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전반 재일유학생의 민족운동-在東京朝鮮留學生親睦會를 중심으로

        小野容照 숭실사학회 2011 숭실사학 Vol.0 No.27

        1910년대 전반 재일유학생의 민족운동 -在東京朝鮮留學生親睦會를 중심으로- 小野容照 이 글의 목적은 재일유학생 단체인 在東京朝鮮留學生親睦會의 조직과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식민지기에 들어서 재일유학생 민족운동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살펴보는 데에 있다. 식민지기 재일유학생 단체로는 1912년 10월에 설립된 在東京朝鮮留學生學友會가 잘 알려져 있지만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는 학우회에 앞서서 1911년 5월에 설립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단체는 학우회의 모체가 되기도 했다. 그러므로 친목회의 설립과 해산 과정은 1910년대 재일유학생 민족운동의 시발점으로서 상당히 중요하다.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의 조직을 주도한 것은 1909년에 설립된 大韓興學會에서 간부로 활동한 유학생들이었다. ‘한일병합’으로 인해 대한흥학회의 해산을 겪은 그들은 조금씩 유학생 친목 모임 규모를 확장하면서 1911년 5월에 유학생전체 친목기관으로서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를 조직했다. 그러나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는 설립된 지 불과 9개월 만에 해산되었다.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가 기관지 『學界報』를 발행하려고 한 것을 경계한 일제가 조선유학생감독부를 통해서 해산을 명령했기 때문이었다.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는 조선유학생감독부를 활동거점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산 명령을 따르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므로 『學界報』가 창간호를 발행한 1912년 4월에는 이미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는 해산된 상태였다. 이후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의 간부들을 중심으로 다시 학우회가 설립되었다. 이 때 그들은 재동경조선유학생친목회의 해산을 교훈으로 삼아 조선유학생감독부와 거리를 두면서 학우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또한 조선유학생감독부를 대신할 활동거점을 확보하기 위해 학우회는 在東京朝鮮基督靑年會와 협력관계를 맺게 되었다. 그 결과 학우회는 1931년까지 존속될 수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재일유학생들은 기관지 『학지광』을 비롯해 다양한 출판물을 발행하는 등의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재일유학생은 언론의 자유가 거의 없었던 1910년대 조선 내의 지식인들의 취약점을 보완하는 존재로서 민족운동을 전개할 수 있었다. The National Movement of the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in the early 1910’s - in the case of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Ono Yasuteru This paper aimed to explain how the national movement of Koreans oversea students was started through analyzing the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of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the communi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A Korean oversea Students’ Association in Tokyo, established in October 1912, is well known, but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was the parent of A Korean oversea Students’ Association in Tokyo as well as founding earlier in May 1911 than that. Thus, the progresses of establishment and dissolution of the Amity Society are very important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national movement of Koreans oversea students in 1910’s. It was the executive students in Daehanheunghakwhoi, which founded in 1909, that took lead the organization of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They, dispersed by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organized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as get-together of the whole oversea students in May 1911, expanding gradually the scale of friendship communities. However, in only 9 month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broke up since the society was established. Because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sought to publish the organ of 『Hakgyebo』, Japanese Imperialism kept strict watch their activities and ordered to break up the society through the Superintendent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had nothing to do but obey a order since it based of the Superintendent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Therefor,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already broke up when they published their first issue in April 1912. After that time, a students’ association was established again by the executives of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At this time they learned the lesson from the dissolution of the Amity Society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Tokyo and operated the Students’ Association giving the Superintendent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a wide berth. They also joined hands with the Christian Association of the Korean Students in Tokyo in order to secure another center of their activities as a substitute for the Superintendent of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As a result, a students’ association could continue to exist until 1931, and the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worked on positive lines including publishing the organ of 『Hakjigwang』 and the variety of issues. The Korean oversea students in Japan eventually could inaugurate national movements as a society which strengthened the weak point of Korean intellectuals, when Japan Imperialism restricted freedom of speech.

      • KCI등재

        민족주의적 한국유학사 서술의 재조명 -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를 중심으로 -

