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의 형사법적 함의

        김종구(Kim, Jong Goo)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圓光法學 Vol.37 No.4

        미국, 영국, 이스라엘 등 외국에서는 젠더사칭(gender impersonation)에 의한 간음 또는 친밀한 성적 접촉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실제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기망에 강간으로 처벌되거나, 이스라엘의 경우 행위의 본질(nature of act)이나 행위자의 아이덴티티(actor’s identity)의 기망에 의한 강간으로 처벌된다. 우리의 경우 일반성인 상대 위계에 의한 간음은 비범죄화 되어 피해자가 일반성인인 경우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은 형사처벌 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미성년자나 심신장애자에 대한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은 인공성기의 삽입도 간음에 포함된다면, 형법과 아청법상 위계에 의한 간음으로 처벌될 수 있다. 문제는 일반성인 상대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을 범죄화 할 것인지 여부이다. 여기에서는 무엇을 기준으로 범죄화와 비범죄화를 결정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행위자의 죄책(culpability)과 피해자에 대한 성적 자율성(sexual autonomy)의 침해, 해악(harm)의 발생 여부가 일응의 기준이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은 원하는 사람과 원하는 방식의 성관계를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 개인의 성적 자기결정권(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을 침해한다는 점에서 범죄화의 필요성이 있다. 젠더사칭에 의해 피해자로부터 얻은 동의(consent)는 유효한 동의가 아니라는 점에서 성관계에 대한 유효한 동의가 있다고 보기도 어렵다. 한편,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의 범죄화는 젠더를 둘러싼 여러 가지 논쟁적인 쟁점과도 연관성을 갖고 있다.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을 형사처벌하는 경우 동성애를 부정하고 이성애를 규범에 합치하는 것으로 보는 전통적인 젠더규범(gender norm)을 강제하는 결과가 된다는 비판도 있다. 따라서, 젠더사칭에 의한 간음의 범죄화 문제는 피해자의 성적 자율성의 보호의 관점에 더하여 새로운 변화하는 젠더규범의 존중이라는 관점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젠더사칭의 사례의 특수한 문제의 하나는 간음이 남자의 성기와 여자의 성기의 결합이라고 할 때, 젠더사칭 사례에서는 인공성기(prosthetic penis)에 의한 삽입이 일어난다는 점에서 간음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위계에 의한 간음죄가 성립하기 어렵다. 또한 폭행・협박이 아니라 위계를 수단으로 하는 점에서 유사강간(quasi rape)으로 보기도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사례를 규율하기 위하여 젠더사칭 같은 위계를 수단으로 성기가 아닌 사람의 신체의 일부나 기타 물건을 삽입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조항의 입법도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형법상 일반성인 상대 위계에 의한 간음은 비범죄화 되어 있으므로, 일반성인 상대의 위계에 의한 간음의 처벌도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nd Israel, rape or intimate sexual contact by impersonation of gender is occurring in a variety of ways, and is subject to actual criminal punishment.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t is punished as rape by deception, or in the case of Israel, it is punished as rape by deception of the nature of the act or the identity of the perpetrator under the criminal law. Under the Korean Criminal Code, there is a question as to whether or not to criminalize sexual assault based on gender impersonation. The key here is to decide on what basis to determine criminalization and decriminalization. Whether or not the sexual autonomy of the victim is violated will be the standard of the decis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is a need to criminalize adultery by impersonating gender in that it infringes on an individual’s right to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the person’s free will to have sex with the person he or she wants. Some critics have criticized that if criminal punishment for sexual intercourse based on gender impersonation is the result of denial of homosexuality and forcing traditional gender norms that view heterosexuality as conforming to the norm. Therefore, in the criminalization of sexual intercourse by gender impersonation, the viewpoint of respecting the new and changing gender norms should also be considered. One of the specific problems with the case of gender impersonation is that rape is the combination of a male and female genitals. In the case of gender impersonation,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rape in that the insertion by the artificial genital organs occur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rape by fraud. Also,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a quasi rape in that deception is different from force or coercion. Therefore, in order to regulate such cases, legislation is needed to punish such act of inserting parts of a person s body or other objects other than the genitals by fraud.

