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직업교육장 선택의 자유 보장에 대한 고찰

        이세주 ( Se Joo Lee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2014 世界憲法硏究 Vol.20 No.2

        헌법상 직업의 자유 보장은 우선 경제주체로서의 개인의 경제생활 속에서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가능케 하고 보호한다. 헌법에서 직업의 자유가 발전해 온 역사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가장 기본적으로 직업의 자유는 본질적인 의미를 갖는 개인의 기본권으로서 자유권일 뿐만 아니라, 또한 자의적인 국가권력에 대한 방어권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직업의 자유의 보장은 개인의 직업선택과 직업수행에 대한 자유로운 자기결정에 대한 기본적인 보장이다. 이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자기 삶의 영위의 기본조건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한다. 일정한 직업을 선택하고 수행하기 위해서는 오늘날 그 직업에서 요구하는 일정한 전문교육이나 전문지식을 갖추어야 실제 직업을 선택하고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전문적인 직접교육을 받을 수 있는 직업교육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자유도 직업의 자유에 포함된다. 직업의 자유 보장의 내용에서 직업선택의 자유보다 앞서 생각해 봐야 할 것이 직업교육장 선택의 자유라고 할 수 있다. 직업의 자유의 주체인 개인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자신이 원하는 직업이나 직종을 선택하고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전문지식과 전문기술 등을 습득하고 실제 직업을 선택하고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개인이 일정한 직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문지식 습득 등을 위해 여러 형태의 직업교육장 혹은 직업교육기관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직업교육장 선택의 자유의 중요한 내용이며, 이는 직업의 자유의 내용에 포함되는 중요한 내용이다. Die Berufsfreiheit ermoglicht und schutzt zunachst die freiheitliche Wirtschaftstatigkeit von Einzelnen als Wirtschaftssubjekte im Arbeits- und Wirtschaftsleben. Angesichts der Entstehungs- und Entwicklungsgeschichte der Berufsfreiheit im Verfassungsrecht und in der wirtschaftlichen Geschichte ist sie nicht nur als liberales Freiheitsrecht als primares Individualgrundrecht, sondern auch als ein Abwehrrecht gegenuber der willkurlichen Staatsgewalt zu verstehen. Das verfassungsmaßiges Schutzt- und Ordnungsziel der Berufsfreiheit ist grundsatzlich die grundrechtliche Gewahrleistung der freien Selbstbestimmung und Verfugung uber die Berufswahl und -ausubung. Zur freinen Berufsausubung gehort jede Tatigkeit, die mit der Berufsausubung zusammenhangt und dieser dient, jede von ihm gewunschte auf Erwerb gerichtete Tatigkeit als Beruf frei zu wahlen, aufzunehmen, auszuuben, beizubehalten und zu wechseln sowie aufzugeben und somit die Grundlage seiner Lebensfuhrung selbst zu bestimmen. Die Berufsfreiheit ist eine elementare burgerliche Freiheit. Berufliche Ausbildung oder Information, die der zukunftigen Berufsausubung dienen, sind heute eine wichtige Voraussetzung fur ein Berufsleben. In der Regel ist die Ausbildung die Vorstufe einer Berufsaufnahme, beide sind integrierende Bestandteile eines zusammengehorenden Lebensvorganges. Die Berufswahl und -ausubung sind untrennbar und einen einheitlichen Komplex der beruflichen Betatigung als Grundlage der Lebensfuhrung. Sie gehoren zur rechtlichen Ordnung dieser beruflichen Betatigung auch Vorschriften uber die vorherige Ausbildung fur einen Beruf. In diesem Grund gehort die Freiheit der Wahl der Ausbildungsstatte auch zur Gewahrleistung der Berufsfreiheit. Daruber hinaus notigt dieser enge Zusammenhang zu der weiteren Folgerung, wenn die Aufnahme eines Berufes eine bestimmte Ausbildung voraussetzt.

