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괴(怪)와 "졸(拙)"로 본 추사 김정희의 철학적 인간학

        장승희 ( Seung-hee Ja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4 No.-

        본 연구는 추사 김정희의 삶과 예술, 학문과 철학을, 추사체의 특성인 ‘괴(怪)’와 ‘졸(拙)’의 개념으로 접근하고, 철학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종합한 것이다. 철학적 인간학은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통해 인간의 의미법칙과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오늘날 인간에 대한 이해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그 지평이 넓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학문의 분과로 인해 오히려 본질적인 이해가 더 어려워졌을 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문명에서 획일화되고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현대사회는 철학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관통하는 본질적 인간이해가 절실하다 하겠다. 추사는 성리학적 이념의 변화기인 조선후기에 실학은 물론 불교와 도가 등 다양한 사상을 수용하였고 고증학과 금석학에 일가를 이루었으며, 독서를 좋아한 유학자요 원당사찰을 둔 불자이자 추사체를 정립한 예술가이기도 하다. 인생 역시 매우 역동적이었기 때문에 다각적인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그의 삶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추사체의 특성 가운데 괴(怪)가 추사의 개성이라면, 졸(拙)은 꾸밈없고 순수한 경지로서, 두 개념은 그의 삶의 여정과 맞닿아 있다. 괴(怪)의 특성은 왕족 가문의 부유함과 천재적 재능에서 드러나는 개성과 자신감의 표현으로 여러일화에 보인다. 그러나 그의 괴(怪)는 제주 9년 유배생활 속에서 역(易)의 철학과 불교사상에 힘입어 졸(拙)로 승화되었고, 마침내 불이(不二)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추사의 철학적 인간학’은 고난과 역경을 노력과 성실로 극복한 삶, 뜨거운 인간애와 배려심, 불이적(不二的) 졸(拙)의 자세 등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그 도덕교육적 의미를 여기에서 찾아볼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ynthesis life, art, learning and philosophy of Chusa Kim Jeonghui(秋史金正喜, 1786~1856) by focusing on Goe(怪) and Jol(拙) that is distinctive feature of Chusache(秋史體) from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viewpoint.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seeks after the law of meaning and essence of human beings by questioning intrinsic problem. Today the realm of human understanding is wider than previous. But subdivision of studies in the intrinsic understanding of human is difficult, because the understanding of human in capitalism culture is standardizing. Chusa who is the scholar of Silhak of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very diversified man famous for not only epigrapher but also Chusache(秋史體) and his interesting life. If we have a right understanding of him, we would comprehend his diversified aspects, for instance as an artist, a scholar, and a natural person. Chusache(秋史體) is conceptualized by Goe(怪) and Jol(拙), the former is artistic presentation of his personality and the latter is unadorned condition of overcoming Goe(怪). Those aspects core in contact the trace of his life. The moral educational significance of his philosophical anthropology is attitude of him while overcoming the difficulty, humanity and consideration, and a modest attitude.

      • KCI등재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제주 인식

        장승희 ( Jang Seung-hee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7 탐라문화 Vol.0 No.56

        본 연구는 추사체로 유명한 추사 김정희의 제주 유배에서 제주에 대한 인식과 변화, 그 요인을 탐구한 것이다. 추사는 유복한 가정환경을 지닌 왕족으로 천부적인 예술적 재능과 개성 있는 영혼의 소유자로, 젊은 시절 누구보다 다양한 경험과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였다. 다양한 인간관계와 지적ㆍ예술적 영감을 주었던 연경 경험은 그의 학문적 토대를 마련해줌과 동시에 자존감과 자부심을 높여주었다. 그러나 제주 위리안치(圍籬安置) 유배는 그에게 고난과 역경의 시간이었고, 젊은 시절의 자존감과 자부심에 상처를 안겨줌과 동시에 그의 예술과 세계관에 있어 일대 전환기이기도 하였다. 추사에게 임계국면(threshold)이었던 제주 유배는 연경 경험과 더불어 인식 전환의 중요한 계기로, 추사는 주역(周易)의 원리에서 곤경을 수용하는 법을, 불교를 통하여 겸허와 달관의 자세를 배웠다. 이후 추사체의 개성적인 ‘괴(怪)’는 고졸한 ‘졸(拙)’로 변화하였고 독창적 예술 경지를 이루게 된다. 제주 유배 경험을 통하여 제주의 사물과 자연에 대한 인식, 예술과 세계에 대한 인식의 변화하는데 그 결과로 추사체가 정립된 것이다. 추사의 편지에서 드러나는 제주인, 제주 자연, 제주의 생활에 대한 묘사는 당시 제주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제주 인식의 지평을 넓혀준다 하겠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philosophical thought and recognition of Jeju of Chusa Kim Jeonghui(秋史金正喜, 1786~1856), through the life in Jeju and the effects of it. Chusa banished Jeju during nine years putting up bramble fence around[圍籬安置]. Chusa lived in affluence while young as descendants of royalty. He is a man of marked individuality without reserve who inborn talent of art. When 55 years old, he was exiled in Jeju, threshold which conversion of recognition of art and world which his own. He perceived freshly nature, culture, and inhabitants in Jeju. The experience of Jeju produced good results named Chusache(秋史體) which Goe(怪) and Jol(拙), the former is artistic presentation of his personality and the latter is unadorned condition of overcoming Goe(怪). The excellent art result of Chusa was caused by the recognition of Jeju. That was the results of meeting a deportee and treasure island.

