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 시행과 안전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조대진(Dae Jin Jo),이준원(Joon Won Lee),어원석(Won Souk Eoh),최상찬(Sang Chan Choi),김득환(Deuk Hwan Kim)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5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평가 시행과 안전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2024년 1월부터 5인 이상 사업장의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있으나, 중소규모 사업장의 재해율은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중소규모 사업장의 안전행동 및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자율기반 안전보건관리체계의 핵심이 되는 위험성평가의 역할이 어떠한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의 연구모형은 독립변수인 위험성평가 시행여부와 종속변수인 안전 분위기, 안전규정 준수, 안전사고 발생률, 안전 최우선 가치, 위험행동 관리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30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장의 종사자 211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중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평가 실시 사업장과 미실시 사업장의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안전 분위기, 안전규정 준수, 안전사고 발생률, 안전 최우선 가치, 위험행동 관리의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위험성평가를 실시한 중소규모 사업장은 미실시한 사업장보다 안전성과 수준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위험성평가는 중소규모 사업장의 안전행동 실행 및 재해예방에 유효한 제도임을 확인하였다.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 도입을 위하여 사업주의 인식을 제고하고 내부구성원의 위험성평가 수행역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평가 실태와 안전성과에 대한 후속연구를 통해 위험성평가가 중소규모 사업장에 활성화되어 근로자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는 산재 예방의 효과적인 제도가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assessment signal and safety in small and medium-sized workplaces. While the Serious Accidents Punishment Act, which will be applied to places of business with five or more employees, will be effected in January 2024, the accident rate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s still high. Promoting safety behaviors and preventing accidents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require analyzing the role of risk assessment, an integral part of the self-regulatory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assessment and safety performance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1 employees, working at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that hired less than 300 work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9 program,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s t test.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omains of safety climate and compliance, accident rates, safety as a top priority, and the level of risk behavior management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based on whether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or not. The businesses that conducted risk assessment,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safety performance than those that did not.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risk assessment is an effective system to improve safety behaviors and prevent accidents at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 implementation of risk assessment in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nd their resultant safety performance, to encourage more companies to adopt this practice. This will also facilitate risk assessment to develop into an effective measure for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and protecting the health and lives of workers.

      • 중소사업장의 대기오염 방지설비 도입・확산 애로 요인 분석

        조인경,신서린,김종민 한국환경경영학회 2020 환경경영연구 Vol.12 No.-

        날로 심각해지는 대기 분야 환경문제를 개선하고자 정부는 대량 배출사업장에 대한 대 기 배출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규제 사각지대 관리 차원에서 중소사업장에 대한 지원정책 을 추진 중이다. 중소사업장이 대기 분야 환경규제 정책의 직접적 영향권 내에 있지는 않 지만 정책의 잠재적 영향을 무시할 수는 없다. 이들 중소사업장이 규제 대응력을 키우고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체감하는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정 부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기 분야 환경규제 대응 중소사업장의 방지시 설 설치・운영과 관련하여 효과적 지원정책 추진을 위해 중소사업장에서 체감하는 애로 요인을 분석했다. 제조 분야 중소사업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조사 결과 중소사업장은 설비의 효율에 대한 신뢰도, 기술도입 비용, 지원정책의 지속성 및 일관성, 긴 기술도입 기간 및 도입절차의 복잡성 등을 가장 심각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기술도입 비용은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심각하게 여기는 문제였으며, 기 업이 체감하는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 정책 지원에 대한 요구가 큰 것을 확인하 였다. In order to improve the increasingly serious air pollution problem, the government is strengthening emission regulations for large-scale enterprises while promoting policies to support small or medium sized enterprises(SMEs). SMEs seem to be not directly affected by the current regulations. However, the potential impact of the policies cannot be ignored. In order for SMEs to upgrade their regulatory responsiveness and sustainability, they need to have more supportive government policies so as to resolve the difficulties that they have experienced so far.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some major obstacles experienced by SMEs for suggesting effective and supportive policies on the related regulations affecting SMEs.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e manufacturing sectors of the selected SMEs. Reliability of facility efficiency, cost of introducing techn -ologies, persistence and consistency of policies, and inherent process delay of introducing technology were pinpointed as serious obstacles. Note that cost of introducing technologies has been a main barrier for a long time, and there is a great demand for the better role of the government, effectively dealing with the accumulated problems and issues on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raised by SMEs.

