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적 방법론과 회계학연구

        김석웅(Kim Seok-woo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16 국제회계연구 Vol.0 No.65

        최근에 우리 나라에서도 질적 방법론과 이를 이용한 질적 연구가 사회학, 간호학, 교육학 등의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회계학계에도 일부가 발표되고 있지만, 질적 방법론의 분야에서 방법론, 이론, 연구방법, 자료조사방법, 자료해석방법 등에 관한 개념들이 명확하게 구명되지 않고 혼재되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연구의 내용분석을 통해서 질적 방법론의 체계를 명확히 하고 연구현황을 살펴서 한국의 회계학계에 질적 방법론과 연구방법의 이해와 확산을 촉진하고자 한다. 질적 방법론은 비판적 방법론과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하는데, 좁은 의미로는 주로 해석적 방법론을 의미한다. 해석적 방법론은 연구대상자의 관점을 이해하고, 연구대상자의 체험을 통해 경험현실을 해석하고 재구성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질적 방법론인 해석적 방법론의 철학적 배경은 해석학과 현상학이고, 주로 이용하는 이론은 사회학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구조화이론, 일상생활방법론, 제도이론, 행위자연결망이론 등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민속지학, 실행연구, 사례연구, 근거이론 등이고, 자료수집방법은 면접, 참여관찰, 현장연구, 문헌조사 등이며, 자료분석방법은 해석학, 서사분석, 기호학(내용분석, 대화분석, 담론분석) 등이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를 내용분석해서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민속지학(ethnography)은 문화기술지, 민속기술지, 종족지학이라고도 하는데, 연구대상인 사람(회계담당자)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적 배경에 대해 연구자가 (비)공개적으로 그들의 삶에 일정한 기간동안 참여하여 직접 체험하면서 자료를 수집하는 연구방법이다. 실행연구(action research)는 현실의 구체적인 문제를 확인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지식을 추구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실행연구에서는 연구로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도 포함한다. 해석적 방법론의 사례연구(case study)는 연구자가 구체적인 사례에 직접 참여하여 체험한 결과를 이용하여 사례를 연구한다. 해석적 방법론에 의한 연구는 주관성, 일반성의 부족 등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을 결합하는 Q방법론, 삼각측정(triangulation) 등의 혼합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Nowadays, Qualitative methodology has also been applied to various disciplines such as Sociology, Nursing, Education in Korea. In Accounting, Although some qualitative researches have been published, their concepts such as methodology, research method, theory, data researching method and data interpreting method have not been clarif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and expansion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nd research method in the Korean accounting community through clarifying the framework of qualitative methodology by content analysis of prior accounting researches. The qualitative methodology means both the critical methodology and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owever it mean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in a narrow sense. It is the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view point of the researched and to interpretate and reconstruct the reality experiencing through lived experienc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of the qualitative methodology are hermeneutics and phenomenology. Theories used in qualitative methodology are sociological theories such as symbolic interactionism, structuration theory, ethnomethodology, institutional theory, actor- network theory. The research methods are action research, case study, grounded theory. In this paper, the research methods of qualitative methodology are the research focus. The ethnography is the research method to collect data on the life style and cultural background of the researched people(accountants) through lived experience participating the phenomena and life of them during some periods. The action research is the process to pursue the knowledge to solve specific problems at the field. The case study of interpretive methodology is to research the case at which the researcher have participated during some periods.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has some problems such as subjectivity and lack of generalit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interpretive methodology, Mixed methods such as Q methodology, triangulation have been used.