      • KCI등재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에 기반한 추사 서예미학 연구

        황윤정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9 No.2

        Chusa Kim Jeong-hee is highly regarded as a scholar and artist representing the late Joseon Dynasty. He achieved a state of unity in his academic skills by expressing the spirit of live-action old poetry not only as a theory, but through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s actual works. Chusa typeface is characterized by the beauty of the monstrous that destroyed the form of the existing calligraphy, the beauty of the high school and the unadorned state, and the beauty of the blue and old orphans based on humanistic knowledge. is doing And the modern design concept that can be investigated in response to this vertex is deconstructive typography. Deconstructionism is a post-structuralist theory of French philosopher Jacques Derrida who sought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Western structuralism and deconstruct metaphysical theories and dichotomous traditional ideas. Derrida suggested concepts such as ‘separation’, ‘uncertainty’, ‘decentralization’, and ‘deconstruction’ and had various influences on society, philosophy, literature, art, architecture, and other fields. Based on this deconstructivist perspective, modern postmodern typography writers deconstructed the text, destroyed the existing typeface, and questioned the absolute readability and rationality of the design. And many modern researchers have found similarities in the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by linking Derrida’s deconstructionist thought with Eastern ideas such as Buddhism and Nojang.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connection between Chusa aesthetics and deconstructivist typography art, and based on this, attempted to interpret Chusa body from the deconstructive typography point of view.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onstructivist design perspective can be used as a theoretical reference for interpreting Chusa aesthetics, and it is also studied in terms of suggesting that modern design can act as an important analysis criterio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oriental formative ideology in the future. 추사 김정희는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실학자이자 예술가로 시⋅서⋅화를 통해 체득한 이론을 예술 작품으로 표현하며 학문과 예술을 조화시켰다. 추사는 성리학 뿐 아니라 노장 사상과 불교 사상에도 깊은 이해를 갖고 있었으며, 이를 융합하여 자신의 서예 미학에 반영하였다. 그의 서예는 기존의 전통적인 스타일과는 다른 독특한 서예 미학인 ‘추사체’를 구축하였다. 추사체는 기존의 서법 형식을 파괴한 괴(怪)의 미, 꾸밈이 없는 고졸(拙)한 경지의 미, 인문학적 소양을 기반으로 한 청고고아(淸高古雅)의 미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추사체는 현대 디자인 개념 중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와 연관되어 해석할 수 있다. 해체주의는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포스트구조주의 이론으로, 서양 구조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전통적인 사고를 해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 포스트모던 타이포그래피 작가들은 이러한 해체주의를기반으로 문자를 분해하고 기존의 글자체를 파괴하여절대적 가독성과 디자인의 합리성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와 더불어 많은 연구자들은 데리다의 해체주의사상과 동양 사상인 불교와 노장 등을 연결시켜 인식론적 유사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자는추사미학과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 예술의 연계성에주목하고 추사와 해체주의의 다양한 작품들을 분석하며 추사체를 해체주의 타이포그래피 관점에서 해석하려고 시도했다. 연구자는 비조화의 조화를 추구하는괴의 미학과 탈구성을 통해 화면을 구축하고자 한 해체주의의 특성을 발견했으며 투박한 졸의 미학에서디자이너의 우연적 모호함을 표현하는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측면을 연결 지었다. 또한 추사의 청고고아의미학은 디자이너의 저자성으로 연계되어 예술가의 자의성을 표현하는 요소로 해석되어 질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추사체를 해석하는 이론적 기반으로 현대해체주의 디자인 관점을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동양의 조형 이념 해석에 현대 디자인이 중요한분석 기준으로 제시한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현대 중국의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이해 - 중국의 학회지 및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박세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9

