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출산 산모 연령분포 변화와 고령산모에서 저체중출생아의 빈도

        문주영 ( Joo Young Moon ),한원호 ( Won Ho Hahn ),심계식 ( Kye Shik Shim ),장지영 ( Ji Young Chang ),배종우 ( Chong Woo Bae ) 대한주산의학회 2011 Perinatology Vol.22 No.1

        목적: 최근 한국에서 산모 연령 변화와 고령산모가 증가하는 경향을 파악하고 그 비율을 살펴보고, 고령산모의 증가가 저체중출생의 원인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5, 2000, 2005, 2008년 한국통계포털(통계청)에서 공개한 한국의 출생통계 자료를 이용하였다. 조사대상은 각 연도별 한국의 총 출생아 수이며, 출생 시 그들 산모의 나이 분포는 15세 미만부터 50세 이상까지 가임기 여성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고, 각 연도별 출생아 수는 각각 71만5천, 63만4천, 43만5천, 46만5천명이었다. 출생아의 분포를 출생체중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연도별 산모 연령 분포와 35세 이상의 고령 산모의 비율을 조사하고, 고령 산모에서 저체중출생아의 출생 빈도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조사기간 동안 출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저출생체중아의 빈도는 증가하였다. 산모의 연령 분포는 1995, 2000, 2005, 2008년 연도별로, 25-29세가 각각 54.2%, 51.7%, 40.2%, 36.3%, 30-34세가 각각 20.8%, 28.8%, 40.8%, 42.7%, 35-39세가 각각 4,2%, 5.8%, 9.3%, 12.8%, 40-44세가 각각 0.5%, 0.8%, 1.2%, 1.4%로 산모의 연령이 증가하였다. 이중 고령산모의 빈도는 1995, 2000, 2005, 2008년 연도별로 4.7%, 6.6%, 10.6%, 14.3%로 1995년에 비해 2008년도는 3배 정도 증가하였다. 연간 전체 출생 시 산모의 연령에 따른 신생아의 출생체중 분포에서 산모의 연령이 35세 이상에서 미만에 비해 저체중출생아의 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최근에 올 수록 이러한 경향이 더욱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체 저체중출생아 중 고령산모의 빈도는 1995, 2000, 2005, 2008년 각각 7.8%, 10.3%, 15.2%, 19.0% 로 증가 추세이었고, 이는 전체 출생에서의 고령산모의 빈도 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결론: 한국에서 최근 15년 동안 출생아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저출생체중아의 빈도는 증가하여 신생아집중치료의 필요성은 증대되고 있다. 저체중출생아의 원인의 하나가 고령산모인데, 본 연구에서 한국에서 최근 15년간 산모의 연령분포에서 고령화가 지속되어 고령산모의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고령산모에 의한 저체중출생아의 빈도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고령산모의 관리 및 고령산모에 기인한 저출생체중아의 관리가 중요한 범위로 대두되고 있음으로 향후 한국의 주산기 관리에서 고령산모 및 이에 기인하는 저출생체중아에 대한 예방 및 적절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our study is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nges of maternal age distribution in live births and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infants in advanced maternal age (≥35 years of age) group at the time of birth in Korea. Methods: Birth statistics in 1995, 2000, 2005, and 2008 were collected from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data, total births in each group were 715,000, 634,000, 435,000, and 465,000, respectively. Maternal age distribution ranged from the age of 15 to 50, which were all fertile women. Infants were divided into groups according to birth weight. After maternal age distribution of each year and proportion of advanced maternal age group were examined,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infant (LBWI) in advanced age pregnancy. Results: Number of live births was constantly decreasing during the period of investigation. There was a shift in maternal age distribution; fertile women of the age of 25 to 29 accounted for 54.2% and 51.7% in 1995 and 2000 respectively, whereas those of the age 30 to 34 accounted for 40.8% and 42.7% in 2005 and 2008, respectively. Rate of delivery in elderly gravida were 4.8%, 6.9%, 10.8%, 14.5% in 1995, 2000, 2005 and 2008 respectively, showing a rapid increase. Of the live births, LBWI accounted for 3.0%, 3.8%, 4.3%, 4.9%, thus being increased by about 1.5 times. Overall, with rates of 7.8%, 10.3%, 15.2%, 19.0%,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advanced maternal age group with resultant LBWI was higher than that of elderly gravida alone. Conclusion: While there has been a constant decrease in number of live births in the last decade in Korea, proportion of advanced maternal age group is rapidly increasing and incidence of LBWI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 incidence of LBWI among elderly gravida was increased by a higher degree than proportion of elderly gravida in maternal age distribution, maternal age can be one of the factors causing LBWI.

