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상설 전시와 식민지 조선 문화 -전시 유물을 중심으로-
김인덕 서울역사편찬원 2010 서울과 역사 Vol.- No.76
근대 역사학에서 식민지 경험은 각종 현재적 문제를 풀어내는 요소를 제공하며 동시에 발전지상주의적 근대성론이 갖고 있는 정치적 목적지향론에 대한 객관적 시점을 제공한다. 동시에 지역의 다양성에 대한 역사적 경험에 대한 객관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전시는 미학, 흥미위주의 전시와 정보를 제공하는 전시 그리고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전시 등이 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정치적인 의도가 전제된 조직된 왜곡의 현장이었다. 특히 시종일관 관장을 겸임한 藤田亮策과 같이 철저하게 관변학자의 조직적인 지도와 지원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전시학적인 차원에서의 합리적인 전시는 오브제들 사이의 유사성과 유전학적 관계 보편성에 기초한 전시를 시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박물관 전시는 본질을 흐리는 전시로밖에 설명이 불가능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위치상으로 볼 때 국가 조선과 조선 황실의 권위를 의도적으로 축소하는 데서 출발했다. 황실을 전시공간으로 만들고 역사성이 일탈된 공예품적 관점의 전시를 의도한 것이 조선총독부박물관이었다. 실제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전시는 공진회의 미술관을 계승하면서 출발하여 의도된 공간이었다. 조선총독부라는 지배자의 의도가 반영된 전시는 왜곡된 고대사와 축소된 조선시대를 핵심적인 공간으로 했다. 이러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본관의 상설전시는 불교, 대외관계, 왜곡된 상징성에 주목하여 한민족 문화의 본질, 시민적 요구, 인간중심주의에 벗어난 식민지적 왜곡을 진행한 ‘식민지 근대’를 보여주는 공간이었다. 핵심적인 전시품은 역사, 문예, 종교, 미술, 공예품과 선사시대의 유물이었는데 비교 전시의 방법을 통해 중국과 인도 및 일본의 유물을 동시에 보여주면서 왜곡된 역사상을 만들어 냈다. 결국 조선총독부박물관의 건립으로 경복궁은 ‘12만여 평의 대박물관’이 되었다. 특히 용도가 바뀐 공진회 미술관을 활용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상설 전시는 전시 기법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적은 공간에 대량의 유물이 무매개적으로 전시되면서 시대별, 종류별, 나열식 비교전시를 했다. 아울러 전시실 구조와 채광, 조명 등의 시설도 절대 문제를 갖고 있었다. 특히 부수적인 전시 공간으로 경복궁 내의 근정전, 사정전, 수정전 등을 사용한 것은 박물관의 조건으로서는 왜곡된 시설의 본보기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 전시는 그 내용을 ‘식민 통치 정치’가 장악하여 타율성과 정체성, 일본 문화 중심적 관점의 심미안에 따른 불교 중심의 조선 문화를 강조하는 공간으로 전락했다. Colonial experiences in modern history provide elements solve present problems also provides objectification about political purposeful process that modern doctrine theory’s development for development’ sake included. At the same time, it requests objectification about diversity and historical experiences in region. Exhibitions are displaying esthetics, interests, information, and exhibition that shows ideas.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s the place where involved political purpose and manipulated distorted museum. In particular, this museum was supported and advised by thorough official scholar such as Fujida Ryosaku who had been director for a long time. Rational exhibition in academic could be explained as exhibition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similarities and genetics among objects. Exhibitions i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can only be expressed as losing essence. When seeing the loca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t started with intention reduce throne and royal authority. Japanese remodeled imperial rooms as exhibition space where displayed relics which lost historical meaning. Indeed, main building exhibi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the intended museum that inherit exhibition art gallery. Exhibition in the museum clearly presented ruler’s purpos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mainly about distorted ancient history and scaled chosun history down. Permanent exhibition in main building of museum took notice of Buddhism, international relations, and distorted symbols so that this was the place for showing distorted colonial era essence of Korean culture, demand as a citizen, anthropocentricism. Essential exhibits were the time of the prehistoric age such as history, religious, fine art, literature, handicrafts. Throughout compare with Chinese, Indian artifacts, Japanese made distorted history. To conclude, since the establishment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Kyung-bok palace became giant museum that involves 98 acre. Especially, there is an exhibit problem that permanent exhibition of main building untilized from art gallery. While many of relics displayed in limited space, they categorized with era, species. Also, structure of exhibition and lightning, skylight had problem as museum. In particular, using Keunjeong-jun, Sajeong-jun, and Sujeong-jun in Kyong-bok palace as displaying space was example of distorting facility and places. Followed exhibition i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ventually determined that Chosun culture as Buddhist in terms of Japanese aesthetic view by colonial ruling in Korea.