      • KCI등재

        직업군인 선택변수가 직업 만족도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백승용,임재욱,권혜정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2

        The selection variables that affect securement of Elite Military Resources, in Volunteer System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and their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development plan was research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duce required changes of the organization by suggesting future development ideas. The professional soldiers selection variables are stability of the profession, welfare benefits, environmental factor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were selected and profession with satisfaction level was examined.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surveys conducted on actual serving soldiers.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ofessional soldiers selection variables factors are stability of the profession, welfare benefits, environmental factor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affected selected and profession with satisfaction level. Moreover, the impact of independent variables on job selection satisfaction has all been significant. It can be inferred that if the factors considered to select career soldiers are satisfied, they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of choosing career applicants and thus lead to the achievement of superior employe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termined to provide more empirical and objective information to enable vocational officers to select careers for career applicants by increasing vocational choice of career soldiers. In Addition, when recruiting military personnel in the future, the military may provide basic data for extracting the necessary changes in securing personnel. 조직에서 우수한 인적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인적자원 확보와 관련된 정책 및 전략 수립은 해당 조직의 발전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최근 군에서도 우수자원 확보를 위한 대책을 모색해야 할 시기가 도래하고 있으며, 특히 간부 지원율 감소, 저출산에 따른 적정 병력확보 제한, 국방개혁 및 향후 통일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적정 군사력에 대한 고려 등 최근의 사회적인 변화들로 인하여 군에서의 우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병제 도입 시 군 우수자원 확보에 영향을 미치는 선택변수들이 직업군인을 선택하는 영향 요인에 대하여 확인하고, 이 변수들과 직업 선택 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하여 이에 대한 발전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군 우수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변화 필요사항 도출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직업군인 선택을 위한 선택변수를 직업안정 요인, 복지후생 요인, 생활 및 환경적 요인, 공직동기 요인, 발전가능 요인의 5가지로 구분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직업선택 만족도와의 관계를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역 장병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군인 선택을 위한 선택변수인 직업안정 요인, 복지후생 요인, 생활 및 환경적 요인, 공직동기 요인, 발전가능 요인이 직업선택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선택 만족도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은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직업군인을 선택하기 위해 고려하는 선택요인들이 충족될 경우 직업선택 만족도를 높여주고 군 차원에서는 우수자원 확보라는 성과로 연결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업준비생들의 직업군인 선택변수가 직업선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를 규명함으로써 직업군인을 선택하는 인원을 증가시켜 군의 우수자원 확보라는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보다 실증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고, 향후 군 모병제 도입 시 군이 우수자원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변화사항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용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

        최혜령(Hye Ryoung Choi),유민정(Mim Jeong R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는 미용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에 맞는 전공지도와 취업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직업선택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2년 3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총 31일간 응답한 총 260부 중 훼손된 6부를 제외한 254부를 최종 표본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 개인적 비전과 경제적 안정, 직업선택요인 하위요인 직업 장래성, 적성 및 흥미, 직업 경제성으로 구성하여 각 요인들의 타당성을 검정하였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용전공학생의 직업선택요인 중 직업 장래성에 있어서는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별 개인적 비전, 경제적 안정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직업선택요인 중 적성 및 흥미에 있어서는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별 개인적 비전, 경제적 안정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직업선택요인 중 직업 경제성에 있어서는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별 개인적 비전, 경제적 안정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용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에 개인적 비전과 경제적 안정이 직업선택요인에 중요한 영향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for major guidance and employment guida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motives for choosing a major on job selection factors for beauty majors, and to help students choose a job.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54 copies, excluding 6 damaged copies, were empirically analyzed as the final sample out of a total of 260 copies responded for a total of 31 days from March 1 to March 31, 2022. Sub-factors of motivation for choosing a beauty major were composed of sub-factors of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stability, occupational selection factors, and sub-factors of job prospects, aptitude and interest, and job economics, and the validity of each factor was verified and correlations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can be seen that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stability for each sub-factor of the motive for choosing a beauty major are important factors in career prospect among career selection factors. In terms of aptitude and interest, it can be seen that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stability for each sub-factor of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beauty major are important factors. When it comes to job economics,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stability for each sub-factor of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beauty major are important factors as well.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confirming that the personal vision and economic stability of the cosmetic major's motive for choosing a major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job selection factors.

