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朝鮮後期) 공명소첩(空名小帖)에 대한 연구

        이정일 ( Jeong Il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4

        Though socheop(小帖), appearing on the articles about fabricating of gongmyeongcheop(空名帖: blank office warrants) in The Daily Records of Sectaries(『承政院日記』) or The Transcribed Records in Capital Police Bureau(『捕盜廳謄錄』), has been assumed to have been issued along with gongmyeongcheop, its functions as well as forms and agencies in charge of issuing it have been rarely verified specifically. In this study, we try to turn out what functions gongmyeongsocheop(空名小帖) had, by analyzing issuing periods, issuing agencies, forms, and issuing procedures, of gongmyeongsocheop which has been found so far. According to existing documents and historical records, it seems that gongmyeongsocheop had been issued from early in the 18th century through earlier in the 20th century. We can confirm that agencies which had issued gongmyeongsocheop included the central offices, the military headquarters, and the local governments. While the central offices, the military headquarters and the Yusubu(留守府: administrative office of special mayor) issued one piece of gongmyeongsocheop for every piece of gongmyeongcheop, a gwanchalsa(觀察使: provincial inspector) and suryeong(守令: county magistrate) in the local governments respectively issued one gongmyeongsocheop for every piece of gongmyeongcheop. In the case of issuing gongmyeongsocheop in large quantities at a time, they issued woodblock-printed socheop(小帖) to reduce the efforts of transcription. Most of gongmyeongsocheops were made out based on forms of cheop(帖: down conveying document) prescribed in Jeonyultongbo(『典律通報』), but some were made out differently. However, if you examine the contents in the documents which didn`t abide by the forms of cheop, you can find that those documents also were ones with the same purpose that the documents with forms of cheop had, for there were documents issued along with gongmyeongcheop or declared to be socheop on the first page or article. Receiving gongmyeongcheops made by lijo(吏曹) and byeongjo(兵曹), the central offices, the military headquarters, and yusubu(留守府) seems to have made out gongmyeongsocheops with the receiver`s section empty and issued them after receiving the money from the one who wanted to purchase them and then entering his name in the empty receiver`s section of gongmyeongsocheop. The local governments had to take two issuing steps. If the gwanchalsa in the gamyeong(監營: provincial governor`s office) had received gongmyeongcheop, he make out gongmyeongsocheop with the receiver`s section empty and then conveyed it to suryeong with gongmyeongcheop, assigning the number of sheets to each county. Suryeong entered the name of purchaser on both gongmyeongcheop and gongmyeongsocheop issued by gwanchalsa and finally transferred them to the purchaser after making gongmyeongsocheop issued by himself. The terms appearing in the articles, such as `binghu`(憑後: to prove afterwards) or `binggo`(憑考: to prove by examining), suggest that gongmyeongsocheop was the documentary evidence. They needed the documentary evidences like gongmyeongsocheop because of limitation of gongmyeongcheop as a document. Unlike the common documents which could be issued and have the documental validity right after being made, gongmyeongcheop couldn`t have the functions as the appointment documents because it was first made not with receivers arranged. Not until agencies selling gongmyeongcheop transferred it to the receivers after getting the price of cheop, did gongmyeongcheop get to have functions as appointment document. That is, you can`t conclude whether gongmyeongcheop was just the document with the form of gongmyeongcheop in itself or the document which completed issuing through the formal procedures. It was gongmyeongsocheop that complemented this limitation gongmyeongcheop had. Gongmyeongsocheo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gongmyeongcheop fulfill its function as document for appointment by proving that gongmyeongcheop was the document which completed formally issuing. 『承政院日記』나 『捕盜廳謄錄』의 공명첩 위조 기사에 종종 나타나는 `小帖`은 공명첩과 함께 발급된 문서일 것이라고 추정되어 왔으나 그 형식이나 발급행정, 가능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바가 없었다. 본고에서는 현재까지 발견된 공명소첩의 발급시가와 발급자, 형식, 발급절차 등을 정리·분석함으로써 공명소첩이 어떤 기능을 하는 문서였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현존 문서와 사료의 기록을 통해 볼 때 공명소첩은 늦어도 18세기 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발급된 것으로 보인다. 공명소첩의 발급기관은 禮曹, 兵曹, 都監, 賑恤廳, 守禦廳, 摠戎廳, 觀察使, 守令 등 중앙관청 및 군영에서 지방관청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중 중앙관청 및 군영 그리고 지방관청 중 유수부의 경우에는 1건의 공명첩에 1건의 공명소첩이 남아있는 반면, 유수부를 제외한 지방관청의 경우에는 대부분 1건의 공명첩에 관찰사와 수령이 발급한 공명소첩 2건씩이 남아있다. 대부분의 공명소첩은 『典律通補』에 규정된 帖式에 의거해 기재되었으나 일부는 帖式과 다르게 작성된 것도 있다. 그러나 帖式이 아닌 문서들도 그 내용을 살펴보면 공명첩과 함께 발급된 것이 분명하고, 始面이나 본문에 小帖이라고 명기된 문서도 있어 이 문서들도 帖式으로 발급된 것과 같은 용도로 쓰인 공명소첩임을 알 수 있다. 중앙관청과 군영, 유수부에서는 吏曹와 兵曹에서 작성한 공명첩이 移送되면 수취자를 비워둔 채 공명소첩을 작성하고 수취자가 정해진 후 그 성명을 기재하여 발급한 것으로 보인다. 지방관청의 경우에는 2단계의 발급 절차를 거쳐야 했다. 공명첩이 監營으로 移送되면 관찰사는 수취자를 비워둔 채 공명소첩을 작성하고 각 군현별로 매수를 배정하여 공명첩과 함께 수령에게 전달한다. 수령은 願買人을 찾아 공명첩과 관찰사 공명소첩에 願買人의 성명을 기재하고 수령의 공명소첩을 작성하여 수취자에게 최종적으로 전달하게 된다. 본문의 내용 중에 나타나는 `憑後`나 `憑考`와 같은 용어들은 공명소첩이 증빙문서였음을 말해준다. 공명소첩은 공명첩의 판매를 담당한 각 기관에서 함께 발급되는 공명첩이 국가에서 발급한 정식 문서임을 확인해 주고, 공명첩이 가진 문서로서의 한계를 보완해 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작성과 함께 발급이 되고 문서로서의 효력을 갖게 되는 일반 문서들과 달리 공명첩은 작성 당시에는 임명문서로서의 기능을 가지지 못한다. 공명첩은 판매를 담당한 기관에서 帖價를 받고 공명소첩과 함께 수취자에게 발급된 후에야 비로소 임명문서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명소첩은 함께 발급된 공명첩이 정식으로 발급이 완료된 문서임을 증빙하여 임명문서로서 가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왜학서(倭學書) 『첩해신어(捷解新語)』와 『개수첩해신어(改修捷解新語)』의 표기ㆍ음운현상 연구