        정성희 ( Jeong Seong-h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7 No.-

        현상윤은 유학자의 집안에 나서 어린 시절에 유학을 습득하였지만 10대 후반기부터 식민지 근대교육을 받고, 일본으로 유학하여 대학교육까지 마치면서 유교망국론적 식민사관의 영향을 그대로 받은 인물이다. 그러나 40대 이후에는 유학에 대한 시각에 변화가 오면서 유학의 긍정적 측면을 조명하는 글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이후 해방을 맞이하고 또 다른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현상윤은 『조선유학사』를 편찬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나온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는 조선 말기부터 있어온 민족주의적 유학사 서술의 마무리이자 이후 현대 유학계의 유학사 서술의 새 장을 여는 서막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유학사』의 바탕을 흐르는 유학사관이 민족주의라면 그것을 서술하는 방편은 모화사상 비판과 춘추필법적 서술방식이었다. 모화사상은 현상윤이 조선유학의 `죄`로 들고 있는 여덟 가지 중에 가장 먼저 들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현상윤은 모화사상을 비판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척사위정운동을 평가하고 있다. 즉 모화사상 비판이 중국에 대한 민족주의를 천명하는 것이라면 척사위정운동을 국권 옹호와 인륜도덕을 지켜내는 방파제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보는 것은 일본과 서양 세력에 대한 민족주의라고 할 수 있다. 현상윤은 또 인물이나 사상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정하고 거기에 따라 포폄을 가하고 있다. 그 기준은 `절의`와 `실천`이다. 이것을 기준으로 정도전이나 권근 등 고려말에서 조선 초기에 걸쳐 활동한 인물들에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조선초기의 유학에서 절의문제를 정식으로 제기하여 사육신과 생육신, 공신의 문제를 언급한다. 조선 말기의 척사위정운동에 대해서도 춘추대의의 입장에서 서술하고 있다. 현상윤은 `실천`을 또 다른 기준으로 제시하는데, 조선 초기의 지치주의를 유학사상의 정치적 실천으로 보고 있다. 실천성에 대한 중시는 조선 후기의 경제학파에 대한 서술에서도 두드러진다. 『조선유학사』의 이러한 민족주의적 서술은 현상윤이 조선 유학의 독자성을 인정하였기 때문에 나올 수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현상윤의 민족주의적 유학사 서술은 격변하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정신적·문화적 주체성을 잃지 않고자 하는 지식인의 시대적 요구에 대한 부응이라고 할 수 있겠다.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朝鮮儒學史』) of Hyeon Sang Yoon is the the most authentic version which describes Korean contemporary Confucianism based on national view of history. He was a historian rather than a Confucian schola even though he was born in the family of Confucian schola and studied Confucianism since childhood, He studied history in the university and was an intellectual who learned modern sci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days. Hyeon Sang Yoon revealed his view of history clearly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I thought that his view of Confucianism was based on nationalism, and as the method for this he criticized china worship(慕華思想), and he emphasized the style of `chunchupilbeob`(春秋筆法- the method of describing Chunchu of Kong zi), the origina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As Jang Ji Yeon accepted the theory of origin of Kija(箕子) in The origin of Confucianism of Chosun (『朝鮮儒敎淵源』) Korean scholars considered the Confucianism of Chosun was originated from Kija(箕子). But Hyeon Sang Yoon denied the theory of origin of Kija(箕子), he criticized that china worship(慕華思想) put our independent spirit to death.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made a related chapter about china worship(慕華思想) and described it′s origin, representative persons, ideological influences. Such statements were based on national consciousness against China. In the same vein he described `wijong-cheoksa`(衛正斥邪) movement seriously, but he did not referred any scholars who insisted enlightenment movement at that times. Adopting the style of `chunchupilbeob`(春秋筆法) i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evaluated scholars and their thoughts. Standard of the evaluation was the guiding principle of Confucius and utility. It was an unexpected style of description in comparison with being influenced by historical positivism during his university years. His method of description was different from that of History of Confucianism of Korea of Lee Byeong Do who studied together in Waseda university at the same period. Lee Byeong Do was influenced by Ranke who asserted historical fact. In this aspect he obviously stood in contrast with the historical view of Hyeon Sang Yoon. Hyeon Sang Yoon described that Jeong Do Jeon(鄭道傳), Kweon Kun(權近) and the other Confucian scholars of Koryeo dynasty did not keep fidelity to their principle as the Confucian scholars of Koryeo dynasty. Moreover he described `sayuksin`(死六臣), `saengyuksin`(生六臣), `kongsin`(功臣) from the viewpoint of retainer`s fidelity. He emphasized uti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as the origina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He mentioned `ultimate governing ideology(至治主義)` of Cho Kwang Cho(趙光祖) and practical science of Chosun which represent the utility of Confucianism of Chosun. History of Confucianism of Chosun of Hyeon Sang Yoon was a result of history of national Confucianism which continued to Paidongyeonwanrok(『浿東淵源錄』) of Song Byeong Seon, Joseonyukyoyeonwon(『朝鮮儒敎淵源』) of Jang Ji Yeon, Dongyuhakan(『東儒學案』) of Ha Kyeom Jin, and besides, it is a foundation describing the history of Confucianism for the future.

