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천(春川) 사마소(司馬所)와 사마안(司馬案) 연구(硏究)

        정순교 ( Jung Soon-kyo ) 강원사학회 2021 江原史學 Vol.- No.36

        사마소는 司馬試에 합격한 생원, 진사들이 모인 장소이며, 이곳에서 결성한 계모임이 사마계이다. 또한 여기에 모인 생원, 진사들의 명단을 작성한 것이 司馬案이라 부른다. 춘천에는 『司馬稧座目』, 『司馬所先生案』이 현전해 사마소의 운영이 확인된다. 춘천 거주 입격자는 15세기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마소 건립이 논의된 것으로 보인다. 1604년에 한성 출신인 원사열과 최순경이 춘천 사마소를 설립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춘천 거주자와 다른 지역 입격자의 참여로 사마소를 세운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호란 이후에 1655년에 강회를 시작했고, 1799년에는 문소각에서 새로운 강신이 열렸다. 그리고 새롭게 홍언철이 『사마소선생안』을 편찬하였다. 『사마소선생안』에는 19세기 말까지 계속해서 인물들이 등재되다가 1894년을 마지막으로 등재되지 않았으며, 사마계에서 입격자 수를 보면 전주 이씨가 54명, 풍양 조씨 30명, 경주 이씨 20명의 순이다. 춘천 『사마소선생안』에 등재된 전주 이씨, 남양 홍씨, 풍양 조씨, 경주 이씨와 같은 춘천 재지 사족들을 거주지별로 분석해보면 한성과 춘천 거주자가 섞여 있으며, 혈연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점차 후손으로 갈수록 춘천 거주자가 비중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춘천 사마계 등재 사족들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춘천 사마계 입록 기준을 보면 춘천에 부임해왔거나, 앞서 등재된 인물의 후손이거나, 춘천에 왔던 이름난 선비가 이름을 올릴 수 있었다. 지역에 한정하지 않고 친인척 관계도 등재할 수 있게 해두어 사마계의 외연을 넓히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춘천 사마계는 사마시에 합격한 인물만을 등재했으며, 다른 지역에서 자신의 가문의 세력을 넓히기 위해 입격자가 아닌 인물을 등재한 것과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Samaso is a place for Saengwon(生員) and Jinsa(進士) who passed in Samasi(司馬試). Samagye(司馬契) is organized of Saengwon and Jinsa gathered there. Samaan(司馬案) is a list showing names of Saengwon(生員) and Jinsa(進士) of Samagye. Samagyejoamok『司馬稧座目』, Samaso Seonsaengan『司馬所先生案』 extant in Chuncheon prove that Samaso existed there. Because Chuncheon residents who passed in Samasi increased continuously after the 15th century, it is thought that construction issue of Samaso was discussed. It is recorded that Won Sa-yeol, Choi Soon-gyeong come from Hanseong constructed Samaso in Chuncheon in 1604. Samaso was established as residents in Chuncheon and successful applicants from other region participated in. After Qing invasion of Joseon, study assembly(講會) began in 1655 and new Gangsin(講信) was open at Moonsogak(聞韶閣) in 1799. Hong Eon-cheol newly compiled Samaso Seonsaengan『司馬所先生案』. Figures had been recorded on Samaso Seonsaengan『司馬所先生案』 until the year 1894. The number of successful applicants in the examination in the Samagye was 54 with family name Jeonju Lee, 30 with Poongyang Jo, 20 with Gyeongju Lee Based on analysis result on figures with family name Namyang Hong, Poongyang Jo, Gyeongju Lee etc. listed on 『Samaso Seonsaengan』 by residence,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each family had resident in Hanseong and Chuncheon, and they are connected each other by blood. And it can be seen that portion of residents in Chuncheon increased over time towards later generation. This could be a characteristic of scholar family listed on Samagye of Chuncheon. As for criterium for registering on Samagye of Chuncheon, it did not put limitation of region and relatives could be listed. For example, there were persons who were assigned for work to Chuncheon from other region, descendents or family of existing listed figure, famous scholars from other region to Chuncheon. This shows that Chuncheon Samagye intended to extend its size. And Chuncheon Samagye basically allowed to register figures who passed Samasi. This is different from other Samaso where figures who were not successful applicants were also listed to extend its own family's influence.

