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 몰입 및 철회와 우울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나세영,양재원 한국재활심리학회 2023 재활심리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 편향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대학(원)생 94명을 대상으로 주의 판단 과제 및 우울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주의 편향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 주의 판단 과제는 정서 자극에 대한 주의가 이동하는 것을 측정하는 것으로, 과제 지시에 따라 주의 몰입과 주의 철회로 구분되었다. 각각을 측정하기 위해 주의가 정서 자극으로 이동하는데 걸리는 반응시간과 주의가 정서 자극에서 벗어나는데 걸리는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SPSS Process Macro 4를 이용하여 주의 편향과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 정서에 대한 주의 몰입은 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우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긍정 정서에 대한 주의 몰입이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경유하여 우울에 이르는 경로에서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우울한 사람들에게 긍정 정서에 대한 주의 몰입을 더욱 훈련하고,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도록 한다면, 우울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tentional bias to emotional stimuli on depression through mediation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 total of 94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attentional assessment task, and completed self-report scales on de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Process Macro 4.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engagement i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attending to positive emotions on the pathway from depression via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as negatively significant. Therefore, we suggest that further training depressed individuals in engaging to positive emotions and using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ay reduce depression.

      • KCI등재

        신해체주의 패션의 디자인 특성 연구 - 베트멍과 마르케스 알메이다의 비교 -

        김정연,박은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22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22 No.1

        최근 신해체주의 패션은 타 브랜드를 비롯하여 패션 산업에 큰 영향을 주면서 성장하고 있다. 이에 주목하여 학술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주로 제한된 브랜드의 일부 사례 고찰을 통해 전반적인 특성을 논의한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신해체주의 패션의 대표 브랜드인 베트멍과 마르케스 알메이다의 모든 컬렉션을 대상으로 디자인 특성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신해체주의 패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해체주의 패션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신해체주의 패션의 미적 가치 범주를 재분류하였다. 셋째, 미적 가치 범주에 근거해서 두 브랜드 컬렉션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고 논의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신해체주의 패션에 관한 고찰은 관련 자료를 통한 문헌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각 브랜드의 첫 컬렉션부터 2021 FW까지의 컬렉션 작품 사진을 수집하여 디자인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사진 자료는 패션 전문 매체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수집하였고 분석 시 디자이너의 인터뷰 및 관련 기사, 패션 전문 매체의 리뷰를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두 브랜드는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 가치 범주에 따른 표현에 있어 공통점이 있으나 브랜드의 이념, 디자인 방향, 소비자와의 소통 방식 등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또한 두 브랜드는 소비자 집단과 함께 동시대 사회의 여러 이슈나 운동에 동참하여 의식 있는 패션 브랜드로 긍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해체주의 패션에 대한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국내 패션 브랜드의 디자인 기획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주의 만찬에 대한 바울의 권면

