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문규범 갖추기에 쏟은 조선어학회의 노력

        리의도 ( Lee Ui-do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9 No.-

        조선어사전 편찬은 국어연구학회(1908)로부터 조선어연구회에 이르기까지 조선어학회의 중요한 과업이었다. 초창기부터 나름대로 노력했으나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다가, 1929년 한글날에 조선민족 각계의 인사로 조선어사전편찬회를 발기하여 사전 편찬 작업을 본격화하였다. 하지만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1936년 4월에는 편찬회를 해산하고 모든 일을 조선어학회에서 실행하였다. 그렇게 사업을 진행하는 중에도 여러 위기를 겪었다. 재정적인 어려움은 기본이요, 말로 다할 수 없는 `조선어학회 수난`까지 겪었으며, 민족 분단과 6·25 전쟁의 피해도 있었다. 하지만 끝내 포기하지 않고 작업을 계속하여 1957년에 `민족적 권위`를 가진 대사전을 완간하였다. 조선민족의 머리와 손과 힘으로 이루어 낸 한겨레말 사전, 『(조선말) 큰사전』이었다. 그것은 조선민족 말글살이의 준거가 되었으며, 그 이후 모든 한국어사전의 본보기가 되고 출발점이 되었다. 사전 편찬과 병행하여 「한글맞춤법 통일안」,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일본어음 표기법」 등을 제정하였다. 그 모두 조선민족의 자유 의지로 이루어 낸 `조선어의 한글 표기법`이며, 『(조선말) 큰사전』 탄생의 초석이 되었다. 특히 「한글맞춤법 통일안」은 조선어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조선민족의 지혜를 결집한 것으로, 단기간에 한국어 공동체의 공식 표기법으로 자리 잡았다. 어휘 수집과 표준어 사정(査定), 각종 표기법 제정, 대사전의 편찬과 간행, 그 하나하나가 방대한 사업인데, 조선어학회는 제 한 몸 가누기도 어렵던 질곡 속에서 그런 모든 일을 한꺼번에 성공적으로 해내었다. 그러한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8·15 광복과 동시에 한겨레는 시행착오 없이 겨레말 교육에 매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 하나 중요한 점은 그런 일들을 광범위한 참여 속에서 진행했다는 점이다. 각계각층의 사람들을 여건과 능력에 따라 참여하게 했으며, 자유롭지 못한 여건 속에서도 공론의 과정을 거치는 데에 소홀하지 않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폭넓은 관심과 공감과 신뢰를 얻게 되었고, 그것은 성공의 밑거름이 되었다. 실로 조선어학회의 어문규범 갖추기는 민족의 총력―지력, 금력, 심력이 조화롭게 융합된 결정체였다. Compilation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was a crucial task for each of the Society from `the Gugeo Yeongu Hakhoe`(국어연구학회) to `the Joseoneo Hakhoe`(조선어학회, the Joseon Language Society). But, due to several reasons, it wasn`t achieved. On Hangeul Day in 1929, some famous people from various areas of the Korean race established `the Committee for Compilation of Joseon Language Dictionary`(조선어사전 편찬회) and kicked into high gear to work for it. In April, 1936, it was dispersed and instead the Joseoneo Hakhoe became to plan and execute all the work for it. While they worked for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it, they had to pass through many crises. They were suffered from financial difficulties as well as `the ordeal of the Joseoneo Hakhoe` which can`t be described in words. They were also damaged by the Korean War. But they were never disappointed but continued their work for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it. Finally, they made a dictionary, with pro `racial authority`, which they had been longing for such a long time. It was (Joseonmal) Keunsajeon (조선말 큰사전, the Unabridged Dictionary for Joseon language) that was made by brains, hands and powers of the Korean race. It became a criterion of verbal and written language life for the Korean race. Since then, it has become a model as well as starting point for all of the dictionaries of Korean language. In parallel with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Hangeul Matchumbeop Tongilan”(한글맞춤법 통일안, the unified draft for Korean language orthography), “the unified draft for loan-word orthography” and “the phonetic transcription for Japanese language” were established. All of them were the Hangeul orthography for Korean language made by free-will of the Korean race and they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birth of (Joseonmal) Keunsajeon. Especially, as not only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is properly reflected in “Hangeul Matchumbeop Tongilan” but also wisdom of the Korean race is gathered and united in it, it has been position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s an official orthography for communities where the Korean language is used. Each of assessment for standard language, establishment of orthography,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unabridged dictionary is so vast to accomplish but the Joseoneo Hakhoe made them successful in such an ordeal period when it wasn`t easy for every body to live their own lives through. Looking ahead the future of the Korean race in deep darkness, they carried out in silence and with prudence to arrange the basis for refined and smooth verbal and written language life. Due to such an insight, efforts and sacrifice, the Korean race could have strived for the language education for the Korean race without any trials-and-errors at the same time when they were independent from Japan. Another important point to mention is that the above was processed with vast participations. The people from all ranks and classes in Seoul and other regions were made to participate depending upon their individual conditions and abilities, and also it wasn`t neglected to go through the process to have public opinions even under the restricted conditions. By doing that, not only social concerns and interests were gathered but also trust and sympathy were gained, which made it successful for the Joseoneo Hakhoe to arrange norms for verbal and written Korean language. Truly, arrangement of norms for both verbal and written Korean language by the Joseoneo Hakhoe is a kind of a crystal total power of the race is blended with harmony; the power of wisdom, the power of wealth and the power of mind.

