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小說) 읽기 교육(敎育)에서 초점화(焦點化) 리론(理論)의 수행적(遂行的) 관점(觀點)

        정래필 ( Jeong Rae-pil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1

        本 論文은 焦點化 理論에 대한 小說敎育의 현황을 확인하고, 遂行的 관점에서 초점화 이론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遂行'은 초점화의 疏通 脈絡과 讀者의 解釋 過程을 결합한 소설 읽기의 실제적인 방법을 가리킨다. 讀者의 초점화는 장면의 역동성과 연속성을 파악함으로써 작품 해석의 통합성에 기여하며, 主體와 對象의 이분법적 관계를 초월해 脈絡에 따라 인물 관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도록 이끈다. 또한 독자의 초점화는 텍스트 해석의 근거를 제공한다. 이처럼 독자의 초점화 활동은 작품 해석의 경로로 활용될 수 있다. 이 논문은 독자 초점화의 작동 양상과 역할을 검토한 후 '焦點化 主體의 位置 定하기', '脈絡을 考慮하여 知覺하기', '對象에 대한 觀點 形成하기' 등을 焦點化의 遂行 戰略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독자 초점화 활동과 관련된 小說 읽기 敎育의 成就基準과 內容要素를 제시했다. 본 논문은 소설교육에서 초점화 이론의 受容 過程을 제시한 후 작품 해석과 연계할 수 있는 초점화 이론의 遂行的 次元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novel education on focalization theory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focalization from a performance perspective. 'Performance' refers to the practical method of novel reading that combines the communication context of focus and the reader's interpretation process. The recent focalization theory shifts from the analysis aspect of narrative aspect to the method center of text interpretation. Based on this trend, this paper also identifies the reader' focalization and suggests a strategy for focusing on the performance level. The reader' focalization focuses on the dynamics and continuity of the scene, contributing to the integra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and transcending the dichotom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leading to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erson's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context. The reader's focalization also provides the basis for interpreting the text. Thus, the reader's focalization activities can be used as a path of interpreting the work. In this paper, after reviewing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independent focus, the focus of this study is focused on 'positioning the focalizor', 'perceiving by considering the context', and 'evaluating through the formation of perspective.'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presented the achievement standard and content elements of novel reading education related to independent focalization activities.

      • KCI등재

        시 텍스트의 내용 초점화 양상과 시 창작교육

        유영희(You, Young-hee)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1 No.-

        본 연구는 기존의 서사 이론에서 빈번하게 사용되었던 초점화 개념을 시 창작교육에 적용하여 그 구체적 교육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내용 초점화는 시적 정서의 초점화, 시적 대상의 초점화, 시적 공간의 초점화, 사건의 초점화로 나눌 수 있는데, 한 편의 시 텍스트에서 동시적으로 초점화될 수도 있고 한두 요소가 집중적으로 초점화될 수도 있다. 학습자는 내용 초점화 과정을 거치면서 본인의 시 텍스트에서 강조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어떤 내용을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 등에 대해 숙고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한편으로 시 텍스트 자체에 대한 이해와 시 텍스트 형상화 방법 또한 터득하게 될 것이다. The content focalization can be divided as focalization of poetic emotion, focalization of poetic object, focalization of poetic space, and focalization of event. And focalization of the contents can be focused simultaneously on the poetic text of one poem, or just one or two factors can be focused intensively. By going through course of focus on contents, Learners can go through course of consideration about what the points of emphasis are in their own poem"s text and about how the contents be arranged. On the other hand, they can understand the poem"s text itself and the way of construction for poem"s text.

