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고찰과 발전 방향 연구

        임효진(Hyo Jin Lim),이두곤(Du Gon Lee)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4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규명함으로써 교육적 의의를 찾고,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통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는 첫째,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학생들이 사물과 현상을 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준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학생들이 본성을 회복하여 심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을 반영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더욱 지향해야 하며, 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교육관이 변화해야 한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은 내재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평가 관점은 학생의 성장 과정에 중점을 두는 과정중심평가로 전환되어야 한다. 넷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재적 가치 이해 증진을 위해 교사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재적 가치에 대해 주목하면서,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기반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학교교육에서 더욱 탄탄한 교육적 토양을 갖고 성공적으로 자리 잡아가게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by illuminating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to seek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ESD through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SD from the perspective of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s worth forming a perspective to see phenomena for students. Various adjectival education and integrative perspective of ESD forms an insight wherein students see the world to be holistic, while extending the students experience. Second, ESD cultivates the primordial mind by restoring it to its original nature for the students. This enable students to feel a moral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to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minorities, and acquire a good mindset in the course of helping others without expecting anything in return.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ESD reflecting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ESD should be more oriented to the intrinsic rather than the extrinsic (or instrumental) value of education, and change it to educational viewpoints to pursue the sustainability of education. Second, the teaching methods of ESD should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intrinsic value. Third, the evaluation of ESD should be converted to process-centered assessments that focus on the growth of students. Fourth, in the teacher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the intrinsic value of ESD should be emphasized, and the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help experience the intrinsic value and recognize its importance. As elucidated about the intrinsic value of ESD through this research, ESD based on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s expected to develop and to establish itself in schools.

      • KCI등재후보

        ‘노동’의 관점에서 본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비판적 성찰 및 수용 : 2009 개정 실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윤지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1

        본 연구의 목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을 ‘노동’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실과교육의 성격에 맞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예시자료를 제안하여 실과교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성찰적으로 수용하는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문헌고찰과 실제적 예시자료의 개발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개념은 실과 교육을 비롯한 교육 분야에서 ‘발전’의 개념 측면에서 이념적인 혼란을 가져왔고, 녹색성장전략과 혼동되어 ‘환경교육’의 차원에 머물렀으며, 교육주체에 있어서 혼동을 가져왔다. 따라서 ESD의 두 번째 정의인 ‘욕구’와 ‘한계’의 개념에 주목하여, 환경교육의 범주를 넘어서서 통합적인 관점을 반영해야 하고 실과교과를 포함하여 각 교과로부터 자발적으로 ESD의 가치를 내재화 할 수 있는 필요성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서 ‘발전’과 ‘성장’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성장’의 결과인 일자리가 아니라 일하는 인간의 ‘노동’에서 ‘발전’과 ‘성장’의 지속가능성을 찾아야 한다. 이것은 단순한 환경교육이 아니라 인간 삶에 관한 인식과 실천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며, 실과교육의 고유한 본질임에도 지금까지 교육의 중심부에서 가려져 왔다. 교육은 형이상학적 지식체계가아니며 노동하는 인간의 삶에 대한 역사이다. 셋째, 2009실과교육과정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 예시자료를 제안하였다. 실과교과를 통해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환경교육 관점에서 벗어나 다양한 맥락들을 살펴 볼 필요가 있으며, ESD의 세 가지 국면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 제시된 국가․사회적요구, 핵심역량, ESD역량, 연구자가 제시한 준거(욕구, 노동, 사고과정) 등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개념들은 서로 다층적으로 중첩된다. 따라서 기계적으로 뽑아낼 수는 없지만, 그러나 이러한 준거들은 어디까지나 ESD를 실천하고 연구하는 사람의 능력에 따라서 자유롭게 고려될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reflective acception on ES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by the critical review on the concept of ESD and by the suggestion of the Educational Example Materials on ES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concepts of ESD were confused with ‘development' and ‘Carbon Green Growth Strategy', were understood ‘environment education', and confused in major educational player. So the concepts of 'needs' and 'limits' of ESD are important subconcept and the voluntarily acceptances of ESD in School Subject are needed. Second, from the view of 'labor' concept with relation human needs and desire, 'development' and 'growth' concepts are the results of human labor. So the concept of 'labor' are most important concept for understanding ESD from Hegel's viewpoint, Educational area, and Practical Arts Education area. Third, to practice ES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Subject voluntarily, there are various criterions are needed as to three areas of ESD, core ability and national·social needs on the curriculum, ESD core ability, and the criterion suggested by researcher(desire, labor, thinking process). From those criterions, example materials of ESD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re suggested.

