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광희(Kwang-Hee Jun)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래인구추계를 위하여 논리적이고 상대적으로 정확한 연령별 출산율의 가정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먼저 코호트별 출산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의 추정과 추계를 위하여 Coale-McNeil 모형을 일반화한 로그감마분포모형을 선택한다. 다음은 보정형의 연령별 출산율 모형을 재생산을 완료하지 않은 상대적으로 젊은 출생코호트를 포함하는 실적치 자료에 맞추기 위하여, 출산력 파라메터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일련의 출생코호트의 출생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을 역출하여, 장래의 특정연도 대하여 연령별 출산율을 추계한다. 가령, 2010년의 20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90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0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이고, 2010년의 21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89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1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에 해당한다. 결국 2010년에 태어난 코호트까지의 연령별 출산율의 추계치를 얻게 되면, 2055년도까지의 기간별(연도별-령별 출산율에 대한 가정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와 통계청의 2005년 장래인구 특별추계의 가정치 사이에 차이가 나는 것은 본 연구의 출산예측모형에서 혼인연령의 상승과 독신여성의 증가로 인한 출산력 저하의 최근 추세를 제대로 반영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가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래인구추계와 관련하여, 출산력 가정치 설정을 위한 출산예측모형의 본질적 과제는 어떻게 기간효과(를 슬기롭게 다루느냐 하는 것이다. 코호트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최근의 실적치를 바탕으로 약간의 기간적 수정을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간효과를 별도로 취급하기는 쉽지 않다. The major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hypothetical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are logically derived and reasonably accurate in the projection of future population. The first procedure is to select a generalized log-gamma distribution model, which includes Coale-McNeil nuptiality model, in order to estimate and project a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by birth cohort and birth order. The second is to apply the log-gamma model with an empirical adjustment to the actual data to estimate and project the future fertility rates for relatively young birth cohorts who did not complete their reproductive career. This study reconstructs or translates a set of cohort age-specific fertility rates into a set of period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must be hypothesized in order to establish the broader framework of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For example, the fertility at age 20 in the year of 2020 is the fertility at age 20 for the cohort born in 1990, while the fertility at age 21 in the year of 2020 is the fertility at 21 for the cohort born in 1989. In turn, once a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for the cohorts who were born up to the year of 2010, it is possible for one to establish an hypothetical set of period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will be needed to project the future population until the year of 2055. The difference in the hypothetical system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between this study and the 2005 special population projection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skillfully exploited to reflect better actual trend of fertility decline caused by rise in marriage age and increasing proportion of those who remain single until their end of reproduc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argues that the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derived from this study is more logical and reasonably accurate than the set of those used for the 2005 special projection. In the population projection, however, the fundamental issue of the hypothetical setting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in relation to the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is about how skillfully one can handle the period effects. It is not easy for one to completely cope with the problem of period effects except for the a minor period adjustment based on recent actual data, along with the given framework of a cohort-based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류기철(Keecheol Ryoo),박영화(Yinghua Piao) 한국인구학회 2009 한국인구학 Vol.32 No.1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1940년대 이후 출생한 우리나라 여성들의 연령별 출산율, 연령별 누적출산율, 결혼연령을 5개의 출생코호트별로 살펴보고 위험도 모형을 이용하여 결혼연령 및 결혼 이후 초산까지의 간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 분석하였다. 