      • KCI등재

        고연령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의 출생 체중: 분포와 특징

        조기현 ( Kee Hyun Cho ),조희승 ( Heui Seung Jo ),조성일 ( Sung Il Cho ),엄영현 ( Young Hyon Eom ),이선경 ( Seon Kyeong Rhie ),이규형 ( Kyu Hyung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14 Perinatology Vol.25 No.4

        목적 : 최근 30년간 사회ㆍ경제적 여건의 변화와 보조생식술 등의 발전으로, 35세 이상의 임신으로 정의되는 고연령임신은 전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고연령 임신에서는 조산아와 저체중 출생아의 빈도가 높다고도 알려져 있으나, 산모의 연령별로 세분화된 재태 연령 및 출생 체중의 분포에 대한 통계적 분석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연구는 산모의 연령군에 따른 산모의 주산기 특성과 신생아의 주산기 특성을 고려하여, 고연령이 저체중 출생아 출산의 독립적 위험인자가 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9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분당차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12,742명을 대상으로, 산모의 연령에 따라25세 미만(N=343), 25-34세(N=8,573), 35-39세(N=3,186), 40세 이상(N=640) 연령군으로 분류하여, 산모의 주산기 합병증 및 신생아의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을 후향적으로 조사하고, 저체중 출생의 위험률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산모의 연령 증가에 따라 임신성 당뇨(P=<0.001), 임신성 고혈압(P=0.019), 전치 태반(P<0.001), 제왕절개술(P<0.001)의 빈도는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25-34세 연령군에 비하여, 35-39세 연령군[odds ratio (OR)=0.945,95% Confidence interval (CI) 0.847-1.056, P=0.319)과 40세 이상 연령군(OR=0.841, 95% CI 0.671-1.056, P=0.136)에서 저체중 출생아의 위험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재태 연령, 체외수정 시술, 임신성 당뇨, 임신성 고혈압, 전치태반, 조기양막파수, 제왕절개술의 빈도를 보정한 후에는 35-39세 연령군(OR=0.847, 95% CI=0.730-0.982, P=0.028)과, 40세 이상 연령군(OR=0.652, 95% CI 0.481-0.884, P=0.006)에서 유의하게 낮아졌다. 결론 : 본 기관에서 최근 5년간 출생한 신생아들의 연구결과, 산모의 연령 증가에 따라 주산기 합병증의 빈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25-34세 연령군과 비교하여35-39세, 40세 이상 연령군에서 저체중 출생아의 빈도가 증가하지않았다. 이는 산모의 연령 자체보다는 철저한 산전관리가 신생아의 예후에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자료라고 생각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neonatal outcome by quantifying the effect of maternal age on lowbirth weight (LBW).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2,742 newborn infants born at CHA Bundang Medical Center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3. Infants were compared after being categorized by the following 4maternal age groups - <25 years (N=343), 25-34 years (N=8,573), 35-39 years (N=3,186), ≥40 years (N=640).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use of logistic regression models with likelihood ratio tests for interaction effects. Results : Incidence of perinatal complications tended to increase significantly with maternal age - gestationaldiabetes mellitus (GDM; P <0.001),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PIH; P =0.019), placenta previa (P <0.001),and cesarean section (P <0.001). Compared to the age group of 25-34 years (reference group), no significant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group of 35-39 year [odds ratio (OR)=0.945, 95% confidence interval (CI)0.847-1.056, P =0.319] and ≥40 years (OR=0.841, 95% CI 0.671-1.056, P =0.136) for LBW. After adjustedby gestational age, incidence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perinatal complications, maternal age was notfound to be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LBW (OR=0.847, 95% CI 0.730-0.982, P =0.028 for 35-39 years,and OR=0.652, 95% CI 0.481-0.884, P =0.006 for ≥40 years). Conclusion : Although incidence of perinatal complications tends to increase with age, neonatal outcome ofage group of ≥35 years measured by incidence of LBW infants was not unfavorable compared to the referencegroup.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thorough prenatal care may be more important than the maternal age itself.