        정복희(JEONG Bok-Hee)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3

        정류 이상근 박사는 고린도교회의 주의 만찬에 관한 본문(고전 11:17-34)을 주석하면서 사회-역사적 접근을 시도하면서도 조직신학적 접근을 보여준다. 이런 그의 접근 방법은 바울이 주의 만찬에서 보여준 권면의 사회적 맥락을 놓치게하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정류는 바울의 권면을 믿는 자들의 개인적 회개로 이해함으로써 본문의 내용을 제한시키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류가 주의 만찬에 관한 주석에서 성찬의 수평적, 수직적 교제에 대해 강조하고 이들이 서로 별개가 아니라고 주장한 것은 탁월한 해석이다. 바울은 고린도교회의 주의 만찬에서 발생한 분열은 교회를 부끄럽게 한 것이며 ‘주의 만찬’을 ‘자기의 만찬’으로 만든 것이라고 책망한다.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 간의 수평적 교제를 손상시킨 것은 주와의 수직적인 교제를 훼손한 것과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그러고 나서 바울은 주의 만찬에서 ‘가지지 않은 자들’과 ‘가진자들’의 수평적 교제와 고린도 교인들과 ‘주(主)’와의 수직적 교제를 회복하도록 권면한다. 그러므로 바울이 고린도 교인들을 향해 “자기를 살피고”, “서로 받아들이라”고 한 것은 주의 만찬에서 수평적 교제의 회복을 의미하는 동시에 ‘주(主)’와의 수직적 교제에 대한 회복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한국 교회와 교인들은 성찬을 “개인적이고 영적인 구원의 도구”로 이해하는 오류를 범하여왔다. 이런 시점에서 주의 만찬의 수직적 그리고 수평적 교제의 중요성을 강조한 정류의 주석은 오늘 한국 교회의 성찬의 의미를 회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In his commentary on the text of the Lord’s Supper (1 Cor 11:17-34), Dr. Sang-geun Lee takes both a systematic theological approach and a socio-historical one. This tendency may cause him to lose sight of the social context in which Paul addressed his advice at the Lord’s Supper. In addition, Dr. Lee tends to limit the text’s meaning by merely interpreting the Eucharist as the individual repentance of each believer. Despite those problems, Dr. Lee’s outstanding contribution lies in his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horizontal and vertical fellowship in the Lord’s Supper, and particularly in his explanation of the inseparability of the two dimensions. In the text, Paul points out that the problem of the Corinthian Church’s practices at the Lord’s Supper was that they despised God’s church by misunderstanding “the Lord’s Supper” as “his own supper.” Paul rebuked the idea that ruining the horizontal fellowship would harm the vertical fellowship with the Lord. Moreover,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Lord’s Supper, Paul exhorted the Corinthians to restore the horizontal fellowship between “those who have nothing” and “those who have,” and to recover the vertical fellowship between the Corinthians and the Lord. When Paul suggested to “examine oneself” and to “receive each other” at the Lord’s Supper, he was offering practical advice to resto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ellowships. In the context of Korean Christianity,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have traditionally understood the Eucharist as “individual and spiritual means of salvation.” Given this, Jeong-ryu’s interpretation of the Lord’s Supper proposes a solution for today’s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Stressing the importance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ellowships in the Lord’s Supper, Jeong-ryu asks for the recovery of Ecclesiology and Christology in the Eucharist today.

      • KCI등재

        고린도전서 11:17-34에 나타난 주의 만찬의 성서적 근거와 교회 전승

        최선범(Choi, Sun-Bum J.) 한국신약학회 2020 신약논단 Vol.27 No.1

        본 논문은 고린도전서 11:17-34에 나타난 주의 만찬의 성서적 근거를 찾음으로 신약시대에 거행되었던 주의 만찬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후대 교회들이 서로 다른 전승의 발전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필자는 고린도 교인들이 “떡을 떼는 형식, 또는 애찬의 형식, 또는 떡과 포도주를 강조하는 형식을 포함한 포괄적인 주의 만찬을 시행하였다고 전제한다. 고린도교회 안에 발생한 부한 자들과 가난한 자들 간의 계층갈등이 주의 만찬 과정에 표면화되자, 바울은 질서 있게 주의 만찬을 진행하기 위하여 최후의 만찬에서 선언된 예수의 제정명령의 전승을 전달하는 동시에 새로운 시행령을 첨부하여 정형화된 주의 만찬을 만들었다. 그는 떡과 포도주에 집중하여 그리스도의 죽음과 연결되는 주의 만찬의 시행령을 통해 그리스도와의 연합과 그리스도인들 간의 연합을 나타내는 주의 만찬의 의미를 강조했다(고전 10:21; 11:23-27). 바울 이전의 만찬이 떡을 떼는 것과 애찬의 형식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주의 만찬이었다면 바울이 새롭게 제정하여 시행한 주의 만찬은 과거의 그리스도의 죽음 사건을 기념하고 미래에 그리스도의 종말론적 왕국을 기대하는 이중적 구조로 구성했다. 후대 교회 역사를 살펴보면, 서방교회 전통이 바울 전승에 기초한 떡과 포도주에 집중한 그리스도의 죽음을 강조했다면, 동방교회 전통은 바울 이전에 포괄적으로 시행되었던 주의 만찬 전승의 한 부류를 전승으로 받아들여 그리스도의 부활과 종말론적 소망을 담은 축제로서의 주의 만찬을 시행했다. In this paper, I focus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Lord’s Supper in the New Testament and its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different traditions by finding its Biblical basis in 1 Corinthians 11:17-34. I presuppose that the Corinthian church had a comprehensive celebration of the Lord’s Supper, including “breaking the bread, the form of agape meal, or the emphasis on bread and wine.” When the conflict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the Corinthian church surfaced in the process of the Lord’s Supper, Paul utilized the enactment order of Jesus declared at the Last Supper. Paul established a new ordinance of the Lord’s supper in order to set up the process of Christian worship in orderly manner. He emphasized the meaning of the Lord’s Supper in order to express the unity with the Christ and the unity of Christians by focusing on bread and wine, which is connected to Christ’s death (1 Cor. 10:21; 11:23-27). Before Paul formalized the Lord’s Supper, it was performed variously including the breaking of bread and the form of agape meal. But Paul set up the Lord’s supper focusing on a double-minded celebration of Christ’s death in the past and anticipation of Christ’s eschatological kingdom in the future. In later church history, the Western church emphasized Christ’s death focusing on bread and wine based on Paul’s tradition, while the Eastern church was a type of the Lord’s Supper tradition that was comprehensively carried out before Paul.