        이옥희 ( Lee Ok-hui )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8 No.-

        이 논문에서는 『첩해신어』(捷解新語)(1676, 초간본)와 18세기 중엽에 개수된 『개수첩해신어』(改修捷解新語)(1748, 1차 개수본)의 표기와 음운 현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두 문헌을 대비하고자 한다. 표기의 특징으로 『첩해신어』에서는 음절 종성 ㅅ표기와 연철 및 중철이 두드러지고, 어중 된소리는 ㄲ, ㅺ, ㄸ, ㅼ, ㅽ 등으로 표기되며 모음 간 ff의 연쇄를 보인다. 『개수첩해신어』에서는 음절 종성이 ㄷ으로 표기되며, 중철과 분철이 우세하다. 어중 된소리는 ㅆ, ㅼ, ㅳ, ㄸ ㅽ, ㅶ, ㅺ 등으로 표기되었으며 모음 간 ㄹㄴ의 연쇄가 나타났다. 음운 현상의 측면에서 『첩해신어』에서는 ㅎ구개음화가 나타나며 ㄷ구개음화나 원순모음화는 전혀 일어나지 않는다. 반면에 『개수첩해신어』에서는 ㅎ구개음화가 유지되며, 모든 음운·형태적 환경에서 ㄷ구개음화가 나타나고, 단일형태소 내부, 형태소 경계에서 모두 원순모음화가 일어난다. 이밖에도 어두 및 어중 평음의 유기음화, /l/탈락, /n/탈락, /h/탈락, 반모음 /w/, /y/ 첨가, 이화 현상 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첩해신어』를 통해 살펴본 17세기 표기와 음운의 특징은 후기 중세국어 시기의 표기가 부분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근대국어의 표기·음운 현상의 태동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이러한 모습은 18세기 『개수첩해신어』에서 후기 중세국어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근대국어의 변화된 모습으로 관찰된다. 불완전하지만 이전 시기보다 한층 더 수준 높은 문법 인식이 문헌에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t is the purpose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phenomena with the inscription of 『Cheophaesineo』(Chophae Shin Language) (1676, first edition) in the 17th century and the 『GeasuCheophaesineo』(Gaesu Chophaeshin Language) (1748, first revision) in the mid-18th century. In case of the Korean writing methodic feature, syllable final consonant ‘ㅅ’ writing, continual writing and double spelling writing were prominent in the 『Cheophaesineo』. A fortis of the word-medial was denoted by ‘ㄲ, ㅺ, ㄸ, ㅼ, ㅽ’ while an intervocalic ‘ㄹㄹ’ notation showed. In the 『GeasuCheo phaesineo』, syllable coda ‘ㄷ’, an double spelling, seperated writing were noticeable. The fortis of the word-medial was denoted by ‘ㅆ, ㅼ, ㅳ, ㄸ, ㅽ, ㅶ ㅺ’ while ‘ㄹㄴ’ Orthography between vowels showed. In case of the phonological phenomena ‘ㅎ’ palatalization was appeared while t- palatalization and round-vowelization did not show in the former.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t-palatalization occur in a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environment, As well as round-vowelization appeared in morpheme boundary and inside of morpheme. In addition, we can find various phonological phenomena such as aspiratization which occurred in word- initial and wordmedial, /l/deletion, /n/deletion, /h/deletion, addition of semi-vowels /w/ and /y/ and dissmim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17th-century orthography and phonological phenomenon, which were reviewed in the 『Cheophaesineo』 that although the latter period of the Middle -korean' features was partly marked, it showed the beginning of the phonological phenomenon and phonetic transcription of the early modern Korean language. This is seen in the 18th century's 『GeasuCheophaesineo』 as a change in the pre-modern Korean language, moving away from the late Middle language. It can be seen that the literature reflects higher level of grammatical recognition than the previous period although it was an incomplete.

