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경험에 대한 연구

        박일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5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예비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고, 예비교사의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역량을 함양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있었다. 연구방법 A교육대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론’을 수강한 4학년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창의적 체험활동프로그램 결과물 20개와 예비교사의 성찰일지 63개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적 자료의 분석 및 정리는개방형 코딩과 유형화 과정을 거쳐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예비교사의 경험을 다음과 같은 9개의주제로 유목화하여 제시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예비교사의 경험은 1 창의적 체험활동의 내재적 및 본질적 가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2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실천적지식 습득, 3 집단 지성의 가치와 중요성 경험, 4 교육과정 개발의 주체자로서의 교사 행위자성 경험,5 창의적 체험활동의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의 전환, 6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내적 동기와성취 및 성장, 7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자로서의 역량, 8 연구자로서의 교사, 전문성을 갖춘교사관 정립, 9 프로그램 개발 및 수업에 대한 고민과 성찰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예비교사들의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창의적 체험활동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예비교사의 행위자성을 성취할 수 있는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적용할 필요가 있었다.

      • 고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특성분석과 평가 활용방안 연구

        이가영 ( Ka Young Lee ),박진만 ( Jin Man Park ),김명옥 ( Myung Ok Kim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12 입학전형연구 Vol.1 No.-

        입학사정관전형에서는 창의 인재 선발을 위해 고교생들의 교과 성적 이외 비교과활동을 중요한 평가요소로 보고 있다. 입학사정관제 초기에는 비교과활동들이 주로 학생 개인의 교외 활동 위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창의적 체험활동이 새롭게 편성되면서 학생들이 교내에서도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고교마다 특색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다양하게 운영하여, 학생들이 교육과정 내에서 본인의 적성을 고려한 비교과 프로그램들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연구는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고교의 창의적체험활동 실태를 파악하여 입학사정관전형 평가 시, 학생들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바르게 해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전국 190여 고교의 진학진로상담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의적체험활동 실태와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창의적 체험활동 도입에 따른 변화, 실제 편성?운영 현황, 에듀팟 활용도 등의 9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결과, 고교진학진로상담교사들은 창의적 체험활동 시행으로 고교 교육과정의 실질적인 변화가 있다고 보았고,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방식은 ``한 활동을 몇 시간 연속하거나 여러 활동을 묶어서 시행하는 블록타임제 운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체험활동 중에서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진로활동 및 동아리활동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입학사정관전형에서 창의적체험활동을 올바르게 평가할 수 있는 방안으로 창의적 체험활동목표 이해, 영역별 평가 관점 마련 및 평점 척도 활용, 활동자료(포트폴리오)의 활용 및 평가방법에 대해 제언하고 있다. In admissions officer system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taken more seriously than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for selection of creative individuals. In the beginning of admissions officer system, non-academic activities made up most part of an individual stude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outside of school, but as creative activities were organized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tudents were able to be engaged in a variety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n highschool campus. Every high school becomes to organizes its own creative activities, and students are now able to select extracurricular programs under formal curriculum considering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rasp the reality of creative activities in high school and to provide criteria for the admission officer screening process to correctly interpret and evaluate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about 190 high school career counselors on the status of creative activities.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nine items such as changes made upon introduction of creative activities, actual formation and management status, and the use of edupot, etc. As a result, high school career counselors admitted that there were substantial changes made upon implementing creative activities, and it was shown that performing one activity continuously for a few hours or combining various activities as a block-time system were taken the most part of creative activity management process, and one of the most typical programs of creative activities was career activity and club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result given, this study suggests the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creative activities, preparation of perspective evaluation for area-specific assessment and rating scales, activity portfolio, and evaluation methods.

