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중등교사의 교육실습과정 탐색: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강경리(Kang, Kyung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예비중등교사의 교육실습과정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2018년 1학기 교육실습과정에 참여한 예비중등교사 19 명과 교육실습과정의 실습지도에 참여한 실습지도교사 12명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 성찰일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중등교사의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의 과정을 탐색하였다. 교 육실습과정의 초기, 중기, 말기의 단계에 따라 신뢰성 요소의 역량과 관련 있는 실습 지도교사의 전문성 측면에서 예비중등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정보제공, 연습의 기회와 지속적인 피드백, 실행의 기회와 구체적인 조언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 요소의 도덕성, 호의성과 관련 있는 실습지도교사의 정서적 지원 측면에서 예비중등교사는 실습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적극적 소통의 태도, 존중의 태도, 공감을 통한 지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교육실습과정에서 예비중등교사의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 형성을 위한 지원 체계를 실습지도교사의 능력과 학교조직의 환경적 요인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예비중등교사와의 신뢰 형성을 위해 실습지도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멘토로서의 자질로 전문적 능력과 정서적 지원 능력으로 나타났다. 예비중등교사와의 신뢰 형성을 위한 학교조직의 환경적 요인은 학습공동체 지향을 목적으로 실습지도교사 간의 신뢰 형성을 통한 실습지도교사의 성찰 공유, 실습지도교사와 실습학교관리자와의 신뢰 형성을 통한 실습지도교사의 보상 강화, 대학수준교원양성기관과 실습중등학교 간의 신뢰 형성을 통한 예비중등교사의 중등학생과의 관계성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중등교사의 실습지도교사에 대한 신뢰형성을 기반으로한 교육실습제도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practice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more effective educational practice syst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who completed the educational practice and 12 practical teachers who completed teaching experience of the educational practice in the first semester of 2018.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reflection journal an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reliability formation of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the educational practice. In terms of the practical teachers profession related to competence of reliability fact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experienced providence of information, opportunities for practice and continuous feedback, and opportunities for performance and specific advice. In terms of the practical teachers emotional support related to morality and fidelity of reliability fact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experienced positive attitude of communication, attitude of respect, and support through sympathy. Second, this study explored the support system for the reliability formation of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the educational practice, focusing on the ability of the practical teachers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school organization. In order to form reliability with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the ability required for the practical teachers was the mentor s qualities as professional ability and emotional support ability. In order to form reliability with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for learning community,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school organization were supportive environment for sharing reflection with practical teachers, preliminary education of the university about relations with secondary students of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ward enhancement for practical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practice system based on the reliability formation of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

      • KCI등재후보

        중등교원 양성 교육의 쟁점과 혁신 방안

        정제영(Chung, Jae Young) 협성대학교 교양학연구소 2019 교양학연구 Vol.6 No.1

        이 연구에서는 중등교사 교육에 대해 현재 제기되고 있는 중요한 쟁점을 검토하고;미래지향적인 중등교사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중등교사 양성교육과 관련하여 제기되고 있는 현재 쟁점은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중등교사 양성과 관련하여 수급이 불일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학교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정이 얼마나 준비도가 높은 예비교사를 양성하고 있는지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셋째;중등교사의 질 관리를 위한 개인과 기관 통제에 대한 것으로 개인에 대한 자격관리는 현행 무시험검정이 교원의 질관리 체제로 합당한가에 대한 것이다. 이 연구에 서는 중등교사 양성교육의 쟁점별로 검토하여 의견을 제시하는 것을 지양하고 해당 영역에서 미래지향적인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첫째;중등교사 양성의 수급과 관련하여 그동안 학급당 학생수;교원 1인당 학생수를 기준으로 산정하던 교원 수요예측에서 벗어나서 미래형 학교교육에 적합한 맞춤형 교육에 필요한 교원 정원 산정방식을 새롭게 구안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중등교사의 전문적 역량에 대한 재규정을 통해 양성교육과정을 혁신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셋째;교사 자격 및 양성기관 관리혁신을 위하여 현행 ‘관료적 통제모형’에 ‘시장 모형’이 좀 더 강조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important issues that are currently being raised about secondary school teacher’s education were reviewed and the direction of future-oriented secondary teacher education was presented. The current issues raised in relation to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examined in three major points. First,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supply and demand of teachers. Second, it is about how prepared program is. Third, it is about the control of individuals and institutions for quality control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his study, it was recommended to explore future-oriented directions in the area. First, regarding the supply and demand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t is necessary to devise a new method of calculating teacher quota for customized education suitable for future school education.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the training courses need to be innovated through the re-regulation of the professional competency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hird, it was suggested that the market model needs to be emphasized more in the current official control model for teacher qualification and innovation in the management of the benign institutions.