먼저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출생시기가 늦은 코호트일수록 출산율이 최고수준에 이르는 연령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령별 누적출산율은 50년대 코호트와 60년대 코호트의 경우 각각 직전 코호트에 비해 누적출산율이 크게 하락하였으나 70년대 코호트나 80년대 코호트는 60년대 코호트에 비해 누적출산율에 있어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혼연령을 보면 최근의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결혼연령이 높아졌다. 한편, 결혼 위험도 모형을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여성의 출생시기가 늦을수록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연령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출생시기의 영향은 그간 진행된 여성의 취업기회의 확대와 여성의 상대적 지위의 향상 등 경제적 및 사회문화적 변화를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결혼 이후 첫 자녀의 출산 위험도의 경우에는 출생시기나 결혼시기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결혼 이후에도 상당기간 취업상태를 유지한 여성의 경우 출산 위험도가 크게 낮았으며 또한 중졸 이하 학력을 가진 여성은 여타 수준의 학력을 가진 여성에 비해 출산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취업이나 낮은 가구소득이 출산율을 낮추는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가진다. This paper uses a survey data to analyze the age-specific fertility rates, age-specific cumulative fertility rates, and ages of marriage of the five birth cohorts of Korean women born in the 1940s and thereafter. It was found that later cohorts reach their highest age-specific fertility rate at higher ages than earlier cohorts. The age-specific cumulative fertility rates of the 1950s and 1960 cohorts were found to be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cohorts, while those of the 1970s and 1980s cohort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the 1960s cohorts. Women belonging to later cohorts were found to get married at relatively higher ages.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hazard model show that women belonging to later cohorts and those with more schooling have a tendency to get married at higher ages. The effect of the birth cohort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Korea during the late 50 years or so. The time interval between a woman's marriage and first birth was found not to be affected by either the year of marriage or that of her birth. Also, those who remained employed for some time around their marriage and those with low schooling were found to have a lower first child birth hazard, which implies that married women's employment status and family incom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ir decisions on childbirth.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모형에 대한 출생코호트 접근과 해석
이정섭(Chung Sup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는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모형의 횡단면적 접근과 분석이 가지는 한계의 대안으로서 출생코호트 접근을 하였다. 1970년부터 2005년까지 진주시를 사례로 5세 연령 간격으로 출생코호트를 구분하고 각각의 주거이동을 탐색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주거수요로서 인구변천과 출산력, 주거공급으로서 주택재고와 주거지역 입지 등 변화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형이 강조하고 있는 연령효과 이외에도 코호트효과와 기간효과가 확인되며, 이로 인해 각 출생코호트의 주거이동 궤적에 차이가 있었다. 한편 모형이 제시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가구주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연령효과가 감소하였고 이동은 감소, 안정되었다. 이에 대한 해석은 출생코호트 간의 주거승계가 미약하거나 단절되고 있고, 결과적으로 연령집단이 주거를 서로 달리하는 가족지위보다 출생코호트를 주거분화 요인 중 하나로 제시할 수 있다. A birth cohort approach to the Household life-cycle model could be an alternative to cross-sectional data. In this study, each residential mobilities of birth cohorts` is traced by the cohort data from repeated cross-section in the case of Jinju city.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fertilities by era, the volume of each cohort as a consumer in housing has varied and the condition of housing stock also has changed as the time goes by. These changes in housing make not only age effect stressed in Rossi`s model, but also cohort and period effect. Due to theses effects of time, every residential mobility trajectories of generations` is different especially in earlier life stages. As households get older, it is found that the age effect reduces and the probability of residential mobility is lower. As this result, the residential succession and filtering between the earlier and latter generations is weakened an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could be happened by birth cohort.
