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동기시대 석제 목공구의 변천과 생업경제

        임숙(Sook Im) 한국상고사학회 2022 한국상고사학보 Vol.118 No.118

        본고는 남한지역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석제 목공구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청동기시대 생업경제와 관련시켜 이해해보고자 한 것이다. 청동기시대 목공구는 돌도끼, 대팻날자귀, 돌끌, 턱자귀, 홈자귀로 신석기시대보다 기종이 다양해졌다. 이러한 목공구 자료들을 시기(전기, 중기, 후기)와 문화유형(미사리유형, 가락동유형, 역삼동-흔암리유형, 검단리유형, 천전리유형, 송국리유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목공구의 크기 및 조성비가 시기와 문화유형에 따라 달라졌으며, 청동기시대 생업경제에 대한 연구결과들과도 관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청동기시대 전기에는 목공구 조성비에서 돌도끼의 비중이 가장 높고, 크기가 크다는 점에서 신석기시대와 비슷하다. 그래서 청동기시대 전기의 생업 활동은 신석기시대와 상당히 유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청동기시대 중기의 검단리유형, 천전리유형, 송국리유형의 목공구는 크기와 조성비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래서 비슷한 시기에 유행하였지만, 지역과 생업 활동의 특성이 목공구의 크기와 조성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검단리유형의 목공구는 청동기시대 전기의 전통을 강하게 유지하며, 천전리유형은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 전기까지 이어지는 돌도끼의 감소와 자귀류의 증가 현상이 점진적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송국리유형에서는 돌도끼와 대팻날자귀의 크기 차이가 뚜렷해지고, 돌도끼의 비중이 급감하는 대신 대팻날자귀의 비중이 급증하면서 청동기시대 전기와는 전혀 다른 획기적인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양상은 송국리유형이 청동기시대 전기는 물론 중기의 다른 문화유형들과도 구분되는 생업 활동을 기반으로 해서 새로운 사회에 진입한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 보아, 청동기시대 목공구의 크기와 조성비의 변화는 당시의 생업경제와 밀접하게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Woodworking tools made of stone during the Bronze Age include stone axes, flat-adze, stone chisels, pillar-shaped adze, and grooved adze. Woodworking tools can be divided into periods that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he first, middle, and late periods, and cultural types that include localities such as Misari assemblage, Garakdong type, Yeoksamdong assemblage, Heunamri assemblage, Songgukri assemblage, Geomdanri assemblage, and Cheonjeonri assemblage. Changes in the assemblages of woodworking tools by period, cultural type, and woodworking tools are in line with the existing Bronze Age research on the livelihood and Economy. As a result of the analy sis, the s tone axes of the early Bronze Age were s imilar in s ize to those of the Neolithic Age. Therefore, in the early Bronze Age, the Livelihood and Economy related to the use of woodworking tools would have been similar to that of the Neolithic Age. Woodworking tools of Geomdanri assemblage, Cheonjeonri assemblage, and Songgukri assemblage in the middle of the Bronze Age were all different in size and assemblages. Woodworking tools of the Geomdanri assemblage maintain electrical tradition. The Cheonjeonri assemblage maintains the phenomenon of decreasing stone axes leading to the early Neolithic and Bronze Age and increasing the flat-adze. As for the Songgukri assemblage, the difference in size between the stone axe and the blade of the flat-adze. In additio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stone axe is greatly reduced,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flat-adze of the plane is greatly increased. This aspect means that the Songgukri assemblage has entered a new society based on the living environment,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ther cultural assemblages in the early and mid-term. As described above, changes in the size and assemblage of woodworking tools in the Bronze Age are closely related to the living environment.

      • KCI등재

        淸의 對러시아 政策의 起源, 1644~1676

        윤욱 효원사학회 2023 역사와 세계 Vol.- No.64

        1689년 체결된 네르친스크 조약은 향후 170년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던 청과 러시아 관계의 초석을 놓았다. 네르친스크 조약에 임하는 청의 외교정책의 주요한 특징은 청이 러시아에 대해 유화책과 강경책을 번갈아가며 사용하고 있다는 점, 러시아에 대해 평등한 관계를 용인하고 있다는 점, 교역 등 경제적인 이익을 제공하는 대신 변경의 안정을 확보하고자 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청의 이러한 외교정책은 만주족이 최초로 러시아를 접한 이래 러시아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정보를 수집하고, 대책을 모색한 결과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러시아는 카자크병사들을 동원하여 흑룡강 유역으로 진출하는 한편, 중국과의 교역을 확대하기 위해 통상사절을 파견했다. 청 조정은 변경을 위협하는 카자크 병사들을 러시아 황제의 통제를 받지 않는 비적으로 간주하고 토벌을 주로 하는 한편, 통상사절은 자발적으로 교화를 위해 찾아오는 조공국의 사신으로 간주했다. 청은 1658년 전투에서 카자크 병사들에게 대승을 거두었지만, 청군이 철수한 후 러시아는 알바진을 수복하고 그 주위의 청측에 속했던 간티무르 수하의 원주민들을 러시아측에 귀속시켰다. 간티무르를 다시 청측으로 귀속시키려는 과정에서 알바진의 카자크 병사들이 러시아 황제의 명령을 따르는 러시아의 신민임을 깨닫게 된 청 조정은 기존의 대러시아 정책을 수정하게 된다. 청 조정은 1669년 이후 북경에 온 러시아 사절에 대해서 무역상의 혜택과 편의 및 선물 등 풍부한 경제적인 이익을 제공하고, 이들을 파격적으로 우대하는 의전을 수여하면서 간티무르 등 도망자를 중국으로 돌려보낼 것을 요청했다. 한편으로는 러시아에 대한 군사적인 방비를 강화했다. 1676년 북경에 도착한 러시아 황제의 사절을 통해 러시아가 간티무르를 송환할 의사가 없음을 간파한 청 조정은 유화책을 중지하고 전쟁을 통한 해결을 도모하게 된다. 기존의 연구는 청이 러시아와 평등한 관계의 네르친스크 조약을 체결하게 된 원인을 당시 갈단이 다스리는 준가르제국의 부상이란 국제정세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하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본고는 네르친스크 조약에 임하는 청의 외교정책의 등장은 1669년경 청이 변경의 카자크병사와 러시아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한 시점까지 연원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청도 지역 固城李氏 가문의 임진왜란 극복 양상