김인덕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4
공진회는 만들어진 공간이었다. 어떤 물품이 수집되고, 분류되며, 전시되었는가. 그리고 조선인은 여기에서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에 조선총독부는 주목하지 않았다. 그들이 보여주고 싶은 것은 따로 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왜곡된 식민지 조선 문화와 조선 통치의 성과였다. 공진회에는 조선 각처는 말할 것도 없고 일본과 중국 등지에서 온 관람객을 포함하여, 누계 116만여 명이 입장했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공간을 관람했는가는 조선총독부에게는 중요했다. 결국 관제 동원과 조직화된 행정 지원이 이를 위해 작용했던 것이다. 1915년의 공진회는 만들어진 홍보공간이었다. 빛나는 조선 문화 보다는 열등한 조선 문화, 제국에 눌린 조선의 왕권, 일본자본주의를 학습하는 장소였다. 이러한 공진회의 전시장은 총 제13부 이외에 7개의 특별관이 별도로 마련되었다. 문제는 공진회의 전시가 기본적으로 역사성과 문화성이 결여되었고, 동시에 비교 전시를 통해 현실의 정치와 문화를 상대화시켰으며, 종국적으로 조선총독부의 효율성을 과시하는 공간이 되어 ‘제국의 목적’에 충실했다는 점이다. 미술관의 전시는 미술관ㆍ미술 분관이 중심이었다. 여기에 미술과 고고자료가 전시되었다. 미술관 1층은 불교문화로 시작되었다. 역사성이 완전히 무시된 골동품으로 조선의 문화를 전시했다. 공진회가 열렸던 1915년 조선총독부는 ‘조선’ 역사의 설명은 전혀 의도하지 않았다. 미술관 2층은 불교문화의 진수로 대장경을 전시하고, 조선시대 회화를 통해 조선시대 문화를 규정하고자 했다. 그리고 미정리 상태의 활자와 각종 서적 등도 전시에 동원되었다. 물론 고적조사에 기초해 발견된 전국의 주요 대형 유물 등은 무의미하게 미술관 안과 밖으로 옮겨졌다. 이러한 공진회 때의 미술관인 석조 건물은 조선총독부 박물관의 본관이 되었다. 개관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은 박물관 건물로 지어진 것은 아니었다. 기능적으로 엄연히 미술관이었다. 이러한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전시는 1923년의 내용을 우선 확인할 수 있다. 1923년 전시는 공진회 때의 미술관 1층의 전시 내용은 경주 남산 약사불, 석굴암 부조, 각종 발굴품, 미술품 등이 부분적으로만 확인된다. 본관 2층의 전시는 공진회 때의 2층 동실의 조선 회화 중심, 2층 서실의 현대 회화 중심의 전시에 변화가 있었다. 변화의 핵심은 본관 1층 동실에 낙랑, 대방 등에서 발굴된 유물이 전시되었다는 것과 수정전 등에 중국에서 수집하여 온 유물들이 전시되고 있는 정도이다. 이상과 같이 공진회 미술관은 사후를 생각하고 건립 당시부터 조성되었다. 그러나 다른 공진회의 전시 공간과 외형적 차이는 있었으나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았다. 여기에 조선총독부는 무엇이 전시되는지가 중요하지 않았다. 따라서 유물의 역사성의 배제되었고 유물의 주인인 조선인은 철저하게 소외되었다. 이 가운데 본질은 왜곡되어 자연스럽게 일본적 심미안과 불교 중심적 문화재관이 그대로 적용되었다. 특히 여기에는 학문적 성과와 연구자들의 조선 현지 조사가 주요하게 작용했다. 소외된 조선인은 왜곡된 역사관을 전시를 통해 학습을 강요받았다. 이것이 조선총독부가 공진회 미술관에서 의도한 것이었다. 이것은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초기 전시로 그대로 이어졌고, 내용적으로는 세련되었다. 결론적으로 공진회가 조선인과 외국인에게 조선을 식민통치하는 합목적인... Competitive exhibition was manufactured space. Japanese General-Government did not only disdain on the species, classification, display of goods and articles but also what the Korean is in this particular place. They wanted to show people that distorted colonial culture of Korea and outcomes from ruling Korea. Over millions of people who included needless of all over Korea, Japan and China visited this exhibition. The numbers of visitor were extremely significant for Japanese General-Government. Therefore, manufactured mobilizing by government and systematized administrative support played key role of exhibition. Exhibition in 1915 was well-manufactured publicizing space. This was not the place study about splendid culture of Chosun dynasty but Chosun’s inferior quality, suppressed sovereign by imperialism, and Japanese capitalism. The problem was that exhibition was absence of historicity, cultural meanings at the same time, they relativized politic and culture through comparative exhibition. Eventually, this place devoted to Japanese general-government’s efficiency which was purpose of imperialism. Art gallery was mainly about gallery and annex. Fine arts and archeological materials were exhibited in this gallery. Japanese displayed chosun dynasty with antiques lack of historical meaning. At the time of 1915 when exhibition held, Japanese general-government didn’t intend to explain history of chosun. On the second floor,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placed as essence of Buddhist civilization and paintings of Chosun era which was their definition of chosun culture. Additionally, unclassified printings and many types of book were rallied. Of course that major relics from all over Korea based on studying historical remains moved pointlessly to in and out of gallery. All the artifacts in gallery were the symbol of Japanese general-government’s administrative power. Stone building, art gallery of competitive exhibition, became main building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hen they open the main building, this was not for the building for museum. Functionally, it was art gallery. This exhibition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museum could be certain in 1923. In 1923 exhibition, first floor was displayed by Bhaiṣajyaguru in Namsan, Kyung-ju and seokguram mural, excavation, art works. Change of second floor of main building of museum different with exhibition was that composed with east side-chosun paintings, west-side modern paintings. The core of alternation was that first floor east side exhibited by artifacts excavated and relics from China were displayed in Sujungjeon. Competitive exhibition art gallery was built with the idea of post-exhibition. It did not have many differences with other exhibition spaces but it was not fundamentally different.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idn’t pay attention to the relics that exhibited. Frequently, historical fact were excluded and the owner of these relic, Korean, were completely shunned. With that, Japanese esthetic senses and Buddhist standpoint of cultural assets were naturally applied with distorted essences. Alienated Chosun people were forced to study with distorted historical place. This is what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tended from exhibition gallery. This experiences and know-how were interacted with very first vers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lso sophisticated in contents. To conclude, like exhibition tried to get agreement from Korean (Chosun people) and foreigners with teleological reasons that their colonial ruling, exhibition art gallery was completely distorted. Simultaneously, Japanese industry was transplanting by exhibition art works and the purpose of spreading Japanese culture was realized by art gallery. Distorted historical place mainly about Japanese culture and accepting Japanese culture transplanting started since the competitive exhibition art gal...