      • 주가 점프 발생 정보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에 대한 연구

        곽노걸 한국경영학회 2016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8

        어떠한 정보에 의해 주가 점프가 발생할 경우, 시장이 효율적이면 발생 정보는 주가에 즉시 그리고 정확히 반영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만약 시장이 비효율적이라면 주가 점프를 야기한 정보는 점프 발생 이후에도 주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경우 투자자는 주가점프 발생을 후속 투자 의사결정에 필요한 하나의 새로운 정보로 인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일간 자료를 이용하여 주가 점프 발생 정보가 주식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행동재무론적 관점에서 투자자의 심리학적 편의(bias)를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 점프 정보의 주가 과민반응현상(overreaction)의 존재 여부를 분석하였다. 주가과민반응 현상은 주가가 어떠한 정보에 대해 시장 효율성에서 제시하는 것 이상으로 과다하게 또는 미온적으로 반응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둘째 주가 점프 정보가 부정적 효과(negativity effect)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부정적 효과는 투자자들이 긍정적인 정보(주가 상승 점프) 보다 부정적인 정보(주가 하락 점프)에 과잉반응 한다는 정보의 비대칭적 영향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 하락 점프정보에 대해서 강한 주가 과민반응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주가 상승 점프 정보에 대하여는 주가 과민반응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투자자들은 주가 상승 점프 정보 보다 주가 하락 점프 정보에 비대칭적으로 더 크게 반응하는 부정적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기존 연구에서는 발견하지 못했던 것으로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후보

        특수학교 주5일 수업제 실시에 대한 부모 및 교사의 인식조사

        박성우,이상진 국립특수교육원 2005 특수교육연구 Vol.12 No.1

        사회 전반적으로 주5일 근무제가 도입됨에 따라 2005년부터 월1회씩 단계별로 주5일 수업제를 도입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주5일 수업제의 도입은 학교에서의 환경 제약적 상황을 극복함과 동시에 다양한 경험학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교육의 질적 향상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들의 경우 개인의 장애 정도나 유형 등에 따라 특수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이러한 주5일 수업제의 운영에 있어 보다 신중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학교와 가정과의 협력체제 구축은 주5일 수업제의 성공적 정착에 중요한 변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특수학교 주5일 수업제 도입에 대해 부모 및 교사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 지를 조사함으로써 완전 주5일 수업제 실시에 대비한 여러 가지 기초 정보들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교 주5일 수업제 도입에 대해 부모의 경우 반대의 경향이 높고 단순히 토요휴업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한데 반해, 교사들의 경우 주 5일 수업제 실시에 대해 긍정적이며, 주5일 수업제를 가정학습의 날로 생각하는 경향이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나 다소 다른 입장의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주5일 수업제의 주체에 있어서는 부모와 교사 모두 협력적 관계를 고려하고 있었고, 지역사회의 무관심이 주5일 수업제의 운영에 있어 가장 선결 과제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주5일 수업제 실시에 따른 수업결손 보완방법에 있어 부모의 경우 방학단축을, 교사들의 경우 수업시수 단축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수업형태에 있어서도 부모들은 학교중심 프로그램을, 교사들의 경우 가정중심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5일 수업제의 성공 요인에 있어 부모들의 경우 풍부한 프로그램의 제공을 강조한 데 반해, 교사들의 경우 가정의 적극적인 협력을 우선시하였고, 주5일 수업제 적합 모델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도 부모들은 주말자율체험학습일을, 교사들의 경우 토요 휴업일에 대한 인식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양자간에 다소 다른 견해 차이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ckup information for "5-school-days system" by investigating attitudes of teachers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while parents have showe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system, teachers were positive on the other hand. This means parents consider the system just as "one-day off", whereas it is a home schooling day for teachers. They answered that it is necessary for success of the system to have cooperation between the two parties. They also thought that lack of support of the community would hinder the system. Second, opinions on the loss of class hours were opposite. Parents wanted to make up the loss by shortening the vacation period, but teachers needed to reduce the class hours. In addition, parents expected that teacher-made curriculum was appropriate for the success, whereas teachers thought that parent-center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by active participation of the parents. On the question of appropriate system model, they wanted home-study experience program and Saturday-off program,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주의 기도”를 통한 “산 신앙형성”에 관한 연구- 거지(巨智) 이중표 목사의 “주의 기도”를 중심으로-

