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朱子의 中和說 변천과정과 ‘敬’工夫論

        서근식 동양고전학회 2012 東洋古典硏究 Vol.0 No.48

        본 논문은 朱子의 中和說의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후대의 평가에 대해서 살펴본 것이다. 朱子는 中和舊說의 단계에서 道南學派로 내려오는 李侗의 학설을 무시하고, 張栻을 만나 湖湘學派의 ‘先察識後涵養’을 따르게 된다. 그는 李侗으로부터 修養法을 배웠지만 張栻과 만나 토론하면서 湖湘學派의 ‘先察識後涵養’의 方法論에 매료되게 된다. 이는 未發은 없고 모든 것이 發한 已發의 때만을 인정하는 것이었다. 中和新說의 단계에서는 中和舊說 때의 잘못을 깨닫고 다시 未發의 때를 중시하게 된다. 心․性․情의 관계도 心統性情이라는 것으로 적립하게 된다. 또한 胡宏의 ‘先察識後涵養’으로부터 벗어나 ‘敬’의 修養法을 내세운다. 이러한 修養 방법은 湖湘學派의 已發위주의 修養法에서 道南學派의 未發위주의 修養法으로 바뀐 것을 의미한다. 이렇듯 완벽해 보이는 朱子의 中和說은 朝鮮에 들어와서 16세기 栗谷과 牛溪의 논쟁을 통해, 17세기 尤庵과 寓軒의 논쟁을 통해, 18세기 南塘과 巍巖의 湖洛論爭을 통해 다시 논의된다. 朱子의 中和說은 미비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위와 같은 논쟁을 겪게 된 것이다. 이러한 논쟁은 朱子의 中和說이 미비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벌어진 논쟁이다. In this paper, the writer examined the procedural changes of Zhuzi(朱子)’s theory of ZhongHe(中和), and also investigated the evaluations thereof made by the later generations. In the stage of ZhongHeJiuShuo(中和舊說), Zhuzi(朱子) ignored the theory of Lidong(李侗), which was traditional theory argued by DaoNam School(道南學派). He met Zhangshi(張栻) of HuXiang School(湖湘學派) and followed the school’s philosophy, ‘XianChaShiHouHanYang(先察識後涵養)’, meaning what you should do first prior to making great efforts in self-cultivation is to examine the past, when desiring to know yourself. Even though Zhuzi(朱子) had learned the method of moral cultivation from Lidong(李侗), he was fascinated by such method of moral cultivation as ‘XianChaShiHouHanYang(先察識後涵養)’ advocated by HuXiang School(湖湘學派) through discussion with Zhangshi(張栻). This tells that he only recognized the fact that there were no achievements WeiFa(未發), but only the achievements YiFa(已發). In the stage of ZhongHeXinShuo(中和新說), he realized the mistakes committed in the time of ZhongHeJiuShuo(中和舊說), and put emphasis upon the achievements in the time WeiFa(未發). Zhuzi(朱子) had explained the relationships among mind, nature, and emotional bond as by his theory, ‘XinTongXingQing(心統性情)’, meaning that mind controls humans’ original nature. Also he followed self-cultivation of Respect, no longer believing the Huhong(胡宏)’s XianChaShiHouHanYang(先察識後涵養). Such a method of self-cultivation means that his method of moral cultivation centered on the achievements YiFa(已發), which was originated from HuXiang School(湖湘學派), had been changed into the method of moral cultivation with a focus on the achievements WeiFa(未發), which was theory argued by DaoNam School(道南學派). However, Zhuzi(朱子)’s theory of ZhongHe(中和) that had seemed perfect began to be discussed and polished again during Joseon Period through the debates between Ligu(栗谷) and Niuxi(牛溪) in the 16th century, and through the debates between Youan(尤庵) and Yuxuan(寓軒) in the 17th century, also through the HuLuoLunZheng(湖洛論爭) represented by Nantang(南塘) and Weiyan(巍巖). Since Zhuzi(朱子)’s theory of ZhongHe(中和) had some flaws, it had to put through such debates as mentioned above. Those debates were generated because imperfections were found in the theory of ZhongHe(中和) by Zhuzi(朱子).