      • KCI등재

        조선어학회사건과 해방 후 어문운동의 상관관계—해방 후 조선어학회 어문운동의 원천이 된 조선어학회사건—

        정재환 한글학회 2022 한글 Vol.- No.338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Language Society(KLS: 조선어학회) studied and disseminated the Korean language against the colonial government’s Japanese assimilation policy.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Hangeul classes and the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Society was formed and started compiling a Korean dictionary in 1929. They completed the Hangeul writing system, collected standard words, and created a way to write Korean in other languages. These activities were legally carried out for more than 10 years, but all of them were stopped when KLS members and supporters were arrested on October 1, 1942. Some of them were sentenced to many years of prison under Japan’s Public Security Act. The defendants’ claimed that the KLS’s activities were not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but were purely academic. It’s thought that this defense was raised to gain an advantageous position during trial. However, as revealed in a statement of the Joseon Language Dictionary Compilation Association and related records, the KLS was essentially engaged in a language independence movement.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 Lee Geuk-ro, Choi Hyeon-bae, Lee Hee-seung, and Jeong In-seung immediately returned to Seoul and carried out various activities, such as reestablishing Korean, writing textbooks, conducting Korean language classes, and starting the Hangeul-only movement, to restore the Korean language. At the time, the media reported in detail on the language movement and how the KLS had suffe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uch that the KLS became respected and adored as independence fighters who were oppressed while defending the Korean language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The public’s support for the KLS became the foundation of the language movement promoted by the KLS, which achieved great results during the three year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in 1948, enacted the Hangeul-only Act, which was a remarkable achievement accomplished by the KLS.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는 일제의 동화정책에 맞서 조선어를 연구하고 보급하는 어문운동을 전개했다. 한글강습회를 통해 조선어교육을 실시하고, 1929년에는 조선어사전편찬회를 만들어 조선어 사전 편찬을 시작했으며, 이 과정에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어문 정리와 통일을 기해 민족어 3대 규범인 <한글맞춤법 통일안>,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 <외래어 표기법> 등을 완성했다. 이와 같은 학회의 활동은 합법적으로 진행되었으나, 1942년 발생한 조선어학회사건으로 모두 중지되고, 학회 회원들과 후원자들은 일경에 검거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일제 사법부는 학회의 어문운동을 독립운동으로 규정하여,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검거된 중심인물들에 유죄 판결을 내렸다. 학회의 활동은 독립운동이 아니고 순수한 학술 운동이라는 피고인들의 주장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있지만, 그것은 재판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일반적 변론의 형태였다. 또한 조선어사전편찬회 취지서와 관련 기록에서 드러나듯이 학회 어문운동은 본질적으로 언어 독립운동이었다. 해방이 되어 출옥한 이극로, 최현배, 이희승, 정인승 등은 서울로 돌아오는 즉시 민족어 회복 운동으로서 우리말 도로 찾기, 교과서 편찬, 한글강습회, 한글전용 운동 등을 활발히 전개했다. 당시 언론은 일제강점기하 조선어학회의 어문운동과 수난사를 상세히 보도하여 학회는 일제에 맞서 우리 말글을 지키다가 탄압받은 단체 및 독립투사로서 민중의 존경과 숭배의 대상이 되었다. 이로써 형성된 학회에 대한 민중의 지지는 학회가 추진한 어문운동의 동력이자 원천이 됨으로써, 학회는 미군정하 3년 동안 다대한 성과를 거두게 된다. 특히 1948년 설립된 대한민국 정부가 한글전용법을 제정하고, 한글전용 시대로 나아간 것은 학회가 거둔 눈부신 성취였다.