      • KCI등재

        유아교육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요인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이명희,아영아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7 청소년상담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s' satisfaction on the influence of majors of maj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career choice facto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Busan, and analyzed 196 copi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rinsic majors' motivation influenced majors' satisfaction, but motivation to select majors did not affect majors' satisfaction. Second, the intrinsic motivation for selecting majors influenced the interest aptitude, job economics, and job prospects among the sub factors of career choice, and external motivation to select majors influenced all of the sub - factors of career choice: interest aptitude, major consensus, job economy, and career prospects. Third, majo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sub - factors of career choice. Fourth, the mediating effects of major majors were found in relation to intrinsic majors selection motivation, interest aptitude, major consensus, and career prospects. However, it did not appe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ection motivation and career choice factors. In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 results, the method of intervention in career choice was presented through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motivation for choosing majors and majors'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남․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후 196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로는 첫째,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내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직업선택의 하위요인 중 흥미적성, 직업경제성, 직업장래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외재적 전공선택동기는 직업선택의 모든 하위요인 즉, 흥미적성, 전공일치성, 직업경제성과 직업장래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전공만족도는 직업선택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는 내재적 전공선택동기와 흥미적성, 전공일치성, 직업장래성과의 관계에서 나타났으며, 외재적 전공선택동기와 직업선택요인 관계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에서 유아교육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 및 전공만족도를 통해 직업선택에서의 개입방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직업계고 학점제 연구·선도학교 학생의 과목 선택기준 인식 분석

        김신은(Sin-Eun Kim),윤지아(Ji-A Yoon),이창훈(Chang-hoon Lee) 대한공업교육학회 202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6 No.3

        이 연구는 직업계고 학점제에서 학생의 과목 선택기준 인식과 과목 선택 경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직업계고 학점제를 운영하는 학교에서 교육과정 편성에 도움이 될 만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생의 과목 선택기준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16개 과목 선택기준을 도출하였으며, 직업계고 학점제연구·선도학교 21개교 2, 3학년 5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직업계고 학생들은 과목을 선택하는 데 있어 주변에 영향을 받는 것보다 자신의 진로에 따른 취업과 직업과 관련된 과목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 배경변인별 몇 가지 과목 선택기준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취업이나 진학 등 목표가 있는 학생들이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들보다 자신의 목표에 따른 과목을 선택하려는 경향성을 보였다. 셋째, 직업계고 학점제와 과목 선택 경험에 대한 학생의 인식 결과를 살펴보면, 학점제에 대해 아는 정도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정도(M=3.45)로 나타났으며, 학생선택 교육과정이 학생의 진로에 어느 정도 도움(M=3.95)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신이 선택한 과목에 대한 수업 만족도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정도(M=3.77)로 나타났으며, 선택한 과목을 변경하고 싶은 이유로 취업과 관련 전공 변경(42.5%), 진학으로 변경(14.4%)이 약 57%의 비중을 차지하였고, 과목의 어려움(28.8%)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학생들은 과목 선택에 있어 우선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고려하며, 학생 특성에 따라 과목 선택기준의 인식에 대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많은 학생들이 직업계고 학점제에 대해 알고 있으며, 학점제가 자신의 진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진로를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였거나, 진로변경과 과목의 어려움으로 인한 과목 변경 희망, 희망하는 과목이 개설되지 않은 학생들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진로 역량 증진, 학과별 분석을 통한 학생 맞춤형 진로지도, 전공 교과와 진로지도의 병행, 수업의 질 향상, 학교 간·밖 교육과정 활성화 등 학생들이 진로와 관련하여 다양한 과목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ents" perceptions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and subject selection experience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helpful in organizing the curriculum in schools that operate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een that students give priority to their own career path in selecting subjects, 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of subject selection criteria according to student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region, and desired career path after graduation. Also, many students are aware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ink that the credit system is helpful for their career path.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students who did not clearly understand their career path, wish to change their course due to the change of course or the difficulty of the subject, or that the desired subject was not open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chool provides students with career guidance, customized career guidance through analysis by school and department, parallelism between major subjects and career guidance, improvement of class quality, and activation of inter-school and out-of-school curriculum operation. Efforts are needed to open a variety of subjects related to the career path of students.