      • KCI등재

        공간 인식과 여성에 대한 폭력 - 하성란 · 조경란의 소설을 중심으로 -

        유진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5 No.-

        The study in terms of feminist geography and aimed at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against women. For this purpose, in Cho Kyung-ran’s novel “The French Optical Shop,” “As Strange as Heaven” and Ha Sung-ran’s novel “The Bad Dream” and “The Baby Fingers,” I analyzed the gendering implications of the space where female violence occurs, and looked at how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the space caused by the gender relate to violence against women.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 spatiality where are condensed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including genders, classes, and races, and this makes it political and ideological.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space is not just a difference of experience, but the difference in political and ideological components inherent in the society. For this reason, it is an important task of our time to focus on the political nature and ideology of society through the phenomena that took place there, rather than simply looking at space as a physical construct. First, I looked at the workplace to reveal the relevance of violence women to the gender implication. Next, I looked at the taxi which is public space along with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space. Finally, I looked at home, which was generally perceived as a place of protection, a place of comfort, through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spatial understanding. Due to hierarchical order in the public domain,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workplace. This difference in perception also contributes to violence against women, which has been perpetrated mainly by those who do not consider women to be coworkers and think of women as sexual objects. Nextly, public space can be a place of fear and fear for women, unlike men who freely use public places and enjoy freedom of passage. The fear and anxiety felt by women taking late-night taxis was created by women’s prior experience, which showed that events in society were perceived as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for women, making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ublic space. And we can see that violence in the public space is also the root of our society’s wrong sense of sexuality, which sees women as sexual objects. Finally, the domestic violence against women makes them realize that home is never a safe place and rather a place of violence. Violence against women in home occurred mostly in the absence of male guardians, in which case, the absence of guardians means the public use of possession to intruders. Just as the perception of space can be approached as a matter of violence against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can reduce violence against women from a more fundamental problem. 이 연구에서는 젠더 지리학의 관점에서 공간과 여성 폭력의 상관성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조경란의 단편소설 「불란서 안경원」, 「천국처럼 낯선」과 하성란의 단편소설 「악몽」, 「새끼손가락」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를 분석하고, 공간에 대한 이해의 차이가 여성에 대한 폭력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는가를 살펴보았다. 공간은 젠더와 계급 등의 다양한 사회관계가 응축되어 나타나는 사회 공간으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이로 인해 정치와 이데올로기의 영향을 받는다. 공간에 대한 젠더 인식의 차이는 단순한 경험만의 차이가 아니며 그 사회에 내재된 정치적이며 이데올로기적 구성물의 차이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런 이유로 공간을 단순히 물리적인 구성물로서 보는 것이 아닌 그곳에서 일어난 현상들을 통해 사회의 정치성과 이데올로기를 밝히는 것이 우리시대의 중요한 과제이다. 여성에 대한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의 젠더 함의와 여성에 대한 폭력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해 먼저, 직장이라는 공간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인 택시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인식에 대한 젠더 차이와 함께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으로 보호의 공간, 편안한 공간으로 인식되던 집에서 발생하는 여성에 대한 폭력을 공간 이해에 대한 젠더 차이를 통해 알아보았다. 공적 영역에서의 위계화 된 질서로 인해 직장이라는 공간의 인식에서 젠더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여성 폭력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이는 주로 여성을 동료라고 생각하지 않고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생각하는 이들에 의해 여성에 대한 폭력이 행해졌다. 이러한 기저에는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가 작동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젠더 차이는 자유롭게 공공장소를 이용하고 통행의 자유를 누리는 남성과는 달리 공공장소는 여성에게는 두려움과 공포의 장소가 되기도 한다. 밤늦은 시간 택시를 타는 여성이 느끼는 공포와 불안은 여성의 선험적 경험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 사회 사건들이 여성들에게 직·간접경험으로 인식되어 공공의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만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공공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폭력 또한 여성을 성적 대상으로 보는 우리 사회의 그릇된 성의식이 근원에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여성이 자신의 집에서 성폭력을 당하는 사건은 여성으로 하여금 집이라는 공간이 결코 안전한 곳이 아니며 오히려 또 다른 폭력의 장소임을 인식하게 한다. 집이라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여성 폭력은 대부분 남성 보호자가 부재한 상황에서 일어났으며, 이 경우 보호자의 부재는 침입자에게는 곧 소유의 공용을 의미하기도 한다. 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여성에 대한 폭력의 문제로 접근할 수 있는 것처럼 여성에 대한 폭력은 보다 더 근원적인 문제에서부터 접근할 때야 비로소 여성에 대한 폭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1960∼80년대 젠더-나이체제와 ‘여성’ 범주의 생산

