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공-튜브 내 초 고속열차의 공력성능 향상을 위한 디자인 선행분석 연구

        최용혁,송상민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1

        Background: Evacuated tube trains that can overcome the driving limit of conventional wheeled trains and reduce driving resistance through running in Evacuated tubes are evaluated as an alternative to future high-speed transportation.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design of Evacuated tube trains in Korea. Therefore, Evacuated tube trains research on understanding, analyzing will not only be timely, but will also be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research. Methods: Evacuated tube train design to provide basic knowledge in research First, we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of the Evacuated tube train and investigate the techn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Secondly, we investigate the optimum shape for air resistance reduction in Evacuated state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 and air resistance. Finally, we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high-speed trains and Evacuated tube trains in terms of driving stability and provide basic knowledge on the concept of efficient. Result: The biggest challenge for Evacuated tube vehicles is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rains and the resistance of air in the tubes. So the aerodynamic form of the pod is very important. ① Parallelogram shape is more advantageous than general trapezoid shape in high speed train. ② Hexagon shape is more advantageous than parallelogram shape to gain lift for pod. ③ When the shapes of the frontal and occipital regions are the same, the shape of the occipital region is advantageous for the shape of the occipital region. Conclusion: The direction of the Evacuated tube design is as follows. First, the Evacuated tube design is optimized for the environme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erodynamically important to establish a space between the tube and the pod to study the proper speed and light weight at the same time. Finally, Evacuated tube trains have not yet been technically solved. Therefore, the latest technology trends must be considered in a complex way. 연구배경: 아진공 튜브 내 주행을 통해 기존 바퀴식 열차의 점착력 구동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진공 튜브 열차는 미래 초고속 교통수단의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진공 튜브 열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에서 진공 튜브 열차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해 보고 이를 정리하여 분석하는 것은 시의적절할 뿐 아니라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연구방법: 진공 튜브 열차 디자인 연구에 기초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첫째, 문헌 조사 및 진공 튜브 열차 개발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진공 튜브 열차에 대한 기술적, 역사적 배경을 조사한다. 둘째, 환경에 따른 형태와 공기저항에 대한 상관관계 선행 연구 조사 분석을 통하여 아진공 상태에서 공기저항 저감을 위한 최적 형상 고찰을 해본다. 마지막으로 아진공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효율적인 진공 튜브 열차의 형태 개념에 대한 기초지식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진공 튜브 열차의 가장 큰 과제는 열차의 이동 시 발생하는 마찰과 튜브 내 공기의 저항을 줄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① 일반고속열차에서 많이 사용하는 Trapezoid형태보다는 Parallelogram 형태가 더 유리하다.② Hexagon 형태가 포드를 띄우기 위한 양력을 얻기 위해서는 Parallelogram 형태보다 유리하다. ③ 최신 해외 차량을 분석한 결과 전두부와 후두부의 형상이 같은 경우 와류에 의한 견인력이 발생하므로 후두부의 와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변형 Hexagon형태가 유리하다. 결론: 진공 튜브 디자인의 방향은 첫째, 공기 역학 디자인을 넘어선 아진공 상태의 튜브라는 환경에 맞는 디자인을 통한 다양한 환경변수를 적용하여 최적화된 외형을 구축한다. 둘째, 튜브와 포드와의 공간을 확보하여 적합한 속도와 경량화를 동시에 연구하는 것이 공기역학적으로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진공 튜브 열차는 아직 기술적으로 해결이 안 된 부분이 많다. 따라서 최신 기술 트랜드를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진공의 압력과 시간을 달리할 때 시멘트시험편의 유효공극률 변화

        이상규,이태종,김형찬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12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5 No.4

