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청산리전투의 재현 -독립기념관 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조은경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5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ways that Battle of Cheongsanri(靑山里戰鬪) was exhibited at permanent exhibition halls, specially planned exhibitions, experiential exhibits and video content with a focus on the case of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trying to figure out its characters and implications. Since its opening,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has run exhibitions about Battle of Cheongsanri at Hall 5 that is a permanent exhibition hall. These exhibitions, however, offered different explanations from common approaches to the battle by describing it as a "ten-day battle" in Qing and focusing on figures including commanders. Even though they paid attention to the spaces of individual fights, they provided no detailed explanations about them and even mentioned the same facts differently in some cases. A special exhibition was planned in 2020 in commemorat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Independence War. It was differentiated from the permanent exhibition by focusing on ordinary people that fought in Independence War and making active use of memoirs and recollections. This approach earned sympathy from viewers, but they offered no specific explanations about historical facts. The models reproducing Independence War and the experiential exhibits and video content on the topic of the war were not exactly the reproduction of Battle of Cheongsanri. It was, however, highly likely that viewers "imagined" the battle after looking at these exhibits based on their arrangement order, setting of situations, and "popular appeal" of the battle, which is the most well-known battle in Independence War. Given the symbolism of Battle of Cheongsanri in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the content about the war leaves some room for improvement at the exhibition in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It put an emphasis on the victory or defeat and military achievements of the battle and reproduced the battle process in most cases. One of the contributing factors here is the gap in the research of the battle. In the future, exhibitions about the battle will hopefully make progress based on the profound research of the battle and "substantive truth" uncovered in the research. 본 연구는 독립기념관 사례를 중심으로 상설전시관과 특별기획전, 그리고 체험전시물과 영상콘텐츠에서 청산리전투가 어떻게 전시되는지 살피고 그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했다. 독립기념관은 개관 이래 현재까지 상설전시관 제5관에서 청산리전투를 전시해왔다. 그런데 청‘10일 간 전투’로 언급하고 지휘관 등 인물에 주목하는 등 청산리전투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방식과 달랐다. 개별 전투의 공간에 주목했지만 상세한 설명이 없었고 동일한 사실을 전시에서 다르게 언급한 경우도 있었다. 2020년 독립전쟁 100주년을 맞아 개최된 특별기획전에서는 독립전쟁에 참여한 평범한 사람에 주목하고 수기, 회고를 적극 활용하는 방식으로 상설전시관과 차별화했다. 이러한 방식은 관람객들의 공감을 얻었지만 역사적 사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은 아니었다. 독립전쟁 재현모형이나 독립전쟁을 주제로 한 체험전시물, 영상콘텐츠는 청산리전투를 재현한 것이 아니었다. 하지만 전시물의 배치 순서와 상황 설정, 독립전쟁 가운데 일반에 가장 널리 알려진 청산리전투의 ‘대중성’ 등으로 인해 관람객이 이를 청산리전투로 ‘상상’했을 개연성이 높았다. 한국독립운동사에서 청산리전투가 가진 상징성을 고려할 때 독립기념관 전시에서 청산리전투)의 내용은 다소 충실하지 못하다는 인상이 든다. 다뤄지는 내용도 전투의 승패나 전과 등을 강조하거나 전투 과정 등을 재현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여기에는 청산리전투에 대한 연구 공백이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청산리전투와 관련된 연구가 심화되고 ‘실체적 진실’이 새롭게 밝혀져 이를 토대로 전시도 진일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홍범도의 항일무장투쟁과 역사적 의의