        김강식(Kim, Kang-Sik) 효원사학회 2018 역사와 세계 Vol.- No.54

        임진왜란 시기에 청도 지역에 거주했던 固城李氏 가문의 5의사는 다양한 형태로 전쟁을 극복하는데 기여하였다. 청도 지역의 고성이씨는 조선중기의 士禍期 이후에 안동에서 청도로 李育이 이주해 온 후 사족으로서 在地的 기반을 다져나간 가문이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여 초기에 일본군의 침략을 받은 청도에서 고성이씨 가문의 인사들은 초기부터 청도 지역의 전쟁 극복에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는데, 이것이 난 후에 청도 지역에서 향촌지배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임진왜란 시기에 청도 지역의 고성이씨 가문은 전쟁의 극복을 위해서 청도지역과 다른 지역에서 전쟁 극복을 위해서 노력하였다. 먼저 청도 지역에서 密城朴氏 가문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의병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임진왜란 시기에 비교적 빠른 시기에 의병 활동이 전개되었던 청도의병에 李磬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였으며, 李濂과 李澈 등이 활동하였다. 이들은 청도의병을 주도한 밀성박씨 가문 등과 합세하여 활동하였는데, 특히 李磬은 돌격장으로 활약하였다. 다음으로 가계가 분명하지 않은 李潛은 전라도 체찰사 鄭澈에 의해 邊士貞휘하의 부대에 보내져서 副將으로 활약하다 계사년 진주성전투에 참가하여 순절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그는 경상우도 고령의 吳澐 집안과 혼인으로 연결되며, 대구의 의병장이었던 蔡夢硯이 그의 비문을 작성하고 있다. 李海는 청도에서 창의하여 활약하다 정유재란 때 權慄의 諭書를 받고 남원성전투에 참가하여 순절하였던 인물인데, 絶命嗣와 義馬塚이 전해 온다. 정유재란 때의 활동과 관련하여서는 청도의 고성이씨 가문의 인사들이 郭再祐의 『火旺山城同苦錄』 등에 이름이 올라 있다. 이처럼 청도 고성이씨 가문의 5의사는 임진왜란 시기에 계속적으로 일본군과 대치하였던 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전쟁 극복을 위한 다양한 항쟁에 참가하여 활동하였다. 이 때문에 전쟁 후에 청도 지역의 항촌사회를 주도해 나갈 수 있는 대표적인 가문으로 성장할 수 있었는데, 그들은 대부분 임진왜란 이후 작성된 鄕案에 이름이 등재되었다. The five righteous people of the Goseong(固城) Lee Family, who lived in Cheongdo(淸道)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98, helped overcome the war in various forms. The Goseong Lee Family of Cheongdo was a family that was based as a regional family moved from Andong(安東) to Cheongdo after a purge of Confucian literati of the mid-Joseon Dynasty. In Cheongdo, which was invaded by the Japanese army in the early days of the Japanese invasion, the people of the Goseong Lee Family were active in overcoming the war from the beginning, and after that, it was an opportunity to grow up as a local authority in Cheongdo.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98, the Goseong Lee Family in Cheongdo tried to overcome the war in Cheongdo and other regions. First,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righteous army of Cheongdo.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98, Lee Kyoung(李磬) took the lead role in the military parade, while Lee Ryoul(李濂) and Lee Chyoung(李澈) were active. They joined forces with the Milseong(密城) Park Family, who led the troops in Cheongdo, and especially served as the captain of the charge. Next, Lee Jam(李潛), whose family is not clear, was sent to a unit under the direction of Byoun Sa-Jeong(邊士貞) by Cheung Cheol(鄭澈), a Chechalsa(體察使) of Cholla Province. He participated in the battle of Jinju Castle in the year of Kyesa(癸巳) and died for his nation. But he was married to a elderly family in Gyeongsangwoo Province, and Chae Mong-yeon(蔡夢硯), who lived in Daegu, wrote his epitaph. Lee Jam(李海) raised an army in Cheongdo(淸道), he fought in the battle of Namwon Castle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of Kwon Yul(權慄) and died. The poem of death and the tomb of a righteous horse are handed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8, the activities of Goseong Lee Family in Cheongdo had a name on Hwawangsanseong’s Donggorok(火旺山城同苦錄) of the Kwak Jae-woo(郭再祐). In this way, the five righteous people of the Cheongdo Goseong Family in Cheongdo staged various protests to overcome the war in the Cheongdo region, which continuously confronted the Japanese arm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98. This helped to develop into a representative family that could lead the local community in Cheongdo after the war. Their names came to the Hyangan(鄕案).