      • KCI등재

        첩의 인정투쟁-근대계몽기 매체를 통해 본 "첩" 재현과 그 운동성

        홍인숙 ( In Sook Ho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8

        이 글은 근대계몽기 조혼, 강제혼, 인신매매, 간통·치정 등 성적 폐습에 두루 연관되어 있던 `첩`의 존재를 다루고자 한다. 주로 살펴볼 것은 이 시기 `첩`의 재현 양상과 `첩` 형상의 변모 과정을 보여주는 실제 인물들의 사례, 그리고 첩 담론의 구조가 될 것이다. 이러한 논의 속에서 `첩`이라는 대표적인 하층 여성 형상이 시대마다 각기 다른 역사적 맥락과 상황 속에서 존재해왔음을 밝히고 근대계몽기 첩 형상이 당대적 고유함과 시대적 존재의미를 갖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근대계몽기 매체에서의 첩 형상화는 선첩-악첩의 원색적이고 극단적인 이분화, 친일 고관들의 첩 치가 비난 및 희화화의 방식으로 나타났다. 주로 잡보란에 실려 있는 첩 관련 기사들은 근대계몽기의 엄숙한 목소리가 아닌 시정의 생생함과 급격한 세태 변화를 단죄나 비판의 시선 없이 전달해주고 있다. 한편 이 시기 첩 출신 여성들 중 일부는 활발한 사회참여와 운동성을 보여주었다. 이들은 친지에게 신식 공부를 권면하고 학비를 지원하며 순국대신을 애도하고 독자투고에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이 글에서 살펴볼 인물은 이 시기를 대표하는 여성 애국계몽운동가인 신소당과 함께 교육 사업과 각종 부인회 및 국채보상운동 등 사회 운동에 나섰던 김석자, 이일정이다. 신소당보다 한 세대 아래인 이들은 초기에는 남편과 정치적 성향을 일정하게 공유하다가 자체적인 운동 방향을 설정해 나갔으며 교육·자선 사업 및 부인회에서 주로 조직 실무를 맡아보았다. 근대계몽기 첩 담론은 `축첩폐지`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 담론의 주요한 비판 대상은 첩을 두는 남성 개개인의 도덕성이었으며, 축첩의 관습을 유지하고 방조했던 가부장제 자체를 비판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축첩폐지론에서 비난의 초점이 되었던 것은 첩이 된 여성들의 사치와 비도덕성에 대한 것이었다. 이는 첩 폐지 담론이 궁극적으로 여성들에게 사회적 혐오를 집중시키며 `전근대성`과 `불법성`의 표지를 부여하고 있었음을 알게 해준다. 조혼 및 개가 등 다른 성적 폐습론에 비해 첩 담론은 그 규모 자체가 현저히 적게 생산되었다. 이러한 점은 축첩이라는 문제가 남성 계몽 주체들의 성적 이해 관계를 강하게 반영하며 사실상 절제해내기 어려운 제도임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istence of a `secondary wife` (a concubine) within the immoral sexual customs, such as early marriage, forced marriage, human trafficking, adultery, and scandalous murdercases, in the era of Modern Enlightenment in Korea. The emphasis in this paper is on the typical representations of a `secondary wife` the experiences of people who lived as a `secondary wife`; and the structure of the `secondary wife` discourse at that time. Indoing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the historical meanings of representative images of `secondary wife` lower class women in the era of Modern Enlightenment. Typical images of a `secondary wife` in the media were divided generally into two ways. One is the extreme and binary division of good and bad woman, and the other is critical satire about the life of the government officials with their `secondary wife`. Many women who had ever been a `secondary wife` played very active part in various social movements including educational work, foundation of women`s society, and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Among them, Kim Seok-Ja(김석자) and Lee Il-Jeong(이일정), who devoted themselves to the enlightenment movement, are discussed in this paper. The `secondary wife` discourse argues an abolition of the `secondary wife` system. However, it mainly criticizes the immorality of men themselves and blames vanity and immorality of the `secondary wives`, not the fundamental patriarchal system. Accordingly, it promotes social hatred toward `secondary wife`, marking with `Premodernity` and `illegality`.

