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학업적․정서적 지지와 진로의식 성숙도의 관계에서 자아개념의 매개효과

        이선영(Lee, Sun-Young),송주연(Song, Juye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의 3∼6차년도 종단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지각하는 부모의 학업적․정서적 지지와 자아개념, 진로의식 성숙도의 예측 양상을 4년에 걸쳐 관찰하고자 하였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분석 결과, 부모의 학업적 지지의 초기값은 진로의식 성숙도의 초기값을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나 진로의식 성숙도의 변화율은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부모의 정서적 지지의 변화율은 진로의식 성숙도의 변화율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부모의 학업적․정서적 지지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학습자의 자아개념의 초기값과 변화율을 모두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학습자의 자아개념의 초기값은 진로의식 성숙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자아개념의 변화율은 진로의식 성숙도의 변화율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따라서 학습자가 지각하는 부모의 학업적․정서적 지지는 자아개념의 초기값과 변화율을 통해 진로의식의 초기값과 발달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학습자가 지각하는 부모의 지지와 진로의식 성숙도의 예측 관계에서 학업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의 독립적인 예측 경로를 파악함과 동시에 자아개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즉, 초등학교 6학년 시기의 부모의 지지와 자녀의 자아개념과 이후 이들의 발달양상은 초등학교 6학년 시기의 진로의식 성숙도를 예측할 뿐만 아니라 이후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진로의식 성숙도의 발달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적 방안을 제안하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predictive patterns of parental academic and emotional support, self-concept, and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as perceived by learners using 4 years of data of SELS(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showed that initial values of parental academic support statistically predicted the initial value of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but predicted the change rate of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as negative. Additionally, the change rate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statically predicted the change rate of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parental academic and emotional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learners’ self-concept. The initial value of learner’s self concept predicted the initial value and the change rate of career consciousness in a significant manner, and the rate of change of self concep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change rate of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This study confirms the important mediating effect of self-concept while also highlighting the independent predictive path of academic and emotional support in the predi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support, as perceived by the learner and career maturity.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parental support and the self-concept of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career maturity in the sixth grade of junior high school as well as the maturity of career consciousness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we were able to propose a practical educational plan for the development of learner’s career consciousness and were also able to present a policy alternative.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과 다중지능과의 관계분석

        이현림,김순미 한국청소년학회 2004 청소년학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career matur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were gender and region related to the career maturity levels? Second, what were the degrees of patterning of multiple intelligence levels related to the gender and region? Third, what we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areer matur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comprised of 404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ndomly selected.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administered Career Maturity Inventory(Crites, 1978) and 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ment Assessment Scale(Shearer, 1995).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echniques. The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maturity was statistically somehow related to the gender and reg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multiple intellig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on multiple intelligences related to the region. Third, there were also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between the career matur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lend partial supports to the hypothesis that career maturity was negatively associatied with the degrees of patterning of multiple intelligences. 연구목적은 진로발달 과정의 인식단계에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에게 잠재해 있는 다양한 능력들을 파악하여 진로의식성숙을 발달시키고 효율적인 진로지도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수준을 분석하고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와 경북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04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진로의식성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이현림(1994)이 번안한 Crites(1978)의 진로의식성숙검사(CMI)를 사용하였다. 다중지능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Shearer(1995)에 의해서 개발된 초등학생용 MI 발달 평가 척도와 자연주의 지능 문항이 포함된 K-MIDAS(김현진, 1998)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t검증을 하였고,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성별에 따른 분석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진로관여성, 진로선택의 태도, 진로독립성, 진로결정성, 진로타협성 영역에서 높은 평균을 보여주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한편 지역별에 따른 진로의식성숙 수준에서는 농촌학생이 도시학생보다 진로관여성, 진로선택의 태도, 진로독립성, 진로결정성, 진로타협성 영역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다중지능 수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위영역에서 여학생은 음악, 공간, 언어, 대인관계, 개인이해 지능이 남학생보다 평균이 높았고, 남학생은 신체, 논리, 자연주의 지능에서 평균이 높았다. 반면에 지역에 따른 분석에서는 농촌학생이 도시학생 보다 평균은 다소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 사이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이나 다중지능은 지능, 능력, 흥미 등 어느 한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진로지도는 여러 가지 다양한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개인의 다양한 내․외적 요인들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겠다.