      • KCI등재후보

        유성기음반에 나타난 합주 <청성곡> 연구

        정소희(Jeong, So-He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6 국악교육 Vol.41 No.41

        청성곡은 한국음악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정악독주곡인데, 20세기 초의 유성기음반에 따르면 세악합주 · 양소병주 · 단소병주 · 장고반주의 단소독주 · 무반주 대금독주 등 다양한 형태의 음악으로 연주되었다. 본 논문은 합주편성의 청성곡 음원인 《아악정수》의 <요천순일지곡>과 ‘빅타’판 양소병주 <청성곡>의 음악요소를 분석하고 편성 악기의 선율관계를 조명하여, 청성곡이 현행의 독주곡이라는 인식을 벗어나 다양한 연주형태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세악합주 편성의 《아악정수》 <요천순일지곡>은 총 5각 2박으로 이루어 졌고, 장고가 편성되면서 가곡과 같이 일정한 한배로 합주하였다. 생황 · 단소 · 해금이 같은 옥타브에서 유니즌(Unison)으로 연주하였는데, 특히 단소는 다양한 꾸밈음을 첨가하여 선율을 연주하였다. 대금은 현행의 대금독주 <청성곡>과 다르게 한 옥타브 아래인 저취(低吹)에서 연주하는 베이스의 역할과 선율악기의 역할을 동시에 하였다. 양소병주 편성의 빅타판 <청성곡>은 총 4각 11박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고가 11박+5박의 가곡 장단을 연주하였다. 단소는 독주 <청성곡>과 동일하게 화려한 선율로 양금의 여백을 채우며 주도적으로 선율을 연주하고 있었다. 양금은 ‘♩.’ 의 단순한 리듬으로 골격음을 연주하며 보조적인 역할을 하였는데, 동일음을 반복할 때 같은 음을 연주하지 않고 옥타브를 상하행하며 연주하였다. 요컨대 두 개의 합주 <청성곡> 모두 가곡과 같은 장단과 짜임새로 구성되었는데, <청성곡>이 가곡에 원류(原流)가 있기 때문이라 할 수 있겠다. 합주 <청성곡>의 선율분석을 통해 대금이 저취 · 평취 · 역취의 다양한 음역대를 연주할 수 있는 악기이기 때문에 베이스의 역할과 선율악기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단소는 세악합주의《아악정수》<요천순일지곡> 보다 양소병주의 빅타판 <청성곡>에서 더욱 화려하게 선율을 연주하였는데, 세악합주보다 양소병주 악기편성에서 단소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는 양상으로 볼 수 있다. 20세기 초에는 동일한 <청성곡>에서 합주 편성에 따라 각 악기들의 선율을 다르게 운용하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Chung-Sung-Gok’ was one of the most popular Korean traditional solo music, according to gramophone records in early 20th century, it was played in the various forms of musics such ‘Se-ag’ ensemble, ‘Yang-so’ duet, ‘Dan-so’ duet and ‘Dan-So’ solo accompaniment with ‘Jang-go’ as ‘Dae-gum’ solo. I’d like to suggest that the recognition of ‘Chung-Sung-Gok’ as a solo playing should be changeable to the various instruments playing through this thesis, by analyzing musical elements and lighting ‘Yocheonsunilgigok’ in ‘A-ag Jeong-su’ which was an origin of ‘Chung-Sung-Gok’, and analyzing ‘Yang-so’ duet ensemble of ‘Victor’ records. ‘Yocheonsunilgigok’ in ‘A-ag Jeong-su’ was composed 5 times with 2 beats In addition of ‘Jang-go’ it was played a tempo like Gesang. And ‘Saeng-whang’. ‘Dan-so’ and ‘Haegum’ was played at the same octave, especially ‘Dan-so’ was played with various ornaments. ‘Daegum’ had the role of base and melody which was played in a low sound with one down octave deferantly with current ‘Daegum’ solo ‘Chung-Sung-Gok’. ‘Yang-so’ duet ensemble of ‘Victor’ record was composed total 4 times and 11 beats, and ‘Jan-go’ was played on a ‘Gesang’ rythem with 11 times plus 5 beats. ‘Yanggum’ had subsidize role playing with a simple rhythem ‘ ’. When a music was playing with the same rhythem it’s octave was changed on one octave high or low. In short, two of the ensemble songs of ‘Chung-Sung-Gok’ consists of the same tune and texture, because this song’s headwaters was origined by ‘Gesang’. Analyzing the melody relatations of ‘Chung-Sung-Gok’ in each instruments, I found that ‘Daegum’ had not only the role of base and but melody, because it is a good instrument which is played in row, middle and high sound level. ‘Dan-so’ melody was played more splendidly on ‘Chung-Sung-Gok’ than ‘Yocheon-Soonil’ in ‘A-ag Jeong-su’ with ‘Se-ag’ ensemble. It is because the role of ‘Dan-so’ was so increased in ‘Yang-so’ duet than in ‘Se-ag’ ensemble. It seems that the melody of several instruments was played deferantly on the same ‘Chung-Sung-Gok’ play, in early 20th centry, depend upon composing of the instruments.

