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실과를 통한 창의적 디자인 교육 학습자료 개발

        정진현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1 현장중심 초등교육연구 Vol.3 No.-

        This research is aimed to develop learning materials for practical arts creative design education. This research theoretically studied design education and field tested practical arts creative design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PDIE’s course material development model process, to elementary students and analyzed their satisfaction level about the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5th grade practical arts,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our lifestyle」, 「work and job search」, etc. contains many contents of design education and are corresponded to visual design, product design, aesthetic · symbolic, practical · functional, scientific · engineering, social · emotional area, which explains design education is well reflected to 5th grade practical arts. In 6th grade practical arts, 「software in life」, 「invention and robot」 and etc. contains many contents of design education and also corresponded to visual design, product design, aesthetic · symbolic, practical · functional, scientific · engineering, social · emotional area, which explains design education is wall reflected to 6th grade practical arts. Second, from validity test by expert group, practical arts creative design education learning material is evaluated appropriate for creative design education. Third, from field test, satisfaction level to the education was scored average over 4.32. This explains that practical arts creative design education learning material is appropriate for elementary students to increase satisfaction level. From the results, practical arts creative design education learning material is considered appropriate and has positive effects for elementary creative design education by expert group and elementary students, and is meaningful material for to increase interest and intelligibility to design 본 연구는 실과 창의적 디자인 교육을 위한 학습자료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디자인 교 육, 실과에서의 디자인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 PDIE의 수업자료 개발 모형절차에 맞추어 실과 창의적 디자인 교육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현장테스트를 실시하고 수업 만족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학년 실과는 「수송 기술과 우리 생활」,「일과 직업 탐색」등 단원에서 디자인 교육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각전달 디자인, 제품 디자인, 미적⋅상징적, 실 용적⋅기능적, 과학적⋅공학적, 사회적·정서적 영역에 상당히 해당되어, 실과 5학년 교과를 통 하여 디자인 교육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6학년 실과는 「생활 속 소프 트웨어」,「발명과 로봇」등 단원에서 디자인 교육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 고, 시각전달 디자인, 제품 디자인, 미적⋅상징적, 실용적⋅기능적, 과학적⋅공학적, 사회적·정 서적 영역에 상당히 해당되어, 실과 6학년 교과를 통하여 디자인 교육이 상당히 반영되어 있음 을 알 수 있다. 둘째, 실과 창의적 디자인 교육 학습자료는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사를 통해 창의적 디자 인 교육에 적합할 것이라고 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현장테스트에 참여한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의 모든 항목이 평균 4.32 이상으로, 실과 창의적 디자인 교육 학습자료는 초등학생들이 해결하기에 알맞은 자료로 학생들로 하여금 학 습에 대한 수업 만족도를 높여주는데 도움을 크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실과 창의적 디자인 교육 학습자료는 전문가 집단과 학생들로 하여금 초등학교 창의적 디자인 교육에 충분히 적합하여 긍정적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디자인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를 높여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공공디자인 시범교실 교육효과 연구