      • KCI등재

        한국경영현상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의 재고

        김효근(Hyo Gun Kym),이현주(Hyun Ju Lee),문윤지(Yun Ji Moon) 한국경영학회 2003 Korea Business Review Vol.6 No.2

        한국에 경영학이 도입된 지 50여 년이 지난 지금 경영학은 양적으로 급성장을 하였다. 그러나 그 기간동안의 경영학 연구가 인식론과 연구방법론 차원에서의 실증주의 양적방법론으로 많이 진행되어 옴으로써 상대적으로 해석주의 질적연구방법론이 미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한국 경영학 연구방법론의 연구동향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다차원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며, 이에 기초하여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약했던 질적 연구방법론을 재고함으로써 경험의 의미나 어떤 특정 한 상황 하에서의 인간행위에 대한 목적, 동기와 같은 조직행위자의 관심 등에 관한 보다 깊은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또한 그 동안 도외시되었던 질적 연구방법론에 관심을 갖고, 다차원적 프레임워크에 기초한 질적 연구방법론의 개념과 특징을 재정의함으로써 질적 연구방법론이 경영현상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특히 본질적인 왜의 문제에 대한 선행적 관심을 중심으로 프로세스와 변혁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에서 그리고 총체적 관련성 및 상황적 관점에서 서술한다. 마지막으로 인식론적 차원에 입각한 질적방법론의 보완적 발전으로 향후 한국 경영학 연구방법론 연구의 균형적인 방향을 제언한다. This paper presents multi-dimensional methodology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management research trends in Korea and some altern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o complement both the level of academic inquiry and that of practical usefulness. Proposed are the multi-dimensional methodology framework originated from (1) the epistemological, (2) methodological and (3) time dimension. Whil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growth in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for more than 50 years, the research community is critically influenced by both dominant perspective of positivism and dominant quantitative-oriented research methodology. Although conventional quantitative studies have contributed to the logical verification and generalization of managerial theories, there still exist research needs exploring the profound meaning of experiential phenomena or human behaviors in the managerial context. It is, therefore, essential to suggest some complementary research methodologies that would grasp the holistic approach to business organizations for balanced academic or practical development. The redefined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qualitative methodologies are illustrated in terms of the multi-dimensional methodology framework. Finally, the benefits that qualitative methodology can provide are discussed.

      • KCI등재

        국내 교육공학 분야 질적 연구 동향의 질적 탐색

        이은택,임상훈,이두섭,유영만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그동안 수행되어온 교육공학 분야의 질적 연구의 질적 변화를 분석하고 앞으로 교육공학분야의 질적 연구의 성숙을 위한 방향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저자의 특성, 연구제목, 질적 연구에 대한 정의 부분, 연구방법, 연구목적, 연구자의 연구개입 정도(연구도구로서 연구자), 연구에 대한 평가(제언)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시간성과 공간성의 기준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는 질적 연구 수행의 인식 변화과정과 상호작용을 살펴보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들의 성찰과정이기도 했다. 시간적 흐름은 질적 연구를 하나의 ‘방법론’으로 이해하는 과정으로 데이터-방법적-방법론적 단계 변화가 있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상황은 질적 연구의 방법론적 성장에 촉매제가 되었다. 공간적 제약은 양적 연구가 다수인 교육공학 분야의 특수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연구의 정당성을 위한 양적 연구자 설득하기, 질의 양화를 통한 연구의 객관성 입증하기, 소극적인 결론 제시를 통한 양적 연구 회귀하기와 같은 현상들이 발견되었다. 향후 교육공학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성숙된 발전을 위해서는 질적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접근, 질적 연구에 적합한 심사기준 마련과 방법론 교육, 방법론 수용에 있어 유연성이 필요하다. 특히 다양한 방법론에 대한 수용은 개인적 노력을 넘어서 학문공동체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노력은 학문공동체의 질적 성장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사제관계 기반 질적 연구자 되기 과정