      • KCI등재

        기독 대학생의 신앙성숙도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매개효과

        정숙희,이혜주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7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alling in a relationship between the spiritual maturity and career maturity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384 Christi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mature students tended to show more mature career preparation.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alling in a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maturity and career matur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ived call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ose who are spiritually mature tend to have a greater sense of perceived calling, which leads to high career maturity. The results implied that Christian college students will gain higher perceived callings resulting from greater spiritual maturity, and this will lead them to develop career matur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educational program that helps Christian college students finding their callings and follow their callings so that they might have a more mature career preparation attitude once they choose a career path.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 대학생들의 소명의식이 신앙성숙도와 진로태도성숙 정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기독학생들 38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본 연구에서 성숙한 신앙생활을 하는 학생일수록 진로태도성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소명의식은 신앙성숙도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숙한 신앙생활을 하는 학생들이 높은 소명의식을 가지며 이와 같은 높은 소명의식은 그들로 하여금 성숙한 진로태도를 가지게 한다는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미루어 보면, 기독학생들이 단지 성숙한 신앙생활을 한다고 하여 졸업 후 진로에 대해서도 확실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독립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신앙생활을 통하여 높은 소명의식을 가지고 이 소명의식에 따라 자신들의 진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준비하는 성숙한 태도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독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명을 발견하고 소명의식에 따라 진로를 결정할 수 있는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자기결정성, 진로의식성숙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이지혜(Lee, Ji-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자기결정성, 진로의식성숙, 그리고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자기결정성과 진로의식성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14명이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자기결정성, 진로의식성숙,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를 설명하는 최종모형의 적합도는 χ²=83.291, df=30, ρ=.000, RMSEA는 .078, GFI는 .930, TLI는 .901로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정체 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자기결정성과 진로의식성숙이 매개 효과를 가지는 완전매개모형으로 나타났다. 즉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직 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자기결정성과 진로의식성숙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도 있을 것이라는 가설적 모형과는 달리 자기결정성과 진로의식성숙이 매개변수로 투입되면서 진로정체감의 직접적 효과는 없어지고, 자기결정성과 진로의식성숙을 통한 간접적 효과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진로정체감을 형성시킨 후 이를 통해 자기결정성과 진로의식 성숙을 발달시킬 수 있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진로 프로그램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ident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determination, career maturit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career maturity.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4 university students in the Chungbuk province. AMOS 20.0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hypothetical model was fitted to the empirical data(χ2=83.291, df=30, p=.000, RMSEA=.078, GFI=.930, TLI= .901). Second, it was found university students self-determination, career maturity were all meditating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to maximize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needed to promote career identity,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maturity

      • KCI등재

        진로장벽이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영향

        박미경,이현림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5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on jobs seeking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problems of the study were first, how did the career barriers influence on jobs 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what were the differences in the career barriers according to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336 undergraduate students at three universities, Korea. For comparing in the differences on the career barriers on jobs seeking str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data was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tilizing SPSS win 15.0. The results for the study were first, there appeared to b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areer barrier and jobs seeking stress. Second, the career barriers were negatively influenced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It may be useful to conduct a study similar to the one reported here with students in other regional universities in Korea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진로를 선택하고 준비하는데 있어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의식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취업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칠 것인가?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은 진로의식성숙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칠 것인가? 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와 K도에 소제한 3개 대학교 학생 336명을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탁진국과 이기학(2001)이 개발한 진로장벽 검사, 코넬대학교의 스트레스 측정법을 토대로 수정 보완한 강유리(2006)의 취업스트레스 검사 및 진로의식성숙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기학(199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장벽 중 직업정보의 부족이 취업스트레스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는 필요성 인식부족이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장벽 중 직업정보가 부족할수록 진로의식성숙의 결정성, 목적성 및 확신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또한 우유부단한 성격이 준비성과 독립성 수준을 낮게 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처럼 진로에 대해 대학생들이 느끼는 장벽은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의식성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더욱이 진로장벽 하위요인에 따라 영향력의 크기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요인을 고려해서 진로상담을 실시한다면 취업스트레스 완화와 진로의식성숙 수준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이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송진섭,김순미,서은주,이현림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verify the effects of an activity-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which was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community. The hypotheses for this study were first, the career maturity levels in an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activity-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would be enhanc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achievement motiv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in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30 students of D and O elementary schools in K city, Korea. They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y 15 students respectively. 12 sessions of the career group counseling were carr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60 minutes per session. For comparing in the differences on the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between the two groups,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analysis of covarianc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activity -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enhanced the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community. Therefore, the activity-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articipants' career maturity and achievement motivation levels. 본 연구의 목적은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을 실시하여 농촌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은 첫째,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진로의식성숙은 통제집단보다 향상될 것이다. 둘째,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성취동기는 통제집단보다 향상될 것이다. 연구대상은 K도 K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와 인접한 O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진로의식성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Crites(1978)가 개발한 CMI(Creer Maturity Inventory)를 이현림(1994)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성취동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McCelland(1965), Weiner(1972) 및 Heman(1970)의 성취동기 검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을 실시한 후 실험과 통제집단의 사전과 사후검사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진로의식성숙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초등학생이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식성숙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초등학생이 통제집단보다 성취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활동중심 진로집단상담 적용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성취동기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잠재성장 모형을 활용한 진로성숙과 공동체의식의 관계 연구

