성하고 있는 좀 더 작은 집단인 마을의 여러 조직, 친족집단, 가족 등이 이러한 민속현상을 지속해 주는 원동력이 된다. 그러므로 사회민속은 한국민속학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마을공동체를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분야이다. 다시 말해서 어떠한 민속현상이라도 그것을 전승하는 전승주체가 있기 마련인데 그것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없이 밖으로 드러난 민속현상만을 보는 것은 속이 비어있는 껍데기를 살펴보는 것에 불과한 것이다. 즉 모든 민속현상의 이면에는 민속의 주체인 어떠한 집단과 관련된 다양한 측면의 사회민속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민속학의 여러 영역 중에서 사회민속 분야는 여전히 민속학에서 가장 핵심적이며 기초적인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민속학에서 현지조사는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현지조사를 하게 되면 민속학의 다른 영역을 조사하기 전에 현지조사지의 구성조직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민속 조사를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현지조사가 존재하는 한 사회민속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 하게 된다. 다만 어디서 현지조사를 하는가에 따라서 사회민속에 대한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결국 마을의 민속을 다루든지 도시 공간 속의 민속을 다루든지 사회공동체가 형성되었다면 그 속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속에 대한 관심은 지속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This article largely focuses on two main contents. Firstly, the definition and sphere of “society” in the academic field of folklore are broadly described. Secondly, some possible future issues and prospects of ongoing arguments concerning social folklore are discussed. In Korean folklore, society generally includes all sorts of villages across the country where any forms of folkloric phenomena are still transmitted. Also these villages normally consist of much smaller scaled social units, such as various village organizations, kinship groups, families, etc. Hence, social folklore can be regarded as the most elementary and essential field in order to understand village communities in Korean folklore. In other words, any kind of folkloric phenomena is maintained and handed down by so called transmitting main groups in the village. For this reason,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these social organizations precedes the analysis of diverse folk culture in the village. In Korean folklore, the field of social folklore is relatively neglected compared to other fields. However, new emerging issues of folklore today like urban folklore and folklore of oversea Koreans will possibly boost interest in social folklore and make it more popular. Furthermore fieldwork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lm in folklore. In the course of fieldwork social folklore is researched prior to other spheres of folklore in order to grasp the basic and precise structure of the place. Therefore, the field of social folklore is enormously valuable and strongly connected to folkloric fieldwork. Regardless of either villages or any kind of urban places, in established social communities the growing interest in transmitted folklore will surely arise.