        김윤규 한국실천신학회 2009 신학과 실천 Vol.0 No.18

        예수께서 친히 제자들에게 가르치신(마태 6:9-13; 누가 11:2-4) ‘주의 기도’ (the Lord's Prayer)의 첫 부분은 하나님과 관련된 세 가지의 ‘당신’이라는 간구 즉 아버지, 당신의 이름을 거룩하게 하심, 당신의 나라, 당신의 거룩한 뜻 등을 말한다. 후반부의 인간과 관련된 네 가지의 간구는 일용할 양식, 용서, 늘 따라다니는 유혹, 언제나 우리를 위협하는 악 등이다. 한 마디로 주기도는 ‘하늘의 고난이 땅의 고난과 연결’되는, 다시 말하면 하나님과 인간, 하늘과 땅, 종교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이 모든 것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통일성을 유지하면서 실천적으로 올바른 관계를 맺게 되는 ‘총체적 해방’을 위한 ‘완전한 기도’ 즉 ‘기도중의 기도’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중표 목사에게 있어서 ‘주의 기도’는 예수 당시에만 유효하게 통용되었던 것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리스도인들에게 새로운 삶의 방향을 제시해 줌으로써, 그리스도인의 삶의 스타일(Life-Style)에 대한 총체적인 변혁을, 다시 말하면 ‘기도’와 ‘삶’의 통전적인 일치를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목사는 자신의 ‘주의 기도 강해’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던지면서, 그것들에 대한 대답을 찾기 위해 전력을 기울이지 않을 수가 없었다. 한국의 그리스도인들이 진정 주기도의 깊은 의미를 제대로 알고 암송하는 것일까? 과연 그들이 이 땅에 살면서도 하나님의 나라에 소망을 두고 있을까? 과연 그들은 두 발로 이 땅위에 굳게 서서 하늘을 바라보면서, 아버지의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고, 주님의 나라가 임하기를 그래서 그의 뜻이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사모하며 기원하고 있는가? 과연 그들이 ‘주의 기도’를 가르친 예수처럼,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으로 비인간화시키는 사회질서를 변혁하는 ‘자유의 행진(누가 4:16-21)’에 기꺼이 참여할 수 있을까? 위의 질문들에 전적으로 동감하는 필자는 우선적으로 이 중표 목사의 ‘주의 기도 강해’를 간략하게 살펴봄으로써 그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찾고, 더 나아가서 ‘주의 기도’가 다른 어떤 기도보다도 한국의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 어떠한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이 세상의 변혁을 실천(Praxis)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 주는 실제적이고 역동적인 기도(practical & dynamic Prayer)’임을 밝힐 것이다. 이러한 논문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필자는 1장 들어가는 말(Introduction)에서 ‘주의 기도’의 특징과 중요성을 2장에서 기도의 위기와 ‘주의 기도’와 관련한 탄원기도의 특징을 밝히기 위해 일반적인 기도의 형식들(감사/찬양기도; 탄식/탄원기도)을 개략적으로 서술할 것이다. 3장에서 이 중표 목사의 ‘주의 기도 강해’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4장에서 ‘주의 기도’가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 ‘역동적인 신앙과 삶’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결론을 맺고자 한다. The first part of "the Lord's Prayer" which Jesus taught his disciples directly talks about asking to three "You" related to God, that is, Father, being hallowed Thy Name, Thy Kingdom, and Thy Will. Four petitions which are mentioned in the later part related to human beings are about daily bread, forgiveness, temptation following us all the time, and evil which tempts us. The Lord's Prayer is "A connection between heavenly suffering with earthly suffering". In other words, the Lord's Prayer is "Perfect Prayer" that is, "the prayer of prayers" for "whole liberation" having a proper relationship practically with keeping unit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in every thing like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heaven and earth, religious things and political things. Because of this, to Rev. JungPyo Lee, the Lord's Prayer was circulated effectively in Jesus' generation as well as still it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life to Christians until now. By this influence, the Lord's Prayer requests total change to Christians' life style, that is, general oneness between "Prayer" and "Life". In this meaning, Rev. Lee had to put his all of effort to seek answers for them with asking a question through his book, "Interpretation of the Lord's Prayer". Do Christians in Korea memorize the Lord's Prayer with understanding real deep meanings of the Lord's Prayer? Do they have hope in God's kingdom even though they live in this earth? Do they long for and wish for Father's name being hallowed, coming God's kingdom, then God's will being done with looking at the heaven while they put their feet on this earth? Like Jesus who taught "the Lord's Prayer", can they participate in changing social orders which dehumanizing people socially, economically and politically? I who agree on these questions totally, first of all try to find answers for these questions with looking at Rev. Lee's book, "Interpretation of the Lord's Prayer" briefly, and further more clarify that the Lord's Prayer more than any other prayers is the practical and dynamic Prayer which gives an ability to practice changing this earth even though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face any kinds of dang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in Chapter 1(Introduction), I will talk about the character and importance of "the Lord's Prayer", in Chapter 2, the crisis of the prayer, and the forms of general Prayer(Thanksgiving- Praising Prayer & Prayer for Lamentation-Petition) to clarify a character of Asking-Prayer related to the Lord's Prayer. In Chapter 3, I will explain concentrately Rev. Lee's book, "Interpretation of the Lord's Prayer". In Chapter 4(Conclusion) I will point out a direction of 'dynamic belief and life' which "the Lord's Prayer" suggests to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 주가 점프 정보를 이용한 시장 효율성 비교 연구

