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안예리 진단학회 2022 진단학보 Vol.- No.139
진단학회는 일본인 학자들이 중심이 되었던 청구학회를 견제하며 조선인에 의한, 그리고 조선어를 매개로 한 조선학 연구를 지향했다. 국어학은 1934년 진단학회의 출범 당시부터 역사학, 민속학, 국문학과 더불어 조선학의 주축이 되었고, 진단학회의 국어학자들은 학문적으로뿐 아니라 학회의 경영과 행정의 제반 측면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했다. 『진단학보』에 실린 국어학 논문들은 서구의 언어학 이론을 적극 수용한 연구들로, 경성제대 조선어 전공의 학풍을 반영한 것이었다. 경성제대 조선어문학과 출신들은 진단학회 설립 이전에 조선어문학회를 조직하고 학술지 『조선어문학회보(조선어문)』를 간행하였지만, 조선어문학회는 진단학회의 설립을 계기로 이론적 연구 중심의 진단학회와 실천적 연구 중심의 조선어학회로 분리되었다. 한편, 조선학 연구는 1920년대부터 민족주의 지식인들 사이에서 화두가 되었는데 진단학회의 조선학은 조선을 절대화하거나 특수화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었다. 진단학회 소속 국어학자들도 조선어를 세계 여러 언어 중 하나로 상대화하고 언어학의 방법론에 따라 국어를 연구하며 그 연구 결과를 여타의 언어와 비교함으로써 국어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일본 학계의 왜곡된 연구에 대항한다는 진단학회의 문제의식은 국어학 논문들에서는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았지만, 람스테트의 연구에서 잘못된 부분을 지적해 바로잡거나, 오구라 신페이가 아직 다루지 않은 문제를 깊이 파고드는 등 외국 학자들의 연구를 뛰어넘고자 하는 의지와 자신감이 확인된다.
국고(國故)와 문고(文庫) -조선어문학회의 출판활동을 중심으로
이용범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6 No.-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publishing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 AKL) in the 1930s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heritage arrange movement(國故整理運動). Unlike Japan and China, Sinographic texts, not Hangeul texts, was considered to be the main national heritage in colonial Korea. The publication work of the AKL was closely related to the trend of the contemporary publishing industry. The first publications of the AKL were Journal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報) and a library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series(朝鮮語文學叢書). Journal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has a high proportion of primary sources and tends to gradually expand, and a change of direction to the collection of primary data is also observed for the library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series. As the research level of the AKL participants deepened, it is believed that they began to focus on the basic work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primary data, avoiding the presentation of substandard research results. The commercial success enjoyed by Shinseonsa(新朝鮮社)’s Yeoyudangjeonseo(與猶堂全書) was to show the marketability of the national documents. The <Collection of Korean Literature(朝鮮文學全集)> of the JoongAng Inseogwan(中央印書館) was a project aimed at the proven marketability. Lee Byung-gi(李秉岐, 1891~1968) and Kim Tae-joon(金台俊, 1905~ 1949), who were named as proofreaders, were also the most widely known scholars in the Korean Literature study of the time. In contrast to the early publication works of AKL, which relied heavily on their own account, important changes are taking place in the investment of publishing capital in collaboration with the JoongAng Inseogwan. ‘Chunhyang fevor(春香熱)’ in the mid to late 1930s gave great strength to the editor’s <Korean library(朝鮮文庫)>. The publication of <Korean library>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academic society to reunite by reuniting those who had been distant from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as a venue for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with