        Chusa Kim Jung-hee(1786-1856) was a scholar and a painter of the late Joseon Dynasty. He interacted with Chinese scholars on academics and 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f modern China's understanding of Kim Jung-hee. For this, a total of 35 papers were analyzed by accessing the CNKI(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an online database of Chinese thesis and journal articles. As a result, Chinese studies on Chusa focused on the academic dimension, the artistic dimension, and the cultural exchange dimension. Firstly, the Chinese scholars recognized Chusa Kim Jung-hee as a real Silhak(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scholar. Especially, the practicality of Chusa’s theory and the aesthetics of poetry were valued. Secondly, they emphasized the originality of Chusa's calligraphy, which lies in his efforts and talents. The popular literary-painting sty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perceived to have followed the trend, rather than Chusa’s single impact. Finally, they understood that Chusa’s academic and artistic accomplishments were not based on a one-way influence from China to Joseon but were dependent on international friendships. In addition, they accoladed Chusa’s academic initiative. 추사 김정희(1786-1856)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서화가이며 금석학자였다. 그는 24세 때, 북경 방문을 계기로 청(淸)의 학문을 접하게 된 이후 중국의 학인(學人)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학문과 예술에 정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과 중국의 학술문화교류사에서 중추적 인물인 김정희에 관해 현대 중국의 이해 수준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의 학위 논문 및 저널 논문을 제공하는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인 CNKI(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에 접속하여, 총 35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중국 내 연구는 크게 학술적 차원, 서법과 회화의 차원, 문화교류의 차원에 주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첫째, 학술적 차원에서 중국연구계는 추사 김정희를 실학자로 이해하고 있었고, 특히 추사의 ‘실사구시(實事求是)’가 가지는 실천적 함의에 주목했으며, 시학(詩學) 차원에서의 학문적 성취도 중시하였다. 둘째, 서법과 회화의 차원에서는 추사체의 독보적인 예술적 성취에 주목할 뿐 아니라, 추사체의 창안은 구습을 타파하고자 한 변혁의 결과로 이해하였다. 아울러 추사 서법의 근간이 되는 학문이 중국의 영향을 받았을지라도, 추사체에는 본인의 노력과 천재성 같은 추사만의 역량이 담보된 것임을 인정하였다. 그리고 조선 후기의 중국풍 문인화 사조는 추사라는 한 개인의 영향력이라기보다 당시 문화교류에 의한 필연적인 시대의 흐름이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문화교류의 차원에서는 김정희의 학술 및 예술적 성취가 중국에서 조선으로의 한 방향적 전파를 답습한 결과가 아니라, 학문적으로 취장보단(取長補短) 하고자 한 양국 학자 간의 우의에 기초한 것으로 보았다. 특히 학문탐구에 적극적이었던 추사는 지속적이고 깊이 있는 문화교류의 정점에 있었다고 이해하였다.

      • KCI등재

        새로 발굴된 - 추사 김정희의 암행보고서

        김규선 ( Kou Sun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8 No.-

        추사 김정희(1786~1856)는 조선후기 경학과 금석학, 고증학, 예술분야 등에서 당대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19세기 대표적 지성이다. 따라서 그와 관련된 자료는 언제나 주목의 대상이다. 여기 소개하는 김정희의 암행보고서는 1826년(순조26) 충청우도암행어사에 임명된 김정희(당시 나이 41세)가 충청우도와 경기도 일부를 암행하며 해당 고을의 공과를 적어 조정에 올린 친필 보고서이다. 본 자료는 왕실기록자료인 『일성록』에 내용의 전반이 수록돼 있으나 일부표현에 차이가 보이고 기술의 순서도 일부 다르며, 특히 보고서 중 「서계(書啓)」 첫 면의 내용은 본 자료에만 들어있다. 본 자료는 두 가지 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하나는 그동안 잘못 알고 있던 암행어사 임명시점이 새로 정정된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조정에 올리는 공식보고서에 나타난 추사체의 새로운 면모를 엿볼 수 있다는 점이다. Kim Chong-hui(1786-1856), whose pen name was Chusa, was a representative scholar who exerted great influence on confucianism, epigraphy, kojunghak(고증학) (a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and arts in the 19th century who lived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 materials related to Kim`s works are always the center of attention. This material that I`d like to introduce is the report on the specific province`s lives to the King written by Kim while travelling incognito as Amhaeng-Eosa(Secret Royal Inspector) at Choongchungwoo-do and some area in Gyeonggi-do in twenty sixth year of King Sunjo(1826). This material is also included in Ilseongnok(Daily records of the royal court and important officials in Joseon Dynasty), however, different in some expressions and the order of descriptions. Especially, the content of the first page in Seogye is only found out in this Report. This report have a great significance in two aspects. One is to correct the appointed year as the Amhaeng-Eosa that has been misunderstood, and the other is that we can see Kim`s new calligraphic style called "Chusache" in his report to the King.