      • KCI등재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학교폭력 인식 차이

        주영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인식에 있어서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의 차이를 비교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4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PASW 18.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둘 다 학교폭력이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그 비율은 중등교사가 중등예비교사보다 유의하게 높다. 학교폭력 유형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는 괴롭힘을, 중등예비교사는 집단적 폭행, 집단따돌림을 가장 심각한 학교폭력 유형으로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가해학생과 피해학생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둘 다 사소한 감정 때문에 폭력행동이 일어나며, 피해의 원인으로 중등교사는 다소 고정적인 변인의 특성을 띠는 성격적 요인으로 인식하는 반면, 중등예비교사들은 변화가능한 대인관계 기술 부족이나 대인관계 적응력 부족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피해학생에게 필요한 조치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중등교사는 전담부서 등에서의 상담, 중등예비교사는 전문적인 상담 및 개입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우선적으로 필요한 점에 대해서는 중등교사는 학부모와 교사의 연계, 중등예비교사는 전인교육, 인성교육을 통한 예방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학교폭력 예방 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 가해학생 처벌, 담임교사와의 면담, 학부모에게 통지, 학생생활기록부 기록 의무화 등 모든 분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예방 혹은 대처에서 담임교사와 학생의 역할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중등교사와 중등예비교사 모두 공통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 과정에 새롭게 개설된 학교폭력 예방과 대책 과목의 개선점에 대한 제안에 대해, 그리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 중등교사 양성교육 연구 경향 분석

        박수정 한국교육학회 2014 敎育學硏究 Vol.52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the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314 articles related to the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from 2003 to 2012 are collected and network text analysis a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bout 30 articles on the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published annually and the number of articles had increased in 2006, 2008 and 2011. Secondly, the rate of “subject-matter and cross curricula" and the rate of “an author and co-author” were 6:4 respectively. Third,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was most frequently conducted in “The Jo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and was usually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s of subject matter education, secondary school education, subject matter content,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udies and curricular studies. Fourth, keywords on each abstract placed the teacher first, the pre-service teacher second, followed by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teaching practice, professional, college of education, teacher training, teacher training education, teacher employment test, program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Based on the network text analysis of 54 high related keywords on the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earch, the keywords of “curriculum~professional~pre-service teacher~teacher training education”, “teacher employment test~criteria~evaluation”, “subject-matter education~qualitative research~secondary school teacher employment test~question”, “teaching-learning~capability~efficacy”, “content~knowledge~teaching~pedagogi -cal content knowledge(PCK)”, “student~reflection~social studies~history teacher” showed the intimate connection respectively, while indicating the research trend of these issu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howed a summarization of the latest research trend of the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Korea and analyzed connection of the issues and its trend by network text analysis. 이 연구는 한국 중등교사 양성교육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10년간(2003년~2012년) 중등교사를 양성하는 교육과 관련된 연구물 중 한국연구재단에 등재(후보)된 학술지 발표 논문 314편을 선정하고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교육 연구는 평균적으로 연간 30편 정도 학술지에 발표되었고, 2006년, 2008년, 2011년에는 높은 빈도로 발표되었다. 둘째, 중등교사교육 연구는 교과와 공통, 단독과 공동 논문의 비율이 각각 6:4 정도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교사교육 연구는 『한국교원교육연구』에 가장 많이 다루어졌고, 교과교육, 중등교육, 교과 내용과 관련된 학술지와 교육행정학과 교육과정 전문 학술지에서 발표되었다. 넷째, 중등교사교육 연구의 초록에 제시된 키워드는 교사, 예비교사, 교육과정, 교사교육, 교육실습, 전문성, 사범대학, 교사양성, 교사양성교육, 임용시험, 프로그램, 교수내용지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등교사교육 연구의 키워드 중 연결 중심성이 높은 54개 키워드를 추출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과정~전문성~예비교사~교사양성교육, 임용시험~기준~평가, 교과교육학~질적연구~중등임용시험~출제, 교수학습~역량~효능감, 내용~지식~교수~교수내용지식, 학생~반성~사회과~역사교사의 밀접한 관련성이 나타나, 이러한 주제들이 함께 연구되고 있는 경향성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한국에서의 중등교사교육 연구의 최근 경향을 전체적으로 개괄하고, 연구주제의 관련성과 연계 경향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 및 직무만족도 관계: 교사정서의 조절된 매개효과

