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주거생활문화공간으로서 아파트의 소비자 지식 구조에 대한 연구

        박성용(Park, Seong Yong),배민철(Bae, Min Chul)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3

        기존 소비자 지식 연구는 소비자 지식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증명하였지만, 개념 및 실증연구 상의 문제점, 연구결과의 비교가능성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기존연구에서는 주관적 지식에 대한 친숙도와 전문성 등에 의한 정의에 대한 문제점,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의 구분, 주관적 지식과 자기평가지식을 구분하지 않음 점, 지식의 하부구조에 대한 비고려, 하부구조의 상응문제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품대상으로 고관여 제품인 아파트를 이용하여 주관적 지식, 객관적 지식, 자기평가지식을 정의, 측정하고 이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 지를 고찰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을 구분하고 이들의 하부구조를 일치화시켰고 기존의 전문성을 주관적 지식과 자기평가지식으로 정의하였다.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간의 상관관계를 하부구조와 통합적 입장에서 연관성을 고려하였고, 주관적 하부지식과 객관적 하부지식이 자기평가지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았다. 주거생활문화공간으로서 아파트를 이용한 본 연구결과는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의 관련성이 존재하지만 이들이 서로 다른 개념으로 이의 구분이 필요한 것을 보여주고, 하부구조가 일치된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이 경험과 더불어 자기평가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Consumer knowled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 prediction of consumer choice. Previous research studies investigated and proved the critical roles of consumer knowledge. However, several problems exist in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empirical aspects. As a result, comparison among research findings researches is very difficult. We define and measure subjective knowledge, objective knowledge, and self-assessed knowledge and consider the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overcoming the problems of previous research studies. In particular, the scope of expertise, the distintion between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the underlying structure of knowledge, knowledge structure matching are incorporated to avoid conflicting results. That is, we interpret expertise as the combination of subjective knowledge and confidence in their decision making.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are closely related but their roles in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and therefore, it should be investigated separately. Furthermore, underlying knowledge structures should be made i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knowledge and these should be matched for subjective knowledge as well as objective knowledge. In this study, we split consumer knowledge into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and construct underlying structures of them. Also, we define expertise as subjective knowledge and self-assessed knowledge. From the perspectives of underlying structure and integra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and the impact of these on self-assessed knowledge. Empirical results using apartment as a product showthat there exist som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bu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se two constructs. These two constructs also affect self-assessed knowledge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volvement and experience. 기존 소비자 지식 연구는 소비자 지식의 구매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요한 역할을 증명하였지만, 개념 및 실증연구 상의 문제점, 연구결과의 비교가능성 문제가 존재한다. 특히 기존연구에서는 주관적 지식에 대한 친숙도와 전문성 등에 의한 정의에 대한 문제점,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의 구분, 주관적 지식과 자기평가지식을 구분하지 않음 점, 지식의 하부구조에 대한 비고려, 하부구조의 상응문제 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품대상으로 고관여 제품인 아파트를 이용하여 주관적 지식, 객관적 지식, 자기평가지식을 정의, 측정하고 이들이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 지를 고찰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을 구분하고 이들의 하부구조를 일치화시켰고 기존의 전문성을 주관적 지식과 자기평가지식으로 정의하였다.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간의 상관관계를 하부구조와 통합적 입장에서 연관성을 고려하였고, 주관적 하부지식과 객관적 하부지식이 자기평가지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았다. 주거생활문화공간으로서 아파트를 이용한 본 연구결과는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의 관련성이 존재하지만 이들이 서로 다른 개념으로 이의 구분이 필요한 것을 보여주고, 하부구조가 일치된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이 경험과 더불어 자기평가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Consumer knowled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and the prediction of consumer choice. Previous research studies investigated and proved the critical roles of consumer knowledge. However, several problems exist in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empirical aspects. As a result, comparison among research findings researches is very difficult. We define and measure subjective knowledge, objective knowledge, and self-assessed knowledge and consider the relationships among constructs overcoming the problems of previous research studies. In particular, the scope of expertise, the distintion between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the underlying structure of knowledge, knowledge structure matching are incorporated to avoid conflicting results. That is, we interpret expertise as the combination of subjective knowledge and confidence in their decision making.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are closely related but their roles in the consumer decision making and therefore, it should be investigated separately. Furthermore, underlying knowledge structures should be made i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knowledge and these should be matched for subjective knowledge as well as objective knowledge. In this study, we split consumer knowledge into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and construct underlying structures of them. Also, we define expertise as subjective knowledge and self-assessed knowledge. From the perspectives of underlying structure and integratio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and the impact of these on self-assessed knowledge. Empirical results using apartment as a product showthat there exist some relationships between subjective knowledge and objective knowledge bu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se two constructs. These two constructs also affect self-assessed knowledge even after controlling for involvement and experience.