        곽노걸 한국재무학회 2018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5

        새로운 정보로 인해 주가 점프가 발생할 경우, 시장이 효율적이면 발생 정보는 즉시 주가에 완전히 반영되나, 시장이 비효율적이면 주가 점프를 야기한 정보는 점프 발생 시점 이후에도 주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주요 6개국 주식시장을 대상으로 주가 점프 정보를 이용하여 시장 효율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첫째 주가 점프 발생 정보를 이용하여 주가 과민반응(overreaction) 또는 과소반응(underreaction) 현상 존재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부정적 정보(주가하락 점프)와 긍정적 정보(주가상승 점프)가 주식 투자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크기가 비 대칭적인 지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가격제한폭 제도 시행 여부가 주가 점프 발생 정보에 대한 시장 비효율성의 국가별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분석 대상 대부분 국가의 주식시장에서 다음과 같은 비효율성의 증거가 발견되었다. 첫째 미국을 제외한 국가들 중 한국, 일본, 중국 및 독일 시장에서는 주가하락 점프 발생 정보에 대해, 브라질의 경우는 주가상승 점프 발생 정보에 대해 주가 과민반응 현상을 보였다. 또한 한국, 일본, 중국 및 미국 시장에서 주가상승 기간에 발생한 주가상승 점프 발생 정보에 대해 주가 과소반응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한국, 일본, 중국 및 독일 시장에서는 부정적(negative) 효과가, 브라질과 미국 시장에서는 긍정적(역의 부정적) 효과가 발견되었다. 셋째 가격제한폭 제도를 시행하는 국가 그룹에서는 부정적 효과가, 가격제한폭 제도를 시행하지 않는 국가 그룹에서는 긍정적 효과가 발견되었다. 이는 가격제한폭 제도 시행 여부가 시장 비효율성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주가 점프 발생 정보를 토대로 행동재무론적 관점에서 주가 과민 또는 과소 반응 현상 및 부정적 또는 긍정적 효과 여부를 주요국 별로 분석하고, 가격제한폭 시행 여부를 기준으로 국가별 주식 시장 효율성을 비교 제시한 연구는 아직 없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발견하지 못한 것으로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20세기 초 에스파냐 신맬서스주의 운동의 성격과 한계

        황보영조(Hwangbo, Yeong-Jo)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코기토 Vol.- No.79