        한상준(Sang-Jun Han),현순안(Soon-An Hyun),허균(Gyun Heo)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6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중1패널의 5년(2016~2020년)간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2학년에 이르는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공동체의식의 변화함수를 탐색하고, 두 변수의 종단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또, 성별과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고교유형을 조건으로 하여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은 공동체의식의 초기값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공동체의식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성별에 따른 변화하는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일반고와 특성화고로 구분하여 적용한 고교유형은 진로성숙도와 공동체의식 초기값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모두 유의미하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고와 특성화고로 진학한 학생들은 중1부터 진로성숙도와 공동체의식 모두에서 개인적인 차이를 보인 것을 의미한다. 셋째, 진로성숙도 초기값은 공동체의식 초기값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진로성숙도의 변화율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나타냈다. 즉, 중1 시점의 진로성숙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하는 진로성숙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중1 시점의 공동체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공동체의식의 초기값은 진로성숙도의 변화율과 공동체의식의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즉, 중1 시점의 공동체의식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하는 공동체의식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진로성숙도의 변화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 function of career maturit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of adolescents from the 1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 2nd year of high school by using the longitudinal data for 5 years(2016-2020) of the 1st panel of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BELS).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verified. In addition, we explored the effects of gender and high school types of general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as a condi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o follows. First, gender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ommunity consciousnes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nse of community by gender as time passed. Second, the type of high school divided into general high school and specialized high scho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initial values ​​of community consciousness. However, all of them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It means that students who entered general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showed individual differences in both career maturity and sense of community from middle school. Third, the initial value of career matur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itial value of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ignificantly affected the rate of change of career maturity. That is, the career maturity at the 1st point in middle school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that changed over time,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at the 1st point in the middle school. Fourth, the initial value of community conscious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rate of career maturity and the change rate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sense of community at the time of middle school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ense of community that changed over time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in career maturity.

      • KCI등재

        고등학생의 소명의식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봉주,김영빈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7 교육혁신연구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calling,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in general. Method: Distributed a survey to 306 high school students and performed the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on their valid data by using SPSS/WIN 20.0.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if there is any difference in high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calling by genders or religion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calling as a whole by genders or religions; however, among the subvariables of calling, transcendental calling indic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s and religion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identified calling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lling and career maturity. Conclusion: As a result, all the subvariables of calling have been foun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ubvariables of career maturity.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소명의식 수준을 파악하고 소명의식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9개교의 고등학생 30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ANOVA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명의식 하위변인 중 초월적 부름에서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소명의식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다소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성숙도와는 낮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고등학생의 소명의식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소명의식의 모든 하위변인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및 진로성숙도의 하위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소명의식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 등 진로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소명의식을 다루는 진로교육의 가능성 및 고려할 점을 도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이 지각하고 있는 진로결정유형 및 진로의식성숙도에 관한 연구

        이성하 ( Sung Ha Lee ),이문정 ( Mun Joung Lee ),나운환 ( Woon Hwan Na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학생의 진로결정유형과 진로의식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보고, 진로결정유형과 진로의식성숙도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여 향후 진로지도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로결정유형, 진로의식성숙과 관련된 이론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설문지를 작성하여 정서장애학생들의 의식을 실증 조사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test, 판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분석은 유의수준 .05 이하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는 첫째, 성별과 장애등급에 따라 진로의식성숙도의 하위영역이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둘째, 부모의 학력에 따라 진로의식성숙도에 하위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진로의식성숙도와 진로결정유형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진로의식성숙도의 하위영역인 진로관여성과 진로타협성 영역은 합리적 유형의 진로결정유형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career guideline which is helpful by figuring out factors affect and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and career maturity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 reviewed to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s and career maturity and the samples consisted 85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dministered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CMI) by Crites and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ACDM) by Harren. For the statical analysis, t-test, discriminant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by SPSS 17.0 program have been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gender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Career maturity(career involvement, career orientation) but no significant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Second, for grade disabilit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Career maturity(career involvement, career independent) but no significant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Third, for parents`s education level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Career maturity(career involvement, career independent, career orientation) but no significant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For parent`s economic capabilit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 Career maturity(career independent) but no significant career decision making pattern. Fi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pattern showed statistically correlation at p<.05 level.

      • KCI등재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또래애착, 공동체의식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수희,조한익,허인화,하아영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6

        본 연구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또래애착, 공동체의식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와 더불어 진로성숙도의 조절된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8차년도 자료인 고등학교 3학년 학생7,324명으로 남학생은 3,623명, 여학생은 3,701명이다.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또래애착, 공동체의식, 진로성숙도및 학업성취도는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애착은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공동체의식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게나타났다. 단순기울기를 살펴본 결과 진로성숙도 하집단은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진로성숙도 상집단은 공동체의식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래애착이 공동체의식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또래애착이공동체의식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진로성숙도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또래애착, 공동체의식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와 더불어 진로성숙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관계. 진로발달과 관련된 변인들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본다 Our study explored the connection between peer attachment, community feeling,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areer maturity. The study involved 7,324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comprising 3,623 males and 3,701 females, using data from the 8th year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Education in 2013. We observed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peer attachment, community feeling,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performance. Peer attachment was found to mediate and influence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the sense of community. Career maturit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feeling and academic performance. On a simple slope, the group with lower career maturity demonstrated higher academic performance as the sense of community increased. Conversely, the group with higher career maturity showed lower academic performance as the sense of community increa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community feeling, and academic performance,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have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influence of peer attachment on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community feeling varied based on career matur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eer attachment, community feeling,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academic performance among third-year high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