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 주의력과 청각 주의력의 차이를 보이는 주의력 결핍.과잉활동장애 아동의 인지기능과 정서 및 행동 문제

        손정우,Son, Jung Wo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6 생물정신의학 Vol.13 No.2

        목 적: 시각 주의력과 청각 주의력에서 차이를 보이는 주의력결핍 과잉활동장애(ADHD) 아동의 인지 기능 및 정서, 행동 문제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방 법: 동반 질환이 없는 ADHD 아동 98명을 대상으로 '주의력장애 진단시스템(ADS)' 을 실시하여 시각 주의력과 청각 주의력을 측정한 뒤, ADS의 누락 오류와 오경보 오류를 이용하여 이들을 1) 청각 누락 오류 및 오경보 오류가 시각 누락 오류 및 오경보 오류보다 높은 군(AA군) 2) 시각 누락 오류 및 오경보 오류가 청각 누락 오류 및 오경보 오류보다 높은 군(VV군) 3) 1), 2)에 해당하지 않는 군(M군)의 3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세 군 간에 '한국판 웩슬러 아동용 지능 검사(KEDI-WISC)' 의 소검사 결과와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의 여러 하위 소척도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전체 아동을 대상으로 시각 누락 오류, 청각 누락 오류, 시각 오경보 오류, 청각 오경보 오류와 KEDI-WISC의 소검사 점수, K-CBCL의 하위 영역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AA군은 10명, M군은 32명, VV군은 56명이었다. 2) KEDI-WISC의 소검사 점수 비교에서는 VV군의 점수가 나머지 두 군보다 높았다. 특히 언어성 지능(p=.039)에서는 VV군이 AA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토막짜기(p=.015), Kaufman의 요인 2(p=.045), 동작성 지능(p=.004)에서는 VV군이 M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전체 지능(p=.004)에서는 VV군이 M군 및 AA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K-CBCL의 하위 소척도 점수 비교에서는 신체증상 소척도 점수를 제외한 전 영역에서 VV군의 점수가 나머지 두 군보다 높았다. 특히 사회성 소척도(p=.041)에서는 VV군이 AA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위축 소척도(p=.021)에서는 VV군이 AA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4) 시각 누락 오류, 시각 오경보 오류와 KEDI-WISC의 소검사 점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청각 누락 오류, 청각 오경보 오류와 KEDI-WISC의 소검사 점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영역이 매우 많았다. 5) 시각 누락 오류, 시각 오경보 오류와 K-CBCL의 소검사 점수 간에는 시각 누락 오류와 사고의 문제 소척도(r=.205, p=.043) 간에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청각 누락 오류와는 사회성 소척도(r=-.319, p=.001), 사회적 미성숙 소척도(r=.206, p=.042), 사고의 문제 소척도(r=.235, p=.021)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청각 오경보 오류와는 사회성 소척도(r=-.241, p=.017) 및 주의집중문제 소척도(r=.235, p=.020)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청각 주의력이 상대적으로 더 나은 ADHD 아동이 다른 아동에 비해 인지 기능이 더 좋고 정서 및 행동 문제가 적었다. 향후 시각 주의력과 청각 주의력에 차이를 보이는 ADHD 아동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cognitive performanc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the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groups that show the difference between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Method : Using 'ADHD Diagnostic System(ADS)', visual attention and auditory attention of 98 children diagnosed as ADHD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omission and commission error of AD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 1) the group whose each visual omission and commission error scores were higher than each auditory omission and commission error scores(VV group), 2) the group whose each auditory omission and commission error scores were higher than each visual omission and commission error scores(AA group), 3) the group that was the rest of VV and AA group(M group). And the results of both the subscales of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KEDI-WISC) and the subscales of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among three groups were compared.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omission, visual commission, auditory omission, auditory commission error and the results of KEDI-WISC, K-CBCL were investigated.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98 ADHD children, the number of VV group(N=56) was higher than that of AA (N=10) and M group (N=32). 2) All mean scores of the subscales of KEDI-WISC of VV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M and AA group. The score of verbal IQ(p=.039) of VV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A group and the scores of block design(p=.015), Kaufman's factor 2(p=.045), performance IQ(p=.00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 group. The score of full IQ(p=.00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 and AA group. 3) The mean scores of all K-CBCL subscales of VV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M and AA group, except the score of Somatic complaint subscale. The score of Social subscale(p=.041) of VV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A group. The score of Withdrawn subscale(p=.021) of A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VV group. 4)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visual omission/commission error and those of each subscale of KEDI-WISC. But, there were man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cores of auditory omission/commission error and those of each subscale of KEDI-WISC. 5)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the visual omission error and that of Thought problem subscale(r=.205, p=.043) of K-CBCL.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the auditory omission error and those of Social subscale(r=-.319, p=.001), Social problems subscale(r=.206, p=.042), Thought problem subscale(r=.235, p=.021).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auditory commission error and those of Social subscale(r=-.241, p=.017), Thought problem subscale(r=.235, p=.020). Conclusion : The ADHD children whose auditory attention ability were higher than visual attention ability had relatively better cognitive performance and les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than the others. The more comprehensive experiment will be needed about the cognitive performance, emotion and behavior problems of the ADHD children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 시각자극 주의력과 청각자극 주의력의 차이를 보이는 산만한 아동의 행동패턴 연구