      • 보훈행정에서 단체 포상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 조선어학회 사건을 사례로

        이광석,오수길 행정언어와 질적연구학회 2011 행정언어와 질적연구 Vol.2 No.2

        보훈의 개념을 설명한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1조에는 ‘국가를 위해 공헌하거나 희생한 국가유공자와 그 유가족에게 국가가 응분의 예우를 행함으로써 그 분들의 생활안정과 복지향상을 도모 하고 국민의 애국정신을 함양토록 함에 있다’고 정의하고 있다. 그런데 민족문화 발전에 역할이 적고 덜 헌신적이며 덜 이바지한 이들은 포상을 받는 데 비해 민족문화 발전에 더 많은 역할을 하고 더 헌신적이었으며 더 이바지한 이는 포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있다. 그 중 역사적 아픔을 안겨주는 경우가 북으로 간 사실 때문인데, 대한민국의 정통성이라는 관점에서 이들을 직접 포상할 수는 없다. 이 글은 대한민국의 정통성이라는 관점과 양립할 수 있는 보완적인 방법을 찾아내어 그 공헌을 인정하는 방법을 논의한 글이다. 즉 직접적 포상이 불가능하다면 간접적으로 그 공헌을 인정하는 논의의 물곬을 터야 할 일며, 실제로 그 보기를 조선어학회 사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제하 국어운동은 조선어학회가 떠맡았고, 조선어학회는 민족의 문화사상에 빛나는 금자탑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가장 많은 일을 한 이가 이극로인데, 그를 직접 포상할 수는 없으므로 단체 포상제도를 도입하여 조선어학회를 단체 포상함으로써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잇는 범위 내에서 史實과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글은 일제하의 대립구조, 대립구조의 와해, 분단의 대립구조 등 대립구조의 변화라는 구조의 관점에서 보아 해결책을 제시한 것으로, 구조의 변화 속에서 동질성을 유지한 단체에 대해 단체 포상제도를 도입하자는 것이다.