        전희경(Jun, Hee-Kyung) 한국여성학회 2013 한국여성학 Vol.29 No.3

        이 글은 한국사회의 변화하는 현실을 분석하고 개입하려는 여성주의 연구의 일환으로, ‘나이’가 젠더 생산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질문한다. ‘나이’를 분석 대상으로 위치시키고 구체적인 시.공간 속에서 ‘나이’가 젠더구조와 관련되어 작동하는 방식을 이해하기 위한 틀로서 ‘젠더-나이체제’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근대화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던 1960∼1980년대에 어떻게 ‘여성’이라는 범주의 규범성이 생산되었는지를 탐구한다. 산업화 시기 근대화 프로젝트 과정에서 ‘여성’이 호명되고 배치되고 규범화되는 과정은 ‘조국 근대화’, ‘민족중흥의 새 역사 창조’ 등 당시의 지배담론에서 드러나는 역사적 시간성에 대한 특정한 해석에 기반하여 학교, 노동시장, 가족 등의 제도들을 성별과 나이에 따라 구조화하는 일련의 복잡하고도 광범위한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 졌다. 근대적 모성이 집중적으로 작용해야 하는 대상이자 민족의 미래의 담지자인 ‘아동’, 경로효친과 장유유서의 유교질서에 기반한 ‘(웃)어른 공경’의 규범화, 경제발전의 동력으로서 민족의 밝은 미래를 책임질 연령대로서의 ‘젊은이(‘산업역군’)’ 등의 연령범주들이 새롭게 호명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시기는 공교육의 확대로 ‘학령기’가 형성되고 근대적 공/사 분리와 가정중심성에 기반한 근대적 핵가족의 이상이 안착됨에 따라 ‘결혼적령기’가 여성의 삶을 규율화하는 나이 규범으로 재정립된 시기이기도 하다. 이 과정에서 젊음/늙음, 성숙/미성숙의 위계는 이미 젠더화되어 있었고, 젊음에서 늙음으로, 미숙에서 성숙으로 가는 나이 듦의 과정은 성별에 따라 다른 궤도를 따르도록 각본화되었다. 즉 ‘여성’ 범주는 젠더-나이체제를 통해 구축되었고, ‘정상적 여성’이라는 규범성은 ‘자연스럽게 나이 드는 것’, ‘나이에 맞게 사는 것’으로서 수용되었다. As a feminist research that is to analyze and to intervene in the changing gender order, this study is question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the production of gender. I suggest an analytic concept, “gender-age regime”, to re-conceptualize the ‘age’ as not ‘natural process or asset’ but social construction, and examine how the category ‘Woman’ was produced in 1960’s ∼1980’s South Korea. In these decades, there was an hypermasculine state developmentalism and it promoted ‘Modernizing Project’ so fiercely. “Modernizing our Fatherland” or “Creating New History of National Restoration” are the predominant discourses based on Western modern perspectives on the historical time. It is in this context that the modern institutions-school, labour market, family, state-are structured by gender and age. That was a broad and complicated process, in which many concepts and categories are invented: ‘child’ who is both to be cared by modernized mothering and to be called as ‘national future’, ‘elders’ who is to be treated with honor in the confucian social order, and ‘young adult’ who was named as ‘pillar of industry’. Further, ‘the optimal age for marriage’ settled down as a norm which has disciplined many women’s lives. Women and men were not in the same life trajectory,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Woman’s Life’ was considered to be a mother. In conclusion, the gender category ‘Woman’ has been produced through the ‘gender-age regime’ in the specific historical context, and accepted as ‘natural’ just because the age(ing) is ‘natural’.