      • KCI등재

        도덕 지식의 주관적 정당화 조건 : 맹자의 고자 의외설 비판

        정용환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9 No.3

        이 글에서는 「맹자」 부동심 장에 나오는 "말을 아는 것(知言)"에 관한 고자와 맹자의 입장을 검토함으로써 도덕 지식의 객관적 정당화 조건과 주관적 정당화 조건에 관한 맹자의 관점을 분석한다. 첫째, 고자는 도덕 지식의 객관적 정당화 조건만을 인정한다. 전통적인 지식론에 의한다면, 도덕 지식의 필요조건으로서 참된 도덕 명제, 믿음, 정당화가 요구된다. 그 중에서 정당화 조건과 관련해, 고자의 의외설(義外說)은 객관적 정당화 조건만을 인정하고 주관적 정당화 조건을 배제한다. 둘째, 고자와 같이 도덕 지식의 객관적 정당화 조건만을 인정할 경우에는 게티어 문제에서 볼 수 있듯이 운에 의한 정당화의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덕 지식은 객관적 정당화 조건뿐만 아니라 주관적 정당화 조건이 요청된다. 셋째, 맹자의 의내설(義內說)은 두 가지 정당화 조건을 모두 받아들이지만, 주관적 정당화 조건이 우선적인 것이라고 여긴다. 맹자는 좋은 동기에 의해 주관적으로 정당화된 도덕 지식이라야 참된 것이라고 본다. 그런 까닭에, 맹자는 타인의 말을 이해할 때에 주관적 동기를 잘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넷째, 맹자는 좋지 않은 동기에 의해 정당화된 부정적 지식의 사례로서 피사, 음사, 사사, 둔사 등의 네 가지 말을 제시한다. 맹자는 이러한 네 가지 말을 비판함으로써 도덕 지식이 좋은 동기에 의해 주관적으로 잘 정당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리컨대 도덕 지식에 관한 맹자의 내재론적 입장은 고자류의 객관주의적 도덕론의 한계가 무엇이며, 왜 주관적 정당화 조건이 요구되는지를 잘 설명한다. In this essay, I argue that subjective justification as well as objective justification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our moral knowledge by analyzing the different idea about "knowing others' saying" between Mengzi and Gaozi in the book of Mengzi. Generally, moral proposition, justification, and belief are considered as the necessary conditions of moral knowledge. Gaozi and Mengzi ar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concerning what the condition of justification implies. Gaozi thinks that the subjective intention should be excluded to get the state of unperturbed mind or budongxin 不動心 because he accepts the objective justification of moral knowledge. However his objective justification without subjective justification opens to possibilities of the fallacy of accidental justification as we can see in the Gettier problem. For this reason, Mengzi does not only accept the subjective justification but also consider it as primary one. According to his theory that human nature is good, moral knowledge can be considered as true if it is justified by subjective good motivation. In this regard, he emphasizes subjective motivation when he tri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others' saying. Mengzi criticizes that one-sided saying, extravagant saying, depraved saying, and evasive saying are the cases occurred by subjectively bad motivation. We can say that Mengzi's internalism of moral knowledge gives an account why we need subjective justification of it by pointing out the weakness of Gaozi's objectivism.

      • KCI등재

        소비자의 주관적 금융지식과 객관적 금융지식이 금융태도 및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금융 상품군 별 경로를 중심으로