the help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lecturer Kim Tae-joon. Lim Hwa(林和, 1908~1953), the editor of <Korean library>, also devoted himself to academic training and was a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his later writing in the New literature hitsory(新文學史). <Korean Library> was written in Hangeul, so that the readership of the “imagined nation” was broader than the former Sinographic-based publications in the national heritage. The release and commentary by professional scholars added along with the Hangeul notation suggested the direction of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he wide social spread of the most advanced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time, <Korean library> showed the most ideal form of the National Treasury Reorganization Movement. 이 논문은 1930년대 조선어문학회의 출판활동을 국고정리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국문’ 문헌이 논의의 중심이 된 일본과 중국과는 달리, 식민지 조선에서는 한문문헌 중심성이 두드러진다. 조선어문학회의 출판작업은 당대 조선 출판계의 동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학회의 최초 간행물은 기관지 조선어문학회보 와 <조선어문학총서>였다. 조선어문학회보 는 1차자료의 비중이 높고 점차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며, <조선어문학총서> 또한 자료집으로의 방향전환이 관찰된다. 동인들의 연구수준이 심화됨에 따라 수준미달의 연구성과 발표를 지양하고, 1차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토대작업에 힘을 쏟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신조선사의 여유당전서 가 만끽한 상업적 성공은 국고문헌이 지닌 시장성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중앙인서관의 <조선문학전집>은 검증된 시장성을 노린 기획이었다. 교열자로 이름을 올린 이병기와 김태준은 당대 조선문학 연구의 가장 널리 알려진 학자이기도 했다. 조선어문학회의 초기 출판작업이 자비(自費)에 크게 의존하는 것이었던 것에 반해, 중앙인서관과의 협업에서는 출판자본의 상황판단과 투자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1930년대 중후반의 ‘춘향열’은 학예사의 <조선문고>에 큰 힘을 실어주었다. <조선문고> 간행작업은 한국문학 연구에서 멀어졌던 동인들이 재결집하여 학회가 재생하는 계기이자, 경성제대 강사 김태준을 매개로 학문 후속세대들을 육성하는 장이기도 했다. 학예사 편집인 임화 또한 학문적 훈련에 함께 매진하며 훗날 신문학사 서술의 기초를 닦을 수 있었다. <조선문고>는 한글표기를 전면화하여 기존의 한문 위주의 국고 간행작업보다 더 폭넓은 ‘상상된 국민’을 독자층으로 삼았다. 한글표기와 함께 부가된 전문학자의 해제와 해설은 국고문헌 해석의 방향성을 제시해주었다. 당대 가장 고도화된 학문적 성과의 폭넓은 사회적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조선문고>는 국고정리운동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를 보여주었다.
보훈행정에서 단체 포상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조선어학회 사건을 사례로
이광석,오수길 행정언어와 질적연구학회 2011 행정언어와 질적연구 Vol.2 No.2
보훈의 개념을 설명한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1조에는 ‘국가를 위해 공헌하거나 희생한 국가유공자와 그 유가족에게 국가가 응분의 예우를 행함으로써 그 분들의 생활안정과 복지향상을 도모 하고 국민의 애국정신을 함양토록 함에 있다’고 정의하고 있다. 그런데 민족문화 발전에 역할이 적고 덜 헌신적이며 덜 이바지한 이들은 포상을 받는 데 비해 민족문화 발전에 더 많은 역할을 하고 더 헌신적이었으며 더 이바지한 이는 포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있다. 그 중 역사적 아픔을 안겨주는 경우가 북으로 간 사실 때문인데, 대한민국의 정통성이라는 관점에서 이들을 직접 포상할 수는 없다. 이 글은 대한민국의 정통성이라는 관점과 양립할 수 있는 보완적인 방법을 찾아내어 그 공헌을 인정하는 방법을 논의한 글이다. 즉 직접적 포상이 불가능하다면 간접적으로 그 공헌을 인정하는 논의의 물곬을 터야 할 일며, 실제로 그 보기를 조선어학회 사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제하 국어운동은 조선어학회가 떠맡았고, 조선어학회는 민족의 문화사상에 빛나는 금자탑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가장 많은 일을 한 이가 이극로인데, 그를 직접 포상할 수는 없으므로 단체 포상제도를 도입하여 조선어학회를 단체 포상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잇는 범위 내에서 史實과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글은 일제하의 대립구조, 대립구조의 와해, 분단의 대립구조 등 대립구조의 변화라는 구조의 관점에서 보아 해결책을 제시한 것으로, 구조의 변화 속에서 동질성을 유지한 단체에 대해 단체 포상제도를 도입하자는 것이다.