      • KCI등재후보

        한국 성리학의 해석학적 발전 : 『주자대전(朱子大全)』의 주석서를 중심으로

        이향준 율곡연구원 2012 율곡학연구 Vol.25 No.-

        이 글은 『주자대전』의 주석서를 중심으로 한국 성리학의 해석학적 발전에 대해 약술한다. 그 과정은 세 단계로 나누어 서술할 수 있다. 첫째, 단계는 『주자대전』에 대한 편집서들이 나타난 단계로서, 『주자서절요』와 『주자문록』이 대표한다. 둘째 단계는 『주자서절요』라는 특정 편집서에 대한 주석 작업이 확산되어 『주자대전』에 대한 주석 작업으로 이행되어 간 시기다. 퇴계학파 내부에서는 『주자서절요강록』, 『주자서절요강록간보』, 『주자서절요집해』등이 나타났고, 율곡학파는 이 시기에 『주자대전차의』, 『주자대전차의집보』를 완성시켰다. 마지막은 주석학적 작업이 해석학적 작업으로 발전해서 『주자언론동이고』를 탄생시키고, 이 저술이 『동이고변』을 거쳐 『이학종요』의 성립에까지 영향을 끼친 단계다. 각각의 단계는 편집서의 등장, 주석서의 발전, 해석학적 저술의 성립이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결국 16세기의 이황과 기대승에서 발원해서 19세기의 이진상으로 이어지는 3세기에 걸친 해석학적 발전의 역사는 논쟁의 역사로 알고 있는 한국 성리학의 표면 아래에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역동적인 지성사적 운동이 내재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paper sketchs out an advance in the hermeneutic of korean neo-confucianism, focusing books to annotate Jujadaejeon[朱子大全] with comments and interpretations. This processes can describe at three stage. The first stage is a period that compiled books of Jujadaejeon come into existence, this was represented by Jujaseojeolyo[朱子書節要] and Jujamunrok[朱子門錄]. The second stage is the period of transforming into annotation on Jujadaejeon as annotation on Jujaseojeolyo[朱子書節要] spread. Jujaseojeolyogangrok[朱子書節要講錄] and Jujaseojeolyogangrokganbo[朱子書節要講錄刊補], Jujaseojeolyojiphae[朱子書節要集解] etc. was authored by the Toegye school. Meanwhile, The Yulgok school completed Jujadaejeonchaui[朱子大全箚疑] and Jujadaejeonchauijipbo[朱子大全箚疑輯補] during this period. The final stage is the period that annotations on Jujadaejeon[朱子大全] developed into hermeneutical work. During this time Jujaeonrondongigo[朱子言論同異考] were created, this voluminous work influenced on bring into existence Ihakjongyo[理學綜要] by way of Jujaeonrondongigobyeon[朱子言論同異考辨]. Each stage shows clear distinction in publishing compiled books, editing a book with an excellent notes, completing hermeneutical works. Eventually, The history of hermeneutical development rises in from YiHwang[李滉] and GiDaeSeung[奇大升] in the sixteenth century, leads to YiJinSang[李震相]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This history shows that more dynamic movement in the history of intelligence permeates throughout korean neo-confucianism which caused so much controversy.

