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三國演義》다시읽기(2) : 諸葛亮, 지식인의 상상적 자아

        이소영,김진공 한국중국어문학회 2006 中國文學 Vol.48 No.-

        《三國演義》的敍事時間結構是由相互關聯的兩個層面-由歷史典籍記載所形成而再演的'歷史敍事時間'和由敍事主體想像力所加工來的'虛構敍事時間'-熔鑄而成的. 通過歷史敍事的敷衍和想像的變奏大半由蜀漢集團及其君臣的命運來形成, 而居其想像變奏時間之首是'諸葛亮'敍事. 最爲虛構化的諸葛亮敍事正是《三國演義》的作者和讀者想像的自我被解放出的時空. 將諸葛亮做爲虛構化的主人公之方法, 按照情況不同大致可以分爲兩類: 第一類, 通過在史書上有所記錄大膽改造, 或者明顯不是史實却採用野史記載或吸收民間故事, 而甚至僅憑作者想像力娓媚道來的, 第二類, 在歷史上確有其事, 但決沒關係到諸葛亮, 使用移花接木之法, 把那些事裏面別人的功勞統統移到了諸葛亮的身上. 由此導致了將劉備變成一個無能的小兒之結果. 通過以上兩類的虛構, 將'軍師'諸葛亮塑造成爲一位書生出身而具有將略的豪傑, 名符其實的'王者師'和事實上指揮·控制着一切的蜀漢支配者, 而且成爲創造出'三國'這歷史時間的眞正主角. 對于諸葛亮的形象的描寫, 以失荊州爲界, 截然地分爲前後兩個階段. 前一個階段的諸葛亮, 通過以第一類虛構化方法爲主的敍事而突出'神化'傾向, 但後一個階段的'丞相'諸葛亮就漸漸轉變成"謀事在人, 成事在天"的悲劇形象. 做爲虛構化的諸葛亮形象可視爲知識階層的'想像的自我'. 文本虛構敍事時間裏面的諸葛亮身上, 寄托了宋代以後士大夫階層的'共治意識'. 士大夫-知識分子具有相對獨立的天下統治權, 自覺表達了'以治者自任'的政治理想. 文本上的諸葛亮正是圓此夢的, 旣是意蘊着那咯索斯情結的被美化的自畵像, 反映出毫不掩飾地以目前天下主人自許的英雄自我.

      • KCI등재

        雲南의 諸葛亮

        정면(Jeong, Myeon) 역사문화학회 201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1 No.1