      • KCI등재

        일본의 고령자 개호노동에서 젠더구조의 현상과 문제점

        박수경(Park, Soo Kyung)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59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 개호노동에 종사하는 남성근로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개호노동의 젠더구조와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남성개호근로자들은 여성근로자들에 비하여 젠더위계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생계부양의 책임수행을 위한 남성성과 개호노동수행의 가치가 충돌하고 있다. 또한 남성이기 때문에 요구되는 직무수행으로 인하여 개호노동은 성별직무분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젠더간 임금격차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남성들의 경험은 오히려 여성근로자들의 불안정한 지위와 역할을 역설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젠더의 기대와 책임을 유지한 채로는, 개호노동의 젠더 질서는 계속 재생산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령자 개호노동의 젠더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개호노동의 전문성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gendered complexities of Japanese elder care work through male care workers’experiences. Although male care workers are higher in the gender hierarchy, their masculinity due to their perception as breadwinners and the value assigned to performing care work have collided. Moreover, male workers are required to perform specific duties, such as physical assistance, which promotes segregation by gender and results in an increasing gender wage gap. Ironically, female workers’ precarious position in the field is brought to the forefront by the experiences of male workers. It is not enough to increase the number of male care workers; gendered expectations or responsibilities must be avoided in order to prevent future prejudice against either gender. Thus, to curtail gender discrepancies,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to enhance expertise in care work.

      • KCI등재

        라틴아메리카의 강제실향민과 젠더박해: 콜롬비아의 국내실향민 사례를 중심으로

        차경미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3 비교문화연구 Vol.69 No.-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forced migration in Latin America over the last 20 years, the size of domestically displaced people expanded and the number of displaced people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violation based on gender, in addition to the longer period of displacement and existing causes of displacement. Forced displacement spread by focusing on the natives and African descendants in the armed conflict situation of Latin America. Extreme violence towards displaced people occurred as a result of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based on power that is rooted in patriarchal traditional culture of the Latin American society. Persecution of gender was developed at par with everyday violence that is inherent in society, not in special circumstances like armed conflicts. Regional conflict's special circumstances and vulnerability, and needs have been underestimated in studies on forced displacement in Latin America. Inspired by these point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orced migration and gender persecution in Latin America by focusing on cases of regional conflict among people displaced in Columbia where the most domestically displaced people in the world have been kept. 본 연구는 콜롬비아의 국내실향민 사례를 중심으로 무력분쟁지역에서 강제이주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 젠더박해의 유형과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젠더박해는 라틴아메리카 사회에 깊게 뿌리내린 가부장적 헤게모니 남성성에 기초하여 위계화 및 권력과 관련을 맺고 발생하고 있으며, 라틴아메리카 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일상의 폭력 연속선상에서 전개되고 있다. 그동안 국내실향민 연구에서 젠더의 특수한 상황과 취약성 그리고 현장의 요구는 과소평가되었다. 또한 국내실향민을 대상으로 무력분쟁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유형의 젠더박해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외된 경향이 있다. 그리고 젠더박해는 여성과 여아에 대한 폭력으로만 이해하려는 경향으로 인해 남성 피해자의 경험은 은폐되어왔다. 권력을 갖고 영향력을 발휘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의해 주변화 된 이성애 남성들도 차별화된 방식으로 분쟁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콜롬비아의 무력분쟁 전개과정에서 발생한 젠더박해에 대한 고찰을 통해 축소되고 은폐된 약자의 경험을 기록하고자 한다.