      • KCI우수등재

        영화의 서술 양상을 통해 본 소설 읽기 방법 연구 - 서술자에서 초점화 주체로 -

        정래필(Jeong, Rae-pil) 국어국문학회 2020 국어국문학 Vol.0 No.190

        소설은 영상매체에는 없는 스토리 전달자인 ‘서술자’라는 막강한 무기를 바탕으로 영화와 차별화를 꾀했고, 이는 소설을 비롯한 서사교육의 핵심 내용이 되었다. 이 연구는 서술자와 초점화 주체의 서사교육적 의미를 검토하고, 소설 원작 영화의 초점화 양상을 분석해 서술자 중심의 소설교육의 한계를 제시했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했다. 서술자는 매체의 속성에 따라 서사물에 부재하기도 하지만, 초점화는 모든 서사물에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초점화는 소설 중심의 서사교육을 넘어서는 가능성을 지닌 동시에 주변부에 머물던 다양한 매체 서사를 서사교육의 장으로 이끄는 매력도 함께 지닌다. 이를 반영하듯 현행 교육과정은 ‘보는 이’를 제시하여 초점화 활동을 통한 작품 해석을 강조한다. 그러나 교과서의 활동은 초점화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소설 원작의 영화는 다양한 초점화 주체의 존재 가치를 확인하도록 하며, 가정적 상황에서 초점화 활동의 수행이 작품 해석에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이 연구는 초점화 주체의 작동 양상에 따라 기본 활동과 심화 활동으로 나누어 소설 읽기 방법을 제시했다. The novel tried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the film based on the powerful weapon of the narrative, the narrative, a storyteller who does not exist in the video media, and has presented this as a core content of narrativ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narrative education of focalization theory and considers how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arrator-centered fiction education through the focalization strategy of film based on novels. Descriptors may be absent in narrativ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medium, but focalization appears in all narratives. In this sense, focalization has the potential to go beyond novel-oriented narrative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it attracts various media narratives that stayed in the periphery. In this regard, the current curriculum suggests that the viewer be interpreted through the focalization activity. However, textbook activities do not properly reflect focalization. The film based on the novel confirms the existence value of various focalizors, and proves that it is effective to set up a domestic situation and focus on it. This study suggested a novel reading method by dividing it into basic activities and deepe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the focalizor.

      • KCI등재

        Etude sur la gestion de l'information comme source de suspens : à partir de <La Loi du Silence(I Confess)>

        서정남 한국프랑스학회 2012 한국프랑스학논집 Vol.77 No.-

        이 작품의 극적 전개 과정에서 관찰되는 서사 정보의 배분은 ‘내적 초점화’와 ‘관객의 초점화-전현적 초점화’라고 하는 두 가지 종류의 초점화 방식의 지배하에 놓여있다. 양자 모두 관객의 위치와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맺음 방식에 속해 있는 문제이다. 우리는 이 텍스트 안팎의 서사적 정보의 위계, 즉 ‘앎의 차이’라는 문제가 ‘관객/로건 신부’, 그리고 ‘관객/다른 인물들’이라는 두 그룹의 관계 속에서 설정됨을 볼 수 있다. 먼저, ‘관객/로건 신부’ 사이의 서사정보에 대한 앎의 관계는 내적 초점화 방식을 통해 구현된다. 관객은 로건이 가진 정보와 그가 알고 있는 것들에 대한 뉘앙스를 같이 한다. 그는 루스가 라우루 경감에게 증언하지 않았던 것에 대해 절대 알지 못한다. 이러한 내적 초점화는 관객에게 등장인물의 신분과 성격적 특성을 강하게 인지시켜준다. 관객과 인물간의 이러한 ‘앎-정보’ 없음에 대한 공유와 나눔은 양자 사이의 정서적 유대감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더욱 강화시켜준다. 관객은 로건 신부가 죄가 없음을 안다. 관객은 왜 그가 말 할 수 없는지도 안다. 따라서 관객은 사건들의 전개 과정 속에 끼어들고자 하지만 그럴 수가 없다. 히치콕의 영화들에서 관객이 빈번하게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양태이다. 둘째로, 라우루 경감, 루스, 켈러 등의 등장인물들 사이의 관계에서는 관객의 초점화-전현적 초점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관객이 위의 인물들보다 더 많은 것을 알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인물들 각자가 가진 정보보다 관객이 부가적으로 더 가지게 되는 정보의 질이나 양은 단순화해서 이야기하기 어렵하다. 예컨대 루스나 라우루 경감보다 관객이 더 많이 알고 있는 것은 누가, 왜 죽였느냐에 대한 것 정도이다. 이러한 앎-정보의 지속적인 불평등은 영화의 종반부, 즉 켈러가 죽어가면서 행하게 되는, 그의 죄에 대한 고백성사에 이르기까지 지속된다. 이러한 관객의 초점화-전현적 초점화는 극적 긴장과 서스펜스를 가져온다. 왜냐하면 관객은 진실을 알고 있으나 경찰은 잘못된 길에 접어들어 헤매고 있고, 죄 없는 사람에게 혐의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관객은 잘못된 것들이 그대로 흘러가는 것에 대해 심리적 격변에 휘말리지만, 한편으로는 그것을 무기력하게 바라볼 수바에 없다. 이처럼 히치콕은 자신의 이야기의 극적 국면들을 제왕적으로 설정한다. 순진한 이들 앞에 함정을 예비해 두고 실낱같은 희망을 놓아두는 식이다. 관객은 어서 빨리 켈러가 도덕성을 회복하고 자백하기를, 혹은 경감이 자신의 모든 재능을 동원해 사건의 전말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관객과 특정 극중 인물, 그리고 관객과 여러 인물들 사이의 이러한 서사적 정보에 대한 위계, 즉 앎의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은 이 작품에서 히치콕이 구사하며 관객을 극 속에 몰입하도록 하는 서스펜스의 원천이 된다.