문혜윤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One of the first decisions to be made in the process of nation building right after Liberation wa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The Joseon Language Society had tremendous roles to play in the process of the symbolism of Korean being formed and spread. Being stationed in the nation with no preparations for Korean and Korean situations,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nd those in charge of the matters from its education and management bureau appointed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adopted the textbooks written by the society so that they would play their roles in the stabilization of the nation. As Korean, education, and textbooks were essential to the formation of people, the publication market of the nation right after Liberation was booming with the publication of government-designated, authorized, and auxiliary textbooks.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and Korean canon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y looking into the Korean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written by the Joseon Language Society and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published by Jeongeumsa,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society among the several publishers responsible for textbook publication. The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formation of Korean canons as well as that of Korean because most of the textbooks those days were collections of selected works from the colonial period. Published in 1946,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of Jeongeumsa consisted of total six volumes including Volume 1 of Hangul Reader by Jeong In-seung, Volume 2 of Wooam Seonsaeng Gyenyeoseo by Song Shi-yeol, Volume 3 of Collection of Joseon Shijos by Choi Yeong-hae, Volume 4 of Collection of Joseon Proverbs by Kim Won-pyo, Volume 5 of Handbook of Joseon Spelling by Kim Byeong-je, and Volume 6 of Model Sentences for Secondary School by Park Tae-won. Those who were in charge of each of the volumes had relations with the Joseon Language Society in any forms. Compared with the government-designated Korean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that was published almost at the same time, the reader from the Liberation period had common features with it including being organized mainly with the works in circulation during the colonial days and activating the mechanism supporting the formation of Korean and further the nation. First, the works on the materials and topics of youth, young people, and spring held a high percentage in quantity. They proposed the lively power, determination and vision of the new era and helped to cultivate the attitude of people for the new era. Second, they revealed organization and description about weather and nature including the seasons, which reflects the intention to present experiences in abstract forms rather than individual experiences and reorganize them into a new life and memory. Finally, they exhibited the intention to place textbooks in the historicity of Korean and Hangul. One of the common features among the volumes of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of Jeongeumsa was the elimination of memories of Chinese classics, which was demonstrated by the standard language and spelling rules at the end of each volume and the side dots(attached to the frequently miswritten marks) in the main body. The forms of readers(textbooks) underwent another round of changes as the Korean Language Society lost its influence around the Hangul simplification shock with the anti-communist climate reinforced by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which raises a need to compare them in future study. 해방 직후 국가 건설에서 선결되어야 할 것은 국어의 수립이었다. 국어가 가진 상징성이 형성, 전파되는 과정에서 조선어학회의 역할은 막중했다. 한국어와 한국적 상황에 대한 방비가 없이 주둔하게 된 미군정 및 미군정 학무국 담당자들은 조선어학회의 인사들을 준용하고 조선어학회 저작의 교과서를 채택하여 국가 안정화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국어, 교육, 교과서는 국민의 형성에 필수적인 것이어서, 해방 직후의 출판 시장은 국정 및 검인정 교과서, 부교재 형태의 출판이 활황을 이루었다. 이 글은 조선어학회 저작의 『중등국어교본』과, 교재류의 출판을 담당했던 여러 출판사들 중 조선어학회와의 관련성이 짙은 정음사 부독본총서를 살핌으로써, 해방기 국어와 국어 정전의 형성 과정을 살폈다. 