1920년대 『朝鮮文 朝鮮』의 “副業” 기사에 나타난 조선총독부의 의도와 현실
정혜인 숭실대학교 역사문물연구소 2019 숭실사학 Vol.0 No.43
‘Joseonmoon-Joseon(『朝鮮文 朝鮮』)’ is one of the journals issu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re are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that revealed the ruling logic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signs of the times through articles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However, ‘Joseonmoon-Joseon’ is dealt with only peripherally and no full-scale research has been do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uling logic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its period through ‘Joseonmoon-Joseon’. The period was specified as the 1920’s. In the 1920s, a new media circumstances was form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so-called National papers, the Dong-A Ilbo and the Joseun Ilbo. In this conditio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promoted the policy and administr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rough its publication ‘Joseonmoon-Joseon’, which was published as a mixed style of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The Japanese Empire established a plan to increase the number of rice. Because of this the single-crop farming system was strengthened in the Joseon agricultural industry, focusing on rice. Also the rural economy has become more vulnerable.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encouraged farmers to do sideline to stimulate the economy and promoted it through ‘Joseonmoon-Joseon’ Therefore, I reviewed articles on sideline work in the 1920’s ‘Joseonmoon-Joseon’. The sideline article was mainly composed of encouraging sideline, the status of sideline in each province of Joseon, the prospect of sideline business, and Joseon Sideline-products Exhibition. In particular, articles related to the Joseon Sideline-products Exhibition, which was held in October 1923, were mass-produced. All the reviews of Joseon Sideline-products Exhibition were written by Korean and this was defined by the inten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reasons for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s promotion of sidelines were improving the economy of farmers, promoting rural areas, and improving local economy, but the rural reality of Joseon could not be improved because sidelines were not the primary solution. In addition to encouraging sideline, the sideline articles were also aimed at identifying the status of industries in various parts of the Joseon.
조선인 노동자의 일본 도항정책을 둘러싼 내무성과 조선총독부의 ‘갈등’
이승희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일본학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aspects of conflict between Japanese Home Ministry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bout planning and implementing policy for Korean laborers’ voyage to Japan. By that, this study aims to draw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arties’ positions regarding the matter of Koreans living in Japan.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ill the early 1920’s, Korean laborers' voyage to Japan was not controlled directly by Japanese Home Ministry except for the period of the 3.1 Movement. With the influence of after-war recession deepened from the 1920’s, however, unemployment crisis got severer. Consequently, in May, 1923, discussing with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Home Ministry issued ‘On-order Notification about the Recruitment of Korean Laborers’ to all the subordinate offices in Japan and controlled Korean laborers’ inflow into Japan. After that, the Home Ministry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aintained a cooperation system to control Koreans’ voyage to Japan through mutual discussion. Meanwhile, a gap began to be created gradually around 1930 between the position of the Home Ministry that had controlled Korean laborers’ voyage to Japan unilaterally from the 1920’s due to Japan’s domestic needs for ‘security maintenance’ and ‘economic circumstances’ and tha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hich had to rule Koreans directly softening their dissatisfaction being piled up. In December, 1929, Chosun governor Makoto Saitō sent opposing opinion to the Home Ministry complaining its excessive policy to control Korean laborers’ voyage to Japan. Setting forth the point that Chosun was not a foreign country to Japan juridically, so there was no ‘legal ground’ to forbid Koreans, the subjects, from moving into the empire, Saitō criticized it saying it was ‘too absurd’ to make a move to stop Koreans’ voyage to Japan in the name of ‘resolving the problem of unemployment’ and it should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rule over Chosun, too. The Home Ministry, however, was unwilling to accept that, and the control did not get relaxed. In March, 1938, Chosun governor Jirō Minami criticized the policy to control Koreans’ voyage to Japan asking with six articles for improving the conditions of Korean laborers sailing for Japan and also Koreans living in Japan. About only three articles, half of them, the Home Ministry expressed its positive position partly. The Home Ministry adhered to its position that the measure to limit Korean laborers’ voyage to Japan was basically a matter of policy and not an absolute thing attributed to legal grounds. Despite the continuous request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r refraining, the Home Ministry stressed ‘security maintenance’ and ‘economic conditions’ and increased the rate of repatriating Korean passengers coercively up to 90% or so in 1939. The Home Ministry’s policy of controlling Koreans’ voyage to Japan continued until the collaps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in a dilemma as it was basically in the position to promote the policies of ‘Harmony between Japan and Chosun’ and ‘Japanization’ but had to maintain the system to cooperate with the Home Ministry’s discriminative policy for controlling Koreans’ voyage fundamentally which was contrary to the former. 본고의 목적은 조선인 노동자의 일본 도항정책의 입안과 실행을 둘러싼 일본 내무성과 조선총독부 간의 갈등 양상을 재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재일조선인 문제를 둘러싼 양자의 입장 차이를 도출하고자 한다. 한일합방 이후 1920년대 초까지는 조선인 노동자의 일본 도항은 3.1운동 시기를 제외하고 일본 내무성에 의해 직접적으로 규제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1920년대부터 심화된 전후 불황의 영향으로 취업난이 증가하자, 1923년 5월 내무성은 조선총독부와 협의하여 일본 전국의 각 하부기관에 「조선인 노동자 모집에 관한 의명 통첩」을 하달하고 조선인 노동자의 일본 유입을 규제하였다. 이후 내무성과 조선총독부는 상호 협의를 통해 조선인의 일본 도항을 규제하는 공조체제를 유지해 나간다. 하지만 일본 국내의 ‘치안유지’와 ‘경제 상황’을 이유로 1920년대부터 일방적으로 조선인 노동자의 일본 도항을 규제해온 내무성의 입장과, 조선인들의 축적된 불만을 직접 누그러뜨리며 통치해야 하는 조선총독부의 입장 사이에 1930년을 전후해 점차 괴리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1929년 12월 ‘내선융화’를 내세우던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는 지나친 조선인 노동자의 일본 도항 규제 방침에 불만을 갖고 내무성에 반대 의견을 보냈다. 사이토는 법리적으로 조선은 일본의 외국이 아니기 때문에 신민인 조선인의 제국 내 이동을 금지할 ‘법적 근거’가 없다는 점을 내세워, ‘실업 문제 완화’를 구실로 조선인의 일본 도항을 저지시키는 조치는 ‘매우 불합리’하고 조선 통치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고 비난하였다. 하지만 내무성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아 규제는 완화되지 않았다. 1938년 3월에는 ‘내선일체’를 표방하던 조선총독 미나미 지로가 조선인에 대한 일본 도항 규제 정책을 비판하며 일본에 도항하는 조선인 노동자 및 재일조선인에 대한 처우를 개선해 줄 것을 6개 항목에 걸쳐 요청하였다. 내무성은 이중 절반인 3개 항목에 대해서만 일정부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입장을 나타냈다. 내무성은 조선인 노동자의 일본 도항 제한 조치가 기본적으로 정책적인 문제로 법적 근거에 기인한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었다. 조선총독부의 지속적인 자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내무성은 ‘치안유지’와 ‘경제 상황’을 우선하면서 조선인 도항자에 대한 강제송환률을 높여나가 1939년에는 90%대까지 끌어올렸다. 내무성의 이러한 조선인 일본 도항 규제 정책은 패망 때까지 지속되었다. 조선총독부는 기본적으로는 ‘내선융화’, ‘황민화’ 정책을 추진하여 조선인을 ‘동화’시키고 ‘보호’해야 하는 입장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반하는 내무성의 ‘차별’적이고 ‘배제’를 내세우는 조선인 도항 규제 정책에 기본적으로 협력하는 체제를 유지해야 하는 딜레마에 빠져 있었던 것이다.