        김주용 ( Kim Joo-y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0 No.32

        한국인들에게 봉오동전투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른 인물이 바로 홍범도이다. 하지만 그가 청산리 대첩에 기여했다는 사실을 아는 한국인들은 많지 않았다. 1980년대에 들어서야 홍범도가 청산리 대첩에도 참여했다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만큼 홍범도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은 제한적이었다. 이 글에서는 홍범도가 평생 일관했던 항일무장투쟁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에 대해 다루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그의 무장투쟁은 의병시절부터 견지해온 항일독립운동의 한 방편이었다. 그가 1904년경부터 1920년 청산리전투까지 무장투쟁의 소신을 지킨 원천은 무엇이었을까. 여기에는 바로 철저한 민족의식이 그의 활동 저변에 깔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가 의병을 조직하고 가장 먼저 처단한 부류가 민족과 국가를 팔았던 매국노였다. 기층민의 생활과 금강산 승려생활은 그에게 조선의 부조리와 민족에 대한 의식을 일깨웠다. 이것이 바로 민족의 위기가 닥쳐왔을 때 의병을 조직했던 그의 내면적 힘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진회를 비롯한 매국노들의 행위는 그에게 용납되지 않는 반민족적 행위였기에 이들을 처단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이러한 인식은 1910년대를 관통해서 1920년 봉오동과 청산리 전투에서 그 빛을 발할 수 있었다. 홍범도는 의병을 조직할 때나 연해주지역에서 활동할 때, 대한독립군을 조직하고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를 수행할 때에도 다른 독립군 단체와 연합을 주저하지 않았다. 오히려 강력하게 연합을 추진하여 독립군의 군사력을 배가시키는데 주력했다. 의병조직 당시 차도선과 연합부대를 형성한 점, 봉오동전투를 승리로 이끈 원동력도 바로 최진동 부대와의 연합이라는 점을 빼놓을 수 없다. 한국독립운동사의 대표적 승전 가운데 하나인 청산리전투에서도 홍범도 연합부대와 북로군정서 부대의 연합작전은 일본군을 궤멸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홍범도는 연합부대가 지닌 장점을 최대한 발휘했던 연합전의 ‘끝판대장’이라고 할 수 있다. Hong Bum-do(洪範圖) is a first historical figure when Koreans think about Battle of Fengwudong(鳳梧洞戰鬪). But, most Koreans have not known that Hong Bum-do contributed to Battle at Ch'ingshan-li(靑山里戰鬪). Study that Hong Bum-do participated in Battle at Ch'ingshan-li(靑山里戰鬪) was started in 1980’s. Armed struggle was a way of independence movement that he sticked to from Righteous Army. Living of lower class and Buddhist monk at Mt. Geumgang aroused national consciousness. This national consciousness made his inner strength which raised Righteous Army. Thus, he did not hesitate to punish United Advancement Society (pro-Japanese) and traitors. His national consciousness was magnified in 1910’s and Battle of Fengwudong(鳳梧洞戰鬪) and Ch'ingshan-li(靑山里戰鬪). Hong Bum-do did not hesitate to combined with another independence organizations when he organized Righteous Army and Korea Independence Army, acted the Maritime Province (of Siberia) and conducted Battle of Fengwudong and Ch'ingshan-li. He focused on increase military power by combined with other independence organizations. Combined with Choi Jin-dong’s military unit at Battle of Fengwudong and Cha Do-Seon’s military unit when he organized Righteous Army was a typical case. Especially, Combined operation of Hong Bum-do’s combined arms and Headquarters of the North Route Army in Battle at Ch'ingshan-li was an a decisive role to defeated Japanese Army. Finally, Hong Bum-do was great leader of combined operation who made prove combined arms of merits.

      • KCI등재

        ‘청산리전투’를 둘러싼 기억과 망각술 - ‘청산리전투’에 대한 이범석의 자기서사와 항(반)일=반공의 회로 -

        공임순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6

        This paper is about a particular memory and oblivion surrounding ‘the Battle of Cheongsan-ri’. As a part of this, this paper focuses on Lee Beom-seok’s rewriting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Although ‘the Battle of Cheongsan-ri’ is recognized as an unprecedented victory for the Japanese Imperial Army at least in the Korean History, the place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was an uncertain zone of Asia where the Soviet Union immediately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and the semi-colonies of China and Colonial Chosun bordered each other. In a place where so-called national sovereignty could not be fully exercised due to the unstable conditions of the First World War, an imaginative geography, indicating expectations and frustrations for the “north” of individual actors, was reconstructed. In particular,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at Lee Beom-seok, who narrated ‘the Battle of Cheongsan-ri’ after liberation, had chosen to include in his narration and what had been excluded from it. In other words, what is important to this paper is the choice and exclusion in Lee Beom-seok’s rewriting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that follows from the 『Anger of Korea (한국의 분노)』, this paper shows that Lee Beom-seok’s rewriting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was linked to anti-communism through anti-Japan based on the Korean nationalism. This paper reexamines that ‘the Battle of Cheongsan-ri’ contained the possibility and frustration of the post-colonialization and liberation of the individual actors who came to the uncertain zone of Asia and the need to reflect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it in the present context. 이 글은 ‘청산리전투’를 둘러싼 어떤 특정한 기억과 망각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이범석의 ‘청산리전투’에 관한 다시쓰기에 주목했다. ‘청산리전투’는 적어도 한국의 국가사에서 식민 종주국인 일본군을 대상으로 한 전례 없는대승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이 ‘청산리전투’가 벌어진 현장은 갓 러시아혁명을 치룬 소비에트연방과 (半)식민지의 중국 및 식민지 조선이 맞대고 있던 접경지대였다. 제 1차 세계대전의 불안정한 정세와 맞물려 이른바 국가주권의 전일한 행사가불가능했던 이곳에서, 개별 행위자들의 ‘북방’을 향한 꿈과 이상 및 기대와 좌절의심상지리가 창출되고 재구성되어졌다. 이 글은 특히 해방 이후 ‘청산리전투’를 자기화한 이범석을 중심으로 그가 무엇을 선택하고 무엇을 상대적으로 누락/삭제했는지를 살피고자 했다. 그의 이 특정한 기억과 망각술은 ‘청산리전투’가 일본의 시베리아전쟁이 열어놓은 간도 출병의 연쇄 효과이자 중국과 조선의 반일(연대)투쟁의 결과물일 수 있다는 (동)아시아적 시선과 지평을 일국적으로 가두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했다. 이 글은 『한국의 분노: 청산리 혈전 실기』- 『혈전: 청산리 혈전 실기』- 「청산리의 항전」- 『우둥불』의 「청산리의 혈전」으로 이어지는 ‘청산리전투’에 관한 이범석의 다시쓰기가 조국애의 항(반)일을 거쳐 반공과 결부되는 양상을 다루었다. 더불어 이 과정에서 소련 행을 택한 홍범도의 또 다른 루트가 ‘청산리전투’ 를 통어하고 있음도 밝히고자 했다. 이 글은 ‘청산리전투’가 (동)아시아의 불확정적인 지대를 오간 개별 행위자들의 탈(脫)식민과 해방의 가능성과 좌절을 담지하고 있었음을 재론하는 한편, 그것이 지닌 역사적 의미를 현재적 맥락에서반추하고 성찰해야 할 필요성을 4장의 결론 삼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에 대한 소련과 러시아의 평가