        진공 수포화 과정에서 진공시간과 진공압력을 달리하면서 진공시간 및 압력이 유효공극률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시멘트와 모래의 무게비가 1대1인 3개의 시멘트 시험편과 100% 시멘트 모르타르 3개 등 총 6개 시험편을 이용하여 진공 압력을 2, 4, 6, 8, 10 torr, 진공시간을 20, 40, 60, 80, 100분으로 달리하며 측정되는 유효공극률을 비교하였다. 평균 약 25%와 40%로 비교적 큰 유효공극률을 갖는 시멘트 시험편에 대하여 진공압력이 10, 6, 2 torr 일 때진공시간이 100 ~ 20 분으로 변화하는 3개 시험군 끼리의 결과를 비교하면, 절대편차의 평균값이 0.6%에서부터 0.5%, 0.2%로 작게 나타났다. 진공시간이 100, 60, 20분일 때 진공압력을 각각 2 ~ 10 torr로 변화시키면서 수행한 실험군 끼리의 유효공극률을 비교해도 진공시간이 짧아지면 절대편차의 평균값이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로부터 진공압력/진공시간에 관한 국제암반역학회(ISRM) 표준(제안)시험법의 "6 torr 이하/ 1시간 이상"의 단서로 유추할 수 있었다. 동일한 진공압력에서 진공시간이 20분씩 줄어들 때의 효과와 동일한 진공시간일 때 진공압력이 2 torr씩 낮아질 때의 효과를 정성적으로 밖에 확인할 수 없었는데 그 이유로 습식진공으로 포화된 시험편 내 수분이 105oC 오븐 내에서의 건조과정 후에 도 완전히 건조되지 않아서 시험편의 초기 함수정도를 동일하게 할 수 없기 때문임을 밝혔다. Effective porosity has been measured for cement specimen as a function of vacuum time and pressure in the vacuum saturation process. Six cement specimen are used; three of them are made of the same ratio of cement and sand, the other three are 100% cement mortar, of which average porosity is about 25% and 40%, respectively. Using the 6 samples, measured effective porosities are compared and examined with 5 different vacuum pressures (2, 4, 6, 8, 10 torr) and times (20, 40, 60, 80, 100 minute), respectively. Comparing measured effective porosity from experiments when vacuum time varies from 100 minute to 20 minute with 20 minute step and vacuum pressure is fixed to 10, 6, and 2 torr, average deviation decreases as 0.6, 0.5, and 0.2% respectively. Comparing measured effective porosity from experiments when vacuum pressure varies from 2 torr to 10 torr with 2 torr step and vacuum time is fixed to 100, 60, and 20 minute, average deviation increases as vacuum time decreases. These results can be a background of suggested method of ISRM that describes the vacuum time longer than 60 minute and vacuum pressure higher than 6 torr. In this study, only qualitative discussion can be possible for the effects on the effective porosity by decreasing 20 minute vacuuming time at the same pressure or by decreasing 2 torr of vacuum pressure at the same vacuum time. This is because the sample could not reached to perfectly dried condition even though the sample were dried at 105oC and following the ISRM suggested method, so that initial water content could not be the same at each experiment.

      • 수출 쌀 진공포장기술 개선 연구

        최동수 ( Dongsoo Choi ),박석호 ( Seokho Park ),김진세 ( Jinse Kim ),김용훈 ( Yonghun Kim ),이수장 ( Sujang Lee ),박종우 ( Jongwoo Park ),박천완 ( Cheonwan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2016년부터 중국에 수출한 진공포장 쌀이 진공이 풀려 중국 현지 소비자들에게 품질에 대한 신뢰저하로 외면 받아 판매에 어려움을 겪었다. 진공풀림 원인은 주로 포장재의 모양, 과열 열접착 및 운송 중 부주의 등을 들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쌀 진공포장 후 진공 풀림현상이 발생되는 원인을 분석하고, 진공포장에 적절한 포장재 및 취급조건에 대해 구명하여, 중국 쌀 수출 시 품질신뢰도 및 경쟁력 제고로 쌀 수출 확대를 위해 진공 포장재, 진공포장기술 및 운송 · 취급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곡종합처리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플라스틱 필름 포장재의 적합 여부를 살펴보기 위하여 산소투과도 및 투습도를 산소투과도 측정장치(OX-Tran Model 2/61, Mocon, USA), 투습도 측정장치(Permatran-W Model 3/33, Mocon,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적정 열접착 온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열접착 작업시간간격 3, 5, 10초 3수준으로 하고 가열시간을 0.2초~2초까지 9수준으로 설정하여 포장필름을 열접착한 후접착상태를 조사하였다. 진공 포장된 쌀을 골판지상자에 2차 포장하여 운송할 때 진공풀림 현상이 발생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가상 운송시험을 진동시험 장치를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진동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또한 취급조건에 따라 진공풀림을 조사하기 위하여 골판지 상자단위, 비닐포장 단위로 50, 70, 90cm 높이에서 낙하 시험을 하고 진공풀림여부를 조사하였다. 유통 중인 쌀 진공 포장재는 나이론(nylon)+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복합필름으로 산소투과도가 30~70 cc/m<sup>2</sup> · day, 투습도가 2~4.5 g/m<sup>2</sup> · day로 산소투과도 및 투습도가 충분히 낮아 진공포장재로 적합했으며, 적정 열접착온도 조건은 130~150℃에서 1~1.5초가량 가열해야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진동시험 및 낙하시험결과, 골판지박스 포장 시 완충재를 사이에 넣은 경우 진골풀림이 적었고, 상자단위나 비닐포장단위 모두 가능한 50cm보다 높은 곳에서 낙하충격을 받지 않도록 취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공정 프로그래머블 진공 수포화시스템 개발