      • KCI등재

        申庚林의 서술시와 焦點化

        강정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7 No.3

        This study focuses on focalization of Shin, Kyeong-rim's narrative poem. This paper is accepted G. Genette and Mieke Bal’s theory as research method. I researched focalization of Shin, Kyeong-rim's poem according to the time. Firstly, his poem had changed lyric poem into narrative poem until 1970's. The reason why his poem had changed is that Shin, Kyeong-rim used focalization of narrative genres in his poem. Secondly, Shin, Kyeong-rim used various focalization in his poem during 1980's. As a result, distinctive narrative poem of Shin, Kyeong-rim was able to come out. Thirdly, external focalization is remarked in his poem after 1990's. Because Shin, Kyeong-rim is situated at position of a observer in order to narrate shock and change on world. In conclusion, focalization was very important method while his poem was changed and expanded from lyric poem to narrative poem. Shin, Kyeong-rim's narrative poem is able to be possible, because of selecting appropriate focalization. 이 논문의 문제제기는 신경림의 시가 敍述詩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焦點化의 방식이 어떻게 활용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G. Genette와 Mieke Bal의 논의를 방법론으로 수용해서 신경림의 시에 나타난 초점화의 방식을 시기 별로 分析했다. 첫째, 1970년대까지의 시는 1965년을 전후로 해서 서정적인 시에서 敍事的인 시로 변화했는데, 그 변화가 가능한 이유 중의 하나는 서사 장르에서 가능한 초점화 방식이 활용되었기 때문이었다. 둘째, 1980년대의 시에서는 다양한 초점화 방식이 활용되면서 신경림 특유의 서술시가 實驗되었다. 셋째, 1990년대 이후의 시에서는 시인이 세계의 충격과 변화를 이야기하기 위해서 觀察者의 위치에 설 때가 많은 관계로 外的 초점화가 주목되었다. 이상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신경림의 시가 서정적인 시에서 서술시로 변화되고 전개되는 과정에서 초점화라는 요소는 상당히 重要하게 活用되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부적응적 자기초점화 변화를 위한 연극치료사 개입형태에 관한 연구

        이지은 ( Gie Oun Lee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13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3