      • KCI등재

        해방기 국어 교재를 통해 본 국어와 정전의 형성

        문혜윤 우리어문학회 2015 우리어문연구 Vol.51 No.-

        One of the first decisions to be made in the process of nation building right after Liberation was the establishment of Korean. The Joseon Language Society had tremendous roles to play in the process of the symbolism of Korean being formed and spread. Being stationed in the nation with no preparations for Korean and Korean situations,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nd those in charge of the matters from its education and management bureau appointed the members of the society and adopted the textbooks written by the society so that they would play their roles in the stabilization of the nation. As Korean, education, and textbooks were essential to the formation of people, the publication market of the nation right after Liberation was booming with the publication of government-designated, authorized, and auxiliary textbooks.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 and Korean canon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by looking into the Korean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written by the Joseon Language Society and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published by Jeongeumsa,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society among the several publishers responsible for textbook publication. The study was able to examine the formation of Korean canons as well as that of Korean because most of the textbooks those days were collections of selected works from the colonial period. Published in 1946,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of Jeongeumsa consisted of total six volumes including Volume 1 of Hangul Reader by Jeong In-seung, Volume 2 of Wooam Seonsaeng Gyenyeoseo by Song Shi-yeol, Volume 3 of Collection of Joseon Shijos by Choi Yeong-hae, Volume 4 of Collection of Joseon Proverbs by Kim Won-pyo, Volume 5 of Handbook of Joseon Spelling by Kim Byeong-je, and Volume 6 of Model Sentences for Secondary School by Park Tae-won. Those who were in charge of each of the volumes had relations with the Joseon Language Society in any forms. Compared with the government-designated Korean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that was published almost at the same time, the reader from the Liberation period had common features with it including being organized mainly with the works in circulation during the colonial days and activating the mechanism supporting the formation of Korean and further the nation. First, the works on the materials and topics of youth, young people, and spring held a high percentage in quantity. They proposed the lively power, determination and vision of the new era and helped to cultivate the attitude of people for the new era. Second, they revealed organization and description about weather and nature including the seasons, which reflects the intention to present experiences in abstract forms rather than individual experiences and reorganize them into a new life and memory. Finally, they exhibited the intention to place textbooks in the historicity of Korean and Hangul. One of the common features among the volumes of the supplementary reader series of Jeongeumsa was the elimination of memories of Chinese classics, which was demonstrated by the standard language and spelling rules at the end of each volume and the side dots(attached to the frequently miswritten marks) in the main body. The forms of readers(textbooks) underwent another round of changes as the Korean Language Society lost its influence around the Hangul simplification shock with the anti-communist climate reinforced by the establishment of government, which raises a need to compare them in future study. 해방 직후 국가 건설에서 선결되어야 할 것은 국어의 수립이었다. 국어가 가진 상징성이 형성, 전파되는 과정에서 조선어학회의 역할은 막중했다. 한국어와 한국적 상황에 대한 방비가 없이 주둔하게 된 미군정 및 미군정 학무국 담당자들은 조선어학회의 인사들을 준용하고 조선어학회 저작의 교과서를 채택하여 국가 안정화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국어, 교육, 교과서는 국민의 형성에 필수적인 것이어서, 해방 직후의 출판 시장은 국정 및 검인정 교과서, 부교재 형태의 출판이 활황을 이루었다. 이 글은 조선어학회 저작의 『중등국어교본』과, 교재류의 출판을 담당했던 여러 출판사들 중 조선어학회와의 관련성이 짙은 정음사 부독본총서를 살핌으로써, 해방기 국어와 국어 정전의 형성 과정을 살폈다. 국어의 형성뿐 아니라 국어 정전의 형성을 살필 수 있는 이유는, 그 당시의 대부분의 교재류가 식민지 시기의 작품들을 선별하여 묶은 형태를 띠고 있었기 때문이다. 1946년 간행된 정음사 부독본 시리즈는 총6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1권 정인승의 『한글독본』, 2권 송시열의 『우암선생계녀서』, 3권 최영해의 『조선시조집』, 4권 김원표의 『조선속담집』, 5권 김병제의 『조선어철자편람』, 6권 박태원의 『중등문범』이다. 각 권 담당자들은 어떠한 형태로든 조선어학회와 관련을 맺고 있다. 거의 같은 시기에 출간된 국정 『중등국어교본』과 비교하였을 때 드러나는 해방기 독본의 공통점은, 식민지 시대에 유통되었던 작품들 위주로 구성되었다는 점, 그리고 이것이 국어의 성립과 나아가 국가의 성립을 뒷받침하는 기제를 작동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그 첫 번째가 청춘, 청년, 봄 등을 소재 및 주제로 하는 작품들이 양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들은 새 시대의 약동하는 힘과 의지, 비전을 제시하여 새 시대의 국민의 자세를 함양하도록 하였다. 두 번째는 계절을 비롯하여 날씨나 자연에 관한 구성 및 기술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개별자로서의 경험보다는 추상적인 형태의 경험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생활과 기억의 재구성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는 국어 및 한글이라는 역사성 속에 교과서를 위치시키려는 의도를 드러낸다. 정음사 부독본총서의 공통점 중 하나가 한문학 기억에 대한 소거인데, 책의 말미에 수록되어 있는 표준어, 맞춤법 규정이나 작품의 본문에 제시된 (자주 틀리는 표기에 붙은) 방점 등이 이를 증명한다. 한글간소화파동을 전후로 하여 조선어학회의 영향력 쇠퇴가 드러나고, 정부 수립을 기점으로 강화된 반공 국시의 풍토는 다시 한 번 교과서 및 독본의 형태를 변화시키는데, 이에 대한 비교도 추후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20세기 국어학과 진단학회