김인덕(Kim In duck)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1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1 No.2
1915년의 공진회는 만들어진 홍보공간이었다. 빛나는 조선 문화 보다는 열등한 조선 문화, 제국에 눌린 조선의 왕권, 일본자본주의를 학습하는 장소였다. 문제는 공진회의 전시가 기본적으로 역사성과 문화성이 결여되었고, 동시에 비교 전시를 통해 현실의 정치와 문화를 상대화시켰으며, 종국적으로 조선총독부의 효율성을 과시하는 공간이 되어 제국의 ‘목적’에 충실했다는 점이다. 공진회 때의 미술관인 석조 건물은 조선총독부박물관의 본관이 되었다. 개관한 조선총독부박물관 본관은 박물관 건물로 지어진 것은 아니었다. 기능적으로 미술관이었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의 1920년대 전시는 1923년의 내용을 우선 확인할 수 있다. 1923년 전시는 공진회 때의 미술관 1층의 전시 내용, 즉 중앙 홀의 경주 남산 약사불, 석굴암 부조 등과 동실의 고기물, 서실의 각종 미술품 등이 부분적으로만 확인된다. 본관 2층의 전시는 공진회 때의 2층 동실의 조선 회화 중심, 2층 서실의 현대 회화 중심의 전시에 변화가 있었다. 변화의 핵심은 본관 1층 동실에 낙랑, 대방 등에서 발굴된 유물이 전시되었다는 것과 수정전 등에 중국 신강성에서 수집하여 온 유물들이 전시되고 있는 사실 정도이다. 본격적인 조선총독부박물관 전시실의 구성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시기는 1926년으로 보인다. 1926년의 전시는 큰 변화가 있다고 할 수 없지만 유물의 시대순 정리와 분류가 분명해졌다. 1930년대의 전시는 1933년과 1936년의 전시 내용을 통해 확인되는데, 1933년의 전시는 기본적으로 1920년대의 공간 구분의 큰 틀은 그대로 유지했으나, 진열장 내부의 전시 유물이 변했다. 특히 1936년 본관 상설 1층 전시는 진전된 연구가 보인다. 아울러 기초한 진열장과 전시 유물의 순서 변화도 보인다. 이상과 같이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전시를 볼 때는 공진회 미술관과 큰 차이가 없었다. 동선도 기본적으로 변화가 없어 건춘문을 지나 본관을 구경하고 사정전, 수정전, 경회루를 지나 탑들을 관람하고 박물관 사무실이 있던 자경전 앞을 지나 다시 본관으로 돌아가는 방식이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 전시의 내용은 부분적으로 개편된 것은 사실이다. 특히 1층 중앙 홀의 진열장의 순서와 벽면을 이용하는 전시 방식의 개편은 확인하는데 어렵지 않다. 그리고 2층 회랑 전시의 경우도 독립장의 수치가 변화되었고, 제6실의 경우는 독립장의 사용방식을 바꾸어 내부에 가림판을 넣어서 활용하다가 통장의 형태로 전열장을 사용했다. 특히 1930년대로 가면 학술 조사의 진전과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고분 발굴품의 전시가 보다 정연해지는 모습도 보인다. 이러한 전시의 변화는 선수유물이 조선총독부박물관에 들어가면서 부득이 하게 진행되거나 아니면 조선총독부박물관의 전체 전시의 부분적인 개편 의도가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역사적 진열법’에 의거하고 각 시대의 특질을 보여 주어 ‘문화 발달’의 단계를 인지하는데 편리한 ‘특수 진열법’을 병용하고 있었다. 실제로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식민통치를 위해 존재했기 때문에 이러한 논리는 전시 의도를 통해서도 그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Competitive exhibition in 1915 was formed promoting space where educate interior Chosun culture, oppressed Chosun dynasty, Japanese imperialism rather than excellent Chosun cutlture. The problem was that exhibition was lack of historical and cultural orientation. At the same time, throughout comparative exhibition, which relativizing actual politics and culture. Frequently, exhibition showed the efficiency of the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which was purpose of Japanese imperialism. Museum of art in 1915 competitive exhibition made of stone became main building for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Primary opened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was not originally built for museum but technically art gallery.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s exhibition in 1920s was begun from 1923 display. 1923 display involved 1<SUP>st</SUP>floor in museum of art in 1915 competitive exhibition which was Bhaisajyaguru in Namsan, Kyong-ju and carved part of Seokguram. Second floor of main building was displayed with east side of 1915 competitive exhibition paintings of Chosun, west side filled with modem paintings. The major transition was that east side of main building exhibited by relics from Nangnang, Daebang and artifacts from in Xinjiang, China. Earnest period when are able to figure the display of exhibition is 1926. This is the moment that they classified relics in periodic. Exhibitions in 1930s can be verified by 1933 and 1936’s exhibition. Basically, 1933 was kept 1920s’ space but relics been replaced. In particular, 1936s’ permanent exhibition of main building progressed with display case and formalities. With this, there were no especial changes between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and museum art of competitive exhibition. Also, visitor’s movement was fundamentally same as before; starting from Kunchunmoon and see main building, followed by Sajungjun, Sujungjun, Gyeonghoeru pavilion with pagodas, back to main building in the end. It is true that they reorganized from 1920s. Particularly, orders of display case in main hall on first floor and using the surface of wall were clearly showed their reforming. In add, second floor exhibition differed with the numbers of individual cases. In the case of 6<SUP>th</SUP>room, they utilized whole case which was alternation from previous exhibition using splashback. As time went to 1930s, display of excavations from ancient tomb well-ordered in terms of researches, scientific investigation. These types of transition in exhibition indicate either inevitable effect of new relics or reforming intention of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based on historical display principle and showed characters of each period so that using Special display principle jointly which was likely to understand cultural progression. Literally, museum of Japanese government of general of Korea was built for ruling colonies. In result, this logic clearly can be comprehended by intention of exhibition.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뽕나무 재배정책과 조선인의 대응