        이상규,이태종,이영민 한국자원공학회 2015 한국자원공학회지 Vol.52 No.3

        A process programmable vacuum satura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and tested, which is very important process in the laboratory measurement of physical properties. It can program ON/OFF time of each units including a vacuum pump, a cold trap, two vacuum ovens, four small pumps and 10 valves to perform the vacuum saturation processes automatically. It can be saved as a template time table and can be reloaded to perform exactly the same process. Either dry-type or wet-type vacuum saturation can be programed and performed. There’s no need to watch the system until the end of the process and manual operation is also possible, whenever needed, using the touch screen in the main front panel. One can adjust the vacuum pressure and temperature using vacuum controller, which is not fully automated yet like several separate stand-alone units. Further development of the system is needed to upgrade toward the fully automated vacuum saturation system. 실내 물성 측정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인 시험편의 수포화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공정 프로그래머블 진공 수포화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진공 펌프, 냉동수분포집조, 진공 오븐 두 개를 포함하고 4 개의 소형펌프와 10 개의 밸브, 각각의 ON/OFF 공정 시간을 프로그램할수 있고, 각 유닛의 시간표를 템플릿으로 생성하여 공정입력 파일로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불러와서 자동제어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습식 진공포화 공정 뿐 아니라 진공 효율이 좋다고 알려진 건식 진공포화 공정도소화하며 진공 수포화 작업의 시작으로부터 끝날 때까지의 전 과정에서 실험자의 감독이 필요하지 않으므로충분히 사용자의 편의를 보장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언제든지 수동 제어로 전환이 가능하고 터치스크린을 통한수동 운전도 가능하다. 또한, 이 시스템은 진공 조절기를 이용하여 진공 압력과 진공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데, 이 기능은 다른 몇가지 독립형(stand-alone) 장치들과 함께 아직 자동화되어 있지는 않다. 향후 지속적인 개선을통해서 더 발전된 형태 혹은 완전자동화된 형태의 진공 수포화시스템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백파긍선의 『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六祖大師法寶壇經要解)』에 나타난 진공(眞空)과 묘유(妙有)의 의미 고찰