      • KCI등재

        직업선택동기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공·사 비교 연구 :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선아,민경률,이서경,박성민 한국행정연구원 2013 韓國行政硏究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들이 직업을 선택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동기 구조를 규명하고, 다양한 차원의 직업선택동기의 선행 및 결과요인들을 여러 가지 동기이론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직업선택 단계에서의 입직동기가 조직사회화 과정을 통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조절변수인 개인-직무 적합성의 관점에서 3개년도(2009년, 2010년, 2011년)의 시간적 차이를 두고 분석하였다. 특히, 직업선택동기와 직무만족 간의 영향력 규명에 있어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을 구분하여 검증함으로써 직무만족 향상에 있어 세 가지 차원의 직업선택동기의 상대적 중요성을 조직 유형별로 비교 분석 하였다. 이에 직업선택동기의 선행변수로서 개인환경요인을, 직업선택동기의 조절변수로서 개인-직무 적합성, 결과변수로서 직무만족으로 구성된 연구 모형을 토대로 연구 가설을 도출하였으며 공공조직과 민간조직 간의 차이 검증을 위한 t-test, 연도별 사회화 효과 검증을 위한 f-test 및 가설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양적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공공조직 및 민간조직에 근무하는 근로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통계적 검증을 통해 존재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 등의 3가지 차원의 직업선택동기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있어 유의한 효과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공공조직 및 민간조직 근로자들의 직무만족 향상에 있어 3가지 차원으로 구성된 직업선택동기의 상대적 중요성 검증을 통해 두 조직 간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시계열적 분석을 통해 개인-직무 적합성이 조직사회화 요인으로서 중요한 조절 변수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사·조직 관리 및 성과 관리적 시각에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 욕구체계의 시각을 통해 직업선택동기를 구성함으로써 연구의 외적타당성을 확보하고, 공공조직과 민간조직을 구분하여 직업선택동기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규명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회화 효과 및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고려함으로써 내적타당성을 확보했다는 측면에서 학문적 중요성을 발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보다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및 다양성 관리 측면에서 관리적 중요성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김경아(Kyounga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1, 2, 3학년 대학생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유효한 264명의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Hayes의 process macro 4번 모형을 활용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공선택동기는 직업가치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업가치관은 고려하지 않고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총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진로 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에 따른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을 함께 투입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업가치관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부트스트랩 검증 결과 직업가치관은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가치관 하위요인의 매개효과 검증한 결과에서 내재적 직업가치관(적성, 성취감, 능력)은 내재적 동기(적성, 흥미, 재능, 미래)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진로탐색 활동을 향상시킴으로써 구체적인 진로결정과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충족 될 때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으로 더 많이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 현장의 담당자들은 학생들의 개인특성 및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진로교육과 지원의 방향을 다각화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가 대학교 저학년 시기부터 학생들의 능동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하여 직업가치관을 확립하고 진로 확신을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ocuupational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37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of the university, of which 264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6.0 program,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ayes' process macro model 4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a maj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cuupational values. Second, the total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firmed without considering ocuupational value, and as a result,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ocuupational value was confirmed in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firmed by inputting both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job value did not. In other words, as a result of bootstrap verificatio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cuupational value, it was found that ocuupational value did not mediate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b-factors of job value, it was found that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attitude, achievement, ability) mediates the influence of intrinsic motivation (attitude, interest, talent, and futur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ndicated that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can make specific career decisions and active career preparation actions by improving career search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hen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are satisfied,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leads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 Therefore, people in charge of the university field need to diversify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and support according to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that can establish ocuupational value and increase career confidence for students'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rom the lower grades of university.