        이 논문은 연극치료 작업 과정에서 치료사의 개입의 형태에 관한 연구로서 심리적인 불안감과 타인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상에게 실시한 연극치료 단기작업에서 치료사가 어떤 형태의 개입을 수행하였는지 그리고 작업 종결 후 참여자들의 부적응적자기 초점화의 긍정적인 변화를 갖게 한 것이 치료사의 개입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피고자 한다. ‘전적으로 좋고 전적으로 나쁜 자기-대상’의 대상관계를 가진 경계선 환자에게서 양극화된 자기표상과 대상표상 및 정서는 대상관계 구성단위를 좀 더 명확하게 드러낸다. 전적으로 나쁜 자기-대상에 빠져있는 사람은 자신이 만들어낸 사적 이미지를 내면에 형성하여 부적응적 자기 초점화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으며 사회적인 상황에서 정서적 불안감을 야기할 수 있다. 부적응적 자기 초점화 경향은 주의나 의식이 외부가 아닌 내부로 과도하게 집중됨으로써 외부 자극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없게 만들고 적응을 위해 적절한 사회적 정보처리를 방해하는 변인을 말한다. 따라서 부적응적자기 초점화가 강한 사람은 사회적인 관계에서도 부적응적인 요소를 내포함과 동시에 내면에서도 자기와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양상이 존재할 것이다. 이는 코헛이 말한 거울반응의 기능이 실패한 것과 같은 모습인 동시에 분노, 파편화, 그리고 고갈을 수반하는 자기애적 상처로 경험될 수 있다. 따라서 부적응적 자기 초점화가 강한 참여자에게 치료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변화를 갖게 하며 나아가 자기를 확장시키고 대상관계 속에서 타인과 자신을 분리하여 자기를 바라보는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치료사의 개입 형태는 안아주기, 공감해주기, 상황에 직면하기, 감정명료화하기, 전이의 대상 되어주기로 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개입이 참여자의 부적응적자기 초점화에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연극치료에서 치료사와 참여자의 관계는 치료사가 참여자의 대상이 되어줌으로써 참여자의 자기를 확장시키고 이미지를 변형할 수 있도록 도우며, 수평적인 관계로 치료 상황에서 함께 존재함으로 변화에 있어서 매우중요한 요소가 된다. 치료현장은 치료사와 참여자가 만나는 장소이며 그 공간속에서 참여자들은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고 만들어감으로 자기의 이미지 즉, 내적표상을 변형한다. 나아가 그 동안 가졌던 부적응적인 관계의 패턴을 스스로 변형할수 있는 힘을 갖게 된다. 본 연구는 연극치료에서 치료사의 개입전략이 참여자 스스로 자기를 변형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한다는 것을 입증할 뿐 아니라 심리적인 변화 양상을 뚜렷하게 보여준 것에 의미가 있다. In this study, the drama therapist``s intervention in the treatment course of action in the form of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uffering of others in relation to the target short-term work conducted in the drama therapy intervention therapist to perform any type of work and whether termination based on participants``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fter lighting it gave a positive change in the therapist``s intervention and whether there is any correlation want to take a look for the purpose of having. First of all, the self is a psychological treatment ``wholly good and wholly bad`` object relations in patients with borderline learned a lot about this configuration, the unit has been polarized and emotional self-represent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target object relations more clearly reveal the structural units. Entirely bad self-target people form their private images which will form the inner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maintain emotional and social situations which cause anxiety. The tendency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is to excessively focused on the outside, not the inside so you can not deal effectively with external stimuli to create and adapt to interfere with the proper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refers to variables. Thus, strong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people have maladaptive elements in social relationship and at the same time maladaptive aspects inside relationship with self. According to Kohut, function of mirror reaction which can be failed, looks like anger, fragmented, and narcissistic wound concomitant with depletion can be experienced Thus, to participants with a strong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the role of the therapist have a very important change in treatment, and further expand the self, form a self image in separated object relations. Hold period of the intervention forms of therapist empathy, faced with the situation, emotional clarity, the transition can be seen as the target of intervention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participants showed a significant change. Course of drama therapy, the therapist can help transforming an image, expanding self with playing a role of object of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as a horizontal relationship in a treatment situ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 and the participants is a very important component of treatment change. Treatment site and meeting place for the therapist and the participants are participants in the space, and create new relationships with a sense of self-image that is, to have a variation of the internal representations. Furthermore, has been a pattern of maladaptive relationship can transform themselves have the power to be capable of. Work drama therapy in this study was the intervention of the therapist himself a strategy to transform the participants will have the power, as well as demonstrate that the apparent change in the psychological sense about what will be proved.