        이연숙 ( Lee Yeunsook ),안소미 ( An Somi ),박재현 ( Park Jaehyun ),이지연 ( Lee Jiy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국가적 차원의 공공디자인 진흥정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어 오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시민의 참여와 이해를 돕는 공공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공공디자인 교육은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발적 시민 참여를 도모한다는 점에서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교육이 중요하다. 그러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공공디자인 교육은 이전에는 없는 교육과정이며, 이들을 지도하는 초등학교 교사들도 이에 대해 배운 경험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초등학교 공공디자인 시범교실을 계획하고 이를 시범운영한 결과를 분석하여 공공디자인 초등교육의 효과를 증명하고 논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공공디자인 교육의 첫 시범교실을 주내용으로 하며,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평택시 S초등학교 4학년 학생 19명이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통한 질적연구에 해당한다. 연구기획의 틀은 실험연구 설계방법과 유사하게 계획되었는데, 독립변인 성격인 처치는 공공디자인 교육을 위한 ‘수업내용’이며, 수업에 활용된 교육콘텐츠와 제시 방법을 포함한다. 종속변인으로서 분석된 내용은 시범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인식변화와 반응, 그리고 공공디자인 실습결과와 후속활동 결과이다. 공공디자인 교육효과 분석을 위해 공공 디자인에 대한 인지, 관심, 중요성에 대한 학생들의 거수조사 결과를 비교분석하고, 실습과 후속활동에서 얻어진 학생들의 결과물을 내용분석하였다. (결과) 공공디자인 시범교육은 학생들에게 노인, 임산부, 자전거를 탄 학생 등 다양한 공공환경 이용자의 특성을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이용자와 환경을 연계한 공공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으며 공공디자인의 주요개념인‘생활 안전을 위한 공공디자인’,‘모든 이를 위한 공공디자인’,‘생활 편의를 위한 공공디자인‘, ‘생활품격을 높이는 공공 디자인’ 개념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학생들은 일러스트레이션과 플래시파일 등 시범수업에 활용된 다양한 교육콘텐츠에 흥미를 보였으며, 수업에 대한 몰입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시도된 공공디자인 교육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사회구성원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며, 환경 계획에 관한 의사결정에 참여를 경험하게 하여 인성과 창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초등학교에서의 공공디자인 교육이 더욱 개발되고 널리 보급되기 위한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increasing interest in public design, a national public design promotion policy has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and it is imperative to introduce public design education that helps people to participate and understand. Since public design education promotes voluntary citizen participa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living together, education that can be naturally experienced and learned from an early age is important. However, public design education for children has not been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do not have any experience learning about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lan, implement, and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first public design education class for elementary schools in Korea. (Method)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is the first public design demonstr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corresponds to a qualitative study through a case study, and the research framework was similar to that of the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method. Treatment,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is the “class content” for public design education, and includes educational content and presentation methods used in the class. The dependent variables are students' perception change and reaction through demonstration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public design practice and follow-up activities. In order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public design,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students raising their hands on the perception, interest, and importance of public design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public design practice, while follow-up activities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The public design demonstration education had the effect of providing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ublic environment users, such as the elderly, pregnant women, and students on bicycles. It also made it possible to connect users and the environment, and to enable students to understand and apply the main concepts of public design, such as “public design for life safety,” “public design for all,” “public design for living convenience,” and “public design that enhances the quality of life.” The students expressed interest in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used in the pilot class, such as illustrations and flash files. (Conclusions) The public design demonstration education attempt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ir personality and creativity by enabling them to understand members of society and to experience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regarding environmental plan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providing empirical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and widespread dissemination of public desig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future.

      • KCI등재

        브루너의 발견학습 모형을 활용한 모바일 UI/UX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 중심으로

        안보미,정도성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7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1 No.4

        The rapid expansion and high penetration rate of smartphones in modern people’s lives led to activation of mobile applications resulting in interest and necessity for UI / UX design for making mobile applications. Mobile UI / UX design education is mainly implemented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uch as colleges. Such limited education does not correspond to the education for cultivating future oriented creative talents. Although education for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design thinking method is effective for young children, design education contents in Korean elementary school are still limited and systematically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suggest mobile UI/UX design education highlighted as the creative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in IT era for afterschool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Starting from basic knowledge and understanding in affective education aspect, the study approached to UI/UX design education in the affective and psychomotor aspect such as cooperation, care, social behavior, and responsibility. This study analyzed current status, awareness, necessity, and expected effect of the mobile UI/UX desig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child. The survey on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the class was conducted. Domestic Wallach & Kogan creativity test and ‘Draw a Man Test’ were also conducted and it resulted in positive change in creativity and intelligence of students. 현대인의 삶에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높은 보급률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를 가져왔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한 UI/UX 디자인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으로 대두 되었다. 모바일 UI/UX 디자인 교육은 대학을 비롯한 상급기관 이상에서 주로 실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제한적인 교육은 디자인 교육의 목표중 하나인 미래지향적 창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에 부합되지 않는 것이다. 특히나 디자인적 사고방식인 문제해결과정을 위한 교육은 호기심과 탐구심이 풍부한 어린 아동들에게 효과적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디자인 교육의 내용은 여전히 제한적이고 시스템적으로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고찰과 설문조사, FGI 심층 면접을 통해 초등학생 대상 모바일 UI/UX 디자인 교육에 관한 현황과 인식 및 필요성과 기대 효과를 분석 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으로 확인 된 획일화된 모방 식 결과중심 수업의 방안으로 학습자의 탐구와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브루너의 발견학습 모형을 수업에 활용하여 IT시대의 창의적 융복합 디자인 교육으로 떠오르는 모바일 UI/UX 디자인 수업을 방과 후 초등학교에서 제안하고 수업을 진행 하였다. 교육학 목표인 정의적 교육 측면의 기본적 지식과 이해를 시작으로 초등학생들에게 필요한 협동, 배려, 사회적 행동, 책임감 등의 정의적, 심동적 측면에서의 교육방향을 모바일 UI/UX 디자인 교육으로 접근 하였다. 그리고 수업 전, 후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국내판 Wallach & Kogan 창의성 검사와 ‘인물화에 의한 간편 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창의성과 지능의 실증적이고 긍정적인 결과 변화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초등교사를 위한 에듀테인먼트 기반의 디자인교육지도안 개발