      • KCI등재

        구술문화의 전통과 백석 시

        오성호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5 No.-

        백석은 자신의 고향 정주 지방 사람들의 생활세계-친족공동체를 중심으로한 촌락공동체의 삶을 즐겨 그렸다. 이 세계는 다양한 공동체적 삶의 미덕, 그리고 평화를 유지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봉건적인 윤리와 도덕, 그리고 순치되지 않은 자연의 위력, 비과학적인 무속 앞에 거의 무방비 상태로노출되어 있다. 백석은 이 모든 것을 ‘근대의 시선’으로 비추어 내고 있다. 하지만 그는 이를 미개와 야만의 흔적으로 타자화시키는 대신 ‘낯선’ 것으로보이도록 만들었다. 그 결과 백석 시의 독자들로 하여금 낯익으면서도 어딘지 낯설게 느껴지는 이 세계를, 이런저런 문제점을 안고 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나름의 가치와 질서를 지닌 독특한 세계, 혹은 보존되거나 기억될 만한 가치가 있는 공간으로 받아들이도록 만든다. 이 생활세계에 대한 백석의 경험은 그 자신의 성장 과정, 혹은 구체적인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된 것이다. 여기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것은 공동체가 공유한 지식과 경험, 그리고 문화를 다음 세대에게 전하는중요한 수단이었던 구술문화이다. 실제로 백석의 시에는 이런 구술문화의흔적이 다양하게 남아 있다. 그중 가장 쉽게 포착되는 것은 시의 소재로 활용된 민담이나 전설, 민요 등이다. 이밖에 병의 치료와 관련된 속방(俗方), 재액을 막기 위한 속신(俗信), 그밖에 다양한 삶의 지혜와 지식, 혹은 무속(행사) 과 관련된 내용들 역시 매일매일의 생활에서 접한 구술문화를 통해 습득한것이다. 이 구술문화의 영향은 그의 시 내용만이 아니라 그의 시어 선택, 시 형식, 기법 등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구술문화는 생활 속에서, 그리고 태어나면서부터 익힌 입말을 통해 전승된다. 이 입말은 화자 자신의 몸과 영혼에 깊이 각인된, 진정한 의미에서의모국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백석의 섬세하고 내밀한 감정은 이 입말을통해서만 온전하게 표현될 수 있었다. 하지만 문자문화의 확산에 따라, 그리고 <조선어 맞춤법 통일안>(이하 <통일안>으로 표기)이 자리잡아 가면서 입말은 점차 소멸되거나 주변으로 밀려날 위기에 직면하고 있었다. 백석은 이처럼 문자문화와 표준어의 압력 속에서 소멸, 또는 주변화되어갈 위기에 처한 입말을 지켜내기 위해 애썼다고 할 수 있다. 이 입말의 흔적은 그가 사용한 다양한 방언 어휘들을 통해서, 그리고 그의 시 구문이나 띄어쓰기나 표기법을 통해서 확인된다. 그는 표준어에서 배제된 평북 방언 어휘들을 시어로 선택함으로써 ‘표준어’의 압력에 저항했다. 그리고 그는 의식적으로 문법 규칙이나 논리에서 벗어난 시 구문을 만들어냈다. 또한 맞춤법의 규정 대신 호흡단위에 따른 띄어쓰기 방식을 고수하고 있을 뿐 아니라 때때로 의도적으로 <통일안>의 규정에서 벗어난 표기법을 사용하기도 했다. 이 모든 것은 입말의 생생함, 말소리에 담긴 삶의 기억과 감정들을 되살려내기 위한 시적 전략의 소산이라고 할수 있다. 구술문화의 전통과 백석 시- 351 - 그런 의미에서 백석은 단순히 자신의 시에서 방언을 사용한 데서 그친 것이 아니라 문자에 의해서 지워져가는 입말의 존재, 말소리의 가치와 의미를환기시키려고 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이런 백석의 노력은 흔히균질화된 것으로 상상되는 조선어, 조선문화가 사실은 그 내부에 적지 않은이질성을 지닌 것임을 일깨워준다. 그는 단순히 표준어 ... Baek-suk consistently portrayed the traditional premodern way of mundane life in kinship-based, close-knit communities in his poetry. The world he depicts is exposed to the feudal ideals of morality, untamed natural forces, and irrational shamanistic beliefs. Baek-suk portrays these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dernity. However, he does not otherize the traditional ways of living as vestiges of savage and uncivilized. Instead, he makes them look unfamiliar. By doing so, he makes the reader look at the premodern mundane life in a new way. The portrayed premodern world isn’t idealized in its portrayal; there are certainly problems and contradictions in the traditional world. Nevertheless, it is described as a world that has not been fundamentally destroyed and is therefore good enough to live. Or, it is described as a world that deserves to be preserved or remembered. Baek-suk’s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ways of life comes from his firsthand experience growing up in that very world, as well as from the accounts he collected from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role and impact of oral tradition are notable here, which allowed the community’s accumulated knowledge, experience, and culture to be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 Baek-suk’s poetry contains countless vestiges of oral tradition. The most vivid examples are the folktales, legends, or folk songs that provide subject matters for his poems. Also, he draws variously from other areas of oral tradition ranging from traditional medicine, folk beliefs, and practices related to shunning misfortune to shamanistic rituals. The oral tradition not only informs the content of his poetry. It also informs his choice of words as well as the structure of his poems. Oral tradition is rooted in the vernacular one starts learning from the moment she is born into the world. The vernacular is deeply ingrained in a speaker’s body and mind and is, therefore, one’s true mother tongue. Baek-suk’s work demonstrates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vernacular and the embodied experience. His deepest feelings could be best expressed through the dialect of the Pyeongbuk region, the vernacular he picked up as his mother tongue. But as is well known, the vernacular was on the verge of being disappearing or marginalized as writing came to replace it increasingly, and through the newly legislated “Standard Korean Grammar.” In such a historical context, Baek-suk’s oeuvre can be understood as his conscious effort to preserve and continue the vernacular as it was increasingly under pressure with the spread of written culture and standardization of language. The vestiges of vernacular are most tangible in his phrases, his grammar, and his choice of dialect as his poetic language. The phrases clearly show the flexibility of oral tradition. Also, instead of following the spacing rules dictated by the newly established grammar, he follows the spoken language’s pace, reflecting the speaker’s breathing. In addition, he intentionally writes against the “Standard Korean Grammar,” which hints at his efforts to record the sounds that are unique to dialects. He also pushed against the pressure of standardization by deliberately choosing vocabularies that are unique to Pyeongbuk regional dialect, and therefore were excluded from the “standard Korean.” All these efforts come from his commitment to preserving the liveliness and vitality of the vernacular. Furthermore, Baek-suk’s work makes visible the heterogeneity inherent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at are often imagined as homogeneous entities. Through his writing, he was not merely resisting the standardization. Instead, he aimed to expose the heterogeneity and fissures inherent in the language and culture against the forces of modernity that tried to standardize and therefore homogenize the differences.