      • KCI등재

        식민지 시기 조선 유학사 정리 작업에 대한 연구 -장지연(張志淵)과 하겸진(河謙鎭)의 저항적 조선유학사 정리 작업을 중심으로-

        정성희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3 儒學硏究 Vol.29 No.-

        조선에서 통사적 유학사라고 할 수 있는 최초의 저술은 1882년에 나온 송병선의 『패동연원록』이다. 조선말기에 시작된 유학사의 편찬은 식민지시기에 들어서면서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화되었다. 식민지시기에 편찬된 ‘유학사’는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과 하겸진의 『동유학안』이 대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장지연과 하겸진의 사상을 조명하고 『조선유교연원』과 『동유학안』에 내포되어 있는 저항의식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은 그 서술방식에서부터 ‘근대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또 학파나 연원으로 분류하지 않고 유학사의 시대구분을 하고 있다는 점, 시대별 주요 논변과 학문적 사건을 제시한다는 점, 학파적·지역적 입장을 가능한 한 탈피하여 그동안 소외되어 왔던 실학자나 양명학자, 성리학에 비판적인 학자들까지 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패동연원록』보다 적극성을 띠고 있다. 더구나 『조선유교연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문적 사건과 논변들은 대부분 후일 유학 연구자들의 핵심 연구 주제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하겸진의 『동유학안』은 위정척사의 입장에 있는 도학자의 관점에서 서술된 학안체의 유학사이다. 『동유학안』에서는 새로운 학파분류 방법과 아울러 그 학파별 특징을 잘 제시해 주고 있으며, 학문적·당파적 분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또 사화와 당쟁 등 유학이 정치와 결합되어 나타난 부작용에 대해서도 안타까움을 표하고 있다. 하겸진은 장지연보다 전통적인 입장에서 유학을 되살리고자 하는 입장에 있었다. 이는 그가 유학적 예의를 국성(國性)으로 제시하고 국성을 보존함으로써 국체를 되살릴 수 있다고 보는 관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두 저작에는 한계점도 존재한다. 이들은 조선시대에는 주목받지 못했던 학자들까지 포용하고 있지만, 둘 다 퇴계 영남학의 학통에 속하는 유학자로서, 자파 중심의 유학사 서술에서 완전히 탈피하지는 못했다. 또한 둘 다 조선왕조 개창의 이론적 바탕을 제시한 정도전을 ‘조선유학사’에서 완벽히 배제함으로서 그들의 내면은 여전히 조선왕조의 신민임을 드러내고 있다. 『조선유교연원』과 『동유학안』은 서술방식도 다르고, 구체적인 방법은 달랐지만 이 두 사람 모두 우리민족의 정신적 바탕을 유학에 두고 민족정신을 회복하고자 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피식민 민족에게 패배의식을 심어주어 저항을 무력화하고자 식민지배를 정당화하려는 일제의 식민정책에 대한 강한 저항 의식이 이 두 유학사 저술의 촉발점이었다고 하겠다. 朝鮮末, 宋秉璿著述『浿東淵源錄』(1882), 這是最初的‘朝鮮儒學通史’. 韓國儒學史之編纂於植民地時期, 更多積極的和明確的. 韓國植民地時期之代表的朝鮮儒學史, 是張志淵之『朝鮮儒敎淵源』(1917)和河謙鎭之『東儒學案』(1943). 筆者試圖照明張志淵和河謙鎭之思想, 與試圖揭示『朝鮮儒敎淵源』和『東儒學案』固有的抵抗意識. 『朝鮮儒敎淵源』, 徵求近代的敍述方法. 不分類學派和淵源, 試圖儒學史的時代區分, 而提示時代的主要論爭與學問的事件, 尋求逃生學派的色彩和地方色彩. 還這是書提示時代的主要論爭與學問的事件, 後來成爲了核心的硏究課題, 意義在這方面. 河謙鎭之『東儒學案』是學案體的儒學史. 河謙鎭一個是誰支持衛正斥邪的學者. 『東儒學案』提示新的學術分類和學派的特色. 他還揭示批判的觀點對於學術和黨派的分裂, 還必須表示憂傷對於士禍和黨爭. 河謙鎭提出儒敎的‘禮義’就是韓國人的‘國性’, 而他提出爲了復活‘國體’應該受到保護‘國性’『朝鮮儒敎淵源』與『東儒學案』都有一個缺少粘性. 張志淵與河謙鎭都屬於嶺南學脈, 不能完全逃脫自己的學術地位. 還他們都完全排除鄭道傳, 鄭道傳是朝鮮的一個開國功臣. 這一事實證明是他們不能完全逃脫朝鮮之正統道學者的位置. 可以確定的是『朝鮮儒敎淵源』和『東儒學案』, 這肯定是表示抵抗意志對於日本帝國主義的植民政策.

      • KCI등재

        연원록에서 사상사로 -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과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를 읽는 방법 -

        노관범 ( Noh Kwan Bum ) 한국사상사학회 2017 韓國思想史學 Vol.0 No.56

        이 글은 한국유학사 문헌의 통시적인 흐름을 거시적으로 `연원록`에서 `사상사`로의 변화로 독해하고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과 현상윤의 『조선유학사』가 연원록으로서의 유학사를 넘어 사상사로서의 유학사를 성취한 정도를 고찰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시대의 유학사 문헌은 주희의 『이락연원록』의 영향을 받아 `연원록`의 형식을 취하였다. 연원록으로서의 유학사란 유학 도통의 전승에 관한 인물 계보 지식을 전달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연원록의 형식으로 이어졌던 유학사 편찬 전통은 근대 초기에 들어와 신문과 잡지의 미디어 공간과 만나면서 변화의 계기를 맞이하였다. 국망 전후 조선 유학에 대한 역사적 성찰이 팽배해지면서 성현 도통의 관념에서 벗어나 자국 유학사를 회고하는 새로운 역사관이 성장하였다. 국망 후 장지연의 「조선유교연원」은 연원록의 형식으로 유학자의 언행을 서술했다는 점에서는 연원록을 벗어나지 않았지만 구성적으로는 조선 유교 쇠망사라는 거대한 역사 서사를 창안하는 데 성공하였다. 조선 전기 유학사에 대해서는 정몽주로부터 이황까지 조선 성리학의 도통을 헤아리는 도학사적 관심을 유지하되 조선 후기 유학사에 대해서는 쇠망사의 서사에 어울리게 유학자 편성 단위가 다양해졌다. 반면 해방 후 현상윤의 『조선유학사』는 연원록의 형식에서 완전히 벗어나 민족국가 건설기의 정서로 조선 유교 운동사라는 새로운 역사서사를 창안하였다. 유학자와 유학자의 사승 관계에 따라 연결되는 연원의 흐름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유학자의 실천과 운동에 따라 형성되는 사상의 흐름을 보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조선유교연원」이 붙들었던 조선 성리학의 도통관을 완전히 청산하여 시대의 변화에 따른 조선 유학 읽기를 추구하였다. 『조선유학사』는 사상사로서의 유학사를 분명히 선언하였고 실제 내용에서도 사상사로의 유학사를 창출하였다. 이는 한국유학사 분야에서 사상사의 출현이라 이를만한 학술적 사건이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Jang Jiyeon(張志淵)`s Joseon-YukyoYeonweon(朝鮮儒敎淵源) and Hyeon Sangyun(玄相允)`s JoseonYuhaksa(朝鮮儒學史). The main focus is laid on the long-term change in the historiography of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namely “from hagiography of Confucians to history of ideas”. Through this framework these two books were examined as the exemplary literature to show the first appearance of “history of ideas” in modern times from the long tradition of “hagiography of Confucians” in premodern Joseon dynasty. The tradition of “hagiography of Confucians” originated from Chinese Neo-Confucian thinker Chuxi`s IrakYeonweonrok[伊洛淵源錄] had exerted a strong and widespread influence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premodern Korean historiography of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KukjoYuseonrok[國朝儒先錄], Dodongrok[道東錄], DongyuSaurok[東儒師友錄], DohakWeonryuChaneon[道學源流纂言], PaedongYeonweonrok[浿東淵源錄] were all descendants from IrakYeonweonrok[伊洛淵源錄] in this tradition. Not until the downfall and eclipse of Joseon dynasty new kind of historiography came to academic circle with growing awareness of ending of Confucian tradition and beginning of modern era. Jang Jiyeon(張志淵)`s JoseonYukyoYeonweon(朝鮮儒敎淵源) was the first of this kind narrating the decline and fall of Korean Confucianism. It was actually approaching history of ideas still within the traditional form of hagiography of Confucians. Further, Hyeon Sangyun(玄相允)`s JoseonYuhaksa(朝鮮儒學史) invented new historiography by narrating the historical movement of Korean Confucianism. It concentrated on the flow of ideas of Korean Confucians as subjects of historical practice and tried to penetrate into the natural self-development of Korean Confucianism itself in it. In this point it may well be considered as a pathfinder to new kind of academic achievement in modern Korean studies.