      • KCI등재

        ‘무능한 남성’과 ‘불온한 예술가’, 그리고 '여성혐오'-여성주의 시각으로 김수영 문학을 '다시' 읽는 일

        조연정 한국시학회 2019 한국시학연구 Vol.- No.57

        In the 1960s, the Korean society, which had been under turmoil after the war, established the framework of the national state and established the dictatorship, capitalist system, and patriarchal system of militaryism. In order to break through the difficulties of political repression and the colonial situation, this struggle of nationalism, postcolonialism, and liberalism has been done. In the area of everyday life, modern private homes have been born and gender division of men and women has become stronger. It is also important to check that the relocation of gender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as begun to take place at this time when the middle class nuclear family model has been established and women become attached to the private realm and become bound to “invisible labor”. Until the 1980’s when the feminist point of view began to be introduced into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male subject was mainly analyzed and implied as the universal voice of Korean literature. This is related to the process of women’s re-colonization by men in Korean society since the 1960s. 1960년대는 전후의 혼란을 거친 한국사회가 군사주의 독재 체제, 자본주의 체제, 가부장 체제를 동시에 공고히 해나가던 시기로 기억된다. 이 시기는 한국 사회의 정치적 부자유의 상황과 신식민적 상황의 모순을 돌파하기 위해 민족주의, 탈식민주의, 자유주의 등의 이념이 격론을 벌인 시기이기도 하지만, 일상의 영역에서는 근대적 개념의 사적 가정이 탄생하며 남녀의 성별 분업이 공고해지기 시작한 시기이기도 한 것이다. 중산층 핵가족 모델이 보편화되기 시작하며 사적 영역으로 귀속된 여성들이 ‘보이지 않는 노동’에 결박되게 된 이 시기에, 한국 문학사에서도 젠더 위계가 성립되기 시작했다는 점은 중요하게 점검될 필요가 있다. 한국 문학사에 페미니즘적 관점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1980년대 이전까지의 시기에, 주로 ‘남성 개인’의 내면이 한국 문학의 보편적 발화로서 분석되고 의미화된 것은, 196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서 남성에 의한 여성의 타자화가 제도적으로 정착되는 과정과 무관할 수 없다. 김수영의 시와 산문이 쓰여진 시기가 1950년대로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 그러니까 이 같은 젠더 재배치가 급격하게 일어나기 시작한 시기와 겹친다는 점은 주목할 사실이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할 때, 그의 작품에서 여성인물들이 재현되는 양상을 살피는 일은, 그 시대를 조감하기 위해서도, 당대 전위적 자유주의 지식인의 젠더인식의 한계는 물론, 이후의 한국 문학사가 취한 ‘남성적 보편’이라는 문제적 현상을 성찰하기에도 유의미한 작업이 된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김수영 문학의 여성인식을 ‘무능한 남성’과 ‘불온한 예술가’로서의 자의식과 관련하여 살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피식민 지식인 남성의 젠더 인식의 한계를 확인하였으며, 흔히 ‘자기혐오의 장치’로 해명되기도 하는 김수영의 ‘반여성주의’가 내포한 문제적 지점들을 짚어보았다. 이 글의 궁극적인 목적은 1960년대의 전위적 지식인이자 시인으로서의 인간 김수영을 페미니즘의 시각으로 재단하려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이 글이 목적하는 것은 텍스트 분석을 토대로 김수영 문학에 나타난 여성인식을 살피고, 이를 통해 1960년대 문학이 사유한 정치성과 미학성의 젠더적 한계를 가늠함으로써 그간의 한국 문학사가 놓친 부분을 성찰하려는 것이 된다. 나아가 이 글은 그간 한국 문학사에서 ‘주변화된 남성성=불우한 예술가/지식인’의 형상이 주로 여성 인물의 침묵과 희생을 통해 낭만화되기도 했다는 사실을, 김수영을 경유하여 사유하려는 목적도 지닌다. 궁극적으로 ‘남성적 보편’의 문학사와 ‘미학적 자율성’의 윤리를 재사유하려는 이러한 작업은 2019년 당대의 한국 문학을 정치성의 관점에서 재정의하기 위해서도 요청된다.