      • KCI등재

        『本朝女史』 속 첩의 존재 - 근대전환기 유교지식인의 첩에 대한 인식

        황수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9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was written to examine the existence of a concubine and the perception of a Confucian intellectual's in 『Bonjoyeosa』 in 1898. Kim Sang-jip recorded the concubine not only in the list of concubines but also in the categories of the concubine and the wise wife and wisdom, leaving a record of 22 concubines.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existence of concubine by dividing into three types of husband and wife 's relationship, uttering subject, and challenge to hierarchy. Then, I tried to identify the female recognition of Kim Sangjip. Kim Sangjip noticed that men are not chirped by temporary sexual desire but are determined by their fateful relationship. This process of marriage reflects the masculinist thinking that justifies the union with another woman in addition to the main body. Kim Sangjib is highly regarded for consistently subjective and wise women throughout the first half of this book. He listened to the women's voices, who knew how to judge their feelings and insights, right and wrong, and recorded them with a friendly eye. Kim Sangjib positively assessed the concubine 's awareness of his identity, but he also judged women wise to challenge the hierarchy and protect the rights of his family and break the family system. In this way, Kim Sangjip shows a conflicting and dualistic view that women who are self-sufficient to speak and behave in a self-conscious manner are considered to be wise, while their concubines conforming to patriarchal order, family order, and order are desirable. This is also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e intellectual who lived in the era of modern transition as it is the limit of individual Kim Sangjib. 본고는 1898년에 저술된 『본조여사』에 등장하는 첩을 대상으로 첩의 존재 양상과 근대전환기 유교적 지식인의 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작성되었다. 김상집은 <첩> 항목에서는 물론 <현부>, <혜식> 등의 항목에서 총22명의 첩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이에 부(夫)와 첩(妾)의 결연, 발언하는 주체, 위계 질서에 도전이라는 3개의 유형으로 나누어 첩의 존재 양상을 살피고 이들 첩을 통해 드러나는 김상집의 여성 인식을 규명해보았다. 김상집은 남성이 일시적 성적 욕망으로 취첩하지 않고 운명적인 인연에 의해 결연하는 것에 주목했다. 이러한 결연 과정에는 본처 이외에 또 다른 여성과의 결합을 정당화하는 남성주의적 사고가 반영되어 있다. 김상집은 지인지감과 통찰력, 옳고 그름을 판단할 줄 아는 첩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을 발언하는 주체로 인식했다. 김상집은 자신의 신분을 자각하는 첩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반면 자신의 권리를 지키기 위해 위계 질서에 도전하며 적처의 신분을 획득한 여성을 지혜롭다고 판단하기도 하였다. 김상집의 첩에 대한 인식에는 남성주의적 사고와 가부장적 성 윤리가 반영되어 있다. 한편, 주체적으로 발언하는 첩과 권력에 저항하며 자기 권리를 찾는 첩을 우호적으로 대하고 있다. 이처럼 모순되고 이중적인 모습은 김상집 개인의 한계이자 근대전환기를 살던 지식인의 과도기적 모습이다.

      • KCI등재

        왜어유해 어휘의 성격 ― 첩해신어 개수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호규진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2 No.-