김란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6
본고는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뽕나무 재배정책에서 발생된 강제 배부의 문제와 조선인의 대응을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연구에서 주목하지 못하였던 1910년대 개량종 뽕나무 재배정책의 원인과 3·1운동 시기 뽕나 무 재배정책에 대한 조선농민의 불만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개량종 뽕 나무 배부 및 재배의 문제점과 조선농민이 3·1운동에 참여하는 다양한 계 기를 밝혔다. 개항 후 조선은 잠업이 단순한 농업이 아니라 제사-견직업으로 연결될수 있는 산업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대한제국은 양잠진흥 정책을 실시하였지만, 1906년 통감부가 설치되면서 양잠진흥정책은 제 대로 시행되지 못하였다. 병합 후 조선총독부는 조선을 일본 내 부족한 식량과 자본주의 발전을 위한 보충지로 개편하는 정책을 시행하였다. 조 선총독부는 일본 개량종 이식 품종으로 미작·면작·잠업·축우를 선정하였 다. 이 중 잠업이 선정된 것은 잠업을 통해 생산되는 고치가 일본의 공업 화를 장기간 지원하는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다. 잠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누에의 먹이인 뽕나무가 확보되어야 했다. 뽕나무는 잠업과 제사업의 가장 기본원료이다. 조선총독부는 잠업을 장려하기 위해 조선농가에 개량종 뽕나무를 배부하여 재배하게 하였다. 조 선총독부는 개량종 뽕나무를 각종 지원금을 통해 조선농촌에 빠르게 배 부하였다. 그 결과 개량종 뽕밭이 증가하였고, 이는 개량종 누에고치 생 산량의 증대로 이어졌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재래 양잠 지역에도 강압 적으로 개량종 뽕나무를 재배하게 하였고, 재래 뽕나무와 누에고치를 불 태웠다. 개량종 뽕나무는 조선기후에 맞지 않은 경우가 있었고, 재래종에 비해 관리법이 어려워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였다. 또한 개량종 뽕나무는 조 선농민의 식재 여부와 관계없이 매년 강제 배부되었다. 행정기관은 강제 배부된 개량종 뽕나무에 대금을 청구하여 조선농민들의 불만은 쌓여가 고 있었다. 1910년대 조선총독부의 뽕나무 재배정책에 대한 조선농민의 불만은 3·1운동이 일어나자 표출되었다. 3·1운동 시기 조선농민의 뽕나무에 대 한 불만은 거의 전국적으로 나타났다. 조선농민들은 뽕나무 묘목을 불태 워 군중을 선동하거나 배부된 뽕나무를 면장에 집에 버리는 등 조선총독 부의 뽕나무 배부 정책에 대해 직접적으로 불만을 터트렸다. 이는 1910 년대 뽕나무 배부로 시작한 양잠의 장려 정책이 조선 농촌의 상황을 제대 로 파악하지 않은 채 일본 원료 공급만을 위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조선총독부는 3·1운동으로 혼란한 시기인 1919년 4월 24일에 ‘조선잠업령’을 내려 뽕나무 생산과 잠종제조의 매매를 감독·단속하였다. 이는 일본 제사 자본이 조선에 진출할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한편 1920년대가 되면서 잠업을 장려하는 지역에서는 1910년대와 같이 뽕나 무를 강제 배부하고 대금을 청구하였다. 그러자 조선 농민들은 뽕나무 배 부 및 재배에 대한 부당함을 신문에 기고하거나 군에 고발서를 제출하여 직접적으로 비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ercive distribution problem which took place during the mulberry planting policy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1910s and the response by the Joseon people.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cause behind the enforcement of mulberry planting policy in the 1910s and the Joseon farmers' complaints toward the policy during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had not drawn attention in previous studies. This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s in distributing and planting improved mulberries and a variety of motivations for participating in the movement. After opening to foreign trade, Joseon perceived sericulture not as a mere agricultural industry but an industry which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ilk-reeling and silk goods industry. According to this objective, the Korean Empire implemented the sericulture promotion policy but it was not properly conducted because of policies of the Residency-General established in 1906. After the forced annexation in 1910,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arried out several policies to reform Joseon as a base of food supplies and accumulation of capital for Japanese empire[Japa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esignated crops like rice, cotton, sericulture, and cattle as items to be replaced with improved ones from Japan. Among them, sericulture was selected because cocoons played the role of supporting Japan's industrialization for a long time. Mulberries, which silkworms lived on, had to be secured to implement sericulture. Mulberries are the base material of sericulture and the silk-reeling industr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rdered Joseon farms to cultivate improved mulberrie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wiftly distributed improved breed mulberries to Joseon farms through all sorts of support funds. As a result, improved mulberry fields increased, leading to the increase of improved breed silkworm production. Howev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rced improved mulberry planting on farmers of conventional sericulture, burning indigenous mulberries and silkworms. Improved mulberries were not only unsuitable for the climate of Joseon, but also requiring more hours and labor to manage than conventional ones. Nevertheless, improved mulberries were forcibly distributed every year without consideration for Joseon farmer's mind about the planting. In addition, administrative agencies charged price for the mulberries, aggravating discontents among the Joseon farmers. The Joseon farmers' discontents at the mulberry planting policy was expressed with the beginning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movement, the complaints appeared in almost every region of the country. Joseon farmers directly expressed complaints about the mulberry distribution policy by inciting crowds to burn the mulberries and dump them at the front of house of village head. It meant that the sericulture improvement policy beginning with mulberry distribution in the 1910s was implemented for Japanese raw material supply without proper understanding of