      • KCI등재

        1970년대 근대 국가 논리 속에서 장려된 중산층 가정의 욕망과 허상의 젠더성

        권현정(Gwon Hyeon Jeong)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이 연구는 1970년대 중산층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당대 정권의 정책과 연관하여 김승옥의 「강변부인」을 살펴본 것이다. 중산층 가정의 주거공간, 생활양식은 당대의 근대적 표상으로 제시된다. 이 과정에서 발견되는 중산층(으로)의 욕망은 주체가 느끼는 성적 욕망과도 맥을 같이한다. 이때 주체의 성적 욕망은 한낱 망측한 본능으로만 간주된다. 하지만 작중 말미에서는 결국 그 망측한 욕망이 중산층과 중산층 가정의 허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장치로 활용된다. 왜냐하면 중산층(으로)의 욕망은 계층 상승을 위해 자신의 몸과 집을 교환가치로 전락시키고, 이 과정에서 가정 또한 불륜의 묵인 및 방관을 통해 가장 불건전한 형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소설은 위와 같은 당대의 시대상을 대중소설이라는 이름 아래에서 교묘히 드러내고 비웃으며 그 실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작중에서 보여주는 중산층의 판타지에는 적나라한 젠더적 위계가 녹아있다는 사실이다. 똑같이 계층 상승의 욕망에서 비롯된 행위임에도 남성의 행위는 건설적인 것으로 여성의 행위는 천박한 것으로 치부되며 젠더적 위계가 나누어지기 때문이다. 이는 중산층의 부조리나 천박한 면모를 여성적인 것과 동일시하는 태도이다. 김승옥은 「강변부인」에서 당대의 질서와 거리를 두고 객관적으로 시대를 읽어내며 통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작가 스스로도 젠더적 위계를 통해 개발 이데올로기 담론을 구성하였던 지배 질서의 함정에서는 벗어나지 못하고 소설 속에서 그대로 체화하고 있었던 셈이다. Focusing on a key word of middle-income family in the 1970’s, this study examined 「Mrs. Kangbyun」 of Kim Seung-ok in relation to regime and its policy at that time. Residential space and lifestyle of middle-income family is presented as a modern symbol at that time. In this process, desire for middle-income family goes along with sexual desire the subject had. The sexual desire of the subject is considered only as a vulgar instinct. However, at the finishing part of the novel, the indecent desire is used as a device to represent the delusion of middle-income or middle-income family. It is because desire for middle-income family degrades her body and house as exchange value for class rising and in this process, her family is also maintained in an unwholesome form through connivance and onlooking of infidelity. This novel reveals the reality by skillfully deriding popular vein and mass appeal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the point to notice here is the fact that explicit gender hierarchy is embedded at fantasy of middle-income family disclosed by the novel. Though they are the same behaviors caused by the desire for class rising, the man’s behaviors are considered constructive and the woman’ behaviors are discounted as something vulgar. They are divided due to gender hierarchy. It is because there is an attitude to identify the absurdity or vulgar aspects of middle-income family as feminine things. Kim Seung-ok definitely tried to read the signs of and gain an insight into the time through 「Mrs. Kangbyun」, keeping a distance away from the order at that time. Nevertheless, the author himself is embodied as he is at the novel, not getting away from a trap of the ruling order to compose ideological discourse developed by gender hierarchy.