      • KCI등재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과 장애요인 분석

        조혜연 ( Hye Yeon Cho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운영현황과 교육 시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115명의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개발된 교육현황과 장애요인을 알아보는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에 있어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지 결과 분석은 엑셀과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운영현황과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장애를 느끼는 교사는 장애를 느끼지 않는 교사에 비하여 수업시간에 ‘생물다양성‘과 ‘먹을거리‘ 주제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할 때, 대부분의 교사들은 ‘기후변화’, ‘에너지’, ‘생물다양성’, ‘물의 이용’과 같은 환경 영역의 주제를 선택하는 것으로 볼 때, 환경, 사회 및 경제 영역에 대한 균형성을 가진 주제를 발굴하고, 그에 맞는 다양한 교재 및 수업자료를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장애를 느끼는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대중매체를 통해 교육자료를 수집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인터넷에서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 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 강화를 위한 필요 요소에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확대’와 ‘교재 및 수업자료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어 공감대가 형성되고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수업 자료들이 확충되는 등 여건이 조성될 때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되도록 하기위해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전문성 함양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자료개발이나 연수 기회의 확대와 같은 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in elementary school and ESD, identifies the barriers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oing ESD.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teachers who were selected to work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questionnaire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was modified and us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the barriers of ES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The Excel and i-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acing barriers in ESD rather than teachers not facing barriers are inclined to have more education topics of ``biodiversity`` and ``food``. But, most ESD topics that are used in elementary school class are composed of the environmental domain such as ``climate change``, ``energy``, ``biodiversity``, ``water use``. So, it needs further development of a well-balanced topic among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domain. Second, the teachers facing barriers of ESD rather than teachers not facing barriers need to support the educational materials with diverse and high quality on the internet, because they tend to obtain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the mass media than others. Third, most teachers need ``Expanded awareness of ESD`` and ``Expansion of teaching materials on ESD` to support the activation of ES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activate ESD of elementary school if ESD is included in curriculum after expanding the awareness and forming an educational consensu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need the awareness cultivation and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teachers on ESD to activate ESD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on ESD, expansion of mor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 KCI등재

        우리나라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구 동향과 연구 방향:1994∼2017년 "환경교육"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김찬국 한국환경교육학회 2017 環境 敎育 Vol.30 No.4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on sustainable development (SD), sustainability, 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in Korean EE community and seek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54 research articles from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1994∼2017.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ir thematic approaches into a) SD/ESD concepts or theories, b) perception on SD/ESD, c) ESD program development, d) understanding ESD practices and changes of learners, e) curriculum, textbooks and framework of contents, f) whole-school approach for ESD. Authors, year of publication, main interpretations of SD/ESD concepts were analyzed along with other specific components of analysis for the thematic approaches(a to f). This study includes critical reviews of previous research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ESD research in the EE community of Korea. Re-interpreting the research articles based on historic discourses on SD/ESD and contexts of EE in Korea, this study pursued to seek what the expansion of ESD research may mean to the development of EE research and practice. Reflecting the past and present features of ESD research, this study leads to discussions on directions and roles of EE research for the co-development of EE and ESD in the near future. 이 연구는 우리나라 환경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지속가능발전(지속가능성)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에 관한 연구 동향을 이해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994∼2017년 기간 동안 한국환경교육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환경교육』에 게재된 54편의 관련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은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구 동향의 6개 주제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a)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 개념 소개와 환경교육 관련 의미 탐색, b)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인식, c)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d)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과정과 학습자 변화 이해, e)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교육과정/교과서 분석 또는 내용체계 연구, f)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학교전체적 접근. 논문을 분석할 때 저자와 게재연도를 비롯하여 해당 논문이 지속가능발전이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하여 다룬 주요 개념과 인용을 포함하였고, 그 외 주제 영역에 따라 특정 분석 요소를 적용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의 환경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ESD 연구의 특성과 발전을 보여주기 위해 이전 연구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를 포함한다.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 개념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맥락을 바탕으로 한 기존 연구의 재해석을 통해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ESD 연구의 확장이 환경교육 연구와 실천에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드러내고자 하였다. ESD 연구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성찰은 환경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함께 발전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교육 연구의 방향과 역할에 대한 논의로 이어진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을 위한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분석 :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의 활용