      • KCI등재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의 ‘조선유학사’와 조선유학의 식민주의적 변용

        정일균 ( Jeong Il-gyun ) 퇴계학연구원 2018 退溪學報 Vol.143 No.-

        본 논문에서는 가다머Gadamer 류의 해석학적 입장, 즉 ‘朝鮮儒學史’란 일반적으로 ‘朝鮮儒學’이란 ‘텍스트의 지평’과 ‘연구자[讀者]의 지평’이 변증법적으로 상호 융합하는 과정의 산물로 인식할 수 있다는 기본관점을 전제로, ① ‘텍스트의 지평’으로서 ‘四七論爭’, 즉 16세기 朝鮮에서 性理學이 본격적으로 정착하면서 조선 유학자 사이에서 이에 대한 수준 높은 철학적 탐구가 이루어졌던 바, 바로 이를 배경으로 탄생했던 ‘사칠논쟁’의 전개과정과 그 내용 및 사상사적 의의를 간략히 일별하고, ② ‘연구자의 지평’으로서는 20세기 초 ‘日帝의 官學者들의 학문외적 문제의식’, 특히 다카하시 도루[高橋亨]가 ‘한국에 대한 일제의 식민지배의 정당화’라는 보다 심층적인 ‘기만의 컨텍스트’를 강화·관철시키고자 하는 의도에서 조선유학에 적극 주조·투사했던 그의 인식틀을 「朝鮮儒學大觀」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가운데, ③ 상기의 ‘두 지평이 상호 융합하는 과정의 산물’로서, 상기의 다카하시 도루가 이른바 ‘主理派’와 ‘主氣派’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근대학문의 외피를 띤 植民主義的 ‘朝鮮儒學史’를 재구성해 나간 과정을 그의 「李朝儒學史에 있어서 主理派ㆍ主氣派의 發達」이라는 글을 통해 비판적으로 추적ㆍ검토하고 있으며, ④ 이를 바탕으로 ‘朝鮮儒學史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필자의 당위론적 전망을 시론적이나마 결론으로서 간략히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본고는 특히 다카하시 도루의 상기의 논문을 통해 주조해 낸 ‘主理派’와 ‘主氣派’라는 개념은 한편으로 ‘朝鮮儒學’이라는 ‘현실’ 내지 ‘텍스트’의 측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정주성리학의 논리체계’의 측면 그 어디에서도 설득력 있는 근거를 찾기 어려운 것으로서, 이러한 두 범주 및 그 이분법은 적어도 朝鮮儒學史에 대한 ‘설명’ 개념으로서는 기실 아무런 의미도 없는 虛像에 불과할 뿐임을 논증하였다. In this paper, I take a general view of Gadamerian philosophical hermeneutics about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朝鮮] dynasty, that is, basically I am on the assumption that ‘a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can be recognized as a product of the process of dialectical fusion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as ‘textual horizon’ and ‘researcher[reader]’s horizon’. Assuming the viewpoint above mentioned, ① I briefly glance at ‘Four-Seven Controversy[四七論爭]’ as ‘textual horizon’ which had appeared with the full-scale settlement and the high-level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of Neo-Confucianism in 16th century Joseon as its setting and explain its developmental process, contents and academic importance in Confucian thought history. ② As a ‘researcher’s horizon’, I examine critically the government-patronized scholars’ non-academic aims of imperialist Japan in early 20th century, especially that of Dakahasi Doru[高橋亨] who had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roduction of modern colonialist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by imperialist Japan for the purpose of justifying the colonial domination of Korea through his thesis, namely 「a general view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③ As a product of the process of dialectical fusion of ‘textual horizon’ and ‘researcher[reader]’s horizon’, I pursue and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above-named Dakahasi Doru had reconstructed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direction of colonialism through the concepts of so-called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I[理]’ and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Ki[氣]’ in his thesis, namely 「the development of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I and that of the primacy of Ki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④ Assuming the aforementioned discussions, as a conclusion I suggest ‘an alternative research direction of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tentatively.