      • KCI등재

        글로컬 기술 춘천닭갈비의 장소성

        이광형,엄태웅 한민족문화학회 2023 한민족문화연구 Vol.83 No.-

        이 연구는 춘천닭갈비가 왜 그 시절에 춘천에서 생겨나서 춘천닭갈비라는 이름으로 널리 퍼져 나가게 되었는지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춘천닭갈비는 넓은 의미로는 모방 기술의 산물로서 ‘테크네(techne)’이며, 좁은 의미로는 춘천이라는 공간의 물리적인 주방에서 끊임없이 진화해 온 기술의 장소이다. 춘천닭갈비의 서사와 거기에 중첩되어 있는 춘천 사람들의 이야기에는 닭갈비를 중심으로 둘러앉아서 수고로움을 함께 나누며 공감하던 공동의 지향 같은 것이 담겨 있다. 설화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물과 안개의 도시인 춘천에는 예로부터 물을 모방한 다양한 기술들이 전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춘천닭갈비도 춘천 사람들이 만들어 낸 정주 기술의 일종이다. 근현대 춘천을 배경으로 한 소설에서 춘천의 도심은 안개에 싸인 어둡고 음습한 곳으로 그려진다. 그런 춘천의 도심에서 명동은 밝고 따뜻한 장소로서 춘천 로컬리티의 지형을 변모시켜 왔다. 그 심층 혹은 구심점이 춘천닭갈비 가게들과 춘천닭갈비 자체이다. 춘천닭갈비의 서사는 그 시절 춘천 명동에 모여든 사람들의 조금씩 다른 모든 이야기들을 담고 있는 상징적 장소성이다. 앞으로도 춘천닭갈비의 서사는 춘천 명동과 춘천 사람들의 이야기와 더불어 변화되어 갈 것이다. This study is the process of finding an answer to why Chuncheon Dakgalbi was created in Chuncheon at that time and spread widely under the name Chuncheon Dakgalbi. Chuncheon Dakgalbi is ‘techne’ as a product of imitation technology in a broad sense and is a place of technology that has constantly evolved in a physical kitchen in a space called Chuncheon in a narrow sense. The narrative of Chuncheon Dakgalbi and the stories of the people of Chuncheon overlapped with it contain something like a common aspiration of sitting around Dakgalbi to share and sympathize with hardships. As can be seen in the tale, Chuncheon, a city of water and fog, has been handed down various technologies that imitate water since ancient times. Likewise, Chuncheon Dakgalbi is a kind of settlement technology created by the people of Chuncheon. In a novel set in modern Chuncheon, the city center of Chuncheon is depicted as a dark and shady place shrouded in fog. In the downtown area of Chuncheon, Myeong-dong has transformed the topography of Chuncheon’s locality as a bright and warm place. The in-depth or center point is Chuncheon Dakgalbi restaurants and Chuncheon Dakgalbi itself. The narrative of Chuncheon Dakgalbi is a symbolic place that contains all the slightly different stories of people who gathered in Myeong-dong, Chuncheon at that time. The narrative of Chuncheon Dakgalbi will continue to change along with the stories of Chuncheon Myeong-dong and Chuncheon people.

      • 기록을 통해 본 춘천농악의 역사적 존재 양상 및 전승 양상

        이은주(Lee Eun-ju)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19 아시아강원민속 Vol.32 No.-

        본고에서는 강원도 춘천의 민속이자 문화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춘천농악에 대해 살펴 보았다. 춘천지역의 농악은 전근대 사회에서 근대 사회로 넘어오면서 여타 한국의 농악과 마찬가지로 전통의 단절과 복원의 과정을 거치면서 그 변화를 맞아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춘천지역의 농악은 1960년대 이후 전국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전통의 발굴과 복원의 중심부에서 의도치 않게 한편으로 물러나 있었고, 이에 농악의 발굴과 복원 그리고 보존과 전승이란 근현대 농악사의 큰 흐름에서 소외를 경험하였다. 그나마 1983년 이후 시행된 강원도민속예술경연대회(현 강원민속예술축제)와 같은 제도권 내에서의 전통예술 발굴 및 복원의 노력, 그리고 동시대에 대학과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농악을 포함한 우리문화 찾기 운동의 결실들이 모여 전승이 단절되었거나 혹은 전승력이 약화된 지역 농악을 발굴하고 복원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 비해 춘천지역 농악의 통시적 · 공시적 측면의 전승양상에 대한 논의는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이 글은 춘천농악의 역사와 전승현황을 민속지, 구비문학, 사진, 공연팸플릿, 신문기사 등 다양한 기록에 근거하여 춘천지역에 전승되어 온 춘천 지역 농악의 역사적 존재 양상 및 전승 양상을 살펴 보았다. 나아가 지역의 전통문화유산인 춘천농악을 널리 알려 소중함을 일깨우며, 춘천지역 농악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연구 자료와 지역의 무형문화 자산으로서 농악의 전승에 필요한 학술연구 및 문화콘텐츠 제작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Chuncheon Nongak, a folk tradition and cultural resource of Chuncheon, Gangwon province. Nongak, Korean community band music, in Chuncheon has been transformed during the transition between the pre-modern to the modern society as in Korean Nongak in general, due to a disruption and restoration of the tradition. In the process, Nongak of the Chuncheon region was unexpectedly left out of the primary efforts carried out nationwide since the 1960s to discover and restore traditions. Consequently, it has been neglected in the larger trend of conservation and transmission in the modern history of Nongak. Fortunately, institutional efforts to discover and restore traditional arts, such as Gangwondo Folk Arts Contest (currently Gangwon Folk Arts Festival) instituted in 1983, and the campaign led by college students and the civil society to regain Korean culture including Nongak drove the discovery and restoration of regional Nongak that was discontinued or unable to thrive. Nevertheless, the discussion on the aspects of diachronic and synchronic transmission of Chuncheon Nongak is far behind its accomplishments.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spects of historical presence and transmission of Nongak that has been handed down in the Chuncheon region, using a wide range of records including ethnographies, oral literature, photographs, performance pamphlets, and newspaper articles. The study findings are expected to publicize and raise the profile of Chuncheon Nongak as a regional cultural heritage and ultimately be utilized as the evidence for further exploration of the potential of Chuncheon Nongak as well as academic research and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for transmission of Nongak as an intangible regional cultural asset.