어머니 및 자녀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사랑의 학습지도 유형과 의사소통 분석
김주인 인지발달중재학회 201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5 No.3
본 연구는 연령, 직업유무와 같은 어머니 변인과 자녀수, 자녀연령, 출생순위, 성별과 같은 자 녀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사랑의 학습지도와 의사소통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사랑의 학습지도유형 검사는 박영태(2007)의 사랑의 학습지도 모형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유아들에게 적합하도록 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의 사소통유형 검사는 심성경과 김나림(1997)의 ‘의사소통척도’를 고유미(2009)가 수정 사용한 척 도 중 어머니용만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연령에 따라서는 사랑의 학습지도의 방법에 차이가 없으나 직업유무에 따라서는 판단에 의한 지도와 실천에 의한 지도에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면 직업을 가진 어머니가 자녀 학습지도 에서 더 판단적이며, 실천적이다. 또 자녀변인에서 자녀 연령, 출생순위, 자녀성별에 따라서는 사랑의 학습지도에 차이가 없고, 자녀수에서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면 자녀수가 1명일 때 관 심에 의한 지도를 가장 많이 한다. 둘째, 어머니 연령에 따라서 어머니의 의사소통 방법에는 차이가 없으나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라서는 부정적 의사소통에는 차이가 없으나 긍정적 의 사소통에는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면 직업을 가진 어머니보다 직업이 없는 어머니가 더 긍 정적 의사소통을 한다. 또 자녀변인인 자녀의 수, 연령, 출생순위, 성별에 따른 어머니와 자녀 의 의사소통에는 긍정적 의사소통, 부정적 의사소통 모두에서 차이가 없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성별, 출생체중, 재태 연령, 출생 방법에 따른 자폐 증상 심각도 차이: 후향적 분석
전재효,최범성,김지훈,박현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
목적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아동을 대상으로 성별, 출생체중, 재태 연령, 출산 방법과 아동의 적응 행동 수준, 자폐증상 심각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된 후향적 분석 연구이다. 방법 정신과 전문의로부터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받은 7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대상 아동에게 K-Vineland-II 검사와 K-CARS2 -ST 검사를 시행하여 각 변인의 빈도 및 기술통계분석, 상관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K-CARS2-ST 검사에서만 여아에서 더 높은 점수가 확인되었다(p=0.004). 출생체중, 출생 방법에서는 두 검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재태 연령에서는 K-CARS2-ST 검사에서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r=-0.282, p=0.022). 결론 본 연구에서 아동이 태어나는 순간 결정되는 요인들과 아동이 이후에 보이는 적응 행동의 수준이나 자폐 행동의 심각도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음을 입증하였다. 이로써 양육과 교육, 치료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의 근거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다.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상 아동의 권리와 한국의 실행
백상미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외법논집 Vol.46 No.3
Article 24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ICCPR) defines special protection required for children for their minor status. The proposal to specify such special protection for children in the Covenant stems from the recognition that needs of children differ from those of adults. This is evaluated to a significant achievement, given how international institutions so far have had tendency to limitedly recognize civil and political rights of children.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each paragraph of Article 24 of the Covenant by reviewing the draft writing process, general comments of the Human Rights Committee(HRC) and State party reports. Also, this study examines HRC’s Concluding Observations on South Korea’s implementation of Article 24 of the Covenant, focusing on its evaluations and recommendations. In addition, the study reviews South Korea’s status of fulfillment of the Concluding Observations on State party reports. With respect to birth registration of foreign children, South Korea has already been recommended to introduce the Universal Birth Registration System not only by the HCR but the Committee on the Rights and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mong others. As there is no reasonable ground to discriminate against foreign children in favor of Korean children in granting the right to birth registration,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current system to ensure every child born in South Korea to be registered into the birth system. Another child issue that has been actively discussed recently in South Korea is lowering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This requires an even more measured approach,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both the intent of defining special protection for children in Paragraph 1 of Article 24 of the Covenant, and the Concluding Observations on State party reports by the HRC on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of State parties.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4조는 미성년자의 지위로 인해 아동에게 요구되는 특별한 보호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자유권 규약에 아동에 대한 특별한 보호를 규정해야 한다는 제안은 아동이 필요로 하는 바가 어른들의 필요와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인식한 데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역사적으로 국제법이 아동의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를 제한적으로 인정해온 경향이 있었다는 점을 생각 할 때, 의미 있는 성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초안 작성 과정, 규약위원회의 일반논평 및 당사국의 국가보고서, 제24조와 관련해 제기된 개인통보 사건의 내용 등을 검토해 보는 것을 통해 제24조의 각 항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 분석해 보기로 한다. 