      • KCI등재

        청동기시대 ‘전기 옹관묘’ 재고

        고일홍 숭실사학회 2015 숭실사학 Vol.0 No.35

        청동기시대 옹관묘는 일찍이 ‘송국리형묘제’의 범주에 포함되어 청동기시대 중기의 묘제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청동기시대 ‘전기 옹관묘’의 존재 가능성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소위 ‘전기 옹관묘’로 규정된 바 있는 옹관묘의 사례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시도하였다. 제Ⅱ장에서는 먼저 ‘전기 옹관묘’로 규정된 바 있는 옹관묘 출토 유적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특히 토기의 형태에만 초점을 맞춘 그간의 시각에서 벗어나 옹관묘의 공반 유구에 대해 자세히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토기형태를 제외하고는 ‘전기 옹관묘’를 청동기시대 전기 무덤으로 비정할만한 근거가 마땅히 없음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전기 옹관묘’를 청동기시대 전기의 문화 요소가 잔존해 있는 청동기시대 중기의 무덤으로 보아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청동기시대 중기의 고고학적 맥락에서 보이는 전기적 토기 요소의 존속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전기 옹관묘’가 분포하는 호남지역에서는 공열토기와 구순각목토기가 중기까지 존속하는 반면, 이중구연토기는 청동기시대 중기에 들어와 대체로 단절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전기 옹관묘’에 주로 사용된 직립구연호의 경우, 호남지역에서는 송국리형주거지의 수용 이후에도 사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다만, 직립구연호가 청동기시대 전기에 옥내 저장을 담당했던 저장용기인 만큼, 식량저장체계의 혁신적 변화가 일어난 청동기시대 중기에 들어와서 그것이 지속적으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낮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청동기시대 중기의 고고학적 맥락에서 등장하는 직립구연호가 전세품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마지막으로 제Ⅳ장에서는 ‘전세품’(傳世品)에 관한 서양 고고학의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전세’ 현상의 실체에 대해 접근하였다. 특히 특정 유물이 어떤 이유에서든지 유난히 오랜 기간 보유되어 그것의 ‘예상되는 시간적 맥락’에서 일탈한 경우를 넓은 의미에서의 ‘전세품’으로 규정하였다. 아울러 저장용 토기와 같은 평범한 유물도 전세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특히 청동기시대 전기의 직립구연호가 실제로 2~3세대에 걸쳐 사용될 수 있었음을 토기 수명에 관한 민족지조사의 연구사례들을 통해 예증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전기 옹관묘’에 대한 재검토를 시도하고, 또한 고고학 자료의 ‘전세’ 양상에 대한 해석적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The jar burials of the Korean Bronze Age have generally be regarded as ‘Songgukri-type’ burials and have been dated to the Middle Bronze Age (MBA). However, the possibility that some of these jar burials may date to the Early Bronze Age (EBA) has also been suggested, based mainly on the form of the jars, which feature characteristics of EBA pottery. Therefo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re-evaluate the claims that have been set forth for the ‘EBA jar burials’. The sites from which these ‘EBA jar burials’ have been unearthed are first examined, with focus on the archaeological contexts of the burial which have been overlooked due to excessive focus on pottery for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proposed that the ‘EBA jar burials’ are in fact MBA burials which have utilized elements of EBA pottery. A subsequent examination is undertaken on the existence of elements of EBA pottery in definite MBA contexts in the Honam region, where most of the ‘EBA jar burials’ have been found. It is suggested that in the case of the EBA straight-necked jars that were mainly used in the ‘EBA jar burials’, they may have been heirlooms that were maintained into the MBA. Finally, in order to substantiate this suggestion that the ‘EBA jar burials’ were in fact MBA burials that had utilized EBA heirloom jars, the concept of heirlooms and case studies demonstrating the existence of heirloom pottery is presented, along with ethnographic examples concerning pottery use-life.

      • KCI등재

        청말 재일본 중국유학생의 반일운동 : ‘청국유학생단속규칙(淸國留學生取締規則)’ 반대운동을 중심으로

        김보림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4

        청말 재일 중국유학생들은 서양의 문물을 중국에 전달하는 가교 역할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중국과 일본의 국제관계 속에서 문화적인 역할만을 담당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정치사적인 측면에서 볼 때도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중국 지식인들이 서양에 보인 관심은 청일전쟁의 패배로 보다 현실화되었다. 1896년 13명의 유학생 파견을 필두고 수천명의 유학생이 매년 파견될 만큼 일본에 대한 유학 열기는 높아만 갔다. 청국에게서 재일본 유학생에 대한 의미는 크게 두가지가 있었다. 그 하나는 노화된 청국을 발전시킬 첨병의 역할과 청국에 대한 반발 세력인 혁명파의 생성이라는 상반된 것이었다. 재일 중국유학생들이 가진 기존의 향당 관념은 일본인의 차별등을 겪으며 청국유학생회관의 설립 등 애국관념으로 변모되어 갔다. 이들은 청국에 대한 반봉건과 일본에 대한 반제국주의라는 의식을 일깨워가며 국제 관계에 눈을 뜨기 시작하였다. 청 정부는 일본에 유학생을 단속할 만한 규정을 만들어주길 요구하였고 일본은 ‘청국유학생단속규칙(淸國留學生取締規則)’을 만들어 중국 유학생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였다. 이 규칙이 공포되기 직전에 발생한 사비유학생 입학에 대한 재일 청공사관의 거절 사건이 반봉건이었다면 일본의 청국 유학생에 대한 관리를 규정한 ‘단속 규칙’에 대한 반발은 이후 나타나는 유학생 반일 운동의 효시였다. ‘단속규칙’ 이후 유학생들의 동맹휴업과 일제 귀국 등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과정은 유학생들의 움직임이 보다 조직적이었음을 보여준다. ‘단속규칙’에 대한 반대 운동으로 2천명 가량의 유학생들이 일제히 귀국하고, 이들이 신해혁명의 주역이 됨으로써 일본으로 가는 유학생들의 수는 점차 줄어들게 된다. 귀국한 유학생들은 상해에 모여 ‘중국공학’ 등 중국 최초의 유학생이 건립한 사립학교를 만드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Chinese students of the late Qing dynasty in Japa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bridge for delivering western artifacts to China. However, since it could not only play a cultural role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China and Japan, it also played a big role in the politics. The Chinese intellectuals' interest in the Western culture became more real because of the collapse of the Sino-Japanese War. In 1896, 13 students were firstly dispatched and thousands of international students were dispatched each year to Japan. There are two meaningful meanings for Chinese students who came to Japan at that time. One was the role of developing the old China and the other was the role of creating the revolutionary wave against the Chinese bureaucracy. The Idea of the Community Village(鄕黨), the traditional idea of ​​Chinese has been transformed into the idea of ​​patriotism,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Hall of Chinese Students in Meiji Japan, through the discrimination of Japanese people. They began to wake up to international relations, awakening the sense of anti-imperialism and the anti-feudalism The Government of Qing has requested that the regulations governing Chinese students be made in Japan, and Japan has strengthened the management of Chinese students by creating the ‘Chinese Student Regulation in Japan(1905)’. Anti-Japanese movement against ‘Chinese Student Regulation in Japan(1905)’ was the beginning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Japan after Chinese Revolution. A series of courses such as the alliance closure of Chinese students in Japan and returning to China at the same time after the ‘Regulation’ presented shows that the movements were more organized. As a result of the opposition movement, about 2,000 students came back to China at once and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who came to Japan gradually decreases as they become the main players of Chinese Revolution. The students who came back to China gathered in Shanghai and made ‘Union School of China’ built by the first.