        현존하는 사역원 관판(官版) 왜학서로 이로파(伊路波), 첩해신어(捷解新語), 왜어유해(倭語類解)가 있다. 이로파는 문자학습용 교재이며, 첩해신어가 주교재 및 수험서의 역할을 맡고 있었고, 왜어유해는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유해류(類解類) 어휘집으로 사전의 성격을 지닌다. 본 조사에서는, 이 중 왜어유해와 첩해신어 개수본(改修本)의 수록어휘 비교를 통해 왜어유해의 성격과 자료로서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W단위를 기준으로 양 자료의 어휘표를 제작하여 수록 일본어를 대조하였으며, 첩해신어 개수본과의 비일치어휘를 통해 왜어유해의 성격을 고찰해보았다. 그 결과, 왜어유해는 첩해신어의 2배 이상의 어휘를 수록하고 있었으며, 왜어유해를 기준으로 상권 16.95%, 하권 16.80%, 양권을 합하여 16.87%의 일치율을 보였다. 일치율이 가장 높은 부는 「宴亭」(66.67%)였다. 외교의전 및 인간의 행위・언어, 관명을 다룬 부가 순서대로 일치율에서 상위를 차지하였으며(50∼67%) 자연물과 생물류 관련 어휘군을 다루고 있는 부의 일치율은 0%이거나 그에 수렴하는 수치를 보였다. 그 외 일치율이 현저하게 낮은 부문들의 어휘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관련된 어휘군이거나 사물・산업에 관련된 것들이어서, 이를 역으로 첩해신어의 입장에서 보면, 첩해신어를 무역에 관련된 일본어 운용을 포괄하지 못하는 교재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17% 미만의 일치율을 바탕으로 자료를 바라보면, 왜어유해는 첩해신어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 실질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왜어유해의 자료로서의 의의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인가. 첩해신어는 기초교육용 교재와 전문회화 학습서로서의 성격을 겸하고 있다. 그러나 다루고 있는 회화 장면(situation)과 수록어휘의 양에서, 극히 특수하고 한정된 일본어만을 접할 수 있는 교재라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왜어유해는 첩해신어 이상의 어휘를 보다 다양하게 넓은 분야에 걸쳐 아우르고 있다. 첩해신어로 학습할 수 없는 어휘를 왜어유해가 보충하는 동시에, 첩해신어 학습 이후 접하는 자료를 통한 일본어 숙달에 역할을 할 수 있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성립시기상 새로운 어휘를 반영할 수 있었을 것이며, 유해류 역학서에 일본어도 갖추는, 형식으로서의 존재의의도 생각된다. 왜어유해의 구성은 동양 고(古)사전의 전통적 방법을 따르고 있다. 내용에 있어서도 중국의 영향이 확인되는데, 동시대 중국 고사전, 일본의 고사전과의 연계성을 파악하기 위해 향후 조사의 필요성이 인식된다. Among all the Japanese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by the Bureau of Interpreters (司訳院) in the Joseon Dynasty, only a few are still in existence: Iropa (伊路波), Cheophaesineo (捷解新語), and Waeoyuhae (倭語類解). Iropa is a textbook aimed at those who wanted to learn Japanese characters, Cheophaesineo is a primary textbook, and Waeoyuhae is a wordbook or dictionary. This study compared the lexis in Waeoyuhae with that in the revised version of Cheophaesineo in order to examine the comparative characteristics of Waeoyuhae and its value as a historical source. First of all, we compiled a list of the words that appeared in the revised version of Cheophaesineo, using the “word-like unit” concept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to compare its lexis with the list of words that appeared in Waeoyuhae. Subsequently, we examined the lexical characteristics of Waeoyuhae in light of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wo lists. The study found that, based on the list for Waeoyuhae, the percentage match between the two lists was 16.87%—16.95% for the first volume of Waeoyuhae and 16.80% for the second volume. The chapters (部) with the highest percentage match were those related to diplomatic protocols. On the other hand, the chapters related to natural objects and living things displayed an almost 0% match. The overall low match rate of less than 17% suggests that Waeoyuhae was not very helpful to Japanese language learners to enhance their efforts to understand Cheophaesineo. In this respect, what is the significance of Waeoyuhae as a historical source? Cheophaesineo was an elementary Japanese textbook as well as a conversational textbook. However, it contained only a limited number of conversational exercises and Japanese words for specific settings. It is assumed that Waeoyuhae exposed learners to new terms and vocabulary they could not learn from Cheophaesineo and helped them to read other materials written in Japanese once they had mastered Cheophaesineo. In addition, considering the period during which Waeoyuhae was published, it would have been possible to incorporate new words into Waeoyuhae that had not been included in previous texts. Furthermore, Waeoyuhae presumably served as a representative Korean-Japanese dictionary, as part of the collection of foreign language dictionaries published by the Bureau of Interpreters.