      • 역사상 춘천의 군사적 거점과 가치

        유재춘 육군군사연구소 2010 군사연구 Vol.- No.130

        When groups generate power and conflict results between groups, the strength of a group is always determined by their military techniques and capabilities. Historically, military aspects have been significant to the survival of a group and are currently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the transformations of cities. In studying cities such as that of Chuncheon for example, vital information can be gained from its mountain fortress. One can tell of the military techniques used and their strong points and gain insight into the major historic changes that have occurred in chuncheon city. Including Woodu(牛頭) mountain fortress, Bongui(鳳儀) mountain fortress,Samak(三岳) mountain fortress and Yonghwa(龍華) mountain fortress are known as main military ruins in Chuncheon area. Above mountain fortresses were not operated in the same age. Because different conditions of a location were need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 primary mountain fortress was moving throughout the history. The ruins related to Macguk(貊國), a country settled at Chuncheon in ancient times, are ambiguous when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site of trail. And Woodu mountain fortress is regarded as a valuable remain for the investigation of ancient history. It is expected that Woodu mountain fortress was used by the first group settled in Chuncheon. After Silla(新羅) entered into Chuncheon, a considerable change was generated in late 7th century. Silla built Juyang(走壤) mountain fortress(expected to be current Bongui mountain fortress) in Chuncheon because of the vast battle between Silla and Dang(唐). Silla had the capital in South area at that time, but needed more rugged and robust fortress because Silla continued to face crisis due to the fierce battle. Moreover, due to Mt. Woodu, Silla had limited flexibility in their fighting techniques because of a river on their backside. It was later decided that the purlieu of Mt. Bongui was a much better place than Mt. Woodu for the war. In this location, Silla could fight and always have the river ahead. In the Corea(高麗) Ages, Bongui mountain fortress was no longer utilized as the major fortress of Chuncheon following its capture by the Mongolian army. After that time, the function of fortress was focused on providing a hiding place as opposed to strategic advantage for the military. Eventually,other fortresses were built in rugged and secluded locations. Samak mountain fortress and Yonghwa mountain fortress became the base of Chuncheon after Bongui castle’s fall.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Chuncheon was noticed for its new military strong-point. Especially, after Joseon’s defeat in Byeongja-Holan(the war between Joseon and Chung(凊) dynasty in 1636),Chuncheon was highlighted as a refuge for the King of Joseon in a national emergency. Chuncheon’s recognition as a military strong-point was due to its topographical condition. Chuncheon, as a basin, is surrounded by high mountains and placed where the two rivers join in, making it hard to be taken by the enemy. These characteristics of Chuncheon were recognized again when military tensions were raised with the force of the West and Japan. Setting governmental institution in Chuncheon was entrusted with an important mission. The pattern of modern wars cannot be identified with or compared to pre-modern wars’. The military strategy between the wars of the modern and pre-modern eras is different. However, they are similar in the sense that the geographical advantages of each can undoubtedly be utilized in every war. In the 6.25 War, the successful defense in Chuncheon battle was due to the outstanding leadership abilities and combat power of the Armed Forces. Moreover, the geographical advantages were also an important condition for the victory. The fact that the mountain fortresses for military strong-points were built at Mt. Woodu and Mt. Bongui in Chuncheon shows the value of Chuncheon for the military hub beyond age. 집단과 권력이 발생하고 집단간의 갈등이 수반되면서 그 집단의 근거지는 항상 군사적인 측면이 고려되었다. 이는 집단의 생존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이래 수많은 전쟁을 통해 그 역사적 흔적이 어느 지역에나 남아있게 되었다. 이러한 군사적인 성격의 유적은 시대에 따라 여러 가지 양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특히 한 지역내에 한정하여 본다면 그 지역의 군사적인 거점의 변화는바로 중대한 역사적인 변화 양상을 반영하기 마련이다. 춘천지역내에 존재하는 군사적 거점인 성곽유적에 대한 연구는 춘천에서 일어났던 중요한 역사적 변화를 읽어내는데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춘천지역의 주요 군사유적이라고 할 수 있는 성곽유적으로는 우두산성을 비롯하여봉의산성, 삼악산성, 용화산성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성곽유적은 동시기에 운영되던 성곽이 아니라 시대 상황의 변천에 따라 각기 다른 입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성곽이 이전되게 되는 것이다. 고대 시기에 춘천을 중심으로 성립되었다고 전해오는맥국과 관련된 유적이라고 하는 것은 그 성격이나 흔적이 명확하지 않다. 그리고 우두산성의 경우는 춘천지역의 고대사 규명에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춘천에 근거한초기 세력집단에 의해 활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신라의 춘천 진입 이후 7세기 후반에는 큰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羅唐戰爭이 격화되어 가는 중에 신라는 춘천에 주양성(현재의 봉의산성으로 추정)을 새로 축조하였다. 신라는 남쪽에 근거지(수도)를 가진 나라이기 때문에 당나라와의 전쟁이더욱 격화되어가는 위기 상황에 봉착하면서 더 험준하고 견고한 요새지가 필요했고더구나 江북쪽의 배수진이 되는 우두산보다는 전면에 강을 두고 지킬 수 있는 봉의산 쪽이 전투에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었다. 이후 고려시대에 들어 蒙古軍에 의해 春州城(봉의산성)이 함락된 이후 봉의산성은더 이상 춘천의 입보성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이후 산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보다는 피란성으로의 기능에 더 비중을 두게 하였고 결과적으로는 산성을 매우 험준하고궁벽한 곳에 구축하게 하였다. 춘천의 경우 봉의산성이 폐기되면서 삼악산성과 용화산성이 입보성으로 운영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선후기에 이르러 춘천은 새로운 관방지로서 주목받게 되었다. 특히 병자호란 당시 있었던 국왕을 비롯한 王室人, 官吏들의 이동의 문제(바다나 강을 건너 피신하는데 많은 시간 필요)라든가 방어력 문제(믿고 있었던 강화성과 남한산성이 모두함락)가 대두하면서 보다 다른 보장처를 물색하게 되었고 춘천은 그 후보지의 하나로 부각되게 되었다. 당시 춘천에 대한 주목은 춘천이 가지고 있는 지형적인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즉, 춘천은 높은 산맥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역인데다가 두 개의강이 합류하는 지점이어서 어느 쪽에서 적이 공격을 해 오더라도 쉽게 점거하기 어려운 곳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춘천에 대한 보장처 인식은 근대에 이르러 서양과 일본의 세력이 밀려와 군사적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다시 주목받게 되었고 춘천에 유수부를 만들고, 감영을 설치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현대전은 전근대시기의 전투와는 그 양상이 같을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군사작전에는 정도차이는 있지만 반드시 그 지형적 이점이라는 것이 작용되게 마련이고이는 전근대의 전투와 현대전 ...