      • KCI등재

        오염의 메타포와 경계 허물기 - 1980년대 이후 한국 ‘여성 시’에 대해

        여태천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2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의 ‘여성’의 자리에 대해 다시 묻고, 1980년대 이후 한국‘여성 시’가 이를 어떻게 형상화했는가를 살피고 있다. 특별히 ‘여성 시’에서 발견되는 ‘오염’과 ‘더러움’의 메타포가 가부장적 위계질서의 결과이며, 그 폭력에 저항하는 ‘여성 시’의 특징과 한계 그리고 새로운 가능성을 최승자, 김혜순, 허수경, 김이듬, 김민정의 시를 중심으로 자세히 검토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여성 시인들은 자신들이 당면했던 제도적 모순에 대해 격렬하게 발언했으며, 이 점에서 ‘여성 시’가 갖는 폭발적인 에너지는 눈여겨봐야 할 만큼 중요하다. 그들은 자신들이 겪었던 고통의 원인이 가부장적 위계질서와 절대 권력이라는 사실을 자각하고 적극적으로 부정했다. 가부장적 위계질서는 여성에게 주체로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가능성을 막고, 당연히 주어져야 할 인간적인 지위마저 무너뜨려 왔다. 여성은 가부장적 위계질서 안에서 언제나 ‘위험한’ 자리였다. 가부장적위계질서가 정해놓은 영역 밖으로 나가는 것은 여성에게 허용되지 않았다. 가부장제에서 여성 주체가 더러움과 오염으로 낙인찍히고 존재론적 재난을 겪는 일은 비일비재했다. 오염된 여성의 몸은 가부장적 위계질서 안에서 여성이 어떻게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억압을 받아왔는가를 보여준다. 1980년대 이후 ‘여성 시’들은 이전까지의 시와 확연하게 구분되는 개성을 드러내는데, 그동안 쓰지 않았던 비속어나 거친 언어를 표출한다. 솔직하고 거침없는 이들의 언어는 자신들이 겪은 깊은 절망과 위기의식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동시에생명을 잉태하고 보호하는 여성 고유의 역할이 세계의 폭력성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보여주었다. 생명의 탄생이나 삶의 항상성과 관련된 여성적가치를 일깨우는 다양한 작품들이 발표되었으며, 근원적인 모성성의 가능성을 여성의 몸을 통해 형상화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성애적 성 정체성의 틀 안에서 ‘여성의’ 문제를 다루었다는 한계를 지닌다. 가부장제의 희생자이면서도 그것의 충실한 조력자가 되어온‘어머니들’에 대해 냉철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젠더의 규범적 재생산이 가능했던 배경에는 이성애 중심주의와 가족이라는 제도가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는생명성의 근원으로서의 가능성이 완고한 이성애적 남성중심주의 질서를 허물 수 있을지에 대해 물어야 한다. 그 방식은, 한편으로 지배문화에 대한 대립과 부정에 지나친 에너지를 빼앗기지 않으면서, 또 한편으로는 인간에 대한 차별을 완전히 무력화시키는 방법이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sks about the phase of ‘female’ in Korean society, and studies how Korean ‘female poetry’ have expressed this since the 1980s. The metaphor of ‘contamination’ in ‘female poetry’ since the 1980s, that is the result of the patriarchal hierarchy. And this article looks at the characteristics, limitations and new possibilities of ‘female poetry’ against hierarchical violence. Since the 1980s female poets in Korea vehemently spoke about the institutional contradictions they faced, in this regard the explosive energy of ‘female poetry’ is important to note. They realized that the cause of their suffering was patriarchal hierarchy and absolute power, and they actively denied it. Female has always been ‘dangerous’ within the patriarchal hierarchy. It is not allowed to be outside the realm established by the patriarchal hierarchical order, and it is bound to become a dirty being. In patriarchy, it was not uncommon for a female subject to be stigmatized by dirt and contamination. The contaminated female’s body shows how she has been physically and mentally oppressed within the patriarchal hierarchy. Since the 1980s, ‘female poetry’ expressing profanity or harsh language has not been used in the past. At the same time, they have shown how female’s unique role in conceiving and protecting life can change the world’s violence. Various works have been published that awaken the feminine values related to the birth of life or the homeostasis of life, and have embodied the possibility of fundamental maternity through the female body. Nevertheless, it is a limit to dealing with the ‘female’ problem in the framework of heterosexual gender identity. It is time for a cold analysis of the mothers who have been victims of patriarchy and who have been faithful supporters of it. Heterosexualism and family system were the backgrounds for gender normative reproduction. Now we have to ask if the possibility of being a source of vitality could break down a rigid heterosexual male-centeredorder. ‘Female poetry’ should be a new resistance to seek identity within oneself. It should be a way without losing the excessive energy of conflict and denial against the dominant culture, on the other hand completely undoing discrimination against humans.