        조한익 ( Cho Han-ik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와 더불어 교사정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도에 속한 중등학교 교사 55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에서 중학교 교사는 145명, 고등학교 교사는 411명이다. 측정도구는 중등학교 교사용 교사정서, 교사효능감, 교사소진, 직무만족도 척도이다. 연구결과 중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소진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정서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는 교사정서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즐거움, 자부심의 정적정서와 불안감, 지루함의 부적정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정서가 중등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 심리적 소진 및 직무만족도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중등학교 교사의 직무와 관련하여 교사정서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teacher efficacy,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s well a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teacher emo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556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G province were sampled with 145 middle school and 411 high school teacher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eacher emotions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teacher efficacy, teache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result,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was found o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mo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However, it was found that positive emotions like joy and pride and negative emotions like anxiety and anger had different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emotions on the relation among teacher efficacy, psychological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study, there is expected that more researches should be done about what roles of teacher emotions have in relation to the teaching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중등교사양성프로그램이 예비음악교사의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조사

        신지혜,이수진 한국음악교육학회 2016 음악교육연구 Vol.4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중등음악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양성프로그램이 음악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사범계와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151명의 예비중등음악교사가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중등음악교사들이 인식한 교사양성프로그램의 영역별 영향은 교수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뒤를 이어 전문성 영역, 전문기술 및 지식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예비중등음악교사는 사범계에 재학 중인 예비중등음악교사보다 교과지식 등의 영역에서 더 높은 평균점수를 드러내었다. 셋째, 음악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등교사양성프로그램의 운영체제 및 수업적인 요인으로 교수법 및 지도법 수업, 교육학 이론 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음악교수역량을 위해서 중등교사양성프로그램이 개선해야 되는 부분으로 실제적인 지식, 임용고시 대비를 위한 특강 및 프로그램 등이 있었다.