      • KCI등재

        조선시대의 첩과 서녀: 제도·담론·자기인식

        이숙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人文論叢 Vol.81 No.2

        조선사회에서 첩과 서녀는 가족의 일원이지만 그 가족의 계보와 권리에서는 배제되거나 주변화된 존재다. 그들은 그 시대 차별 기제와 차별화의 논리를 몸으로 보여준다. 양반가의 경우, 첩이 낳은 딸이 서녀가 되고 서녀는 다시 첩이 되는 순환구조에서아내로서의 첩과 딸로서의 서녀는 서로를 규정하는 관계다. 첩은 다시 양첩과 천첩으로구분되는데, 소생 자녀는 서자녀와 얼자녀로 나뉜다. 본 연구는 두 신분의 첩에서 가족적 유대가 비교적 강한 양첩에 주목하였다. 가족과 신분이 중층으로 얽혀 있으면서 여성 삶의 한 유형이기도 했던 첩을 통시적으로 조명하되 각 시기별 차이를 부각시키고자 했다. 조선초기는 신유학에 의한 종법적 가족 사상이 국가 이념과 만나면서 혼인 가족과 관련된 제도와 이념이 새로 만들어지는데, 첩의 제도화도 그 일환이었다. 다시 말해 첩도 신유학의 가족 이념으로 재편되고 재구성된다는 점이다. 처첩제의 문화적 기원과 제도화 그리고 처첩분간을 위한 쟁송의 구체적사례를 통해 조선전기 첩 담론의 특징을 밝혀내었다. 처첩분간이 일단락되는 16세기 이후의 첩 담론은 예학과 만나면서 첩에게 부여된 의무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즉 조선후기의 예설(禮說)은 기존의 예법서를 수용하면서 변화된 시대상을 반영하는데, 여기서 첩 및 첩자(妾子)의 예학적 위치가 마련된다. 첩의 실상과 그 삶의 양상을 보기 위해 구체적 가족 속으로 들어가 양반가에서 첩을 두는 목적또는 유형에 주목했다. 마지막으로 가족의 주변적 존재로서 첩과 서녀는 스스로를 어떻게 인식할까. 서녀의 경우는 첩으로 가는 과정적 존재로 언급되는 정도에 불과하지만, 파편적인 기록을 모아 첩과 서녀의 자기 인식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가족의 일이었던 처첩문제가 소생 자녀의 신분을 규정하며 사회로, 국가로 확대되어 간 서얼차별대우의 기원과 역사를 규명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In the Joseon era, concubines (cheop, 妾) and their daughters (seonyeo, 庶 女) were both family members, but they were excluded or marginalized in terms of family lineage and rights. They embodied the discriminatory system and logic of that era. In yangban households, a daughter born to a concubine, a seonyeo, would later become a concubine in a cyclical structure. As wives and daughters, they were inseparable. Concubines were further divided into yangcheop (良妾) and cheoncheop (賤妾), and their offspring were categorized as seojaneo (庶子女) and eoljaneo (孼子女).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role of concubines, intricately linked to family and social status, as a type of women’s life during different period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Confucian family ideals intersected with national ideology, everything related to marriage and family entered a new phase,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ubine system. Here, concubines were reorganized and redefined according to Confucian family ideals. The cultural origins, institutionalization, and specific legal cases related to concubines and legal disputes over concubine separation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were examined in this study. After the completion of concubine separation in the 16th century, discussions about concubines in the late Joseon period revolved around the obligations imposed on concubines. The late Joseon’s yeseol (禮說) reflected the changing contemporary context while incorporating existing ritual norms. It established the Confucian position of concubines and concubine daughters. To understand the reality and aspects of concubines, this study focused on the purpose and types of concubines within specific families. Finally, as peripheral family members, how did concubines and seonyeo perceive themselves? Although seonyeo was only mentioned as a process leading to concubinage, fragmented records were collected to clarify the self-perception of concubines and seonyeo.

      • KCI등재

        조선 전기 改名牒과 조선시대 개명첩 양식의 변화 - 1582년(선조 15) 鄭雴(1554~1640) 改名牒을 중심으로 -

        박철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규장각 Vol.56 No.-

        이 글은 새로 발견된 조선전기 改名牒을 소개하고, 아울러 조선시대 개명 문서의 통시적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 조선시대 개명 문서는 조선 전기에는 牒, 조선 후기에는 대개 帖으로 발급되었다. 조선전기 개명첩은 그간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옥천향토전시관에 1582년 발급된 鄭雴(1554~1640)의 改名牒이 소장되어있음이 확인되었다. 해당 문서는 조선후기와 달리 목판에 문서 틀을 새겨 인출하고, 발급 시기나 이름 등을 붓으로 기입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또, 문서에서 ‘知申事’와 같이 1433년(세종 15) 이후 사라진 용어가 나타나는 점과 1415년(태종 15) 관련 논의가 반영되어 있는 점을 보아 1433년 이전 문서의 양식이 정해진 뒤 현전 문서가 발급된 1582년까지 같은 양식의 개명첩이 발급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새로 발견된 조선시대 개명 문서 4점과 기존에 알려진 개명문서를 아울러 살펴보고, 시기별 양식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에는 문서가 牒에서 帖으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성이 보였으며, 18세기 무렵 양식이 정착되어 19세기까지 이어지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립의 개명첩은 현재 알려진 개명 문서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자료이면서, 故牒式으로 된 문서 중 발급시기가 가장 늦으므로 현전 자료의 상․하한선을 넓혔다는 점과 제작 방식, 내용 등에서 가치를 지닌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첩 소재 노래에 나타난 여성의식 -<큰어머니>노래를 중심으로-