        이동성(Dongsung Lee)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3

        이 글의 목적은 사제관계에 기초하여 질적 연구 전문가로 성장 및 발달해 가는 과정을 자문화기술지로 이야기함으로써 한 질적 연구자의 변환적인 과정과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입문 단계(起): 현장교사였던 나는 한 스승의 진정성 있는 격려로 질적 연구방법론에 입문할 수 있었다. 성장 단계(承): 질적 연구 초심자였던 나는 스승의 전문적인 도움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방법론의 세부 절차와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 또한, 나는 스승을 통해 단편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수준을 넘어, 질적 연구방법론자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 자질을 갖추게 되었다. 발달 단계(轉): 전임교수가 된 나는 스승의 학문적 리더십으로 연구방법과 연구영역을 확장할 수 있었다. 세대전이 단계(結): 질적 연구방법론자가 된 나는 스승의 학문적 열정을 거울삼아 또 다른 스승으로서 후세대를 양성할 수 있는 역량을 갖게 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사제관계를 기반으로 한 질적 연구자의 성장과 발달 과정을 조명함으로써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교수 및 학습 전략을 제공하고, 질적 연구방법론의 전승과 발전을 위한 경험적 및 이론적 자료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transitional process of becoming a qualitative researcher and its meaning through autoethnography based o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o teach and learn qualitative research. The specific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Introduction stage 1: I as a doctoral student and school teacher had become a master’s pupil owing to authentic encouragement of a professional who was a master in qualitative research domain. Growth stage 2: I as a novice qualitative researcher and dispatched teacher could have learned methodic procedures and skill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rough professional help of my master. Also, I as a qualitative researcher could have built expertise to become a proficient research methodologist with master’s help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Development stage 3: I who became a professor in a university could have expanded and extended research topics and methods such as autoethnography and life history research thanks to master’s academic leadership.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stage 4: I who became aa master in qualitative research could have taught next generation who want to be a qualitative researcher by mirroring my master’s academic enthusiasm. The results of this paper could be an empirical and theoretical exemplar in teaching and learning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y shedding light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a qualitative researcher in term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 다문화 연구에서의 질적 연구 방법론의 활용과 가치

        지영임(Chi, Young Im)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2014 다문화와 인간 Vol.3 No.2

        질적연구방법론은 현재까지 각 학문분야에서 꾸준히 행해져 왔지만, 다문화연구에서 질적연구방법론이 적용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따라서 질적연구방법론이 다문화연구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인류학에서 다문화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 재검토할 시기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구술자료는 한 개인이 지나온 삶을 자신의 말로 이야기한 기록이기 때문에 주관적이며, 개인적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구술자료의 가치는 주관성과 개인성에서 나온다고도 할 수 있다. 구술생애사는 개인을 통하여 사회와 구조를 바라보는 관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구술자료를 통해 이주민이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각 구술집들이 이주민을 주체적으로 표현하려는 시도는 하고 있지만,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의미를 드러내는 데 한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주자를 ‘피해자의 관점’이나 ‘시혜의 대상’, ‘스스로 말할 수 없는 존재’로 표상하고 있다. 구술사는 사회와 문화의 개념이 개인에 의해 어떻게 정의되고 만들어지는지를 이해하는 연구로 구술자의 경험이 역사적인 것이 될 수 있도록 사회적 맥락을 되짚는 연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알 수 있는 다문화연구에서의 질적연구방법론의 효용과 가치는 현재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우리’의 문제를 이주자의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경험과 회상을 통해 문제를 파악하고 그들의 삶의 맥락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을 도출해내는 것에 있다. 이러한 연구는 결과적으로 중앙정부나 지자체가 일반적인 경향이나 추세 속에서 요구하는 다문화연구가 아니라 현지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현지민의 문화적 이해 속에서 요구되는 사회적 변화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질적연구방법론의 가치와 유용성은 여기에 있다. Even th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applied and practiced in a number of disciplines, the applica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multicultural studies has not been so long.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review how it can be applied to multicultural research and how the latter should be done in the anthropology. Oral history data are subjective and personal, because it is the records of an individual who writes about his own life in his own words.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their value as historical data has been often controversial. But it could be also argued that the value of oral history data is based on the subjectivity and individuality itself. Thus oral history would provide a point of view to consider the society and the structure through the individual. This study examines how immigrants are actually being reproduced in the oral history data. As a result, it could be argued that, although every collection of oral history data attempts to represent migrants as a subjective agency, they often reveal limits not to show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So they regard migrants from the ‘victim’s point of view,’ only as ‘objects for mercy’ or as ‘the being without agency’. Oral history is a study that will understand how the concept of society and culture is defined by the individual. Therefore, oral history should be a study that tracks the social context. Then the experience of those who have spoken would be historical. Use and valu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the multicultural studies lies in identifying ‘our’ problems which the current society is faced with, based on the personal, subjective experience and recollection of immigrants, and in deriving a method to solve the problem in the context of their lives.