국어의 형성뿐 아니라 국어 정전의 형성을 살필 수 있는 이유는, 그 당시의 대부분의 교재류가 식민지 시기의 작품들을 선별하여 묶은 형태를 띠고 있었기 때문이다. 1946년 간행된 정음사 부독본 시리즈는 총6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권 정인승의 『한글독본』, 2권 송시열의 『우암선생계녀서』, 3권 최영해의 『조선시조집』, 4권 김원표의 『조선속담집』, 5권 김병제의 『조선어철자편람』, 6권 박태원의 『중등문범』이다. 각 권 담당자들은 어떠한 형태로든 조선어학회와 관련을 맺고 있다. 거의 같은 시기에 출간된 국정 『중등국어교본』과 비교하였을 때 드러나는 해방기 독본의 공통점은, 식민지 시대에 유통되었던 작품들 위주로 구성되었다는 점, 그리고 이것이 국어의 성립과 나아가 국가의 성립을 뒷받침하는 기제를 작동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그 첫 번째가 청춘, 청년, 봄 등을 소재 및 주제로 하는 작품들이 양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들은 새 시대의 약동하는 힘과 의지, 비전을 제시하여 새 시대의 국민의 자세를 함양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는 계절을 비롯하여 날씨나 자연에 관한 구성 및 기술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개별자로서의 경험보다는 추상적인 형태의 경험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생활과 기억의 재구성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는 국어 및 한글이라는 역사성 속에 교과서를 위치시키려는 의도를 드러낸다. 정음사 부독본총서의 공통점 중 하나가 한문학 기억에 대한 소거인데, 책의 말미에 수록되어 있는 표준어, 맞춤법 규정이나 작품의 본문에 제시된 (자주 틀리는 표기에 붙은) 방점 등이 이를 증명한다. 한글간소화파동을 전후로 하여 조선어학회의 영향력 쇠퇴가 드러나고, 정부 수립을 기점으로 강화된 반공 국시의 풍토는 다시 한 번 교과서 및 독본의 형태를 변화시키는데, 이에 대한 비교도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김정대(Kim Jung-dae)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6
이 글에서 필자는 1920년대 초~1950년대 초라는 ‘30년 동안’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방언에 어떤 관심을 갖고 어떤 활동을 해 왔는지를 정리ㆍ평가했다. 조선어학회 회원들의 방언 관련 업적은 정열모 선생이 1927년 3월 『(동인지) 한글』에 발표한 「朝鮮語 硏究의 正體는 무엇?」을 비롯하여 모두 37건에 이른다. 절대 다수의 글이 『(동인지) 한글』과 그 후신인 『한글』에 실렸는데, 방언 관련 글을 발표한 회원은 모두 18명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열모(6건), 권덕규(5건), 정태진(5건), 최현배(4건), 이희승(3건), 최상수(3건), 이상춘(2건), 이극로(2건) 선생 등이 2건 이상의 글을 발표하였다. 30년 중 그 전반기인 1920년대 초부터 1935년 9월까지의 약 14년 동안은 이론적으로 방언에 접근하였고, 그 후반기인 1936년 6월부터 1950년 초까지의 약 15년 동안은 실천적으로 이에 접근한 특색이 뚜렷하다. 관심을 둔 주제로는 용어의 문제, 방언 성격(위상)의 문제, 표준어와의 관계 문제, 각 지역 방언 특색의 문제, 방언 수집의 문제 등이 있었다. 그 30년 동안은 우리 민족의 격동기였는데도 불구하고, 조선어학회를 비롯하여 관심 있는 분들이 방언에 관심을 갖고 이론적 측면에서나 자료 제시의 측면에서나 나름대로 의미 있는 활동을 했다는 점은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많은 것이 갖추어진 오늘날의 처지에서 보면 부족한 점이 한둘이 아니라고 할지 몰라도, 열악한 당시 상황에서 이분들의 업적을 평가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 두 가지 사실을 전제로 하면, ‘30년 동안’의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수행한 방언 관련 업적은 ‘눈부시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the present author summarized and assessed a series of studies related to dialects by the researchers belonging to the academic circle of the Korean language(Joseoneohakhoe, 朝鮮語學會) during the 30 years from 1920’s to earlier 1950’s. The academic works dealing with dialects by the members of this academic circle amount to 37 cases including the paper, “What is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contributed to Coterie Hangeul(Donginji Hangeul) by Jeong Ryeolmo in March 1927. Overall majority of the works were published in Coterie Hangeul(Donginji Hangeul) and its later self Hangeul, and authors or members who contributed dialect-related articles were 18 in all. Concretely speaking, the members who contributed two more articles were Jeong Ryeolmo(6), Kwon Deokgyu(5), Jeong Taejin(5), Choi Hyeonbae(4), Lee Huiseung(3), Choi Sangsu(3), Lee Sangchun(2), Lee Geukro(2), etc. The first half of 14 years from the earlier part of 1920’s to September 1935 saw theory-oriented works, and the last half of 15 years from June 1936 to the earlier part of 1950 practice (field work)-oriented works. The subjects in which they were interested were technical terms, the status of dialect, its relationship to standard language, the distinguished traits of each regional dialect, and the collection of regional dialects. Considering the fact that Korean people experienced the turbulent era in those 30 years, we could not overemphasize their interests in dialects and their significant activities in the related theories and in the dig of data. Although some of inadequacies are revealed from the present full measure viewpoint, the works of the above mentioned researchers should be highly evaluated from the poor conditions at that time. With the premises of the two claims, the works related dialects by the members during those ‘30 years’ could be said as ‘brilliant.’