      • KCI등재

        초분절 자질의 관점에서 살펴본 『동국정운(東國正韻)』 한자음의 ‘청·탁’에 대한 고찰

        문성호(Moon, Sungho)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5 No.-

        청·탁은 본래 음악 용어로 경중(輕重)·고하(高下)·심천(深淺)·음양(陰陽)으로 묘사되었고, 근대 이전까지 음악과 성운학에서 청·탁의 용어 사용은 큰 차이가 없었다. 칼그렌(Klas Bernhard Johannes Karlgren, 1889~1978)의 연구 이후 청·탁은 무성음과 유성음의 분절 자질로 분석되는데, 이 경우 음소문자인 훈민정음의 음운 자질이 설명되기 어렵다. 세종은 음악과 성운학의 전문가로 훈민정음을 창제했을 때, 청·탁을 분절 자질이 아닌 전통의 초분절 자질로 인식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에 대한 근거로 『동국정운(東國正韻)』 한자음의 청·탁이 『광운(廣韻)』 41성류의 반절상자에 대응하고, 반절상자의 청·탁은 광동어의 초분절 자질인 음조와 양조에 대응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청·탁을 음조와 양조의 관점에서 살필 경우, 훈민정음의 청·탁 표기가 체계적으로 설명이 된다. 본고에서는 청·탁을 공명강의 무게중심에 따라 달라지는 음색의 대비라는 관점에서 초분절 자질을 설명했다. 음색은 동양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소리의 무게·높이·깊이가 종합적으로 갖추어질 때 하나의 음색이 형성된다. The qīngyīn (淸/clear) and zhuóyīn (濁/unclear) sounds, originally derived from musical terminology, were used from a hyper segmental perspective where qīngyīn denoted high notes, and zhuóyīn denoted low notes within the Chinese phonological field. There was barely any difference between Chinese phonological terms and musical terms before the modern era. However, after the research carried out by Klas Bernhard Johannes Karlgren (1889-1978), the qīngyīn and zhuóyīn sounds were analyzed as segmental phonemes chosen as a result of confrontations between voiced and unvoiced sounds. If we were to follow this reasoning, it would be very difficult to explain the phoneme quality of the Hunminjeongeum, which is a phonemic writing system. King Sejong was an expert in music and Chinese phonology and when he created the Hunminjeongeum, he must have perceived the qīngyīn and zhuóyīn sounds as the traditional hyper segmental phonemes instead of segmental phonemes. To prove this, the qīngyīn and zhuóyīn sounds of the Chinese character sounds in the Donggukjungwoon can be observed as corresponding with the 41 initial consonants of the first character in a fǎnqiè (反切) in the Guǎngyùn(廣韻). It is also possible to cite the fact that the qīngyīn and zhuóyīn sounds of the first character in a fǎnqiè corresponds with the yīndiào (陰調/high tones) and yángdiào (陽調/low tones), which are the hyper segmental phonemes of Cantonese.