      • KCI등재

        조현명 한시의 춘천 표현

        이경수(Lee, Kyung-So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2

        이 논문은 『귀록집』에 수록되어 있는 조현명(趙顯命 1690-1752)이 1736년과 1746년 2차에 걸쳐 춘천을 방문하고 지은 시를 정리, 분석하였다. 제1차 춘천 방문은 영조의 탕평책을 추진하는 핵심 인물로서 이조판서로 등용되었으나 반대파의 비판을 받으며 관직에서 물러나 1735년에 선산과 형들의 묘소를 성묘하기 위하여 방문한 것이다. 제1차 춘천 방문에서의 시에는 중앙정계를 떠나 온 것에서 오는 불안감과 자신의 정치적 후원자들이었던 형들이 모두 일찍 죽은 것에 대한 비애가 시 전반에 담겨 있다. 청평사, 소양정 등을 유람하면서 지은 시들에서 자연 경관의 특징을 서술하면서도 자신의 중앙정계 진출 문제에 대한 고민을 표현하였으며 이자현이나 김시습과 같은 은둔자에 대하여는 부정적인 시각에서 표현하였다. 이때의 시에서는 춘천 관아에서 실시하는 겨울철 매사냥에 참여한 장쾌한 감정을 시로 읊은 것이 18세기 춘천의 풍속을 표현한 것으로서 주목할 만하다. 조영명, 조문명 두 형과 조카들의 묘소에서 느끼는 비애를 표현한 시들은 조현명이 46세 무렵 처한 정치적 역경 속에서의 내면세계를 표현한 시로서 의의가 있다. 제2차 춘천 방문은 영조 시대 노론 세력의 강화와 탕평책의 한계에 도달한 상황 속에서 조현명의 정계 은퇴가 임박한 만년인 1746년에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때에는 조현명 대신 탕평론을 계승하여 요직에 진출하기 시작한 조카 조재호와 함께 춘천에서 시를 지은 것이 주목된다. 문소각에서 춘천관아의 경관, 역사, 기능을 서술하면서 춘천 관아의 훌륭한 통치를 기대하는 정계 원로로서의 심경과 함께 중앙정계를 떠난 회한을 표현하였다. 소양정에서는 조재호의 시판에 차운한 시를 지었는데 경관에 대한 묘사나 예찬보다는 과거의 추억이나 현재의 자신의 처지에 대한 심경을 표현하는데 치중하였다. 청평사나 선산, 형들의 묘소를 방문하고 지은 시는 없고 춘천을 떠나기 전날 송별연으로 소양강에서 뱃놀이를 하면서 지은 〈주유소양강〉과 〈주중잡영〉 등이 18세기 춘천 관아에서 행한 관료문인들의 선유(船遊) 풍속을 표현한 시들로서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interprets and studies Sino-Korean Poetry written by Jo Hyeonmyeong(1690-1752) who is a symbolic member of Joseon dynasty’s politically influential Pungyang Jo’s family after his visiting to Chuncheon. The poetry written in his first visiting to Chuncheon expresses his thoughts about the beautiful sceneries or famous Buddhist architectures such as Chyeongpyeong temple and Soyangjeong. However, the poetry also predicates his concern towards his political future as he left the politics after being criticized from the mainstream political world. The poetry expresses his sorrow he felt at his brothers’ tomb and his firm will to enlarge his families’ political power that will enable him to re-enter to the center of the political world. After re-entering into the world of politics and became a deputy Prime Minister, he resigned after being criticized for his political limits and visited Chuncheon for the second time. The poetry expresses his helpless feelings of not being capable of participating in politics due to his old age. What’s most noticeable about the poetry is the fact that he wrote the poetry with his nephew Jo Jaeho who followed his political path and was newly coming to power. There are a few poetries written about sightseeing but they are mostly about leisure time he had with his supporters. Most of the poetries were written with his supporters while enjoying their time and idling riding boats. Many of the poetries Jo Hyeonmyeong wrote in Chuncheon lacks his expression regarding scenery or customs but reflects his political point of view as who once was the most powerful politician during the era of king Yeongjo.