Joseon's agricultural situation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ssued 'Choson Silk Raising Farm Law(朝鮮蠶業令)' on 24 April 1919, even during a turbulent time since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superintending mulber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cracking down on illegal trade of silkworm. It was intended to establish the framework for Japanese silk-reeling capital to invade Joseon. After that time, in the 1920s, the authorities only distributed mulberries and charged the price to farmers who live in certain encouraged regions to engage in sericulture. Consequently, it made the farmers take collective actions, such as to announce the injustices of the mulberry distribution in newspapers or to file an complaint with the persons responsible for the work.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유교 윤리 소환과 경제 갱생 프로젝트 - 익산문묘(益山文廟)를 중심으로 -
설주희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0 南道文化硏究 Vol.0 No.41
1920년대부터 연달아 발생한 공황으로 1930년 일본 경제는 만성적 위축 상황에 직면하였다. 조선총독부는 경제를 활성 시킬 방안으로 농가가 자체적으로 경제 갱생을 도모하는 ‘농가경제갱생계획’ 즉, 농촌진흥운동을 수립·시행하였다. 농촌진흥운동은 농 가 경제를 갱생시켜 국가적 궁핍을 해결하는데 목적을 두었지만 영농 관련 기술의 보급 이 아닌 농민의 ‘정신’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조선총독부가 농가에 보급하고자 한 정신은 ‘숭고한 희생적 봉공심(奉公心)’과 ‘자기를 바치는 노력’이었다. 1932년 조선총독부는 이 ‘숭고한 정신’을 유도하기 위해 조선 사회에서 통용되던 향약 덕목인 ‘덕업상권(德業相勸), 과실상규(過失相規), 예속상교(禮俗相交), 환난상휼 (患難相恤)’에 주목하였다. 향약의 특성상 경제적 자립 문제뿐만 아니라, 지역 민심을 지배 정책에 알맞게 ‘교화(敎化)’하고 민풍을 ‘개선’할 수 있는 덕목이라 판단하였기 때문 이다. 1933년 학무국장은 모든 향약 단체에 기본 덕목인 덕업상권, 과실상규, 예속상교, 환난상휼 외에 ‘생활개선(生活改善)’과 ‘산업장려(産業獎勵)’라는 두 개의 조목을 추가 하도록 하였다. 조선총독부가 추가적으로 지시한 ‘생활개선(生活改善)’과 ‘산업장려(産業獎勵)’는 자 력(自力)에 의한 생산성 고양으로 경제 갱생을 도모하는 농촌진흥운동의 목적과 맞닿아 있다. 조선총독부는 촌락 사회의 구성원인 개인의 생활을 향약 규약으로 통제하여, 개인 에게 적극적인 경제 활동의 수행을 종용하고 이로써 ‘봉공(奉公)’을 유도하였다. 결국 일제강점기 향약은 지역공동체 구성원에게 식민지배 정책에 적합한 생활방식을 강권하 기 위해 마련된 ‘선택된 전통’이자, 변형되어 ‘소환된 전통’이었다. 조선총독부의 장려에 따라 1935년 1월 익산문묘(益山文廟)에 향약이 신설되었다. 외피는 지역공동체의 형식을 띠었지만 식민 행정 권력에 의해 배태된 익산문묘 향약은 활동 측면에서 관변적 성격을 보였다. 조선총독부는 향약이 지닌 재산 또는 향약 구성원 이 지닌 재산을 식민통치에 흡수하려는 ‘물질적 동원’과 향약 구성원의 신체를 식민지배 체제에 적용시키는 ‘인적 동원’ 두 가지를 목적으로 설정하고 향약을 동원하였다. The economy of Japanese imperialism shrank in 1930 due to the economic depression that continued from 1920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stablished and implemented the policy, where villages independently rehabilitated economy, in order to revitalize the economy of the Colonial Joseon. This was the so-called ‘Rural Development Movement.’ This policy aimed to solve country’s poverty through the revival of rural economy. However, it focused on changing farmers’ ‘thoughts’ rather than spreading farming techniques. It attempted to execute the colonial policy smoothly by assimilating farmer’s thoughts to colonialism. The spirit that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spread to villages was the ‘spirit of sacrifice that even sacrifices one’s life for the country.’ At this time, sacrifice was promoted as a noble image. In 1932,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rought back and implemented Hyangyak(鄕約) that had been commonly used in pre-modern Joseon society in order to encourage spirit of sacrifice in people. Due to the nature of Hyangyak, it was socially appropriate to promote the good, be aware of the bad, and help the ones in need. Therefor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elieved that Hyangyak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economic revival and dominating public sentiment. Hyangyak that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mplemented was added with the additional goals, ‘industrial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lif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Hyangyak. In accordance with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encouragement of Hyangyak, Hyangyak was newly established in Iksanhyanggyo Confucian School in January 1935. On the outside, it was in the form of a community but, in fact, was an official organization created and encouraged to be implemented by the administration of imperialism. Therefore, this Hyangyak focused on spreading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s ruling policies to villages rather than ethical reformation of local residents.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bsorbed the asset owned by Hyangyak and individual asset of the members of Hyangyak as colonial funds. Also, it attempted to convert the ideology of individual members of Hyangyak to pro-colonialism through continuous lectures. Since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he activities of Hyangyak changed. It was to change the mass of Colonial Joseon accordingly to wartime conditions. Therefore, it began promoting conscription system, pressing for wartime money, encouraging the production of war supplies, and saving war supply consumption. Since 1940s when the economy deteriorated even further,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considered that economy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outcome of war, and emphasized labor to increase productivity of the country.