        안예리 진단학회 2022 진단학보 Vol.- No.139

        진단학회는 일본인 학자들이 중심이 되었던 청구학회를 견제하며 조선인에 의한, 그리고 조선어를 매개로 한 조선학 연구를 지향했다. 국어학은 1934년 진단학회의 출범 당시부터 역사학, 민속학, 국문학과 더불어 조선학의 주축이 되었고, 진단학회의 국어학자들은 학문적으로뿐 아니라 학회의 경영과 행정의 제반 측면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했다. 『진단학보』에 실린 국어학 논문들은 서구의 언어학 이론을 적극 수용한 연구들로, 경성제대 조선어 전공의 학풍을 반영한 것이었다. 경성제대 조선어문학과 출신들은 진단학회 설립 이전에 조선어문학회를 조직하고 학술지 『조선어문학회보(조선어문)』를 간행하였지만, 조선어문학회는 진단학회의 설립을 계기로 이론적 연구 중심의 진단학회와 실천적 연구 중심의 조선어학회로 분리되었다. 한편, 조선학 연구는 1920년대부터 민족주의 지식인들 사이에서 화두가 되었는데 진단학회의 조선학은 조선을 절대화하거나 특수화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었다. 진단학회 소속 국어학자들도 조선어를 세계 여러 언어 중 하나로 상대화하고 언어학의 방법론에 따라 국어를 연구하며 그 연구 결과를 여타의 언어와 비교함으로써 국어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일본 학계의 왜곡된 연구에 대항한다는 진단학회의 문제의식은 국어학 논문들에서는 뚜렷하게 확인되지 않았지만, 람스테트의 연구에서 잘못된 부분을 지적해 바로잡거나, 오구라 신페이가 아직 다루지 않은 문제를 깊이 파고드는 등 외국 학자들의 연구를 뛰어넘고자 하는 의지와 자신감이 확인된다.

      • KCI등재

        특별논문 : 해방 이후 조선어학회의 정치 지형

        박용규 ( Yong Kyu Par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5 선도문화 Vol.19 No.-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탄압을 받은 조선어학회의 항일투사들은 해방 이후 새나라 건설 작업에 참여하였다. 항일 투사들은 통일 민족국가 건설 운동에 참여하였고, 민주주의 국가 건설에 기여하였다. 조선어학회의 일부 항일투사들은 해방 이후 분단 정권의 수립을 거부하고 통일 민족국가를 건설하고자 좌우합작운동과 남북협상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대다수의 조선어학회 인사들은 민족주의자로서의 입장을 유지하며 민주주의 국가 건설에 기여하는 합리적 보수주의자로서 활동하였다. 이렇게 해방 이후 조선어학회의 정치 지형은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일제로부터 탄압을 받은 33명 가운데 4명을 제외하면, 좌우합작 노선의 인사(6명), 합리적 보수인사(22명), 극우 인사(1명)로 나뉘어져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조선어학회 인사의 대다수는 자본주의와 자유민주주의와 평화통일을 추구하는 합리적 보수주의자였다. 이들은 대한민국을 민주주의 국가로 만드는데 기여하였다. The Korean Language Society was an academic association based on nationalism. The Members of that Society took part in the anti-Japanese struggl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y were anti-Japan fighters. They sought the independence of the country through the Hangul movement. After liberation in 1945, they participated in construction works of a new country, and contributed to building a democratic country. Some of them rejected the division of the country, and wanted a unified nation-state. Six of the 33 members strongly hoped the national unification. One of the members was an extreme rightist. The majority of them(22 out of 33) were reasonable conservatives.They supported liberal democracy and capitalism, and sought peaceful reunification of nation. They contributed to make the Republic of Korea to democracy.