        강운선(Woonsun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이 연구는 수업 실행의 선행변수로 보고되고 있는 교사의 태도, 교사의 효능감, 교사가 지각하는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공유적 수업리더십, 비전제시, 전문성 개발) 등의 원인변수가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을 위한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으로서 기능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설문 자료는 2018년 5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온라인 조사와 우편조사를 병행하여 수집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을 위한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통계처리도구로 fsQCA 2.5 버전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태도는 지속가능발전교육실행의 필요조건이다. 둘째, 교사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긍정적 태도와 효능감이 높고, 교장이 공유적 수업리더십과 교사들이 전문성개발을 강조하는 리더십을 발휘하는 조건에서는 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기에 충분하다. 셋째, 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진 조건에서, 교장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비전 제시와 공유적 리더십을 발휘하고, 교사들이 전문성을 개발하도록 강조하는 조건에서는 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기에 충분하다. 넷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교장의 리더십이 낮은 경우에도, 교사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긍정적 태도와 효능감이 높은 조건에서는 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기에 충분하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을 위한 제안과 후속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Past research on ESD has used two principal approaches: large-N statistical studies estimating average effect sizes, or case studies presenting description. Notably lacking is the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conditions determining ESD implementation. I used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to identify pathways leading to ESD implementation. This study was based on a sample of 164 Korean teachers.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1) A positive attitude towards ESD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ESD. 2) I explored three distinct causal conditions that were sufficient to explain ESD implementation. 3) Causal condition 1 feature positive attitude towards ESD combined with high efficacy and high levels of leadership in the two sub-scales of principal leadership ( shared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developing people ) are sufficient to implement ESD. 4) Causal condition 2 features a positive attitude towards ESD combined with high levels of leadership in the three sub-scales of principal leadership ( shared instructional leadership , setting direction and developing people ) are sufficient to implement ESD. 5) The same outcome is achieved with a positive attitude towards ESD and efficacy, even though it is accompanied by low shared instructional leadership , low levels of setting direction , and low levels of developing people .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suggested that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make efforts to include contents and methods related to ESD in the curriculum. Also, I suggested that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clude ESD in their training programs.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that fs/QCA will be more used for studies to discover causal relations to ESD.