      • KCI등재

        조선에 있어서 주자 종법 사상의 계승과 변용

        이승연(李承姸)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9

        주지하는 바와 같이, 주자의 종법 사상은 『주자가례』의 수용과 더불어 조선 사회에 수용·보급되었다. 그리고 그 『주자가례』가 조선사회에 미친 지대한 영향 때문에 우리는 이미 오래 전에 그것이 조선사회에 수용, 정착 해가는 과정을 탐구하여 왔고 이제 그 전모가 밝혀졌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럼에도 이 글이 주자 종법사상의 수용, 정착과정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하는 것은 청대 반주자학자로 유명한 모기령의 『주자가례』비판과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의 종법사상이 주자 종법사상의 한계와 의의를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주자 종법사상의 한계, 그것은 『주자가례』를 실천하고자 하였던 조선 주자학자들의 극복과 좌절의 과정이기도 했으며 동시에 한국가족주의의 본질을 해명하는 열쇠이기도 하다. 종법사상이 집약되어 있는 『주자가례』『제례장』은 사시제四時祭·초조 初祖·선조先祖·녜?·기일忌日·묘제墓祭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가운 데 초조와 선조는 『주자가례』성립기에 이미 참례僭禮로서 배제되었고 사시제와 기일은 민간에 통용된 적이 없는 주자의 창안이었다. 그런가 하면 유일하게 당시에 통용되었던 묘제는 실은 『예기』를 비롯한 의례경 전에서 비례非禮로 비판되었던 것이다. 주자의 창안인 사시제가 조선 사회에 제대로 정착하지 못했던 반면 묘제가 광범위하게 행해졌던 것은 그 때문이었을 것이다. 또 그것이 이 글이 시제와 묘제에 주목하고자 하 는 이유이기도 하다. 조선 주자학자들이 이 시제와 묘제를 결합하여 이 를 친족통합의 의례로 재편하여 가는 과정은 한편으로 『주자가례』의 한 국화 과정인 동시에 모기령 등이 비판한 『주자가례』의 한계를 극복하는 과정이기도 하였고 주자가 추구한 ‘공公’으로서의 ‘가’가 좌절하는 과정 이기도 하였던 것이다. As is generally known, Zhu Xi′s Confucian clan rules settled down in Chosun Dynasty through the acceptance of Family Rites of Zhu Xi. It is safe to say that strong efforts to estimate its significant impact on Chosun Dynasty almost reveal the whole process of accepting Family Rites of Zhu Xi. However, this article is to shed new light on the course of acceptance and settlement of Zhu Xi′s Confucian clan rules citing the criticism of Mo-kileong, famous anti-Neo-Confucianist over Family Rites of Zhu Xi and Confucian clan rules of Jung Yak-yong, the realist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because they show the limits and meanings of Confucian clan rules. Limits of Confucian clan rules had not only bee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frustration of Neo-Confucianist who wanted to fulfill Family Rites of Zhu Xi, but also an important key to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Korean familism. The chapter of sacrificial rites of Family Rites of Zhu Xi is the essence of Confucian clan rules and consists of six parts such as Sije, Chojo, Sunjo, Ne, Giil and Myoje. Chojo and Sunjo were regarded as immoderate ceremony and excluded during the introduction stage of Family Rites of Zhu Xi, while Sije and Giil were originated with Zhu Xi. Only Myoje was widely accepted during that period but initially had been criticized for its impoliteness by Confucian Scripture including Yegi. That"s why Myoje was prevalent throughout Chosun Dynasty while Sije of Zhu Xi had difficulty in settling down. That"s the reason this article mainly focuses on Sije and Myoje. Mixing Sije with Myoje into the commitment of family by Confucianist of Chosun Dynasty was the process of naturalization and overcoming the limit of Family Rites of Zhu Xi criticized by Mo-kileong and other scholars.