      • KCI등재

        신빙성 없는 서술과 내적 초점화

        정현숙 ( Hyun Sook Ch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9

        신빙성 없는 화자의 개념을 제시한 부스는 3인칭 소설의 내적 초점자를 화자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이후 신빙성 없는 서술에 관한 대부분의 논의에서 내적 초점자로 인한 신빙성 없음은 제외되었고, 따라서 신빙성 없는 서술에 관한 논의는 1인칭 소설에 집중되었다. 이 논문은 내적 초점화와 신빙성 없는 서술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신빙성 없는 서술은 말하는 주체인 화자가 아니라 보는 주체인 초점자에서 비롯된 서술 현상임을, 신빙성 없음은 이야기 세계에 대한 지각과 인식의 문제이지 서술의 문제가 아님을, 내적 초점화 상황에서 신빙성 없는 서술이 드러남을 밝히고자 한다. 내적 초점자는 이야기 세계 속 인물이라는 존재 조건으로 인하여 그 위상이 외적 초점자와 다르다. 이야기 세계 외부의 초점자인 외적 초점자의 해석이나 판단이 내포작가의 규범과 다르지 않은 데 비해 내적 초점자의 그것은 내포작가의 규범에 어긋날 수 있다. 내적 초점자는 신빙성 없는 초점자가 될 가능성을 안고 있다. 그의 지각과 인식은 ``현재, 여기``의 한계에 매여 있기 때문이다. 3인칭 소설의 외적 초점자는 화자이고 내적 초점자는 인물이다. 내적 초점화 상황에서 초점자 인물의 특성으로 인해 그의 지각과 인식이 내포작가의 그것과 거리가 있는 경우 3인칭 소설에서도 신빙성 없는 서술이 드러날 수 있다. 1인칭 소설에서 경험자아와 서술자아가 구분되지 않으면 내적 초점화로 일관되며 초점자의 특성에 따라 신빙성 없는 서술이 드러날 수 있다. 화자 ``나``가 인물 ``나``에 대해 메타적 지위를 가질 때 1인칭 소설에서도 외적 초점화가 드러나지만, 그 경우에도 경험자아를 초점자로 삼는 내적 초점화 상황에서 신빙성 없는 서술이 드러날 수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at the problem in unreliable narration is not of narration but of focalization, which is a narrative phenomenon caused by the character rather than the narrator. Most researchers have considered the narrator as the root of unreliability. Consequently most studies about this are limited on the first-person narrative. But unreliable narration is a narrative phenomenon caused not by a narrator but a internal focaliz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internal focalizer is an unreliable focalizer, Because an internal focalizer who is inside the represented world is limited to the ``here and now``. Unreliable focalization is mainly showed in the situation of the internal focalization where the narrator reduces its role and the character focalizer`s perception and cognition are maximized.

      • KCI등재

        중개성을 활용한 이야기그림책 읽기 방법 연구 -〈동물원〉의 ‘보는 이’를 중심으로

        정래필(Jeong, Rae-Pil)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4

        이야기그림책의 경우 전통적인 서사물과는 달리 ‘그림’을 통해 전달되는 이야기가 있기 때문에 글 텍스트 해석에 필요한 시점과 인칭으로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고는 글과 그림으로 담론화 되는 이야기그림책의 서술 특성에 맞는 읽기 방법을 제시했다. 즉 글 이야기뿐만 아니라 그림 이야기의 분석과 해석에도 관여할 수 있는 서술 방법이 필요한데, 본고는 서술의 초점화에 주목했다. 초점화는 이야기그림책 읽기에서 ‘보는 이’ 중심의 읽기 과정과 전략을 제공한다. 특히 이야기 그림책의 ‘그림’ 이야기가 ‘말하는 이’ 아니라 ‘보는 이’의 관점으로 전달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초점화 이론을 읽기 방법과 전략으로 재개념화하는 작업은 의미가 있다. ‘보는 이’ 중심의 이야기 읽기는 내적초점화, 외적초점화, 독자초점화의 층위에서 진행된다. 각각의 초점화 논의를 바탕으로 ‘보는 이’ 중심의 읽기 활동 내용을 제시했다. 독자는 보는 이와 그 대상의 관계를 파악하면서 다음 장면에 이어질 내용을 추측하고, 장면과 장면을 통합적으로 구성하면서 전체 스토리를 구성한다. 또한 독자 스스로 ‘보는 이’가 되어 상상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드는 활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narrative picture books, unlike traditional narratives, there is a story that is conveyed through the pictures thu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work from a point of view, and a person is required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This paper presents a reading method suitable for the narrative of narrative picture books expressed in text and pictures. In other words, we need a narrative method that can be involved i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not only the verbal narrative but also the visual narrative. This article denotes it as a focalization. Focalization provides a reading process and strategy centered on the ‘focalizor’ in reading narrative picture books. Considering that the visual narrative in a narrative picture book is convey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calizor rather than the narrator, reconceptualizing the focalization theory into a reading method and strategy is meaningful. Reading stories centered on the focalizor is done based on the layers of internal focalization, external focalization, and reader focalization. Based on each discussion of the focalization, the contents of the reading activities centered on the focalizor were presented.