        이 연구는 225년에 일어난 諸葛亮의 南蠻 정벌과 그것이 만들어 낸 ‘가짜’ 역사 및 유적과의 관련성에 대한 검토이다. 특히 ‘七縱七擒’의 무대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쪽으로 점차 확대되어 간 현상에 주목하였다. 기존 연구를 토대로 제갈량의 남정 노선과 雲南지역에 퍼져있는 제갈량 관련 전설 및 유적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아울러 운남 서부지역과 미얀마 지역으로 관련 전설이 확산되는 역사적 계기로서 南詔國의 존재를 지목하고, 그 관련 기록과 그 연결 지점들을 살펴보았다. 현재의 雲南 保山 지역은 3세기 중반 이후 14세기 후반 明王朝가 진출할 때까지 중국 국가의 행정적 힘이 직접적으로 닿지 못하였다. 그러나 9세기 초반의 기록은 이 지역에 제갈량의 이름을 붙인 城과 제갈량을 제사하는 사당이 존재했음을 전하고 있다. 이 잃어버린 고리를 이어주는 것이 남조국과 大理國의 역사이다. 남조국이 성립하기 이전 따리 지역에는 제갈량의 남정을 자신들의 ‘역사’의 일부로 활용하는 세력이 존재하였다.『張氏國史』로 대표되는 세력이었다. 『紀古滇說集』에 채록된 제갈량 남정 관련 기록의 원본은 이들에 의해 만들어졌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자신의 관할 지역에서 諸葛武侯城의 명칭을 사용하고, 그를 숭배하는 祠堂을 유지시킨 남조국의 지배 집단도 이러한 ‘역사’ 서술체계를 용인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남조국의 개창자는 張樂進求가 주재하는 ‘鐵柱祭祀’에 참여하였으며, 『기고전설집』은 장락진구가 그에게 ‘禪讓’했다고 적었다. 특히 8세기 후반 永昌(현 保山) 지역에 진출하여 개발을 시작한 南詔王室의 입장에서 남만 정벌에 성공한 ‘제갈량’의 역사적 권위가 필요했는지도 모른다. 역사는 전설을 만들고, 전설은 다시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한 셈이다. This study examines how and by whom the ‘fake’ history and relics regarding Zhuge Liang’s Southern Campaign, which historically occurred in 225 AD, were created and became prevalent in current Yunnan and Myanmar areas.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phenomenon of the shifting locations of ‘The Seven Captures of Meng Huo(七縱七擒).’ The event arguably happened during the Campaign in the Eastern part of Yunnan, but the location of the event gradually moved towards the western part of Yunnan and even further west of modern day Myanmar as time passed. Reviewing existing studies, this research first examines that the actual expedition routes of Zhuge Liang is incongruent with the legends and relics related to his campaign in the Yunnan area. In fact, although the current Baoshan area in Western Yunnan enjoyed autonomy with little interference from the Chinese states between the mid-3rd and the late 14th century, records of a castle and shrines dedicated to Zhuge Liang as evidence of Zhuge’s conquest of the region began to appear from as early as the 9th century. Considering that the main arena of Zhuge’s campaign was limited in Eastern Yunnan, such relics and legend in Baoshan had little historical ground and is no more than a “fake” history. My study highlights the role played by the Nanzhao (738~937) and Dali (937~1253) Kingdoms in creating such legends and relics in the Baoshan area as an effort to legitimize their power over the region. Even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Nanzhao Kingdom, Zhang lineage, the local power elites of Bai(白) tribe, celebrated Zhuge’s Southern Campaign as part of their ‘history’ in the Dali area by publishing ‘Zhangshi guoshi(張氏國史)’. In the book, they asserted that Zhuge selected Zhang lineage as the ruler of the region. It is even possible that they were responsible for creating the original legend of Zhuge Liang’s Southern Campaign in Baoshan, which first appeared in Ji gudian shuoji(紀古滇說集). Such narrative was actively employed by the royal family of Nanzhao kingdom, who named Zhuge Wuhou(諸葛武侯) castle and maintained the shrine that worshiped Zhuge. In fact, Xinuluo (细奴逻),the founder of the kingdom, allegedly participated in the “ritual ceremony for the iron pillar(鐵柱祭祀)” organized by Zhang Lejinqiu(張樂進求), the last ruler of Bai(白) tribe before Nanzhao kingdom. Jigudianshuoji even argued that Zhang Lejinqiu voluntarily passed his throneto Xinuluo. In doing so, the Nanzhao royal family utilized the “aura” of Zhuge Liang, who successfully conquered the Yunnan area with virtue to strengthen/legitimize their newly established power over the Baoshan area. History created legends, and legends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a new history.