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중소기업 선택동기가 첫 일자리 직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직장에서의 욕구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혜영,강순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20 취업진로연구 Vol.10 No.4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에 재직하는 밀레니얼 신입사원들의 직업부적응 원인에 대해 대졸 청년층의 중소기업 선택동기는 개인의 성장가능성, 대기업과 차별적인 직무경험 폭과 깊이 등 성장욕구인 반면, 자발적 이직사유는 임금복지수준의 불만족으로 생계욕구 불만족으로 나타나는 현상에 주목하고, ERG 욕구 이론을 통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직장 선택동기와 직업적응 간에 현 직장에서의 욕구만족도가 어 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내고자 기존 문헌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선행하고, 이를 기초로 대졸자직업 이동경로조사(GOMS)자료를 가지고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선택동기는 직장에서의 욕구만족도와 직업적응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는데 특히 생계욕구로 직장을 선택한 경우, 관계욕구나 성장욕구로 선택한 집단보다 직장만 족도와 업무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장선택동기와 욕구만족도가 이직준비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성장동기로 중소기업에 입사한 경우 이직의도가 1.241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 장에서 생계욕구 만족도가 한 단계 상승하면 이직가능성이 1.293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만족도가 한 단계 상승하면 이직가능성은 .828배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만족도가 한 단계 증가할수록 이직을 준비하는 경우, 이직사유는 성장욕구인 경우가 1.394 배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장선택동기와 직업적응 관계에서 직장에서의 욕구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장욕구 충족을 위해 중소기업에 입사한 경우, 직장에서의 관계욕구 만족도와 성장욕구 만족도는 정적 매개효과를 보인 반면, 생계욕구 만족도는 부적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관계욕구 충족을 위해 중소기업에 입사한 경우, 직장에서 관계욕구 만족도가 높으면 직장만족도와 업무만족도도 높아졌 다. 생계욕구 동기로 입사한 집단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정 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중소기업 선택동기가 충족될수록 직장만족도 및 업무만족도가 높 아진다는 결과는 중소기업 취업의사가 있는 대졸 청년층이 중소기업 입사를 통해 무엇을 충족시키려고 하는지 입사기대의 명확성을 높일 필요성을 보여준다. 둘째, 중소기업에 입사하는 밀레니얼 세대들의 장기근속에 대한 유인책으로 금전적 보상보다는 성장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motivation of young college graduates to choos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or reasons of non-adaptation to their jobs was to focus on the phenomenon of dissatisfaction with their livelihood due to dissatisfaction with wage welfare levels, while the reason for voluntary turnover was to be revealed through ERG desire theory. To find out how the level of desire satisfaction in the current workplace between motivation for choosing a job and job adaptation affect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existing literature was preceded and, based on this,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GOMS data.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 for choos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their desire for work and job adaptation, especially when choosing a job as their desire for livelihood, their job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were the lowest than those who chose them as their desire for relationship or growth.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mpact of workplace choice motivation and desire alone on job preparation, the degree of turnover was 1.241 times higher when join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s a growth engine. Third, the possibility of turnover increased by 1.293 times whe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sire to live in the workplace increased by one notch. Fourth, the possibility of turnover decreased by 828 times when the work satisfaction level increased by one notch.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the reason for turnover increases 1.394 times as much as job satisfaction increases by one level, and the reason for turnover increases by 1.394 times. Fifth, if you look at the mediated effects of the desire family in the workplace in the context of workplace choice motivation and job adaptation, the following are: In the case of joining a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to satisfy the desire for growth,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sire for relationship and the desire for growth in the workplace showed a static mediated effect, whil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sire for living showed an amulet mediated effect. In the case of joining a small and medium-sized company to satisfy the desire for relations, if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sire for relations is high at work, the satisfaction level of work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has also increased. The group that joined the company on the motive of their desire for a livin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sults.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 more motivated the SMEs are to be selected,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work satisfaction level, indicating the need to increase the clarity of job expectations for young college graduates who are willing to work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nhance measures to meet the desire for growth rather than monetary compensation as an inducement for the long-term service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join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비교 연구: 시각장애 고등학교 및 전공과 교육과정 편제를 중심으로