      • KCI등재

        장래인구추계를 위한 출산력 가정치의 설정

        전광희(Kwang-Hee Jun)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래인구추계를 위하여 논리적이고 상대적으로 정확한 연령별 출산율의 가정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먼저 코호트별 출산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의 추정과 추계를 위하여 Coale-McNeil 모형을 일반화한 로그감마분포모형을 선택한다. 다음은 보정형의 연령별 출산율 모형을 재생산을 완료하지 않은 상대적으로 젊은 출생코호트를 포함하는 실적치 자료에 맞추기 위하여, 출산력 파라메터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일련의 출생코호트의 출생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을 역출하여, 장래의 특정연도 대하여 연령별 출산율을 추계한다. 가령, 2010년의 20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90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0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이고, 2010년의 21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89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1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에 해당한다. 결국 2010년에 태어난 코호트까지의 연령별 출산율의 추계치를 얻게 되면, 2055년도까지의 기간별(연도별-령별 출산율에 대한 가정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와 통계청의 2005년 장래인구 특별추계의 가정치 사이에 차이가 나는 것은 본 연구의 출산예측모형에서 혼인연령의 상승과 독신여성의 증가로 인한 출산력 저하의 최근 추세를 제대로 반영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가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래인구추계와 관련하여, 출산력 가정치 설정을 위한 출산예측모형의 본질적 과제는 어떻게 기간효과(를 슬기롭게 다루느냐 하는 것이다. 코호트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최근의 실적치를 바탕으로 약간의 기간적 수정을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간효과를 별도로 취급하기는 쉽지 않다. The major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hypothetical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are logically derived and reasonably accurate in the projection of future population. The first procedure is to select a generalized log-gamma distribution model, which includes Coale-McNeil nuptiality model, in order to estimate and project a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by birth cohort and birth order. The second is to apply the log-gamma model with an empirical adjustment to the actual data to estimate and project the future fertility rates for relatively young birth cohorts who did not complete their reproductive career. This study reconstructs or translates a set of cohort age-specific fertility rates into a set of period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must be hypothesized in order to establish the broader framework of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For example, the fertility at age 20 in the year of 2020 is the fertility at age 20 for the cohort born in 1990, while the fertility at age 21 in the year of 2020 is the fertility at 21 for the cohort born in 1989. In turn, once a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for the cohorts who were born up to the year of 2010, it is possible for one to establish an hypothetical set of period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will be needed to project the future population until the year of 2055. The difference in the hypothetical system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between this study and the 2005 special population projection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skillfully exploited to reflect better actual trend of fertility decline caused by rise in marriage age and increasing proportion of those who remain single until their end of reproduc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argues that the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derived from this study is more logical and reasonably accurate than the set of those used for the 2005 special projection. In the population projection, however, the fundamental issue of the hypothetical setting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in relation to the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is about how skillfully one can handle the period effects. It is not easy for one to completely cope with the problem of period effects except for the a minor period adjustment based on recent actual data, along with the given framework of a cohort-based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 KCI등재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미숙아 망막증의 발생 빈도, 첫 검진 시기 및 발생 위험인자