일제강점기 교파신도의 조선포교 양상 연구―『조선총독부관보』(1911-1945) 기록을 중심으로―
권동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2 민족문화연구 Vol.95 No.-
This thesis generally arranged the current status of distribution by region and period regarding aspects that ‘Sectarian Shinto’ among Japanese religions was introduced into modern Korean society and developed the propagation in it by focusing on “The Official Gazette”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agation of each sect of Sectarian Shinto in ‘Korea’ based on this. The current studies on Japanese religion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generally stay at general ones. But studies on Sectarian Shinto exposes the errors and limitations as the baseline data have not properly been analyzed. So, the study is meaningful as the basic study for deepening Sectarian Shinto and Japanese religious studi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refore, the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by sect of Sectarian Shinto by compiling a chart about their aspects of distribution by period and region and then gave shape to their aspects of the propagation by classifying them into one another. The points which are clearly unveil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Sectarian Shinto’s propagation did not penetrate deeper into each area in Korea than thought. Second, the existing argument that most of Sectarian Shinto propagated religion targeting Japanese people who lived in Korea could again be found. Third, the comprehensive review of “Statistical Yearbook of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e Documents Binding Book about Religion”, “The Lists of Religions and Events in Korea”, the records of other government offices, the materials in the order, and the news articles with “The Official Gazette” as the center could be found to have the possibility of outline details of the propagation of Japanese religions in Korea in the Japanese colony era. 본고는 일본계 종교 가운데 ‘교파신도’가 근대 한국사회에 유입되고 포교를 전개했던 양상에 대해 『조선총독부관보』를 중심으로 지역별, 시기별 분포의 현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교파신도 각 교파의 ‘조선포교’가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일제강점기 일본계 종교에 관한 연구는 대체로 개괄적인 연구에 머물러 있는데, 그 가운데 교파신도 관련 연구는 기초자료의 분석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여 오류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파신도의 시기별⋅지역별 분포 양상을 도표로 제작하여 각 교파별 특징을 살펴본 후, 이들의 포교 양상을 구체화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드러난 점은 첫째 교파신도의 조선포교가 생각보다 조선 내 각 지역으로 깊이 침투해 들어가지 못했다는 점이며, 둘째 교파신도 조선포교의 대부분은 조선 거주 일본인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는 『조선총독부관보』를 중심에 두고 『조선총독부통계연보』, 『종교에 관한 잡건철』, 『조선(朝鮮)에 있어서 종교 및 향사일람(享祀一覧)』과 기타 관공서의 기록, 교단 내 자료, 언론기사 등을 종합 검토함으로써 일제강점기 일본계 종교의 조선포교 양상에 대한 윤곽을 그려갈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박물관 전시를 활용한 통치의 장으로서 식민지 시기 경복궁 개방 공간의 재편 과정
전가람(Jeon, Ka Ram),성종상(Sung, Jong Sang)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21 서울학연구 Vol.- No.84
본 연구는 식민지 시기 경복궁 개방의 주된 프로그램 요소로서 박물관과 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전시가 궁궐의 개방이라는 문제에서 어떠한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경복궁을 개방하고 그 프로그램으로 박물관을 도입하는 구상은 사실상 1910년대 당시 조선총독부 청사 건립 계획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당시 박물관 설치 구상은 경복궁 궁역의 재편이 조선총독부에 의해 배타적·폐쇄적으로 점유되는 형태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으로나마 식민지 사회에 대한 개방을 염두에 둔 것이었을 가능성을 내포한다. 경복궁 내에 박물관이 설치된 최초의 사례는, 1915년에 개관한 조선총독부 박물관이다. 개관 초기(1915~1921 추정)에는 조선총독부가 확보한 유물을 전시하는 동시에, 조선물산공진회의 전시 공간을 재활용·재편한 심세관과 교통관이 박물관 전시를 구성했다. 이는 식민지 초기 식산흥업 정책과 관련이 있는 구성으로 보인다. 이후 1921년 및 1926년의 전시 개편을 거치며 조선총독부 박물관의 전시내용은, 식민 주체의 역사 인식을 유물 전시를 표상하는 것에 집중되었다. 이후 1935년에는 시정 25년 기념 종합박물관 계획이 수립되어, 조선총독부 박물관과 남산의 과학관을 통합 이전한 형태의 미술 박물관 및 과학 박물관과 자원관이 계획되고, 추후 조선총독부 미술관의 건립도 추진된다. 이와 같은 계획은 1930년대 조선총독부의 문화 및 식산흥업 정책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종합박물관 계획에서 실제로 완성된 것은 조선총독부 미술관이 유일하며, 과학 박물관은 전시체제기의 정책적 필요성에 의해 공사가 추진되었으나 해방을 거치며 미완성에 그친다. 상기한 논의를 통해 식민지 시기 박물관 전시를 활용한 경복궁 개방에 대한 두 가지 해석을 제시하였다: 먼저 식민지 시기 박물관과 그 전시를 통한 경복궁의 개방은 조선총독부의 제국주의적 가치관 및 정책적 변화와 밀접하게 연동되어 변화해온 통치의 수단으로서 그 성격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식민지 시기 박물관을 활용한 경복궁 개방은, 해방 이후의 경복궁의 활용 방식에 있어 부분적으로나마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opening of the Gyeongbokgung Palac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erms of the opening of the museum and its space. The idea of opening the Gyeongbokgung Palace and introducing the museum through its program can actually be traced back to the plan to build the building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the 1910s. At that time, the idea of the museum was not only in the form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Gyeongbokgung Palace being exclusively and clos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ut also implied that it was partly intended to open up the colonial society. The first case in which a museum was established inside the Gyeongbokgung Palace was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hich opened in 1915. In the early days of its opening(1915-1921 estimation), the museum was exhibited by the Hall of Current Conditions and the Hall of Transportation, which recycled and reorganized the exhibition space of the Joseon Industrial Expo(1915). This seems to be a composition related to the early colonial policy of food