      • KCI등재

        창의적 체험활동 지원을 위한 청소년 체험활동자원 운영에 관한 연구

        김영순,임지혜,정소민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2

        This study explores the method to facilitate Youth Activity resources for Creative Activity. Interview was conducted FGIs(Focus Group Interviews) to education experts in every school levels about the utilization of Youth Resour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youth programs offered in the youth facilities were irrelevant to school needs. Therefore, consultations and networks between schools and facilities for youth should be established for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That is,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for youth should offer educational programs which schools need through discussions with schools. Also, for systematically organized pre-while-after programs in Creative Activity, the path of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instructors for youth should be provided. Second, specially designed national programs for youth should be adjusted to the schools' needs. Students and their parents don't pay attention to the specially designed national programs for youth such as certification because they are not connected university entrance and career plans. Tighter certification criteria will help improve students' accomplishment and give authority to the certification. And plans which present how to use it in the university entrance and career should be prepared.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제시된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학교 현장이 어떻게 청소년체험활동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가를 강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각 학교급별 교육전문가들에게 청소년체험활동자원의 장단점과 개선방안, 청소년 지도사 활용 방안, 청소년 체험활동자원 지도(YRM) 활용방안, 청소년체험활동 지원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에 대한 창의적 체험활동 관련 의견들을 인터뷰하였다. 이 결과 이상의 청소년체험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두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재 운영되고 있는 청소년 체험활동 프로그램들 대부분이 교육 현장과 동떨어져 있었다. 따라서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교와의 협의와 연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 체험활동을 실시하는 기관들에서는 지역 및 학교의 요구를 파악하고 협의를 실시하여 교육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지도사와 교사의 원활한 소통의 통로를 마련하여, 사전-본시-사후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관되어야 하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 현장의 현실과 맞는 청소년체험활동 지원 프로그램 운영 방식이 필요하다. 인증제 등과 같은 청소년체험활동 지원 프로그램은 입시 및 진로와 연계가 되지 않으므로 학생과 학부모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인증 기준을 강화하여 성취감을 높이거나 인증에 권위를 부여하고 이를 입시 및 진로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창의적 체험활동 지원을 위한 청소년 체험활동자원 운영에 관한 연구

        김영순;임지혜;정소민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제시된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학교 현장이 어떻게 청소년체험활동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가를 강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각 학교급별 교육전문가들에게 청소년체험활동자원의 장단점과 개선방안, 청소년 지도사 활용 방안, 청소년 체험활동자원 지도(YRM) 활용방안, 청소년체험활동 지원 프로그램의 활용 방안에 대한 창의적 체험활동 관련 의견들을 인터뷰하였다. 이 결과 이상의 청소년체험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두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재 운영되고 있는 청소년 체험활동 프로그램들 대부분이 교육 현장과 동떨어져 있었다. 따라서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교와의 협의와 연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 체험활동을 실시하는 기관들에서는 지역 및 학교의 요구를 파악하고 협의를 실시하여 교육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지도사와 교사의 원활한 소통의 통로를 마련하여, 사전-본시-사후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관되어야 하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 현장의 현실과 맞는 청소년체험활동 지원 프로그램 운영 방식이 필요하다. 인증제 등과 같은 청소년체험활동 지원 프로그램은 입시 및 진로와 연계가 되지 않으므로 학생과 학부모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인증 기준을 강화하여 성취감을 높이거나 인증에 권위를 부여하고 이를 입시 및 진로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thod to facilitate Youth Activity resources for Creative Activity. Interview was conducted FGIs(Focus Group Interviews) to education experts in every school levels about the utilization of Youth Resour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youth programs offered in the youth facilities were irrelevant to school needs. Therefore, consultations and networks between schools and facilities for youth should be established for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That is, organizations and facilities for youth should offer educational programs which schools need through discussions with schools. Also, for systematically organized pre-while-after programs in Creative Activity, the path of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instructors for youth should be provided. Second, specially designed national programs for youth should be adjusted to the schools' needs. Students and their parents don't pay attention to the specially designed national programs for youth such as certification because they are not connected university entrance and career plans. Tighter certification criteria will help improve students' accomplishment and give authority to the certification. And plans which present how to use it in the university entrance and career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후보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중등 법교육 실천 방안

        정상우 한국법과인권교육학회 2011 법과인권교육연구 Vol.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법교육의 방법론을 제시하는데에 있다. 최근 법교육이 체계화되면서 그 유형과 방법이 다양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법교육 영역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교육이 가능해졌다. 특히 법교육에 관심이 있는 학생에 대해 교육현장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에 활용할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해졌다. 이를 통하여 학생 스스로 사회 현실에서 법적인 문제를 자각할 수 있고 그것을 자기주도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의성과 인성을 기를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이를 위하여 단순히 지식의 전달과 사례 해결 능력만이 아니라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에서부터 인권과 법문화에 대한 인식이 싹틀 수 있는 교육 방법론과 모델을 제시할 필요가있다. 이 논문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중등 법교육의 활용 필요성과 가능성이 크기에 양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용한 중등 법교육의 의미와 방법론과 유형, 실천과제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에서의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 프로그램 개발