1940년대 언어정책과 국민문학 ― 잡지 매체를 중심으로 ―
김성은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4
본고에서는 1940년을 전후한 조선의 언어와 국가의 관계를 조선어학회사건을 통해 재검토하고자 했다. 그 결과 문학잡지 『국민문학에서는 조선어학회사건 이후 잡지에 발표되던 조선어 작품들이 사라지고, 일본어 작품만이 발표된 것을 지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종합잡지 『춘추에서는 조선어학회사건 이후에도 유진오를 비롯한 조선인 작가들에 의해 조선어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었다. 조선어학회사건으로 한국 근대 문학은 종언될 위기를 맞이했지만, 잡지 『춘추의 지면을 통해 조선인들의 상상의 공동체는 지속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examine the relation of the language and the nation in Korea around the 1940s through the incident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ccording to the research, after the incident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works written in the Korean language disappeared from literary magazine Kukminmunhak and only those written in Japanese were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however, general magazine Chunchu continued to carry works written in Korean by Korean writers including Yoo Jin‐oh even after the incident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lthough Korean modern literature was on the verge of termination as a consequence of the incident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Korean people’s community of imagination was preserved through the magazine Chunchu.
조선어학회사건과 해방 후 어문운동의 상관관계—해방 후 조선어학회 어문운동의 원천이 된 조선어학회사건—
정재환 한글학회 2022 한글 Vol.- No.338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Language Society(KLS: 조선어학회) studied and disseminated the Korean language against the colonial government’s Japanese assimilation policy.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Hangeul classes and the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Society was formed and started compiling a Korean dictionary in 1929. They completed the Hangeul writing system, collected standard words, and created a way to write Korean in other languages. These activities were legally carried out for more than 10 years, but all of them were stopped when KLS members and supporters were arrested on October 1, 1942. Some of them were sentenced to many years of prison under Japan’s Public Security Act. The defendants’ claimed that the KLS’s activities were not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but were purely academic. It’s thought that this defense was raised to gain an advantageous position during trial. However, as revealed in a statement of the Joseon Language Dictionary Compilation Association and related records, the KLS was essentially engaged in a language independence movement.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Lee Geuk-ro, Choi Hyeon-bae, Lee Hee-seung, and Jeong In-seung immediately returned to Seoul and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such as reestablishing Korean, writing textbooks, conducting Korean language classes, and starting the Hangeul-only movement, to restore the Korean language. At the time, the media reported in detail on the language movement and how the KLS had suffe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uch that the KLS became respected and adored as independence fighters who were oppressed while defending the Korean language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The public’s support for the KLS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language movement promoted by the KLS, which achieved great results during the three year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in 1948, enacted the Hangeul-only Act, which was a remarkable achievement accomplished by the KLS.