      • KCI등재

        조선 유학(朝鮮儒學)의 일본 전파 경로에 관한 재론(再論)

        김언종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0

        한 · 일 양국의 여러 학자들은 임진왜란 전후 시기, 퇴계 문하의 학자들에 의해 조선의 유학이 일본에 전해졌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이는 17~8세기경 퇴계의 학문이 일본에서 큰 주목을 받게 되면서 조선 유학의 일본 수용 과정을 좀 더 극적으로 포장하고 그 시기를 소급하려는 의도가 작용해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후지와라 세이카에게 조선 유학을 전한 인물로 일찌감치 주목받은 허성의 경우 ‘퇴계의 수제자 3인 중 하나인 유희춘의 제자’라 일컬어졌지만 실상 허성의 학통은 퇴계의 학문과 일정한 거리가 있다. 또한 허성 일가의 학문은 김안국, 서경덕 등의 학통을 이어 포용적이고 절충적인 성향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같은 면모는 허성이 세이카를 위해 쓴 <柴立子說>에 잘 드러나 있다. 세이카가 일본 유학을 개창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알려진 강항 역시 퇴계의 문인으로 보기 어렵다. 그는 성혼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정치적으로는 서인 계열에 속하여, 퇴계 문인들과는 줄곧 대척점에 위치해 있었던 인물이었다. 강항이 세이카에게 언제, 어떠한 방법으로 유학을 전수(傳授)했는지 그 실체가 전혀 드러나 있지 않은 것 역시 고려해 보아야 할 문제이다. 김성일 역시 조선 유학의 일본 전파자로 관심을 받는 인물 중 하나이다. 그가 퇴계의 제자라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1590년 당시 세이카에게 조선의 유학, 그 중에서도 퇴계학을 전했을 것이라는 일각의 주장은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김성일이 다른 통신사 일행과 함께 세이카를 접견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들이 지속적으로 만남을 가진 흔적은 확인되지 않으며, 진지한 학문적 교유가 있었을 가능성 역시 극히 낮아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러 사실들을 고려할 때 퇴계의 학문으로 대표되는 조선 유학이 임진왜란 전후 시기에 특정인물에 의해 일본에 전파되었다고 보는 종래의 주장은 재고되어야 한다. 많은 이들이 세이카가 퇴계학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고 믿고 있지만 실제로 세이카가 퇴계학에 대해 어떠한 시각을 지니고 있었는지 직접 천명할 수 있는 자료는 보이지 않으며 이런 이유로 세이카가 퇴계학에서 커다란 영향을 받았다고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보다는 임진왜란 도중 반출된 조선의 서적들이 일본 지식인들 사이에 유통되기 시작되면서 조선 유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고 17세기 이후 잦은 통신사행이 이루어지면서 조선 유학을 대표하는 퇴계의 존재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Many scholars across Korea and Japan states Korean Confucianism was transmitted to Japan by scholars raised by Toigye about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wever, it is the aftermath of the attempt to dramatize the spread of Korean Confucianism, and claim the impartation had taken place much earlier, as Toigye’s scholarly work grabbed a huge attention in Japan during 17th to 18th century. Huh Sung, having been received a spotlight from long before by imparting Korean Confucianism to Fujiwara Seika, was often referred to as a pupil of Ryu Hee-chun, one of three students nurtured by Toigye. Yet, Huh Sung’s scholastic lineage was very different from the work of Toigye. Huh Sung and his family pursued the path paved by Seo Gyeong-deok and Kim Ahn-kook, featuring embracing and eclectic approach, which is clearly shown in Huh Sung’s writing drafted for Seika <Siripjaseol>. Kang Hang, also widely known as the one who played a crucial role in supporting Seika’s establishment of Japanese Confucianism, can hardly be called as Toigye’s disciple. Kang Hang learned from Seong Hon, and politically, belonged to the sect of Seoin. He usually stood against Toigye’s pupils. Another notable point is, it is completely obscure when and how Kang Hang imparted Confucianism to Seika. Kim Sung-il is another figure who is pointed as an introducer of Korean Confucianism. It is incontestable that he is a pupil of Toigye. Notwithstanding, it is hard to agree with the contention that he transmitted Korean Confucianism, particularly that of Toigye, to Seika in 1590. Albeit it is fact that Kim Sung-il met Seika along with Korean delegation, whether they continued interacting with each other is unproven. Moreover, it is highly unlikely for them to have devoted exchange of knowledge. Hence, the idea of Korean Confucianism, centered by the work of Toigye, introduced to Japan about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hould better be re-examined. Many believe Seika was directly influenced by Toigye’s scholarly work. Nevertheless, there is no clear evidence demonstrating Seika’s view on Toigye’ Confucianism. In that, it is hard to say Seika was greatly affected by Toigye. Rather, more plausible theory would be growing interests towards Korean Confucianism driven by the distribution of Korean publications taken away from the country during the war among elites in Japan, and more frequent dispatch of Korean delegation to Japan from 17th century made Toigye the most representative scholar of Korean Confucianism, more popular. Overall, further research on this topic should follow.