        윤상원(Yun, Sang-wo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6 No.-

        이 글의 목적은 홍범도가 지휘했던 위대한 승리인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를 소련과 러시아에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홍범도가 자신의 부대를 이끌고 연해주에서 북간도로 넘어온 때는 1919년 10월이었다. 그 시기는 이동휘가 통합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한인사회당의 주력들이 상해로 옮겨가던 시기와 일치한다. 상해로 간 이동휘는 곧 1920년을 ‘독립전쟁의 원년’으로 선포했다. 임시정부의 독립운동 방략이 기존의 외교론에서 무장투쟁론으로 바뀌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간도와 연해주의 여러 독립군 부대들을 통합하여 단일한 대군단을 편성할 필요가 있었다. 홍범도가 북간도로 간 근본적인 목적은 바로 여기에 있었다고 보인다. 즉 이동휘는 상해에서 독립전쟁을 선포하고, 이동휘는 독립전쟁을 수행할 대규모 통합부대를 조직하는 것으로 역할분담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1950년대 소련에 살고 있던 항일혁명가들 중 1920년대 초 북간도에서 활약했던 이들의 회고들 속에서 우리는 위 결론을 확인시켜주는 단편적 언급들을 찾을 수 있다. 이들은 홍범도가 이동휘와 의논을 하고 북간도로 왔다는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은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가 홍범도가 진행한 독립군부대 통합의 과정에서 일어났던 승리였음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나아가 이 통합의 노력이 실제 성과를 거두지 못했던 것이 바로 ‘제1기 독립군운동’이 실패로 끝났다는 평가로까지 나아갔다. 그 실패의 원인은 자신들의 기득권 때문에 진실한 통합으로 나아가려 하지 않았던 독립군부대 지휘관들 때문이었다고 평가하였다. 이는 소련시대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를 설명하는 일반적 평가방식이었다고 생각된다. 소련이 붕괴하고 난 후 러시아의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에 대한 평가는 개별 연구에서는 찾기가 매우 힘들다. 다만 러시아의 주요 대학에서 사용하는 교재를 분석하면 그 평가가 소련 시대와는 매우 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러시아의 대학교재에 나온 내용은 대부분 현지에서 이루어진 연구의 결과라기보다는 한국에서 진행된 연구성과들을 번역하여 기재된 것으로 판단된다. 때문에 제한적이나마 연구가 이루어졌던 소련시대보다 오히려 퇴행한 평가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러시아에서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의 올바른 평가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먼저 우리 스스로 간도와 연해주를 하나의 공간으로 바라보고 그 속에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를 위치시키는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연구를 우리들 내부에서만 유통시키는 것이 아니라, 러시아의 한국학 연구자들과의 다양한 교류를 통해 러시아의 한국사 연구 안으로 틈입시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how to evaluate battles of Bongodong and Cheongsanni, which were carried out by Hong Beomdo, in the Soviet Union and Russia. It was in October 1919 that Hong Beomdo has passed to North Kando with his troops from Maritime province in Russia. At that time Lee Donghwi was appointed as Prime Minister of the united Republic of Korea Provisional Government and major activities of Korean Socialist Party moved to Shanghai. As soon as Lee Donghwi arrived in Shanghai, he declared 1920 as the ‘first year of the War of Independence.’ And in order to do this it was necessary to integrate the various units of independence forces troops in Kando and Maritime province, to organize a single army. The fundamental purpose was seemed to be right here for long Beomdo to pass to North Kando. In the Soviet era it was common evaluation that the exercise of the unification all armed forces has failed. The cause of the failure was evaluated because independent military commanders did not want the true integration due to their vested interests. This evaluation was the same in battles of Bongodong and Cheongsanni. In Russia after the Soviet Union collapsed, it is hard to find the evaluation battles of Bongodong and Cheongsanni in the individual studies. We can find it only in history textbooks in Russian universities. However, The contents on college textbooks is judged to the Russian translation of research results, which were conducted in Korea, rather than the results of a study made in Russia.