      • KCI등재

        復讐 殺人事件을 통해 본 朝鮮後期의 社會相

        김현진(Kim, Hyon-jin)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 No.26

        이 연구는 조선후기 家父長制와 친족제도의 강화가 당시‘基層民의 삶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으며, 조선왕조가 그러한 과정 속에서 기층민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통제하고자 했는지 살펴 본 것이다. 필자는 이를 위해서 『審理錄』에 기록된 復讐 殺人事件에 주목하였다. 『심리록』에 기록된 복수 살인사건을 살펴보면, 평민과 노비 계층이 자신의 近親을 위해 타인을 살해하는 사례가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조선왕조는 후기에 들어서 사회질서의 안정을 목적으로 유교적 윤리규범을 강조함으로써, 가부장을 중심으로 가족의 윤리를 중요시하였고, 父系 친족에 대한 유대 역시 강화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필자는 『심리록』에 기록된 복수 살인사건의 사례분석을 통해서, 기층민에 의해 집중적으로 발생된 당시의 복수 살인사건이 자신의 가족과 친족에 대한 윤리적 규범을 실천하기 위한 현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심리록』에 기록된 복수 살인 사건은 효를 바탕으로 한 유교적 윤리규범이 양반 등 지배계층 뿐만 아니라, 당시의 평민과 노비 등 피지배계층에게도 하향 확대되어 나타난 현상이었으며, 근친의 복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할 만큼 가족?친족을 중심으로 한 유교적 윤리규범이 기층민의 삶에 내면화되고 있었던 상황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선왕조는 이들의 사적인 복수 행위가 사회적 혼란으로 이어지지 않고 법체계 안에서 허용될 수 있도록 복수 행위에 대한 제한적인 조치를 마련하는 동시에, 風俗敎化를 목적으로 복수 살인사건에 대해 관용적인 판결과 포상정책을 실시함으로써 당시의 사회질서를 강화?유지시키는 지배?통치 장치로 작동시키고 있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특강 : 조선후기의 지역사회구조 -지역체계적 접근

        정승모 ( Seung Mo Ch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0 嶺南學 Vol.0 No.17

        이 글은 조선후기 지역사회의 구조와 그 성격을 이해하는 방편으로 군·현에 기초한 향촌사회를 지역연구의 단위와 대상으로 설정하고 그 안에서 생성·발전해 간 신분, 친족, 그리고 각종 공동체 조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조선전기 이후 신흥 사족들의 거주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17세기 중반 이후의 전체적인 경향은 유교적 제의가 기존의 음사를 대체하는 방향으로 나아갔고, 이를 통해 사족세력이 지역기반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교적 지배이데올로기가 지방 전역으로 확산되어 갔다. 鄕案의 罷置여부 또한 향권의 변화를 직접 나타낸다. 향안이 더 이상 그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대개 어느 지역에서나 나타나는 17세기 이후의 현상이다. 그런데 이를 대신할 만한 장치나 수단이 나타나는지의 여부는 지역마다 다르며 이에 따라 향권의 성격도 드러난다. 이후 지역사회구조의 특징은 문중조직의 형성과 서원이나 사우를 통한 지역 사족세력들의 결합, 또는 대립으로 나타났다. 마을단위에서는 동족촌락이 형성되고 마을의 공동체적 운영을 위한 다양한 동계, 동약이 출현하였다. 신분적으로는 19세기 이후 양반호의 급증 과정에서 양반과 상민의 중간층이 형성되었는데, 이들은 양반직역을 가지면서도 기존 양반의 후예들과는 여전히 차별을 좁히지 못한 농민들이다. 한편 중앙과 지방을 잇는 교역 및 상업의 발달로 인해 그동안 침체되어 있던 교통체계가 활성화되고 지역사회는 이전에 비해 외부세계와 더욱 긴밀한 지역체계 속에 놓이게 되었다. 특히 중앙과 지방의 매개역할을 하는 근기지역의 교통상황과 이와 관련된 문화적인 특징을 알아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gional social structure and its characteristics in late Chosun by analyzing the social status system, kinship system, and various community organizations in " Hyangchon(鄕村)," the county level rural society. Chosun`s new elites could gain their political power by holding official positions in the central government. The residential pattern of new elites was closely related with their political success. In the mid-Chosun period, most central officials had multiple houses which were called in different names. The house in Seoul was called "Kyongjo." Hyangje is the house in their home town. However, some elites who were waiting for an official post in the central government preferred to stay close to Seoul. These elites had a temporary house called Byulso in Gyeonggi area. In regional society, there were conflicts between old elites whose power was based on old practices and rituals and new elites who moved in from outside and tried to promote neo-Confucian ideology. The power struggle in a county was often expressed in the practice of rituals. Since the mid-seventeenth century, however, old popular rituals had been mostly replaced with Confucian rituals. The new elite had finally emerged as the dominant social class and Confucianism the dominant ideology in rural Chosun. New elites expanded their power through newly formed lineage organizations and through local schools both public and private. In late Chosun, the patrilineal lineage organization called "Mun-choong" emerged as the fundamental social organization in rural society. New elites expanded and maintained their power not only through kinship organizations but also through various school organizations. They also actively participate in making a social order based on Confucian ideology in rural society by initiating the formation of Hyang-yak and Dong-yak (the village level self-governing regulations). Lineage based villages emerged as a result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atrilineal lineage organization. Under the principle of Chong-bup, the same surname families were reproduced in the same local area. However, the economic condition of a family was crucial in the family reproduction process. In late Chosun, a rural society was further diversified. In most cases, a village was composed of both Y angban class (the dominant class) and S angmin class (ordinary peasants). Understanding of the regional social structure is crucial in the study of history. The social relations between the dominant and the domina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society can be properly explained only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tructure of the regional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