        방경란 ( Bang Kyung-rha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

        본 연구는 초등 디자인교육내용을 분석하고 `놀이와 재미`를 중심으로 한 에듀테인먼트 형식의 디자인교육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디자인교육현황의 고찰, 초등교사의 디자인이해도 분석 등을 통하여 초등디자인 교육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연구의 방법으로서는 초등교과서를 분석하고 디자인영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내용에 새로운 디자인교육안을 적용하여 모의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에듀테인먼트 중심의 구체적인 디자인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교육안은 `전달과 소통`, `실험과 적용`, `계획과 분석`에 관한 내용이 핵심적인 중심내용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통합적인 사고과정을 요구하는 디자인교육을 초등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창의적인 차세대교육을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디자인 비전공자인 교사를 위하여 초등디자인교육의 목표 및 내용을 제시하여 구체적인 교육안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elementary design education, and to develop design education programs based on edutainment with play and fun elements. As a preparatory research, the current state of elementary design education both at home and abroa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design were looked into. It was learned how design education is currently provided in elementary schools and what problems it has. Textbooks used in elementary school courses were also examined and design sections were selected out of them. Newly devised education programs were applied to the selected sections and experimental teachings were performed. Concrete edutainment-based design education programs were propos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Underlying the new design education programs were proposed `communication, experimentation, planing & analyzing` in this study. The final object of this study is to apply education of design, for which integrated thinking process is required, to elementary courses effectively, and this is expected as a creative educational method for future generation. Accordingly,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to present goals and contents for elementary design education for teachers who are not design specialists.

      • KCI등재

        저소득층 취학아동을 위한 디자인 창의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한 연구

        한지은(Ji Eun Han),남경숙(Kyung Sook Na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현대의 디자인은 인간의 삶을 더 편하고 풍요롭게 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기위한 방법으로 거론되고 있다. 국가적으로는 소외계층중 저소득 취학아동을 위한 문화예술지원사업이 2004년부터 추진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는 다양한 기업의메세나 사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저소득 취학아동이 미래의 창의적인 인재로 육성되기위해서 국가적·사회적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노력들은 소극적이고 근시안적인 대처일 뿐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인 창의교육은 단순한지식의 전달보다 문제해결을 통한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으며 심리적인 치유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저소득취학아동을 위한 장기적인 교육에 있어서 필수적인과정으로 자리잡아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취학아동의 심리상태를 분석하고 이를 치유하는 방법으로써 디자인 창의교육이 왜 필요한지 알아본 후, 그 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제안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 취학아동, 소외, 디자인 창의교육, 치유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학, 사회심리학,디자인학 등의 관련 국내외 전문서적과 학위논문, 학술발표논문, 정부보도자료 등을 참고하였다. 디자인창의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교육프로그램의 기준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외의 사례를 검토하여 미래 디자인 창의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범위는 국내의 경우 정부, 지자체, 초등학교, 기업에서 행하여지는 디자인교육프로그램, 국외의 경우 영국, 프랑스, 미국, 핀란드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으로 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저소득 취학아동은 공통적으로 소외의 심리를 갖게 되어 쉽게 좌절감과 외로움에 빠지게 되므로 디자인 창의교육의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성취감과 만족감을 얻게 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디자인 창의교육을 위해서는 프로그램 내부의 치유의 과정 포함, 다양한 디지털 교육을 통한 팀워크작업 유도, 단발적 프로그램 지양, 교사의 열린 사고의 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앞으로도 이러한 장기적인 안목에서 소외계층을 위한 교육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 Contemporary design has been mentioned as a way to relieve economic and social inequality as well as to enrich human life more comfortable.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cultural and artistic support business for lower class children since 2004, and a variety of socially Mecenat projects are being continued. However, these efforts would be passive and short- term solution in that national and social effort for lower class children should be implemented to make them as a creative leader in the future. Design creativity education should be an essential process for lower class children; because, psychological healing could be occurred with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atisfaction of mind rather than just the delivery of knowledge.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lower class children`s psychological state and find out the reason design creativity education would be necessary. After that, we proposed some standards for successful this education. In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ower class children, alienation, design, creative education and healing; therefore, we referred the education, social psychology, specializing in foreign books and other related thesis, published academic papers, government reports, and other reference materials. In this study, we derive criteria based on preliminary Study about the Design creativity education. After that, by examining the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education programs, directions of future creative education are suggested to move.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as in the following; the psychology of alienation is inherent in lower class children in common and it is easy to fall in frustration and loneliness. The process of healing, team work program through various digital education, open minded of instructor must be carried for successful education for lower class children and avoid to carry out design education program as a just one-time event. In these long-term perspective of research for the underprivileged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디자인을 활용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 2학년을 중심으로 -