      • KCI등재

        초상화찬을 통해 본 조선후기 제갈량 초상 담론

        김기완 ( Kim¸ Ki-wan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제갈량 초상은 조선 문인의 거처 경영시 김시습 등 다른 인물의 초상과 함께 배치되는 등 초상의 전시 상황과 거처 주인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연계적 의미망을 만들어냈기에, ‘문학/회화/전시 공간 내지 맥락’이라는 의제 차원에서 향후 다루기 적합한 연구 대상이다. 또한 초상은 곧 그 인물을 의미하기에 숭모행위라든가 특정 가치 지향과 연계되었고, 제갈량 초상과 같이 특정 집단 내에서 애호될 때에는 상징적 의미를 띠는 아이콘의 기능까지 지니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부분에 주목하는 일련의 향후 연구를 위한 선행 작업으로서, 우선 초상화찬을 통해 조선후기 제갈량 초상 담론의 일면을 살피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송시열의 <武侯畫像贊>은 17세기 제갈량 초상화찬의 성격과 언술 요소, 참조문헌들의 목록을 가장 명확하게 담고 있는 작품으로, 朱熹가 남긴 제갈량 초상관련 시문 및 자료들을 상당수 의식하면서 ‘주자’ 식의 의미화와 일종의 집대성을 시도한 작품이다. 송시열의 문인 조근의 사례를 통해서는 제갈량 초상 이미지를 둘러싼 갈등과 쟁투의 일면을 엿보고, 초상과 관련된 텍스트에서 제갈량에 대한 尊慕와 自處, 공경과 동일시를 둘러싸고 물밑에서 일종의 경쟁과 갈등이 일어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明之遺民’으로서의 자기인식 위에서 제갈량 초상을 매개로 對明義理와 북벌을 천명한 초상화찬으로는, 18세기 노론계 문인 안석경의 贊 작품이 대표적이다. 또한 근대기 이승희의 찬 사례는 주희 식의 제갈량 담론을 계승하면서도 제갈량의 능력과 자질을 송대 유학자들보다 한층 고평가하는 국난기의 양상을 보여주며, 동시에 노론 이외의 문인학자들이 남긴 제갈량 초상 담론의 계보, 또한 일제시대까지 이어지는 본 담론의 계승과 변주 양상에 대한 주목을 촉구한다. Zhuge Liang’s portrait was placed with other portraits such as Kim Si-seup when managing the residence of Joseon writers themselves, and a network of related meanings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owner’s(who had portrait of Zhuge Liang in his house) intentions. This paper explores one aspect of Zhuge Liang’s discourse toward portraits which had been related to symbolic Icon in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portrait panegyrics. Song Si-yeol’s portrait panegyric toward Zhuge Liang is the most comprehensive work in 17th century, many narrative elements and references were directly came from Zhu Hui’s literature. In the case of Jo Keun, who was a literary man of Song Si-yeol, we can catch the political enmity throughout the image of Zhuge Liang and related texts. Based on Ahn Seok-kyung’s self-awareness as “Remains of Ming dynasty”, his portrait panegyric dealt with expedition toward North(Qing dynasty) in the 18th century. In addition, Lee Seung-hee’s portrait panegyric in modern times showed that succession and variation which was based on thought of confucian scholars in Song Dynasty at the same time, even in near Japanese colonial period.