      • KCI등재

        철기 이범석 장군의 군인정신에 관한 고찰 (청산리 전투에서 보여준 군인정신을 중심으로)

        이정구 국방정신전력원 2024 정신전력연구 Vol.- No.76

        본 연구는 ‘청산리전투의 영웅’이자 ‘국군건설의 아버지’, ‘애국애족 무인 정신의 상징’ 철기 이범석(1900∼1972) 장군의 군인정신에 관한 글이다. 연구 중점은 그의 생애 중 중국으로 망명(16세)하기 전 민족의식과 항일무장투쟁의식이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이후 청산리전투에서 직접 지휘관으로 참가하여 보여준 군인정신(개인적 차원의 가치관)이 어떻게 발현되었는지를 조망해 보고, 그것이 한국군에게 주는 함의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암담하고 암울한 시기에 중국으로 망명한 이범석 장군이 청산리 전투(백운평·천수평·어랑촌 전투)에서 보여준 군인정신은 오늘을 살아가는 국군장병들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 첫째, 이범석은 항일무장투쟁 준비와 청산리전투에서 백병전을 치르면서 구차하게 안일을 추구하지 않았다(명예). 둘째, 이범석은 조국 독립을 위해 진실된 마음과 신념으로 상관(김좌진 장군)에 대한 충성과 조국에 대한 충성, 나아가 자신의 행동과 선택을 통해 헌신하는 자신에 대한 충성을 보여주었다(투철한 충성심). 셋째, 이범석은 전투현장에서 지휘관으로서 비록 열세한 전력에도 불구하고 한발 물러섬이 없이 두려움을 극복하고 백병전까지 펼치면서 진두지휘함으로서 전투에서 대승할 수 있었다(진정한 용기, 필승의 신념, 임전무퇴의 정신, 책임완수). 넷째, 이범석은 전투 현장에서 지휘관으로서 자기의 희생과 헌신을 전제로 한 애국애민의 정신이 가슴속 깊이 내재해 있었기에 청산리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애국애민). 이범석 장군이 2일간 약 36시간 동안 청산리 전투에서 보여준 진정한 군인정신은 오늘을 살아가는 국군장병들의 표상이자 본보기로서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그리고 그의 군인정신에 대한 장병 정신교육을 통해 정신전력을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military spirit of General Lee Beom-seok (1900-1972), the ‘hero of the Battle of Cheongsan-ri’, the ‘father of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army’ and the ‘symbol of the patriotic military spirit’. The focus of the study is how his national consciousness and sense of anti-Japanese armed struggle were formed before he defected to China (at the age of 16), and how the military spirit (personal values) that he showed by directly participating as a commander in the Battle of Cheongsanri was expressed. I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it and present it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military. The military spirit that General Lee Beom-seok, who defected to China during a dark and gloomy time, showed in the Battle of Cheongsanri (Battles of Baekwoon-pyeong, Cheonsu-pyeong, and Eorangchon) offers many lessons to South Korean soldiers living today. First, Beom-seok Lee did not pursue complacency (honor) while preparing for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and fighting in close combat at the Battle of Cheongsanri. Second, Lee Beom-seok showed loyalty to his superior (General Kim Jwa-jin) and his country with a sincere heart and belief for the independence of his country, and further, loyalty to himself through his actions and choices (utter loyalty). Third, as a commander at the battlefield, Lee Beom-seok was able to win the battle by overcoming fear and leading the way in close combat without taking a step back, despite his inferior strength (true courage, belief in sure victory, spirit of never giving up, responsibility). completed). Fourth, Lee Beom-seok was able to win the Battle of Cheongsanri because the spirit of patriotism and love for the people, which presupposed self-sacrifice and dedication as a commander at the battlefield, was deeply embedded in his heart. The true military spirit that General Lee Beom-seok showed during the Battle of Cheongsanri for about 36 hours over two days is not lacking as a symbol and example for the soldiers of the ROK Armed Forces living today. And I hope that his military spir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further strengthen his mental strength through mental education for soldiers.