      • KCI등재후보

        강원 지역 문인 연구 우정(憂亭) 김경직(金敬直)의 춘천(春川) 도포서원(道浦書院) 배향과 그 추숭 양상

        정용건 (재)한국연구원 2022 한국연구 Vol.- No.10

        본고는 춘천(春川) 도포서원(道浦書院) 배향 인물 가운데 하나인 김경직(金敬直)의 생애와활동, 그리고 그 추숭 양상에 대해 살핀 글이다. 김경직은 춘천 출신의 문과 급제자로서 지역 사회에 널리 알려져 있을 뿐 아니라 신숭겸(申崇謙)·신흠(申欽)과 함께 도포서원에 배향되기까지 한 인물이었음에도, 서원 건물의훼철과 자료의 부재로 인해 그간 충분한 조명을 받지 못해왔다. 그는 1590년 진사시에 합격, 1610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나 광해군(光海君)의 난정에 실망하여 춘천 우두촌(牛頭村)으로 돌아와 은거하였다. 이후 인조반정(仁祖反正) 뒤에 비로소 다시 출사하여 여러 내외직을 역임한 뒤 은퇴하여 춘천에서 노년을 보냈다. 그는 이정형(李廷馨)·신흠(申欽)·김상헌(金尙憲) 등 당대의 명사들과 두루 교유하고 최명길(崔鳴吉) 같은 중신에게 직능을인정받았으며, 지역의 후학 양성에도 힘을 기울였다는 점에서 춘천을 대표할 만한 인사로 주목받았다. 김경직이 춘천 도포서원에 배향될 수 있었던 직접적인 요인은 크게 세 지점으로 나누어 이야기할 수 있다. 먼저, 중앙 관직을 지낸 뒤 고향으로 은퇴하여 후학을 길러낸 ‘향선생(鄕先生)’으로서 공고한 지위를 획득하였던 점을 꼽을 수 있다. 다음으로, 당대의 대문인으로서 춘천에 유배되어 있던 신흠과 깊이 교유하였고 그 외가 또한 평산 신씨(平山申氏)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광해군 때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여 절조를지킨 점을 거론할 수 있다. 특히 이 세 번째 지점은, 도포서원 배향의 동인으로 작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의 이미지를 ‘절사(節士)’로서 문인 사회에 각인시키는 데에도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 실제 형상화 작업은 송시열(宋時烈) 이하 노론계(老論系) 인사들에 의해 주도되었는데, 이들은 김경직이 지닌 절의의 면모에 관심을 보이고 그러한 요소를 추출·확대하여 각종 전기류 기록에서 이를 반복적으로 강조하였다. 이와 같은 노력의 결과, 김경직은 단순히 ‘지역 사회의 향선생’으로 기억되는 것을 넘어 격랑의 시기 속에서도 자신의 지조를 꿋꿋이 지킨 ‘광해조의 일민(逸民)’으로서 전국적인 명성을 획득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김경직의 생애와 활동, 후대적 추숭 양상은 춘천 도포서원 배향인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케 할 뿐 아니라, 조선 시대 지역 사회의 문인이 지속적인 기억작업을 통해 전국적인 위상을 부여받게 되는 일련의 과정을 살필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南陽洪氏 益山君派의 春川移居와 定着

        고민정 조선시대사학회 2008 朝鮮時代史學報 Vol.46 No.-

        Faction of Iksangun(益山君) in the Hong of Namyang(南陽洪氏) takes Hong Eun-yeo(洪殷悅), a dynastic foundation merit subject of Goryeo, as their putative apical ancestor. When Lee Ja-gyeom’s Rebellion had broken out, Hong Gwan(洪灌), who was assistance to the throne, outspoke to the king, and so, Hong Eon-bak(洪彦博), who also assisted the king, was appointed as councilor. Even other members of Hong’s clan could have opportunities to serve as councilors. Having produced many men of distinguished talents in clan, the faction of Iksangun won nationwide reputation as a major family and elite lineage in the later Goryeo Period. And, arriving even in Joseon Period, the faction of Iksangun had maintained their power producing many elites of distinguished talents, including Hong Eung, the second state councilor, and Hong Heung, inspector general. Direct ancestor of the Hong of Namyang, who moved to Chuncheon, is Hong Ik-jun(洪翼俊), also known as Gunsugong(郡守公); gong denotes a high government official. Hong Ik-jun also passed the erudite examination and gained official rank. Hong Eon-cheol, the sixth-generation of Hong Ik-jun, was a successful candidate of the special examination given on the joyous occasion involving the King, and served in key posts of the palace library and the office of special counselors. In addition to him, Hong Hwon(洪藼) and Hong Chang-jin(洪昌震) were successful in the classics or literally licentiate examination. Factors that they had to move to Chuncheon were presumed as by three causes. First, there were geographical advantages. Chuncheon