        라은영 ( Eun Young Ra ),방호일 ( Ho Ill Bang ),오연균 ( Yeon Kyun Oh ),양연식 ( Yeon Sik Yang ) 대한주산의학회 2002 Perinatology Vol.13 No.4

        연구목적: 1,500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미숙아 망막증의 발병 빈도와 적절한 첫 검진시기, 그리고 발병에 관련되는 많은 위험인자 중 cryotherapy 또는 lasertherapy 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1997년 7월부터 2002년 6월까지 5년 동안 원광대학교 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치료받은 1,500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생후 4주 이내 사망하거나 안저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한 130명을 대상으로 미숙아 망막증의 유무, 첫 검진시기, cryo therapy 또는 lasertherapy 시행여부, 미숙아 망막증 발생관련 위험인자 등을 조사하고 이를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1,500gm 미만에서 미숙아 망막증의 발병빈도는 36.9%(48/130명)이었으며, 평균 재태주령은 29.1±1.99주, 출생체중은 1,153±209gm 이었다. stage II 이상의 심한 미숙아 망막증을 보인 경우는 총 환아 중 15.4%, 미숙아 망막증 발생 환아 중 41.7%이었으며, 문턱병으로 cryotherapy 또는 laser therapy가 시행된 환아는 미숙아 망막증 환아 중 27.1% 이었다. 재태주령 및 출생체중으로 구분시 26주 이하, 750gm 미만에서는 100%에서 stage II 이상의 미숙아 망막증 발생과 cryotherapy 또는 la sertherapy가 시행되었다. 미숙아 망막증 진단은 가장 빠른 경우 역연령 3주, 수태 후 연령 30주이었으며, cryotherapy 또는 lasertherapy가 필요했던 문턱병 진단은 빠른 경우 역연령 5주, 수태 후 연령 33주이었다. cryotherapy 또는 lasertherapy 시행에 관련된 인자로는 재태주령, 출생체중, 1, 5분 Apgar 점수, 그리고 수혈회수에서 의의를 보였으며, cryotherapy 또는 lasertherapy가 시행되지 않은 경증 미숙아 망막증 환아의 자연회복 경과는 평균 13.4±8.8주 이었다. 결론:1,500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미숙아 망막증의 발생 빈도는 36.9% 이었고, 첫 안과 검진은 cryotherapy 또는 lasertherapy가 시행된 환아의 첫 진단 시기인 역연령 5주, 수태 후 연령 33주 이전 모두를 고려하여 이중 빠른 시기를 기준으로 시행되어져야 하며, cryotherapy 또는 laserthe rapy 시행에 의미 있는 위험인자로는 재태주령, 출생체중, 1,5분 Apgar 점수, 수혈회수로 조사되었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cidence, the optimal timing of screening examinations for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and to analyze perinat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ryotherapy or lasertherapy (CT/LT) in ROP. Methods: Medical records of 130 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ants who admitted to the NICU of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997 to June 2002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e evaluated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ROP by gestational age (GA) and birth weight (BW) . And the comparisons of perinatal risk factors between ROP with and without CT/LT have been made. Results: Incidence of ROP was 36.9% and mean GA and BW were 29.1 ±1.99 weeks, 1,153±209 gin in VLBW infants respectively. ROP Stage II or greater was 15.4% of VLBW infants, 41.7% of ROP infants, and 27.1% of ROP infants were treated with CEILT. All infants with BW <750gm or GA <26 weeks were developed ROP with stage II or greater and treated with CT/LI First detection of ROP was performed at chronologic age (CA) 3 weeks, postconceptional age (PCA) 30 weeks, and first identification of threshold ROP needed with CT/LT were at CA 5 weeks and PCA 33 weeks. The perinatal risk factors with CT/LT for ROP were significant in GA, BW, Apgar score at` and 5 minutes and number of blood transfusion. The mean time of spontaneous regression is 13.4±8.8 weeks in the mild ROP infants without CT/LI Conclusion: The incidence of ROP is 36.9% and the optimal timing of screening for ROP should be selected by earlier time in 2 guidelines of at 5 weeks of CA and 33 weeks of PCA in VLBW infants. And the related risk factors with CT/LT for threshold ROP were GA, BW and Apgar score at 1 and 5 minutes and number of blood transfusions.