        이정아 ( Jung Ah Lee ) 한국고전연구학회 2011 한국고전연구 Vol.0 No.23

        이 논문의 목적은 평민 여성들이 부른 대표적인 첩 소재 노래인 <큰어머니> 노래에 나타나는 처의 행동 및 심적 변화와 첩의 형상을 통해 전달되고 있는 여성의식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큰어머니> 노래는 다양하고 섬세한 선학들의 논의를 통해 여성의 주체의식을 드러내는 노래로 알려진 바 있다. 본고가 주목하는 것은 노래에 나타나는 처의 행동 및 심적 변화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포착되는 여성의식의 특징과 이를 통해 제기하고 있는 강력한 문제제기이다. <큰어머니> 노래에서 처의 행동과 심적 변화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남편을 기다리다 → 기다림 끝에 분노하다, 첩을 찾아가다 → 첩을 보고 마음이 변하다, 집으로 돌아오다 → 탄식하다, 자결하다, 첩 죽은 소식을 듣다. 이러한 세 가지 서사적 진행을 통해 처의 변화를 알 수가 있는데 먼저 길고 긴 기다림이 가져다준 상실감으로 인해 촉발된 분노는 첩의 집을 찾아가는 행동으로 이어진다. 처의 첩 집을 찾아가는 행동은 다시 첩을 대면하면서 그럴만하다는 심적 변화로 변하게 된다. 이후 처는 다시 집으로 돌아와서 탄식하거나 그리워하거나 자결하거나 첩의 죽음을 상상하는 등의 다양한 결말을 보이며 여전히 유보적 태도와 심정을 드러내고 있다. 노래에 등장하는 첩 역시 실제 가지고 있는 사회적 위상과는 달리 여유롭고 풍요로운 모습으로 등장하여 극도의 분노감으로 찾아온 큰어머니를 극진히 대접하고 환대한다. 이러한 첩의 형상은 첩을 바라보는 처의 이중적 시각을 반영한다. 첩은 자신에게 극진한 대접을 해야 하는 존재라는 사회적 위상에 대한 인식 그리고 자신의 초라한 행색과 대비되는 첩은 남성적 욕망에 포섭된 존재로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의식이 포착되기 때문이다. 또한 노래에 나타나는 첩의 화려한 세간은 처의 억울한 심정을 대변하는 역설적인 문학적 수사 장치라고 볼 수 있다. <큰어머니> 노래에는 남성적 횡포가 정당화되는 현실에서 여성이 어떻게 적응하여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고민과 갈등이 나타나고 있다. 이 갈등의 양상은 끝까지 그 경계에서 유보적 태도를 견지하게 하며 다양한 결말을 말하게 만든다. 갈등과 타협의 경계를 서성이는 경계에 선 의식을 통해 여성이 강력하게 전달하고가 했던 것은 바로 주체적 자아로서의 삶이었고 동시에 그가 살아야 했던 현실적 삶에 대한 심각한 문제제기였다. This study was prepared in order to explain feminine consciousness, which is being delivered through wife`s change and concubine`s shape, which are shown in a song titled <Keuneomeoni(the wife of the elder brother of one`s father)>, which is a typical song with material of concubine sung by common women. The song <Keuneomeoni> has ever benn known already as a song that reveals feminine subjective consciousness through diverse and delicate discussions of scholars in the past. What this study notes includes a wife`s change., which is indicated in a song, the characteristic of feminine consciousness, which is exposed this changing process, and the significance of raising its problem. In a song <Keuneomeoni>, a wife`s behavior and mental change are progressed as follows. Waiting for a husband→getting angry after waiting, visiting a concubine→changing mind after seeing concubine, returning home→lamenting, suiciding, being glad after listening to news on concubine`s death. Through these three kinds of narrative progression, a wife`s change can be known. First of all, anger, which was stirred by a sense of loss that long waiting brought, leads to behavior of visiting concubine`s house. The wife`s behavior of visiting concubine`s house leads to a mental change as saying of being enough to do so with facing concubine again. After then, the wife is still revealing the reservations ad feelings with showing diverse conclusions such as lamenting, missing, suiciding, or imagining concubine`s death after returning home again. Even the concubine, who appears in a song, appears with leisurely and bountiful image unlike the social stature of being possessed in reality, and treats and entertains Keuneomeoni(the wife of the elder brother of one`s father) very kindly, who visited with extreme sense of anger. The concubine`s this shape reflects double sight of wife, who looks at the concubine. It is captured self-consciousness, which was adapted to masculine desire, in comparison with her miserable appearance, along with recognition that the concubine is existence who needs to treat her very kindly. Also, the concubine`s colorful household furniture, which is indicated in a song, can be seen as literary rhetorical device, which speaks for the wife`s falsely mind. In a song titled <Keuneomeoni>, the specific worry and conflict are being indicated on how a woman needs to proceed with living by being adjusted to the reality that masculine oppression is justified. The aspect of this conflict makes diverse conclusions mentioned with sticking to the reservations in its boundary to the end. The presentation of a problem, which is being delivered through feminine consciousness of hanging around the boundary of conflict and compromise, was just the expression of subjective self-consciousness in powerful woman.