      • KCI등재

        김좌진의 항일 인맥과 민족 이미지의 형성과 전개 - 반도의용정신대와 대한민청을 중심으로 -

        김인호 숭실사학회 2015 숭실사학 Vol.0 No.34

        본 연구는 김좌진의 다양한 抗日人脈과 民族 및 抗日이미지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이미지를 朝鮮總督府 혹은 解放 後의 右翼이나 李承晩 政權 등 政治權力이 어떻게 정치적으로 활용하려했는지 半島義勇挺身隊와 大韓民靑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金佐鎭은 세 차례에 걸쳐 대규모 인맥을 형성할 기회가 있었다. 첫 번째는 洪州義兵이나 홍주 및 충남 지역 안동김씨 세력이었다. 두 번째는 乙巳條約 이후 그가 점잖은 계몽운동가 활동을 하면서 陸軍武官學校, 畿湖學會, 西北學會, 大韓協會 등 계몽단체 인맥이었고, 세 번째는 光復團이나 滿洲의 重光團, 正義團, 籌備團, 暗殺團, 光復軍決死隊 등의 인맥이다. 이 과정에서 申奎植, 李會榮, 曺成煥 등 臨時政府 인맥과 연결되면서 그 배경으로 마침내 北路軍政署의 司令官이 되었다. 둘째, 그의 다채로운 인맥의 형성과정에서 많은 사회적, 인간적인 좌절과 시련이 있었다. 부잣집 아들 김좌진은 韓日合邦 전후에 怡昌洋行이나 染織會社의 실패로 큰 시련을 당했다. 돈은 독립을 위해서도 자신을 위해서도 중요해졌다. 집안사람을 통한 자금 확보는 제대로 되지 않았다. 결국 강도죄를 쓰고 옥살이하였다. 결국 『每日申報』 등 신문에서 ‘강도’니 ‘사기꾼’이니 하는 인격적인 모욕을 감당해야 했다. 그가 만주에 가서 大倧敎에 귀의한 것도 심리적 傷痕과 관련 있을 것으로 보인다. 셋째, 일제하 조선에서 김좌진의 민족적 이미지는 크게 고양되었다. 오랫동안 ‘청산리전투=김좌진=북로군정서’라는 등식은 변함없는 국민적 진실이었고, 청산리 대첩에서 보여준 김좌진의 업적은 그런 등식을 완성하는 근거였다. 하지만 실제로 김좌진이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을 수많이 살상한 것은 아닌 듯하다. 그럼에도 청산리 전투 이후 그의 이름은 널리 조선 사회에 알려졌고, 커다란 ‘민족이미지’를 형성하였던 것은 불문의 진실이다. 당시 『매일신보』 『東亞日報』 등을 보면 각종 신문에서 ‘陰謀團의 首領’이라는 기사가 끊이지 않았고, 그가 후퇴할 때조차 “카이저 수염을 휘날리며” 등의 극적인 표현이 따르면서 개인적 카리스마가 조선인의 가슴에 작렬하였다. 넷째, 일제강점기 커진 김좌진의 ‘민족이미지’는 자주 조선총독부나 해방 후 우익 권력자들에 의해서 활용될 소지가 있었다. 즉, 조선총독부는 김좌진의 민족적 이미지를 대동아공영권 건설을 위한 朝鮮民族의 단결이나 자발적 전쟁동원의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金佐鎭 歸順說’을 날조하였고, 건달이었던 김좌진의 아들 金斗漢과 그의 주먹들을 충실히 국책에 활용할 기회를 엿보았다. 마침내 1943년 서울의 건달 그룹이 총독부 보안과장 팔목야기노부오의 뒷배로 1만원의 지원금을 받으면서 半島義勇挺身隊를 결성하였다. 金斗漢 자신은 이 조직이 反日意識을 가졌다고 回顧했지만 사실 이 조직은 徵兵을 거부하거나 당국의 시책에 반대하는 시국사범 등에게 폭행을 가하는 官邊機構, 前衛隊적인 성격을 가졌다는 의혹도 많다. 다섯째, 해방 후 우익 세력은 김좌진의 민족이미지를 적극 활용하고자 하였다. 친일세력을 등장시켰던 이승만 정권이 당면한 현실적 어려움을 희석시키고자 했다. 이에 우익은 항일전통의 김좌진 이미지를 주먹들도 포함된 청년단의 활동에 투영하고자 하였는데, 대표적으로 대한민청은 제2차 美蘇共同委員會를 앞두고 김좌진 추도회를 열고 추도 분위기를 높였다. 청년단이나 건달이 영향을 미치던 영화계나 연극계에서도 김좌진의 영화화, 무대화 움직임이 일었다. 하지만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자 그러한 열기는 눈에 띄게 식어갔다. 그리고 대부분의 김좌진 후손들은 어려운 생활고에 시달리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총독부를 비롯해서 해방 후 우익들에 의해서 김좌진의 민족이미지가 활용되면서 결과적으로 김좌진의 항일 전통이 크게 의심받거나 비판받기 시작했다. 특히 이범석이 주장한 청산리 전투 증언이 과장되었다는 주장이 힘을 얻으면서 청산리전투에서 보인 김좌진의 업적조차 의심받았다. 의심이 늘어나면서 청산리 전투 이외에도 김좌진의 업적이 신화나 새롭게 창조되었을 것이라는 의심도 증가하였다. 하지만 일제하 당시 조선에서 김좌진의 민족이미지는 크게 고양되었다. 그것은 비단 청산리 전투에서 보여준 뛰어난 업적에서 온 것만은 아니었다. 한평생 한결같은 민족정신으로 꾸준한 항일운동을 해온 뚝심 그리고 카이저 수염과 같은 멋진 외모가 당대 조선인의 마음을 관통한 결과였다. 그럼에도 조선총독부나 해방 후 정치권력은 지나치게 그의 이미지를 정치적 목적에 사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그의 ‘민족이미지’를 먹칠하고, ‘항일이미지’조차 의심받게 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d how is formed a variety of anti-Japanese networking and ethnic and anti-Japanese image of KimJwajin, and these images were how to political used by Chosen Governor office or the Rightists and LeeSeungman Regime in New released Korea. These had be analyzed the case of Chosen courageous volunteer group(半島義勇挺身隊) and Korean democratic young association(大韓民靑) for example, and got these conclusion. First, KimJwajin had three opportunities to forming a large personal connection. The one is Hongju-righteous army and the An-dong Kims of ancestral home An-dong in Chung-nam and Hong-ju. Another is enlightenment groups after the second Korea-Japanese-Treaty, like the Old Korean military attaché academy, Kyunggi-Hoseo Society, Northwest Society, The Great Korean Association and so on. The other is personal connection of Korea liberation Group and JungKwang Group(重光團), Righteous Group(正義團,), preparation Group(籌備團), assassination Group(暗殺團), Korea