        김제성 ( Kim Jea-S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4

        白坡는 定과 慧를 해설하면서 이는 向上의 空과 有를 분별하는 것이라 말한다. 이 두 가지의 합일 定慧一體, 즉 一行三昧는 無相三昧.無念三昧·無住三昧라고도 불리며 그 가운데 ‘無念은 무릇 眞空과도 같다’라고 설한다. 그러나 이를 다시 타파하여 ‘無念의 眞空속에도 또한 妙有가 구비되어 있다’고 말하여 無念을 眞空妙有로 엮어내고 있다. 一行三昧의 다른 이름들 중에서 특별히 無念을 들어 설명하는 것은 向上과 向下가 모두 마음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그 결과 眞空妙有의 관계는 ①眞空·妙有②眞空→妙有③妙有→眞空④眞空↔妙有로 회통 하며 眞空이 곧 妙有이고 妙有가 곧 眞空인 이치를 설하기에 이른다. 白坡는 三身을 해설하면서 일체인 三身이란 곧 眞空인데 그 안에는 妙有로서의 三要(法身·化身·報身)가 갖추어져 있고[一體이면서 三身] 그 각각의 一身에도 다시 三要가 갖추어져 있기에 一身은 다시 일체가 된다고 말한다.[三身이면서 一體] 따라서 三身은 妙有이면서 眞空이고 眞空이면서 妙有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眞空妙有의 관계는 제10 付囑流通에서 실제의 예화를 들어 더욱 분명하게 드러낸다. 白坡는 혜능의 입적에 대하여 제법이 當處에서 출생하여 隨處에서 멸진하는 것을 설명하는 육신설법으로 바라보면서 ‘나는 내가 가는 곳을 본래부터 알고 있다’라는 혜능의 말과 ‘나뭇잎은 떨어져 뿌리로 돌아가지만 그러나 올 때는 말이 없다’라는 구절을 인용하고 있다. 이는 이미 眞空으로부터 출래한 妙有이기 때문에 다시 妙有를 거두어 眞空으로 돌아감을 보인 것이라 해설한다. (眞空□ 妙有) 이처럼 白坡는 三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위에 定慧一體의 원리를 이야기 하며 『六祖壇經』의 여러 부분을 인용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眞空과 妙有의 이치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원리적인 眞空妙有의 교설들이 실제의 三種禪상에서 向上의 일구인 眞空을 철견하여 三句로서의 三種禪을 타파하는 것에 그 목표가 있음은 두말할 나위도 없으며, 특히 『壇經要解』에서 이 점은 더욱 두드러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Explaining Jeong and Hye, Baekpa said they meant distinguishing Gong from Yu of Hyangsang. As far as he was concerned, that is, Seonjeong described the main body of mind being clean and quitting being distracted for good, presenting a Jingong state. Jihye had no foolishness in Jaseong and thus illuminated all things far and wide, presenting a state of Myoyu. Trying to explain them to others, one should use Ilhaengsammae, which was like Jishim of Hyeneung according to him. Hyeneung considered Jikshim at that point as the practice of usual Seonbeop. Baekpa delved into the principles of Samjongseon based on Samgu and Jingongmyoyu and, at the same time, put an emphasis on the practice of Samjongseon because he inherited the ideologies of Hyeneung. Jeonghyeiljeol or Ilhaengsammae is called Musangsammae·Munyeomsammae. Mujusammae, of which “Munyeom is like Jingong” according to his words. He, however, overthrew it again and argued “Myoyu should be present even in the Jingong of Munyeom,” connecting Munyeom with Jingongmyoyu. He gave an explanation particularly with Munyeom among all the other names of Ilhaengsammae, which seems probably because both Hyangsang and Hyangha take place in the mind as it is demonstrated in “Fifth Jeonhyangchamhoi,” which describes the realization of Jaseong out of Jashim and thus fulfillment of Bon or Jaseongbul in the state of Jingong. Explaining Samshin, Baekpa said that Samshin that was Ilche was also Jingong, in which there was Samyo(Beopshin·Hwashin· Boshin) as Myoyu[Iljeon and also Samshin] with Samyo found in each Ilshin, as well. As a result, Ilshin becomes Ilche one again[Samshin and also Iljeol]. Therefore, Samshin is Myoyu and also Jingong or Jingong and also Myoyu. Such a relationship between Jingong and Myoyu becomes clearer with an actual specification of “Tenth Buchokryutong.” Taking a perspective of Yukshinseolbeop, which explains Jebeop being born in Dangcheo and dead in Sucheo to understand the Ipjeok of Hyeneung, Baekpa cited what Hyeneung said, which was “I knew where I was going from the beginning,” and a passage saying “Leaves fall and go back to the roots, but they have no words as they come.” It is interpreted as collecting Myoyu again and returning back to Jingong since Myoyu has already come from Jingong. (Jingong □ Myoyu) The findings show that Baekpa talked about the principle of Jeonghyeiljeol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Samgu and explained the logics of Jingong and Myoyu from various perspectives by quoting many parts from “Yukjodangyeong.”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Gyoseols of those fundamental Jingong Myoyu seek out to overthrow Samjongseong as Samgu by imposing Cheolgyeon on Jingong, an Ilgu of Hyangsang, on the line of actual Samjongseon, which was even more highlighted especially in “Dangyeongyohae.”