      • KCI등재

        청의 개념유형과 구례 줄풍류 중려(仲呂)청의 생성원리에 대한 고찰

        이보형 한국국악학회 2007 한국음악연구 Vol.42 No.-

        이미 ‘구례 줄풍류’의 풍류객들이 이른바 ‘중려청’이라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청 용어를 쓰고 있 다는 것이 보고되었으므로 이것이 지금까지 알려진 한국전통음악에서 쓰고 있는 청이라는 말이 붙는 용어의 어느 개념 유형에 드는 지를 밝히기 위하여 이미 규명된 청 용어 개념 유형을 정리하고, ‘구례 줄풍류’의 풍류객들이 쓰고 있는 ‘중려청’의 실체를 살피고, 이것과 지금까지 규명된 여러 청 개념 유형 과 비교하여 어느 청 개념 유형에 드는지 따지고 그 개념 생성 원리를 살폈다. 한국전통음악에서 흔히 알고 있는 율려를 앞에 메긴 청 용어에는 오직 악기 조율시에 쓰는 ‘임종청’ 이라는 용어이다. 이것은 합주 전에 대금이 ‘청을 댄다’ 하여 ‘임종음(林鐘音)’을 기준음으로 대면 이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악기들이 조현하는 ‘임종청’이라는 용어는 널리 알려 졌지만 이 ‘중려청’이라는 용 어에 대하여는 전혀 밝혀진 바 없다. 그 동안 필자는 우리 음악에 쓰이는 청이라는 말이 붙는 용어의 개념 유형에 대하여 발표한바 있으므로 이를 다시 정리하고 이 중려청이 여러 청 개념 유형 가운데 어 느 청 개념 유형에 드는지 따지고 이런 중려청 개념이 어떻게 생성되었는지 살핀 것이다. 이미 필자는 지금까지 한국전통음악에서 쓰여 온 청이라는 말이 붙는 용어의 개념 유형에 대하여 산발적으로 발표하였으므로 본문에서는 기왕 연구에서 한국음악에 쓰이는 청 용어 개념 유형을 다시 정리하여 보니, 막(膜)을 뜻하는 청 개념, 울림, 성음 및 토리를 뜻하는 청 개념, 공명현(共鳴弦) 및 개방 현(開放弦)을 뜻하는 청 개념, 선법적 주음으로 지시되는 key(時用宮)로써 청 개념, 관악기 지공(指孔) 으로 선법적 주음이 지시되는 key로써 청 개념, 유괘악기 공명현과 개방현으로 지시되는 key으로써 청 개념, 합주시 지시되는 기준음으로써 청 개념 등 여러 가지가 있었다. 구례 풍류객들이 사용하는 중려청을 용례를 살펴보니 전용선(추산), 김무규, 장상철과 같은 율객, 정 경태, 이상술과 같은 가객, 시조 단소 명인 김성수 등 호남의 율객, 가객, 시조 단소 반주자 등 여러 부 문의 풍류객들이 이 청 용어를 썼다는 것이 들어 났다. 구례 줄풍류에서 쓰는 중려청의 실체를 알기 위하여 구례 풍류객들이 악기들을 조현하는 방법을 살 펴봤다. 먼저 대금이나 단소가 중려음을 대면 각 악기 악사들이 그 음을 듣고 중려음으로 악기를 조현 하였다. 여기까지로 보면 중려청은 임종청처럼 기준음 청 개념으로 착각할 수 있다. 그러나 구례 줄풍 류 거문고 조현법을 보면 대금이나 단소가 내는 중려음을 듣고 유현의 제6괘를 짚어 중려음을 맞추고 유현 제6괘를 밀어(역추하여) 임종음을 내어 대현 8괘로 임종을 맞추고, 이를 토대로 괘하청, 무현, 괘상 청을 임종음으로 맞추었다. 그러기 때문에, 대금이 임종을 대고 괘하청, 무현, 괘상청, 유현, 대현, 문현 순으로 조현하는 기왕의 조현 방법과 거꾸로 조현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니 이 거문고 조현 결과가 세 청줄이 임종이 되는 점에서 기왕의 조현법이 차이가 없게 된다. 그렇다면 임종청의 기준음 청 개념 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중려청의 청 개념은 어느 청 개념에 속하는 것인가? 이 문제는 규례 풍류에서 대금이 어찌하여 임종을 대지 않고 중려를 대느냐 하는 데서 풀었다. 그 근거로 찾은 것이 전추산 계통 호남 풍류객들이 현악영산회상의 중려를 선법적 주음으로 보며, 호남 출신 가객 정경태, 이상술이 시조의 청(선법적 주음)을 중려로 보고, 제천 사는 시조 단소의 대가 김성 수가 시조의 청을 중려로 보고 시조를 이조할 때를 위해서 중려를 내는 단소 지공을 선법적 주음으로 보고 중려, 임종, 무역, 황종, 태주, 협종, 등 여러 key로 단소를 만들어 반주한다는 것을 찾아냈다. 다시 말해서 호남 풍류객들이 현악영산회상, 가곡 계면조, 시조 계면조와 같은 정악 계면조의 구성음 황종, 태주, 중려, 임종, 남려(또는 무역) 가운데 중려를 선법적 주음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데서 중려청이 생성 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남도 민요에서 성주푸리토리(남도 경토리)와 판소리 및 산조에서 평조의 구성음 Sol(황종), La(태 주), do(중려), re(임종), mi~fa(남려~무역) 가운데 do(중려)를 선법적 주음 개념의 청으로 보는 것과 구례 풍류객들이 현악영산회상의 구성음 가운데 중려를 청으로 보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선법적 주음을 청이라 이르는 것은 시나위 등 남도악에서 선법적 주음을 청이라 이르는 것과 같고 중세의 시용궁(時 用宮) 개념과도 통한다. 구례 풍류객이 중려 청을 쓰는 이유는 현악영산회상의 선법적 주음인 청을 중 려로 보고 줄풍류 조현 방법에서도 관악기가 청을 댈 때 중려청으로 청으로 대야 한다는 남도악의 음 악 관념이 이른바 중려청을 생성하게 한 것이라고 봤다. 이것은 선법적 주음 시용궁으로 조현하는 중세 악학궤범 7지 조현법과 통한다 할 수 있다. 결국 중려청의 청 개념은 중세7지처럼 선법적 주음(시용궁)을 지시하는 청 개념이지만 음악이 이미 변하여 거문고 청줄을 주음으로 조현하지 못하는 애매한 청개념이 조현의 기준음을 제시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남쪽 지방 풍류객들이 줄풍류 및 정가의 계면조의 선법적 주음을 중려 로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이 제시된 것이다. I have researched specifically about the types of concept and the fundamentals of formations of a term ‘Jungryeo cheong(cheong)’ used in Gurye Hyangje Julpoongryu. In Korean music, the term ‘cheong’ used to indicate the ‘yulryeo(pitch/key)’ and usually daegeum plays the ‘imjong cheong’ in order to tune the ensembles up before the performance. Therefore, we are somewhat familiar with hearing ‘imjong cheong’ and where has the term arise from but are not with that of ‘jungryeo cheong’ due to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less studies conducted in this area. One can see the these term ‘cheong’ can be used in wide ranges with such a variations among the Korean music field, which means it implicates many different meanings. I have studied what exactly the term ‘jungryeo cheong’ refers, and used in which concept among the various meaning it has. The term ‘cheong’ used to implicates the following meanings in Korean music. It connotes a membrane, vocal sound, tori, resonance/open string, mode/key(siyong-goong), key notification for the wind instrument, key notification for the resonance/open strings for yugoe instrument and last also connotes the base note. In actual performances, ‘jungryeo cheong’ has been used by many artists who belonged in a different classifications and performed different types of music such as Yongsun Jung(choosan), Mukyu Kim, Sangchul Jang, Kyungtae Jung, Sangsul Lee, Seongsoo Kim. In order to clarify the concept of ‘jungryeo cheong’, I have looked at the way they tune up their instruments for performing Gurye Julpoongryu. As a result, I was able to find that daegeum or danso plays ‘jungryeo pitch’ instead ‘imjong pitch’ for the tuning purpose. But why would they tune their ensemble instruments in ‘jungryeo pitch’ when we have ‘imjong pitch’ that is know and already have used for such a long time period for tuning purpose? I have noticed that the poongryu artists of Honam district from Chusan Jeon’s succession as well as many other artists that I have mentioned earlier used ‘jungryeo pitch’ as modal keynote. In other words, these poongryu artists of Honam district have used ‘jungryeo pitch’ as modal keynote in many musical pieces that were written in ‘Gyemyun jo(Gyemyun key)’ including ‘Hyunak Youngsan hoesang’, ‘Gagok Gyemyunjo’, ‘Sijo gyemyunjo’ and due to these performing practices have made ‘jungryeo pitch’ as a keynote for both musical mode and attune. Not quite exactly the same concept, but music such as ‘Seongju Puri Tori(Namdo Kyung tori)’ and certain Pansori and Sanjo among southern folk music uses ‘jungryeo cheong’ as modal keynote might have the same concept about the usages of ‘jungryeo cheong’ as keynote in ‘Gurye Julpungryu’. Using the term ‘cheong’ to indicate the modal keynote have already been used in various music in Namdo District such as Sinawi and has certain connections to the idea of ‘siyong-goong’ which used in medieval times. One of the key reason that they use ‘jungryeo cheong’ as keynote for their music originated in the music of Hyunak Youngsan Hoesang and its method of tuning. Moreover, many Namdo Distract music has been tuned in ‘jungryeo cheong’ and this kind of concept certainly have influenced the music of ‘Gurye Julpungryu’ along with the ancient usages of ‘siyong-goong’, the method of tuning instruments. In conclusion, the conceptual types and the formations of the term ‘cheong’ used in ‘jungryeo cheong’ implicates both ideas of base note(standard pitch for attune) and modal keynote.