liberation army association(光復軍決死隊) etc. in Manju. In this process they are connected to ShinKyusik(申奎植), LeeHyueyoung(李會榮), Jo Seonghwan(曺成煥) etc of a provisional Korea government in Shanghai. Second, he had experienced social or personal frustration. Kim Jwajin, a son of a wealthy family went through hardship before and after Korea-Japan Annexation because Yichang corporation(怡昌洋行) and dyeing-company(染織會社) had failed. Funding through house was not properly secured. Eventually he took the robbery rap and imprisoned. Eventually, he had to deal with a personal affront. he was ‘robber’, ‘cheats’ in Chosen Daily newspaper etc. That he was converted to Daejongism(大倧敎) is seems to be related to psychological injury. Third, under the Japan, the ethnic image of KimJwajin was greatly exalted. The equation ‘battle of Chung-San-ri = Kim Jwajin = Northward Army Office(北路军政署)’ was a national unchanging truth, demonstrated in the achievement of Kim Jwajin in battle of Chung-San-ri and so on. In practice, however, he doesn’t seem to have a lot of kills. But, after the battle of Chung-San-ri, it is true that he formed a large ethnic image. Forth, ethnic image and anti-Japanese image of KimJwajin had possibility that often utilized by Chosen Governor office or the Rightists after release. In other words Chosen Governor office was trying to use ethnic image of KimJwajin for solidarity of Korea nation, for the Greater East Asia Co-Prosperity Sphere construction. They faked rumor, KimJwajin’s defect, watched for an opportunity to take KimDuhan, son of KimJwajin, and his henchman for political use. Finally, in 1943, a group of hooligans in Seoul received support fund(10,000Yen) from Chosen Governor office Security Director Yagi-Nobuo and formed Chosen courageous volunteer Group. KimDuhan looked back himself this organization had anti-Jap character, but in fact, the organization had refused to compulsory or cause violence to who against the policies, such a political prisoner. So they are often doubted had Pro-Jap Group’s character. Fifth, the right-wing forces after Liberation was trying to take advantage of the ethnic image of KimJwajin. They tried to clear real difficult the Rightists, who made the pro-Jap, faced. So the Rightists tried to reflect KimJwajin’s anti-Japanese traditional images in activities of the Korean democratic young association included in hooligans. Memorial service, film, play of KimJwajin had been widely produced. But after establish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t was noticeably went cold. And most of descendants of Kim Jwajin suffered from the hardship of life. His anti-Jap image was utilized only when needed. Finally, according to KimJwajin’s national image was political used, as a result doubt of KimJwajin’s anti-Jap movement was grown. In particular, there was claim that LeeBumseok’s testimony of battle of Chung-San-ri was exaggerated, so achievement of KimJwajin was suspected. But, this can certainly make clear. In period Japanese occupation, ethnic image of KimJwajin was greatly exalted. That is not just on outstanding achievement in battle of Chung-San-ri. In his lifetime, his steady ethic endurance and anti-Jap movement is the result of sprit through the mind of contemporary Koreans. Nevertheless, Chosen Governor office and political power after Korea Liberation excessive use his image to political objective, as a result the anti-Jap image had damage and it was given rise to difficulties even get suspiciou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청산리 전투에 참여한 독립군의 구성 : 다양한 출신의 반제노사이드戰