      • KCI등재

        스크류 형 건식진공펌프 기술 현황 및 응용

        노명근,황태경,박제우,Noh, Myung-Keun,Hwang, Tae-Kyoung,Park, Jea-Woo 한국진공학회 2008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7 No.4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과 같이 진공의 높은 청결도의 진공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 지는 산업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건식진공펌프의 중요성은 급격히 증대되어 왔다. 다단루츠형 진공펌프와 함께 건식진공펌프 양대 축의 하나를 형성하는 스크류형 건식진공펌프는 공정부산물 발생이 많은 고 난이도 응용분야에서 그 장점을 발휘하여 왔다. 최근 들어 에너지 효율이 획기적으로 개선된 스크류형 건식진공펌프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총설논문에서는 스크류형 건식진공펌프의 전반적 기술사항들을 살펴보고 실제 반도체 공정에의 응용 및 스크류형 건식진공펌프의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As the industry requiring clean vacuum condition like semiconductor and display manufacturing expands, importance of dry vacuum pumps has been increased. Screw-type dry vacuum pump, occupying major share with multi-stage roots pump in dry-pump market, has big strength specially in harsh application area accompanying serious by-product accumulation. Recently, development in screw-type pump has been focused on improving energy efficiency. In this article, technology of screw-type dry vacuum pump is reviewed and the requirement for actual industrial application is considered. In addition, the expected evolution for screw-type dry pump in near future is also described.

      • KCI등재

        습식 진공포화와 건식 진공포화에 의한 시험편의 유효공극률 비교

        이상규,이태종,이영민 한국자원공학회 2012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9 No.3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measuring effective porosity by vacuum saturation method is how much air in the pore space can be substituted by water during the vacuum saturation process. International Society of Rock Mechanics (ISRM) suggests vacuuming a rock sample submerged in the water, while American Society of Test and Materials (ASTM) vacuuming the sample and water separately and then pour the water to the sample. In this study, we call the former wet-type vacuum saturation (WVS) method and the latter dry-type vacuum saturation (DVS) method, and compare the effective porosity measured by the two different vacuum saturation processes. To exclude factors other than the vacuum saturation, a consecutive process is proposed. Comparison of effective porosity has been made for a cement mortar sample and six rock samples. As a result, DVS showed bigger effective porosity than WVS in all the cases, which means that DVS can substitute more void volume to water than WVS. 진공포화법을 이용한 공극률의 측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건조암석 내 공극에 채워져 있는 공기를 얼마나 잘 물로 치환하는가 하는 것이다. 암반공학 분야에서는 국제암반역학회(ISRM)의 표준시험법에 의해 시험편을 물속에 넣고 진공하는 수침진공을 사용하고, 석유공학 분야에서는 미국시험재료협회(ASTM)에서 제시하는 방법으로 시험편과 물을 별도의 용기에서 진공하여 공기를 제거한 후에 시험편에 공기가 제거된 물을투입하여 유효공극률을 측정한다. 이 연구에서는 전자를 습식 진공포화법(wet-type vacuum saturation method;WVS), 후자를 건식 진공포화법(dry-type vacuum saturation method; DVS)으로 명명하고, 두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유효공극률을 비교함으로써 진공포화의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이때, 진공포화법 이외의 여타의 요인들에 의한 영향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실험공정을 규격화하고 실험전 시험편상태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시멘트시험편과 공극률이 다른 6개의 암석시험편에 대해 실험한 결과, 모든 경우에 DVS가 WVS법에 비해 유효공극률이 크게 측정되어 건식진공에 의한 포화법이 습식진공에 의한 포화법보다 공극을 점유하고 있는 공기를 물로 더 효과적으로 치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석고주형 진공주조법을 활용한 기물 제작 사례 연구