        이의선(Lee, Euis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6 소비문화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객관적 금융지식과 주관적 금융지식이 금융소비자의 긍정적 금융태도 및 합리적 금융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첫 번째로 금융지식자신감을 중심으로 소비자 집단을 구분하여 각 집단별 금융태도 및 금융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지식에 대한 자신감이 높은 소비자가 긍정적 금융태도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합리적 금융 행동을 하고 있었다. 두 번째로는 주관적 금융지식과 객관적 금융지식이 금융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전달경로를 규명하였는데, 객관적 금융지식은 주관적 금융지식 및 금융태도의 선행변수였고, 주관적 금융지식은 금융태도 및 금융행동의 선행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객관적 금융지식은 금융행동에 직접적 영향변수는 아니었다. 세 번째로 저축, 투자, 대출상품군의 금융지식의 전달경로를 비교한 결과, 저축 및 투자상품군의 지식전달경로는 영향력의 크기차이는 존재하나, 그 경로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대출상품의 경우 주관적 금융지식이 태도나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설정된 지식전달경로가 성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주관적 금융지식이나 금융지식자신감은 금융태도 및 금융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선행 변수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연구에서 새롭게 규명한 것은 금융상품군에 따라 지식의 전달경로가 상이할 수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influence of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and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on positive financial attitude and behavior of financial consumers. It established four kinds of research topics in order to examine the path of financial knowledge. First, we analyzed an impact on the financial attitudes and financial behaviors dividing by the level of confidence in financial knowledge, which is substituted with the gap of objective knowledge and subjective knowledge. The result of this analysis shows that group of the consumers which ‘higher confidence in the financial knowledge’ leads positive financial attitude and a rational financial behavior. The second research topic was to identify the pathways of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and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to financial attitude and behavior. The result shows that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was a predictor of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and financial attitude, but it was not a direct predictor in financial behavior. The result also shows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was a predictor of financial attitude and behavior. Third, we examined the paths of knowledges by categories of financial product such as savings, investment and bank loan product. The result comparing between the pathways of savings & investment knowledge toward attitude and behavior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we could find some differences in the path of the bank loan product.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and confidence in financial knowledge are the leading variables positively affecting financial attitudes and behaviors. The new findings are that the path of knowledg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financial product.

      • KCI등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주관적 지식, 객관적 지식, 제품 경험의 인과적 관계 탐색: 제품 유형의 조절적 역할

        이병관,윤태웅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0 No.2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knowledge constructs including subjective knowledge, objective knowledge, and product experience.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s how objective knowledge, product experience, self confidence, frame of reference, and product involvement are related to subjective knowledge across different product types (utilitarian and hedonic products) using structural equationanl modeling.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s that the effects of objective knowledge, frame of reference and product involvement on subjective knowledge vary depending upon the type of products while the effects of product experience and self-confidence are invariant across product types. In addition, the impacts of product involvement on objective knowledge and product experience are invariant across product types, while product experience varies its influence on objective knowledge depending on the product typ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constructs and their role in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본 연구는 주관적 지식, 객관적 지식, 제품 경험을 포함한 제품 지식 개념들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품 유형 (실용재와 쾌락재)에 따라 객관적 지식, 제품 경험, 자기 확신감, 참조준거, 제품 관여가 주관적 지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해 알아보았다. 다집단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제품 경험과 자기 확신감이 주관적 지식에 미치는 효과는 두 제품 유형에서 동일하였으나 객관적 지식, 참조준거, 제품 관여가 주관적 지식에 미치는 효과는 두 제품 유형에서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 관여가 객관적 지식과 제품 경험에 미치는 효과는 제품 유형에 관계없이 일정하였으나 제품 경험과 객관적 지식간의 관계는 두 제품 유형에서 서로 달랐다. 제품 지식 개념들간의 관계와 이것이 소비자 정보 처리에 미치는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키에르케고르의 주관적 지식과 도덕교육