      • KCI등재

        청나라 점취머리장신구 문양을 활용한 현대 중국 장신구다자인 사례 연구

        양형우(Liang, Jiongyu),이형규(Lee, Hyung Ky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4

        현재 정보기술의 발전은 인간사회의 고도성장은 물론 소비자가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을 크게 늘렸고, 소비자들은 같은 디자인에 그치지 않고 차별화 · 개성화된 디자인을 요구하면서 디자인의 혁신과 전통 수공예의 현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그러나 전통공예 장인이 고령화되고 종사자가 줄어 전통공예의 실종이 우려되고, 전통공예 진흥계획이 나오면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가장 전통 장신구를 대표할 수 있는 청나라 점취장신구는 재질과 문양이 풍부하고 조형과 공법이 섬세하고 복잡하였다. 그러므로 전통과 현대기술이 점취장신구에 대한 연구를 통해 청나라 점취장신구문양의 조형요소를 활용하여 장신구디자인을 개발한다면 새로운 시장 진출에 기대효과가 높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더불어 현대장신구의 설계와 제작하는 디자이너와 창업자들에게 좋은 아이템 선정과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범위로 청나라 점취공예의 제작과정을 역사 고서적과 문헌자료, 논문에서 살펴보고 점취공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점취와 관련된 역사서적과 박물관의 점취장신구 소장품을 살펴보았다. 청나라 점취장신구의 이미지를 대량으로 수집해 문양별로 분류한 뒤 청대 점취장신의 문양을 분석하였다. 청나라 점취장신구의 문양을 정리하고 청나라 점취공예와 현대 기술의 융합을 위한 기반을 제공되어졌다. 청나라 점취장신구에 대한 연구와 고찰을 통해 우리는 점취장신구의 구조와 공예를 고찰하였다. 춘추시대부터 물총새 깃털을 사용한 기록이 있고, 청대에 이르러서는 물총새와 물총새 깃털의 종류에 대한 상세한 기준을 고찰하였다. 청나라 점취장신구의 문양에는 주로 의미를 담은 동식물과 길 문자가 들어있다는 점도 살펴보았다. 청나라의 점취장신구들은 의미 있는 문양을 사용해 아름다운 삶, 재부와 권력에 대한 향수를 표현하였다. 현대 중국 점취장신구에 나타난 청나라 점취 머리장신구 문양 사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점취공예를 기초로 하여 심플한 문양을 사용하여 디자인한 점취 장신구로 이러한 종류의 일상적인 착용에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국 현대의 점취 장신구를 대표할 수 있는 중국 최대온라인 쇼핑몰 타오바오(taobao)에서 장신구를 판매하는 기념화사(纪年花事)와 삼천원(三千院) 조판소를 고찰하였다. 기념화사는 청대 점취장신구는 간략하게 디자인되었고, 소재는 동도금과 공작 깃털, 민물진주와 저가 보석을 상감하였다. 가격을 낮춰 소비자들이 일상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하였다. 삼천원 조판소는 청대 점취 장식의 문양을 사용해 새롭게 디자인했으며 소재는 은도금, 공작 깃털, 진주, 루비, 옥석 등 고가의 보석을 상감하였다. 청나라 점취장신구를 복원하고 새로운 디자인을 접목해 점취장신구 소재에 대한 욕구가 높은 소비자들은 사극이나 소장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 연구를 통해 청나라 점취머리장신구 문양을 활용한 현대화된 차별화된 점취장신구 디자인을 개발한다면, 장신구디자이너와 창업을 원하는 창업자들에게 좋은 아이템과 기초자료로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e current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greatly increased the amount of information consumers can obtain as well as rapid growth in human society, and consumers are not only demanding the same design but also differentiated and personalized designs, sparking innovation of design and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handicrafts. However, as traditional craftsmen age and the number of workers decreases,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disappearance of traditional crafts, and the promotion plan for traditional crafts has emerged, drawing attention again. The Qing Dynasty’s DianCui ornaments, which represent the most traditional ornaments, were rich in material and pattern, and delicate and complex in shape and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e, if tradition and modern technology develop jewelry designs using the sculptural elements of the Qing Dynasty’s DianCui ornaments pattern through research on DianCui ornaments, the expected effect of entering the new market will be high. In addition, the purpose was to select good items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designers and entrepreneurs who design and produce modern ornaments. With the method and scope of this study, the production process of DianCui crafts in the Qing Dynasty was examined in historical books, literature materials, and papers, and research on DianCui crafts was conducted. In addition, we looked at historical books related to DianCui and the collection of DianCui ornaments at the museum. A large collection of images of DianCui jewellery in the Qing Dynasty. After classifying them according to patterns, the patterns of DianCui jewellery in the Qing Dynasty are analyzed. It organized the patterns of the Qing Dynasty’s DianCui ornaments and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 convergence of Qing Dynasty’s DianCui crafts and modern technology. Through research and consideration on the DianCui ornaments in the Qing Dynasty, we considered the structure and crafts of the DianCui ornaments. Since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re has been a record of the use of common kingfisher, and in the Qing Dynasty, detailed standards for the types of common kingfisher and common kingfisher feather were considered. It was also examined that the patterns of DianCui ornaments in the Qing Dynasty mainly contain meaningful animals and plants and Gil characters. DianCui ornaments of the Qing Dynasty used meaningful patterns to express nostalgia for beautiful life, wealth and powe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analyzing the Qing Dynasty DianCui ornaments pattern cases in modern China’s DianCui ornaments. First, based on DianCui craft, DianCui ornaments designed with simple patterns can be seen to be suitable for daily wear. Secondly, I inspected the products of GiNyeomhwasa and SamChunwon jopanso, which can represent modern Chinese Diancui jewelry, on TaoBao, the largest online shopping website in China. GiNyeomhwasa’s Qing Dynasty DianCui ornaments use a simple design, the materials use gold-plated brass, peacock feathers, inlaid with freshwater pearls and cheap gems. The price was lowered so that consumers could wear it on a daily basis. SamChunwon jopanso’s products are redesigned using the design of Qing Dynasty DianCui ornaments. The materials use gold-plated 925 silver, peacock feathers, and are inlaid with high-priced gems such as pearls, rubies, and jade. DianCui ornaments in the Qing Dynasty were restored and new designs were combined so that consumers with high desire for DianCui ornaments materials could also use them for historical dramas or collection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developing a modernized differentiated DianCui ornaments design using the pattern of DianCui ornaments in the Qing Dynasty can help jewelry designers and start-ups who want to start a business as good items and basic materials.