      • KCI등재

        초점화focalization를 통한 주제 교육 연구 : 최인호의 <타인의 방>을 대상으로

        정인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4

        문학 교육의 목표는 문학 작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다. 문학 교육의 목표는 학습독자 스스로 능동적인 독서를 통해 인간과 세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의 현실적인 제약들로 인하여 독자 스스로 발견해야 할 작품의 주제마저도 요약 제시되는 것이 사실이다. 본고는 문학 주제 교육에 있어 ‘초점화’ 개념의 의의와 교육의 필요성을 최인호의 <타인의방>을 통해 살피고자 하였다. 서사를 구성하는 여러 성분들이 어떻게 제시되는가 하는 문제에서 그것을 어떻게말하는가와 함께 중요한 것이 어떻게 보는가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말하는 것과 보는 것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시점의 문제가 말하는 것과 관련된다면 보는 것은 초점화와 관련된다. 최인호의 <타인의방>은 산업시대 경제성장의 한편에서 진행된 인간의 소외와 정체성 상실을 고발한 작품이다. 인용부호 없이 옮겨진 인물의 목소리와 같은 서사적 수법을 통해 이야기하는 목소리(시점)와 보고 겪으며 인식하는 의식(초점화)의 분리를 살폈다. 자신의 목소리를 자신의 것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주인공에게 방은 자신의 방이면서 동시에 ‘타인의 방’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로부터 현대인의 소외와 정체성의 상실이라는 주제를 도출할 수 있다. ‘문학은 문학 스스로가 가르친다’는 문학 교육의 대전제를 유념하면서도, 적절하고 유효한 분석 방법의 교육이 스스로 독서하는 능동적인 독자를 육성할 수 있으리라는 점도 기대한다. 그것이 바로 문학 교육의 진정한 의의일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is no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literary work but to teach students to become active readers who can read the meaning of text, understand human beings and the world for themselves. However,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t is very common that even the themes of literary works, which are expected to be discovered by students themselves, are presented by teachers. Thus, readers cannot analyze the topics by themselv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sing ‘focalization’ in thematic education of literature. Narrative situation is, which means that it is part of the analysis that examines how a narrative is told. ‘Point of view' and ‘Focalization' present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narrative. ‘Point of view’ is related to the ‘speaking’, and ‘Foclaization’ is related to the ‘seeing’. Focalization describes the relations between the elements presented and the vision through which they are represented. Because what is said and what has been seen, are not always correspond. Choi, In-ho’s “A Stranger's Room” depicts human alienation and the loss of identity in the 70s’ economic growth. For example, without quotation marks. Voice and recognition are separated. The character does not realize his voice as his own. His room is his own room and ‘A Stranger's Room’ at the same time. Human alienation and loss of identity can be learned through the text. Roland Barthes said it is “self-teaching literature as literature”. At the same time, however, education that nurtures adequate and valid analysis is necessary. Through the education of the analysis readers can become more participating. That is the true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초점화의 변이 양상 연구

        정혜경 현대문학이론학회 200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22

        In this paper, I examined diverse variations of focalization by analyzing the way of focalization in "The Red Room" of Im Cho^l-woo, in "Busoksa" of Sin Kyong-suk and in "The River" of So^ Jo^ng-in. "The Red Room" is adapting an alternative focalization which is parallel in form and meaning. There are two first-person narrators in this novel: Oh Ki-so^p and Choi Dal-sik. Both of the two write himself as 'I' and see facts from his own perspectives. The two 'I' are standing against to each other, and there is no possibility for them to communicate. This way of narration not only embosses two focalized interiors but also rouses the historical reality conduced to such situation. "Busoksa" uses an alternation and union of focalization. The narrator of this novel focalizes on 'her' in the first chapter and on 'him' in the second chapter. In addition, this narrator doesn't know better than any of the focalized persons. However, in the third chapter, the narrator embraces the two subjects and call him and her together as 'them' while still maintaining the focalization of the earlier chapters available. This way of narration is giving a shape to a life that is seeking the possibility for solitary individuals to communicate and to coexist. "The River" is composed of a dispersion of focalization. The focalization of this novel is 'dispersed' in that this novel adapts a discontinuous narration, in which a bundle of dialogue is cut out into several and is placed between paragraphs without an appropriate relationship, or a focalized narration is severed by another focalized one and continues later. The contents of a focalized narration has no relation with others, and each content of the focalized narrations is no better than an imagination without any causality or just a fancy. Moreover, the reason of focalization itself is very contingent in this novel. Thus, a fragmental being of human is revealed by the discontinuous narration and the dispersion of focalization. The above ways of focalization, the parallel alternation, the alternation and union, and the dispersion, can be called a variation of the basic principle of focalization. When the variations are closely examined and analyses of the variations are accumulated, we can search the way to typify the specific narration and its focalizations of modern Korean fi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