was the center of administration where the regional military command was stationed. Owing to thriving grain-shipments and post road, distance between Hanseong(present Seoul) and Chuncheon became shorter. Second, they had sound economic basis. Hong Jin-ho owned rice paddies and crop fields at Dongbu- myeon(東府面), Dongsanoi-myeon(東山面) and Buk-myeon(北面). Third, they established good relationships with people in the locality based on their marriage. Hong Jin-ho, the trailblazer, married a lady from the Kim of Seonsan, whose family was elite class and influential in Chuncheon province. They were listed on the register of county(called, Hyangjungjwamok, 鄕中座目), which was started recording from 1656, so then it can be figured out that they were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activities as residents. In the Samagye (a kind of fraternity circle or an cooperative) which was organized centering on those persons who passed the licentiate examination (also called Samasi; 司馬試), Hong Hwon played a leading role in order to activate Samagye(司馬稧), having invited Lee Gyeong-seok(李景奭) who took up a temporary abode in Chuncheon to join the meeting, and so forth. Hong Chang-jin wrote the preface of a book dubbed, “Samaso Seonsaengan.” And Hong Eon-cheol examined carefully the Samagye, which was interrupted, and participated the meeting in person and even left poetry. Hong Eon-cheol(洪彦喆) strived to exchange closely with those erudite figures resided in Chuncheon, other than activities through Samagye or the community organization. He passed the higher civil service examination, however, before appointed as a public officer, he organized a poetry club, called “Mangokdongsa(晩谷同社),” together with six aristocrats. It shall be meaningful in the aspect that Hong Eon-cheol tried to maintain consistent relationship with those elite and erudite figures residing in the locality thinking that Chuncheon was the town he would like to return when retired. 본 논문은 조선후기 南陽洪氏 益山君派가 춘천으로 이거하여 정착하는 모습을 살펴보기 위하여 춘천남양홍씨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를 분석하였다. 남양홍씨가는 洪振湖에 의해서 17세기 중엽에 春川府 東山外面 萬法里에 정착하여 현재까지 세거하고 있다. 이들이 춘천으로 이거해온 요인을 세 가지로 추정해 보았다. 첫째는 지리적 이점이 있었다. 한성부인들에게 춘천의 자연환경은 평상시에 거처할 만한 곳으로 이름나 있었으며 漕運과 驛路가 발달하여 도성과의 왕래가 용이하였다. 둘째는 경제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었다. 홍진호는 춘천에 332斗落과 42日耕의 논과 밭을 소유하고 있었다. 셋째는 通婚에 의한 인적기반이 마련되었다. 입향조인 홍진호의 처가는 춘천의 유력한 재지사족인 善山金氏였다. 남양홍씨가는 춘천으로 입향한 뒤에 향촌사회의 일원으로 참여하였으며 司馬稧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洪藼은 사마계를 재건하기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洪昌震은 先生案의 序文을 작성하였다. 또한 洪彦喆은 講會에 참석하여 시문을 남겼다. 이외에도 홍언철은 춘천의 재지사족과 친밀한 교류를 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는 춘천의 재지사족들과 친목단체인 晩谷同社를 결성하고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이는 홍언철이 춘천을 자신의 고향으로 여기고 재지사족들과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려고 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들이 춘천에 정착하는 모습을 살펴보면 지리적으로 조건이 비슷한 경기 북부지방이나 강원 영서지방의 경우와는 다른 경향을 보인다. 경기 북부와 강원 영서의 사족들이 중앙관직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향촌사회내의 일을 소홀히 여기거나 문중활동에 치우쳤다는 연구결과와 달리 춘천의 남양홍씨가는 관직에 나가 있으면서도 향촌사회의 일도 적극적이며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가와이문고(河合文庫) 소장 『春川邑事例』를 통해서 본 19세기 춘천의 재정 운영