      • KCI등재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모형에 대한 출생코호트 접근과 해석

        이정섭(Chung Sup Lee)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는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모형의 횡단면적 접근과 분석이 가지는 한계의 대안으로서 출생코호트 접근을 하였다. 1970년부터 2005년까지 진주시를 사례로 5세 연령 간격으로 출생코호트를 구분하고 각각의 주거이동을 탐색하고 비교하였다. 그리고 주거수요로서 인구변천과 출산력, 주거공급으로서 주택재고와 주거지역 입지 등 변화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모형이 강조하고 있는 연령효과 이외에도 코호트효과와 기간효과가 확인되며, 이로 인해 각 출생코호트의 주거이동 궤적에 차이가 있었다. 한편 모형이 제시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가구주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연령효과가 감소하였고 이동은 감소, 안정되었다. 이에 대한 해석은 출생코호트 간의 주거승계가 미약하거나 단절되고 있고, 결과적으로 연령집단이 주거를 서로 달리하는 가족지위보다 출생코호트를 주거분화 요인 중 하나로 제시할 수 있다. A birth cohort approach to the Household life-cycle model could be an alternative to cross-sectional data. In this study, each residential mobilities of birth cohorts` is traced by the cohort data from repeated cross-section in the case of Jinju city.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fertilities by era, the volume of each cohort as a consumer in housing has varied and the condition of housing stock also has changed as the time goes by. These changes in housing make not only age effect stressed in Rossi`s model, but also cohort and period effect. Due to theses effects of time, every residential mobility trajectories of generations` is different especially in earlier life stages. As households get older, it is found that the age effect reduces and the probability of residential mobility is lower. As this result, the residential succession and filtering between the earlier and latter generations is weakened an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could be happened by birth cohort.

      • KCI등재

        합계출산율 변화에 대한 재이해: 연령별 출산율 변동 방향성 분석을 중심으로

        최성은 ( Choi Seong Eun ),최영준 ( Choi Young Jun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2 공공정책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연령별 출산율의 변동 방향성 유형 분석을 통해 각 지방자치단체의 연령별 출산율의 증감변동유형에 대한 기초자료를 축적함으로써, 합계출산율 증감변화에 대한 보다 정확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먼저, 연령별 출산율 계산식을 고려하여 전년 대비 연령별 출산율의 변동을 일으키는 모든 경우의 수를 증가, 감소 각 5개 유형(총 10개)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논문 지면의 한계상 17개 시·도의 분석 결과를 담지 못하고, 대신 2012-2018년 합계출산율 평균 상위 10% 광역자치단체인 세종, 전남과 하위 10%에 속하는 부산, 서울의 2012년부터 2018년까지의 변동 방향성 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별 출산율의 변동 방향성 유형 분석 결과를 통해 각 지자체별로 합계출산율의 증감변화를 단순하게 인식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수치의 증감은 분자요인인 출생아 수뿐만 아니라 분모요인인 여성 연앙인구수 변동에 영향을 받으므로, 합계출산율이 각각의 지방자치단체의 저출생 정책 대응 수준을 평가하는 잣대로 여겨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If the birth rate by age ha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births and women’s population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what policy responses should be followed?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demographic profile of each local govern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rection type of the birth rate by age. The purpose is to provide more accurate evidence of changes in the total fertility rate by accumulating the basic data of the fluctuation types of the birth rate. Taking the formula of the age-specific fertility rate into account, we create 10 fluctuation types of the fertility rate. Then, we analyze the types of local governments with the top 10% and bottom 10% fertility rates from 2012 to 2018. We found that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total fertility rate for each local government should not be simply interpreted. The fact that the total fertility rate ‘increased’ and ‘decreased’ year-on-year for each local government is affected not only by the number of newly-born babies but also by the change in the number of female population, which is a denominator. Therefore, we argue that the total fertility rate should not be considered a simple yardstick for assessing the level of low birth rate policies of each local government.