        조성호(Cho, Sung–,h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4

        정밀주조법(精密鑄造, investment casting 혹은 탈납주조(脫蠟鑄造, lost wax casting))는 장신구와 금속조형 작업에 활용되는 주조법 가운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진공주조(眞空鑄造, vacuum casting)도 정밀주조의 한 종류로서 주형 재료(molding material)에 따라 주조법을 분류하면 석고주형(plaster mold)법에 속한다. 진공주조는 다른 주조법에 비해 제작비가 저렴하나 설비와 관련해서 발생하는 제약이 많다. 그래서 일정 규모 이상의 기물의 제작에는 적합하지 않은 기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큰 형태의 기물 제작에는 대부분 진공주조가 아닌 여타 주조법을 채택한다. 그러나 정밀하고 복잡한 입체 형태의 주물에 적합하고 일품생산과 대량생산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무엇보다 설비의 보급률이 다른 주조법과 비교해 월등히 뛰어난 진공주조로 다양한 기물을 제작할 수 있다면 여러모로 이득일 것이다. 이에 진공주조법의 기술적 특성과 발전 양상에 관해 선제적으로 분석하고 진공주조를 통한 기물 제작의 범위와 가능성을 확장시킨 두 작가인 유리지와 페터 바우휘스의 작품과 그 제작 과정을 연구하였다. 유리지는 돌이라는 자연물을 조형적 모티브로 하여 큰 크기의 기물을 쪼갬 없이 제작함으로써 진공주조법의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하였고, 페터 바우휘스의 경우 다양한 합금(alloy)을 주조에 사용함으로써 표면효과를 극대화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금속 기물 제작 시 진공주조의 활용 가능성을 확대하고, 나아가 주물의 크기에 대한 기술적 제약으로부터 보다 자유로울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Investment Casting (Lost Wax Casting) is the most generally used casting method for jewelry and metal forming. Vacuum casting we are using, a kind of Investment Casting, is also classified as a plaster mold technique due to its molding materials. The production cost is lower than other casting methods but not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larger sized vessels due to the constraints arising from equipment issues. Therefore, other casting methods are chosen rather than using vacuum casting for various vessels beyond the appropriate scale. However, vacuum casting is suitable for obtaining precise and complicated results. Moreover, it can easily produce a single or even mass production. Above all, the distribution of vacuum casting equipment is remarkably superior to other casting; therefore if various vessels can be produced by vacuum casting, considerable gain can be expected. Accordingly,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aspect of vacuum casting have been proactively analyzed and the works and making process of two artists, Lizzy Yoo and Peter Bauhuis, who have expanded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vacuum casting have been studied. Lizzy Yoo uses stone from nature as her motif and overcame the technical limits of vacuum casting by managing her works without any splitting of her object which is a significant factor in this research. In the case of Peter Bauhuis, he has used various alloys in casting outstandingly showing the maximized surface effects. It is strongly believed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in expanding possibilities of vessel making through vacuum casting and to free the technical constraints of size in casting.