        전상욱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101 No.-

        본 연구는 가와이문고(河合文庫)에 소장된 『春川邑事例』를 중심으로 19세기 춘천의 재정운영 양상을 살펴보았다. 『春川邑事例』는 고종 21년(1894)에 간행되었다. 그러나 『春川邑事例』에 수록된 각종 수치와 읍사례가 이전의 내용을 傳寫하는 하는 경우가 많은 점을 고려하면 기존의 읍사례를 상당부분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강원도지역은 상정법 시행을 계기로 지방재정 운영이 종래에 비해 체계적인 형태로 변모하였다. 이는 상정법 시행을 계기로 영관수, 사객지공미, 쇄마가 등이 상정회감 대상에 포함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정법의 시행방침은 제대로 준수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강원도지역의 각 군현은 환곡, 식리전 , 잡역 징수, 민고 등을 통해 부족한 경비를 자체적으로 확보할 수밖에 없었다. 이 같은 지방군현의 대응양상이 『春川邑事例』에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春川邑事例』에는 재정 운영과 관련된 항목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우선 도서원에서 전결세 수취를 위한 과세결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대동색은 전결세 중 일부를 중앙에 상납하였다. 반면에 상정고는 춘천에 배분한 대동유치와 상정을 통해서 중앙에 상납하는 진상과 본색공물을 조달하였다. 이처럼 대동⋅상정의 회감대상은 주로 중앙정부와 관련이 깊었다. 그리고 官需를 책정하였지만, 춘천의 지방재정 운영에는 턱없이 낮은 수준이었다. 이로 인해 춘천은 다양한 대응책을 강구하였다. 이는 장세, 화전세, 진상봉여, 잡역 징수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보삼고, 보역고 등 민고를 운영하기도 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Chuncheon-eubsalye (春川邑事例) stored in Kawai Library. Chuncheon-eubsalye (春川邑事例) was published in 1894, provides information on local administration, crafts, and prices in Chuncheon in the 19th century.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zed local finance operations among the contents contained in Chuncheon-eubsalye (春川邑事例). Chuncheon-eubsalye (春川邑事例) contains many items related to financial management. First, doseowon (都書員) confirms gwasegyeol (課稅結). And Daedongsaek (大同色) pays a portion of the total tax collected from the gwasegyeol (課稅結) to the central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Sangjeonggo (詳定庫) purchases jinsang (進上) and bonsaeggongmul (本色貢物) with Daedong-Yuchi (大同留置) and Sangjeong (詳定). In addition, Although gwansu (官需) was provided, Chuncheon was secured separately through market taxes, Fire field taxes, jinsangbong-yeo (進上封餘), collection of miscellaneous taxes, and operation of mingo (民庫).