      • KCI등재

        조선후기 제갈량 담론의 지속과 변용 -북벌 담론을 중심으로-

        김기완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2 大東漢文學 Vol.72 No.-

        본고는 조선 내 제갈량 담론의 주요 요소 중 하나인 ‘北伐論’이란 키워드를 중심으로 제갈량 관련 시문 내의 서술 논리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제갈량 담론과 북벌 화소의 연합을 보여주는 조선후기 사례로는 송시열과 김수증, 이현일과 관련되는 이상정의 작품 등을 예시하였고, 근대기의 사례로는 한주학파의 와룡 허호 관련 산문들이 주가 된다. 제갈량 담론과 ‘북벌’ 화소의 결합은 중국 인물의 초상이 조선의 정치・문화 상황에 따라 재해석되는 양상을 살펴보는 작업으로서 유효하며, 주희의 제갈량관에 입각한 제갈량 초상 담론이 호란 이후의 현실과 맞물려 어떻게 조선화되었는지를 보여준다. 특히 본고의 2장에서는 『朱子年譜』의 臥龍菴 등장 대목, 주희의 제갈량 애호와 연관되는 『朱子語類』 중의 두보 시 <古柏行> 관련 대목에 대한 해석과 수용을 보여주는 조선후기 문인들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 분석하였다. 또한 한주학파의 사례는 조선이 처했던 국난 극복 의지의 일환으로서 제갈량이 지속적으로 소환되고 관련 도상이 계속 생성되는 20세기 초의 상황을 대표한다. ‘북벌’의 대상이 이미 병자호란 이후의 청나라로 국한되지 않았고, 대적해야 하는 상대도 더 이상 ‘북쪽’에만 있지 않아 국제정세가 한층 복잡다단해진 제 국면 속에서도, 제갈량과 와룡 형상이 국난기의 현실 대응 모델이자 한 상징으로서 근대기 지식인들에게 여전한 의미가 있었던 정황을 한주학파의 사례가 보여주고 있다. 한주학파 지식인들 중 다수는 식민지 시기에 독립운동에 투신(곽종석, 최익한, 김창숙)하거나, 국외 망명 및 망명을 염두에 둔 해외체험을 한 경험(이승희, 장석영)이 있었던 만큼, 식견을 현실 문제 타개에 적용하고 외세의 무력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인으로서의 제갈량상이 근대기 문인들의 입지와 맞닿아 있었던 것이 아닐까 추정해보았다. 종합적으로 볼 때 북벌 담론을 중심축에 둔 본고의 논의는 청나라의 지배 상황에 대응하여 형성된 조선후기 제갈량 담론이 근대기(구한말~일제시대)에 이르러서도 지속・변용되는 양상을 보여준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이순신과 제갈량의 생애·사상·업적에 관한 연구

        김강녕(Kim, Kang-Nyeong) 한국국회학회 2021 한국과 세계 Vol.3 No.2

        이순신은 종종 제갈량, 넬슨, 도고 등에 견주어 비교·평가되어 왔다. 이 글은 이순신과 제갈량의 생애·사상·업적을 고찰·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순신과 제갈량의 생애와 사상, 이순신과 제갈량의 주요전투·역량의 비교, 이순신과 제갈량의 업적의 역사적 함의를 살펴본 것이다. 이순신은 해전사적으로 승전기록에 있어서 타의 추종을 불허함은 물론 문무를 겸전한 숭고한 인격의 소유자로서 조국에 대한 지극한 충성심과 탁월한 전장리더십을 발휘한 해군의 명장이다. 제갈량은 적벽대전 승리로 중국의 삼국시대를 정립했고 많은 고사성어의 주인공이기도 하며, 오늘날에도 중국인들로부터 존경을 받는 문무를 겸비한 촉한의 전략가이자 정치개혁가이다. 시대와 활동공간은 다르지만 두 사람 모두 난세의 영웅이었고 지금도 많은 세인들로부터 존경받고 있다. 불패의 전승기록과 구국영웅이라는 견지에서 본다면 이순신은 제갈량을 훨씬 능가하고 있다. 우리는 이순신이 가르쳐주는 선승구전에 의한 전승무패의 승리신화와 리더십, 애국충정의 정신을 계승·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Yi Sun-sin has often been compared to Zhuge Liang, Horatio Nelson and Togo Heihachiro.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lives, thoughts, and achievements of Yi Sun-sin and Zhuge Liang.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5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the lives and thoughts of Yi Sun-sin and Zhuge Liang; a comparison of Yi Sunsin and Zhuge Liang s major battles and battle(combat) capabilities;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achievements of Yi Sun-sin and Zhuge Liang, and conclusion. Yi Sun-sin has a noble personality who also served as a civil servant, who is unrivaled in the naval victory record. He is also a famous general of the Navy who showed great loyalty to his country and excellent battlefield leadership. Zhuge Liang established China s Three Kingdoms era with the victory of the Red Cliff War and is also the protagonist of many ancient idioms. And he is a strategist and political reformer of the Shu Han Dynasty, who is still respected by the Chinese people today. Although the times and space of activity are different, both were heroes of the turbulent times and are still respected by many people. In terms of an undefeated war victory record and a hero who saved a nation in crisis, Yi Sun-shin is far superior to Zhuge Liang. We will have to inherit and develop the spirit of victory, leadership, and patriotism through the Seonseung-gujeon(先勝求戰) taught by Yi Sun-sin.