      • KCI등재

        조선유도연합회의 결성과 ‘皇道儒學’

        정욱재(Jung Uk-Jae)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3

        일제는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키면서 조선의 인적·물적 자원의 수탈을 뒷받침하는 이데올로기로써 ‘內鮮一體’를 표방하는 ‘皇民化’ 정책을 실시하였다. 이런 정책은 유림에게도 적용되었다. 조선총독부는 1939년 10월 16일 전국적인 유림단체인 조선유도연합회를 조직한 후 각도 연합회와 지부를 결성하는데 힘을 쏟았다. 1939년 11월 14일 충청북도 유도 연합회가 결성된 것을 시작으로 1941년 3월 12일 강원도 유도연합회의 결성까지 전국 각도별 조직이 완료되었다. 조선유도연합회는 일제강점기 마지막에 등장한 최대의 유림단체로 일제의 침략전쟁에 적극적으로 협력한 관변단체였다. ‘총동원체제’의 철저한 통제정책 아래에서 항일의식을 여전히 견지한 일부 유림은 은거하며 침묵할 수밖에 없었다. 조선유도연합회는 주로시국 강연과 각종 강연 및 강습에 힘을 쏟았다. 이는 유림과 일반 민중의 정신적 동요를 막는 동시에 일본 제국의 충량한 황국신민으로 세뇌를 시키려는 의도였다. 조선유교연합회의 활동을 이념적으로 뒷받침한것이 이른바 ‘황도유학’이었다. ‘황도유학’은 일본 식민주의 관학자 高橋亨에 의해 본격적으로 공론화 되었다. 高橋亨이 주장한 ‘황도유학’은 일본의 신국사상, 즉 천황이 정점에 있는 神道가 유교와 결합되어 이루어진, 忠孝一致의 일본화 된 유교를 의미하였다. ‘황도유학’을 주창한 목적은 조선 민중이 일본의 침략전쟁에 자진하여 인적 · 물적 자원을 바치도록 하는 정신과 태도를 갖게하는 것이었다. 日帝協力儒林인 안인식과 이명세는 이런 ‘황도유학’을 더욱 확대하고 포장하였다. 안인식은 일본의 국체와 유학을 결합시킨 충효일치의 일본화 된 유학에 다시 공자의 대동사상을 연결시켜 일제의 소위 대동아전쟁을 합리화시켰다. 이명세는 태평양전쟁을 정의로운 전쟁일 뿐만 아니라 동양을 위한 숭고한 義戰으로 격상시켰다. 안인식 · 이명세 등은 조선의 유림에게 조선시대에 이룩한 난숙한 경지의 성리학을 버리고 일본화 된 유교, ‘황도유학’을 수용하여 충량한 황국신민으로 일본천황과 일본제국을 위하여 자발적으로 헌신하라고 요구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유교와 유림에 대한 환멸을 불러 일으켰으며, 이미 위축된 유교는 사실상 재기할 수 없는 타격을 받았다. 일제협력유림이 주장한 ‘황도유학’은 전시대에 이룩한 높은 수준의 유학사상의 단절을 초래하여 한국 유학사상의 발전적 흐름을 끊은 악영향을 남겼다. As Japanese imperialism brought about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it executed a management policy, which made the Korean people be loyal to the Emperor of Japan, standing for assimilation as an ideology to support its plundering Korea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uch a policy applied to Confucian scholars. Organizing the Chosun Federation of Confucianism, a nationwide organization of Confucian scholars, on the 12th of March, 1939,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tried to form provincial federations and their branches with all force.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Chungcheongbuk provincial federation on 14th of November, 1939 till the establishment of Kangwon provincial federation on 12th of March, 1941 the organization of federation by each province was completed. The Chosun Federation of Confucianism, the last and biggest organization of Confucian scholars, was a body of government circles which actively cooperated with the aggressive war of Japanese imperialism. Under the thorough control policy of the system of a general mobilization some Confucian scholars who still clung to anti-Japanese consciousness could not but go into retirement or keep silent. The Chosun Federation of Confucianism rendered services chiefly to lectures and short training courses including lecture meetings on the situation. This was an intention to control the agitation of the Confucian scholars and the mass of the people as well as to brainwash them to be loyal to the Emperor of Japan. Japanized Confucianism was to support the activities of the Chosun Federation of Confucianism ideologically. Japanized Confucianism became famous to the people in earnest by a Japanese scholar of a national school and colonialist, Dakahashi Doru. Japanized Confucianism that he advocated was Confucianism combined with the religion of the Japanese people and had ideas that “loyalty accords with filial piety”. Its aim was to make the Korean people have the mind and attitude to present their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voluntarily to the aggressive war of Japanese imperialism. In-Sik Ahn and Myeong-Se Lee who were pro-Japanese Confucian scholars enlarged and paved it all the more. In-Sik Ahn connected Japanese Confucianism with the political thought pursuing a utopian society and rationalized the Sino-Japanese War. Myeong-Se Lee raised the Pacific War to a just war as well as a noble and righteous war for the Orient. In-Sik Ahn, Myeong-Se Lee and others asked other Confucian scholars to abandon Sung Confucianism which ripened during the Chosun Dynasty and accept Japanized Confucianism, and devote themselves to the Emperor of Japan and imperial Japan. Their activities aroused disillusion about Confucianism and imperial Japan. In fact, Confucianism which withered already was hard hit. As Japanized Confucianism maintained by the pro-Japanese Confucian scholars caused a break of high level Confucian ideas which was accomplished in the previous era, it had bad influence on the evolutive flow of Korean Confucian ideas.