        곽은혜 한국도덕교육학회 2011 道德敎育硏究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Kierkegaard's categorization of knowledge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that has a significant educational implication. Kierkegaard devoted his whole life in search of ways of making a true Christian. For this purpose, he categorized knowledge into two groups, objective knowledge and subjective knowledge, citing examples of each category; mathematics, science, history, etc. for objective knowledge and ethics and religion for subjective knowledge. This may give rise to an interpretation of his categorization as a categorization by types, but a more careful analysis shows otherwise. Kierkegaard constantly criticized ordinary Christians in Danish society because he thought that even ethico-religious knowledge could not make a true Christian unless it was communicated in the right way. Subjective knowledge in his categorization is not just a type of knowledge, but the ethico-religious knowledge communicated in the right way, or by means of ‘indirect communication'. This means that subjective knowledge marks one of the dimensions of knowledge along with objective knowledge. The two dimensions of Kierkegaard's categorization corresponds to two layers of the ‘two-fold structure of mind'. Objective knowledge stands for the lower layer, where the epistemic subject confronts the object, whereas subjective knowledge stands for the upper layer, which consists of the ineffable presupposition of objective knowledge. Kierkegaard's categorization by dimensions points to the essential aim of moral education, revealing the religious aspect that is indispensable to education.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이라는 키에르케고르의 지식의 범주화는 그가 각각에 해당하는 지식의 종류를 예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식의 종류에 의한 범주화’로 생각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키에르케고르가 말하는 주관적 지식은 윤리와 종교라는 특정한 종류의 지식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진정한 기독교인을 형성하도록 하는 지식이며, 그가 말하는 진정한 기독교인은 주관성으로서의 신앙을 가진 존재, 윤리·종교적 지식이 간접전달을 통하여 인간에게 내면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 점에서 키에르케고르의 지식의 범주화는 지식이 인식의 주체에 내면화되기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는 ‘지식의 차원에 의한 범주화’로 해석되어야 마땅하다. 이러한 해석은 인간의 마음이 마음 밖의 대상을 마주하는 경험적 측면과 마음 그 자체를 마주하는 형이상학적 측면으로 이루어져있다는 중층구조의 사고방식에 의하여 뒷받침된다. 지식의 범주에 관한 키에르케고르의 아이디어는 도덕교육에 중요한 시사를 던져준다. 훌륭한 기독교인의 의미가 윤리ㆍ종교적 지식이라는 언설 수준에서 규정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훌륭한 인간의 의미 역시 도덕적 행위나 규범을 표현하는 지식이 아닌 언설 이상의 세계, 즉 마음의 형이상학적 차원에서 규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의 간접전달이론은 교육적 전달을 통하여 인간이 형이상학적 마음을 획득하는 길을 보여줌으로써 우리에게 교육의 종교적 차원을 일깨워 주고 있다.

      • KCI등재

        소비자 지식이 사고체계와 온라인 탐색경향에 미치는 영향: 제품가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미아 ( Mi Ah Lee ),이유재 ( You Jae Yi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1