      • KCI등재

        『삼국풍진 졔갈량젼』의 번역 양상과 소설화 방식

        김성철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8 No.-

        This article discusses how the Japanese critical biography, 『諸葛亮』 was translated to 『삼국풍진 졔갈량젼』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Old-print books were widespread at the time, and the most popular works among them were the short stories of Samguk Jiyeon. Of these short stories, 『삼국풍진 졔갈량젼』 received the most attention from academic researchers because of its unique composition. Until now, researchers did not realize 『삼국풍진 졔갈량젼』 was a translated text. This article clarifies the translation and examines how it was completed by comparing the two texts. 『諸葛亮』 is a critical biography that objectively describes the life of 諸葛亮, but the translation ignores the style of the original work. It was also intentionally recomposed in the form of a classic novel while it was abridged. The translator wanted to conceal the fact that his work was a translation because he hoped it would be recognized as an original piece. This article highlights the portions of the work that were added and subtracted and sheds light on the recomposition process of 『諸葛亮』. This process does not only simply refer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exts, but it reveals the translation's inclination as a classic novel. 이 논문은 일본에서 발행된 평전 『諸葛亮』이 『삼국풍진 졔갈량젼』으로 어떠한 방식을 거쳐 번역이 되었는가를 밝히고 있다. 20세기 초 활자본 소설들이 유행하게 되는데, 『삼국지연의』와 『삼국지연의』의 단편들은 독자를 많이 확보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삼국풍진 졔갈량젼』은 『삼국지연의』 단편들 중, 독특한 구성, 그리고 그 구성의 완전함 때문에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삼국풍진 졔갈량젼』이 번역본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지 못했다. 본고에서는 번역본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두 작품 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번역이 이루어졌는가를 살폈다. 『諸葛亮』은 제갈량의 인물과 그에 얽혀있는 사건들을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있는 評傳의 형식이지만, 이 작품을 번역한 『삼국풍진 졔갈량젼』은 대본이 갖고 있는 평전의 느낌들을 걷어내고, 고소설로 인식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축소하고 재구성된 작품이다. 『삼국풍진 졔갈량젼』의 번역자는 이 작품이 번역되었다는 사실을 감추고 싶어 했는데, 『삼국풍진 졔갈량젼』이 고소설로 인정되기를 기대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번역이 되면서 생략된 부분과 첨가된 부분을 지적하고 그것을 통해 번역자가 『삼국풍진 졔가량젼』을 고소설화하는 과정을 밝혔다. 이러한 과정은 단순히 『諸葛亮』과 『삼국풍진 졔갈량젼』의 차이만을 언급한 것이 아니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삼국풍진 졔갈량젼』이 『諸葛亮』의 번역본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고소설로의 지향성이 드러나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제갈량諸葛亮의 법치 정신