또한 규약위원회가 최종견해를 통해 한국의 규약 제24조 실행에 대해 평가하고 권고한 내용을 살펴보고, 한국의 규약위원회 권고 이행상황에 대해서도 검토해 본다. 한국은 외국인 아동의 출생등록과 관련하여 규약위원회 뿐 아니라 유엔아동권리 위원회, 유엔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위원회 등으로부터도 보편적 출생등록제 도입을 권고받은 바 있다. 기본권 보장의 전제가 되는 출생등록권 부여에 대한민국 국적의 아동과 외국인 아동 간 차별을 둘 이유가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국내에서 출생한 모든 아동이 출생등록 될 수 있도록 현행 제도를 개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밖에도 최근 한국에서는 형사책임연령 인하와 관련해 활발하게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데, 규약 제24조 제1항이 아동에 대한 특별한 보고를 규정한 취지 및 당사국의 형사책임연령에 대해 규약위원회가 밝힌 최종견해의 내용을 고려할 때, 이 문제에 대해서는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출산 산모 연령분포 변화와 고령산모에서 저체중출생아의 빈도
문주영 ( Joo Young Moon ),한원호 ( Won Ho Hahn ),심계식 ( Kye Shik Shim ),장지영 ( Ji Young Chang ),배종우 ( Chong Woo Bae ) 대한주산의학회 2011 Perinatology Vol.22 No.1
Purpose: The aim of our study is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nges of maternal age distribution in live births and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infants in advanced maternal age (≥35 years of age) group at the time of birth in Korea. Methods: Birth statistics in 1995, 2000, 2005, and 2008 were collected from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data, total births in each group were 715,000, 634,000, 435,000, and 465,000, respectively. Maternal age distribution ranged from the age of 15 to 50, which were all fertile women. Infants were divided into groups according to birth weight. After maternal age distribution of each year and proportion of advanced maternal age group were examined,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infant (LBWI) in advanced age pregnancy. Results: Number of live births was constantly decreasing during the period of investigation. There was a shift in maternal age distribution; fertile women of the age of 25 to 29 accounted for 54.2% and 51.7% in 1995 and 2000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the age 30 to 34 accounted for 40.8% and 42.7% in 2005 and 2008, respectively. Rate of delivery in elderly gravida were 4.8%, 6.9%, 10.8%, 14.5% in 1995, 2000, 2005 and 2008 respectively, showing a rapid increase. Of the live births, LBWI accounted for 3.0%, 3.8%, 4.3%, 4.9%, thus being increased by about 1.5 times. Overall, with rates of 7.8%, 10.3%, 15.2%, 19.0%,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advanced maternal age group with resultant LBWI was higher than that of elderly gravida alone. Conclusion: While there has been a constant decrease in number of live births in the last decade in Korea, proportion of advanced maternal age group is rapidly increasing and incidence of LBWI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 incidence of LBWI among elderly gravida was increased by a higher degree than proportion of elderly gravida in maternal age distribution, maternal age can be one of the factors causing LBWI.
박상화(Sang Hwa Park),임경실(Kyung Sil Lim),구승엽(Seung Yup Ku),김석현(Seok Hyun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7
Objective : Multiple birth implicates the important health and social problems such as preterm birth, low birth weight, high perinatal mortality, and increased medical cos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ultiple birth rate in Korea using the birth certificate data. Methods : Retrospective review and analysis of data from Korean birth certificate in 1996. Results : Multiple birth rate was 1.4% of total births(683,043 cases). Mean birth weight was 3.29±0.47kg for singleton birth and 2.57±0.58kg for multiple birth. Mean gestational age was 39.56±1.32 weeks for singleton birth and 37.47±2.41 weeks for multiple birth. Rate of low birth weight (< 2.5kg) was 14 times higher for multiple birth compared with that of singleton birth, and rate of preterm birth(< 37 weeks) was 10 times higher.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birth and selected variables including maternal age, job and birth order. As the odds ratio(OR) was 2.47(95% CI: 2.34 - 2.59, p<0.001) for the second birth, and 5.31(95% CI: 4.99 - 5.65, p<0.001) for the third and over birth compared with the first birth,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ultiple birth and birth order. Conclusions : Based on the birth certificate data in 1996, the incidence of twin and higher order multiple birth was 1.7%,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ultiple birth and birth order was reveale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elucidate the etiology and prognosis of multiple birth and the developmental problems from birth to adolesc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