      • KCI등재후보

        명상과 진정한 공(空)의 미학

        김현숙 ( Hyeon Suk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3

        바람처럼 보이지도 잡히지도 않는 진공(眞空)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물질적으로 비어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완공과 관련이 있는 것일까? 완공을 허무주의에 비교한다면, 그와 반대로 바람처럼 보이지도 잡히지도 않는 진공은 청명함에서 일어나는 큰 지혜를 닮았다고 할 수 있다. 진공의 개념은 인도의 산스크리트어 순야(Sunya), 순야타(Sunyata)가 그 기원이 되고, 중국 한자 空(kong)으로 쓰여지며, 한국에서는 공(空)으로 발음한다. 한글 발음으로 공은 또한, 운동 기구의 공이라는 뜻도 있지만, 숫자 ‘0’(공, 영)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우연의 일치로, 순야(Sunya) 또한, 숫자 ‘0’을 의미하기도 한다. ‘0’은 긍정과 부정, 그 어느 곳에도 치우치지 않는 중용의 이치와 일치하며, ‘0’ 의 모양은 선방(명상의 장소)에서 볼수 있는 일원상(一圓相, 공(空)의 상징)을 닮았다. ‘0’(공, 영)의 모양은 세상의 조화를 표현하는 음과 양을 선행하는 천극의 상징으로 주역 도표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도덕경 42편에; ‘도는 하나를 낳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을 낳고, 셋은 만물을 낳는다’는 노자의 말씀처럼, 공(空)은 도(道)와도 통한다. ‘0’과 같이, 대립되는 두 가지 요소 사이에 놓여 있는 것들을 우리 주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문들은 외부와 내부를 나눠주는데, 특히, 한국 전통주택의 한옥 문 나무 창살 위에 붙여 있는 창호지는 중립적인 ‘0’을 상기시킨다. 창호지는 희고 비어있는 동양화의 여백처럼 쉼, 울림을 지닌 공간을 닮았으며, 그희고 ‘빈’ 공간은 쌀, 빵, 물이 다른 재료와 혼합될 때 입안에서 새로운 맛을 만들어 내듯이, 중립적인 ‘0’처럼 양쪽을 이어주는 매개체에 상응한다. 중립적인 ‘0’과 같은 물은 선(禪) 사상에 비유되며, 프랑소와 쥴리엉(FrancoisJullien)의 개념인 무미한 맛(la fadeur)과도 비교된다. 그 무미한 맛은 공기를 만지는 듯한 느낌과 비슷하며, 우리가 초연해질 때 느낄 수 있다. 우리의 삶 속에서, 오감으로 느끼는 습관적인 감각들을 던져 버리고, 우리가 소유하고 있다고 믿고 있는 모든 물질적인 것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날 때, 우리는 겨울 나무 속에 숨겨져 있는 봄의 향기처럼, 우리 내면 깊은 곳에 있는 ‘절대적 침묵’과 만난다. 그 ‘절대적 침묵’은 명상을 통해 접할 수 있다.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데카르트의 이론과는 정반대로, 만일 내가 아무 생각도 하지 않는다면, 나는 순순한 상태, 인간 본연의 상태와 만날 수 있다. 고대 힌두교의 전설에 의하면, 인간은 그들 안에 숨겨진 신과 같은 능력을 갖고 있다고 한다. 그 숨겨진 능력은 깨우침과 상응하며, 노자의 도(道), 불교의 선(禪)과 공(空),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무엇(chose)이나 존재(l’Etre), 그리고 질 들러즈 (Gilles Deleuze)의 생성(le devenir), 등과도 비교할 수 있다. 그 이름은 중요하지 않다. 만약 당신이 우주의 조화, 맑은 상태를 경험한다면: 그것이 바로 깨우침의 경지이다. 청명한 침묵 속에서, 큰 지혜를 느낄 때, 그것이 바로 진공(眞空)이다. What is 진공(jin-gong, 眞空), elusive and invisible like the wind? Is it related to the state of material emptiness which is linked to 완공(wan-gong, 完空, complete emptiness)? If 완공(wan-gong) is comparable to nihilism, contrary to 완공(wan-gong), 진공(jin-gong, absolute emptiness), immaterial, is like great wisdom that comes with serenity. The concept of 진공(jin-gong) took its origin from the sanskrit word sunya and was transcribed from the Chinese character 空 (kong) which is pronounced 공(gong, 空) in Korean. Sunya also means the number ‘0’, coincidentally,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word 공(gong) which means a ball and also the number ‘0’. The number ‘0’ corresponds to 중용(jungyong, 中庸, zhong yong, middle of the road), which means it is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And the shape of ‘0’ resembles 일원상(ilwonsang, 一圓相), which is a symbol of 공(gong, 空, emptiness). It can be found in the hall of meditation. The shape of 일원상(ilwonsang) can also be found in the diagram of I ching(易經) which precedes the yin(陰) and yang(陽) that represents harmony in the world. So, ‘Tao (Dao) generates the One, the One generates the Two, (yin and yang), the Two generate Three, the Three generate the ten thousand things’, as in the 42nd of 도덕경 Tao Te Ching or Daode jing(道德經) of Lao Tzu, 공(gong, 空) corresponds to Tao(道). Like the number ‘0’, something lies between the two antagonistic elements that can be found in our surroundings. For example, doors that divide the inside and the outside. Moreover, the 창호지 (changho-ji), the white paper which is stuck to the wooden frame of traditional doors of Korean Hanok Houses reminds us of the neutral ‘0’. 창호지(changho-ji) which is similar to a pause in the margin and a resonance in the 여백(yeobaek), white and empty space in Oriental painting. The whiteand empty space corresponds to the neutral ‘0’ which is a medium that links the two opposite sides, just like rice, bread and water when mixed with other ingredients can create a new taste in the mouth. The quality of water equates with 선(禪) seon thinking (or zen thinking in Japanese), and water is comparable to the concept of ‘la fadeur’ (insipidness), according to Francois Jullien. The tasteless taste sensation is similar to touching the air, and we know that feeling when we experience detachment. When we throw away the habitual sensations of our five senses and detach from all the material things in our life which we believe we own, we get away from all obsession, we meet ‘absolute silence’ in the depths of ourselves, just like the winter tree contains the scents of all spring flowers. This ‘absolute silence’ is accessible through meditation. Contrary to the theory of Descartes who wrote ‘I think, therefore I am’, if I think of nothing, I am a pure state and return to the pristine (or original) state of human beings. In an ancient Hindu legend, humans had the same powers as gods, hidden inside them. It corresponds to the illumination that is comparable to the Tao (or Dao, 道) by Lao Tzu, to 선(seon, 禪) and 공(gong, 空) in Buddhism, to what Maurice Merlot-Ponty calls ‘chose (thing)’ or ‘l’Etre (being)’, and Gilles Deleuze ‘becoming’ (le devenir), etc. The name does not matter. If you experience the harmony of the universe, a state of clarity: it is just a state of illumination. In serene silence, we feel perfect wisdom, it is the 진공(jin-gong 眞空, absolute emptiness).