production. After the reorganization of the exhibition in 1921 and 1926, the contents of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focused on representing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colonial subjects. In 1935, the plan of the general museum for the 25th anniversary of rule was established, and the history museum, resource museum, and science museum were also designed, with the plan of moving and integration of the Museum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Namsan Science Museum. And in addition to these plans, the plan of the Museum of Art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was set up. Such plans can be interpreted as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and colonial industry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the 1930s. However, the only museum that was actually completed in the general museum plan was the Museum of Arts of Korean Government General, and the science museum was constructed due to the policy needs of the wartime regime but was not completed until the liberation(1945). As results of this study, Two interpretations of the opening of the Gyeongbokgung Palace using the museum’s exhibi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presented: the museum and its exhibition were closely linked to the imperial values and policy changes of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In addition, the opening of the Gyeongbokgung Palace using the museum during the colonial period is likely to be a preliminary form of the use of the Gyeongbokgung Palace after the liberation.
서경순 부경역사연구소 2024 지역과 역사 Vol.- No.55
본고에서는 조선총독부 수산시험기관과 일제의 수산시험기관의 운영체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두 수산시험기관은 한국과 일본의 중앙기관이었으며, 일제의 수산진흥사업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일본은 1873년 빈 만국박람회에 최초로 공식 참가하여, 견학을 통하여 수산 이익이 국가 재원이 된다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수산진흥정책을 실시하였다. 1881년 농상무성 농무국 수산과(이후 수산국)를 설치하였으며, 1882년 민간에서도 대일본수산회라는 수산단체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1889년에는 일본 최초의 수산교육기관인 수산전습소를 개소하여 수산 인력을 양성하는 등 행정·사회·교육의 네트워크를 형성해서 수산진흥사업을 이끌었다. 1897년 원양어업장려법이 공포되어, 농상무성은 원양어업 인력양성을 위하여 대일본수산회의 수산전습소를 폐소, 인수하고 관영 수산강습소를 설립하여 원양어업과를 비롯한 신설 학과를 증설하였다. 수산강습소에는 교육 공간인 전습부와 농상무성의 수산시험조사 공간인 시험부를 두었는데 이곳이 중앙수산시험기관의 초석이 되었다. 시험부를 설치한 이듬해(1898년)에는 각 지방에도 부현 수산강습소와 수산시험장을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여, 수산시험조사 업무를 중앙과 지방으로 이원화하였다. 일제는 1921년 식민지 한국에도 조선총독부 수산시험장을 설치하였다. 조선총독부의 모든 업무는 일본과 연동되어 운영되었으므로 수산시험장 설치는 일본 내각총리대신의 전결에 의해 확정되었다. 이 사실은 조선총독부 수산시험장의 업무가 일본의 수산시험기관과 연동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선총독부 수산시험장은 한국에서는 중앙기관의 역할을 하지만 일본 시험기관과 연동하면 부현 수산시험장과 같은 지방기관에 해당하였다. In this study, the operation system of the Japanese fisheries testing agency a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 Fishery Experimental Station was reviewed. The two fisheries testing institutions are central agencies of Japan and Korea and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Japanese Fishery Development Project. Japan first officially participated in the Vienna World Expo in 1873 and promoted the Fishery Development Project when it obtained the fact that the value of fisheries became state funds through field trips. The Fisheries Division of the Agricultural and Commerce Bureau was established in 1881, and the private sector also formed a fishery organization called the Japan Fishery Association in 1882. In 1889, the Japan Fishery Association opened the Fishery Training School to train fisheries personnel, forming a network in administration, society, and education, and led the Fishery Development Project to national projects. When the Ocean Fisheries Promotion Act was promulgated in 1897,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Commerce closed the Fishery Training School established by the Japan Fisheries Association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necessary for deep-sea fishing, acquired it, established the National Fishery Education School, and significantly expanded new departments, including the Department of Ocean Fisheries. In addition to the education center, which is an educational space for students, an examination department was established at the National Fishery Education School, which became the cornerstone of the Central Fisheries Testing Agency. The following year (1898), the establishment of the Fishery Education School and the Fishery Testing Laboratory was also mandatory in each region, and the fishery test and investigation work was divided into the central and local region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 Fishery Experimental Station was established in 1921. As all the busines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was linked with Japan, the establishment of the Fishery Experimental Station had to be approved by the Japanese Prime Minister first. This means that the busines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 Fishery Experimental Station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 Japanese fishery testing agenc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 Fishery Experimental Station served as a central institution in Korea, but was a local institution such as the Fishery Experimental Station in Japan when linked with the Japanese operat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