        김다라니,이상봉 대한공업교육학회 201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reative problem-solving competition program in order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junior high schoolers to solve problems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hands-on activities by deploying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to foster their cooperative and challenging spirits by tackling the given problems in group. Relevant literature and competition programs were analyzed to develop a junior high school competition program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hands-on activities. This study was implemented in three stages: preparing, developing and applying. In the preparation stage, the content structure of technology and the fields of corresponding hands-on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nd creativity theories were analyzed. Besides, domestic and foreign creativity-related competition programs were checked. In the development stage, an overview of the nature, object, question making and evaluation of a competition program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hands-on activities was presented, and a program was developed, which consisted of three stages: planning, operating and evaluating. In the application stage, every student in a selected junior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e competition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competi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ntended to offer a chance for every junior high schooler to solve problems on the basis of technological hands-on activities to display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Second, the program was designed to include planning, operating and evaluation stages, after the nature and object of the competition program and in which way question making and evaluation should be fulfilled were determined. Third, the competition program dealt with five areas according to the content structure of technology: manufacturing technology, construction technology, transport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And questions for each area and student worksheets were developed. Fourth, the program was utilized in a junior high school to give an example.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발휘하여 기술적인 체험활동에 터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팀 활동을 통하여 주어진 문제를 장시간 고민하고 해결함으로서 협동심과 도전정신을 기를 수 있는 수 있는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및 관련 대회 프로그램 탐색을 토대로 하여 중학교에서의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 대회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준비단계 : 기술의 내용구조와 내용구조에 따른 체험활동의 영역 등을 살피고, 창의성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외 창의성 관련 경진대회 프로그램을 탐색하였다. 2. 개발단계 :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의 성격, 목표, 출제 및 평가의 전반적인 총론을 제시하고 대회의 ‘기획-운영-평가’에 걸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3. 적용단계 : 개발된 프로그램을 중학교 전교생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중학교에서 모든 학생들에게 기술적인 체험활동에 터한 문제를 해결함으로서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경진대회 프로그램이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 경진대회의 성격과 목표와 출제 및 평가 방향을 제사한 뒤 이를 기초로 하여 개발된 ‘대회 기획 단계, 대회 운영 단계, 대회 평가 단계’의 절차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기술적 체험활동에 터한 대회 문제는 기술의 내용구조에 따라 제조기술, 건설기술, 수송기술, 통신기술, 생물기술의 5개의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각 영역별 문제의 게시자료와 학생용 활동지를 각각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된 프로그램 중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사례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농업체험활동 중심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김태희,정남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creativity·humanit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agricultural experiential activities’, which allowed students to gladly participate to learning with their curiosity and interests. Plus, after applying ‘the creativity·humanit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agricultural experiential activities’, students‘ creativity would be tes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chool curriculum was analyzed to develop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program. Then,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tudents.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participants’ levels of the creative character factors, the creative thinking factors, and the creative motive factors were largely enhanced.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creativity·humanity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experiential activities enhance students' creativity in all factors including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thinking’, and ‘creative motiv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학습활동에 즐겁게 참여하는 과정 속에서 협업능력을 기르며 집단지성을 발휘할 수 있는 농업체험활동 중심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창의성 함양을 검증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통합교과, 과학, 실과를 포함한 해당 교과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 특별활동의 시간을 통합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분석하였고, 농업체험중심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였으며,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에 참여한 4학년, 5학년, 6학년 학생들은 모든 창의성 성격 요인, 창의성 사고 요인, 창의성 동기 요인 수준이 매우 크게 제고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농업체험중심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성격’ 요인, ‘창의적 사고’ 요인, 그리고 ‘창의적 동기’ 요인 등의 모든 창의성 요소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KCI등재

        세계문화장터' 창의적 체험활동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경화(Kyung-Hwa,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창의성 계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경화(2013)에 의해 개발된 『박물관ㆍ미술관 활용 창의적 체험활동프로그램』 중 '세계문화장터'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수업에 적용한 후 아동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지를 확인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창의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초점을 두어 개발된 것으로, 그 특징은 박물관 및 미술관 등 문화예술관련 기관과 연계하여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면서도 학교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활용할 수 있고, 다양한 교과영역이 융합되어 있으므로 어느 교과 담당 교사일지라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차시를 다양하게 구성하였으므로 학교, 박물관, 미술관 등의 상황에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에서 4학년 2개 반을 무선 선정한 후, 한반은 실험집단으로 하여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다른 한 반은 통제집단으로 하여 같은 시간에 통합 미술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실시 전에 사전, 실험 후에 사후검사로 창의성 검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세계문화장터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창의성 점수가 더 높았으며, 통제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01)가 나타나, 아동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하여, 초등학교에서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것과 같은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를 권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World Culture Market of Creative Experience Program using Museum and Art Gallery(Lee, 2013)' on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level children. Accordingly, the instructional strategy that promote creative ability(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creative personality(sensitivity, curiosity, task-commitment),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personality that includes 3 dimensions(personal, social, problem-solving) was based on the Global Leader Model (Lee, 2009) that guides a curriculum and programs for fostering cognition, creativity and leadership. The program using museum and art gallery would apply in schools or museum and art gallery f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to promote creativity flexibl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90 4grads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who assigned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The K-ICT was applied to the students as pre and post test. In this study result,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identified(p<.001).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고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연구 -농어촌 체험 및 봉사활동을 중심으로-