      • KCI등재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와 직무수행과의 관계

        심순아,정옥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mong secondary school married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7 married female teachers who worked in middle-and high-schools in Seoul and Gyeonggido. To gauge how they were pleased with their married lives, Lee Jeong- ryeon(1987)'s scale that was based on Synder's scale and made up for its segment about relations with family-in-law. As for job performance, Yun Gyeong-hye(2001)'s scale that was based on Son Jeong-hwan (1990)'s teacher job scale was employed. For data analyses, t-tests, ANOVAs, Scheffé tests for pairwise comparison, Pearson's correlations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llustrated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secondary school married female teache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job performance. This indicated that their marital satisfaction served to enhance their job performance, and furthermore, that could be said to determin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본 연구는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와 직무수행과의 관계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서울시와 주변의 위성도시에 소재한 중등학교 중에서 10개 중학교와 11개 고등학교에 재직중인 중등기혼여교사 2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 척도는 Snyder의 척도를 중심으로 하고 시가관계 영역을 보충한 이정련(1987)의 것을 사용하였다. 직무수행 영역에 대한 척도는 손정환(1990)의 교사직무 영역을 참고하여 윤경혜(2001)가 작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t-test, 분산분석,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고,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는 연령과 자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가장 낮은 집단이 연령이 높은 집단보다 전반적 결혼만족도와 동료감에서 더 높았고, 자녀가 없는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전반적 결혼만족도와 성생활, 정의적 의사소통, 문제해결 의사소통, 시가관계, 경제문제, 동료감에서 높았다. 둘째, 중등기혼여교사의 직무수행은 연령이 높은 집단이 생활지도, 연수활동, 인간관계, 사무관리, 학교경영기여, 교육개혁참여도에서 높게 나타내었고, 자녀수가 많은 집단에서 학습지도, 생활지도와 연수활동, 인간관계, 사무관리 영역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직년수가 높은 집단에서 생활지도, 연수활동, 인간관계, 사무관리, 학교경영기여, 교육개혁참여도에서 높게 나타났고, 가사조력자가 없는 집단이 가사조력자가 있는 집단보다 교육개혁참여도를 더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등 기혼여교사의 결혼만족도와 직무수행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즉, 중등기혼여교사의 전체적인 결혼만족도는 학급관리, 생활지도, 사무관리, 전체 직무수행, 학교경영기여, 인간관계 순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 KCI등재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모델 개발

        구형근,류태호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4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체육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체육교사로서 갖추어야 하는 핵심역량을 도출하고, 핵심역량에 대한 현직 체육교사의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모델의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모델 개발은 국내외 교사역량 관련문헌 분석과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으며,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모델은 4개의 역량군과 15개의 핵심역량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에 대한 요구도는 어떠한가?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에대한 요구도 분석을 위해 서울·경기 지역에서 근무하는 중등체육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요구도가 가장 높은 최우선순위 역량은 ‘체육수업계획 역량’, ‘체육수업실행 역량’, ‘체육수업평가역량’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등체육교사 핵심역량모델의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국내에서 교사교육과 교사역량을 연관지어 살펴보는 노력이 국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보았으며, 이에 국외의 사례를 참고하여 교사역량을 교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예비교사 단계와 현직교사 단계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to develop a core competency model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er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teacher competencies and a Delphi method. The core competency model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as also developed by integrating the needs assessment of curren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imperative to consider in the study results: firstly, what are the components of core competencies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development of the core competency model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as establish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 Delphi approach. As a result, the core competency model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nsists of 15 core competencies which are divided into four competency groups. Secondly, what is the perceived level of attainment and needs of core competencies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researcher surveyed a total of 168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eoul and regions in Gyeonggi province by creating questionnaires to determine their perceived level of attainment and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The result of the needs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riority competencies include ‘planning for PE class’, ‘implementation of PE class’, and ‘assessment in PE clas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points are discussed: the practical usage of the core competency model for the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level was examined. The researcher found that domestic research connecting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competencies is relatively lacking compared to international research. Thus, the researcher devised the ways in which teacher competencies can be utilized in teacher education on two levels: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중등교사 직무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이성주,김경희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등교사의 개인 특성(성별, 직책, 경력), 환경 특성(학교급, 근무지역), 교사효능감(개인차원: 소명감, 교수학습; 조직차원: 동료관계, 학교조직)이 직무만족도(직무관계, 보상체계, 근무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중등교사의 개인 특성․환경 특성보다는 교사효능감이 중등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보다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둘째, 교사효능감의 두 차원 중 개인차원이 중등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보다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셋째, 중등교사의 환경 특성보다는 개인 특성, 즉 중등교사의 직책, 경력이 보다 중요한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등교사의 교사의 환경 특성 중 국공립(학교설립) 여부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그에 대한 원인을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중등교사의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해 교사효능감 특히 개인차원의 교사효능감, 즉 중등교사의 소명감 및 교수학습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다. This study was execut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secondary-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To do so, the effect of secondary-school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x, position, experience), thei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chool level, working region), and their teacher-efficiency (individual level: sense of calling, teaching-learning; organization level: colleague relationship, school organization) was investigated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ir teacher-efficiency had a stronger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than their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did. Secondly, of the two levels of teacher efficiency, individual level affected more strongly on their job satisfaction than organization level did. Thirdly,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mor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ir job satisfaction. Finally, from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hether they worked at public or private schools was a meaningful variable, which needs a succeeding study. Conclusively, this study suggests that to improve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it is urgently required to strengthen their teacher-efficiency from individual level, so to speak, sense of calling and teaching-learning.