      • KCI등재

        방언에 대한 조선어학회 학자들의 관심과 연구 성과

        김정대(Kim Jung-dae) 한글학회 2017 한글 Vol.- No.316

        이 글에서 필자는 1920년대 초~1950년대 초라는 ‘30년 동안’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방언에 어떤 관심을 갖고 어떤 활동을 해 왔는지를 정리ㆍ평가했다. 조선어학회 회원들의 방언 관련 업적은 정열모 선생이 1927년 3월 『(동인지) 한글』에 발표한 「朝鮮語 硏究의 正體는 무엇?」을 비롯하여 모두 37건에 이른다. 절대 다수의 글이 『(동인지) 한글』과 그 후신인 『한글』에 실렸는데, 방언 관련 글을 발표한 회원은 모두 18명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열모(6건), 권덕규(5건), 정태진(5건), 최현배(4건), 이희승(3건), 최상수(3건), 이상춘(2건), 이극로(2건) 선생 등이 2건 이상의 글을 발표하였다. 30년 중 그 전반기인 1920년대 초부터 1935년 9월까지의 약 14년 동안은 이론적으로 방언에 접근하였고, 그 후반기인 1936년 6월부터 1950년 초까지의 약 15년 동안은 실천적으로 이에 접근한 특색이 뚜렷하다. 관심을 둔 주제로는 용어의 문제, 방언 성격(위상)의 문제, 표준어와의 관계 문제, 각 지역 방언 특색의 문제, 방언 수집의 문제 등이 있었다. 그 30년 동안은 우리 민족의 격동기였는데도 불구하고, 조선어학회를 비롯하여 관심 있는 분들이 방언에 관심을 갖고 이론적 측면에서나 자료 제시의 측면에서나 나름대로 의미 있는 활동을 했다는 점은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많은 것이 갖추어진 오늘날의 처지에서 보면 부족한 점이 한둘이 아니라고 할지 몰라도, 열악한 당시 상황에서 이분들의 업적을 평가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 두 가지 사실을 전제로 하면, ‘30년 동안’의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수행한 방언 관련 업적은 ‘눈부시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the present author summarized and assessed a series of studies related to dialects by the researchers belonging to the academic circle of the Korean language(Joseoneohakhoe, 朝鮮語學會) during the 30 years from 1920’s to earlier 1950’s. The academic works dealing with dialects by the members of this academic circle amount to 37 cases including the paper, “What is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contributed to Coterie Hangeul(Donginji Hangeul) by Jeong Ryeolmo in March 1927. Overall majority of the works were published in Coterie Hangeul(Donginji Hangeul) and its later self Hangeul, and authors or members who contributed dialect-related articles were 18 in all. Concretely speaking, the members who contributed two more articles were Jeong Ryeolmo(6), Kwon Deokgyu(5), Jeong Taejin(5), Choi Hyeonbae(4), Lee Huiseung(3), Choi Sangsu(3), Lee Sangchun(2), Lee Geukro(2), etc. The first half of 14 years from the earlier part of 1920’s to September 1935 saw theory-oriented works, and the last half of 15 years from June 1936 to the earlier part of 1950 practice (field work)-oriented works. The subjects in which they were interested were technical terms, the status of dialect, its relationship to standard language, the distinguished traits of each regional dialect, and the collection of regional dialects. Considering the fact that Korean people experienced the turbulent era in those 30 years, we could not overemphasize their interests in dialects and their significant activities in the related theories and in the dig of data. Although some of inadequacies are revealed from the present full measure viewpoint, the works of the above mentioned researchers should be highly evaluated from the poor conditions at that time. With the premises of the two claims, the works related dialects by the members during those ‘30 years’ could be said as ‘brilliant.’