      • KCI등재

        질적 종단 연구 실행 과정 분석을 통한 방법론적 특징과 실천 전략 탐색

        임종헌,도재우 한국질적탐구학회 2024 질적탐구 Vol.10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질적 종단 연구의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방법론적 특징과 실천 전략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방법론적 관점에서 질적 종단 연구의 의미를 논의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질적 종단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 9명을 섭외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질적 종단 연구의 각 실행 과정별(연구 기획, 연구진 구성, 연구참여자 표집, 자료 수집, 자료 분석, 연구 결과) 방법론적 특징과 세부 실천 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우리나라 질적 종단 연구는 대부분 양적 종단 연구의 대체재 또는 보완재로 기획되었다는 점, 둘째, 연구 과정에서의 유연성 및 맥락적 재구성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 셋째, 고부담 연구 방법으로서 장기적, 체계적인 연구팀을 구성하였다는 점, 넷째, 자료 분석 과정에서 연구자의 경험이 활용된다는 점 등을 논의하였다. 아울러, 방법론적 정체성을 논의하여 우리나라의 질적 종단 연구를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와 긴 연구 기간 동안 동행하며 반복적으로 만나고, 질적 자료의 수집, 분석, 축적의 과정을 순환적으로 수행하는 연구로서, 연구 대상의 변화와 그 변화의 맥락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는 연구”라고 정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strategies that emerg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qualitative longitudinal research in Korea and, based on this, to discuss the meaning of qualitative longitudinal research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We conducted interviews by recruiting 9 researchers(Research participants) who conducted qualitative longitudinal studie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strategies were derived for each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qualitative longitudinal study (research planning, composition of the research team, sampling of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most qualitative longitudinal studies in Korea were planned as substitutes or supplements to quantitative longitudinal studies; second, flexibility and contextual reconstruction are achieved in the research process; and third, it is a systematic and high-stakes research method. The need to form a research team was discussed, and fourthly, the researcher’s experience was utilized during the data analysis process. In addition, by discussing methodological identity, qualitative longitudinal research is defined as “a study in which researchers accompany research participants for a long period of research, meet repeatedly, and cyclically perform the process of collecting, analyzing, and accumulating qualitative data, and aims to understand the change in the subject and the context of the change”.

      • KCI등재

        인사조직 분야 내 질적연구 진행 과정과 논문의 구성

        김나정 한국인사관리학회 202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6 No.2

        The current paper aims to provide a primer on the application of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researchers in the fields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With this goal in mind, I introduce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to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method, I discuss common misconceptions about qualitative research. Further, I describe each step of the entire procedures of conducting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and explain key points to consider in each step. I also discuss how to write academic research papers apt for presenting qualitative research by explaining basic components of those papers and providing example writing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I hope that this paper provides easily accessible and practical guidelines on how to conduct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and promotes applications of the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management research. 본 글은 조직행동 혹은 인사관리 분야에서 귀납적 질적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연구를 시작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을 위해 귀납적 질적연구에 대한 기본지침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목표로 귀납적 질적연구방법론에 대한 정의와 특성을 소개하고, 해당 연구방법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자 질적연구방법론에 관한 오해와 진실을 논의한다. 또한, 귀납적 질적연구방법론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 전반에 대한 단계별 소개와 각 단계에서 중요한 요인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귀납적 질적연구 논문 작성에 적합한 논문 구성 요소를 소개하고 논문 작성 예시와 주요 참고 문헌을 제공할 것이다. 본 글이 귀납적 질적연구방법론을 활용한 연구 과정과 논문 구성에 대한 쉬운 이해와 실무적인 지식나눔을 장려하여 앞으로 조직행동과 인사관리 분야에서 귀납적 질적연구방법론을 바탕으로 한 더 많은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새로운 관점의 혼합연구 방법론 활성화 방안 탐색: 실용적 질적 연구와 비판적 실재론에기반한 혼합연구를 중심으로