      • KCI등재

        고려전기 <禮賓省牒>의 書式 복원과 외교상 의미

        김보광(KIM, Bo-kwa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7 No.-

        현재 고려가 일본에 1079년에 문종의 질병 치료를 위해 의사를 요청한 <1079예빈성첩>과 고려가 남송으로 몽골에게서 탈출한 남송인 3인을 송환한 <1259예빈성첩> 등 두 건의 예빈성첩 사례가 轉寫되어 전해지고 있다. 이를 토대로 牒이 고려만의 문서 형식이 아니라 당대 이래 동아시아 諸國에서 널리 사용되는 문서이며, 고려는 주변의 나라들과 牒을 통해 외교적인 소통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牒이 외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국서로, 일종의 외교문서였다고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당송대, 특히 사마광의 『서의』와 『경원조법사류』에 기록된 송대 牒式을 정리하였다. 양자의 비교를 통해 기본적으로 서식 구조가 같지만 약간의 차이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1079예빈성첩>, <1259예빈성첩>과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고려의 두 첩문 사례 또한 송대 서식과 유사하며, ‘當省’과 같은 표현이 있어 고려의 실정에 맞도록 변형하여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국초부터 당대 문서나 『서의』의 등장 사례로, 고려가 성종대에 서식을 마련하였을 것이라는 점도 재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빈성첩>은 첩을 소지한 일행의 방문 목적이 공식적임을 보증하면서 고려의 요청 등을 전달하는 외교적 소통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1079예빈성첩>과 <1259예빈성첩>이 각기 일본과 남송으로 고려가 보낸 첩인데, ‘牒’과 ‘牒上’, 서명한 관직자의 차이 등을 통해 고려가 송과 일본에 대해 등차를 두어 차별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牒에 담겼다고 보았다. 이는 고려가 인식하는 외교 관계에서의 等差를 드러낸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form and diplomatic significance of Goryeo through the ‘Yebin-Seong-Cheop(禮賓省牒)’ that appears between Goryeo and Song. For this purpose, the format was restored by comparing the cheop issued by Goryeo to Japan in 1079 and to Southern Song(南宋) in 1259 in the name of Yebinseong . As a result, I concluded that Goryeo adopted the Tang(唐) China’s cheopsik(牒式, document form) and had a connection with the Song dynasty regulations. As Goryeo had no formal diplomatic relations with Song or Japan, Yebinseong effectively served as a diplomatic agency at the forefront with these countries. That is why Yebin-Seong-Cheop appeared in the diplomatic process. Furthermore,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two documents, it could be inferred that Goryeo also had a more favorable perception of Song than Japan.

      • KCI등재후보

        민요에 나타난 첩의 위상

        길태숙 한국여성문학학회 2005 여성문학연구 Vol.13 No.-

        . 이 논문에서는 첩과 관련된 민요에 나타난 향유자들의 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그 노래가 민요 향유자들 사이에서 어떻게 기능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첩과 관련된 민요에서는 각각 첩에 대한 본처, 남성, 첩 자신의 시각이 드러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노래의 대부분은 본처의 입장을 나타내고 있으며 드물게 남성의 시각을 드러낸 노래와 첩 스스로의 위상을 보여주는 노래를 찾아볼 수 있다. 남성적 시각을 드러낸 민요에서 첩은 사랑스런 존재이며 자기과시적 소유물이고 대를 이어주는 도구로 그려지고 있다. 사랑스런 존재이면서 소유물이라는 모순된 시각은 첩이 남성에게 주체적인 여성으로 인식되기보다는 도구적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첩을 죽이고 싶도록 미워하는 본처에게 첩은 또 하나의 여성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처는 첩에 대해 강한 적개감을 드러내고 가해자로 인식하지만, 그 적개감의 이면에서 본처가 첩을 남편의 사랑을 받을만한 사랑스런 여성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읽어낼 수 있다. 하지만 첩 스스로는 나이 많은 남성의 성적도구로밖에 살수 없는 자신을 피해자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매우 개인적이고 제한적으로 나타나 있을 뿐 여론을 형성하지는 못하였다. 본처 집단이 여성민요 향유층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첩은 그 향유자들 사이에 끼일 수 없으며 끼었다 하더라도 자신의 위상을 드러낼 형편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결국 본처의 입장에서 불리는 대부분의 첩관련 민요는 첩을 과장되게 욕하거나 본처의 위치가 첩보다 낫다는 의식을 드러냄으로써 본처가 첩 때문에 받은 상처를 치유하는데 기능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노래들은 순종과 인내를 담보로 한 본처의 긍지를 강조하거나 문제적 상황을 여성과 여성의 대립으로 표현함으로써 가부장제의 이데올로기가 제시한 가정의 여성의 역할수행을 강화하는데 기능하기도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