      • KCI등재

        중등교사 역량 및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임교사의 인식 연구

        한은정(Eunjung Han),정혜주(Hyejoo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이 연구는 최근 교원 양성 교육기관의 혁신 논의에서 체제 개편에 관한 논의는 활발한 반면, 구체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에, 최근의 교원 양성 교육과정을 경험한 초임교사들이 생각하는 중등교사의 역량과 그들이 경험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개선방안을 살펴보고, 이것이 향후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경력 5년 이하의 초임교사 9명을 대상으로 하여,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 교원 양성 교육과정(전공/교직/교생실습)의 특징, 문제점, 개선과제 등에 대해 온라인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는 테마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개방코딩, 하위주제 도출, 상위주제 확정의 절차로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초임교사가 인식하는 중등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는 의사소통 역량, 관계 맺기 역량, 인간 심리와 삶에 대한 통찰, 지속적인 전문성 계발 역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이 경험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특징으로는 1)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 2) 수업 실연 및 선배 멘토링, 생활지도 및 상담 과목 운영 등의 현장성 강화를 위한 노력, 3) 실제 수업을 해 볼 수 있는 값진 시간“”으로서의 교생실습, 협업 4)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발표 토의, 팀 , 과제 중심의 수업 운영,교 5) 사로서의 가치관 형성을 기초로 한 체계적 교육과정 운영 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러한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1) 실용적이지 못한 교육과정, 2) 담당 교수나 실습지도 교사의 개인 차에 따른 교육과정의 질, 3) 수업 기회와 실무 경험이 부족한 “이벤트성” 교생실습의 한계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으로는 1) 예비교원의 성장 과정에 따른 교육과정 재구조화, 2) 교사 초빙, 실무실습 강화 등을 통한 학교교육에의 현장성 강화, 3) 융합형 교육과정 운영, 4) 교생실습 체계화, 교육봉사 내실화, 지도교사 업무 경감 등을 통한 교생실습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초임교사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의사소통 역량과 관계 맺기 역량은 이들이 의사소통과 관계 맺기 측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 그간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이 제기되어 왔으나, 학교 현장 전문성의 토대로서 이론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론과 균형을 이루는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 으로의 전환을 고민하여야 한다’.셋째 전통적인 교원 , 양성 교육과정의 큰 틀은 유지한 채 일부 교과목의 추가만으로 예비교원들의 실질적인 역량이 함양되기는 어려우므로, 무엇을‘’이 아닌 어떻게‘’ 가르침으로써 역량을 키울 것인지에 초점을 둔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mpetenci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by novice teachers an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task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they experienced. Through these results, we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Methods We conducted individual online interviews with nine novice teachers who have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data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open coding, sub-topic derivation, and higher-topic determination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eachers recognized by novice teachers were communication skills, relationship-building skills, insight into human psychology and life, and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capabilities. Second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ere theory-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efforts to strengthen practicality, student practice as a “valuable time”, presentation, discussion, team task-oriented operation, and systematic curriculum operation based on the formation of values as teachers.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problems of this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were an impractical curriculum, variations in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based on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the professors or training instructors in charge, and the limitations of “eventuality” in student practice that lacked teaching opportunities and practical experience. Finally,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by restructuring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growth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s, strengthening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by inviting teachers and enhancing practical practice, operating a convergence curriculum, and enhancing student practice by systematizing it, strengthening educational services, and reducing supervisor work.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e following points. Firstly, the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skills that novice teachers perceive as important competencies prove the fact that they are having difficulty communicating and establishing relationship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ransitioning to a curriculum that balances theory with a field-oriented approach. Finally, a paradigm shift is needed to focus on enhancing competencies through effective teach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