        변기용,손다운,신유진,이승희,이현주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4

        This study examined activation plan of mixed methods methodology from a new perspective, focusing on pragmatic qualitative research and mixed methods research based on critical realism. The rigid thinking based on the dichotomous paradigms, positivism (empiricism) vs. constructivism (interpretivism), caused problems such as the incommensurability of quantitative vs.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rigidit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However, depending on a more flexible perspective to the mixture of paradigms, this study suggests that not only (1) physical combination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conventional mixed research) but also (2) chemical combinations (pragmatic qualitative research) would be possible. Analyzing qualitative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Research from 2010 to June 2022, the researchers pointed out that in our academic community (1) pragmatic qualitative research as well as intrinsic qualitative research has already been actively conducted, and (2) there were limitations to the conducting method of mixed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them,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mixed methods research from a new perspective based on critical realism and change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hereafter. Finally, in order for a new perspective on mixed methods research to spread out to the field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t was proposed that a place for an open and critical debate in our community should be systematically prepar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실용적 질적 연구와 비판적 실재론에 기반한 혼합연구를 중심으로 새로운 관점의 혼합연구 방법론 활성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실증(경험)주의 vs. 구성(해석)주의 패러다임에 기반한 경직된 이분법적 사고는 우리 학계에 여전히 존재하는 양적 vs. 질적 연구의 공약불가능성과 질적 연구 수행방식의 경직성이라는 문제점을 초래해 왔다. 하지만 패러다임의 혼합을 바라보는 보다 유연한 관점에 따르면 (1) 양적 + 질적 연구의 물리적 결합(기존의 혼합연구)뿐만 아니라 (2) 화학적 결합(실용적 질적 연구)까지도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육행정학연구」에 2010~2022년 6월에 게재된 질적 연구 논문 분석을 통해 교육행정학계에서는 (1) 본질적 질적 연구뿐만 아니라 실용적 질적 연구가 이미 광범위하게 수행되고 있으며, (2) 혼합연구를 수행하는 방식에 다양한 한계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향후 비판적 실재론에 입각한 새로운 관점의 혼합연구의 활성화, 질적 연구 방법론 교육의 방향 전환이 필요함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혼합연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교육행정학 분야에 확산되기 위해서는 향후 학문공동체 내 개방적이고 비판적인 토론의 장이 체계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을 결론을 대신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빈곤연구의 방법론적 편향성과 질적연구의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준용(Joon Yong Jo) 한국사회정책학회 2012 한국사회정책 Vol.19 No.4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사회정책에서 다루고 있는 양적방법론 중심의 빈곤연구의 경향과 한계를 살펴보고, 한국복지패널 연계 질적패널 구축에 맞추어 빈곤의 다차원성과 역동성 연구를 위한 질적종단연구의 활용방안을 탐색하였다. 우리나라의 빈곤연구는 초창기의 정태적 분석에 기반한 빈곤실태 및 원인분석으로부터, 1990년대 이후 양적패널자료들의 출현과 함께 빈곤의 다차원성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역동성을 보여주는 종단적 연구로 발전해 왔다. 이러한 양적연구들은 통계적 일반화를 통해 변수들 간의 상관성을 잘 제시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연구들 간의 차별성이 부각되지 못하고, 사용변수의 포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는 양적패널자료가 연구 대상자의 복잡하고 다양한 빈곤과 삶의 경험을 단순한 수치로 축약시켜, 측정 가능한 주요 사건들에 대해 계량적 분석만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에 기인한 것이다. 이에 비해 질적연구는 비과학성이라는 편견에 맞서 자체의 고유한 인식론을 기반으로, 변화의 맥락이나 개인의 경험과 태도, 행위동기 및 결과, 삶의 통찰을 통한 결과의 적용성 및 논리적 일반화를 제공한다. 또한 질적자료가 양적자료와 결합될 경우 양적연구들에서 나타난 다양한 수치를 보다 생생하게 해석할 수 있고, 측정의 다원화에 기여할 수 있어, 연구방법의 엄격성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질적자료가 종단적으로 수집될 경우, 질적종단연구를 통해 빈곤층의 다차원적이고 동태적인 경험을 변화의 맥락속에서 이해할 수 있어, 보다 풍부한 빈곤 담론과 정책 대안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연계 질적패널 구축의 의의를 살펴보고, 빈곤의 다차원성과 역동성 연구를 위한 종단적 질문들을 범주화하여 질적종단연구에서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current trend of poverty research in Korea with special emphasis on revealing preferences in quantitative methods for the study of multidimensional nature and dynamics of poverty. Korea`s poverty research trend has changed from the analysis of static poverty to dynamics poverty, of which trend was expedited by the establishment of quantitative panel data since the late 1990s. While the quantitative poverty research was successful in providing statistical generalization of determinants factors associated with in-and-out of poverty, it had some limitations in delivering the other side of poverty story, including individual experiences, insights into people`s attitude, and the context of life changes. Recently,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recognized by its contribution to the holistic understanding of poverty which may leads to theoretical generalization. Qualitative method can also bridge the gap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and be combined with quantitative method to become a mixed method, which may strengthen both methods in a complementary way. In this perspective, utilizing qualitative longitudinal method based on qualitative panel data linked to Korean Welfare Panel Study(KOWEPS) could be an alternative way to balance methodological orientations under current strong quantitative positions in poverty research trend. Finally, this study explores qualitative-longitudinal inquiries that link to relevant research topics for multidimensional nature and dynamics of poverty.