      • 중소사업장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효율성평가

        박비오,양고수,박성순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본 연구는 전북산단내 높은 입주율을 차지하는 중소사업장 대상으로 최적의 온실가스 저감기술을 적용하여, 영세 중소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에 대한 관리방안 수립하기 위한 효율성평가 연구이다. 전라북도의 총 온실가스 배출량 중 산업에서의 기여도가 38%를 나타내어 온실가스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연도별로 온실가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영세 중소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에 대한 관리방안을 위한 효율성평가 수립이 필요하다. 온실가스 효율성평가에서 양호로 조사된 차세대건조기, 정동기술, 열교환기술, 연소기기, 히트펌프 등의 기술을 중소사업장 적용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으로 선정된 기술은 히트펌프기술, 폐열활용공급 기술을 선정하였다. 이 중 폐열활용공급 기술에 의하여 재생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업체는 온도 70℃ 이상, 유량 500 m³/min 이상의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효율성평가 원칙은 부합성, 수월성, 추진가능성, 구체성, 연계통합성을 고려하여 온실가스 네트워크에 따른 효율성평가 결과, 군산산단은 대규모의 금속제품제조업 또는 식품제품제조업은 소규모의 화학제품제조업과의 폐열 재이용기술을 적용하였을 경우에 양호한 기술로 평가되었으며, 익산산단은 대규모의 화학제품 제조업이 소규모의 전자제품 제조업과의 폐열 재이용기술을 적용하였을 경우에 양호한 기술로 평가되었다.

      • 중소사업장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효율성평가

        박비오,박성순,양고수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

        본 연구는 전북산단내 높은 입주율을 차지하는 중소사업장 대상으로 최적의 온실가스 저감기술을 적용하여, 영세 중소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에 대한 관리방안 수립하기 위한 효율성평가 연구이다. 전라북도의 총 온실가스 배출량 중 산업에서의 기여도가 38%를 나타내어 온실가스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연도별로 온실가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영세 중소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에 대한 관리방안을 위한 효율성평가 수립이 필요하다. 온실가스 효율성평가에서 양호로 조사된 차세대건조기, 정동기술, 열교환기술, 연소기기, 히트펌프 등의 기술을 중소사업장 적용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으로 선정된 기술은 히트펌프기술, 폐열활용공급 기술을 선정하였다. 이 중 폐열활용공급 기술에 의하여 재생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업체는 온도 70℃ 이상, 유량 500 ㎥/min 이상의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업체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효율성평가 원칙은 부합성, 수월성, 추진가능성, 구체성, 연계통합성을 고려하여 온실가스 네트워크에 따른 효율성평가 결과, 군산산단은 대규모의 금속제품제조업 또는 식품제품제조업은 소규모의 화학제품제조업과의 폐열 재이용기술을 적용하였을 경우에 양호한 기술로 평가되었으며, 익산산단은 대규모의 화학제품 제조업이 소규모의 전자제품 제조업과의 폐열 재이용기술을 적용하였을 경우에 양호한 기술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중소규모 사업용 BIM을 위한 데이터 사전의 활용

        이환우,이경섭,김광양,Lee, Hwan Woo,Lee, Kyung Sub,Kim, Kwang Yang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3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6 No.6

        건설 산업의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시설물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정보의 시스템화가 요구되고 있다. 정보를 시스템화하는 방법의 하나로 3차원 정보모델을 기반으로 정보 관리하는 기술인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BIM 연구의 초점은 대형 사업장에 맞추어져 있으며 중소규모 사업장을 위한 BIM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중소규모 사업장의 경우 대형 사업장보다 정보 손실이 더욱 심각하지만, 투자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BIM을 도입하기에는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는 과도한 투자 없이 BIM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중소규모 사업장 대상 맞춤형 BIM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Pseudo BIM(이하, 의사BIM)이라 정의하였다. 그리고 의사 BIM의 개념과 구축방법에 따라 PLIB Part 42, 건설정보분류체계 등을 활용하여 의사 BIM의 엔진 구조를 담당하는 데이터 사전 구축 방법을 제시하고 Pilot test를 실시하여 의사 BIM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The systemization of construction information is required over whole life cycle of facilities to improve productivity of construction industry.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a technology to manage information based on 3D information model. It has been actively suggest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However, it may be currently concentrated on the large project while the small and medium project based on BIM are slightly treated in indifference. In the case of small and medium project, the loss of information has been occurred more seriously than large project. However, it is hard to introduce BIM to the small and medium companies due to the lack of investment resources.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set up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M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project without excessive investment. In this study, pseudo BIM is defined as BIM for small and medium project. The concept of pseudo BIM has been suggested. The PLIB of ISO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ystem of MOLIT in Korea are used to construct data dictionary for pseudo BIM. A pilot test i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seudo BIM.