      • KCI등재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 개발

        고아라(Ara Ko),남영숙(Young-Sook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이 연구는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을 강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상의 초등학교 5~6학년군 교과 목표, 내용요소와 성취기준과 학습활동을 분석, 인성 요소와 융합한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문헌연구로 진행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 주제를 선정하고,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 및 사례를 개발하였다. 타당도 제고를 위해서는 전문가 5인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여 학습 주제 선정, 교육역량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 모델 개발 전반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 개발의 원칙은 융합된 역량 선정, 융합 성취기준 활용, 삶과 연계한 방식 진행이다. 둘째,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 개발을 위한 주제를 선정하기 위해 관련 교과별 성취기준을 추출하고, ESD 성취기준을 개발하며, 융합 목표를 도출한 후, 융합 모델 주제를 선정하였다. 셋째,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 및 사례를 개발하기 위해 기획, 준비, 개발, 개선의 단계를 거친다. 2022 개정 5~6학년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도시’를 소재로 한 ‘우리 도시를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한 협력과 아이디어’를 주제로한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 융합 모델의 프로젝트 10차시를 개발하였다. 결론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요소별 성취기준이 필요하다. 인성 함양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다양한 융합 모델이 중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convergence model for character cultivation and edu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ESD). Methods To this end,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ubject goals, content elements,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activities of the 5th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contents of ESD fused with personality elements. Based on the analysis, the subject of the personality cultivation ESD convergence model was selected, and the personality cultivation ESD convergence model and case were developed. To improve the validit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five experts to collect opinions on the selection of learning topics, educational competencies and goals,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and model development as a whol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inciple of developing a convergence model for person-ality cultivation and ESD is to select convergent competencies, use convergence achievement standards, and pro-ceed in a way linked to life. Second, after extracting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related subject, developing ESD achievement standards, and deriving convergence goals, convergence model topics were selected to select topics for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model for personality cultivation and ESD. Third, it goes through the stages of planning, preparation, development, and improvement to develop a convergence model and case for personality cultivation and ESD. For the 2022 revised 5th to 6th grade curriculum, the 10th session of the project of a convergence model for personality cultivation and ESD under the theme of “Cooperation and Ideas to Make Our City a Better Place” was developed. Conclusions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element of ESD are needed. Various convergence models for per-sonality cultivation and ESD are important.

      • KCI등재

        초등 2015개정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관련 목표와 내용 탐색

        김다원(Kim, Dawon)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0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 2015개정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ESD)관련 목표와 내용을 탐색하여 교과교육을 통하여 ESD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8개 교과의 2015개정교육과정 목표와 성취기준에 서술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ESD 핵심내용을 선정하여 준거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분석한 8개 교과 모두 교육과정 교과목표에서 ESD 관련 목표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교과 안에서 ESD를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 관련 사용 용어는 사회 교과와 실과에서 ‘지속가능한 지구촌’, ‘지속가능한 미래 건설’,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로 사용되었다. 이는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학습을 전개하는 데 긍정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두 교과 모두에서 지속가능발전을 미래사회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면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이 현세대와 미래세대를 동시에 바라보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셋째, 8개 교과 교육과정에는 전체 22개 ESD 핵심내용 영역 중 ‘양성평등’을 제외하고 모든 핵심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교과 안에서 ESD가 실행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objectives, core contents, and terms of use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reflected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 find ways to effectively implement ESD in conjunction with th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described in objective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focusing on 8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contents of ESD were selected and used as a refer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ll eight subjects analyzed in this study include ESD-related goals in curriculum objectives. This shows that ESD can be implemented in the subject. Second, the term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were used as ‘sustainable global village’, ‘sustainable future construction’, and ‘sustainable future society’ in social studies and practical arts. This shows positiveness in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in both subjects, sustainable development is focused on future society, and it has a limitation in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is a concept that looks at both the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at the same time. Third, the eight subjects include all the core contents except for ‘gender equality’ among 22 core contents of ESD. This is a positive indicator that ESD can be implemented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STEAM 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황연주(Yeonju Hwang),황희숙(HeeSook Hwang),김빛내(Bitnae Kim) 인지발달중재학회 2024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5 No.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STEAM 기반 지속가능 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절차에 따라 문헌 분석, 요구도 조사, 시안 구성, 1차 전문가 협의회, 예비 연구, 2차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최종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B 시에 소재한 B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24명을 대상으로 2023년 3월 8일부터 6월 14일까지 총 24차시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 향상을 위한 STEAM 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에 기반하여 사회․경제․환경적 측면이 통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과 융합인재소양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STEAM 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역량과 융합인재소양의 향상에 효과적임을 보여줌으로써,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developing a STEAM-base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rogram to improve the capac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ethods: The final program was form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demand survey, draft composition, first expert council, preliminary research, and second expert council according to the procedure to develop the program.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final program, 2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t B University located in B city were recruited from March 8 to June 14, 2023. Results: The STEAM-base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 educational capabilit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rises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that can be achieved by integrating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based on the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program improv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SD competencies and STEAM literacy.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esenting a new model of education by demonstrating that STEAM-base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ESD competencies and STEAM liter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 인식의 변화과정 탐색