      • KCI등재

        韓儒宋時烈《朱子言論同異考》的方法論及四七之辯

        채가화 ( Chia He Tsai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2 No.-

        본 논문은 송시열(宋時烈)의 『주자언론동이고(朱子言論同異考)』에 대한 연구이다. 본문에서는 크게 두 가지 의제를 다루고 있다. 첫째는 주자의 언론이 서로 모순될 때에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가? 둘째는 주자의 언론이 서로 배척될 때 한국 유학자의 쟁론은 어떻게 해결을 보았는가이다. 우암이 이 책을 편찬한 이유는 전적으로 주자의 언론이 앞뒤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기 위함이다. 우암은 앞뒤가 서로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을 많은 덧붙이고 있는데 무려 20여 개가 넘는다. 훗날 그의 제자 한원진이 『주자언론동이고』를 재편하였는데, 그 책의 내용에 우암의 내용이 많이 들어있었다. 그러므로 『주자언론동이고』는 두 가지 판본이 있다. 즉 하나는 우암이 편찬한 것으로 간략하며, 다른 하나는 남당이 편찬한 것으로 비교적 상세하다. 필자는 이 글에서 이 두 책이 해결코자 하는 문제를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주자학의 내부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석함에 있어 어떤 방법론으로 처리하고 있는지 즉 주자의 언론의 모순에 대하여 어떻게 해결하는가이다. 주자 문헌을 읽을 때 사람들은 항상 주자의 언론 불일치에 곤란해 하며, 어떻게 그렇게 정론하게 되었는지 알지 못했다. 그렇기에 현대에 이르러 주자학을 해석함에 있어 항상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는 현대에 생겨난 것만도 아니며, 한국의 조선조에서도 흔히 볼 수 있었다. 한국 유학의 3대 논쟁으로 1) 사칠논변(四七論辯), 2) 호락논쟁(湖洛論爭)의 인성물성(人性物性)의 동이(同異), 미발심체순선(未發心體純善) 혹은 유선유악(有善有惡), 3) 주자학을 심즉리(心卽理)의 학으로 해석할 수 있는가가 있는데, 한국 유자들의 논쟁은 대체로 주자의 언론에 근거하고 있으나, 누가 정통이라고 단정하기 매우 어렵다. 이에 따라 필자는 우암이 이미 이를 알고 『주자언론동이고』를 편찬하였음을 발견하였고, 본문에서 이 책에 대해 연구를 하였고, 특히 「사칠지변」에 초점을 두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book “Textual Criticism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Zhu Xi’s Remarks (Zhu-Xi-Yan-Lun-Tong-Yi-Kao)” written by Song Si-yeol. This study includes two main topics: 1. How to deal with the contradictory remarks of Zhu Xi? 2. How to resolve the debates among Korean Confucianists caused by the contradictory remarks of Zhu Xi? Son Si-yeol wrote this book to raise questions about the inconsistencies in Zhu Xi’s remarks. However, Song did not give further explanations about the inconsistencies, and only offered more than twenty explanations. Afterwards, Song ordered his disciple Han Won-jin to re-edit “Textual Criticism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Zhu Xi’s Remarks (Zhu-Xi-Yan-Lun-Tong-Yi-Kao),” which is richer in content compared with that written by Song. Therefore, there are two versions of “Textual Criticism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Zhu Xi’s Remarks (Zhu-Xi-Yan-Lun-Tong-Yi-Kao).” One version is brief, and was written by Song Si-yeol. The other version includes more details, and was edited by Han won-jin. This study probes into the issues that these two versions of book intend to resolve.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thodology for dealing with differences in internal interpretations of Zhu Xi learning, in order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in Zhu Xi’s remarks. People tend to be confused with the inconsistencies in Zhu Xi’s remarks and have no idea what the conclusions are when reading the works of Zhu Xi. Therefore, there are usually controversies about modern interpretations of Zhu Xi learning. However, such controversies are not only products of modern times, and were also discovered in Kingdom of Joseon. There were three major controversies in Korean Confucianism: 1) Four-Seven debate; 2)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umanity and thingness in Ho-rak Debate - pure kindness of heart or existence of both the good and the evil; 3) whether Zhu Xi learning can be interpreted as learning of “mind is principle.” In general, the said controversies of Korean Confucianists were based on Zhu Xi’s remarks.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determine what the orthodox school is. Based on the above, this study found that Song had discovered the controversies, and thus wrote “Textual Criticism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Zhu Xi’s Remarks (Zhu-Xi-Yan-Lun-Tong-Yi-Kao).” This study investigates this book, and mainly focuses on “Four-Seven debate.”

      • KCI등재

        조선후기 『주자봉사(朱子封事)』의 간행과 활용

        정호훈 ( Ho Hun Jeong ) 한국사상사학회 2011 韓國思想史學 Vol.0 No.37

        『주자봉사』는 17세기 후반 조선 사회에서 간행되었던 책으로, 주자의 문집에 실려 있는 주자의 중요한 상소문을 일부 담고 있다. 이 책의 여러 상소문들은 주자가 그가 살았던 南宋 현실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방식, 그리고 현실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모습을 풍부하게 보여준다. 말하자면 주자의 경세론을 『주자봉사』는 풍부하게 담고 있다고 할 것인데, 현실 속에서의 주자학의 실천성을 확인하려고 할 경우, 이 책자에서 그 어떤 자료보다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주자봉사』의 간행은 조선 사람들이 주자의 학문과 사상을 풍부하게 익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미 조선 초부터 조선의 위정자·지식인들은 주자의 상소문을 통하여 나라를 다스림에 필요한 논리와 방법들을 얻었지만, 이 책의 출간을 통하여 이들은 보다 쉽게 그리고 집중적으로 주자의 경세론을 접할 수 있었다. 특히 이 책을 經筵에서 읽었던 영조와 정조는, 이를 통하여 주자가 제시한 바 국가를 경영하는데 필요한 기본 논리와 방도를 구체적으로 익힐 수 있었다. 이들이 주자의 생각에만 경도되어 정치사상을 키웠던 것은 아니지만, 주자의 사상 또한 폭넓게 검토하여 사유의 자양분으로 삼는 모습을 확인하게 된다. 다양한 학문과 사상, 복잡한 정치적 관점을 절충하고 통합하며 조선을 다스리려던 이들에게 주자학의 학습은 그러한 노력의 하나였다. 17·8세기 조선에서의 『주자봉사』의 간행, 그리고 경연에서의 이 책 강독은 조선 사람들이 주자학을 어떻게 자기 것으로 영유하고 또 활용하는지를 잘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라 할 것이다. 이 일을 통해 조선의 국왕이 주자학을 어떻게 학습하고 소화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e <Juja bongsa(朱子封事)>, a book which appeared in Joseon society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includes some of the important memorials drafted by Zhu Xi that were originally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Zhu Xi`s Works. The memorials found in the <Jujabongsa> clearly expose not only Zhu Xi`s perceptions of the reality of the South Song era through which he lived, but also his diagnosis of actual problems and the solutions thereto. To this end, the <Juja bongsa> can be perceived as a work that highlights the practicality of the Zhu Xi School of Thought to an extent that is not replicated in any other work. The publication of the <Juja bongsa> made it possible for the people of Joseon to develop an in-depth understanding of Zhu Xi`s studies and thought. In this regard, during the 18th century, Kings Yeongjo and Jeongjo had recourse to this book during the royal lectures(經筵 gyeongyeon), which they regarded as a tool with which to learn about the basic principles and methods needed for state management and governance. The publication in Joseon of the <Juja bongsa>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its use during the royal lectures (gyeongyeon) can be regarded as a detailed example of how Joseon made Neo-Confucianism its own and used it for its own ends. It also provides an important tool through which to shed some light on how the kings of Joseon learned about Neo-Confucianism.