        김주용 숭실사학회 2022 숭실사학 Vol.- No.48

        The loud shouts of the March 1st Movement also had a certain influence on the Korean community in Manchuria. Japanese imperialists used conciliatory and intimidating simultaneously to separate Korean immigrants and independence activists. Sympathy has been set to train pro-Japanese group, and the threat has been shown to be the so-called "Gando dispatch troops," which directly destroys the bas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invasion of Kando also caused changes in the landscap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in the Korean community. The Japanese, who tried to "discover" independence activists by destroying n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killing teachers, faced resistance from Korean independence forces, and the product of the process was the Battle of Cheongsan-ri. The Battle of Cheongsan-ri was the most symbolic event in which the capabiliti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ccumulated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were exerted against the imperialist Japanese army. In this article, we analyzed the human resources that were one of the causes of the victory of the Allied Forces of the Independence Army against the imperialist Japanese forces. The independence fighters who participated in the Battle of Cheongsan-ri consisted of those who had already acquired military knowledge, including those from the righteous army, the Korean Imperial Army Military Academy, and the Shinheung Military Academy. Human resources show that the Battle of Cheongsan-ri in October 1920 was not a victory for the temporarily allied independence forces, but a result of the independence war that had been preparing for more than a decade. 3·1운동의 거대한 함성은 만주지역 한인사회에도 일정한 영향력을 미쳤다. 일제는 이주한인과독립운동세력의 분리를 위해 회유와 협박을 동시에 사용하였다. 회유는 친일파를 양성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으며, 위협은 독립운동근거지를 직접 파괴하는 이른바 ‘간도출병’으로 나타났다. 일제의 간도침략은 독립운동의 지형과 한인사회에도 지각 변동을 초래하였다. 민족교육기관을 파괴하고 교사를 살해하면서 독립운동가를 ‘색출’하려 했던 일제는 한국독립군들의 저항을 받게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나온 산물이 바로 청산리 대첩이었다. 청산리 대첩은 3·1운동 이후 축적된독립운동의 역량이 제국주의 일본군을 상대로 발휘된 가장 상징적인 사건이었다. 이 글에서는 제국주의 일본군을 상대로 독립군 연합부대가 승전을 거두었던 원인 가운데 하나였던 인적 자원을 분석하였다. 청산리 대첩에 참여했던 독립군들은 의병출신, 대한제국육군무관학교 출신, 신흥무관학교 출신 등 군사적 지식을 이미 정식으로 습득했던 인물들로 구성되었다. 1920년 10월 청산리 대첩은 일시적으로 연합한 독립군들의 승전이 아니라 10여년을 준비해온 독립전쟁의 결과물이었음을 인적 자원들의 면면을 통해 알 수 있다.

      • KCI등재

        청산리전투에 관한 연구 성과와 과제

        황민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5

        This thesis is a summary of research achievements so far, focusing on papers related to the Battle of Cheongsan-ri since the 2000s. This study mainly summarize the problems of terms referring to the Cheongsan-ri battle, the scope of the battle, the criminal history of the independence army, and the types of weapons used by the independence army. In addition, existing studies have suggested their own logic as to the reasons why the independent troops failed to form a single squadron against the Japanese siege and develop a joint operation, and the reason that the Japanese military’s subjugation operation had to fail. In particular, there is a study on the attitude of the Chinese authorities toward the Japanese colonial invasion of Kando and the activities of the Japanese consulate police who participated in the subjugation operation, and a study on the defection work led by the consulate police, It appears tha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Kyungsin Catastrophe or the use of poisonous gas by Jang Kang-ho the Majeok(group of horse mounted bandits), against Koreans who living in Manchuria and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records of Japan, Korea, and China. Therefore, it appears that joint research by Korean, Chinese, Japanese scholars is necessary for this issue, and publication of a data book that compiles related data from the three countries, centered on specialized research institutes, seems to be necessary. It is a general tendency to see that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contents of Woodeungbul(a Korean word which means bonfire), a memoir of Lee Bum-seok the Cheolgi, regarding the progress of the Cheongsan-ri Battle. It is true that there is a positive aspect in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e Liberation Army tried to inform the public about the fierce historical reality of Lee Bum-seok’s existing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Lee Bum-seok’s first memoir, Korea’s Anger. However, in a situation where it is judged that there may be a problem with the contents of the memoirs leading to Woodeungbul, his memoirs need to be evaluated more objectively.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청산리전투와 관련된 논문들을 중심으로 그 동안의 연구성과를 정리한 것이다. 주로 청산리전투를 지칭하는 용어의 문제와 전투의 범위와 독립군의 전과 및 독립군이 사용했던 무기의 종류 등에 대한 연구를 정리하였다. 또한 일본의 포위 공격에 대해 독립군 부대들이 단일 대오를 형성하고 공동작전을 전개하지 못한 원인과 일본군의 토벌작전이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원인에 대해서 기존의 연구들이 나름의 논리를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일제의 간도 침공에 대한 중국당국의 태도와 토벌 작전에 참가한 일본 영사관 경찰의 활동에 대한 연구가 있으며, 영사관 경찰이 주도한 귀순공작에 대한 연구가 있다. 경신참변이나 장강호 마적의 재만한인에 대한 독가스 사용문제 대해서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거나 일본과 한국 및 중국 측의 기록에 커다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 문제와 관련해서는 한중일 학자들의 공동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전문적인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3국의 관련자료를 집대성하는 자료집의 발간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청산리전투의 전개과정과 관련해서 철기 이범석의 회고록인 우둥불의 내용에 문제가 많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임시정부와 광복군이 이범석의 최초의 회고록인 한국의 분노를 통해 이범석의 기독립운동의 치열했던 역사적 실체를 대중들에게 알리고자 했다는 것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우둥불로 이어지는 회고록의 내용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되는 상황에서 그의 회고록은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될 필요가 있어 보인다.