      • KCI등재

        秋史 金正喜의 果川시절 行蹟과 그 후손

        李泰浩 미술사연구회 2004 미술사연구 Vol.- No.18

        Kwach'o˘n(果川) is the place where Kim Cho˘ng-hu˘i(1786~1856) spent his last years. It is believed that during that period, Kim Cho˘ng-hu˘i matured his own calligraphy style, so called "Ch'usach'e(秋史體)" and perfected it Kwach'o˘n is a suburb region with a scenery harmoniously aligned by the steep and rocky Mt Kwan'ak, and mild Mt. Ch'o˘nggye. Such a beautiful landscape might have led Kim Cho˘ng-hu˘i to accomplish his calligraphy style. Humbly enough, Kim Cho˘ng-hu˘i confessed that it was the Kwach'o˘n period of his politically disillusioned time that he finally managed to extract secularity and inferiority from his calligraphy. Kwajich'odang(瓜地草堂) was a retreat villa where Kim Cho˘ng-hu˘i' s father, Kim No-kyo˘ng had built un celebration of his own sixtieth birthday That period of time can be marked as the summit of his family since Kim No-kyo˘ng was appointed to the Head of Hanso˘ng, the capital of the Choso˘n Dynasty, as well as Kim Cho˘ng-hu˘i at his age of thirty nine was made a professor of Kyujanggak(奎章閣) After Kim No-kyo˘ng passed away and buried m Mt. Ch'o˘nggye near to Kwajich'odang, Kim Cho˘ng-hu˘i did not leave the villa, but rather had stayed there for three more years Therefore, it is very likely that Kwajich'odang did not remain only as his father's previous retreat villa, but rather became Kim Cho˘ng-hu˘i's permanent residence since then It is evident that he spent his last years at Kwajicho'dang since he had been released from banishment up to his death. The letter written on October 8th, 1852 by Kim Cho˘ng-hu˘i reads "On returning the house at Kwach'o˘n and meeting with familiar faces, I feel like being reborn and encountering a whole new world." With regard to this letter, the familar faces might indicate ills son Sang-u's(商佑) family, his brother Sang-hu˘i(相憙), and his close relatives such as Sang-chun(商駿), Sangson Mun-che(文濟), and his uncle No-myo˘ng (魯明)'s two sons Sang-il(商一) and Ch'i-che(治濟). Based on the letter, it is assumed that Kwajich'odang had been established as the reunion place of the family. The site of the Kwajich'odang is presently located over Chuam-dong 179, Kwach'o˘n-si. Visiting there, I felt that it was a highly appropriate place to reside. On its left, are Oknyo˘bong and Mt. Ch'o˘nggye, and on its right, are Mt. Umyo˘n and Mt Kwan'ak. In between them, are spreading low hills creating a welcoming ambience. The Kwajich'odang has a direct view toward the north western part of Mt. Kwan'ak. Surrounding the site of the villa, old persimmon, pine and gingko trees create a warm atmosphere There is a well m front of the villa, now dried up because of a large reservoir near by South of the Well, flows a stream, and to its background, lined up stand pine and other various trees on a low hill behind the villa give a picturesque view. The villa is only 4 km from the Malchuk street and 120 km from the town of Kwach'o˘n, and from the hill behind the villa, the temple of Pong'u˘n-sa where Kim Cho˘ng-hu˘i made frequent visits comes into sight.