        하나의 미디어로서 뿐만 아니라 마켓 플랫폼으로서 온라인의 역할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온라인 상황에서의 소비자의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이해는 학계나 업계 실무자들에게 중요한 논점이 되고 있다. 온라인 관련 선행연구들은 소비자 평가 및 태도, 구매와 같은 결과변수와 이에 대한 선행요인을 다루는 연구주제들에 치중되고 있고 온라인 정보처리과정과 관련된 주제들은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정보처리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온라인상에서의 정보탐색 패턴을 규명함으로써 소비자 정보처리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온라인 정보탐색상황에서 소비자의 (객관적 vs. 주관적) 지식이 사고체계(인지적 사고와 경험적 사고)를 통해 정보탐색의 경향 (깊이와 넓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체계적인 정보처리와 휴리스틱 정보처리의 발생경로와 이에 따른 탐색행동의 차이, 그리고 이러한 정보처리경로에 영향을 주는 상황변수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분석 경과, 소비자 지식과 사고체계 간의 관계에서 객관적 지식은 인지적 사고체계에, 주관적 지식은 경험적 사고체계에 영향을 주고 있었고 이들 간의 교차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지식 체계의 상이한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고체계와 탐색경향의 관계에서는 인지적 사고를 하는 경우 여러 사이트에 걸친 폭넓은 탐색과 한 사이트 내에서의 깊이 있는 탐색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험적 사고는 탐색의 깊이에만 영향을 줄 뿐 탐색의 넓이에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구매가격의 조절효과에 대한 결과를 보면, 인지적 사고가 탐색의 넓이에 미치는 영향은 고가격 제품에서 더 크게 나타났고, 반대로 경험적 사고가 탐색의 깊이에 미치는 영향은 저가격 제품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이 사고체계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지 또는 부분 매개되는지를 확인한 결과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이 탐색의 넓이와 깊이에 미치는 영향은 인지적 사고와 경험적 사고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했다. As the online environment continues to expand its role not only as a medium vehicle but also as a market platform, it is crucial for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to understand how online consumers process information. Previous studies on online consumer behavior have mainly focused on consumer evaluation, attitude, and purchase as well as their antecedents, but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mechanisms underlying online information processing. We thus investigate which patterns are utilized during online information search and how these search patterns are related to consumers` knowledge and thinking systems. Specifically, we examine the effects of consumer knowledge (objective vs. subjective) on online search patterns (depth vs. breadth) through the thinking systems (cognitive vs. experiential). Our primary focus is on how systematic and heuristic information processing occur and how their effects on search patterns vary across purchase situations (high vs. low pric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nationwide research agenc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respondents in late teens to early 30s, because they are likely to have a strong purchase power on online stores. A total of 500 completed responses were obtained, and 481 data were used for analysis. A quota sampling method was used in age and sex. Only those who had purchased apparel goods through internet at least twice in the last 6 month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Each respondent was first asked to recall his or her past experience that he or she searched for apparel information going around several online shopping malls because new clothes are required. They were then asked to answer Questions based upon their prior experienc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knowledge and thinking systems, objective knowledg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 thinking system, whereas subjective knowledg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xperiential thinking system. No cross-over effect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on thinking system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viding evidence for the distinct roles of two knowledge system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ystems and search patterns, the cognitive thinking system is positively related to both breadth and depth of search, whereas the experiential thinking system is positively related to depth of search, but not breadth of search. We performed multi-group analysis to test whether the impact of thinking systems on search patterns is moderated by product price.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using median splits based on respondents` purchase price. Regarding the moderating role of price, the effect of cognitive thinking on breadth of search is greater for high price products than for low price products, whereas the effect of cognitive thinking on depth of search was not influenced by the price level. In contrast, experiential thinking has a stronger effect on depth of search for low price products than for high price products, whereas the effect of experiential thinking on breadth of search was not influenced by the price level. To determine whether thinking systems mediate the effects of objective knowledge and subjective knowledge on search patterns fully, an additional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on breadth of search and depth of search are fully mediated by cognitive thinking and experiential thinking. Therefore, consumer knowledge affects search patterns not directly, but indirectly through the thinking systems. In terms of theoretical implications, the primary contribution of this paper lies in elaborating an online information search process model by predicting thinking systems as a mediator between consumer knowledge and search patterns, subsequently examining relationships among consumer knowledge, thinking systems, and search patterns. In particular, we attempt to identify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earing in the heuristic route of decision making, compared to the complex route of decision making. Online retail and marketing managers may benefit from the findings reported here. The results enable online retailers to develop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suitable for target consumer groups by presenting how much difference consumer search behavior shows according to clothing purchase price level. Som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lso offer a basis for future research. Apparel was the product category selected in this study. Future studies need to expand the research to different product categories such as utilitarian goods vs. hedonic goods, and search goods vs. experience goods. For this study, subjects are restricted to those who search for apparel information on the web sites rather than the usual apparel consumers. For this reason, the results of our study should be carefully interpreted and applied. We recommend that future studies adopt a more sophisticated sampling method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earch findings. Finally, some variables, such as objective knowledge and experiential thinking, need better measures.

      • KCI등재

        Paul Ernest의 수학적 지식 구성과정에 대한 교수학적 고찰

        박정선(Park Jeongseon),신재홍(Shin Jaeh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는 Ernest의 수학적 지식 구성과정 모델이 교실의 교수·학습 상황에서 동일하게 적용가능한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수학적 지식 구성과정을 설명하는 대안적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Ernest의 모델 에 대한 이론적, 교수학적 고찰을 시도하였고 학생의 지식 구성과정을 명확히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생은 주관적 지식을 구성하나 Ernest의 모델이 제시한 객관적지식을 스스로 구성한다고 볼 수 없다. 둘째, 교사의 개입 하에 학생은 주관적 지식 과 구별되는 객관성을 갖는 지식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Ernest의 객관적 지식과 구별하여 ‘1차-객관적 지식’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교실공동체의 가장 큰 특징은 교사의 존재로, 교사와 학생 간의 비대칭적 상호작용 과정을 통해 지식이 구성되고, 이를 ‘기울어진 협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반영한 ‘학생의 수학적 지식 구성과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whether Ernest s mathematical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model is equally applicable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of the classroo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an alternative model that describes a student s mathematical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For this purpose, theoretical and pedagogical considerations on Ernest s model were attempted to clarify the process of constructing students’ knowledge. The results indicate that students construct their own subjective knowledge but do not construct objective knowledge of the Ernest’s model by themselves. Second, students are regarded to construct the knowledge entailing objectivity to a certain degree under teacher intervention and we name it as the first–order objective knowledge distinguished from the objective knowledge in the Ernest’s model. Third, one of the most salient features of the classroom community is the existence of a teacher, and thus we describe the asymmetrical interactions between a teacher and students as unequal negotiation . A model of student s mathematical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was presented.