        손정우,윤세진,정인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忠北醫大學術誌 Vol.13 No.1

        연구목적:시각 자극에 대한 주의력 검사와 청각 자극에 대한 주의력 검사에서 주의력의 차이를 보이는 주의력 결핍·과잉활동장애 아동 집단을 분류하고, 이들의 지능 및 행동 특성 의 차이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동반 질환이 없는 주의력 결핍·과잉활동장애로 진단받은 아동 25명을 대상으로 '주의력장애 진단시스템'을 실시하여 시각 자극에 대한 주의력과 청각 자극에 대한 주의력을 측정하였다. 주의력장애 진단시스템 결과를 이용하여 이들을 시·청각 자극 모두에서 주의력 문제를 보이는 집단(이하 VA집단), 시각 자극에만 주의력 문제를 보이는 집단(이하 V집단), 청각 자극에만 주의력 문제를 보이는 집단(이하 A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다음, '한국판 웩슬러 아동용 지능 검사' 및 '한국아동인성검사'에서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주의력 결핍·과잉활동장애 아동 중 VA집단은 14명, V집단은 7명. A집단은 4명으로 분류되었다. 2) 한국판 웩슬러 아동용 지능 검사 결과에서는 언어성 지능(p=.013), 전체 지능(p=.036), Kaufman의 요인 3(p=.043)에서 세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V집단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3) 한국아동인성검사 결과에서는 발달 척도의 합(p=.039), 동작발달 척도(p=.003), 신체화 척도(p=.028)에서 세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V집단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결론:시각 자극에만 주의력 문제를 보이며 청각 자극에는 주의력 문제를 보이지 않는 주의 력 걸핍·과잉활동장애 아동은 다른 주의력 결핍·과잉활동장애 아동에 비해 보다 나은 지능 영역 및 행동 특성을 보였다. 앞으로 시각 자극에만 주의력 문제를 보이며 청각 자극에는 주의력 문제를 보이지 않는 주의력 결핍·과잉활동장애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intelligence quotient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mong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subgroups that show difference of attention against visual stimuli or auditory stimuli. Materials and Methods:Using 'ADHD Diagnostic System(ADS)', visual attention and auditory attention of 25 children diagnosed as ADHD were measured. They wer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DS. There were 3 groups - the group that showed both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problem (VA group), the group that showed only visual attention problem(V group), the group that showed only auditory attention problem(A group). Then, several results using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KEDI-WISC)' and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 among groups were compared. Results: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76 ADHD children, the number of VA group was 14, V group was 7, A group was 4.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groups in verbal IQ(p=.013), total IQ (p=.036), and Kaufman's factor 3(p=.043) of KEDI-WISC. The scores of V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VA and A group.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3 groups in the sum of verbal/performance development(p=.039), the performance development(p=.003), and somatization(p=.028) of KPI-C. The scores of V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VA and A group. Conclusion:The several parts of IQ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ADHD children showing visual attention problem but not showing auditory attetion problem were superior to those of the other ADHD groups. The mor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will be needed about the the ADHD children showing only visual attention problem.