      • KCI등재

        김정희 금석학과 추사체 형성의 연관성 연구

        이은솔(LEE, Eun-sol) 한국목간학회 2023 목간과 문자 Vol.- No.31

        This research paper aims to focus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usa Kim Jeong-hee who is known as a scholar and a calligrapher in epigraphy in the Late Joseon Dynasty. Kim Jeong-hee is the person who developed a unique Chusa writing style after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China, which influenced Weng Fang-Gang(翁方綱) and Ruan Yuan(阮元). He has led the field of epigraphy and calligraphy. It has been widely proven in academia that his writing was developed based on epigraphy. However, a detailed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has never been discussed. Focusing on this subject,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Jeong-hee’s epigraphy and writing style.

      • KCI등재
      • KCI등재

        추사 글씨의 미학과 문화콘텐츠화

        김규선,구사회,정영애 동양고전학회 2011 東洋古典硏究 Vol.44 No.-

        이 논문에서는 추사 김정희에 대한 콘텐츠 작업을 통해 그것을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먼저 오늘날 소비자 입장에서 추사 글씨에 대한 미학적 특성으로 복합적 미감에 주목하였다. 그의 글씨는 고졸하면서 웅혼하고 기괴하면서도 허화의 경지가 있다. 유가적 선비 기풍과 불가의 선적 취향이 함께 느껴지고 단조로운 것 같으면서도 복합적이다. 사람들이 그의 글씨에 매료하는 까닭은 바로 그의 글씨가 던지는 복합적 아름다움에 있다고 보았다. 추사 글씨를 콘텐츠화하면 여러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먼저 서체를 필요로 하는 비문이나 현판, 명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추사 서체의 시스템 개발로 추사체 폰트를 개발할 수도 있다. 디자인 측면에서는 타이포그래피와 같은 디지털 아트로 활용할 수도 있다. 교육적인 측면에서 학습 콘텐츠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학술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그것에 앞서 무엇보다도 추사 글씨의 원천 자료를 확정하여 진위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이미지 프로세싱,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과 같은 추사 서체의 디지털화를 거친다. 1) 추사 서체를 디지털화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진본의 추사 서체를 스캔한다. 2) 그것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내어 스캔한 이미지 중 글자의 부분을 추출한다. 3)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여 추출된 추사 서체의 개별 이미지들을 기존의 한자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 마디로 추사에 대한 문화콘텐츠화는 그를 과거의 추사에서 현재 살아 있는 추사로 재생시킨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여러 명필에 대한 서체 콘텐츠 개발에 응용하여 문화적으로나 학술적으로 보탬이 될 수 있겠다. In this study, through contents work on Chusa Kim Jeong-Hee's style of handwriting, methods to practically utilize it was sought for. First, as an aesthetic characteristic of Chusa style of handwriting, the complex sense of beauty was noted. If Chusa style of handwriting is made into contents, the contents can be utilized in many areas. The diverse Chusa fonts can be developed into a system or new Chusa fonts can be developed. In the aspect of designs, they can be utilized as digital arts such as typography. In the aspect of education, they can be use as study contents or can be utilized scientifically. Digitizing of Chusa fonts undergoes image processing and database design processes. To digitize Chusa fonts, the original Chusa fonts should be scanned first. Then, the scanned images should be cut to pieces in a certain size to extract the part of letters from the scanned images. Then, a database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individual images of Chusa fonts extracted as such can be applied using existing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databases. The database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font contents from many excellent handwriting styles so that the database can be helpful culturally or scientifically.