      • KCI등재

        국내 언론을 통해 본 김좌진의 항일독립운동과 그 기억

        황민호 숭실사학회 2024 숭실사학 Vol.- No.52

        본 논문에서는 일제시기와 해방 직후 국내언론에 나타난 김좌진의 항일독립운동과 추모에 관련된 기사들을 정리해 분석해 보았으며, 특히 그가 사망한 이후 나타는 추모 기사의내용을 분석해 그의 독립운동이 갖고 있던 대중적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는 김좌진 개인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청산리전투에 대한 역사적 실체에 접근하는 것에 있어서도의미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김좌진의 순국을 전후한 국내언론의 보도를 통해서 보면 동아일보, 조선일보, 매일신보, 중외일보는 한결같이 그를 항일무장투쟁의 탁월한 지도자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청산리전투에서의 성과를 은연중에 높이 평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특히 조선일보 의 김좌진에 대한 추모 기사는 당시가 시기적으로 일제 치하였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보다의미있는 역사적 사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기도 한다. 다른 신문들의 경우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의미있는 분석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하겠다. 이밖에 언론에 보이는 김좌진 사후 국내에서의 김두한을 염려하는 기사 등도 그의 순국을 안타까워하는던 국내 민중들의 분위기를 전달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해방 이후에는 김좌진에 대한 기억과 추모가 청산리전투와 함께 되살아났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아들 김두한과 이범석 등과의 관계가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김좌진에 대한 17주기 추도식이 김구와 조소앙 등 각계의 인사가 참여한 가운데 서울국제국장에서 거행되었으며, 추모비가 대한청년단 홍성군단부 주체로 고향인 홍성의 남산공원에 건립되었다. 일대기에 대한 영화제작이 논의 되었으며, ‘황야’라는 제목으로 한 연극공연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김좌진의 어머니 한산 이씨의 부고와 관련된 기사 및 이범석의 회고에 나타난 기억은 단편적이기는 하지만, 김좌진이 존경받는 독립운동의 지도자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This paper have been organized and analyzed articles related to Kim Jwa-jin's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nd remembrance in the domestic medi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Particularly, this paper was aimed to analyze the content of commemorative articles appearing after his death to confirm the popular influence of his independence movement. This research could be meaningful not only in understanding Kim Jwa-jin as an individual but also in approaching the historical reality of the Cheongsanri Battle. Looking at the coverage of Kim Jwa-jin's martyrdom in the domestic press, Donga Ilbo, Chosun Ilbo, Maeil Shinbo, and Jungoe Ilbo consistently regarded him as an outstanding leader in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They also tended to implicitly elevate his achievements in the Cheongsanri Battle. Especially noteworthy are Chosun Ilbo's commemorative articles on Kim Jwa-jin, which, considering the contex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ould be significant historical documents. While other newspapers may vary in their assessments, they still provide valuable analytical material. Additionally, articles expressing concern for Kim Du-han, Kim Jwa-jin's son, appeared in the press, reflecting the sentiment of sympathy among the Korean people for his martyrdom. After liberation, memories and commemorations of Kim Jwa-jin revived alongside the Cheongsanri Battle, and it is believed that his relationships with his son Kim Du-han and Lee Beom-seok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in this regard. The 17th anniversary memorial service for Kim Jwa-jin was held at the Seoul International Cemetery, attended by dignitaries from various fields such as Kim Gu and Jo So-ang. A memorial monument was erected in Namsan Park, Hongseong, Kim Jwa-jin's hometown, under the auspices of the Daehan Youth Corps Hongseong Division. Discussions about producing a biopic were initiated, and a theater performance titled "Wilderness" was staged. Articles about the passing of Kim Jwa-jin's mother, Han San Lee, and recollections from Lee Beom-seok, while fragmentary, still serve to demonstrate Kim Jwa-jin's revered status as a leader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