      • KCI등재

        스마트 토이를 활용한 학령 전기 아동용 주의력 훈련 과제의 주의력 향상 효과: 예비연구

        신민섭,이진주,이정은,이지현,권은미,전혜진,이승환 한국심리치료학회 2016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토이를 활용한 주의력 훈련 과제가 실제 학령전기 아동의 주의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청각주의력, 시각주의력, 주의전환능력, 충동조절능력을 훈련할 수 있는 훈련 과제를 개발하였고, 만 5-7세 아동 18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회기당 40분씩 7회기 훈련을 실 시하였다. 훈련은 스마트 토이를 활용하여 훈련자와 아동이 일대일로 실시하였다. 또한 주의력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훈련 시작 전과 후에 5-7세용 스마트 토이웹 주의력 평가과제와 기존의 아동신경심리검사 (ATA, CCTT, STROOP)를 통해 주의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훈련 전에 비해 훈련 후에 청각주의력, 시각주의력, 주의전환능력, 충동조절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 토이를 활용한 주의력 훈련 과제가 학령전기 아동의 주의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추후 연구 에서는 과제의 효과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통제집단을 포함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에서 지형학적 청각 사건 관련 전위의 임상적 의의

        임태식,한상익,전양환,방승규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소아정신과 영역에서 가장 흔한 질환인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의 생활학적 표지자로서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치료 전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 22명과 대조군인 정상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지형학적 청각 사건관련전위 N100과 P300의 잠복기와 전위값을 Global Field Power Measurement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그리고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들을 치료제인 methylphenidate로 8주간 치료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N100과 P300의 잠복기와 전위값을 구한 후, 치료 전 후 그리고 정상대조군 세 군간의 N100과 P300의 잠복기와 전위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N100 잠복기는 치료 전 ADHD군과 정상 대조군, ADHD군 치료 전 후, 치료 후 ADHD군과 정상 대조군 등 세 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료 전 ADHD군의 N100 전위값은 정상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P300 잠복기와 전위값은 공히 치료 전 ADHD군과 정상 대조군. ADHD군 치료 전 후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치료 후 ADHD군과 정상 대조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지형학적 청각 사건 관련 전위의 N100 잠복기은 주의력결핍 과잉운동 장애의 상태 표지자로서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P300 잠복기와 전위값은 상태 표지자일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vailability of topographic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 P300 as a biological marker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children with ADHD(n=22 ; 16 boys, 6 girls; mean age=89.8±17.1months) and normal controls(n=20 ; 12 boys, 8 girls ; mean age=90.6±16.8months). Topographic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 was measured by "oddball paradigm",and the latencies and amplitudes of P300 of both groups were determined by Global Field Power Measurement. After 8 weeks treatment with methylphenidate, P300 of ADHD children were also measured. Results : Both P300 latency and amplitude were not different between ADHD children after treatment and normal controls, bu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DHD children before treatment and normal controls, and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of ADHD children. Conclusion : The results implicate that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P300 may be considered as state markers of ADHD.