      • KCI등재

        2010년대 이후 독립영화에 나타난 춘천 표상 연구

        이주라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6 No.-

        This paper aims to analyze Chuncheon's representation in Korean independent films since the 2010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Chuncheon's locality, and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building regional identity. Chuncheon is in the spotlight as a day trip in Seoul due to its geographical advantage and outstanding natural scenery. As a result, Chuncheon's locality is commonly used in the media as a symbol of youth-travel-romantic-love. However, since 2010, independent films have questioned the stereotype of Chuncheon, and have tried to reproduce Chuncheon's locality in various ways. Jeon Gyesoo's <Lost & Found>(2010) betrays tourists' expectations of Chuncheon, a dream destination for romantic love, and defeats Chuncheon's administrative goal of becoming a city of culture and art. Cho Changho's <Other Way>(2015) transforms the image of the winter lake of Chuncheon into a universal symbol of the boundary between life and death. These two films escaped the stereotype of Chuncheon, a romantic travel destination, but eliminated everyday life of Chuncheon, reducing Chuncheon's representation to an abstract concept. In contrast, Jang Woojin's <Autumn, Autumn>(2016) crosses Chuncheon as a travel destination and Chuncheon as a daily living space in parallel, reproducing the inconvenient coexistence of travel and daily life in Chuncheon's locality. Through this, the film was able to reproduce the unique daily life of the region, not consumed only by the image that the local identity is a tourist destination. 이 논문은 2010년대 이후 한국 독립영화에 나타난 춘천의 재현 방식을 분석하여, 춘천의 지역성이 가진 특징을 파악하고, 지역 정체성 구축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춘천은 서울 근교에 위치하고 있다는 지리적 이점과 뛰어난 자연 경관 덕분에, 서울에서 당일치기 여행지로 각광받고 있다. 이로 인해 춘천의 지역성은 대중매체에서 ‘청춘-여행-낭만-사랑’이라는 표상으로 통용된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 독립영화에서는 춘천의 전형적 이미지에 의문을 제기하며, 춘천의 지역성을 다양하게 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전계수의 <뭘 또 그렇게까지(Lost&Found)>(2010)는 낭만적 사랑을 꿈꾸게 하는 여행지인 춘천에 대한 관광객의 기대를 배반하고, 문화예술의 도시로 거듭나려는 춘천의 행정적 목표를 좌절시킨다. 조창호의 <다른 길이 있다(Another Way)>(2015)는 춘천의 겨울 호수의 이미지를 삶과 죽음의 경계라는 보편적 상징으로 전환한다. 이 두 영화는 낭만적 여행지라는 춘천의 전형성을 탈피하였으나, 춘천이라는 공간에서 일상성을 소거하여, 춘천 표상을 추상적 관념으로 환원시켰다. 이에 반해 장우진의 <춘천, 춘천(Autumn, Autumn)>(2016)은 여행지로서의 춘천과 일상생활 공간으로서의 춘천을 병렬적으로 교차시키면서, 여행과 일상의 불편한 공존 관계를 춘천의 지역성으로 재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 영화는, 지역의 정체성이 관광지라는 이미지만으로 소비되지 않고, 지역 고유의 일상을 재현할 수 있게 하였다.

      • KCI등재

        지역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행정지원방안 연구

        최윤상(崔允相),김종수(金宗秀),홍성현(洪性賢) 경인행정학회 2012 한국정책연구 Vol.12 No.3

        1995년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가 시작되면서 지역은 스스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지방자치단체는 새로운 경쟁력의 원천으로 전통성과 지역성을 갖고 있는 향토자원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대표적인 향토음식의 하나인 춘천닭갈비는 춘천의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산업적으로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춘천닭갈비업계의 결속 부족, 춘천시의 관심과 지원부족 등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춘천닭갈비가 지역에서 생산된 원료육을 가공함으로서 지역 내 1차, 2차 및 3차 산업이 상호 연계될 경우 지역 경제의 활성화에 크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춘천지역의 대표적인 향토음식인 닭갈비를 명품화하고 이를 전국적인 브랜드로 육성하기 위하여, 춘천닭갈비협회 회원업소의 춘천닭갈비 명품화에 대한 의향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STP전략분석을 통해 회원업소의 경영개선방향을 규명함으로서 춘천시의 춘천닭갈비 명품화를 위한 행정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