미군정기 국어 교과서의 편찬 과정 재론 -조선어학회와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영훈 배달말학회 2012 배달말 Vol.50 No.-
This paper aims at discussing the circumstance of publishing the textbook Korean in the period of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Previous studies have looked into how the textbooks have injected a certain ideology into students supposing the textbook is one of ideological apparatus. Regardless of some important achievements, these studies lack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circumstance of publishing the textbook Korean, and have made some mistakes. Besides these have focused on some individuals and concluded they influenced on editing the textbook Korean. However this paper have dealt with it in relations among scholarly groups, specifically observed what roles the Society of Joseoneo(조선어학회) played in the process of editing the textbook Koran, how the other scholarly groups reacted to it, how the Central Council of Constructing Korean Culture(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 formed the Committee of Researching and Publishing the Textbooks(국정교과서편찬연구위원회) gathering them and changed some policies of editing textbooks. This paper also have observed how the Central Council of Constructing Korean Culture intervened in editing the textbook Korean. 이 글의 목적은 미군정기 중등용 국어 교과서의 편찬 과정을 재검토하는 데 있다. 해방 후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대개 교과서가 이데올로기 기구 가운데 하나라는 전제하에 교과서가 어떻게 특정 이데올로기를 주입시켜 왔는지 분석해 왔다. 이들 연구가 지닌 의의를 무시할 수 없지만, 그 가운데는 교과서가 편찬된 일련의 과정들에 대한 실체적 검토가 불충분하여 몇몇 중요한 오류들을 드러내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이 글은 조선어학회가 펴낸 중등용 국어 교과서의 편찬 과정을 재검토함으로써 기존의 오류를 바로잡는 한편, 이 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교과서의 제재 선택을 몇몇 개인들의 영향으로 이야기해 온 것과 달리, 이 글은 교과서 편찬에 관여한 제 단체들 사이의 역학 관계 속에서 이 문제를 바라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조선어학회가 교과서 편찬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조선어학회 중심의 교과서 편찬 방침에 제 학술단체들이 어떻게 반발했는지, 이 과정에서 좌파 계열의 문화 단체였던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국어 교과서 편찬에는 어떻게 개입했는지 그 과정을 재구성하였다.
황호덕(Hwang Ho-Du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4
조선어학회사건(1942)은 식민지기 최후의 민족운동으로 북한을 포함한 한일 양국에서 독립운동사의 일부로서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치안유지법 구성을 위한 3단 논법인 조선어연구, 민족의식함양, 조선독립기도라는 정치적 독해에 의해 과영결정된 이 사건이 함경도 함흥의 한 여학생의 일기 혹은 편지로부터 촉발되었음에 주의한 연구는 그간에 거의 없다시피 했다. 나는 이 글을 통해 편지 혹은 일기의 절취에 의해 시작된 이 사건의 발단에 주목하였으며, 모든 사적 서신과 문서를 열람하고 해석할 수 있는 경찰력과 사법권에 의존한 제국 일본의 과잉된 공공성에 대해 해명하려 하였다. 근대의 사적 공간은 통신의 비밀, 양심의 자유를 기본으로 한다. 하지만, 전시 하의 제국일본은 메이지헌법이 ‘비밀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어떤 비밀도 허락하지 않는 완전한 공공성의 실현, 즉 사적 영역의 해소를 통해 치안과 국민정신의 일체성을 함께 담보하려 하였다. 비밀이 있다는 것은 공공 화될 수 없는 지식과 의도를 소유하고 있음을 뜻하는 불온한 상태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국가에서는 모든 사적인 것이 공적인 것과 뒤섞이게 되는데, 따라서 모든 문서는 일종의 열람가능한 ‘엽서’가 된다. 사적 공간의 극한점인 비밀의 장악을 목표로 한상시적인 검문과 검속은 모든 문서들을 공적으로 반쯤 열린 ‘엽서’로 전화시켰다. 우편과 교통의 장악에 의해 모든 사문서는 공문서와 동일한‘열림’을 강요받게 되며, 따라서 모든 문서는‘내면’이 제거된 동질적인 메시지들로 들어차게 된다. 미디어의 장악은 메시지의 단일화로 유도 되였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어학회사건은 공적 미디어 뿐 아니라 연애편지와 일기까지도 전국적인 사건으로 변환시거는 정치성 과잉의 시공간을 우리 앞에 펼쳐 보이는 데, 이 공간이란 모든 내면을 제거해버린 파시즘의 실현에 다름 아닌 것이다. 왜냐하면 파시즘이란 잘 실현된 전면적 동조의 체계가 아니라 내면 자체의 최종적인 제거를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중앙으로부터 가장 먼 곳에서 발생한 하나의 사건이 전국화ㆍ중앙화되는 과정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것은 무엇인가. 지역과 중앙사이,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사이에서 우편, 미디어, 교통의 장악을 완전히 실현한 전체국가는 해석적 교권의 독점을 통해 사적 영역의 완전한 공공화, 모든 장소의 균질화라는 파시즘 궁극의 상태를 실현해 보이기에 이른다. 이것이야말로 파시즘이 근대의 충격적인완성인 이유일 것이다.