        김민송,김정희,송영,김정열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2 No.69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STEAM 교육은 과학 (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예술(Art), 수학(Mathematics)의 교과 간 통합 교육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기르고 융합적 소양을 향 상시키는 교육이다. 보통 STEAM 교육에서의 Art(예 술)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은 순수미술(Fine Art)의 의미 를 띄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예술적인 것과 기술적인 것(과 학, 공학, 수학)이 조화된 실체’로서의 디자인 (Design)교육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 중심 교육과정 기 반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 현장에 적용시켜 현장적합도를 검증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방법으 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STEAM 교육과 관련 선행연 구들을 고찰했다. 이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이루어졌다. 프로그 램 적용 후 산출물의 분석을 통해 연구의 결과를 도출 했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에게도 미 술의 개념을 넘어선 구체적인 디자인 중심 수업이 가능 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과학적 사고방식에 대한 흐름의 산출물로서 디자인 교육을 중심으로 STEAM 교육이 이루어졌을 때 학생들은 자기의 창의적인 아이 디어를 효과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셋째, STEAM 프로그램에서 탐구과정이 미흡하게 진 행되었을 경우 실제적인 디자인 과정에서 산출물이 부 족하게 표현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향후 창의력을 기 반으로 한 융합적 교육과 디자인 교육 분야의 성장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STEAM educ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education that fosters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improves convergent literacy through integrated inter-subject education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and Mathematics. In most cases, art education as art education in STEAM education has the meaning of fine art. In this study, a substance in which more technical (Science, Engineering, Mathematics) and artistic things are harmoniz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design-oriented curriculum-based STEAM program based on Design education as a and apply it to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for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o verify field suitability. As a research method for program development, prior studies related to STEAM education were review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ed on this, design-oriented STEAM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the outpu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pecific design-oriented classes beyond the concept of art were also possible for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tudents can effectively design their creative ideas when STEAM education is conducted centering on design education as an output of the flow of scientific thinking. Third, if the inquiry process was insufficient in the STEAM program, the output could be expressed insufficiently in the actual design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he growth of convergent education and design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in the future.

      • KCI등재

        학교교육에서의 디자인교육의 본질과 내용에 대한 재고 -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