      • KCI등재후보

        금융소비자의 재무지식수준과 재무설계상담 비용지불의사에 관한 연구

        김병태(Byoung Tae Kim),조혜진(Hye Jin Cho),최현자(Hyun Cha Choe) 한국FP학회 2014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7 No.3

        본 연구는 금융소비자의 재무지식수준과 재무설계상담 비용지불의사 및 그 영향요인을 통해 유료 재무설계상담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어떻게 생겨나는지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금융소비자들의 금융이해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스스로 재무관리가 어려워서 비용을 지불하고라도 재무설계상담을 받으려고 하는 것인지, 아니면 금융역량이 높은 소비자들이 재무설계상담을 비용을 지불할 만큼 가치 있는 재무관리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재무 지식수준은 객관적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기과소의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재무설계상담 경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객관적 지식수준에 비해 주관적 지식수준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았다. 셋째, 재무설계상담에 대해 비용지불의사가 있는 비율은 전체의 43.3%로 매우 높은 수준은 아니었지만 매년 그 비율은 계속해서 증가하였다. 넷째, 재무설계상담 경험은 객관적 지식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재무설계상담 경험이 없는 사람에 비해 경험이 있는 사람의 주관적 지식수준이 높았다. 객관적 지식수준은 비용지불의사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주관적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재무설계상담 경험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재무설계상담 비용지불의사가 높았다. 또한 재무설계상담 경험은 주관적 재무지식수준과 비용지불의사 모두에 중요한 영향 요인이었는데, 재무설계상담 경험이 있는 사람이 비용지불의사(재구매)가 컸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재무설계상담의 효과성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향후 재무설계상담이 제도적으로 자리매김하여 재무설계업 또는 금융자문업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있음을 검증하고 이에 대한 잠재적 수요기반을 확인하는 기초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level and willingness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of financial consumer, and identifi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ose two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 of financial knowledge and the willingness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service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whether consumers" financial capability affects the willingness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services. That i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which consumer group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financial capability are more likely to be willing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servic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is largely underestimated relative to the level of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Second, those who have financial planninf experience have higher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relative to their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Third, 43.3%, which is not so high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are willing to pay for financial planning services, but the percentage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every year. Fourth, financial planning expericence does not affect the level of objective financial knowledge, but those who have financial planning experiences showed the higher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The financial planning experience is the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level of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and the willingness to pay for the financial planning service. Those who have financial planning service experience are more likely to be willing to pay for the financial planning service.

      • KCI등재

        지식유형별 광고메시지 프레이밍 효과 연구

        진홍근(Chin, HongKun),이종민(Lee, Chong Mi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 유형을 주관적 지식과 객관적 지식으로 구분하여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를 비교하는데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주관적 지식의 高 低에 따른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의 차이검증, 그리고 객관적 지식의 高 低에 따른 광고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의 차이 검증을 주 내용으로 한다. 결과 분석에 따르면, 高 주관적 지식 조건에서는 긍정 메시지 프레이밍이 보다 효과적이며 低 주관적 지식 조건에서는 부정 메시지 프레이밍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高 객관적 지식 조건에서는 부정 메시지 프레이밍이 보다 효과적이며 低 객관적 지식 조건에서는 긍정 메시지 프레이밍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advertising message framing effects by the types of knowledge - subjective and objective knowledge. Specifically, it includes the difference of message framing effects between high and low subjective knowledge conditions and between high and low objective knowledge condi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ositive message framing is more effective in the high subjective whereas the negative message framing is more effective in the low subjective knowledge condition. On the other hand, with the high objective status, negative message framing is more effective in the high objective condition than the positive message framing which is more effective in the low objective condition.