      • KCI등재

        청년세대 문화와 경계짓기: 청년세대 공간의 이동을 중심으로

        고명지(Ko Myoung J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20 문화와 사회 Vol.28 No.2

        본 연구는 청년세대의 문화를 공간의 이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각 시대별 신문기사를 살펴보았으며, 한국사회에 존재해온 청년세대 문화 공간의 변화를 살펴보고, 오늘날 청년세대 공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한국사회의 청년세대 공간은 신촌(1970-80년대) - 압구정·홍대(1990년대) - 삼청동·이태원·가로수길(2000년대)로 이동하고 있었으며, 각 시대별 청년세대는 자신들의 공간에서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고 타 집단과 자신들을 구별짓는 새로운 문화를 형성해 가고 있었다. 또한 청년세대 공간을 수식하는 형용사를 살펴본 결과, 시대가 변함에 따라 청년세대의 공간이 이동하고 있음에도 ‘개성 있고 특색 있는 새로운’ 공간이라는 이미지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음으로 오늘날 밀레니얼 세대 공간의 특성을 ‘핫플레이스’를 통해 확인한 결과, 다음 세 가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청년세대의 공간은 파편화 및 유목화를 통해 확장되고 있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둘째, 파편화된 장소들은 온라인이라는 공간에서 해시태그(#)를 통해 새로운 집합을 형성하고, 새로운 장소성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셋째, 오늘날 청년세대 공간이 빠른 주기로 이동하고 있지만 그 안에 담겨있는 장소성은 결국 ‘개성 있음’과 ‘새로움’이라는 지금까지 청년세대 공간이 가지고 있던 이미지의 연속선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오늘날 청년세대 공간의 특징은 미디어의 발달이라는 사회적 현상과 청년세대가 갖는 노마디즘적 특징의 발현으로 설명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youth culture with a focus on the changing spaces of youth genera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s contents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of the 1970-1980s, 1990s, and the 2000s respectively. Results indicate that the cultural space of the youth generation in Korean society change over time, going from Sinchon in the 1970-1980s, Apgujeong in the 1990s, and to Samcheong-dong, Itaewon, and Garosu-gil in the 2000s, consisting of a unique youth culture and collective identity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other groups.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adjectives that describes the space of the youth generation and found that the images of unique, special, and new appeared repeatedly even though the space was constantly changing over time. Next, this study identifies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f millenials by the keyword hot place. First, the space of the youth generation is expanding in a fragmented and nomadic way. Second, fragmented places were forming a new collective through hashtags(#) online, creating new placeness. Third, although the youth space today is fragmented, the placeness contained in it is in line with the images of the youth space that was identified before, such as unique and new.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space today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change in society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nd the nomadic traits of the youth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