      • KCI등재

        젠더화된 국가 재건과 잃어버린 열정: 박경리의 『표류도』(1959) 다시 읽기

        김은하 ( Kim Eun-ha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7 No.-

        박경리의 『표류도(漂流島)』(1959)는 사랑은 여성에게 상승과 구원일 수 있는지 질문하는 문제적인 텍스트이다. 박경리는 해방세대 여성 지식인의 사랑을 통해 사회 재건의 젠더정치적 속성을 포착하고 있다. 사생아를 낳은 전쟁미망인의 사랑과 좌절의 서사는 식민지기의 ‘신여성’, 해방기의 ‘노라’, 전후의 ‘아프레 걸’로 이어지는 여성 주체화의 시간이 재조정되는 젠더사의 흐름을 보여준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대한민국 형법이 시행된 1953년부터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기 전인 1960년까지는 전쟁미망인의 증가, 생계 불안, 전통 질서의 동요, 미국 문화의 확산, 범죄와 부패의 범람 등 다양한 사회 문제가 불거진 시기였다. 이렇듯 위태롭고 불안한 사회에 대한 국가의 대응책은 성적 문란함이라는 모호한 기준을 중심으로 비정상적인 것 혹은 비국민을 발명해 내는 풍기문란의 정치였다. 국가 권력이 겨냥하는 대상은 대체로 정상 가족 바깥의 여성들이었다. Park Kyung-ri’s 「Pyoryudo」(1959) is a problematic text that asks a woman if love can be elevating and a salvation. Park Kyung-ri captures the gentler political nature of social reconstruction through the love of female intellectuals of the liberation generation. The love of a war-weary woman who gave birth to an illegitimate child and its narrative of frustration will have to be identified in the stream of Zander’s history, in which the time of female self-reliance, leading to the colonial “new woman”, the liberation period’s “no”, and the post-war “apre girl”, are readjusted. From 1953, when the Korean War ended and the Korean criminal law took effect, until 1960, before the military coup took place, various social problems arose, including the rise of a war-ravaged population, the instability of livelihood, agitation of the traditional order, the spread of American culture, and a flood of crime and corruption. The nation’s response to such a precarious and unstable society was the politics of an abnormal thing or an unwritten one that invented a non-people based on the vague criteria of sexual promiscuity. The targets of state power were mostly women outside of their normal families.

      • KCI등재

        영화 〈족구왕〉에 드러난 의미 없는 행위의 정치성과 상상적 연대 가능성에 대해서

        권현정(Gwon, Hyeon-Jeo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2

        〈족구왕〉은 2010년대에 개봉한 한국 영화중에서 신자유주의라는 지배질서에 맞서 대항할 방법으로 의미 없는 행위를 제시하고 나아가 새 연대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런데 영화에서 제시한 새 연대의 모습은 지금 이곳에서 실현 가능한 연대가 아닌 상상적 연대이다. 이는 새 연대가 신자유주의라는 체제에 맞서기 위해 결성된 것임에도 정작 그 체제와 중첩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는 전혀 문제 삼지 않고 오히려 철저히 그 질서를 따르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르면 새 연대는 연대의 시발점에서부터 젠더 위계를 나누는 등 배제를 기본 질서로 규정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연대는 어떤 변화를 위한 과정 중의 하나가 아니라 그 자체가 달성되어야 할 고유한 가치이다. 이를 가장 최우선의 목표로 두고 그것이 달성되는 과정에서는 어떤 구별 짓기도, 차별도, 위계도 나누지 않아야 할 것이다. 배제하는 것 자체를 배제할 때 새 연대의 가능성은 먼 미래 혹은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실현 가능한 것이 될 것이다. Among Korean movies released in the early 2010s, The King of Jokgu is significance for describing the possibility of a new solidarity, by presenting meaningless acts as a way of countering the dominant order of neoliberalism. However, the image of the new solidarity presented in the film is not one that can be realized here, but is rather an imaginary solidarity. This is because it was meant to confront neoliberalism, but was prevented from doing this by the existing patriarchal ideology which followed the neoliberal system without objection. Accordingly, new solidarity regulates its exclusion as a basic order, such as sharing the gender hierarchy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coalition. However, solidarity is not one of the various processes for change, but a unique value that must be achieved by itself. This should be the most important goal and there should not be any discrimination, or hierarchy in the process of achieving solidarity. When excluding exclusion itself, the possibility of the new solidarity is not limited to distant future or the imagination, but can be realized here in the pre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