      • KCI등재

        2022년 개정 국제사법상 지식재산권 관련 소의 국제재판관할 문제: 총칙과 각칙의 검토

        이주연 한국국제사법학회 2022 國際私法硏究 Vol.28 No.1

        The 2022 Korean Act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hereinafter “the Act”), which was amended in January 2022 and shall come into force in July 2022, contains several new provisions on the jurisdiction matters in international litigation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is is a significant development in that it makes it possible to predict jurisdictional issues for the parties in a legal dispute to be brought to Korean court, those who enter into a contract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 holders and infringers who might become parties to a legal dispute. In international litigations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following provisions may be relevant: general jurisdiction as the country of the defendant’s habitual residence (Art. 3), specific jurisdiction as the country of the principal place of business, the place of doing business, and the location of property (Arts. 4 and 5). By simply defining the requirements of objective joinder of claims (Art. 6(1)), jurisdiction in counteraction (Art. 7), and subjective joinder of claims (Art. 6(2)), the 2022 Korean Act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opens the way to resolve multiple claims or disputes between multiple parties at once. Jurisdiction by Agreement (Art. 8) and Jurisdiction by Pleading (Art. 9) are not applicable to the matters under exclusive jurisdiction of a foreign court. Whether a matter is under exclusive jurisdiction of a foreign court can also be determined by the Act. Among international litigations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Act stipulates litigations over entries in register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t. 10(1)(i)) and litigations over establishment, validity, or extinguishment of registere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t. 10 (1)(iv)) as matters under exclusive jurisdiction. The Special Part of the Act stipulates specific jurisdiction in litigations over contract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t. 38) and specific jurisdiction in litigations over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rt. 39). This is the result of distinguishing—based on the principle of territoriality—specific jurisdiction in litigations over contract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infrin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rom specific jurisdiction in litigations over general contracts and torts. There remains a question on whether to apply the provisions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Special Part to trade secrets and portraits of celebrities subject to the rights of publicity. Even for matter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f it falls under consumer contracts or employment contracts, the provision on jurisdiction over consumer contracts or employment contracts must be applied. Finally, it needs to be remembered that the Act does not prescribe all the matters related to international litigation ov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f no provision on specific jurisdiction applies to a case, the general principles in Article 2 will determine whether Korean court has jurisdiction over the case by deciding whether a party or a case in dispute is substantively related to Korea. 올해 초 전부개정되어 곧 시행을 앞두고 있는 우리 국제사법은 국제지식재산권소송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여러 관할규정을 신설하였다. 이는 우리 법원에 제소하려는 지식재산권 분쟁의 당사자는 물론이고 지식재산권 계약을 체결하는 자, 그리고 지식재산권자와 이용자(잠재적 침해자) 사이의 잠재적인 법적 분쟁에서 관할권 문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총칙편에 위치한 피고의 일상거소국 법원으로서의 우리 법원의 일반관할권(제3조)뿐 아니라 사무소·영업소 소재지국, 사업·영업활동지국, 재산소재지국 법원으로서의 특별관할권(제4조와 제5조)도 국제지식재산권소송에서 의미가 있을 수 있다. 우리 국제사법은 청구의 객관적 병합(제6조 제1항)과 반소관할(제7조), 청구의 주관적 병합(제6조 제2항)의 요건을 간소하게 규정하는 방식을 취하여 국제지식재산권소송에서 양 당사자 사이의 복수의 청구 및 복수 당사자 사이의 분쟁을 일회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일응 넓게 열어 두었다. 합의관할(제8조) 및 변론관할(제9조)은 외국 법원의 전속관할사항에 대하여는 인정될 수 없는데, 외국 법원의 전속관할사항인지 여부는 우리 국제사법에 의해서도 판단할 수 있다. 국제지식재산권소송에서 전속관할사항으로 총칙편에서 지식재산권 등록부의 등록에 관한 소(제10조 제1항 제1호)와 등록지식재산권 성립, 유효성 또는 소멸에 관한 소(제10조 제1항 제4호)를 규정하였다. 각칙편에서는 지식재산권 계약에 관한 소의 특별관할(제38조)과 지식재산권 침해에 관한 소의 특별관할(제39조)을 규정하였다. 이는 지식재산권의 속지적 성격에 근거하여 일반 계약에 관한 소의 특별관할과 일반불법행위에 관한 소의 특별관할에 의하지 않고 달리 취급한 것이다. 한편 영업비밀과 퍼블리시티권의 대상인 유명인의 초상 등에 대하여도 지식재산권 각칙편에 규정된 위의 조항에 의할 것인지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지식재산권 계약이라 하더라도 소비자계약과 근로계약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소비자계약의 관할과 근로계약의 관할이 적용되어야 한다. . 마지막으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이번 개정 국제사법이 국제지식재산권소송과 관련된 모든 사항을 규정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즉, 개별규칙에서 우리 법원 관할권의 근거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도 국제사법 제2조의 일반원칙에 따라 당사자 또는 분쟁이 된 사안과 우리나라와 실질적 관련이 있다면 우리 법원의 관할권이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