      • 폐냉장고 진공단열재 순환이용성 확보를 위한 통합 재활용 시스템개발 연구현황

        박지환 ( Jihwan Park ),윤성필 ( Sungpil Yoon ),장충효 ( Choonghyo Jang ),최종현 ( Jonghyun Choi ),유준수 ( Junsoo Yoo ),이충우 ( Choongwoo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진공단열재(VIPs, Vacuum Insulation Panels)는 다공성의 심재를 투습 및 투기성이 낮은 고기밀성 외피재를 이용하여 밀봉한 후 패널의 내부를 10~100 mbar 수준의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일반단열재 대비 10배 이상 낮은 열전도율을 유지할 수 있는 복합 단열재이다. 2010년초부터 대용량 냉장고 생산에 진공단열재가 사용되었으며, 최근 재활용단계에서도 진공단열재가 내장된 제품들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순환이용성 확보가 시급하다. 냉장고용 진공단열재는 주로 글라스울 심재가 사용되며, 습식심재는 섬유경이 3~5μm 수준으로 인체 유해성 이슈로 인해 건식 심재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흡착제 및 게터(Getter)는 냉장고 제조사 별로 차이가 있으나 주로 수분만 흡착하는 CaO와 수분 외 기체 분자를 흡착하는 게터 (getter)가 사용된다. 일부 제조사에서 진공단열재 적용 초기 사용했던 metal getter가 냉장고 재활용과정에서 물과 접촉하거나 충격 때문에 화재를 일으킨 사례도 존재했다. 또한, 유리섬유가 공장 내 분진으로 부유할 경우 호흡기 및 폐 질환 유발 우려가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결과적으로, 진공단열재가 내장된 냉장고는 최종 재활용단계에서도 난제에 봉착해있다. 본 연구는 진공단열재가 내장된 냉장고를 친환경적이면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재활용 시스템을 실증적으로 개발·운영함을 목표로 한다. 진공단열재를 원형 유지 후 회수하여 건축용 단열재로의 재사용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냉장고 외판 절단, 외판 해체, 외판으로부터의 진공단열재 분리공정을 재활용 플랜트에 설치·운영하여 진공단열재 순환이용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