      • 정신분열병의 급성기 및 관해기에서의 신경인지 결손에 관한 연구

        김호찬,김철권,박내권,최병무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5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에게서 보이는 다양한 신경인지 결손이 병의 증상 때문인지 아니면 질병 자체의 취약성 때문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42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정신증적 증상이 심한 급성기와 증상이 호전된 관해기에 고난도 지속수행검사(Continuous Performance Test)를 이용한 지속적 주의력, 정보 감지능력검사(Span apprehension Task)를 이용한 초기 시각 정보처리능력,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Wisconsin Card Sorting Test)를 이용한 통합능력, 숫자 주의력(Digit Span)을 이용한 주의집중력, 그리고 레이 청각 언어성 학습검사(Rey Auitory Verbal Learning Test)를 이용한 언어성 기억 및 학습 등을 반복 측정하여 그 결과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환자군과 성별, 나이, 학력 등에 유의한 차이가 없고 정신과적 병력이 없는 일반인 35명으로 하였다. 결 과 : 지속적 주의력, 초기 시각 정보처리능력, 통합능력, 언어성 기억 및 학습 등에서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급성기와 관해기 모두에서 대부분 유의한 결손을 보였다. 그러나 주의집중력에서는 급성기때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하여 거꾸로 따라 외우기에서는 유의한 수행저하를 보였지만 관해기때는 두군간에 바로 따라 외우기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속적 주의력, 초기 시각 정보처리능력, 통합능력, 언어성 기억 및 학습에서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급성기와 관해기 간에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주의 집중력에서 환자군은 급성기에 비하여 관해기때 바로 따라 외우기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결 론 : 난이도가 높은 과제에 대한 주의력 또는 정보처리 능력은 안정적 취약지표일 가능성이 높다.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통합능력에서의 결손은 증상 또는 삽화지표가 아닐 가능성이 높지만, 그렇다고 단정적으로 안정적 취약지표라고 결론짓기는 어렵다. 숫자 주의력의 경우에는 바로 따라 외우기와 거꾸로 따라 외우기의 작용기전이 다를 가능성이 있으며, 바로 따라 외우기는 삽화지표일 가능성이 높은 반면 거꾸로 따라 외우기는 증상의 영향을 부분적으로 받는 중재적 취약지표일 가능성이 높다. 언어성 기억 및 학습 결손에서는 일부 형태의 기억이 증상과는 무관한 안정적 취약지표일 가능성이 높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neurocognitive deficits of schizophrenia may be associated with certain features of symptomatology or a stable vulnerability of disease itself. Method : The 42 schizophrenic patients and 35 matched normal controls with sex, age, and education level were examined for their sustained attention, sensory register, executive function, concentration and attention, and verbal memory and learning in the acute and remitted stages of schizophrenia using Degraded Stimulus Continuous Performance Test, Span Apprehension Task, Wisconsin Card Sorting Test, Digit Span, and Rey Auditory Verbal Learning Test, respectively. Results : The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significant deficits in the sustained attention, sensory register, executive function, and verbal memory and learning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in both acute and remitted stages of schizophrenia. Regarding the concentration and attention, the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significant deficits in the backward digit span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during acute stages, be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git span during remitted stages. No difference was evident in the sustained attention, sensory register, executive function, and verbal memory and learning between acute and remitted stages of schizophrenia. But the forward and backward digit span of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remitted stages compared with acute stages. Conclusions : The sustained attention and sensory register deficit in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ed with schizophrenia, detected by high-processing-load version of the Degraded Stimulus Continuous Performance Test and span Apprehension Task, are highly possible to be stable vulnerability indicators. Executive functioning deficit in the schizophrenic patients detected by Wisconsin Card Sorting Test is not likely to be dependent on symptoms, so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it is a stable vulnerability indicators of schizophrenia. In the digit span task, the forward digit span is more likely to be a episodic indicator but the backward digit span is likely to be a mediating vulnerability indicator.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digit span tasks seem to be tap different cognitive abilities that are differentially associated with the diathesis for schizophrenia. Some forms of the verbal memory and learning deficits associated with schizophrenia appear to be a stable vulnerability indicators.

      • KCI등재

        ADHD 하위 유형별 주의집중능력과 학습전략 비교

        허난설,이명경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8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ies and learning strategies among non-ADHD students and ADHD subtypes- the inattentive, the hyperactive-impulsive, the combined. A total of 433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Vanderbit teacher rating scale was used to identify ADHD children and differentiate the ADHD subtypes. The result showed that 42 participants (9.7%) were identified to have ADHD symptoms. With regard to ADHD subtypes, the combined type was 21(4.8%), the inattentive type was 14(3.2%), and the hyperactive–impulsive type was 7(1.6%).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test developed by Lee(2011) was used to measure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ies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 showed that only inattentive subtype differed significantly with regard to the level of the attention-concentration ability profile compared to the non-ADHD and other ADHD subtype groups. Post-hoc test revealed that inattentive type performed poorer in the auditory memory task and continuous concentration task, and overall process speed of the inattentive type was slower than non-ADHD and other ADHD subtype groups. Regarding the learning strategi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its shape and level of the profiles among ADHD subtype and non-ADHD groups. Findings and i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집중능력 및 학습전략의 사용 면에서 일반 아동과 ADHD 아동이 어떤 다른 양상을 보이는 지를 규명하되, 특히 ADHD 아동을 주의력 결핍 우세형, 과잉행동-충동 우세형, 복합형으로 세분화하여 하위유형별 양상 차이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33명이었으며, 반데르빌트 교사용 평정척도에 기반하여 ADHD 판별 및 하위 유형 분류를 하였다. 분석 결과 42명(9.7%)이 ADHD 아동으로 판별 되었고, 복합형 21명(4.8%), 주의력 결핍 우세형 14명(3.2%), 과잉행동-충동 우세형 7명(1.6%) 순으로 하위 유형이 나타났다. 주의집중능력은 이명경(2011)이 개발한 주의집중능력 검사로 세분화하여 측정 하였는데, 분석 결과 주의력 결핍 우세형 아동 집단만이 일반 아동, 과잉행동-충동 우세형, 복합형과 주의집중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후 분석 결과, 주의력 결핍 우세형은 나머지 집단과 비교하여 청각집중력과 지속적 집중력, 즉 청각 자극 단기 기억 과제와 지속적 집중 과제에서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고, 전반적인 작업 처리 속도가 느리게 나타났다. 학습전략 사용 면에서는 일반 아동과 ADHD 하위 유형 집단들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점 등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청각 주의력과 지능