        김지수 ( Kim Ji-su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7 No.1

        본고는 제갈량문집과 삼국지주注의 기록을 중심으로 제갈량의 법치 정신을 다방면에서 살펴본다. 첫째로, 그 법치의 철학사상 기초 및 역사관, 그리고 촉에 엄격한 법치가 필요했던 시공간 배경을 고찰한다. 둘째로, 법치 행정의 구체 내용과 효과를 몇 가지로 나누어 개관한다. 셋째로, 공평한 신상필벌과 엄정한 법집행의 정신적 기초로서, 거울 같은 심성수양과 저울 같은 용심用心의 정공靜功을 사색하며, 마속과 리엄 사건을 구체 실례로 소개한다. 아울러 사면 반대 법치와 맹광孟光의 사폐赦弊론을 상세히 고찰한다. 넷째로, 제갈량이 즐겨 읊었던 량보음梁父吟에 얽힌 고사를 소개하고, 세 인물의 구체 사례를 통해 권력을 둘러싼 인간의 경쟁 심리를 명상하며, 공정한 인재등용 및 포용력의 어려움, 그리고 제갈량의 한계 및 법치의 제약을 성찰한다. 제갈량은 자기를 알아주고 전폭 믿어 전권을 맡긴 류비를 위해 충의忠義를 다해 ‘국궁진췌鞠躬盡瘁’했다. 어쩌면 안 되는 줄 알면서도 끝까지 최선을 다해 목숨을 바쳤는지 모른다. 그 선비정신이 후대 수많은 영웅호걸과 시인묵객의 심금을 울렸으리라! 그의 신출 귀몰한 지혜와 엄정한 법치행정 능력은 높이 평가받는다. 게다가 그는 30년 가까이 최고 장상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부렸지만, 자신을 엄격히 관리해 ‘공평무사’를 철저히 실천했다. 패전 책임을 물어 마속을 처형한 뒤 스스로 강등처분을 단행했고, 죽는 순간까지 청렴ㆍ검소한 삶을 증명했다. Zhuge Lyang(諸葛亮: Jegal Lyang) was the prime minister of Shu(蜀: Chok) in Three-state-dynasty. This article tries a general survey on Zhuge Lyang(諸葛亮: Jegal Lyang)’s spirit of rule of law with a collection of His works & the History of Three-state-dynasty with explanatory notes. First, this article considers His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views of history & analysis of the situation. Second,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rete contents & effects of His rule of law, fairness and disinterestedness, esp. principle of sure penalty and certain reward that good work will be rewarded and bad work punished. Third, this article meditates His mindfulness like a mirror & equitability like a balance of scales with real cases of Ma Su(馬謖: Ma Sok) & Li Yan(李嚴: Li Eom). And this article investigates His consistent policy of radical anti-amnesty, and introduces Meng Guang(孟光: Maeng Guang)’s theory on evil effects of amnesty. Forth, this article introduces the historical fact on Lyang Fu Yin(梁父吟) which He (wrote for himself and) had sung frequently, and considers human competitive spirit around power & authority. So Finally this article meditates the limitation of Zhuge Lyang and restriction of rule of law. Zhuge Lyang did His best loyalty to His country and had dedicated all His energy & bended His back until His dying days for His intimate & bosom friend king Liu Bei(劉備: Lyu Bi) and his son Liu Chan(劉禪: Lyu Sheon). His spirit was willing but His flesh was weak. His virtue & loyalty have struck a deep sympathetic chord in many person’s heart generation after generation. His wisdom with great dexterity & preternatural swiftness & impartial rule of law have been high respected, and His incorruptibility has been famous as much.