      • KCI등재

        국고(國故)와 문고(文庫) -조선어문학회의 출판활동을 중심으로

        이용범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6 No.-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publishing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 AKL) in the 1930s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heritage arrange movement(國故整理運動). Unlike Japan and China, Sinographic texts, not Hangeul texts, was considered to be the main national heritage in colonial Korea. The publication work of the AKL was closely related to the trend of the contemporary publishing industry. The first publications of the AKL were Journal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朝鮮語文學會報) and a library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series(朝鮮語文學叢書). Journal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has a high proportion of primary sources and tends to gradually expand, and a change of direction to the collection of primary data is also observed for the library of Association of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series. As the research level of the AKL participants deepened, it is believed that they began to focus on the basic work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primary data, avoiding the presentation of substandard research results. The commercial success enjoyed by Shinseonsa(新朝鮮社)’s Yeoyudangjeonseo(與猶堂全書) was to show the marketability of the national documents. The <Collection of Korean Literature(朝鮮文學全集)> of the JoongAng Inseogwan(中央印書館) was a project aimed at the proven marketability. Lee Byung-gi(李秉岐, 1891~1968) and Kim Tae-joon(金台俊, 1905~ 1949), who were named as proofreaders, were also the most widely known scholars in the Korean Literature study of the time. In contrast to the early publication works of AKL, which relied heavily on their own account, important changes are taking place in the investment of publishing capital in collaboration with the JoongAng Inseogwan. ‘Chunhyang fevor(春香熱)’ in the mid to late 1930s gave great strength to the editor’s <Korean library(朝鮮文庫)>. The publication of <Korean library>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academic society to reunite by reuniting those who had been distant from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as a venue for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with the help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lecturer Kim Tae-joon. Lim Hwa(林和, 1908~1953), the editor of <Korean library>, also devoted himself to academic training and was a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his later writing in the New literature hitsory(新文學史). <Korean Library> was written in Hangeul, so that the readership of the “imagined nation” was broader than the former Sinographic-based publications in the national heritage. The release and commentary by professional scholars added along with the Hangeul notation suggested the direction of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he wide social spread of the most advanced academic achievements of the time, <Korean library> showed the most ideal form of the National Treasury Reorganization Movement. 이 논문은 1930년대 조선어문학회의 출판활동을 국고정리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국문’ 문헌이 논의의 중심이 된 일본과 중국과는 달리, 식민지 조선에서는 한문문헌 중심성이 두드러진다. 조선어문학회의 출판작업은 당대 조선 출판계의 동향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학회의 최초 간행물은 기관지 조선어문학회보 와 <조선어문학총서>였다. 조선어문학회보 는 1차자료의 비중이 높고 점차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며, <조선어문학총서> 또한 자료집으로의 방향전환이 관찰된다. 동인들의 연구수준이 심화됨에 따라 수준미달의 연구성과 발표를 지양하고, 1차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토대작업에 힘을 쏟기 시작한 것으로 여겨진다. 신조선사의 여유당전서 가 만끽한 상업적 성공은 국고문헌이 지닌 시장성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중앙인서관의 <조선문학전집>은 검증된 시장성을 노린 기획이었다. 교열자로 이름을 올린 이병기와 김태준은 당대 조선문학 연구의 가장 널리 알려진 학자이기도 했다. 조선어문학회의 초기 출판작업이 자비(自費)에 크게 의존하는 것이었던 것에 반해, 중앙인서관과의 협업에서는 출판자본의 상황판단과 투자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1930년대 중후반의 ‘춘향열’은 학예사의 <조선문고>에 큰 힘을 실어주었다. <조선문고> 간행작업은 한국문학 연구에서 멀어졌던 동인들이 재결집하여 학회가 재생하는 계기이자, 경성제대 강사 김태준을 매개로 학문 후속세대들을 육성하는 장이기도 했다. 학예사 편집인 임화 또한 학문적 훈련에 함께 매진하며 훗날 신문학사 서술의 기초를 닦을 수 있었다. <조선문고>는 한글표기를 전면화하여 기존의 한문 위주의 국고 간행작업보다 더 폭넓은 ‘상상된 국민’을 독자층으로 삼았다. 한글표기와 함께 부가된 전문학자의 해제와 해설은 국고문헌 해석의 방향성을 제시해주었다. 당대 가장 고도화된 학문적 성과의 폭넓은 사회적 확산이라는 측면에서, <조선문고>는 국고정리운동의 가장 이상적인 형태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1940년대 언어정책과 국민문학 ― 잡지 매체를 중심으로 ―