        송현주 한국임상심리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7 No.3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auditory attention on childrens’ and adolescent’s cognitive function. It has been recently reported that auditory attention has great impact on children’s & adolescents’ cognitive functions, although this has been studied less and the findings applied less to psychologic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 than has visual attention. Th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done using the data from 44 subjects who visited and underwent psychological testing at center in Seoul between 2004 and 2006., The correlation results showed the auditory attention on the CPT has strong relationships with the overall IQ subtests, but visual attention on the CPT has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only 4 IQ subtests. O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uditory atten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total IQ, the verbal IQ and the performance IQ. In conclusion, this researcher suggests that these results might be caused by the transcoding processing effect, the difficulty of the auditory attention task as compared to the visual attention task and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auditory attention and the emotional aspect. It is expected this reporting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more refined and elaborated assessment tools and a cognitive enhancement program in the future.

      • KCI등재

        배경음악을 통한 청각자극이 ADHD아동의 철자인지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전혜윤(Hye Yun Chun),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배경음악으로 주어진 청각자극이 초등학교 저학년 ADHD아동들과 일반아동들의 철자인지과제 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배경음악의 영향은 철자인지과제 수행 시 아동이 보인 반응정확성과 반응시간에서의 변화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배경음악이 없는 조건에서 ADHD아동은 읽기수준이 비슷한 일반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많은 철자인지 오류를 보였으나, 철자인지 반응시간에서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두 집단 모두 배경음악을 제시하는 것이 철자인지과제 수행의 반응정확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반응시간의 측면에서는 배경음악의 영향이 집단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배경음악이 주어진 조건에서 ADHD아동의 반응시간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유의미하게 빨랐다. 반면에, 일반아동에게는 배경음악 제시 여부가 철자인지과제 수행의 반응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배경음악과 같은 청각자극의 도입이 ADHD아동의 과제처리속도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uditory stimulation on the performances of ADHD children on word recognition task. The under-arousal model of ADHD predicts that ADHD children will perform better with auditory stimulation. Fifteen children with ADHD of grade 1 and 2, and 15 normal children with matched reading skills participated in the study. On the word recognition task, the children were asked to find a previously given target word among three words that varied by only one letter. They performed the word recognition task in two different conditions, with and without background music. Without the background music, the ADHD children made significantly more errors than the normal children, but the mean reaction times(RT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cross the groups. When background music was provided, the ADHD children’s RTs wer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ir error rates did not change. The presence of background music did not affect the performance accuracy and RTs of the normal children on the word recognition task. The results indicate that auditory stimulation has positive effects on ADHD children’s word recognition.

      • KCI등재

        Methylphenidate 투약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운동장애 아동의 청각 사건관련전위의 변화

        최보문,이성필,한상익,성양숙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2

        Objects : Event related potential(ERP) has been recently applied to examine the neurophysiological disturbance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particularly with regard to N100 &P300 which are known as one of ERP components closely linked with cognitive function. On the basis of these aspec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electrophysiologic cfaracteristics and its availability for diagnosis and treament of ADHD children by comparison of ERP between normal controls and ADHD children before and after metylphenidate(MPD) administration. Methods : We examined the topograhic auditory ERP and T. O. V. A. (Test of variables of attention), a standardized computerized visual continuous performance test following adminstration of stimulant drug, MPD 10㎎ in 13 ADHD children and compared these results with those of 11 normal control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tastically significant(P=0.0548), N100 latencies seemed to be longer in ADHD children than in normal controls. N100 amplitudes also seemed to be larger in ADHD children than in normal controls(P=0.0629). 2) The P300 latencies significantly shortened after MPD administration when compared with those before MPD administration in ADHD group(P<0.01). 3) ADHD group performed significantly less well than normal controls in T.O.V.A.(P<0.05). And T.O.V.A. score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MPD administration in ADHD group(P<0.01). 4) The N100 & P300 latencies and the T.O.V.A.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before MPD administration in ADHD group(P<0.05). 5) The P300 latencies before MPD administrat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mplitudes of changes of T.O.V.A. scores after MPD administration(P<0.05). Conclusion : It seemes that prolonged N100 latency of ADHD children can be regarded as a relatively enduring trait marker and that P300 latency may reflect attentional response ability along with therapeutic effect by stimul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