        이덕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0 시각장애연구 Vol.26 No.2

        This study has its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and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by suggesting the discourse on the expansion of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based on internationally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special school vacational curriculum and Japanese special school vac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finding a way of expanding vocational subjects through consideration and review of the current vocational education structure in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researched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and Japan and the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school level focusing the examples of high schools for visual impairmen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are lacking in consideration for the properties and requests of various disabilities and the number of courses and subjects available (18 courses in 9 subjects) is significantly limited. For example, the result shows that the vocational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Japan are 77 courses in 12 subjects and the specialized(vocational) curriculum for general students in Korea who show almost identical quality in the level of development and performance capability are 448 courses in 10 categories. Based on this finding,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vocational education subjects and courses for students in Korea who need special education are significantly limited compared with their various types of impairments and selectable occupations. Second, the elective curriculum serves as provision of various opportunities. For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must provide more opportunities by organizing and forming various elective subjects and courses for student with disability in curriculum of the national level like specialized elective subjects in the option-centered curriculum of general schools or the various vo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in Japan. Third, it was suggested that, as a specific improvement method, it is necessary to seek a drastic expansion of the scope and number of vocational subjects and courses for the students who currently need special education and to consider a plan for organizing curriculum which can provide more in-depth and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to the student with disability by converting the detailed courses that are categorized by subjects in the current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to regular subjects like ‘Medical Massage’ subject. Fourth,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re as follows; ⅰ) reorganization of the vocational curriculum which are not organized in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but which are internally organized in many special education schools(classes) into a new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ⅱ) as in case of Japan, the identification of a plan for expanding various kinds of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other than ‘Medical Massage’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ho have no choice but to select the vocational curriculum limited to ‘Medical Massage’, ⅲ)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various vocational subject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ⅳ) in case of the vocational subjects established by schools, the provision of various supports according to organization of new curriculum (such as provision of additional teachers, development of course books, provision of funds for publishing such books, etc). 본 연구는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편제에 대한 검토 및 재고를 통해 직업 교과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한국과 일본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를 통해서 한국에서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확대에 대한 담론(談論)을 제기하여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국가 수준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과 시각장애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교 수준의 직업교육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은 다양한 장애영역의 특성 및 요구에 따른 고려가 상당히 미흡하며, 선택할 수 있는 교과 및 과목 수(9개 교과 18개 과목)도 지나치게 제한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의 경우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을 위한 직업교육과정은 12개 교과 77개 과목이며, 한국의 경우도 발달수준과 학업수행능력에서 거의 동질적인 특성을 보이는 일반학생들을 위한 전문(직업)교육과정은 10개 계열 448개 과목으로 세분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한국의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위한 직업 교과와 과목 수는 다양한 장애영역 및 선택 가능 직종에 비해 상당히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 교육과정의 기능은 다양한 기회를 부여하는 것인 만큼 이를 위해 한국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도 일반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전문 선택 교과나 일본의 다양한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처럼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장애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선택 교과 및 과목들을 구성하고 편제하여 보다 많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구체적인 개선 방법으로는 현행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위한 직업 교과 및 과목의 범위와 수를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에서 교과별로 영역화되어 있는 세부 분야를 ‘이료’ 교과처럼 과목으로 전환하여 장애학생들에게 보다 심도 있고 전문성 있는 직업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과정 구성 방안들을 강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넷째,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제언으로, 국가 수준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지 않지만 많은 특수학교(급)에서 자체적으로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직업 교과들을 국가 수준 직업교육과정으로 개편하고, ‘이료’ 교과로 제한된 직업교육과정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시각장애학생들을 위해 일본의 예처럼 ‘이료’ 외의 다른 종류의 직업 교과를 확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정신지체학생들에 대한 다양한 직업 교과를 신설·확대하고, 학교 자체 설치 직업 교과의 경우에는 신설 교육과정 편제에 따른 제반 지원책(교사수급 추가 지원, 교과용도서 개발 및 편찬 경비 지원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직업 및 직장선택기준이 진로신화에 미치는 영향

        김병숙,윤통현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3

        This research investigates vocation and workplace selection standard to university student 4 years and analyze relation with vocation and workplace selection standard and career myths. This understands belief for groundless tack of students. Through this, is going to cultivate ability that can compose standard of suitable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workplace selection. And it is to supply career counseling and basis data of program development. It composed 3 factor connected with vocation selection standard to achieve purpose of research. It composed 4 factor connected with workplace selection standard. Career myths composed 7 factor. Specially, caused much effects at best stars myth. There was each significant difference vocation according to individuation and workplace selection standard and career myths conclusively. Workplace and vocation selection standard influenced in career myths. Desire that research about this research reactor college student's career myths are gone more. And various research about vocation and workplace choice standard establishment desires that is enforced. 본 연구는 4년제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직업 및 직장선택기준의 조사와 직업 및 직장선택기준과 진로신화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시작되었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의 근거 없는 진로에 대한 믿음을 이해하고 합리적인 직업의식과 직장선택의 기준을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진로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업선택기준과 관련된 3개의 요인과 직장선택기준과 관련된 4개의 요인, 진로신화의 6개 요인을 구성하였다. 결론적으로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직업 및 직장선택기준과 진로신화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직장 및 직업선택기준 또한 진로신화에 영향을 주는 것이 분석되었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진로신화가 직업선택기준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고한 것에서 한 단계 나가 역의 경우도 영향이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즉, 학교생활과 개인의 사회적 환경에 의해 만들어진 직업 및 직장선택기준은 진로신화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의 진로신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비합리적인 진로신화의 형성을 막을 수 있는 방법으로 직업 및 직장선정 기준 수립에 대한 다양하고 올바른 조언과 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함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