      • KCI등재

        우리나라 사산의 위험요인 분석

        한영자 ( Young Ja Han ),이상욱 ( Sang-wook Yi ),오희철 ( Heechoul Ohrr ),김미영 ( Miyong Ki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 保健社會硏究 Vol.24 No.2

        태아건강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사산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사산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적은 편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산의 양상과 위험요인을 밝히기 위해 1999년도 출생 코호트의 전체 출생아와 함께 1999~2000년도 전체 사산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보건 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1999~2000년 발생한 우리나라 전체 사산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자료를 사용하였다. 사산아의 비차비(Odds Ratio) 산출을 위해 로짓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변량분석에서 사산의 비차비는 태아의 재태기간이 짧고, 출생체중이 작으며, 남아, 다태아에서 높았다. 그리고 사산위험은 모연령에 따라 U-shape을 보였다. 다변량 로짓회귀분석 결과 출생체중과 사산의 위험성간에 가장강한 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기준군: 출생체중 3,000~3,999g, 출생체중 500~999g 사산아의 비차비: 763.7, 95% 신뢰구간: 586.1~995.2). 짧은 재태기간이 두 번째로 중요한 사산의 위험요인이었다. 다변량분석에서는 단변량분석 결과와 달리 사산의 위험요인은 10대의 여성에서만 높았으며, 35세 이상에서 사산위험이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다태임신 태아의 경우 다변량분석에서는 단변량분석 결과와 달리 사산의 위험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Objectives: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the health of the fetus, the cause of stillbirth is still unknown and the study on the stillbirth is very rare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pattern of stillbirth and to investigate the risk factors of stillbirth in Korea. Methods: Total stillbirth cases that occurred during 1999 and 2000 in Korea were collected. The author has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live birth of 1999 birth cohort and total stillbirths of 1999 and 2000.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calculate the stillbirth odds ratio. Results and conclusion: The odds ratio(OR) of stillbirth was higher among fetuses of short gestation period, lower birth weight, male fetuses, and multiple pregnancy. The risk of stillbirth showed an U-shape by the age of the mother.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strongest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birth weight and the risks of stillbirth(birthweight 500~999g group, OR:763.7, 95% Confidence Interval: 586.1~995.2, reference: birth weight 3000~3999g group) Short gestational age was secondly important risk factor. Contrary to the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the risk of stillbirth was high only among the teenaged mothers and the risk was not higher among mothers who were 35 years of age or older. The risk of stillbirth was lower among fetuses of multiple pregnancy from the multivariate analysis.

      • KCI등재후보

        어머니 및 자녀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사랑의 학습지도 유형과 의사소통 분석