      • KCI등재

        朱子 哲學에서 灑落의 의미

        홍성민(洪性敏)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6

        이 논문의 목적은 주자철학에서 灑落의 의미를 조명해보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주자는 戒愼恐懼의 엄숙한 수양을 강조했기 때문에 그의 철학에서는 쇄락의 경지가 인정되지 못했다고 평가되어 왔다. 한편 왕양명은 그와 반대로 자유분방한 쇄락의 경지를 적극 추구했다고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이 논문은 이러한 일반적인 견해에 반대하면서, 주자 철학 내부에서 쇄락의 경지를 탐색하고 아울러 주자의 쇄락론이 왕양명에게 이어지고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이글은 다음과 같이 세부적인 논증을 진행하고 있다. 첫째, 우선 쇄락이란 실제로 어떤 상태이며 그것은 도덕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밝히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曾點의 氣象에 대한 주자와 왕양명의 해석을 비교하고 있다. 주자는 曾點의 기상에 대해 충분히 인정하고 쇄락을 도덕적 자유와 도덕 행위의 자재함으로 규정하였는데, 이점은 왕양명도 전혀 다르지 않은 것이었다. 주자와 왕양명은 공통적으로 도덕 원칙을 충실히 따를 때만 쇄락이 가능할 것이라고 주장했던 것이다. 둘째, 쇄락에 이르는 공부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 주자는 쇄락의 공부로 敬畏를 강조하고 쇄락을 경외의 효험으로 설정하였는데, 이 점에서도 왕양명은 주자의 생각과 완전히 일치하고 있다. 셋째, 쇄락의 심리적 사태에 대한 주자와 왕양명의 설명을 비교 분석하고 있다. 왕양명의 쇄락은 ‘無善無惡心之體’라는 마음 이론에 기초하고 있으며 이것은 불교의 지혜를 적극 흡수하여 융합한 것이었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쇄락의 심체에 관한 이러한 왕양명의 생각은 오히려 주자의 正心論을 계승한 것이었음을 밝혔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이 논문은 주자에게 쇄락의 경지가 분명히 존재했었으며 그것이 왕양명에게 그대로 계승되었다는 점을 주장하고 있다. 这篇文章的目的在於照明朱子哲学之洒落的意义. 从一般的观点来说, 因为朱子修养论的倾向是理智的和严肃的, 所以那个哲学里没有洒落的境界. 但是这篇文章反对这样观点, 而试图发见朱子哲学洒落的境界. 并且根据这样研究, 证明朱子之洒落连系到王阳明之洒落思想. 这篇文章的细节论证如下. 第一, 为了照明洒落与道德之关系, 比较朱子和王阳明对曾点气象的评价. 依照这研究, 他们都把洒落规定为道德的自由与道德行为的自在性. 第二, 朱子将敬畏视为洒落的功夫, 而且把洒落看成敬畏的效验. 王阳明也披沥了和朱子一样的想法. 第三, 按照陈来的说法, 王阳明洒落说的地盘是‘无善无恶心之体’的心体论. 可是王阳明的这样想法是继承朱子的正心论. 总的来说, 这篇文章主张, 不但朱子具有洒落的境界, 而且朱子和王阳明具有同一的洒落轨道.