      • KCI등재후보

        질적연구방법론 수강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안종순(Jongsun An)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45 No.1

        이 글은 아동상담 대학원생이 타 대학원의 질적연구방법론 수강에 대한 경험을 자문화기술로 탐구한 내용이다. 나는 2022년 2학기 질적연구방법론 과목을 수강한 약 4개월간의 이야기를 위해 강의계획서, LMS 게시판, 과제, 필기 노트, 교수자 피드백, 성찰일지, 수업 활동 사진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전사하여 목록화한 다음 내용분석과 분류분석하여 주제를 구성하였다. 고백적, 에믹과 에틱적 글쓰기를 하였고, 질적연구 수업자와 동료 간 협의를 3회 하였다. 동료 수강생에게 발표를 하며 타당도와 연구윤리를 지키려고 노력하였다. 세 개의 주제와 아홉 개의 하위 범주로 결과를 논의하였다. 첫째, 생활세계와 친숙한 질적연구에서는 색다른 수업 경험과 질적연구방법론 수업과 가까워지기, 주변의 모든 것이 연구주제가 될 수 있는 경험을 탐색하였다. 둘째, 체험으로 출발해 이론에 도착하는 수업에서는 인터뷰 실습에서 나의 일깨움과 타인의 논문을 비평하는 나의 인식과 안목, 아주 커다란 포스트 잇을 해체하였다. 셋째, 상호작용이 있는 질적연구방법론의 힘에서는 먼저 열어 보이는 k선생님, 목소리 좀 낮추고, 함께해서 의미 있는 질적연구방법론을 논의했다. 타과의 질적연구방법론 수업 경험을 다룬 이 글이 질적연구를 어려워하거나 질적연구방법에 사소한 오해를 가진 연구자들의 편견을 깨는 연구사례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experience of child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tak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t other graduate schools with self-ethnography. I collected data with syllabus, LMS bulletin boards, assignments, notes, instructor feedback, reflection journals, and class activity photos for four month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ourse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I have peer reviewed three times between instructor and colleagues to increase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were discussed in three topics and nine subcategories. First, qualitative study familiar with the living world, a different class experience, getting closer to the clas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nd an experience where everything around them can be a research topic were explored. Second, class star s from experience and reaches to theory, I dismantled my awakening in interview practice, my perception and perspective of criticizing other people’s papers, and a very large post. Third, in the power of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ith interaction, we first discussed a meaningful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y matching the open k teacher and voice. It is expected that this article will be used as a research case that breaks the prejudice of researchers who have difficulty in qualitative research or have minor misunderstandings i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