        김향미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3 No.-

        The key word in the modern society focuses on the creativity. The demand of these times - the nurture of creative talent across the educational world is highlighted. As this trend has been recently incorporated, the design education based on the design thought has been recognized to be very effective to improve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abilities. The necessity and meaning of the design education is being magnified. Under the assumption that design should be educated from childhood that has strong intellectual capacity and curio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onsider the essence and content of design education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s,examine the problems of current desig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and find how to implement the elementary school design education in the future. The design education in the past was mostly concentrated in higher education to nurture design specialis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fine art education, one of basic curriculums, has been limited in expression activities regarding visual design such as adornment and making. However, in order to cultivate creative talent corresponding to the modern society, the design education method centered to a thinking process based on the essence of design is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materialize this issue,the continuous research and review for systemat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design education in schools are required. Further, the new systematic design education system including the purpose and content of design education being proposed in the current education process needs to be established. To achieve this, the design education emphasizing on design process, and the systematic and structural education content applying the principle of design as a problem finding learning, and various curriculums are first required to be concretized. 현대사회에서의 핵심 키워드는 창의성에 집약되어 있으며 교육 전반에 걸쳐 창의적인재 육성이라는 시대적 요구가 강조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며, 디자인적 사고과정에 기반을 둔 디자인교육이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능력을 기르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는 가운데 디자인교육의 필요성과 의미가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디자인은 호기심이 강하고 지적 능력이 왕성하게 발달하는 아동기부터교육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전제 하에, 본 연구에서는 주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디자인교육의 본질과 내용에 대해 재고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디자인교육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향후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의 향방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두었다. 종래의 디자인교육은 주로 디자인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한 고등교육에 편중되어 왔으며 초․중등학교의 경우 기본교과인 미술교과 내에서 주로 꾸미기와 만들기 등으로 대변되는 시각디자인 관련 표현활동에 국한되어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본질에 기초한 사고과정 중심의 디자인교육 방안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에서의 디자인교육의 체계화 및 제도화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검토가 요망된다. 나아가, 현행교육과정에 제시되고 있는 디자인교육의 목적과 내용에서 확장하여, 새로운 계통적 디자인교육 시스템의 구축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서, 우선은 디자인프로세스를 중시한디자인교육과, 문제발견학습으로서의 디자인의 원리를 적용한 체계적, 구조적인 교육내용 및 다양한 커리큘럼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초등 디자인 조기교육의 프로그램 현황 연구

        김명윤(Kim Myoungyun),강덕구(Kang Dukko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1

        디지털 시대를 맞아 기술과 정보의 평등한 분배와 소유로 인해 생산자와 소비자의 경계가 무너지고 개인의 창의력이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면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모든 이가 디자이너인 시대가 되었다. 창의적인 사회를 만드는 ‘디자인’의 역할은 개인이나 사회, 국가가 가진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시각을 갖고 이를 위한 계획을 바탕으로 한 실행으로서, 성공할 수 있는 ‘의식적인 문화’를 확산시켜야 한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지식사회의 핵심역량인 창의성 함양을 위해 디자인 조기교육이 시행되고 있고, 이는 우리 정부의 중점과제 중 하나인 ‘창의적인 인재양성’의 중요한 내용인 것이다. 현재 시행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디자인교육은 주최와 시행처에 따라 그 프로그램과 내용을 달리하며 이는 첫째, 공교육에서 창의적 교육을 위한 독립교과로서의 서울시청·서울교육청의 [디자인 교과서], 둘째, 디자인의 감상과 체험을 내용으로 하는 교양교과로서의 체험 디자인교육으로 서울디자인재단의 [해치야 놀자], 마지막으로 지식경제부, 디자인진흥원의 미술 - 디자인, 과학/공학 - 디자인, 인문학 - 디자인 등 통합교과로서의 디자인교육 [디자인 방과후 학교]와 [디자인연구학교]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교육의 현황에 따른 사례분석은 사회적 기술적 변화에 따른 디자인적 문제해결이 생활방식으로 발현되며 이는 디자인 조기교육의 발전적 제안과 개선에 활용될 것이다. In this digital era, boundaries between producers and customers collapsed due to equal distribution of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and all the people who create new values can be considered as designers as individual creative power recognizes and solves problems. The roles of design which makes creative society are to have new perspectives and expand conscious design culture based on solution plans in order to enhance creative power of individuals, society and the country. According to such demands, early education for design to enhance creative power as a central capability of intelligent society has been implemented and nurturing creative elites is one of important objectives of our government. Current desig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varies in its programs and contents according to organizers and sponsors of design education and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s: This study examined design education into an independent subject for creative education in public schools, design as an experience of liberal arts centering on appreciation and experiences of design and design as a comprehensive subject of integrating art, design, engineering, humanities and design, and the results will be used for developmental suggestions and improvement of early design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정진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cont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convergenc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understanding of design, cont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and analyzed an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tudents. The educational need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s formula.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mail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 and 1,529 cases were analyzed finall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s; 1. All areas showed high gap between required competence level and present competence level. 2. In the educational needs of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knowing about the effect between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and environment' was high. 3. In the design understanding, ‘knowing about design history’ out of design outline area, ‘thinking, presenting, and making about harmony among line, shape, and color’ out of element and principle of design area, and ‘knowing about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design’ out of kinds of design area were high. 4. In the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contents, 'knowing about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 out of manufacture & design area was high, and 'knowing about kinds and use of renewable energy' out of energy⋅transportation & design area, 'designing and model making for high building and bridge' out of construction & design area, 'web designing' out of telecommunication & design area, 'knowing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animal⋅plant' out of life & design area, 'knowing about principle and working of simple machine' out of electric⋅electronic and machine & design area, 'knowing about intellectual property and patent application' out of invention & design area were high. 5. In almost areas, the 5th grade students were higher meaningfully than the 6th grade students on required competence level and present competence level. 본 연구는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초등학생들의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내용은 공학기술-디자인의 특성, 디자인의 이해, 공학기술-디자인의 내용이다. 설문방법은 우편조사이고, 설문지 1,529부를 통계 처리하였으며, 교육요구도는 보리치 공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항목에서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자신의 능력수준의 차이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공학기술-디자인의 특성 중에서 ‘공학기술-디자인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기’ 항목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자인의 이해에서 디자인의 개요 영역은 ‘디자인의 역사에 대해 알기’,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는 ‘선, 형, 색의 어울림(조화)을 생각하며 표현하고 제작하기’, 디자인의 종류 영역은 ‘환경 디자인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알기’ 항목이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학기술-디자인의 내용에 대해서 제조+디자인 영역은 ‘안전사고 방지에 대해 알기’, 에너지⋅수송+디자인 영역은 ‘신재생에너지의 종류와 이용 분야에 대해 알기’, 건설+디자인 영역은 ‘고층건물, 다리를 디자인하고 모형 만들기’, 정보통신+디자인 영역은 ‘웹 디자인하기’, 생명+디자인 영역은 ‘동⋅식물과 인간관계에 대해 알기’, 전기⋅전자와 기계+디자인 영역은 ‘간단한 기계 장치의 원리와 작동에 대해 알기’, 발명+디자인 영역은 ‘지식재산권과 특허 출원에 대해 알기’ 항목이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거의 모든 영역에서 5학년생들이 6학년생들에 비해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자신의 능력수준이 유의한 차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초등교사의 자녀교육 디자인 양상 연구