        20세기 초 에스파냐에서는 산아제한을 주장하는 신맬서스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세계인류재생연맹의 에스파냐 지부를 설립한 1904년부터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1914년까지 전개된 에스파냐 신맬서스주의 운동은 주로 카탈루냐 지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 글에서는 이 시기에 전개된 에스파냐 신맬서스주의 운동의 성격과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신맬서스주의의 수용과 확산 과정, 신맬서스주의 운동가들의 활약과 그들이 주장한 신맬서스주의의 내용, 정부당국의 대응과 비판 등을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를 위해 당대에 발행된 신맬서스주의 관련 잡지와 팸플릿을 분석했다. 에스파냐연맹의 기관지 살룻 이 푸에르사, 아나키스트들이 출판한 팸플릿 출산파업과 자유 생식 등이 그것이다. 그 성격이 일부 아나키스트들이 주도한 급진적 혁명운동이자 변혁운동임을 밝힌 이 연구는 운동의 성격을 둘러싼 학자들의 논란을 해소하는데는 물론이고 한걸음 더 나아가 유럽 각국의 신맬서스주의 운동을 비교연구하는 데 이바지할 것이다.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was a Neo-Malthusianism that advocated birth control, in Spain. This movement was going along mainly in Catalonia. Its first stage began in 1904 when the Spanish chapter of the Universal Federation of Human Regeneration was established, and came to an end in 1914 when the First World War broke out. In this paper we examine character and limits of Spanish Neo-Malthusianism in this period. For this, it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the movement, Neo-Malthusian’s activities, Neo-Malthusian doctrines, the authorities’s response and criticism, etc. Here, we analyze some articles of the magazines and pamphlets which some Neo-Malthusians published. These articles and pamphlets are very important sources. We have assured that the Spanish Neo-Malthusianism was a radical and revolutionary movement with which some anarchists pushed ahead. It seems that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further comparative studies of European Neo-Malthusianisms as well as the solution of controversy over the character of Spanish Neo-Malthusianism.

      • KCI등재

        주가 점프 발생 정보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비대칭적 영향에 대한 연구

        곽노걸 한국재무관리학회 2016 財務管理硏究 Vol.33 No.4

        In case of occurring a jump in stock prices which caused by a certain information, the effect of information will be expect to reflect on the stock price at once and in precise extent. If the market is inefficient, the information that caused stock price jump will be affecting stock price movement after the jump, and investors recognize the stock price jump as a new information for next trading.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stock price jumps as the information to the stock price in terms of behavioral finance using daily data.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or not the stock price overreaction existences. Stock price overreaction means that the stock price is reflecting an information over or under the degree that suggested by efficient market. Second, this study analyzes empirically whether or not the stock price show the negativity effect. Negativity effect means the asymmetric effect that investors overreact to the negative information (downward stock price jump) and underreact to the positive information (upward stock price jump). The main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s stock price overreaction strongly in downward jump, but scarcely in upward jump. Second, investors show the evidences of the negativity effect that overreact to the downward stock price jump rather than the upward. 어떠한 정보에 의해 주가 점프가 발생할 경우, 시장이 효율적이면 주가 점프 발생 정보는 주가에 즉시 그리고 정확히 반영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만약 시장이 비효율적이라면 주가 점프를 야기한 정보는 점프 발생 이후에도 주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경우 투자자는 주가 점프 발생을 후속 투자 의사결정에 필요한 하나의 새로운 정보로 인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일간 자료를 이용하여 주가 점프 발생 정보가 주식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행동재무론적 관점에서 투자자의 심리학적 편의(bias)를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 점프 정보의 주가 과민반응현상(overreaction)의 존재 여부를 분석하였다. 주가과민반응 현상은 주가가 어떠한 정보에 대해 시장 효율성에서 제시하는 것 이상으로 과다하게 또는 미온적으로 반응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둘째 주가 점프 정보가 부정적 효과(negativity effect)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부정적 효과는 투자자들이 긍정적인 정보(주가 상승 점프) 보다 부정적인 정보(주가 하락 점프)에 과잉반응 한다는 정보의 비대칭적 영향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가 하락 점프 정보에 대해서 강한 주가 과민반응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주가 상승 점프 정보에 대하여는 주가 과민반응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투자자들은 주가 상승 점프 정보 보다 주가 하락 점프 정보에 비대칭적으로 더 크게 반응하는 부정적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기존 연구에서는 발견하지 못했던 것으로 그 시사하는 바가 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