      • KCI등재

        주자언론동이고(朱子言論同異攷)를 통해 본 17세기 조선유학사의 새로운 이해

        강지은 ( Ji Eun Kang ) 퇴계학연구원 2014 退溪學報 Vol.135 No.-

        17세기의 朝鮮儒學史는 ①朱子學 연구의 심화 및 敎條化와 더불어 ②주자학에 대한 懷疑와 비판의 동향이라는 두 개의 축이 대립하면서 전개되었다고 일컬어진다. 그러나 본고는 韓元震의『朱子言論同異攷』를 중심으로 당시의 학술상황을 고찰하여, 17세기의 조선유학사가 이 두 축의 대립을 초월한 지점에서 전개되었다는 견해를 제출하였다. 일반적으로 한 사상체계에 대한 연구가 극히 세밀한 단계에 이르면, 과도한 몰두와 확신에 의해 맹목적 추종의 경향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는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연구의 과정에서 그 사상체계가 가지는 결점을 확인하게 되고 대상을 객관화하여 비판적인 인식이 시작될 가능성도 높다. 완전무결하게 보이는 사상체계라 하더라도, 철저하게 追究하면 결점이 드러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17세기 조선의 주자학자들은 주희의 여러 저작들을 서로 대조 연구하여, 그 학설이 반복하여 변화했음을 확인하였고 나아가서는, 주희의 복수의 言說 사이에 존재하는 모순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연구는 ‘주희 주석과 다른 견해’를 낳는 원동력이 되지 못하고, 주자학 교조화만을 초래하였을 것인가? 더욱이, 경서연구에 있어서 수 백 년의 역사를 가지는 조선조의 대다수 사대부들이 단지 주희 주석을 되풀이하는 것에만 만족하고, 반주자학자로 불리우는 소수의 인물들만이 비판적인 안목을 지녔던 것일까?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중화 계승’이라는 과제의식이 충만한 가운데, 주희의 저작에 대한 철저한 분석 연구가 이루어낸 성취를 논하였다. 송시열 문하에서 활발하게 사용되던, 주희의 저작을 상호 비교·분석하는 방법론이, 한원진의『朱子言論同異攷』에 집대성되고 있다. 이는 17세기 조선유학사가, 상술한 대립적인 두 축을 초월한 새로운 지평에서 전개되었다고 할 만한 유의미한 것이었다. 즉, 주자학 연구의 심화는 주자학을 연구의 장으로 끌어들이는 계기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동일하게 주자학이 관학이었던 元·明代의 중국과 비교하면, 유자들이 주자학의 원전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연구하는 이러한 학술조류는, 조선유학사의 주요한 특징이자 의의로 자리매김 되는 것이다. 본고의 논증은, 식민지시대 이래, 주희와 다른 견해를 제시한 소수의 인물이 다수의 ‘주자학 맹신자’에 대비되어 과도하게 주목을 받기도 했던 우리의 연구사를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general, it is recognized that there are two opposing mainstays in the history of thought of Joseon in 17th century. They are ① the rigorous research about Zhuxi Studies and its becoming orthodoxy, and ② the criticism about Zhuxi Studies and the birth of original commentary. But this problem of orthodoxy raises the following question: During the 17th century, many Confucian scholars studied Zhuxi`s writings in detail and found that there were internal contradictions. They found Zhuxi studies` defects. Inspite of that, did they simply go ahead and promote its becoming orthodoxy? Why did their new findings fail to motivate the writing of priginal commentary? In fact, Confucian scholars made exhaustive analysis about contradictory positions found in Zhuxi`s writings and advanced progressive commentary in the 17th century Joseon. But even after the composition of many new commentaries, they still asserted that there was no originality, that it was just the same as Zhuxi`s thought, because they acknowledged the national school (Zhuxi studies)`s authority. Thus, they were taken as a model of commentaries of Zhuxi studies by Korean academics in colonial times. But that deduction does not tally with the actuality. Zhuxi`s thinking changed throughout his life, so there are major differences to be seen between the work of his youth and that done in his later years.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such as Song Si-yeol and Han Won-jin studied disparate areas of Zhuxi`s writings. The effects of their research drove scholars to advance new opinions. Therefore,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rigorous research about Zhuxi Studies and the birth of progressive commentary in the history of thought of Joseon in 17th centu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l the scholars of Zhuxi studies in the Joseon period were taken as blind supporters, and so criticisms of Zhuxi`s commentaries in the Joseon period have received unduly excessive praise. This point of view should be modified.