        정수현,김연구,김두섭,김보영,이고은,이동호,이주원,이진우,공성원,최영주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한국초등교육 Vol.34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초등교사 8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자녀교육 디자인 양상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자녀교육 디자인 양상에 드러난 특징을 확인한 결과 몇 가지 특징적인 양상이 발견되었다. 첫째, 자녀교육의 목적은 덕, 체, 지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자녀교육 디자인에는 가정교육, 공교육, 사교육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고, 그것들 간에는 역할 분담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자녀교육의 방법도 가정교육과 공교육, 사교육별로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만, 그것들이 분절되는 것이 아니라 자녀교육 디자인이라는 맥락 속에서 서로 연계되어 조화와 균형을 찾아가고 있었다. 자녀교육 디자인의 과정은 문제 인식과 발견, 대안 구상과 실행의 단계를 밟되, 본인이 주도해서 최선의 대안보다 점진적인 변화를 선택하고 시행착오를 반복하면서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반성적 실천의 과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사 정체성과 학부모 정체성 간 연결 및시너지의 양상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교육디자인의 원리 중 인간중심주의와 공감, 쓰임새와 쓸모, 공익, 어울림과는 일치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일부 원리에서는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aspects of children’s education desig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this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on ei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following are the education design aspect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First, the goal of children’s education was to instill virtue, physicality, and intelligence in them. Second, the participants’ children’s education plans included home education,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with roles assigned to each. Methods of child education were also classified as home education, public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However, rather than being separated, they were linked together in the context of children’s education design, seeking harmony and balance. The process of designing children’s education began with identifying and discovering problems, followed by brainstorming and implementing solutions. This was a method of gradual change rather than the best method, and it was a process of reflective practice in which the answer was discovered on one’s own through repeated trial and error. During this process, aspects of identity connection and synergy between teacher and parent identities were discovered. Furthermore, among the principles of education design, it coincided with humancentrism, empathy, use and usefulness, public interest, and harmony, but some principles were mi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