      • KCI등재

        한문학에 나타난 제갈량(諸葛亮)의 형상화 유형

        金英珠 ( Kim Young-ju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9

        본고는 한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제갈량 형상을 작가 경험과 시대 현실의 상관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인물은 역사 속 실제 인물의 형상이 아닌 작가 개인의 경험, 시대의 사회정치적 현실이 관계하여 작중 인물로 재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송대 성리학 이념이 지배적인 상황에서 전통 학습교재 등에서 강조되는 제갈량의 형상은 당시의 유학자들에게 보편적이고 전형적인 형상으로 널리 인식되었다. 이것은 역사서에 기록된 인물의 사실적 형상과 차별화 되는 성리학적 도덕론, 君臣共治 등의 이념에 입각하여 형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작가의 경험과 사회정치적 상황 역시 작품 속 제갈량의 형상에 많은 영향을 끼쳤음을 아울러 확인하였다. 천재적 능력에도 불구하고 세조의 왕위찬탈로 인해 출사의 뜻을 접고 평생을 방외적 유형의 삶을 살았던 김시습이나 무오사화의 참화를 직접 체험한 조위의 경우는 불우한 개인적 자아의 형상이 작품 속 제갈량의 모습에도 투사되었다. 이들과 비슷하면서도 또 다른 제갈량 형상을 보여준 이산해는 자신이 올바른 도리라고 생각하여 실행했던 일이 그릇된 것으로 비난받은 억울한 심정을 과업달성에 실패한 제갈량의 형상으로 재창조하여 과업의 성패 여부를 떠나서 그 내면의 충성심 유무에 집중하여 제갈량을 평가하여 천고의 영웅으로 형상하였다. This paper analyzed the shape of JeGalLiang in Chinese literature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riter's experience and the reality of the times.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s appearing in literary works are reconstructed as characters in relation to the socio-political reality of the individual artist's experience era, not the actual figures in history. 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the ideology of Neo-Confucianism of the Song Dynasty was dominant, the shape of JeGal-liang, which was emphasized in traditional learning textbooks, was widely recognized as a universal and typical shape for Confucian scholars at that time. This can be said to be shaped based on ideologies such as Neo-Confucian moral theory, which is different from the realistic shape of the person recorded in the history book.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artist's experience and socio-political situation als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shape of JeGalLiang in the work. Despite his genius ability, in the case of KimSiSep who gave up his will to take pictures and lived outside the Je-do area for his entire life due to the deprivation of the throne and experienced the trage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igure of the poor personal ego was projected onto the image of JeGalLiang in the work. Similar to them, LeeSanHae recreated the unfair feeling of being accused of wrongdoing because she thought it was the right way to do it in the form of JeGalLiang, focusing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task, and evaluated Zhuge Liang as a hero of heaven and earth.