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ffair'(l942) which is the last resistance movement during colonial period has been addressed as a part of independence movement by both Korea(including North Korea) and Japan. Nonetheless, the event of 1942 has been described with overabundance through the political appreciation based on the syllogism of the study of Korean, fostering of national consciousness, and enterprise of Colonial Korea's independence. The researches which has been continued so far has overlooked the fact that the affair of 1942 was motivated from one diary(or love letter) of a female student from Hamheung, Hamgyung-do. Therefore, this article tries to elucidate the excessive publicness of the Japanese Empire, which is dependent both on police force and on judicial power for reading and interpreting all of private letters and documents, paying attention to the beginning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ffair originated from the torn journal(or letter) of one girl. The regular inspection and restriction of Japan under the period of war transformed almost all documents into 'postcards' which are half opened by official power because authorities aimed at seizing all confidentialities with the pretext of war. Everywhere could be a public sphere under the Japanese rule. With the circumstances, publicness should be nothing but be reduced for the maintenance of security; thus, every private note is forced to be 'discloser' as similar level of official letter under the whole control of mail services and transports by the government authorities. Consequently, all letters consist of homogeneous messages whose 'inner' are eliminated; that is, having full powers of media causes the unification of all messages. Hence,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ffair shows us the superfluous time-space converting not only public media but also love letters and private journals into the national events; the time-space would be illustrated as the sphere of fascism annihilating all the inside of individuals. The fundamental target of fascism is not on the well aligned sympathy but on the perfect exclusion of individuals' inner worlds.
1930년대 조선어학회의 철자법 정리·통일운동과 민족어 규범 형성
임동현(Lim, Dong-Hyun) 한국역사연구회 2014 역사와 현실 Vol.- No.94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national language norms were formed, with the Joseon Language Society’s campaign to unify the spelling system of the Korean languag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Severely concerned by the fact that the Korean language was being sidelined by Chinese studies(漢學) and mutilated by the Japanese aggressors, the Joseon Language Society(朝鮮語學會) tried to restore the Korean language with a formalized spelling system reflecting the original state of Hunmin Jeong’eum(訓民正音) created by King Sejong. The Joseon Language Society engaged in revising the existing ‘Eonmun Orthography(諺文綴字法)’ utilizing the ‘modern system’ used by the colonial authorities.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office, however, did not accept the spelling system suggested by the Joseon Language Society, and tried to block the formation of a Joseon national linguistic system. The Joseon Language Society decided to bypass the ‘modern system,’ and initiated a mass popular movement, holding workshops everywhere in the country. The Joseon Language Society’s spelling system was widely endorsed, and after the liberation it was incorporated into the national language norm. But this spelling system was based upon the alphabetic spelling system, and some people accustomed to the alphabetic spelling system did not agree with this newly formalized standard. Remnants of this alphabetic spelling system remain in the Korean language even today to some deg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