        김영순 ( Young Soon Kim ),김금희 ( Gum Hee Kim ),응웬뚜언아잉 ( Tuananh Nguyen ),박서현 ( Seo Hyeon Par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교육문화연구 Vol.17 No.1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창의·인성교육을 표방한다. 창의·인성교육은 교과영역에서 창의·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하고 비교과영역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진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글은 그중에서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에는 자율활동, 봉사활동, 동아리활동, 진로활동이 있다. 이 논문은 도시 근교의 고령화된 농촌사회를 체험하며, 봉사활동을 겸한 창의적 체험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은 사전활동 →체험활동 (현장활동)→ 사후활동의 순서로 구성하였다. 사전활동은 우리나라 농촌사회의 고령화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봉사활동에 대한 마음가짐을 준비하는 단계이고, 현장활동은 서울근교의 농촌을 방문하여 봉사활동을 하고 농촌 사회 고령화의 심각성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이며, 사후활동은 현장에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하고 농촌사회의 고령화 현상에 대한 토의를 통해 대책을 제시하는 단계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udent`s activity program according to 2009 National Curriculum. Activity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tial learning. This is learning through reflection on doing, which is often contrasted with rote or didactic learning. Experiential learning can be a highly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It engages the learner at a more personal level by addressing the needs and wants of the individual. Experiential learning requires qualities such as self-initiative and self-evaluation. For experiential learning to be truly effective, it should employ the whole learning wheel, from goal setting, to experimenting and observing, to reviewing, and finally action planning. This complete process allows one to learn new skills, new attitudes or even entirely new ways of thinking. Activity program consists of three parts: beforehand activity, experience activity, and arrange activity. Elements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play a important role in construction of activity program. Through this activity program the High school student have an experience about the real situation of Korean agrarian areas.

      • KCI등재

        서울시립 청소년수련시설 프로그램 분석 -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기준을 중심으로 -

        박옥식,지은경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9

        This study is basic one for inquiring into what values the Creative-Activity Resource Map(CRM) has and what roles it plays as a regional hub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contents of Youth Center Activities program in the city of Seoul. We have analyzed all the programs of 24 Seoul Youth Centers, collecting the data from 2009 managing white papers of the Seoul Youth Center concerned and 2010 project plan presented in the each website and YOUTHNAVI(Seoul Youth Policy PR websi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goal-oriented project of the Youth Center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the total(54.7%). In addition, the percentage of self activity was the highest by 59.1%, followed by that of the career activities(7.9%), that of the volunteer activities (7.0%), and that of the club activities(4.9%) respectively. Although the main target of the program was the adolescents, it covers all age groups, focusing on the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the local residents making use of the Youth Center on Weekdays. The temporal trait of the programs was that they leaned to much towards on Weekdays, and the spatial trait of them was that they called for visiting in person and participation. Also, the development, management,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of Youth Activity Accreditation and International Award for Young People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conclusion, the success of Creative-Experience Activities will be attained by drawing up CRM based on the curriculum framework and making efforts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tween Youth sector and Education sector. 본 연구는 서울시립 청소년수련시설 프로그램을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기준으로 분석함으로써, 창의체험자원지도(CRM)의 지역자원으로서 어떤 가치를 지니며, 어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분석대상은 서울시립 청소년수련시설 24개소의 프로그램으로, 분석자료는 대상 수련시설의 2009년 운영백서와 각 시설 홈페이지 및 유스내비(서울시 청소년정책홍보사이트)에 제공된 2010년 사업계획서에서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수련시설의 목적사업이 전체의 절반 이상(54.7%)을 차지하였다. 또한 자율활동의 비율이 전체의 59.1%로 가장 많았고, 진로활동(7.9%), 봉사활동(7.0%), 동아리활동(4.9%) 순이었다. 프로그램 대상은 청소년을 주 대상으로 하지만, 전연령층을 포괄하고 있었고, 주중에 청소년수련시설을 이용하는 청소년과 지역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에 집중하고 있었다. 시간적 특성은 주중에 편중되는 구조였고, 공간적 특성은 시설로 방문하여 활동에 참여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분석대상 프로그램 중 학교교육과정과 그 개발 및 운영, 평가방식이 유사한 것은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와 국제청소년성취포상제 프로그램이었다. 결론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의 성공은 교육과정의 틀로 창의체험자원지도를 작성하고, 이 과정에서 청소년계와 교육계의 적극적 의사소통 노력을 통해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