      • KCI등재
      • KCI등재

        중소규모 사업장 고혈압환자의 치료순응과 관련요인

        김양미,이경재,김주자,정치경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002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Vol.11 No.2

        In order to evalu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rapeutic compliance of hypertensive patients in small and medium scale industry,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blood pressure measurement were performed on 138 hypertensive patients who were reported to have C or D2 result of hypertension at the worker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from March to November 2001.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included the informations of factors related to therapeutic compliance of hypertensive patients such as, age, sex, marital status, income, education levels, scale, occupation, work duration, smoking and drinking habits, exercise, family history, stress and A type personality, employer's concern, organizational culture, health status, awarenes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needs of hypertension treatment, and experience of health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roportion of those who were compliant to the treatment of hypertension was 41.3% of subjects. Among small scale industry less than 50 employees, the rate of therapeutic compliance group was 27.5% and therapeutic noncompliance group was 72.5%. Among medium scale industry more than 50 employees, the rate of therapeutic compliance group was 60.3% and therapeutic noncompliance group was 39.7%. 2. Among therapeutic noncompliance group, 95.1% of patients were aware of the fact that workers have hypertension, and 77.8% of patients got 6-10 marks of hypertension related knowledge. For health education, 27.2% were experienced and 34.6% said no intention to participate. And for hypertension treatment, 9.9% said no need to get the treatment and 44.4% said have no idea whether get treatment or not. 3.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rapeutic compliance of hypertensive patients in small scale industry were work duration, A type personality(anger), health status, attitude toward the needs of hypertension treatment, and experience of health education. 4.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rapeutic compliance of hypertensive patients in medium scale industry were age, occupation, subjective symptom, attitude toward the needs of hypertension treatment, and experience of health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abov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therapeutic compliance in small and medium scale industry hypertensives, it be necessary to change attitude, perception, knowledge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by various methods such as effective health education and individually consulting programs by occupational health professional.

      • SCOPUSKCI등재

        사업장 보건관리자 공동채용모형개발(II)-사업주와 간호사의 의견 비교-

        김영임,전경자,이성은,윤순녕,Kim, Young-Im,June, Kyung-Ja,Lee, Sung-Eun,Yun, Soon-Nyoung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1998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9 No.2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model on the joint employment system of occupational health nurse practitioners for medium or small sized enterprises in Korea based on the comparison opinions between employers and occupational health nurses (OHN).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Oct. to Nov. in 1997. The number of subjects was 210 OHNs and 176 employers, response rate was 47.1% for OHNs and 23.2% for employers. The SAS PC program was used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More than three years career was preferred for qualification of OHN by employers and OHNs. OHNs preferred that all instruments and materials should be equipped in each industry, but employers preferred that they should be equipped by OHN. 2. For the limit number of industries and employees per one OHN, employers preferred average 2.25 industries and 307 employees, OHNs preferred average 3.0 industries and 448 employees. Both of them preferred two times visit per week for all day long. 3. OHNs wanted that the local office of Ministry of Labor could act as mediator, but employers preferred direct contact individually. For the average wage, employers preferred 887,000 won per month, but OHNs preferred 1,960,000 won per month. 4. OHNs preferred the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 as the recruit agency. Finally, employers and OHNs have the opinions that they can choose this system depending on the condition. There is in need of development of effective strategy for this new system such as manpower development, cost-benefit analysis, establishment of occupational health service standard, advertisement for employers, and government supported pro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