      • KCI등재

        근대기 김정희 서풍(書風) 확장의 한 예, 석재 서병오

        이인숙(Lee, Insuk) 한국서예학회 2017 서예학연구 Vol.31 No.-

        석재(石齋) 서병오(1862〜1936)는 대구를 중심으로 활동한 시서화 삼절의 서화 가로 1922년 ‘교남 시서화 연구회(嶠南詩書畫硏究會)’를 설립하여 영남 서화의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조선미술전람회 심사위원을 여러 차례 지내며 전국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서병오는 안진경체에 바탕 한 행서를 잘 썼으며 추사(秋 史) 김정희(1786~1856) 서풍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행서, 예서 작품을 남기기도 했다. 이 연구는 서병오의 서예 중 김정희 행서, 예서의 영향을 받았음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작품을 김정희의 작품과 상호 비교하여 김정희 서풍이 근대기에 서병오의 개성을 통해 확장되었다는 사실을 밝힌 것이다. 서병오는 18세 무렵 서울에 머물 때 김정희의 제자인 석파(石坡) 이하응 (1820~1898)의 지우를 받아 운현궁을 드나들게 되었고 이무렵 김정희 서풍을 열심히 배웠다. 그러나 이후 과거 공부에 매진하여 진사과에 급제하였고 잠시 관직을 지내기도 했다. 한학지식인 출신 서병오는 다양한 사회 활동을 하며 시서화를 향유 하였고, 중년에 중국을 여행하며 운미(芸楣) 민영익(1860~1914), 포화(1830〜 1911) 등과 교유하며 그들의 서화에 영향을 받기도 했다. 서병오는 50대 말경부터 서화가로 본격적으로 활동하게 되는데, 이 때 다시 새롭게 김정희의 다양한 필적을 연구하며 학습하였다. 서병오는 ‘문자향(文字香)’, ‘서권기(書卷氣)’라는 핵심어로 대변되는 김정희의 서화론과 우연적 의지를 중시하는 ‘우연욕서(偶然欲書)’의 창작론을 수용하였으며, 김정희가 주장한 서예 학습 방법론을 따라 서한 예서인 고예(古隸) 임서 작품을 남기 기도 했다. 1920년대 중반 이후 서병오는 안진경체의 바탕 위에 김정희의 금석기 있는 강건한 획법과 참치한 결구법을 소화한 김정희풍 행서 작품을 다수 남겼다. 예서에 있어서도 이체자(異體字)의 활용, 곡직(曲直)의 운용이 자유로운 필획, 졸박한 결구, 상투를 벗어나는 파격적인 장법 등 김정희 예서의 조형성을 자신의 필성(筆 性)으로 소화한 예서 작품을 남겼다. 서병오는 근대기 서예가로는 거의 유일하게 김정희 서풍을 계승하여 김정희 서풍이 갖는 조형성을 자신의 개성으로 재창조하였다. 그가 만년에 김정희 서풍을 다시 배운 이유는 한중일을 두루 여행한 풍부한 견문을 통해 김정희가 이룬 탁월한 조형적 성취를 확신했기 때문일 것이다. 아울러 김정희의 제자인 이하응의 문하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김정희 서풍을 접했던 개인적 연고와 서병오가 태어나고 활동한 대구지역의 김정희 서예 애호 분위기도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서병오가 외국의 대가가 아니라 조선시대 김정희를 학습한 사실은 중국이나 일본의 당대 유행서풍에더 많은 영향을 받은 근대기 서단에서 주목되는 사실이다. 서병오는 국제화의 시기 였던 근대기 서단에서 성숙한 자기화를 통해 김정희 서풍의 확장을 이룸으로서 조선 서예의 전통을 계승했다. This study is to reveal the fact that Seokjae Seo Byeong-oh in modern times inherited the calligraphic writing style of Kim Jeong-hui, by looking at the works of Seo Byeong-oh which were influenced by Kim Jeong-hui. In 1922, Seo Byeong-oh founded the first art organization in Daegu, Kyonam Association for research on poems,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he had a great influence on it. He was very active in various areas and participated in Joseon art exhibition as a panel of judges five times in a row from the beginning. Seo Byeong-oh, in his 20s, learnt Kim Jeong-hui’s calligraphic writing style by coming in and out as a pupil of Seokpa Lee Ha-eung, and he was also influenced by the theory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nd the theory of writing opportunity in ‘spontaneous urge for writing’ of Kim Jeong-hui which are represented by ‘character fragrance’, ‘book of spirit’. Seo Byeong-oh followed the theory of learning calligraphy asserted by Kim Jeong-hui and left some copied works which were written in Ye-seo that were commonly used in correspondences. After stopping in the middle, Seo Byeong-oh re-learnt Kim Jeong-hui’s calligraphic writing style after his 60s by studying various documents including signboards in Buddhist temples. As a result of this kind of learning, Seo Byeong-oh’s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combined the un-fancy beauty of Kim Jeong-hui’s Haeng-seo on the basis of Anjingyeongche. In his Ye-seo, Seo Byeong-oh showed his matured personalization combined his own style with the formativeness of Kim Jeong-hui’s Ye-seo and the un-fancy beauty of Ye-seo. It is considered that the reasons why Seo Byeong-oh, as a modern calligrapher, became almost the only successor of Kim Jeong-hui’s calligraphic style. Seo Byeong-oh inherited the calligraphic tradition from Joseon dynasty by learning and making use of Kim Jeong-hui’s calligraphic writing style in modern times when the calligraphic styles from China and Japan were flowing 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