      • KCI등재

        타카하시 토오루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

        이형성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5 No.-

        이 글은 타카하시 토오루(高橋亨)의 조선유학사 서술의 문제점을 다룬 것이다. 타카하시 토오루는 일찍이 가학(家學)을 계승하면서 도쿄제국대학에서 신학문(新學問)을 탐구하였다. 졸업 후, 구주일보(九州日報) 주필로 활동하다가 인도 연구에 권위자 영국의 메러디스 타운스윈드(Meredith Townswind)의 아시아 그리고 유럽(Asia and Europe)을 번역하며 제국주주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의도를 갖는다. 1903년 한국으로 건너와 먼저 조선 국어학을 탐구하고 연구의 방향을 조선사상으로 나아갔다. 이러한 학문적 전이는 조선인의 풍속습관을 파악하고 그 사상사적 관점에서 조선인의 민족적 특성을 간취하여 조선사회를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타카하시 토오루는 조선 유학을 사적(史的) 맥락에서 대관(大觀)의 형식을 이용하여 기술하는데 진력하였다. 그의 조선유학에 대한 대관적 연구는, 삼국시대와 고려 유학을 간명하게 기술하고 조선시대에 이르러서는 조선의 유학자 이언적(李彦迪)․이황(李滉)․기대승(奇大升)․이이(李珥)․성혼(成渾) 등을 리기이원론자(理氣二元論者)로 여기다가, 이황과 이이가 사단칠정론에 대한 논지 전개 용어를 가지고 단순히 ‘주리파(主理派)’와 ‘주기파(主氣派)’로 도식화하고, 조선의 유학은 사상적 특징이 없고 그저 주자학의 시험장이라고 여긴 것이다. 하지만 조선의 유학 즉 성리학은 우주론보다는 심성론을 치밀하게 논리적으로 분석하여 심화시켰다. 타카하시 토오루는 조선의 심화 전개된 성리학을 간과하고 그 ‘주리파’와 ‘주기파’ 용어를 가지고 당론으로까지 연결시켰다. 그 당론이란 남인(南人)은 이황의 학설을 존숭하고, 노론(老論)은 이이의 학설을 존숭한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당론으로 연결시켜 조선의 사상과 종교, 그리고 문화를 강력히 부정하였다. 그 부정이란 변화발전이 없다는 사상의 고착성과 독창적 견해가 없다는 사상의 종속성을 부각시킨 것이다. 그는 이를 적극 이용하여 종국에 일본의 문화와 사상을 주입시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연구는 그가 추구한 지식이 식민제국 일본의 욕망과 그 궤를 함께 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본 논문은 타카하시 토오루의 조선유학사 연구경향에 대한 문제점을 다루었으나 부족한 점이 없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동안 그의 연구경향을 지식사회학적 측면에서 재검토하는 데 약간의 보탬은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is studing the Pproblems of Takahachi Doloo(1878~1967)’s Depiction on a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As Takahachi Doloo succeeded to the learning of his family, he did research on the new sciences in University of Tokyo. After university, he was intended to realize Japan’s ideal of imperialism as translating Britain sociologist Meredith Townswind’s Asia and Europe into Japanese during acting by the editor in chief. In 1903, he came to Korea, and first make a Korean linguistics. After he moved a research project direction toward Korean thought. Such change of learning was that he aimed to control Korean society after grasping manners and customs of Korean and selecting Korean characteristic in the viewpoint of thought history. He did his best of using a frame of large view in the historic context on studying Confucianism which many scholars developped in Korea. After he, in particular, syudied New-Confucianism of Lee Hwang(李滉: 1501~1570) and Lee Yi(李珥: 1536~1584) of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he divided into two classes with their viewpoint. It is just of Joolipa(主理派) and Joogipa(主氣派). He involved Joolipa and Joogipa of two classes with political party strife. As attaching them to Korean Confucianism, especially he emphatically denied thought, religion, and culture of Korea. This negative study was of the reason that his pursuit of knowledge was with Japanese imperialistic wants. Finally, this research paper is a lack of study to Takahachi Doloo. But this would benefit in reconsideration on his study inclination during the Japanese work in a sociologic aspect of knowledge.