        김주인 인지발달중재학회 201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5 No.3

        본 연구는 연령, 직업유무와 같은 어머니 변인과 자녀수, 자녀연령, 출생순위, 성별과 같은 자 녀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사랑의 학습지도와 의사소통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사랑의 학습지도유형 검사는 박영태(2007)의 사랑의 학습지도 모형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유아들에게 적합하도록 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의 사소통유형 검사는 심성경과 김나림(1997)의 ‘의사소통척도’를 고유미(2009)가 수정 사용한 척 도 중 어머니용만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연령에 따라서는 사랑의 학습지도의 방법에 차이가 없으나 직업유무에 따라서는 판단에 의한 지도와 실천에 의한 지도에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면 직업을 가진 어머니가 자녀 학습지도 에서 더 판단적이며, 실천적이다. 또 자녀변인에서 자녀 연령, 출생순위, 자녀성별에 따라서는 사랑의 학습지도에 차이가 없고, 자녀수에서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면 자녀수가 1명일 때 관 심에 의한 지도를 가장 많이 한다. 둘째, 어머니 연령에 따라서 어머니의 의사소통 방법에는 차이가 없으나 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라서는 부정적 의사소통에는 차이가 없으나 긍정적 의 사소통에는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면 직업을 가진 어머니보다 직업이 없는 어머니가 더 긍 정적 의사소통을 한다. 또 자녀변인인 자녀의 수, 연령, 출생순위, 성별에 따른 어머니와 자녀 의 의사소통에는 긍정적 의사소통, 부정적 의사소통 모두에서 차이가 없다.

      • KCI등재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상 아동의 권리와 한국의 실행

        백상미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외법논집 Vol.46 No.3

        Article 24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ICCPR) defines special protection required for children for their minor status. The proposal to specify such special protection for children in the Covenant stems from the recognition that needs of children differ from those of adults. This is evaluated to a significant achievement, given how international institutions so far have had tendency to limitedly recognize civil and political rights of children.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each paragraph of Article 24 of the Covenant by reviewing the draft writing process, general comments of the Human Rights Committee(HRC) and State party reports. Also, this study examines HRC’s Concluding Observations on South Korea’s implementation of Article 24 of the Covenant, focusing on its evaluations and recommendations. In addition, the study reviews South Korea’s status of fulfillment of the Concluding Observations on State party reports. With respect to birth registration of foreign children, South Korea has already been recommended to introduce the Universal Birth Registration System not only by the HCR but the Committee on the Rights and the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mong others. As there is no reasonable ground to discriminate against foreign children in favor of Korean children in granting the right to birth registration,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current system to ensure every child born in South Korea to be registered into the birth system. Another child issue that has been actively discussed recently in South Korea is lowering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This requires an even more measured approach,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both the intent of defining special protection for children in Paragraph 1 of Article 24 of the Covenant, and the Concluding Observations on State party reports by the HRC on the age of criminal responsibility of State parties.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제24조는 미성년자의 지위로 인해 아동에게 요구되는 특별한 보호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자유권 규약에 아동에 대한 특별한 보호를 규정해야 한다는 제안은 아동이 필요로 하는 바가 어른들의 필요와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인식한 데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역사적으로 국제법이 아동의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를 제한적으로 인정해온 경향이 있었다는 점을 생각 할 때, 의미 있는 성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초안 작성 과정, 규약위원회의 일반논평 및 당사국의 국가보고서, 제24조와 관련해 제기된 개인통보 사건의 내용 등을 검토해 보는 것을 통해 제24조의 각 항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 분석해 보기로 한다. 또한 규약위원회가 최종견해를 통해 한국의 규약 제24조 실행에 대해 평가하고 권고한 내용을 살펴보고, 한국의 규약위원회 권고 이행상황에 대해서도 검토해 본다. 한국은 외국인 아동의 출생등록과 관련하여 규약위원회 뿐 아니라 유엔아동권리 위원회, 유엔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위원회 등으로부터도 보편적 출생등록제 도입을 권고받은 바 있다. 기본권 보장의 전제가 되는 출생등록권 부여에 대한민국 국적의 아동과 외국인 아동 간 차별을 둘 이유가 없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국내에서 출생한 모든 아동이 출생등록 될 수 있도록 현행 제도를 개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밖에도 최근 한국에서는 형사책임연령 인하와 관련해 활발하게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데, 규약 제24조 제1항이 아동에 대한 특별한 보고를 규정한 취지 및 당사국의 형사책임연령에 대해 규약위원회가 밝힌 최종견해의 내용을 고려할 때, 이 문제에 대해서는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