      • KCI등재

        판소리 <赤壁歌>와 경극 <赤壁鏖兵>의 서사 구조비교

        김옥란 한중인문학회 2010 한중인문학연구 Vol.29 No.-

        한․중 양국에서 <三國志演義>의 일부분을 수용하여 장르 변모를 한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 판소리 <적벽가>와 경극 <赤壁鏖兵>이다. 이 두 작품은 거의 같은 소재를 다루었고 모두 공연예술이며 특정된 사회적 환경 속에서 서민들의 정서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相似하다. 그러나 작자층과 수용층의 의식이 다르기 때문에 서사 구조에 있어서는 相異한 부분이 많다. <적벽가>는 魏와 蜀의 대결 구도로 앞부분은 원작의 내용을 압축하여 劉備에 대한 諸葛亮의 ‘義’와 ‘智’를 부각하였고, 뒷부분은 창작소재인 조조의 패잔병들을 전면에 등장시켜 전횡적인 지배자 조조를 희화화하고 민중들의 厭戰정서를 표현하고 있다. 결말부분은 화용도에서 관우가 궁지에 몰린 조조를 義釋해 줌으로써 이 작품은 義로 시작되어 義로 막을 내리고 있다. <적벽가>는 ‘忠’보다 ‘義’가 한층 강조된 텍스트임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아마도 판소리의 수용층인 민중들이 ‘義理’에 대한 선호도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경극 <赤壁鏖兵>은 원작의 43회〜50회의 내용을 8본으로 재현한 작품으로서 魏․蜀․吳의 대결구도로 기본상 원작의 서사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제갈량의 지략을 중심으로 부각하되 ‘忠’과 ‘義’보다는 세 군사집단의 지략대결에 초점을 두어 魏․蜀․吳의 지략대결을 다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특히 <적벽가>에서 간과되었던 東吳 周瑜의 지략을 정밀하게 묘사하였고 曹操의 지략도 어느 정도 묘사하고 있다. <赤壁鏖兵>은 제갈량의 지략을 직접적으로 묘사한 대목이 많지만 주변인물을 통하여 제갈량의 지략을 더욱 두드러지게 묘사한 부분도 있다. 결국 제갈량의 뛰어난 지략에 의하여 蜀․吳가 연맹을 결성하여 강대한 曹操軍을 패배시킨다. 그러나 이 작품은 <적벽가>처럼 조조를 심하게 매도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서사적 구조를 통해 경극 <赤壁鏖兵>은 제갈량을 중심으로 魏․蜀․吳 將相들의 지략을 주로 부각한 작품이라면, 판소리 <적벽가>는 주로 제갈량, 관우를 중심으로 한 촉한 영웅들의 ‘義’와 ‘智’를 칭송하고 민중들의 厭戰정서와 안정된 삶에 대한 갈망을 표현하였으며 전횡적인 통치자의 상징인물 조조를 여지없이 비판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In China and South Korea, Pansoli “Jeokbyeok-ga”and Peking Opera “Red Cliff fierce battle” are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which are created based on the novel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These two works reflect a similar feeling of people from a specific social stage as they almost take the same material as the background. But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uthors’ style and the public awareness, there are also many differences exist in narrative structure. The contents in the first part of “Jeokbyeok-ga” is greatly compressed in order to show Zhuge Liang’s wisdom and his faithfulness to Liu Bei. In the second part CaoCao’s arbitrary character isdepicted in a joking way and the defeat of Cao’s force are described as a main part to show the people’s weariness. In the concluding section Cao Cao is released by Guan Yu at the Hua Rong Road which makes loyalty the beginning of “Jeokbyeok-ga” as well as the end of it. Through such narrative structure, you may notice that loyalty is much more appreciated than faithfulness in “Jeokbyeok-ga”. This may be due to people who love cappella are more respect for loyalty. Peking Opera “Red Cliff fierce battle” contains 8chapters based on the 43thto50th chapte rs of the original novel. It maintains the original narrative structure. Zhuge Liang’s wisdom is the main part of this work and the strategies battle between three militaries is more emphasized. Not only described the wisdom of Zhou Yu, Cao Cao’s resouse which is omitted in the “Red Cliff Song” is also mentioned .In Peking Opera “Red Cliff fierce battle”, the wisdom of Zhuge Liang is not only described directly, but also highlighted through the description of his surrounding characters. It is by Zhuge Liang’s extraordinary resourcefulness, the Shu kingdom defeated Cao Cao.’s Powerful forceby allying the Wu kingdom. “Red Cliff fierce battle” does not have the chapters where Cao Cao's joked. Through the comparison of narrative structure, we can see that the Peking Opera “Red Cliff fierce battle” is a work which makes Zhuge Liang as a lead, describing the resourceful war between Shu, Wu and Wei kingdoms. While the cappella “Jeokbyeok-ga” is a work which takes Zhuge Liang and Guan Yu as the main characters, singing the praises of heroes in Shu and Han. At the same time, this work also reflects the public's criticism to autocratic rulers and war-weary mood.

      • KCI등재

        두시(杜詩) 속에 나타난 제갈량(諸葛亮) 형상(形象) 고(考)

        정호준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1 No.-

        諸葛亮作爲壹代賢相名臣而後世稱頌。杜甫晩年多次創作歌頌諸葛亮的詩。杜詩中,吟詠曆史人物以諸葛亮爲最。這些詩歌數量大,質量高,表現出杜甫對諸葛亮的尊敬和愛慕之情。特別是此類詩歌創作于上元元年,杜甫到達成都以後。其主要作品有「蜀相」、「武侯廟」、「登樓」、「八陣圖」、「謁先主廟」等十二多首。成都和其後杜甫所住的夔州都是屬蜀漢的領土,有□多遺迹露出著往日之曆史。杜甫在蜀,感物思念古人,觸景興情,寫下許多關于諸葛亮的詩歌。本論文對這類詩歌進行了考察,從對于理想的君臣關系之所懷、對于諸葛亮的才能之稱頌、對于自己的處境之感懷等三個方面進行解讀。通過考察,認爲杜甫吟詠諸葛亮的詩不但其感情□深,而且對諸葛亮 的論定□正確。這洋的事情也表示了"詩史 杜甫"之□外的□面目。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