      • KCI등재

        특집 : 순암 안정복의 학문과 사상; 安鼎福의 『朱子語類節要』 考

        鄭?謨 ( Sun Mo Jung ) 한국실학학회 2013 한국실학연구 Vol.0 No.25

        주자학을 통치이념으로 개국한 조선에서는 중국으로부터 주자학과 관련된 서적들을 적극적으로 수입하고, 이를 다시 조선의 활자본으로 간행하여 반포하는 등 주자학 보급에 힘썼다. 그리고 주자 사상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심화되어감에 따라 주자학 연구는 주자의 『사서집주』에서 점차로 주자와 관련된 모든 저작물에 대한 탐구로 확대되어갔다. 16세기 중엽에 이르면 『주자대전』과 『주자어류』 또한 조선의 활자로 간행되어 보급되었다. 그리고 퇴계(退溪) 이황(李滉)은 『주자대전』과 『주자어류』가 주자 사상을 이해할 수 있는 주요한 텍스트라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에 대한 연구에 매진했다. 특히 퇴계는 후학들에게 학문에 들어가는 단초를 제공하고자 방대한 『주자대전』에서 학문과 관계된 편지글을 대상으로 초절(抄節)한 『주자서절요』를 편찬했다. 또한 퇴계는 『주자어류』를 비롯한 주자 관련서적에 자주 등장하는 송나라 때의 구어체 표현이나 속어를 풀이한 ‘어록해(語錄解)’를 작성하는 등 『주자어류』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 퇴계가 편찬한『주자서절요』는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필독서가 되었으며, 『주자대전』과 『주자어류』에 대한 연구는 ‘퇴계학파’의 형성 및 조선 특유의 주자학 연구의 단서를 열었다. 퇴계의 학문 정신을 계승한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은 퇴계의 『주자서절요』 편찬을 본받아 『주자어류』에서 주자 사상의 핵심적인 내용만을 초절한『주자어류절요』를 편찬했다. 『주자어류절요』는 순암이 동궁에서 정조의 학문을 보좌하던 영조 51년(1775) 6월에서 다음해(1776) 2월 사이에 편찬되었다. 순암은 일찍이 동궁에 있던 정조를 도와 『주자어류』에 현토작업을 진행하면서 그에 대한 어려움을 토로한 적이 있다. 따라서 순암은 『주자어류』의 가독성을 높이고 주자의 핵심 사상을 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방대한 『주자어류』에서 약 17%의 내용을 초절하고 문장을 다듬어서 8권8책으로 재편했다. 이렇게 편찬된 『주자어류절요』 필사본이 현재 제2?3?4?6?8권이 국립중앙도서관에, 제1?7권이 고려대학교 육당문고에 소장되어 있으며, 제5권은 아쉽게도 그 소재를 파악할 수 없다. During the age of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based on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many books related to Neo-Confucianism were positively imported from China and then released into the Korean version by movable-type printing, which promoted the diffusion of Neo-Confucianism. Therefore, the study of Neo-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was extended from Zhu Xi`s Sishujizhu to all the works of Zhu Yi Hwang(1501~1570), also called Toegye, recognized that Zhuzidaquan and Zhuziyulei were the primary textbooks in understanding the thought of Zhu Xi, so he took a lot of trouble to study them. In order to provide a clue for the later scholars to study Zhuzi, he selected some chapters from numerous letters in Zhuzidaquan and condensed them into Zhuzishujieyao, the outline and explanations of the works of Zhu Xi. This book later became the required textbook for the scholars of Joseon Dynasty and provided a clue for the later scholars to study the theory of Toegye Shool and Neo-Confucianism. Inspired by the spirit of Yi Hwang in compiling Zhuzishujieyao, An Jeongbok(1712~1791), also called Sunam, who inherited Toegye`s theory, compiled Zhuziyuleijieyao, the abridgements of thematic discourses of Zhu Xi. Shunam compiled this book when he assisted the crown prince of that time in studying in East Palace from June ,1775, the 51th year of King Yeongj`s reign, to the next February. Zhuziyuleijieyao, which is made up of eight volumes, contains about 17% of the core content of Zhuziyulei. Today, volume 2, 3,4,6 and 8 are conserved in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while volume 1 and volume 7 are conserved in Liutang Library of Korea University. Unfortunately, nobody knows where volume 5 is.