      • KCI등재

        갑오개혁 이후 조선 유학생의 일본 유학과 유학 분야

        왕현종(Wang, Hyeon Jong) 역사실학회 2019 역사와실학 Vol.69 No.-

        본 논문에서는 갑오개혁이후 대한제국기 조선인의 일본 유학에 대해 갑오개혁 이후 유학생 파견 정책의 변화와 일본 유학생들의 자치단체인 친목회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895년 갑오개혁 이후 관비유학생 파견은 주로 일본 게이오 의숙에 무려 195명 정도로 대규모로 이루어졌다. 갑오개혁정부는 처음에는 독자적인 고등교육체계를 구상하고 있었지만, 일본의 압력하에 대학설립 구상이 포기된 채, 대규모 관비유학생 파견으로 전환하였다. 이에 후쿠자와 유키치의 게이오 의숙에 맡겨진 유학생들은 일본어 교육과 기초교과를 바탕으로 대학·전문학교 등 상급학교로 진학에 대비하였다. 또한 조선 유학생들은 자체적으로 친목회를 결성하여 주기적인 단체모임과 매달 정례 학술 모임을 통하여 결속을 다지고 선진 학문 수용과 여론 형성을 주도하였다. 이들의 주제 강연은 유학생 잡지인 『친목회 회보』(1~6회)에 수록되었는데, 유학생의 학업과 친목회 활동에 당부하는 글, 국민의 각성과 애국 논설, 국왕에 대한 절대적인 충군애국 강조, 전공 학문에 대한 소개글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이들 조선 유학생들은 서구의 정치원리나 법적 체계를 비롯하여 최신 동향을 소개하고 나름대로 논점을 제기하고 있었다. 이 글에서는 주목한 것은 친목회규칙에 수록된 특별찬성원들이었다. 이들은 유학생 관리를 맡은 후쿠자와 유키치 등 게이오 의숙 관련자들뿐만 아니라 일본 주요 대학의 학장들과 일본 의회 및 법률관계 종사자들을 망라하고 있다. 110명의 특별찬성원들은 조선유학생들이 각 대학의 전공분야를 선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을 것이다. 대한제국기에 들어와서 한국정부는 유학생 파견과 관리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는 데 실패했다. 관비 유학대상자의 축소와 학자금 지급 등이 지연되었다. 졸업 이후 귀국한 관비유학생들은 주로 정치·법률학 관료나 학자로서 나아갈 수도 있었으나 1904년 이전까지 제대로 그런 분야에 진출하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갑오개혁 이후 조선 유학생들의 일본 파견과 학술활동을 전반적으로 분석하려고 하였다. 특히 친목회의 특별찬성원과의 연계망에 주목하여 유학생들의 전공 분야 선택의 관련성을 밝히려고 하였다. 그리고 졸업 후 조선유학생들의 관료 및 사회활동상을 개인별로 추적하여 살펴보았다. In this study of Koreans studying in Japan during the Korean Empire after the Gabo Reformation, I considered the change in the policy of sending students to Japan after the Gabo Reform and the activities of the autonomous organization of Korean students in Japan. The Government influenced by the Gabo reforms initially envisioned its own higher education system; however, under pressure from Japan, it abandoned the idea of establishing a university. As a result, large-scale government-funded students who were entrusted to Fukuzawa Yukichi, in Keio University(慶應義塾), were prepared for further study at higher schools, such as universities and vocational schools, based o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basic subjects. In addition, Joseon students formed their own fraternity groups to strengthen their solidarity and lead the adoption of advanced studies and public opinion through regular group gatherings and monthly academic meetings. Their lecture topics were included in the Journal of the Friendship Society, a magazine for students studying abroad, and the topics ranged from urging them to study, engaging in social activities, writing about awakening the patriotic spirit among people, an absolute emphasis on the King’s patriotic patriarchs, and other major studies. These Joseon students were introducing the latest trends, including Western political principles and legal systems, and were validating their own objectives. This article takes the special note of members of the Fellowship Rules. These include the heads of major Japanese universities, members of the Japanese parliament and legal workers, as well as Keio officials such as Fukuzawa Yukichi, who managed international students. These 110 special members would have played a decisive role in Joseon students’ choice of college majors. The Korean government, however, failed to establish a system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managing and placing the students during the Korean Empire. There was a delay in bridging the gap in the numbers of students eligible for government grants and paying their tuition. After graduation, government-funded students who returned home were able to move forward mainly as political and legal officials or scholars; however, they were unable to enter the their field of employment until 1904. In this paper, I have tried to analyze the dispatch of Joseon students to Japan and their academic activities in general after the Gabo Reform. In particular, it was my endeavor to reveal the relevance of overseas students’ choice of majors by paying attention to the association’s network of special support for the fraternity. Finally, I tracked the awards for official and social activities that were bestowed by private individuals on the overseas Joseon students after their graduation.

      • KCI등재

        근대 불교잡지에 나타난 재일조선불교유학생들의 현실인식 - 재일불교청년단체의 기간지 『금강저(金剛杵)』를 중심으로 -

        제점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3 No.-

        본 연구는 근대 불교잡지에 나타난 재일조선불교유학생의 현실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금강저』라는 근대 불교잡지를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금강저』의 기고문 중 그들의 현실인식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판단되는 1920년대 후반에 전개된 일본불교시찰, 학인대회, 조선승려대회의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들 기고문에서는 조선불교계 현황에 대한 거침없는 비판과 조선불교 부흥을 위한 새로운 개혁, 혁신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럴 경우, 일본불교학, 종교단체법과 같은 일본종교의 상황을 참고하면서 이보다 나은 조선불교를 상정 하였다. 하지만 『금강저』 간행에 있어 경제적 어려움과 조선불교계로부터의 소외감은 재일조선불교유학생이 느끼는 제국의 땅에서 경험하는 식민지민으로서의 또 다른 근대적 경험이었다. 이처럼 『금강저』라는 근대적 매체는 재일조선불교유학생들의 식민지와 제국 틈새의 근대적 고뇌가 ‘조선불교’라는 근대적 산물을 통해 표출되는 유일한 언설공간으로, 이른바 제국에서의 ‘조선불교’의 또 다른 모습이었던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a modern Buddhist magazine, Geumgangjeo (Vajra)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reality in Joseon Buddhist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scusses the magazine articles on the Surveys of Japanese Buddhism, Scholars’ conventions and Joseon Monks’ Conferences written in the late 1920s. These writings reveal the awareness of the reality in contributions to Geumgangjeo. These contributions proposed inexorable criticism of the present status of Buddhism in Joseon, new reforms and theories of reform for the revival of Joseon Buddhism. Regarding the situations of Japanese religion, such as Japanese Buddhist studies and laws on religious groups, they introduced Joseon Buddhism better than Japanese Buddhism. And yet, in the publication of Geumgangjeo, financial problem and a sense of alienation from Buddhism in Joseon were other modern experiences Joseon Buddhist students in Japan as the colonized people living in the metropole. The modern medium, Geumgangjeo was the only space for comments in which modern agony felt by Joseon Buddhist students in Japan as they experienced the gap between the colony and the empire were expressed through a modern product, ‘Joseon Buddhism,’ which was so called another aspect of ‘Joseon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