        서현정(Seo, Hyunju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1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에 참여한 유치원 교사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을탐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H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42명의 유치원 교사들이6주간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에 참여하며 작성한 반성적 저널과 토론 및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들은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초기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인정하였으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 이해에는 어려움을 나타냈다. 또한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는데있어 교육적 가치와 유아 발달의 적합성 사이에서 갈등하였고, 특히 유아중심, 놀이중심을 강조하는 국가수준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어려운 과제로 인식하였다. 점차 수업에 참여하며 지식이나 체험 위주의 환경교육을뛰어 넘어 삶의 가치와 연결되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게 되었고, 자신의 일상을 돌아보며실제 삶과 분리된 탈맥락적 교육 행위에 대해 갈등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인간과세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통해 미래를 살아갈 역량을 키워주는 교육, 삶을 위한 교육이라고 인식하게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실천적 역량 배양이 가능한 교사양성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nges in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ho were participated in a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course in a graduate program of H university in Korea. For this study, data from reflective journals, discussions, and interviews of 42 kindergarten teachers enrolled in the H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acknowledged a need for ES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display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ESD. They experienced some conflicts between educational values and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in implementing ESD. In particular, they reported difficulties in linking ESD with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which emphasizes a more child-focused and play-centered program. However, while teachers have been able to recognize and take in ESD, there is a notable conflict with decentralized educational behavior that is separate from real life which focuses on life values beyond knowledge and experience-oriented environmental education. Nonetheless, participants recognized ESD as education that fosters young children’s competency for thriving in the future. Th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 training with ESD is necessary as to develop practical competencies as well as philosophical approaches in accordance with ESD.

      • KCI등재후보

        초등실과 ‘가정생활’ 영역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순옥,이상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4

        본 연구는 2009 개정 실과교육과정의 ‘가정생활’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요소를 분석하여 내용을 추출한 다음, ADDIE 모형을 바탕으로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단계를 거쳐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5학년 2개반을 대상으로 동질통제집단 전·후 검사설계를 적용하여 8주에 걸쳐 총 16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한상희와 이상원(2010), 류영주와 최지연(2010)의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량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관찰, 학생들의 포트폴리오와 면담 자료를 통해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009 개정 실과교육과정에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용 요소를 지도하는데 적합한 내용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가정생활’ 영역은 의식주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영역으로 사회·경제·환경적인 관점에서 통합적인 주제를 다루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지도하는데 적합한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실과 ‘가정생활’ 영역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을 추출한 다음 초등학교 고학년 수준을 고려하여 의식주 생활에서의 체험과 실습 위주의 활동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실과 ‘가정생활’ 영역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과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Home Life' area of the practical arts,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of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was developed through five major stages based on ADDIE model : (1) analysis (2) design (3) development (4) implementation (5) evaluation. The subjects on this study were 54 students in two different 5th grade class in P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experiment made progress according to two-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the program was applied to a class for two hours in every week for 8 weeks. A re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Han(2010)'s test tool was used to survey the effects of students's awareness and attitudes on ESD. The I-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hrough restructuring the ESD related to the contents extracted from the 2007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2009 curriculum. Second, the ESD program based on practical arts subject in 'Home Life' area was developed with balanced view that includes three parts of ESD ; society, ecology, economy. And the program developed with considering the elementary school level is associated with real-life activities. Third, the developed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ES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rough the result of a case analysis of observation, interview and portfolio, most students had an interest in ESD concept and a favorable influence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s ESD. In conclusion, ESD program for the 'Home Life' area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subject is applicable to the education field. Moreover,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the 5th graders towards ESD. It is recommended that more intensive research on this study should be done, linking teaching and lesson methods, as a follow-up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