      • KCI등재

        『주자언론동이고』에 대한 시론적 고찰-『서경』의 인심 도심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윤상수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3 泰東古典硏究 Vol.51 No.-

        이 논문에서는 한원진의 『주자언론동이고(朱子言論同異攷)』에서 『서경(書經)』의 인심 도심(人心道心)을 다룬 부분을 대상으로 하여, 이 책의 서문에서 밝히고 있는 세 가지 방법, 즉 저술 연대의 고증, 관련 자료의 비교, 의리적 정합성의 판단이 주자 만년 정론의 확정이라는 이 책의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고 있는지 검토해 보았다. 대단히 상투적이기는 하지만 이 책 역시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밖에 없을 듯하다. 인심 도심에 있어서 주자의 초년설과 만년설을 구별한 것, 「답정자상(答鄭子上)」을 가지고 「답채계통(答蔡季通)」을 부정한 것, 그리고 「답진안경(答陳安卿)」 등을 근거로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에서 말하는 ‘형기(形氣)’를 몸으로 보는 것이 주자의 만년 정론임을 논증한 것 등은 분명히 이 책의 성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의리적 정합성을 기준으로 주자의 만년 정론을 확정하는 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이 점은 한원진 자신도 의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만년의 저술임에도 불구하고 초년설을 말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속수무책으로 보이기도 한다. 더욱이 이것을 자신의 주장의 근거로 삼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비판을 전개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초년설과 만년설을 구분하여 자신과 자신이 속한 학파의 학설이 주자의 만년 정론과 일치함을 입증하려 했던 이 책의 목적 역시 성공적으로 실현했다고 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 그래서 한원진은 이 책에서 무엇을 취하고 버릴지는 독자의 판단에 맡길 수밖에 없다고 말하기도 했던 것이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객관적인 논증이나 고증보다는 자설의 정당성을 입증하려는 주관적인 목적의식이 강했던 점도 하나의 원인이 되지 않았을까,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 In this paper, I have examined whether the three methods elucidated by Han Won-jin in the preface of Jujaeonrondongeego(朱子言論同異攷)—namely, the verification of the time of writings, mutual comparison of relevant remarks, and judgment based on theoretical consistency—successfully achieve the purpose of this book, which aims to confirm the final conclusion of Zhu Xi(朱熹), especially focused on the part of dealing with Ren Xin Dao Xin (人心道心) of Shujing(書經). Although it may sound somewhat conventional, it seems inevitable to acknowledge that this book also has both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In ‘Ren Xin Dao Xin(人心道心)’, the distinction between the early theory and the final conclusion of Zhu Xi, the rejection of 「Answer to Cai Ji-tong(答蔡季通)」 in favor of 「Answer to Zheng Zi-shang(答鄭子上)」, and the demonstration that the ‘Xing Qi(形氣)’ mentioned in the preface of Zhong Yong Zhang Ju(中庸章句) refers to the body, based on 「Answer to Chen An-qing(答陳安卿)」 and others, undoubtedly represent the achievements of this book.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true that there were certain limitations in establishing Zhu Xi's final conclusion based on theoretical consistency. Han Won-jin seems to have been aware of these limitations himself. And he appears helpless when confronted with remarks expressing the early theory despite his later writings. Moreover, he might not have been able to effectively criticize those who used this as the basis for their arguments. In this regar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purpose of this book, which was to distinguish between the early theory and the final conclusion and to demonstrate that his own and his school's doctrines are consistent with Zhu Xi's final conclusion, has also been successfully realized. As Han Won-jin mentioned, the decisions regarding what to accept and what to reject from this book will ultimately be left to the reader's judgment.

      • KCI등재

        국내 주자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2011~2015)

        강진석 한국중국학회 2016 중국학보 Vol.78 No.-

        這篇論文是從2011年到2015年在韓國學術界進行的關于朱子學的硏究成果方面的梳理和表述。筆者在梳理和分析的過程中不難發現韓國學術界對朱子學的硏究旣是有在?多項目上重復硏究同一主題的現象, 又是突出硏究項目長久以來集中于特定的主題的特征。但是?一方面筆者可?出一些新的硏究潮流, 例如朱子學與先秦儒學的傳承硏究、 朱子學與其他宗敎的融合及發展、 以自然論爲着眼的朱子學硏究、 朱子學體系的深層硏究等領域。此外, 朱子學的道統意識、 朱子忠恕論的倫理意義、 以及朝鮮時代韓國儒學對朱子學文獻的硏究、 日本學者對韓國朱子學的硏究等方面的硏究也亦然突出, 給我們提供多樣的視角的思考。筆者認爲爲了加强朱子學的硏究, 需要重新探討先秦儒學與朱子學的傳承脈絡、 從生態論重新解釋朱子學、 朱子學與其他宗敎的對話、 朱子學的現代運用等具有開拓新領域、 視角的新轉變等意義的硏究。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