        김성은 한국일본근대학회 201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4

        본고에서는 1940년을 전후한 조선의 언어와 국가의 관계를 조선어학회사건을 통해 재검토하고자 했다. 그 결과 문학잡지 『국민문학에서는 조선어학회사건 이후 잡지에 발표되던 조선어 작품들이 사라지고, 일본어 작품만이 발표된 것을 지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 종합잡지 『춘추에서는 조선어학회사건 이후에도 유진오를 비롯한 조선인 작가들에 의해 조선어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었다. 조선어학회사건으로 한국 근대 문학은 종언될 위기를 맞이했지만, 잡지 『춘추의 지면을 통해 조선인들의 상상의 공동체는 지속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examine the relation of the language and the nation in Korea around the 1940s through the incident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ccording to the research, after the incident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works written in the Korean language disappeared from literary magazine Kukminmunhak and only those written in Japanese were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however, general magazine Chunchu continued to carry works written in Korean by Korean writers including Yoo Jin‐oh even after the incident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Although Korean modern literature was on the verge of termination as a consequence of the incident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Korean people’s community of imagination was preserved through the magazine Chunchu.

      • KCI등재

        미군정기 국어 교과서의 편찬 과정 재론 -조선어학회와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영훈 배달말학회 2012 배달말 Vol.50 No.-

        This paper aims at discussing the circumstance of publishing the textbook Korean in the period of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Previous studies have looked into how the textbooks have injected a certain ideology into students supposing the textbook is one of ideological apparatus. Regardless of some important achievements, these studies lack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circumstance of publishing the textbook Korean, and have made some mistakes. Besides these have focused on some individuals and concluded they influenced on editing the textbook Korean. However this paper have dealt with it in relations among scholarly groups, specifically observed what roles the Society of Joseoneo(조선어학회) played in the process of editing the textbook Koran, how the other scholarly groups reacted to it, how the Central Council of Constructing Korean Culture(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 formed the Committee of Researching and Publishing the Textbooks(국정교과서편찬연구위원회) gathering them and changed some policies of editing textbooks. This paper also have observed how the Central Council of Constructing Korean Culture intervened in editing the textbook Korean. 이 글의 목적은 미군정기 중등용 국어 교과서의 편찬 과정을 재검토하는 데 있다. 해방 후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연구들은 대개 교과서가 이데올로기 기구 가운데 하나라는 전제하에 교과서가 어떻게 특정 이데올로기를 주입시켜 왔는지 분석해 왔다. 이들 연구가 지닌 의의를 무시할 수 없지만, 그 가운데는 교과서가 편찬된 일련의 과정들에 대한 실체적 검토가 불충분하여 몇몇 중요한 오류들을 드러내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이 글은 조선어학회가 펴낸 중등용 국어 교과서의 편찬 과정을 재검토함으로써 기존의 오류를 바로잡는 한편, 이 문제를 바라보는 새로운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교과서의 제재 선택을 몇몇 개인들의 영향으로 이야기해 온 것과 달리, 이 글은 교과서 편찬에 관여한 제 단체들 사이의 역학 관계 속에서 이 문제를 바라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조선어학회가 교과서 편찬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조선어학회 중심의 교과서 편찬 방침에 제 학술단체들이 어떻게 반발했는지, 이 과정에서 좌파 계열의 문화 단체였던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국어 교과서 편찬에는 어떻게 개입했는지 그 과정을 재구성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